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444A -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표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표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444A
KR20070012444A KR1020067022923A KR20067022923A KR20070012444A KR 20070012444 A KR20070012444 A KR 20070012444A KR 1020067022923 A KR1020067022923 A KR 1020067022923A KR 20067022923 A KR20067022923 A KR 20067022923A KR 20070012444 A KR20070012444 A KR 2007001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information
data set
play list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이와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 단말(2)은, 다운로드한 복수의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을, 각 음악 데이터에 대응된 앨범 식별 정보에 근거하는 앨범마다, 각 음악 데이터에 대응된 수록 순서정보에 근거하는 순서로 제시한다.
클라이언트, 단말, 데이터, 음악, 앨범, 타이틀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 표시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ENT TITLE DISPLAY METHOD, AND CONTENT TITLE DISPLAY PROGRAM}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 표시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를 복수 개 보유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로부터,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정보처리장치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을 표시하는 경우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정보처리장치는, 유저의 다운로드 조작에 따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로부터 한 곡의 음악에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해서 원하는 음악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매장 등에서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가 수록된 음악 CD(Compact Disc)가 소위 앨범의 형태로 판매되어 왔다.
이렇게 앨범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음악 CD(이하, 이를 앨범 CD라고 부른다)에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가 예를 들면 아티스트가 의도한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는 이 앨범 CD를 그대로 재생하여, 복수의 음악 데이터(복수 곡의 음악)를 하나의 작품으로 즐길 수 있다.
그런데 유저는 이렇게 앨범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와 동일한 것을, 이와 같은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로부터 얻을 경우, 다운로드 조작으로서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각각 하나씩 지정해야 했다.
그 결과, 앨범 CD를 매장 등에서 구입하면, 하나의 작품으로 합쳐진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한번에 취득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다운로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이 방법에서는,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한 번 행하는 것만으로, 1장의 음악 CD에 앨범의 형태로 수록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합쳐서 정보처리장치에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1] 특원 2003-322525 공보.
[발명의 개시]
그런데 종래에는, 앨범으로 합쳐진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에 한번에 다운로드하더라도, 각 음악 데이터에는 그 음악 데이터의 아티스트나 장르를 나타내는 정보가 첨부되어 있을 뿐이므로, 정보처리장치는 이들 복수의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 등을 일람으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 장르나 아티스트 별로 정리해서 표시하는 것만 가능하다.
따라서 유저는, 다운로드한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앨범 단위 또한 수록 순으로 열거하여 정리하려는 경우, 예를 들면 앨범 단위로 폴더를 작성한 후에,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각각, 수록 순서를 고려하여 해당하는 폴더에 이동시키는 작업을 행해야 하므로,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고 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룬 것으로, 현격히 효율적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정리해서 제시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 표시 프로그램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부장치에 대하여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다운로드 요구 신호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적어도 콘텐츠 식별 정보, 콘텐츠 타이틀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보유 영역,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 수록 순서정보 보유 영역을 포함하는 프린지 정보를 가지고, 상기 프린지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 본체를 관련시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기록 수단에 기록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열거되어 표시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의 하위 계층에,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타이틀 정보가, 수록 순서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수록 순서정보에 근거하는 순서로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화상생성 수단과 설치하고, 기록 수단은,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에 근거해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를 가지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되고,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를 가지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함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소트하고,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 중 가장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다음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부여해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되는 모든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새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 부여해서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했다.
그 결과, 콘텐츠 데이터의 타이틀을, 콘텐츠 데이터 세트마다, 수록 순서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데이터의 타이틀을, 콘텐츠 데이터 세트마다, 수록 순서에 따라 표시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현격히 효율적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정리해서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디렉토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4는 포털 서버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5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6은 판매 서버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7은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8은 클라이언트 단말 및 포털 서버 사이의 유저 인증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트 차트다.
도 9는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사이의 유저 인증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트 차트다.
도 10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트 차트다.
도 11은 판매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트 차트다.
도 12는 라디오 방송정보(온 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1)를 나타내는 시퀀트 차트다.
도 13은 라디오 방송정보(나우 온 에어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2)를 나타내는 시퀀트 차트다.
도 14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5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로그램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16은 각 서버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7은 타이틀 일람 화면(1)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18은 타이틀 일람 화면(2)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19는 타이틀 일람 화면(3)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0은 속성정보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1은 타이틀 일람 화면(4)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2는 테이블의 모양(1)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3은 등록시의 자동정리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4는 타이틀 일람 화면(5)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5는 테이블의 모양(2)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6은 타이틀 일람 화면(6)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7은 삭제시의 자동정리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8은 테이블의 모양(3)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9는 테이블의 모양(4)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0은 타이틀 일람 화면(7)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1은 테이블의 모양(5)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2는 테이블의 모양(6)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3은 테이블의 모양(7)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4는 테이블의 모양(8)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5는 테이블의 모양(9)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6은 레코드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7은 레코드 상태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8은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시스템 구성
도 1에 있어서, 1은 전체로서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고, 이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 업자와 계약하고 있는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관리하는 포털 서버(3)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음악에 관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 SV1 내지 SV5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은, ATRAC3(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3), ACC(Advanced Audio Coding), WMA(Widows(등록상표) Media Audio), RealAUDIO G2 MusIc Codec, MP3(MPEG Audio Layer-3) 형식 등으로 된 음악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하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판매 서버 SV2는, CD(Compact Disc)이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을 클라이언트 단말(2)을 통해 유저에 판매하는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은, 라디오국을 통해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이나 음악 등에 관한 라디오 방송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하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 서버 SV4는, 인터넷에 상당하는 네트워크 NT를 통해 라디오방송 데이터를 스트리밍 분배의 형태로 클라이언트 단말(2)을 향해서 방송하는 인터넷 라디오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과금 서버 SV5는, 포털 서버(3)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유저에 대하여 여러 가지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과금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1-2) 클라이언트 단말(2)의 구성
(1-2-1) 클라이언트 단말(2)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2)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케이싱 표면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도시 생략)에 설치된 각종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 입력부(20)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조작 입력부(20)에서 이것을 인식하고,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입력 신호를 입력 처리부(21)에 송출한다.
입력 처리부(21)는, 조작 입력부(20)로부터 주어지는 조작 입력 신호를 특정 조작 코맨드로 변환하여 버스(22)를 통해 제어부(23)에 송출한다.
제어부(23)는, 버스(22)를 통해 접속된 각 회로로부터 주어지는 조작 코맨드나 제어신호에 근거해서 이들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24)는, 버스(22)를 통해 공급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25)에 송출한다.
표시부(25)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디바이스이며, 케이싱 표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거나 외장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표시부(25)는, 제어부(23)에 의한 처리 결과나 각종 영상데이터가 표시 제어부(24)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서 공급되면,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음성제어부(26)는, 버스(22)를 통해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스피커(27)에 송출한다. 스피커(27)는, 음성제어부(26)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근거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는, CD나, 플래시 메모리가 외부 포장 케이스에 내포된 메모리 스틱(등록상표) 등의 외부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 이터를 판독해서 재생하거나, 상기 외부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 대상의 콘텐츠를 기록하는 기록재생부다.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는, 외부기록 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 상기 판독한 영상데이터를 버스(22)를 통해 표시 제어부(24)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24)는,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기록 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5)에 공급한다.
또한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는, 외부기록 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 상기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버스(22)를 통해 음성제어부(26)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음성제어부(26)는,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기록 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27)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23)는,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버스(22)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2) 내부의 기억매체(29)에 송출, 그 기억매체(29)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이하, 이렇게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매체(29)에 기억하는 것을 리핑이라고 부른다)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기억매체(29)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비디오데이터 등의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상기 판독한 영상데이터를 버스(22)를 통해 표시 제어부(24)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23)는, 기억매체(29)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오디오 데이터 등의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상기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버스(22)를 통해 음성제어부(26)에 공급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23)는, 기억매체(29)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판독해서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기록 매체에 대하여 그 음악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다.
