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256A - 광 정보 기록매체,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광 정보 기록매체,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256A
KR20070013256A KR1020067005717A KR20067005717A KR20070013256A KR 20070013256 A KR20070013256 A KR 20070013256A KR 1020067005717 A KR1020067005717 A KR 1020067005717A KR 20067005717 A KR20067005717 A KR 20067005717A KR 20070013256 A KR20070013256 A KR 20070013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light
transmitting layer
light transmitting
transmit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지 니시키오리
에이지 오노
야스모리 히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3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65Layers assisting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below the optical diffraction limit, e.g. non-linear optical layers or stru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improving adhesion between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94Indication parts or information parts for ident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광 정보 기록매체의 고밀도화에 따라, 디스크 구성이 복잡화하고, 기록층의 다층화에 의해 제조 마진, 비용이 과제가 된다.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된 기록광의 조사에 의해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 투과층을 이용함으로써, 정보의 기록·재생이 가능해지며, 저비용으로 고밀도의 광 정보 기록매체를 용이하게 작성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광 정보 기록매체,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는 광 정보 기록매체,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기록 분야에서는 여러 광 정보기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광 정보기록은 고밀도화가 가능하고, 또한, 비접촉으로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으며, 그를 염가로 실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폭 넓은 용도에서의 응용이 실현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DVD(digital versatile disk)는, 음성만이 아닌 영화 등의 동화상을 정보로서 기록, 재생할 수 있는 대용량의 광 디스크로, 급속히 시장에 보급되어 왔다.
현재 DVD로 대표되는 광 디스크는, 두께 1.2㎜의 투명 수지 기판에 정보 기록층을 설치하고, 그를 오버코트에 의해 보호한 구조, 혹은 1.2㎜의 투명 수지기판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정보 기록층을 설치하고, 그들 2개를 접합한 구조를 갖고 있다.
또 근래에는, 고밀도화의 실현을 위해, 레이저 파장을 짧게 하면서 대물렌즈의 개구수(NA)가 큰 대물렌즈를 사용하는 광 디스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광 디스크의 기록 마크는 광 스폿의 크기에 비례하여, 광 스폿 사이즈가 작아지면 기록 재생할 수 있는 밀도가 작아지고, 고밀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광 스폿 사이즈는, 조사 레이저광의 파장을 λ로 하면, λ/NA에 의해 결정된다. 즉, 고밀도화에는 NA를 크게 하면 좋은 것이 된다.
그러나, NA는 디스크의 경사에 대해 크게 관여하여, NA가 높아짐으로써 디스크의 경사에 대한 마진이 작아진다. 이 마진은, 광 투과층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투과층의 두께를 얇게 하는 방법으로서, 캐스팅법으로 제작된 수지 필름을 UV 접착제나 아크릴 점착제에 의해 정보 기록층 상에 접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도 8에, 종래의 광 정보 기록매체(10)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광 정보 기록매체(10)는, 정보 기록용 홈이 형성된 기판(11)과 그 홈 상에 정보 기록층(12)이 형성되고, 접착층(13)에서 정보 기록층(12)과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 투과층(14)을 접착하고 있다. 정보 기록층(12)을, 예를 들면 1회만 기록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서 불가(Write Once) 기록매체를 작성할 수 있다. 이 개서 불가 기록매체는, 정보 기록층(12)의 반사율을 레이저광에 의해 변화시킴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또한, 광 투과층(14)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틸트 마진이 넓어져, 고밀도 기록을 달성할 수 있다.
