KR20070013983A -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 Google Patents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983A
KR20070013983A KR1020050123773A KR20050123773A KR20070013983A KR 20070013983 A KR20070013983 A KR 20070013983A KR 1020050123773 A KR1020050123773 A KR 1020050123773A KR 20050123773 A KR20050123773 A KR 20050123773A KR 20070013983 A KR20070013983 A KR 20070013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resonator
conductor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719B1 (ko
Inventor
엄만석
이주섭
윤소현
염인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06/00245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13740A1/en
Priority to US11/996,770 priority patent/US7796000B2/en
Publication of KR2007001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공진기 필터의 입력(및/또는) 출력부에 공진기 형태와 유사한 곡면형 도체판을 두어 입력(및/또는 출력) 커넥터의 내부 도체 프로브(동축 커넥터의 내심 프로브)를 부착하여 입력(및/또는 출력)의 결합량을 높이기 위한(기계적으로 안정된 형태), 입력 및/또는 출력 결합 장치로 공진기와 유사한 곡면형 도체판을 사용한 공진기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공진기 필터에 있어서, 공진을 위한 다수의 공진기; 입출력 동축 커넥터; 입력 동축 커넥터와 일 공진기 사이 및/또는 출력 동축 커넥터와 타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어, 전기적/기계적 입/출력 결합을 지지하기 위한 입/출력 지지수단; 및 상기 입/출력 지지수단과 상기 동축 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출력 지지수단은, 상기 공진기와 중심축이 유사한 곡면형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곡면형 도체판, 커넥터, 공진기, 콤라인 필터, 인터디지탈 필터, 동축 커넥터

Description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Filter coupled by the conductive plates with a curved surface}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라 입출력 커넥터가 공진기에 부착된 콤라인 필터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필터에서 곡면형 도체판을 이용한 입출력 결합 모양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필터에서 곡면형 도체판과 편평한 도체판의 결합량 비교 곡선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필터에서 곡면형 도체판 위에 결합량 조절용 도체를 추가할 경우 변동되는 결합량 곡선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콤라인 필터 하우징 12 : 입출력 동축 커넥터
13 : 공진기 21 : 동축 커넥터의 내심 프로브
22 : 곡면형 도체판 23 : 결합량 조절용 도체
31 : 튜닝 스크류
본 발명은,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체로 이루어진 공진기 필터의 입력(및/또는) 출력부에 공진기 형태와 유사한 곡면형 도체판을 두어 입력(및/또는 출력) 커넥터의 내부 도체 프로브(동축 커넥터의 내심 프로브)를 부착하여 입력(및/또는 출력)의 결합량을 높이며(기계적으로 안정된 형태), 또한 곡면형 도체판 위에 부가적으로 보조장치를 둠으로써 미세조절(결합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입력 및/또는 출력 결합 장치로 공진기와 유사한 곡면형 도체판을 사용한 공진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콤라인 필터 또는 인터디지털 필터와 같은 구조의 필터에 아주 유용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 도체로 이루어진 공진기 필터로 콤라인 필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 통신 시스템에서 한정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좁은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는 채널화 및 다중화가 필요하고, 이러한 채널화 및 다중화를 위해서는 엄격한 성능 규격 을 만족시키는 필터(filter)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협대역 필터는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높은 주파수 선택도(selectivity) 특성이 요구되어 높은 차수의 필터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 주파수 대역 이외의 원하지 않는 인접 고조파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도 아울러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콤라인 필터'가 위에 언급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때문에 무선통신용 부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일예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라 입출력 커넥터가 공진기에 부착된 콤라인 필터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콤라인 필터는,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시키기 위한 입출력 동축 커넥터(12), 콤라인 필터의 공진을 위한 다수의 공진기(13), 콤라인 필터의 하우징(11)으로 이루어진다.