방송 신호 수신부(30)는, 각 라디오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라디오 방송파를 수신하여, 튜너부(31)에 공급한다.
튜너부(31)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방송 신호 수신부(30)를 통해 수신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예를 들면 조작 입력부(20)를 통해 지정된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의 라디오방송신호를 추출해서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버스(22)를 통해 음성제어부(26)에 송출한다.
음성제어부(26)는, 튜너부(31)로부터 주어진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27)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스피커(27)로부터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출력시키고, 이렇게 하여 유저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튜너부(31)에서 얻은 음성 데이터를 기억매체(29)로 송출해서 기억함으로써,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녹음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네트워크 NT에 접속하고, 상기 네트워크 NT상의 포털 서버(3)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4에 액세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털 서버(3)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4 사이에서 각종 정보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코더/디코더부(34)는, 네트워크 NT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혹은 기억매체(29)이나 외부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하여 표시 제어부(24)나 음성제어부(26)에 송출된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부(34)는, 외부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나, 튜너부(31)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 부호화하고, 상기 압축 부호화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매체(29)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코더/디코더부(34)에서 압축 부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기억매체(29)에 기억된다.
저작권 관리부(35)는, 네트워크 NT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나,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저작권 관리부(35)에서 생성된 저작권 관리 정보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콘텐츠 데이터와 대응되어 기억매체(29)에 등록된다.
또한 저작권 관리부(35)는, 기억매체(29)와 특정 외부기록 매체 사이에서 저작권 관리 정보를 대응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아웃할 때나, 그 특정 외부기록 매체와 기억매체(29) 사이에서 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를 대응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할 때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의 내용을 적절히 갱신함으로써,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한다.
페이지 정보생성부(36)는, 네트워크 NT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된 XML(eXtenslble Markup Language)파일, 혹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파일 등의 페이지 정보를 해석해서 표시부(25)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37)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통해 접속되는 네트워크 NT상의 포털 서버(3)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4에 대하여 인증 정보를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송신하는 등의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인증 정보 기억부(38)는, 인증 처리부(37)이 포털 서버(3)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4에 대하여 액세스할 때에 필요해지는 인증 정보를 기억한다.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는, 현재, 유저에 의해 청취용으로 수신중인 라디오방송에 관한 라디오 방송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 거쳐서, 그 수신중인 라디오방송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송신한다.
그 결과,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는, 네트워크 NT상의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방송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 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는 것과 함께, 그 수신한 라디오 방송정보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함으로써 표시부(25)에 대하여,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나, 그 수신중인 악곡의 타이틀 및 아티스트명 등으로 이루어지는 라디오 방송정보를 표시시킨다.
(1-2-2) 디렉토리 관리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기억매체(29)에 대하여 기억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도 3에 나타내는 디렉토리 구성으로 관리한다. 우선 「root」디렉토리의 하층에 대해서는, 규정 범위 내에서 임의의 수의 「folder」디렉토리가 작성된다. 이 「folder」디렉토리는, 예를 들면 콘텐츠가 속하는 장르, 또는 소유 유저 등에 대응해서 작성된다.
이 「folder」디렉토리의 하층에는, 규정 범위 내에서 임의의 수의 「album」디렉토리가 작성되고, 그 「album」디렉토리는 예를 들면 하나의 앨범 타이틀마다 대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album」디렉토리의 하층에 있어서는, 그 「album」디렉토리에 속하는 1 이상의 「track」파일이 보유되고, 이 「track」파일이 하나의 악곡, 즉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디렉토리 관리는, 기억매체(29)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의해 행해진다.
(1-3) 포털 서버(3)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해서 포털 서버(3)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포털 서버(3) 내의 제어부(50)는, 버스(51)를 통해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52)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5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는,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 업자와 이미 계약이 완료된 유저의 유저ID(Identlfication)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55)에는,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 업자가 관리하는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때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로 기술되어 있고,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 및 인터넷 라디오 서버 SV4 등에 액세스하기 위한 UR1(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인증 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수신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56)는, 유저 인증 처리를 종료하면, 그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포털 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 세션ID정보)를 발행하고, 그 발행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를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55)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자용 페이 지 정보를 포털 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55)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인증 처리부(56)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유저에 대한 인증 처리가 실행된 결과, 그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취득해서 송신되는 포털 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그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와,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 상기 유저에 대응하는 포털 인증 결과정보를 비교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56)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로서, 정규 포털 인증 결과정보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처리를 실행하고, 그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확인 결과정보를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회신한다.
주파수정보 기억부(58)에는, 지역을 특정할 수 있는 우편번호 등의 지역 코 드와, 그 지역 코드가 나타내는 지역에서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방송의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정보, 그 라디오방송을 방송하는 라디오국의 명칭(이하, 이것을 라디오국명이라고 부른다) 및 그 라디오국마다 독특한 식별 정보인 콜 사인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UR1 기억부(59)에는, 각 라디오방송용 라디오국의 콜 사인과, 그 콜 사인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제공하는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해 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나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시점에 흘러나오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 등으로 이루어진 라디오 방송정보(이하, 이것을 특히 나우 온 에어 정보라고 부른다)를 취득할 수 있는 UR1정보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1-4)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내의 제어부(70)는, 버스(71)를 통해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72)는,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포털 서버(3) 등과 각종 정보나, 콘텐츠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74)에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운영 업자와 이미 계약이 완료된 유저의 유저ID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다만 인증 처리부(75)가,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유저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 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7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76)에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이 관리하는, 다운로드가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소개하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더욱이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로 기술되고 있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원하는 음악 데이터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그 수신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76)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인증 처리부(75)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의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수신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7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75)는,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유저 인증 처리와는 다른 유저 인증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 털 서버(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75)는, 포털 서버(3)에 대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의 송신에 따라, 그 포털 서버(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즉, 상기의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 결과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확인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 업자와 이미 계약이 완료된 정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75)는, 유저 인증 처리가 종료되면, 그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ID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인증 처리부(7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76)에 계약자용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에 반해 제어부(70)는, 인증 처리부(7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7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그런데 인증 정보 기억부(77)에는,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발행된 서버 인증 결과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그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유저 인증 처리할 때에 필요해지는 각종 인증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음악 데이터 기억부(78)에는, 상기의 ATRAC3 형식이나 MP3 형식 등으로 압축 부호화된 복수의 음악 데이터가 각각의 콘텐츠ID정보 등의 검색 키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검색부(79)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가 송신된 결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검색용 검색 키가 보유되어 그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것을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되면, 그 수신된 다운로드 요구 신호로부터 그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79)는, 이러한 검색 키에 근거하여 음악 데이터 기억부(78) 내의 복수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그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그 검색된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 다.
또한 제어부(70)는,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따르는 유저에 대한 과금처리용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과금 서버 SV5에 송신함으로써, 과금 서버 SV5에 대하여 그 유저에 대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따른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1-5) 판매 서버 SV2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해서 판매 서버 SV2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판매 서버 SV2 내의 제어부(90)는, 버스(91)를 통해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92)는, 제어부(9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포털 서버(3) 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94)에는, 판매 서버 SV2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이 완료된 유저의 유저ID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다만 인증 처리부(95)가,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유저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9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96)에는, 판매 서버 SV2가 관리하는, 판매 대상의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를 소개하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로 기술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구입을 원하는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그 수신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된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인증 처리부(95)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의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수신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9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95)는,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유저 인증 처리와는 다른 유저 인증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95)는, 포털 서버(3)에 대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의 송신 에 따라, 그 포털 서버(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즉, 상기의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 결과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확인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이 완료된 정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95)는, 유저 인증 처리가 종료되면, 그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ID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90)는, 인증 처리부(9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96)에 계약자용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90)는, 인증 처리부(9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그런데 인증 정보 기억부(97)에는, 인증 처리부(95)에 의해 발행된 서버 인증 결과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그 인증 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유저 인증 처리할 때에 필요해지는 각종 인증 정보가 기 억되어 있다.