또, 근래, 시큐리티 상의 문제로부터, 광 정보 기록매체에 개개의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미디어 ID 등의 개별 정보를 광 정보 기록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경우, 디스크 내주측의 반경 22.3㎜로부터 23.5㎜(DVD 규격의 경우)의 범위에, BCA(Burst Cutting Area)로 불리는 바코드 형상의 스트라이프열을 고파워의 레이저로 추기 형성함으로써, 정보 기록층(12)을 파괴하고, 디스크 ID 등을 기록하고 있다. BCA에 관해서는, DVD의 ROM 디스크와 같이 반사막에 알루미 디스크를 갖는 디스크로도 적용 가능하며, 여러 용도가 제안되어 있다. 용량으로서는 188 바이트로, 기록 데이터에 비해 극히 소용량이며, 스트라이프의 간격이 10㎛ 이상이더라도, 디스크 1회전으로 충분히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BCA에 의해 추기되는 개별 정보는, 소용량이더라도 용도상 중요한 정보가 되기 때문에, 개찬이 곤란한 것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8-235638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10-283683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11-162031호
통상, 개서 불가 기록을 실현하고자 하면, 개서 불가용 기록층을 설치해야 한다. 이 기록층은, 상변화 재료로 구성하는 방법과 유기 색소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상변화 재료를 이용한 경우는, 반사막, 보호막, 상변화막 등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적층하여 구성한다. 이 방법에는, 이하의 과제가 있다.
(1) 기록층이 다층 구조가 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다
(2) 성막장치, 재료 비용이 비싸진다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경우는, 유기 색소를 스핀코트법에 의해 디스크 상에 도포하고, 그 후, 스퍼터링법에 의해 반사막을 구성한다. 이 방법에는, 이하의 과제가 있다.
(1) 스핀코트법에 의한 막 두께 제어가 어렵다
(2) 재료 비용이 비싸다
또, BCA 스트라이프에 관해, BCA 스트라이프는 트래킹 오프 상태로 판독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광 헤드나 광 디스크 장치 기구의 오차 마진의 관계로부터 길이를 짧게 할 수 없다. 따라서, BCA의 스트라이프로 개별 정보를 기록하고자 하면, 기록 가능한 영역으로부터 많은 비율의 면적을 BCA 스트라이프의 기록에 할당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록에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이 줄고, 특히 고밀도 기록 가능한 기록막에 있어서는, 기록 용량이 현저히 줄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저비용으로 고밀도의 광 정보 기록매체 및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는,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된 광 투과층을 갖고, 광 투과층은 기록광이 조사되면 투과율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정보 기록층을 설치하지 않고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매체를 작성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는, 기판과 광 투과층과의 사이에는 광 흡수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보다도 하이 파워한 기록광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열을 흡수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에서는, 기록광의 조사에 의한 광 투과층의 투과율 변화가 불가역 변화이고, 재생광 또는 기록 재생광의 투과를 낮추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개서 불가 기록에 적합한 매체가 된다.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에서는, 광 투과층의 재료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구성되는 수지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투과층이 수지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접착수지로서 기록광에 의해 투과율이 저하하는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접착수지의 재료가 UV 경화성 수지,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투과층이 1층 이상의 UV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저비용으로 고밀도의 광 정보 기록매체를 용이하게 작성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에서는, 투과율 변화 영역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적어도 1개소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또한, 투과율 변화 영역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보다 내측 또는 외측, 또는 내외 양쪽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BCA 영역의 기록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은, 광 투과층의 상부로부터 변조한 기록광을 조사하고,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고, 그 투과율의 변화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광 투과층의 투과율 변화를 불가역으로 변화시키고, 그 투과율 변화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 이외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영역에서 기록,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록층을 설치하지 않고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는, 광 투과층의 상부로부터 변조한 기록광을 조사하고,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고, 투과율의 