통상, 콤라인 필터는 도전성을 지닌 도체 공진기들(13)이 단락 부분에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전송선로를 이용한 다른 형태의 필터보다 크기가 작고, 인접 고조파 대역이 사용대역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징(11) 안에 원통형 봉 형태의 공진기(13)를 사용하며, 입력 및 출력부가 동축 커넥터(12)로 되어있다. 입력부 및 출력부는 첫 번째 공진기 및 마지막 공진기와 서로 결합되어 있고, 공진기(13) 간의 상호 결합은 아이리스(유도성 결합) 또는 프로브(용량성 결합)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고적으로, 콤라인 필터가 1960년대에 처음으로 미국에서 개발되어 약 45년 이 지났지만, 우수한 성능으로 현재까지도 국내외 업체에서 새로운 기술 개발을 끊임없이 추진하고 있다. 주로 시도되고 있는 기술은 필터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 결합량 조절을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 및 중심 주파수 대역을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들이다.
콤라인 필터의 일예로, "Microwave band-pass filter(미국특허등록번호 제4761624호)(이하, '제1 선행기술'이라 함)"에서는 내부가 공기로 되어 있는 도 1과 같은 콤라인 필터의 공진기 간의 간격으로 결합량을 조절하는 초기 콤라인 필터의 형태 대신 부피를 줄이고자 공기층 대신 유전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즉, 유전체 박스에 원통형 구멍을 두고 그 부분에 도체를 채우며 각 공진기 간에는 유전체 박스 위의 얇은 도체 스트립을 통해 결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 선행기술에 따르면, 유전체에 의해 필터의 크기는 줄어들 수 있으나, 고정된 스트립의 크기 및 간격으로 인해 제작 후 미세 튜닝이 실질적으로 어려우며, 구현 가능한 스트립 크기 및 간격으로 인해 구현 가능한 결합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기 때문에, 결정된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에 대한 필터를 안정된 공정하에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만 규격을 만족하는 부품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엄격한 규격이 필요한 필터인 경우, 구현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튜닝이 가능하도록 추가 보완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공진기 사이에 아이리스를 두는 경우는 필요한 공진기 간의 결합량을 얻기 위해서 좁은 간격이 요구된다. 즉, 아이리스가 없는 경우보다 필터의 길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마이크로파 대역 필터 및 콤라인 필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 러나, 아이리스의 사이즈가 전기적인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교한 제작 공정이 요구되고, 제작된 아이리스를 교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Iris-less comline filter with capacitive coupling elements(미국특허등록번호 제6664872호)(이하, '제2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 제2 선행기술에서는 설계 값에 의해 제작된 아이리스를 기계적 오차 또는 설계 오차로 인해 수정이 필요할 경우, 아이리스 대신 프로브를 이용하여 공진기 간의 결합으로 프로브를 교체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2 선행기술에서는 비록 하우징 제작 등에 많은 장점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으나, 실제 수작업으로 프로브를 교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기존의 아이리스 결합은 튜닝 스크류를 이용하여 미세 튜닝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장점이 있다고 보기가 어렵다.