패키지 미디어 정보 기억부(98)에는, 판매 대상 CD나 DVD 등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정보(이하, 이것을 패키지 미디어 정보라고 부른다)가 각각의 패키지 미디어ID정보 등의 검색 키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검색부(99)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 정보가 송신된 결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특정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하는 미디어 정보요구 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되면, 그 수신된 미디어 정보요구 신호로부터 그 특정 패키지 미디어 검색용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99)는, 이러한 검색 키에 근거하여 패키지 미디어 정보기억부(98) 내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 중에서 그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패키지 미디어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90)는, 그 검색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하고, 이렇게 하여 유저에 대하여 특정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제시한다.
그 결과,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특정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 요구하는 구입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해 그 특정 패키지 미디어의 전달 절차 등의 구입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90)는, 특정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르는 유저에 대한 과금처리용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과금 서버 SV5에 송신함으로써, 과금 서버 SV5에 대하여 해당 유저에 대한 특정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른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90)는, 과금 서버 SV5에 의한 유저에 대한 과금처리가 완료되면,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1-6)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해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 내의 제어부(110)는, 버스(111)를 통해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112)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포털 서버(3) 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4)에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운영 업자와 이미 계약이 완료된 유저의 유저ID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다만 인증 처리부(115)가,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유저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16)에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관리하고, 그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 의해 이미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라디오 방송정보(이하, 이것을 특히 온 에어 리스트 정보라고 부른다)의 취득에 이용시키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배용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더욱이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배용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로 기술되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 일시 정보나 프로그램명 등을, 취득하려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에 대한 검색 키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 박스 등이 설치된다.
온 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7)에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이미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명, 프로그램방송 개시 시각 및 프로그램방송 종료 시각 등과, 그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흘러나온 악곡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명, 악곡방송 개시 시각 등을 리스트화해서 생성된 온 에어 리스트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그 수신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116)에 기억된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그 결과, 검색부(118)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 배용 페이지 정보 상에서 입력된 취득하려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검색용 검색 키가 보유되고,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다운로드할 것을 요구하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요구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그 온 에어 리스트 정보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그 수신한 온 에어 리스트 정보요구 신호로부터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118)는, 이러한 검색 키에 근거하여 온 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7) 내의 온 에어 리스트 정보 전체에 대하여 그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소정 범위부분을 취득하려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로서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그 검색된 취득하려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또한 나우 온 에어 정보 기억부(119)에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명, 프로그램방송 개시 시각, 프로그램방송 종료 시각, 그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시점에 흘러나오는 악곡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명, 악곡방송 개시 시각 등으로 된 나우 온 에어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15)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나우 온 에어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나우 온 에어 정보요구 신호와 함께 송신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의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수신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15)는,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유저 인증 처리와는 다른 유저 인증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를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15)는, 포털 서버(3)에 대한 포털 인증 결과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포털 서버(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즉, 상기의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 결과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확인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이 완료된 정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115)는, 유저 인증 처리가 종료되면, 그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ID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인증 처리부(11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나우 온 에어 정보 기억부(119)에 기억되어 있는 나우 온 에어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 스(11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에 반해 제어부(110)는, 인증 처리부(11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1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110)는, 유저로부터 나우 온 에어 정보의 취득이 요구되었을 때, 그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했을 때에는, 나우 온 에어 정보를 송신하지만,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할 수 없었을 때에는, 그 유저에 대하여 나우 온 에어 정보의 분배 서비스와 같은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를 받게 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인증 정보 기억부(120)에는, 인증 처리부(115)에 의해 발행된 서버인증 결과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그 인증 처리부(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유저 인증 처리할 때에 필요해지는 각종 인증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1-7) 각 서버의 처리 개요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시퀀트 차트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 서버(3)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나, 클라이언트 단말(2)과 그 밖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1-7-1) 클라이언트 단말(2) 및 포털 서버(3) 사이의 유저 인증 처리 순서
우선 도 8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 서버(3) 사이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증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 업자와 계약하고 있는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 제어부(23)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전원을 투입하는 조작이 행해지거나, 유저에 의해 조작 입력부(20)의 특정 조작 버튼이 압하됨에 따라, 그 조작 입력부(20)에서 인식된 조작 입력 신호가 입력 처리부(21)에서 조작 코맨드로 변환되어서 주어지면, 인증 요구 처리를 시작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에서 인증 요구 처리를 시작하면, 스텝 SP1에 있어서, 제어부(23)는,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미리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저장한 접속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접속 요구 신호를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또한 인증 세션ID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 서버(3)가 유저 인증 처리 등의 각종 처리의 실행용에 통신 접속할 때마다, 각각의 통신 접속 상태(즉, 세션)의 식별용으로서 포털 서버(3)에 의해 발행되는 식별 정보다.
또한 이러한 인증 세션ID정보에 대해서는, 유저 인증 처리 등에 이용하며, 포털 서버(3)에 의한 발행 시점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유효기한(예를 들면 1분 정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포털 서버(3)로부터 인증 세션ID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인증 세션ID정보를 유효기한 이내에 포털 서버(3)에 대하여 제시할 수 없을 경우, 포털 서버(3)에 의해, 그 인증 세션ID정보로 특정되는 통신 접속 상태가 절단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포털 서버(3)는, 과거에 발행한 인증 세션ID정보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 업자와 계약하지 않은 유저에 의해 유저 인증 처리 등에 대하여 부당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인증 세션ID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 서버(3)가 이전에 유저 인증 처리 등의 실행용에 통신 접속했을 때, 그 포털 서버(3)에 의해 발행된 것이다.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가 송신되면, 이에 따라 스텝 SP2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접속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로서 수신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에 근거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이 끊어지거나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할 수 없을 때에는,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인증 에러 정보를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이에 따라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기억하고 있는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 SP4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이,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포털 인증 결과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 서버(3)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발행하는 것과 함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5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된 그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를,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 된 그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 SP6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 및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상기의 스텝 SP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해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스텝 SP7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 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인증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페이지 정보 기억부(55)로부터, 유저에 의해 취득 요구된 페이지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판독한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생성부(36)에 송출하는 것과 함께, 그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한다.
페이지 정보생성부(36)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여,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대해 링크가 매립된 페이지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24)는, 페이지 정보생성부(36)로부터 주어진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그 표시부(25)에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포털 서버(3)의 페이지를 표시시킨다.
또한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 스텝 SP5에 있어서 일시 기억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에 갱신한다.
(1-7-2) 클라이언트 단말(2) 및 각 서버 SV1 내지 SV3 사이의 유저 인증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 사이에서 실행하는 유저 인증 처리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 경우, 이러한 유저 인증 처리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도 8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포털 서버(3)로부터 페이지 정보를 일단 취득하고, 계속해서 그 페이지 정보에 매립된 링크에 의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액세스해서 실행되는 유저 인증 처리(이하, 이것을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라고 부른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유저 인증 처리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포털 서버(3)의 페이지 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미리 북 마크로서 등록하고 있는 UR1정보 등에 의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직접 액세스해서 실행되는 유저 인증 처리(이하, 이것을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라고 부른다)도 있다.