변화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는, 기판과, 정보 기록층을 갖는 제1 기록영역과, 광 투과층을 갖는 제2 기록영역을 갖는 광 정보 기록매체에 이용되고, 기록광을 제1 기록영역과 제2 기록영역에 조사 가능한 광 조사수단과, 광 조사수단의 기록 모드를 제1 기록영역과 제2 기록영역으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기록영역을 갖는 광 정보 기록매체에 대해 하나의 장치에서 기록·재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에 의하면, 정보 기록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정보의 기록·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고밀도한 매체를 용이하게 양산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 정보 기록매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 정보 기록매체의 신호 평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광 정보 기록매체의 디스크 ID 개략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광 정보 기록매체의 신호 평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 정보 기록매체의 디스크 ID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 정보 기록매체의 디스크 ID의 기록방법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광 정보 기록매체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광 정보 기록매체의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광 정보 기록매체 11 기판
12 정보 기록층 13 접착층
14 광 투과층 20 광 정보 기록매체
21 기판 22 광 흡수층
23 광 투과층 41, 51 사용자 데이터 영역
42, 52 사용자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 영역
43 기록 데이터 52 광 정보 기록매체
61 광 정보 기록매체 62 광 픽업
63 모터 64 구동부
65 드라이브 컨트롤러 66 픽업 제어부
67 신호 처리부 68 기입 정보
71 광 정보 기록매체 72 광 픽업
73 모터 74 구동부
75 드라이브 컨트롤러 76 픽업 제어부
77 신호 처리부 78 기입 정보
79 디스크 ID 신호 처리부 80 디스크 ID 기입 정보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는 기판상에 광 투과층을 갖고, 정보의 기록은 기록광을 조사함으로써 광 투과층의 투과율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종래 있던 정보 기록층을 설치하지 않고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매체를 작성 가능해진다. 광 투과층은, 커버층(시트)과 접착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지고, 투과율이 변화하는 것은 접착층 부분에서이다.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저하시켜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은, 사용자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매체의 식별정보 등)를 기록하는 영역에 특히 적합하지만,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에는, 기판과 광 투과층과의 사이에는 광 흡수층이 설치되어도 된다. 광 흡수층은 종래의 반사막의 역할도 하고, 종래보다 하이 파워한 기록광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여분인 열의 작용을 저감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광 정보 기록매체(20)를 나타낸다. 광 정보 기록매체(20)는,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개서 불가 기록을 행하는 것이다. 즉, 광 정보 기록매체(20)는 종래의 정보 기록층을 갖고 있지 않다.
광 정보 기록매체(20)에서, 홈 또는 피트, 또는 홈과 피트를 형성한 기판(21)의 일면에 광 흡수층(22)을 설치하고, 또 광 흡수층(22)의 일면에 광 투과층(23)을 설치하고 있다.
기판(21)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고, 나선(spiral) 형상의 홈을 가진 지름 120㎜, 중심 직경 15㎜의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을 제작하였다. 광 흡수층(22)은, 기판(21) 상에 스퍼터링 장치에 의해 20㎚의 두께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그 후, 고 NA 렌즈를 이용한 고밀도 기록에 대응하기 위해, 두께 100㎛의 광 투과층(23)을 형성하였다. 광 투과층(23)은, 폴리 아크릴레이트계의 수지 접착제를 두께 25㎛의 접착층으로서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두께 75㎛의 시트를 광 흡수층(22)이 성막된 위에 접착함으로써 제작하였다.
이때의 접착제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광 경화 성분의 가교물 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이용한다. 이때,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란, 아크릴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를 나타내고 있고,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아크릴산 메틸이나 아크릴산 메틸의 메틸기를 에틸기·부틸기·이소 부틸기 등으로 변경해도 되고, 이들을 수 종류 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 비닐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때, 접착제의 경화 성분으로는, 분자내에 불포화기를 갖고, 자외선 경화가 일어나는 평균 분자량이 2만 이하의 올리고머나 모노머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계의 재료,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광 정보 기록매체(20)에서는, 아크릴산 메틸과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광 정보 기록매체(20)를 이용하여, 기록광의 조사에 의해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다.