현재는 고정용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갖는 통신 시스템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콤라인 필터를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는 지능형 무선통신시스템용으로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주파수 대역 및 통신 방식을 처리할 수 있는 지능형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필요한 기능은 특정 주파수에서 통신이 되어야 하는 것으로, 중심 주파수 변경이 가능한 필터 사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 일예로, "Electrically tunable comline filters tuned by tunable dielectric capacitors(미국특허공개번호 제210109호)(이하, '제3 선행기술'이라 함)"에서는 콤라인 필터의 공진기에 전압 조절로 커패시터 값 변경이 가능한 가변 유전체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사용한 필터를 제안하였다. 즉, 전압으로 커패시터 값을 변동시킴으로써, 기존 튜닝 스크류에 의해 변동되는 공진 주파수를 전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공진 주파수 변경). 그러나, 상기 제3 선행기술은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임에 반하여, 본 발명은 입출력 결합량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양자가 기술이 상이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선행기술은 공진기에 가변 유전체 커패시터 사용으로 중심 주파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임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진기와 유사한 곡면을 갖는 지지대를 사용함으로써 결합량을 키울 수 있고, 지지대 위로 추가적인 부분을 두어 결합량 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점에서, 양자의 기술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기존에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던 콤라인 필터에 공진기간 결합, 소형화 그리고 공진 주파수를 전기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콤라인 필터의 입력 및 출력부의 결합은 공진기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거나, 프로브 지지대를 이용하여 공진기 사이의 간격을 둠으로써 결합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공진기와 직접 연결할 경우, 정확한 공진기의 연결 지점을 알기 어렵고, 또한 연결된 부위가 쉽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간단한 지지대를 두고 프로브와 공진기를 결합할 경우, 프로브의 직경이 작아 큰 값의 결합을 얻기 위해서는 매우 좁은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는 구현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엄격한 성능 규격이 요구되는 필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원하는 설계값과 같아야 하나, 현재까지 입력 및 출력부의 결합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보조 결합 장치로는 기존에 간단한 유전체나 도체판을 두는 것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요컨대, 종래의 도체로 이루어진 공진기 필터의 입력 및 출력부 결합량 조절이 불가능하고, 결합되었을 때 기계적으로 불안정된 구조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엄격한 성능 규격을 지닌 도체로 이루어진 공진기 필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사항인 입출력 결합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즉, 입력(출력)부 결합량 조절이 가능하고, 결합되었을 때 기계적으로 안정된 구조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진기 필터의 입력(및/또는) 출력부에 공진기 형태와 유사한 곡면형 도체판을 두어 입력(및/또는 출력) 커넥터의 내부 도체 프로브(동축 커넥터의 내심 프로브)를 부착하여 입력(및/또는 출력)의 결합량을 높이기 위한(기계적으로 안정된 형태), 입력 및/또는 출력 결합 장치로 공진기와 유사한 곡면형 도체판을 사용한 공진기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곡면형 도체판 위에 부가적으로 보조장치를 둠으로써, 미세조절(결합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진기 필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공진기 필터에 있어서, 공진을 위한 다수의 공진기; 입출력 동축 커넥터; 입력 동축 커넥터와 일 공진기 사이 및/또는 출력 동축 커넥터와 타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어, 전기적/기계적 입/출력 결합을 지지하기 위한 