다만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어느 조합이라도 동일한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 관해서도,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어느 조합이라도 동일한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대해 액세스에 사용하는 UR1정보의 취득의 방법만이 다를 뿐, 그 UR1정보의 취득 이후에는,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 모두에 동일한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는, 클라이언트 단말(2)의 액세스 지점으로서, 설명을 간략화하는 데에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을 대표로서 이용하고,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를 합쳐서 하나의 유저 인증 처리로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P1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페이지 정보에 링크로서 매립된 UR1정보, 또는 이미 북 마크로서 등록하고 있는 UR1정보 등에 따라,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기타 판매 서버 SV2나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서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 정보나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배용 페이지 정보 등이 된다)를 취득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와 함께, 인증 정보 기억부(38)로부터 판독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송신한다.
또한 서비스 세션ID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유저 인증 처리 등의 각종 처리 실행용에 통신 접속할 때마다, 각각의 통신 접속 상태(즉, 세션)의 식별용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 액세스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의해 발행되는 식별 정보다.
이때 이러한 서비스 세션ID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인증 세션ID정보와 마찬가지로, 유저 인증 처리 등에 이용하는 다음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의한 발행 시점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유효기한(예를 들면 1분 정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서버 SV1 내지 SV3으로부터 서비스 세션ID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서비스 세션ID정보를 유효기한 이내에 발행원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대하여 제시할 수 없을 경우, 이들 발행원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의해, 그 서비스 세션ID정보로 특정되는 통신 접속 상태가 절단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은, 과거에 발행한 서비스 세션ID정보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 업자와 계약하지 않은 유저에 의해 유저 인증 처리 등에 대하여 부당 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이전에 유저 인증 처리 등의 실행용에 통신 접속했을 때, 그 액세스 지점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의해 발행된 것이다.
스텝 SP11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7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75)는,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7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75)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의 유효기한이 이미 끊어져 있는 것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할 수 없으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으면,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인증 에러 정보 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을 식별하는 숍 코드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1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 및 숍 코드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에러 정보에 의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있어서 유저가 정규 유저로서 인증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과 함께,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한 숍 코드를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에 대하여,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 티켓을 발행 요구하는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전사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숍 코드, 및 이미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 SP13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 숍 코드 및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이것들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56)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정보의 유효기한이 이미 끊기고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할 수 없으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으면,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인증 에러 정보를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인증 처리부(56)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의 유효기한이 아직 끊어지지 않은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후술하는 스텝 SP18에 이동한다.
스텝 SP1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면,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판독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판독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통 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 SP15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이,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포털 인증 결과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 서버(3)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발행하는 것과 함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1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 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의해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다시 포털 서버(3)에 대하여, 인증 티켓을 발행 요구하는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그 생성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숍 코드, 및 이때 일시 기억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숍 코드를 일시 기억해 두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 서버(3) 사이에서 스텝 SP12 내지 스텝 SP16의 처리를 실행할 때에 숍 코드를 순차 송수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숍 코드를 일시 기억하지 않아도 스텝 SP16에 있어서 포털 서버(3)에 대하여 숍 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스텝 SP17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 숍 코드 및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이것들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56)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이 아직 끊어져서는 있지 않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8에 이동한다.
스텝 SP18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상기의 스텝 SP17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숍 코드 및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에 근거하여 포털 인증 결과정보로서, 해당 숍 코드가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대해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증 티켓 등을 발행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그 발행한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하는 것과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인증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1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등과,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를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요구 신호와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송신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37)는 이때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의 스텝 SP16에 있어서 일시 기억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에 갱신한다.
스텝 SP20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을 그 인증 티켓 등의 확인을 요구하는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와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 SP21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에 따라,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된 인증 티켓 등과, 인증 정 보 기억부(5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티켓 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에 대한 확인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이 정규 인증 티켓 등이라고 확인되면, 그 인증 티켓 등을 정규 인증 티켓 등이라고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확인 결과정보를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음악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송신한다.
스텝 SP22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제어부(70)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확인 결과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확인 결과정보를 인증 처리부(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75)는,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그 확인 결과정보에 따라, 서버 인증 결과정보로서, 현 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발행하는 것과 함께, 그 발행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77)에 일시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2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 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의해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시킨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송신한다.
스텝 SP24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75)는,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상기의 스텝 SP22에 있어서 이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77)에 일시 기억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75)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이 아직 끊어져서는 있지 않기 때문에, 그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 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25에 이동한다.
스텝 SP25에 있어서, 제어부(70)는, 페이지 정보 기억부(76)로부터, 유저에 의해 취득 요구된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함께,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서비스 세션 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그 페이지 정보 기억부(76)로부터 판독한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유효기한을 연장시킨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2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송신된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생성부(36)에 송출하는 것과 함께,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 스텝 SP23에 있어서 일시 기억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에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생성부(36)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24)는, 페이지 정보생성부(36)로부터 주어진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그 표시부(25)에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를 표시한다.
(1-7-3)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처리
계속해서 도 10 내지 도 13에 있어서, 도 9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 사이에서 실행된 유저 인증 처리 순서의 종료 후에, 그 유저 인증 처리 순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취득한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 정보,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 정보 및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배용 페이지 정보 등을 이용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 판매 서비스 및 라디오방송 정보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1-7-3-1)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우선 도 10을 사용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P3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영 상으로서 표시된 음악 데이터 분배용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어 코맨드가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면, 그 입력된 제어 코맨드에 따라,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것을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이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서 발행되어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송신한다.
스텝 SP31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75)는,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7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70)는,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구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32에 이동한다.
스텝 SP32에 있어서, 검색부(79)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근거하여 음악 데이터 기억부(78) 내의 복수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그 검 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검색부(79)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검색되면,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 스텝 SP33에 이동한다.
스텝 SP33에 있어서 제어부(70)는, 음악 데이터 기억부(78)로부터, 검색부(79)에 의해 검색된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판독한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를, 인증 처리부(7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3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하려는 음악 데이터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음악 데이터를 기억매체(29)에 기억하는 것과 함께,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그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가 제공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 취득하고자 하는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1-7-3-2) 판매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11을 이용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 판매 서버 SV2로부터 판매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판매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P4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영상으로서 표시된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어 코맨드가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면, 그 입력된 제어 코맨드에 따른 특정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하는 미디어 정보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미디어 정보요구 신호를, 이미 판매 서버 SV2에서 발행되어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판매 서버 SV2에 송신한다.
스텝 SP41에 있어서, 판매 서버 SV2의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미디어 정보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9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95)는, 제어부(9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9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90)는, 인증 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42에 이동한다.
스텝 SP42에 있어서, 검색부(99)는, 미디어 정보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근거하여 패키지 미디어 정보 기억부(98) 내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 중에서 그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패키지 미디어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검색부(99)에 의해 패키지 미디어 정보가 검색되면, 인증 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 스텝 SP43에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43에 있어서 제어부(90)는, 패키지 미디어 정보 기억부(98)로부터, 검색부(99)에 의해 검색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판독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인증 처리부(9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4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판매 서버 SV2로 송신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페이지 정보생성부(36)에 송출하는 것과 함께, 그 판매 서버 SV2 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판매 서버 SV2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그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생성부(36)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패키지 미디어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5)에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표시시키면, 다음 스텝 SP45에 이동한다.
스텝 SP45에 있어서,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 패키지 미디어 정보에 대응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 요구하는 제어 코맨드가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면, 그 입력된 제어 코맨드에 따라 그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 요구하는 구입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구입 요구 신호를, 이미 판매 서버 SV2로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즉,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판매 서버 SV2에 송신한다.
스텝 SP46에 있어서, 판매 서버 SV2의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 부터 송신된 구입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9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95)는, 제어부(9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9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90)는, 인증 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을 요구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47에 이동한다.