간이하게 기록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광 정보 기록매체(20)에 차광이 되는 금속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록 레이저의 광이 닿지 않는 영역을 의도적으로 제작하였다. 그 후, 광 정보 기록매체(20)에 전체적으로 파장 250㎚의 기록용 LW광을 조사하고, 파장 405㎚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생하였다. 도 2는, 그때의 반사광량 의 차를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광 정보 기록매체(20)에 기록용 UV광을 조사하면, 마스크 영역과 차광하고 있지 않은 영역으로 상태의 변화가 보여진다. 이는, 광 투과층(23)의 투과율의 차이에 의해 생기고 있다. 투과율 변화는, 약 2% 이상이면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다. 차광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마스크 영역에 비해 재생 레이저광의 반사광량이 저하하고 있다. 즉, 차광하고 있지 않은 영역이 도면에서의 Low이고, 마스크 영역이 도면에서의 High이다.
이 투과율의 변화는, 차광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광 투과층(23)에 열적 대미지가 주어짐으로써 생기고 있다. 특히, 기록광에 의한 열이 광 흡수층(22)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열적 대미지가 커지고 있다. 이때, 차광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가교한 분자의 절단이 일어나고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광 투과층(23)의 수지 접착제의 성분인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의 카르복실기나 수산기 등의 관능기와, 불포화기(예를 들면, 아크릴로일기)의 가교가 레이저 광에 의해 절단되었기 때문에, 투과율의 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종래의 광 정보 기록매체(10)에 있는 것과 같은 특별한 기록정보를 비축하는 층을 이용하지 않고, 광 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20)에서, 투과율의 변화가 불가역인 것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서, 아레니우스 플롯(Arrhenius plot)에 의해 광 정보 기록매체(20)가 약 10∼20년 경과 한 경우와 등가가 되도록 각 매체 No.1∼3의 조건을 설정하고 있고, 90℃ 80%의 환경하에서 100시간 방치하였다.
내후성 시험전 내후성 시험후
매체 No. 반사율 Hi (%) 반사율 Low (%) 반사율Hi (%) 반사율Low (%)
1 20 2.1 19 2.0
2 19.5 2.0 19 1.9
3 19.8 2.2 19.2 2.0
표 1은, 내후성 시험 전후에서의 매체(20)의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반사율 Hi는, 도 2에서 나타낸 투과율이 변화하고 있지 않은 영역의 반사율, Low는 투과율을 변화시킨 영역의 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표 1로부터, 시험 전과 후에서 각 매체의 Hi와 Low의 값은 거의 변화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광 투과층(23)의 투과율의 저하는, 불가역한 변화로 일어나고 있고, 개서 불가 기록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기록용 UV광을 기록에 이용하였지만, UV광은 마스크로 미세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곤란을 요한다. 그 때문에, 이상의 실시형태는 수 ㎛ 정도의 크기의 정보 기록에 적합한다.
[제2 실시형태]
도 3(a), (b)에, 광 정보 기록매체(20)에 대해 마스크 없이 미세한 마크를 기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a)는, 광 정보 기록매체(20)에 데이터를 기록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41)의 내주측에는, 사용자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예를 들면, 개별정보)를 기록하는 영역(4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영역(42)에 마크로 이루어지는 기록 데이터(43)가 기록되어 있다. 광 투과층(23)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접착제를 이용했다. 이때, 폴리아크릴레이트계의 수지 접착제의 투과율의 파장 의존성이 400㎚ 부근에서 급격히 투과율이 저하하도록 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중합도를 변경하고 있다. 도 3(b)는, 기록용 레이저 파장 405㎚을 이용하여 선속 0.5m/s, 기록 파워 10mW의 기록 조건에 의해, 광 정보 기록매체(20)에 마크 길이 5um의 기록 데이터(43)를 기록한 후, 선속 5m/s, 재생 파워 0.3mW로 기록 데이터(43)를 재생한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이다. 파형으로부터, 기록과 재생에서 동일한 레이저광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의 캐리어와 노이즈비 C/N은 60dB로 충분한 신호를 얻을 수 있었다.