입/출력 지지수단; 및 상기 입/출력 지지수단과 상기 동축 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출력 지지수단은, 상기 공진기와 중심축이 유사한 곡면형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출력 지지수단 상부에 형성되어, 입/출력 결합량을 조절하기 위한 결합량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진기 상부에 형성되어, 공진주파수 및 응답 특성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스크류(나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콤라인 필터의 입출력 결합 구조 개선에 따라 광대역 특성을 갖고 입출력 결합량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콤라인 필터의 첫 번째(및/또는 마지막 번째) 공 진기 바로 앞(및/또는 뒤)에 원통형 공진기의 중심축과 유사 혹은 일치한 곡면형(원통형을 포함함) 도체판을 두고 이를 입력(및/또는 출력) 동축 커넥터의 핀과 연결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입출력 컨넥터가 공진기와 바로 연결하는 것보다 입출력부가 기계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의 전기적인 결합량을 높일 수 있고, 도체로 되어 있는 추가 부분을 도체판 위에 연결하여 결합량 조절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진기 형태와 유사 혹은 일치하고 소정 호의 길이를 갖는 곡면형(원통형을 포함함) 도체판을 공진기 앞(및/또는 뒤)에 두어 입력(및/또는 출력) 결합을 함으로써 기존의 프로브 또는 편평한 도체판을 이용한 경우보다 결합량을 높일 수 있으며, 체결 방식도 직접 공진기에 하지 않고 곡면형 도체판에 하기 때문에 체결력이 높아져 기계적으로 안정된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곡면형(원통형 포함) 도체판 위에 추가 도체를 부착하여 결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곡면형(원통형 포함) 도체판(원통형 공진기의 중심축과 일치 혹은 유사하며 소정의 호의 길이를 갖는 입/출력 결합 도체판)(22)과 공진기(13) 간 결합과 관련하여,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22) 주위가 공기 혹은 유전체로 되어 있는 콤라인(Comline) 또는 인터디지탈(Interdigital) 필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콤라인 필터의 동축 커넥터(12)의 내심 프로브(21)가 콤라인 공진기(13) 형태와 유사한 곡면형 도체판(22)에 연결되고, 그 위에 추가로 결합량 조절용 도체(23)를 연결함으로써, 광대역 특성을 갖고 입출력 결합량 조절이 용이하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공진을 위한 다수의 공진기(원통형 봉 형태의 공진기임)(13)와, 입출력 동축 커넥터(12)와, 입력 동축 커넥터(12)와 일 공진기(필터의 입력 동축 커넥터로부터 첫 번째 공진기)(13) 사이 및/또는 출력 동축 커넥터(12)와 타 공진기(필터의 출력 동축 커넥터로부터 마지막 공진기)(13) 사이에 형성되어, 전기적/기계적 입/출력 결합을 지지하기 위한 곡면형 도체판(22)와,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22)과 입/출력 동축 커넥터(12)를 연결시키기 위한 동축 커넥터의 내심 프로브(내부 도체 프로브)(21)를 포함한다. 또한,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22) 상부에 형성되어, 입/출력 결합량을 조절하기 위한 결합량 조절 도체(23)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공진기(13) 상부에 형성되어, 공진주 파수 및 응답 특성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스크류(나사)(도 3의 31)를 더 포함한다.
특히,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22)은, 입력(출력) 동축 커넥터(12)의 안쪽 프로브(내심 프로브)(21)와 직접 연결되며, 공진기(13)와 중심축이 유사 혹은 일치하고 소정의 호의 길이를 갖는 곡면형 혹은 원통형의 입/출력 결합 도체판이다. 이는 입출력 커넥터가 공진기와 바로 연결하는 것보다 입출력부가 기계적으로 안정될 수 있고, 입출력부의 전기적인 결합량을 높일 수 있다.
이때,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22)와 결합량 조절 도체(23)는, 접착 물질(도전성 에폭시(Epoxy)) 혹은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튜닝 스크류(나사)(도 3의 31)는, 전기적인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사와 공진기 봉 사이의 간격에 따라, 병렬 커패시터의 값이 변화(결합량이 변화)되어, 제작 및 설계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필터에서 곡면형 도체판을 이용한 입출력 결합 모양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 도체판을 이용한 입출력 결합 모양은 입/출력 동축 커넥터(12), 내심 프로브(21), 곡면형(원통형 포함) 도체판(22), 결합량 조절용 도체(23), 필터의 첫 번째 혹은 마지막 번째 공진기(13), 튜닝 스크류(31)로 이루어진 입출력 결합 구조를 나타낸다.