스텝 SP47에 있어서,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구입 요구된 패키지 미디어를 넘겨주기 위한 절차 등의 구입 처리를 실행하는 것과 함께, 그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르는 유저에 대한 과금처리용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과금 서버 SV5에 송신함으로써, 그 과금 서버 SV5에 대하여 그 유저에 대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른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90)는, 인증 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킨다.
스텝 SP48에 있어서, 제어부(90)는, 과금처리 종료 후,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처리가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9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4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판매 서버 SV2로 송신된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생성부(36)에 송출하는 것과 함께, 그 판매 서버 SV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판매 서버 SV2로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그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생성부(36)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구입 완료 페이지를 표시시킨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은, 판매 서버 SV2의 제공하고 있는 판매 서비스를 이용하고, 유저에 대하여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시킬 수 있다.
(1-7-3-3)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12를 이용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 버 SV3로부터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로서 특히 온 에어 리스트 정보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P6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 온 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 페이지 상에서 입력 박스에 대하여 취득하려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검색용 검색 키가 입력되어, 그 입력된 검색 키를 나타내는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어 코맨드가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면, 그 입력된 제어 코맨드에 따라, 취득하려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다운로드할 것을 요구하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온 에어 리스트 정보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서 발행되어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송신한다.
스텝 SP61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제어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온 에어 리스트 정보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1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15)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20)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10)는, 인증 처리부(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요구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62에 이동한다.
스텝 SP62에 있어서, 검색부(118)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요구 신호에 보유되어 있는 검색 키에 근거하여 온 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7) 내의 온 에어 리스트 정보 전체에 대하여, 그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소정 범위부분을 취득하려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로서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검색부(118)에 의해 온 에어 리스트 정보가 검색되면, 인증 처리부(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 스텝 SP63에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63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7)로부터, 검색부(118)에 의해 검색된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판독한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인증 처리부(11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6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송신된 온 에어 리스트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페이지 정보생성부(36)에 송출하는 것과 함께, 그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 증 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그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생성부(36)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온 에어 리스트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그 표시부(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표시시키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은,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제공하고 있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유저에 대하여 원하는 온 에어 리스트 정보를 취득시킬 수 있다.
(1-7-3-4) 나우 온 에어 정보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13을 이용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로서 특히 나우 온 에어 정보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나우 온 에어 정보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은, 라디 오국(콜 사인)마다 설치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2)에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각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UR1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대해서는, 각 라디오방송 정보분배 서버 SV3의 UR1정보를 라디오국의 콜 사인마다 포털 서버(3)가 관리하고 있는 경우를 예에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라디오국마다 방송 주파수를 자동 프리세트하기 위해서 포털 서버(3)에 대하여 그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정보를 요구할 때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일시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선 클라이언트 단말(2)은, 포털 서버(3)에 대하여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송신하게 된다.
스텝 SP7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입력 처리부(21)로부터 각 라디오국의 방송 주파수를 자동 프리세트하도록 요구하는 조작 코맨드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각 라디오국이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주파수의 주파수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주파수정보요구 신호를, 유저에 의해 입력된 지역 코드와,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 SP71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정보요구 신호, 지역 코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 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유저ID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과,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 등록하고 있는 고객정보를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주파수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하면,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 서버(3)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발행하고, 그 발행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이렇게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72에 이동한다.
스텝 SP72에 있어서,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지역 코드에 근거하여 주파수정보 기억부(58) 내의 복수의 주파수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 중에서 그 지역 코드에 대응하는 주파수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을 검색해서 리스트화하여 판독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주파수정보 기억부(58)로부터 리스트화해서 판독한 주파수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을, 상기 스텝 SP71에서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 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7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주파수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와,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상기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하는 것과 함께, 주파수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4)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주파수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를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그 표시부(25)에 대하여 그 리스트를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23)는, 이때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코맨드에 근거하여, 선택된 주파수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을 기억매체(29)에 프리세트로서 기억하고, 다음 스텝 SP74로 이동한다.
스텝 SP74에 있어서, 제어부(23)는,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는 튜닝 제어 코맨드에 따라, 튜너부(31)를,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튜닝 제어 코맨드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방송의 라디오방송신호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튜너부(31)는, 방송 신호 수신부(30)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방송 파 중에서, 그 방송 주파수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방송신호를 추출해서 복호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음성제어부(26)에 송출한다.
따라서 음성제어부(26)는, 튜너부(31)로부터 주어지는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27)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스피커(27)로부터, 선택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스텝 SP75에 있어서,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기억매체(29)로부터, 상기 튜닝 제어 코맨드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정보에 대응해서 기억되어 있는 콜 사인을 판독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판독한 콜 사인을,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되어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포털 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 SP76에 있어서,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콜 사인 및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5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이 유효기한 내의 것이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콜 사인을 송신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77에 이동한다.
스텝 SP77에 있어서,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콜 사인에 근거하여 UR1기억부(59) 내의 복수의 UR1정보 중에서 해당 콜 사인에 대응된 UR1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인증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50)는, UR1기억부(59)로부터, 그 검색한 UR1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판독한 UR1정보를, 인증 처리부(56)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7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 서버(3)로부터 송신된 UR1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하는 것과 함께, UR1정보를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포털 서버(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 으로써, 그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그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UR1정보를, 기억매체(29)에 기억하고 있는 콜 사인에 대응시켜서 기억매체(29) 등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기억매체(29) 등에 일시 기억한 UR1정보에 따라, 나우 온 에어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나우 온 에어 정보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수신되어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스텝 SP7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나우 온 에어 정보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송신하는 처리가, 도 9에 대해서 전술한 스텝 SP10의 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이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스텝 SP78의 처리에 이어, 클라이언트 단말(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 및 포털 서버(3)에 있어서, 도 9에 대해서 전술한 스텝 SP11 내지 스텝 SP13 및 스텝 SP18 내지 스텝 SP22와 같은 유저 인증 처리를 순차 실행한 후, 이어지는 스텝 SP79에 이동한다.
스텝 SP7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다시, 기억매체(29) 등에 일시 기억한 UR1정보에 따라 나우 온 에어 정보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로 거쳐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에 송신한다.
스텝 SP80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제어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나우 온 에어 정보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1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15)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20)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15)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나우 온 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증 처리부(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그 인증 처리부(115)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하고, 다음 스텝 SP81에 이동한다.
스텝 SP81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나우 온 에어 정보 기억부(119)로부터 나우 온 에어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나우 온 에어 정보를, 인증 처리부(11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 SP8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송신된 나우 온 에어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37)에 송출하는 것과 함께, 나우 온 에어 정보를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그 인증 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나우 온 에어 정보를 표시 제어부(24)를 통해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그 표시부(25)에 대하여,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나우 온 에어 정보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이 후, 클라이언트 단말(2)이 스텝 SP79에 있어서의 나우 온 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정기적으로 반복 실행하는 것과 함께,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그 취득 요구를 받아서 스텝 SP80 및 스텝 SP81의 처리를 순차 실행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2)에서는,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 프로그램방송 개시 시각, 프로그램방송 종료 시각, 그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재 흐르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 아티스트명, 악곡방송 개시 시각 등을 나우 온 에어 정보로서 시시각각 갱신하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표시부(25)에 표시할 수 있다.
(1-8)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 구성
(1-8-1) 회로 구성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에서는, 일부의 기능을 후술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따라 실현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케이싱 표면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도시 생략)에 설치된 각종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 입력부(200)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조작 입력부(200)에서 이것을 인식하고,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입력 신호를 입력 처리부(201)에 송출한다.
입력 처리부(201)는, 공급되는 조작 입력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조작 입력 신호를 조작 코맨드로 변환하고, 이것을 버스(202)를 통해 CPU(Central Processing Unit)(203)에 공급한다.