마크로 이루어지는 기록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41)에도 동일하게 기록·재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 투과층(23)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와 폴리아크릴레이트계의 수지 접착제의 조합을 이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대신에 아크릴계 수지 시트,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와의 조합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접착제에서도, 폴리아크릴레이트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UV 경화 수지, 또는 UV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해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제3 실시형태]
또, 광 투과층(23)을 스핀코트법에 의해 UV 수지를 이용하여 100㎛의 막 두께로 제작한 바, 도 3(b)에서 얻어진 변조율보다 약간 저하하지만,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는 UV 수지의 후막이 열에 대해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시트와 접착제로 구성한 광 투과층(23)보다 투과율의 변화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 UV 수지상에 UV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층을 구성해도 결과는 동일하였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은, 광 투과층(23)에 의해 기록재생을 확립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광 정보 기록매체(10) 상에 광 투과층(23)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개서 불가 기록과 개서 가능(Re-Writable) 기록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말하는 종래의 광 정보 기록매체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상변화 기록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기록층을 갖는 구조이다. 그 때문에, 미디어 ID나, 다른 메이커 독자 정보 등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 이외의 광 투과층(23)의 투과율을 변화시켜 개서 불가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광 흡수층은, 본 발명에서의 하이 파워한 기록광에 대응하기 때문에 설치했지만, 종래의 반사막의 역할도 하고 있다.
도 4에, 본 실시형태의 광 정보 기록매체(50)의 각 영역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광 기록 정보매체(50)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51)과, 사용자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52)을 갖고 있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51)에는 정보 기록층이나 광 투과층이 형성되어 있다. 영역(52)은, 기록매체(50)의 R1으로부터 R2의 범위이고, 적어도 광 투과층이 형성되어 있다. 영역(52)에 기록할 때의 기록 레이저광의 기록 조건은 선속도 1m/s, 최저(bottom) 파워 0.lmW, 바이어스 파워 2mW로 하고, 기록의 피크 파워를 11mW로 하였다. 이와 같이 큰 파워를 이용함으로써,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변화시켰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51)의 기록은, 선속도 5m/s, 최저 파워 0.3mW, 바이어스 파워 3mW, 기록 피크 파워 6.2mW로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상변화 기록층에서는 상변화가 생겼지만, 광 투과층에서는 투과율은 변화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의 모드를 영역마다 절환함으로써 각 영역후에 기록 조건을 달리했다.
이 기록정보는, 개별정보를 상정하였다. 개별정보는, 디스크 1장씩에 고유 혹은 거의 고유의 정보와 광 디스크에 공통하는 기본정보 등의 집합인데, 여기서는 디스크 ID를 개별정보의 대표로서 설명한다. 디스크 ID는,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등 저작권을 보호할 목적으로, 다른 키 정보 등과 더불어 이용하여, 예를 들면, 1회 카피 가능한 저작물을 디스크 ID 등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 1장마다 다른 암호화 기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통상의 기록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그 기록조건만을 변경함으로써 기록이 가능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20)는, 종래의 개서 불가 기록과 달리, 고밀도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동일한 데이터량이면 사용하는 영역이 적어서 좋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 영역(51)을 보다 많이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자 데이터 영역(51)이 적은 작은 직경의 기록매체에서도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스크 ID 등의 중요한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데이터의 파손 등 신뢰성의 관점으로부터, 외주영역에 기록영역을 구성하는 것도 생각되고,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20)에서는 기록영역이 적어도 되므로, 내주·외주영역 양쪽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5 실시형태]
도 5에,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61)에 기록할 때의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광 정보 기록매체(61)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정보 기록층을 갖지 않는 개서 불가 매체이다. 드라이브 컨트롤러(65)에 의해 구동부(64), 픽업 제어부(66)가 제어되고, 기입 정보(68)가 신호 처리부(67)에서 변조된다. 그 후, 광 픽업(62)에 의해 레이저가 조사되어 기록을 할 수 있다. 이때, 광 투과층(23)의 투과율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종래보다 하이 파워한 기록광으로 기입을 행함으로써, 기록이 가능해진다. 재생시는, 광픽업(62)에 의해 트래킹을 행하면서, 재생신호를 신호 처리부(67)에서 복조하고, 재생 정보를 취출한다.