도 3과 같은 형태를 정교한 필터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 및 출력 결합량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입력 포트에서 바라본 입력 반사 계수를 구할 수 있다. 이때, 구해진 반사계수의 군지연 특성이 결합량과 공진주파수를 결정한다. 즉, 반 사계수의 군지연 특성에서 값이 가장 큰 지점이 공진 주파수가 되고, 그 값은 결합량을 나타내는데, 그 값과 결합량은 반비례 관계로, 그 값이 커지면 결합량이 적고, 작아질 경우 결합량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필터에서 곡면형 도체판과 편평한 도체판의 결합량 비교 곡선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에서는 공진기와 입력 또는 출력 커넥터와 결합이 되는 도체판을 곡면형이 아닌 경우와 곡면형을 이루고 있을 때 넓이(W)에 따른 군지연 값을 전자계 해석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도 4의 곡선을 살펴 보면, 공진기와 유사한 곡면형으로 이루어진 도체판을 사용할 경우, 곡면형이 아닌 경우보다 결합량이 크고 넓이에 따른 변화량도 커서 사용하기가 용이한 것을 볼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필터에서 곡면형 도체판 위에 결합량 조절용 도체를 추가할 경우 변동되는 결합량 곡선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에서는 곡면형 도체판을 이용하고 곡면형 도체판 위에 추가적인 결합량 조절용 도체를 두었을 때 변화되는 결합량을 보이고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에 놓여지는 결합량 조절용 도체의 높이에 따라 결합량이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윗부분의 결합량 조절용 도체와 아래 부분의 곡면형 도체판 연결은 접착물질(예를 들면, 도전성 에폭시(Epoxy) 등) 또는 볼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체로 이루어진 공진기 필터의 입력 및/또는 출력에 곡면형 도체판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기계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추가로 결합량 조절용 도체를 둠으로써 미세하게 결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엄격한 성능 규격을 지닌 도체로 이루어진 공진기 필터를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공진기 필터에 있어서,
    공진을 위한 다수의 공진기;
    입출력 동축 커넥터;
    입력 동축 커넥터와 일 공진기 사이 및/또는 출력 동축 커넥터와 타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어, 전기적/기계적 입/출력 결합을 지지하기 위한 입/출력 지지수단; 및
    상기 입/출력 지지수단과 상기 동축 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출력 지지수단은, 상기 공진기와 중심축이 유사한 곡면형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지지수단 상부에 형성되어, 입/출력 결합량을 조절하기 위한 결합량 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상부에 형성되어, 공진주파수 및 응답 특성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스크류(나사)
    를 더 포함하는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과 상기 결합량 조절수단인 도체간의 결합은,
    도전성 에폭시(Epoxy) 혹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스크류(나사)는,
    전기적인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사와 공진기 봉 사이의 간격에 따라, 병렬 커패시터의 값이 변화(결합량이 변화)되어, 제작 및 설계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은,
    입력(출력) 동축 커넥터의 안쪽 프로브와 직접 연결되며, 원통형 봉 형태의 상기 공진기와 중심축이 일치 혹은 유사한 소정의 호의 길이를 갖는 곡면형(/원통형) 도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과 상기 공진기간 결합과 관련하여, 상기 곡면형 도체판(입/출력 결합 도체판) 주위가 공기 혹은 유전체로 되어 있는 콤라인(Comline) 또는 인터디지탈(Interdigital)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KR1020050123773A 2005-07-26 2005-12-15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KR10070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2457 WO2007013740A1 (en) 2005-07-26 2006-06-26 Filter coupled by conductive plates having curved surface
US11/996,770 US7796000B2 (en) 2005-07-26 2006-06-26 Filter coupled by conductive plates having curved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011 2005-07-26
KR20050068011 2005-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983A true KR20070013983A (ko) 2007-01-31
KR100703719B1 KR100703719B1 (ko) 2007-04-06

Family

ID=3801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773A KR100703719B1 (ko) 2005-07-26 2005-12-15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96000B2 (ko)
KR (1) KR100703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349B1 (ko) * 2008-01-28 2013-06-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이용되는식각액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3723B2 (en) * 2009-07-01 2011-11-22 Spx Corporatio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JP5762070B2 (ja) * 2011-03-23 2015-08-12 日本無線株式会社 バンドパスフィルタ