CPU(203)는, ROM(Read Only Memory)(204)에 미리 보유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버스(202)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205)에 판독하고, 이들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소정의 연산 처리나, 입력 처리부(201)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코맨드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디스플레이(206)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 케이싱 표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경우나 외장형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06)는, CPU(203)에 의한 처리 결과나 각종 영상데이터가 표시 처리부(207)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서 공급되면,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미디어 드라이브(208)는, 예를 들면 CD나, 플래시 메모리가 외부 포장 케이스에 내포되는 메모리 스틱(등록상표)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하거나, 그 CD나 메모리 스틱에 대하여 기록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미디어 드라이브(208)는, CD나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그 재생한 영상데이터를 버스(202)를 통해 표시 처리부(207)에 공급한다.
또한 미디어 드라이브(208)는, CD나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그 재생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처리부(209)에 공급한다.
표시 처리부(207)는, 버스(202)를 통해 공급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206)에 공급함으로써, 그 디스플레이(206)에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음성처리부(209)는, 버스(202)를 통해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2채널 스피커(210)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스피커(210)로부터 그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근거하는 스테레오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CPU(203)는, 미디어 드라이브(208)에서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버스(202)를 통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송출함으로써, 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그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파일로서 기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CPU(2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대하여 기억한 콘텐츠 데이터를, 도 3에 대해서 전술한 디렉토리 구성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CPU(2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한 콘텐츠 파일을 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할 수도 있다.
이때 CPU(2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상기 판독한 영상데이터를 버스(202)를 통해 표시 처리부(207)에 공급한다.
또한 CPU(2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상기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처리부(209)에 공급한 다.
안테나(212)는, 각 라디오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라디오 방송파를 수신하고, 이것을 AM/FM튜너로 된 튜너(213)에 송출한다.
튜너(213)는, CPU(203)의 제어 하에, 안테나(212)를 통해 수신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예를 들면 조작 입력부(200)를 통해 지정된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의 라디오방송신호를 추출해서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버스(202)를 통해 음성처리부(209)에 공급한다.
음성처리부(209)는, 튜너(213)로부터 주어진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210)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스피커(210)로부터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출력시키고, 이렇게 하여 유저에 대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청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CPU(203)는, 튜너(213)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송출해서 기록함으로써,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녹음할 수도 있다.
또한 CPU(203)는, 통신 처리부(2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5)를 순차로 거쳐서 네트워크 NT에 접속하고, 상기 네트워크 NT상의 포털 서버(3)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4에 액세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털 서버(3)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4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1-8-2) 프로그램 모듈 구성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4에 나타낸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클라이언트 단말(2)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는, OS상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포털 서버(3)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4 사이에서 주고받는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메시지 프로그램(240)은 포털 서버(3)나 기타 서버 SV1 내지 SV4 사이의 주고받기를 HTTP통신으로 행하는 것이며,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은 HTTP메시지 프로그램(240)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의 상위에는, 콘텐츠의 CODEC을 해석해서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모듈(242), 저작권보호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저작권보호 관리 모듈(243)이 위치하고, 그 콘텐츠 재생 모듈(242), 저작권보호 관리 모듈(243)의 상위에 대하여, 인터넷 라디오의 선국 및 재생을 행하는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244), 악곡구입 및 시청 곡의 재생을 담당하는 악곡구입 재생 모듈(245)이 각각 위치해 있다.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244)과, 악곡구입 재생 모듈(245)에 의하여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209)에 전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스피커(210)에서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244), 악곡구입 재생 모듈(245)의 상위에는 XML브라우저 모듈(246)이 위치하고, 각종 서버로부터의 XML파일을 해석하고, 디스플레이(206)에 대하여 영상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XML브라우저 모듈(246)를 통해 유저에 선택된 악곡은 악곡구입 재 생 모듈(245)로 구입 처리되고,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를 통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록된다.
한편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에는, 라이브러리(248)의 인증 라이브러리(248A)가 접속되어 있고, 그 인증 라이브러리(248A)는 포털 서버(3) 등과 연계해서 각종 인증 처리를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의 상위에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249),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250) 및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이 위치한다.
이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249)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구축된 각종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250)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보유된 콘텐츠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11)에 보유된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의 상위에는, 라디오국이 방송한 악곡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명 등을 표시하기 위한 라디오 방송정보표시 모듈(251), 및 라디오국을 선국하거나, 그 라디오국에서 수신한 악곡으로서의 콘텐츠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녹음)하는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252)이 위치해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유저 인터페이스(UI)(253)를 통해 선국된 라디오국에서 수신한 악곡은,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250)을 통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록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252)에 의해 재생된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209)에 전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스피커(210)에서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라디오 방송정보표시 모듈(251)은,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252)에 의해 현재 라디오국이 방송하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명 등의 나우 온 에어 정보와 같은 라디오 방송정보를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로부터 HTTP메시지 프로그램(240) 경유로 수신하고, 이것을 오디오 유저 인터페이스(253)를 통해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한다.
이때 오디오 유저 인터페이스(253)를 통해 디스플레이(206)에 표시된 라디오 방송정보는, 라이브러리(248)의 클립 라이브러리(248B)에 일시적으로 기억할 수도 있고,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249)을 통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된다.
CD재생 모듈(254)은, 미디어 드라이브(208)에 대하여 CD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CD재생 모듈(254)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209)에 전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스피커(210)에서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HDD 재생 모듈(255)은, 도시하지 않지만,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 및 저작권보호 관리 모듈(243)과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HDD재생 모듈(255)은,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의 제어 하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음성 데이터를, 저작권보호 관리 모듈(243)로부터 공급되는 저작권 관리 정보에 따라 재생한다.
그리고 HDD재생 모듈(255)에 의해 저작권 관리 정보에 따라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209)에 전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스피커(210)에서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리핑 모듈(256)은, 도시하지 않지만,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 및 저작권보호 관리 모듈(243)과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핑 모듈(256)은, CD재생 모듈(254)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된 음성 데이터를, 저작권보호 관리 모듈(243)로부터 공급되는, 그 음성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저작권 관리 정보와 함께,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의 제어 하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의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는(즉, 리핑되는) 것처럼, CD재생 모듈(254), 저작권보호 관리 모듈(243) 및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를 제어한다.