[제6 실시형태]
도 6에,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매체(71)에 디스크 ID를 기록할 때의 기록 재생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광 정보 기록매체(71)는, 예를 들면 제4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정보 기록층을 갖는 개서 가능 매체이다. 디스크 ID 기입 정보(80)가 ID 신호 처리부(79)에서 변조되고, 광 정보 기록매체(71)에 기록된다. 이때, 신호 처리부(77)와는 별도의 ID 전용 신호 처리부(79)에 의해 신호를 처리한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디스크 ID 신호 처리부(79)와 신호 처리부(77)를 제어함으로써 기록 모드를 절환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다른 기록방법이 이용되는 복수의 기록영역을 갖는 경우에, 영역마다 기록 모드를 절환 가능하여, 매체작성의 저비용화에 공헌한다.
[제7 실시형태]
도 7에서, 기판(21)에 직접 광 투과층(23)이 형성된 광 정보 기록매체(20)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흡수층이 생략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충분히 얻어진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기록재생 매체, 개서 불가 매체, ROM 매체 등을 불문하고, 개서 불가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러한 광 정보 기록매체,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는, 정보 기록층을 사용하지 않는 정보의 기록·재생에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고밀도의 광 정보 기록매체나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등에 유용하다.

Claims (17)

  1.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광 투과층을 갖고,
    상기 광 투과층은, 기록광이 조사되면 투과율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광 투과층과의 사이에 광 흡수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기록광의 조사에 의한 상기 광 투과층의 투과율 변화가 불가역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록광의 조사에 의한 상기 광 투과층의 투과율 변화가, 재생광 또는 기록 재생광의 투과를 낮추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층이 수지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 보 기록매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층이, 상기 수지 시트를 상기 기판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 수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가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지가,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층이 1층 이상의 UV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층의 투과율 변화 영역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적어도 1개소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율 변화 영역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보다 내측 또는 외측, 또는 내외 양쪽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
  13.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광 투과층을 갖는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광 투과층의 상부로부터 변조한 기록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투과율의 변화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층의 투과율 변화를 불가역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층의 투과율 변화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 이외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6. 광 투과층의 상부로부터 변조한 기록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투과율의 변화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17. 기판과, 정보 기록층을 갖는 제1 기록영역과, 광 투과층을 갖는 제2 기록영역을 갖는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로서,
    기록광을 상기 제1 기록영역과 상기 제2 기록영역으로 조사 가능한 광 조사수단과,
    상기 광 조사수단의 기록 모드를 상기 제1 기록영역과 상기 제2 기록영역으로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제2 기록영역에서는, 상기 광 투과층의 상부로부터 변조한 기록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 투과층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투과율의 변화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KR1020067005717A 2003-11-07 2004-11-01 광 정보 기록매체,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기록재생 장치 KR20070013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8262 2003-11-07
JPJP-P-2003-00378262 2003-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256A true KR20070013256A (ko) 2007-01-30

Family

ID=3456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717A KR20070013256A (ko) 2003-11-07 2004-11-01 광 정보 기록매체,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046907A1 (ko)
EP (1) EP1684281A4 (ko)
JP (1) JPWO2005045818A1 (ko)
KR (1) KR20070013256A (ko)
CN (1) CN100449624C (ko)
TW (1) TW200519935A (ko)