CN103840235B (zh) * 2013-12-09 2016-03-02 福建星海通信科技有限公司 改进型滤波器的耦合结构
WO2018023922A1 (zh) * 2016-07-31 2018-02-08 华南理工大学 一种te模多通带介质滤波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8614C3 (de) * 1974-09-06 1979-08-0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Nagaokakyo, Kyoto (Japan) Dielektrischer Resonator
JPS6098702A (ja) * 1983-11-04 1985-06-01 Nec Corp 誘電体共振器帯域通過濾波器
JPS6098702U (ja) 1983-12-12 1985-07-05 株式会社東芝 タ−ビン動翼
JPS6221301A (ja) * 1985-07-22 1987-01-29 Nec Corp 誘電体共振器フイルタ
JPS6342501A (ja) * 1986-08-08 1988-02-23 Alps Electric Co Ltd マイクロ波バンドパスフイルタ
JPH05167305A (ja) 1991-12-12 1993-07-0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導体製のビスを設けた誘電体帯域通過フィルタ
US5808526A (en) * 1997-03-05 1998-09-15 Tx Rx Systems Inc. Comb-line filter
DE69830035T2 (de) * 1997-11-05 2006-01-19 Murata Mfg. Co., Ltd., Nagaokakyo Filter, Duplexer und Kommunikationsgerät
EP0917239B1 (en) * 1997-11-05 2005-05-0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9990058995A (ko) * 1997-12-30 1999-07-26 구관영 유전체 공진기간의 윈도우 커플링 구조를 가지는 씨디엠에이 기지국용 하이-큐 대역 통과 여파기
KR200252403Y1 (ko) * 1999-03-03 2001-11-16 정상화 유전체 공진장치
WO2002017430A1 (en) * 2000-08-22 2002-02-28 Paratek Microwave, Inc. Combline filters with tunable dielectric capacitors
JP2002299909A (ja) 2001-03-30 2002-10-11 Nec Corp 共振器のアンテナ結合方式及び結合アンテナ
US6664872B2 (en) * 2001-07-13 2003-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ris-less combline filter with capacitive coupling elements
JP2003234601A (ja) 2002-02-06 2003-08-22 Soshin Electric Co Ltd フィルタ
EP1372211A3 (en) * 2002-06-12 2004-0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electric fil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sonance frequency
JP2003110304A (ja) 2002-09-18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349B1 (ko) * 2008-01-28 2013-06-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이용되는식각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11603A1 (en) 2008-09-04
US7796000B2 (en) 2010-09-14
KR100703719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2264B2 (en) Electronically tunable dielectric resonator circuits
US9979070B2 (en) Resonator, filter, duplexer, multiplexer, and communications device
US9876262B2 (en) Multi resonator non-adjacent coupling
WO2006075439A1 (ja) チューナブル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機装置
CN106960994A (zh) 一种便于调节频率与耦合带宽的介质滤波器
US8947177B2 (en) Coupling mechanism for a PCB mounted microwave re-entrant resonant cavity
EP2924800B1 (en) Resonator and filter having the same
KR100703719B1 (ko) 곡면형 도체판으로 결합된 공진기 필터
US9812751B2 (en) Plurality of resonator cavities coupled by inductive apertures which are adjusted by capacitive parts
CN104124496A (zh) 微带三通带带通滤波器
CN108493533B (zh) 一种具有稳定宽阻带的可调滤波器
CN107331927B (zh) 一种小型化宽带电调腔体滤波器
KR20010030828A (ko) 다중표면 결합형 동축공진기
FI127061B (en) Radio frequency resonator tuning elements
JP2001257511A (ja) 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通信機装置
CN109728388B (zh) 一种具有恒定绝对带宽的高选择性电调同轴滤波器
US6724279B1 (en) Duplexer filter with offset resonator holes
WO2007013740A1 (en) Filter coupled by conductive plates having curved surface
WO2018162032A1 (en) A tunable waveguide filter input/output coupling arrangement
RU2305350C1 (ru) Полосно-пропускающий фильтр
CA1041619A (en) Adjustable interdigital microwave filter
CN207265203U (zh) 一种介质滤波器及通信设备
JPH0865006A (ja) 誘電体共振器より成る帯域通過ろ波器
JP2012205096A (ja) 帯域通過フィルタ
KR100558882B1 (ko) 코러게이트된 원통형 도파관 공진기 및 그를 이용한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