그런데 이상에서 설명한 프로그램 모듈에 있어서 HTTP메시지 프로그램(240) 및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통신제어부(32)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콘텐츠 재생 모듈(242)는,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인코더/디코더부(34)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저작권보호 관리 모듈(243)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저작권 관리부(35)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244)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및 음성제어부(26)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악곡구입 재생 모듈(245)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및 음성제어부(26)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XML브라우저 모듈(246)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입력 처리부(21) 및 페이지 정보생성부(36)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 및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249) 및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250)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이브러리(248)의 인증 라이브러리(248A)는,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인증 처리부(37) 및 인증 정보 기억부(38)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이브러리(248)의 클립 라이브러리(248B)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디오 방송정보표시 모듈(251)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라디오방송표시 제어부(39)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252)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및 음성제어부(26) 및 튜너부(31)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오디오 유저 인터페이스(253)는,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입력 처리부(21) 및 제어부(23) 및 표시 제어부(24)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CD재생 모듈(254)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음성제어부(26) 및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HDD재생 모듈(255)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및 음성제어부(26)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리핑 모듈(256)은,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및 외부기록 매체 기록재생부(28) 및 인코더/디코더부(34)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따라서 도 14에 대해서 전술한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클라이언트 단말(2)에서는, CPU(203)가 상기 각종 프로그램 모듈에 따라, 도 2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동일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1-9) 각 서버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포털 서버(3),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들 포털 서버(3),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은, 하드웨어 회로 블록으로 구성할 경우, 각종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도 16을 이용하여, 포털 서버(3),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서버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서버는,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CPU(270)가,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버스(273)를 통해 RAM(274)에 적절히 전개해 이것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는, 콘텐츠 데이터나 네트워크상에서 공개할 수 있는 페이지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기억할 수 있으며, 하드 디스크 내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서 고객정보 등의 각종 등록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CPU(27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로부터 각종 데이터 및 정보 및 각종 등록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각종 데이터 및 정보 및 각종 등록 정보를 사용해서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5)는, 네트워크 NT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다른 서버와, 각종 데이터 및 각종 정보의 송수신용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버는, 기본적으로 CPU(270)가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서버에서는, 도 4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포털 서버(3)의 기능에 따라,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CPU(270)를 상기 포털 서버(3)의 제어부(50), 통신제어부(52) 및 인증 처리부(56)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으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를 그 포털 서버(3)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 페이지 정보 기억부(55), 인증 정보 기억부(57), 주파수정보 기억부(58) 및 UR1기억부(59)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버에서는, 도 5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기능에 따라,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CPU(270)를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제어부(70), 통신제어부(72), 인증 처리부(75) 및 검색부(79)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를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부(74), 페이지 정보 기억부(76), 인증 정보 기억부(77) 및 음악 데이터 기억부(78)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버에서는, 도 6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판매 서버 SV2의 기능에 따라,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 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CPU(270)를 그 판매 서버 SV2의 제어부(90), 통신제어부(92), 인증 처리부(95) 및 검색부(99)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를 그 판매 서버 SV2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부(94), 페이지 정보 기억부(96), 인증 정보 기억부(97) 및 패키지 미디어 정보 기억부(98)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버에서는, 도 7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기능에 따라,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CPU(270)를 그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제어부(110), 통신제어부(112), 인증 처리부(115) 및 검색부(118)와 동일하게 기능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 그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4), 페이지 정보 기억부(116), 온 에어 리스트 정보기억부(117), 나우 온 에어 정보 기억부(119) 및 인증정보 기억부(120)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서버는,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도 4 내지 도 7에 대해 전술한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포털 서버(3),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 판매 서버 SV2,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 SV3 모두의 기능을,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수신할 수 있는 방송으로서 라디오국에서 방송되는 라디오방송을 적용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클 라이언트 단말(2)이 텔레비전용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는 텔레비전방송을 수신하고, 그 텔레비전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각종 방송 정보 등을 네트워크 NT상의 서버로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드웨어 회로 블록, 기능 회로 블록 및 프로그램 모듈을 클라이언트 단말(2)에 설치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것들을 휴대전화기나 PC 등, 클라이언트 단말(2) 이외의 여러 가지 단말에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이들 하드웨어 회로 블록, 기능 회로 블록 및 프로그램 모듈을 설치한 단말이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과 동일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2) 앨범 구입시의 처리
(2-1) 개요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은, 1장의 앨범 CD에 수록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로서 정리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에 있어서 각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는, 그 음악 데이터가 속하는 앨범을 식별하기 위한 앨범 식별 정보가 미리 첨부되어 있다.
또한 매장 등을 통해 판매되는 앨범 CD에 있어서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가 예를 들면 아티스트 측이 의도한 수록 순서로 수록되어 있으므로, 이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에 있어서의 각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도, 그 수록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수록 순서 정보가 미리 첨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조작 입력부(200)를 통해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앨범 다운로드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앨범 다운로드 조작에 따른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대하여 송신한다.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은,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이러한 요구 신호에 따라 소정의 과금처리를 실행한 후, 그 요구 신호에 따른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를 자신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의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앨범 다운로드 조작을 한 번 행하는 것만으로, 앨범으로 정리된 복수의 음악 데이터(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 입력부(200)를 통해 이러한 앨범 구입 조작을 2회 행하여, 2종류의 앨범 CD에 해당하는 2종류의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한 후, 이들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 내의 각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을 자동으로 정리해서 표시시키는 자동정리 조작을 행하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은, 자동정리 처리를 실행하고, 이 결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틀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이 자동정리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이 자동정리 처리로서, 최초에 클라이언트 단말(2)은,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로서 다운로드한 각 음악 데이 터에 첨부되어 있는 앨범 식별 정보를 모두 참조하고, 이에 따라 각 음악 데이터가 속하는 앨범을 2종류 인식하고, 그리고 인식한 앨범마다 앨범 폴더를 타이틀 일람 화면 위에 작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작성된 각 앨범 폴더 위에는, 해당하는 앨범의 앨범 타이틀 「사계」, 「동요」가 표시된다.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은, 각 음악 데이터에 첨부된 앨범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각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 「봄」, 「여름」, ...을 2종류의 앨범 폴더 중 어느 하나에 조건을 부여하여 표시하는 것과 함께, 각 음악 데이터에 첨부되어 있는 수록 순서 정보에 근거하여 조건이 부여된 각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을 앨범 폴더마다 수록 순서로 정렬해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이 타이틀 일람 화면에 있어서는, 2종류의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이, 앨범 단위로 그룹으로 나뉘어서 표시됨과 동시에, 그 복수의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이, 각 그룹 내에 있어서 앨범 CD의 수록 순서에 따라 정렬되어서 표시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각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한 개씩 해당하는 앨범 폴더에 이동시켜서 정리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고, 이 결과, 다운로드한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현격히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타이틀 일람 화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앨범 폴더 「사계」가 선택된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소정의 재생 조작이 이루어지면, 그 앨범 폴더 「사계」에 조건이 부여되어 타이틀이 표시된 복수 의 음악 데이터를, 그 타이틀이 나타나 있는 순서(즉 수록 순서)에 따라 순차 재생 처리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는 자신이 임의의 폴더를 작성하고,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한 개씩 임의의 폴더에 이동시켜서 정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타이틀 일람 화면에서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리빙용」 및 「드라이브용」 폴더가 작성되고, 이들 폴더의 하위에는, 유저 임의의 분류에 의해 폴더 「temp1」, 「temp2」, 「temp3」이 작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폴더 「temp1」, 「temp2」, 「temp3」의 하층에는, 유저가 한 개씩 음악 데이터를 각 폴더 「temp1」, 「temp2」, 「temp3」에 이동시킴으로써 조건이 부여된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 「track1」, 「track2」, ...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폴더 「temp1」, 「temp3」에는, 다운로드해서 얻어진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에 조건이 부여되어 있고, 폴더 「temp2」에는, 음악 CD로부터 리핑한(요컨대 음악 CD로부터 복사한)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에 조건이 부여되어 있다.
한편, 도 19에 나타내는 타이틀 일람 화면에서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리빙용」 및 「드라이브용」 폴더가 작성되고, 이들 폴더의 하위에는, 유저 임의의 분류에 의해 폴더 「밤」, 「펑크」이 작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폴더 「밤」, 「펑크」의 하층에는, 유저가 한 개씩 음악 데이터를 각 폴더 「밤」, 「펑크」에 이동시킴으로써 조건이 부여된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폴더 「밤」에는, 유저가 밤에 듣는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에 조건이 부여되어 있고, 폴더 「펑크」에는, 해당하는 장르의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에 조건이 부여되어 있다.
(2-2)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
다음으로 도 20을 이용해서 음악 데이터에 첨부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의 음악 데이터에는 속성정보가 첨부되고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면, 상기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중의 속성정보관리 테이블 TB1에 기록한다.
여기에서 도 20에 나타내는 속성정보관리 테이블 TB1을 참조하면서, 음악 데이터에 첨부된 속성정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는 세 가지로 분류된다. 이 세 개의 분류는 음악 데이터 자체에 관한 정보군(이하, 이것을 TrackInfo정보군이라고 부른다)과, 음악 데이터가 속해 있는 앨범에 관한 정보군(이하, 이것을 AlbumInfo정보군이라고 부른다)과, 음악 데이터의 압축 방식 등에 관한 정보군(이하, 이것을 MusicData정보군이라고 부른다)으로 이루어진다.