WO (1) WO2005045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1203B2 (en) 2009-09-30 2015-09-08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thod using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3D conversion unit an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451A (ja) * 1985-07-24 1987-02-02 Fuji Electric Co Ltd 光記録媒体
JPS63296986A (ja) * 1987-05-29 1988-12-05 Teijin Ltd 光記録媒体及び記録方法
US4961077A (en) * 1988-02-19 1990-10-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affixing information on read-only optical discs
JPH05334722A (ja) * 1992-05-28 1993-12-17 Hitachi Maxell Ltd 光吸収または光発光パタ−ン表示媒体
US5671211A (en) * 1994-11-24 1997-09-23 Fuji Xerox Co., Ltd. Data recording medium
JP3241560B2 (ja) * 1995-02-24 2001-12-2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2335B1 (ko) * 1996-12-19 2005-02-2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 디스크, 광 디스크의 추기정보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광 디스크의 기록 재생장치, 광 디스크의추기정보 기록장치 및 광 디스크의 기록장치
JP3169845B2 (ja) * 1996-12-25 2001-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および光ヘッド
US6440516B1 (en) * 1999-01-20 2002-08-27 Sony Corporation Optical disc
JP2002230834A (ja) * 2000-06-26 2002-08-16 Tdk Corp 光情報媒体、その製造方法、その記録または再生方法、およびその検査方法
US7268794B2 (en) * 2000-10-30 2007-09-11 Yamaha Corporation Method of printing label on optical disk, optical disk unit, and optical disk
JP4345246B2 (ja) * 2001-06-18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記録媒体
WO2003003361A1 (fr) * 2001-06-27 2003-01-09 Sony Corpor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JP2003022569A (ja) * 2001-07-11 2003-01-24 Sony Corp 光学記録媒体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4229613B2 (ja) * 2002-01-09 2009-02-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
US6771297B2 (en) * 2002-01-11 2004-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abe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k storage media
JP4097487B2 (ja) * 2002-02-08 2008-06-11 株式会社リコー 相変化型記録媒体
JP4860884B2 (ja) * 2002-03-11 2012-01-25 Tdk株式会社 光情報媒体
JP4172195B2 (ja) * 2002-03-29 2008-10-2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多層構造光記録媒体用感光性フィルム
JP3853689B2 (ja) * 2002-04-08 2006-12-06 株式会社リコー 光記録媒体
US6862033B2 (en) * 2003-02-14 2005-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c media mar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4281A4 (en) 2009-03-11
TW200519935A (en) 2005-06-16
CN100449624C (zh) 2009-01-07
JPWO2005045818A1 (ja) 2008-06-12
EP1684281A1 (en) 2006-07-26
WO2005045818A1 (ja) 2005-05-19
US20080046907A1 (en) 2008-02-21
CN1871644A (zh)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379B1 (ko) 광학 기록 매체
US6069868A (en) Multiple layer optical disk storing information at a like multiple densities
EP0434230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thereon
US8238215B2 (e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N100568359C (zh) 多层信息记录介质
WO2001001408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et son procede de lecture
JP2983920B2 (ja) 互換再生可能なピックアップ調整用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調整方法
EP1205917B1 (en) Multi-layered disc and multi-layered disc reproducing apparatus
JP2702905B2 (ja) 光ディスク
EP1516323B1 (en) Dual stack optical data storage medium and use of such medium
US20070031631A1 (en) Ultra-violet protection of data storage media
JP2006351120A (ja) Romディスクとその製造方法、及び光ディスク
KR20070013256A (ko) 광 정보 기록매체, 광 정보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기록재생 장치
JP3248415B2 (ja) 多層ディスク
JPH02278519A (ja) 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
JP2521178B2 (ja) 光学的記録媒体円盤
KR100363255B1 (ko) 광기록 매체
JP3522938B2 (ja) 光ディスクの信号記録再生方法
JP3522937B2 (ja) 光ディスクの信号記録再生方法
KR100616232B1 (ko) 고밀도광기록매체그리고그기록/재생장치및방법
JP2004213705A (ja) 3次元情報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885490B2 (ja) 情報記録円盤
JPH11149643A (ja) 光記録媒体
JP3676548B2 (ja) 光情報媒体の記録再生方法
WO2003065359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