TrackInfo 정보군은,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도면에서 「ContentID」부분),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 정보(도면에서 「Title」부분) 및 아티스트명 정보(도면에서 「Artist」부분) 등으로 된다.
AlbumInfo 정보군은, 음악 데이터가 속하는 앨범을 식별하기 위한 앨범 식별 정보(도면에서 「AlbumID」부분), 음악 데이터가 속하는 앨범의 타이틀 정보(도면에서 「Title」부분) 및 아티스트명 정보(도면에서 「Artist」부분) 이외에, 그 음악 데이터의 수록 순서를 나타내는 수록 순서 정보(도면에서 「Track Order」부분)를 가지고 있다.
MusIcData 정보군은, 음악 데이터의 압축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도면에서 「Codec」부분)나 비트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도면에서 「Bitrate」)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가 실제로 기억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 상의 기억 위치 정보(소위 패스이며, 도면에서 「Data Body」부분)도, MusicData 정보군의 하나로서 관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2-3) 클라이언트 단말의 데이터베이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중의,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및 음악관리 테이블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의 디스플레이(206)에 있어서, 도 21(단, 이 시점에서는 파선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앨범 폴더 FA1에 대하여 앨범 「사계」에 속하는 세 개의 음악 데이터 「봄」, 「여름」, 「가을」의 타이틀에 조건이 부여되어 표시되어 있을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는, 도 22(단, 이 시점에서는 파선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앨범 폴더 FA1(앨범 「사계」)에 대응하는 하나의 레코드 R1이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에 존재하고, 이러한 세 개의 음악 데이터에 대응하는 세 개의 레코드 R11, R12, R13이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존재한다.
즉, 도 22에 나타내는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에 있어서는, 앨범 폴더 FA1이 작성되었을 때에 그 앨범 폴더 FA1에 대응하는 레코드(이하, 이것을 플레이디스트 레코드라고 부른다) R1이 생성된다. 이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는, 각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에 대하여 일의로 할당되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식별 정보(PlaylistID)와, 대응하는 앨범 「사계」의 앨범 식별 정보(AlbumID)와, 앨범 폴더 FA1이 작성된 일시를 나타내는 작성 일시 정보(TimeINF)가 보유된다.
한편,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는, 음악 데이터 단위로 레코드(이하, 이것을 음악 데이터 레코드라고 부른다) R11, R12, R13이 작성되어 있다. 이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R12, R13에는, 각 음악 데이터 레코드에 대하여 일의로 할당되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식별 정보(TrackID)나,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의 수록 순서를 나타내는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NO)나, 그 음악 데이터의 기억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위치 정보(명시하지 않고) 등과 함께, 그 음악 데이터가 조건이 부여된 앨범 폴더 FA1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식별 정보(PlaylistID: 1(도면에서는 적절히 「PlaylistID」를 생략해서 「PID」라고 나타낸다))가 보유된다. 이에 따라 각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R12, R13은, 이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식별 정보를 통해,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과 조건이 부여되도 록(릴레이션이 부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도 21에 나타내는 앨범 폴더 FA1이 지정된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재생 조작이 이루어지면, 그 앨범 폴더 FA1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과 릴레이션이 부여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R12, R13을 참조함으로써, 앨범 「사계」에 속하는 음악 데이터 「봄」, 「여름」, 「가을」의 기억 위치 정보 및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NO)를 인식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인식한 기억 위치 정보 및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NO)에 따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음악 데이터 「봄」, 「여름」, 「가을」을 수록 순으로 순차 판독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및 그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과 릴레이션이 부여된 각 음악 레코드 R11, R12, R13에 표시된 정보가, 소위 플레이 리스트에 해당한다.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플레이 리스트에 해당하는 각 레코드 R1, R11, R12, R13에 표시된 정보에 따라, 음악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게다가 이 재생 처리는, 도 15에 나타내는 악곡구입 재생 모듈(245)에 의해 실행된다. 이 악곡구입 모듈(45)은, 재생 처리 이외에,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구입해서 다운로드하는 처리도 담당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2-4) 자동정리 처리
다음으로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을 자동으로 정리해서 표시하는 자동정리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도 21(단, 이 시점에서는 파선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틀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앨범 「사계」에 속하는 음악 데이터 「겨울」을 새로 다운로드했을 때, 도 23에 나타내는 등록시의 자동정리 처리 순서 RT1의 스텝 SP101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이 음악 데이터 「겨울」에 첨부되어 있는 속성정보에는, 앨범 「사계」를 식별하기 위한 앨범 식별 정보로서 「AlbumID: 001」이 나타나 있는 것과 함께, 수록 순서 정보로서 4곡째인 것을 의미하는 「TrackorderNO: 4」이 표시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1에 있어서, 새로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 「겨울」에 첨부되어 있는 속성정보 중의 앨범 식별 정보 「AlbumId: 001」을 인식한 후, 그 인식한 앨범 식별 정보 「AlbumId: 001」이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모두 취득하기 위한 레코드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2에 이동하고, 레코드 취득 처리의 결과,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에 대응하는 한 개 이상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취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도 22)로부터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에 대응하는 하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긍정 결과를 얻어서 계속되는 스텝 SP103에 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한 개도 취득할 수 없을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부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106에 이동하고, 그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에 대응하는 새로운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에 추가하는 것과 함께, 그 추가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에 대응하는 앨범 폴더를, 타이틀 일람 화면 위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2에서 하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만을 취득했으므로, 이 스텝 SP103에 있어서는, 그 하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을 후술하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인식한다.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2에서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취득했을 경우, 스텝 SP103에 있어서는, 그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작성 일시 정보(TimeINF)에 근거하여 시계열순으로 소트한 후, 그 소트한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중에서 가장 오래된 작성 일시 정보(TimeINF)를 가지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인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4에 이동하고,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인식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과 릴레이션이 부여된 각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R12, R13의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NO: 1, 2, 3) 중에, 새로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 「겨울」의 수록 순서 정보(TrackorNO : 4)와 동일한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부정 결과가 얻어지므로,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7에 이동하고,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인식하고 있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과 릴레이션을 부여하도록 하고, 새로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 「겨울」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4(도 22 파선 부분)를,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작성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이렇게 하여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지면, 그 변경 후의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근거하여 타이틀 일람 화면의 표시 내용을 갱신해서 다시 표시하는 타이틀 일람 화면표시 처리(후술한다)를 실행한다. 이 결과 이 타이틀 일람 화면에서는, 앨범 폴더 FA1과 조건을 부여하도록 하여, 3곡째의 음악 데이터 「가을」의 다음 위치에, 4곡째의 음악 데이터 「겨울」의 타이틀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도 21 파선 부분).
그런데, 도 24 및 도 25(단, 이 시점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앨범 「사계」의 음악 데이터 「봄」만이 다운로드되어 있는 상태에서, 앨범 「사계」의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가 다운로드될 경우의 자동정리 처리를, 도 23에 나타낸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로부터 앨범 「사계」의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를 다운로드하면, 우선 이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에 있어서의 1곡째의 음악 데이터 「봄」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해, 자동정리 처리 순서 RT1의 스텝 SP101에 이동한다.
여기에서 이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에 있어서의 각 음악 데이터 「봄」, 「 여름」, 「가을」, 「겨울」의 속성정보에는, 앨범 「사계」를 식별하기 위한 앨범 식별 정보로서 「AlbumId: 001」이 나타나 있는 것과 함께, 수록 순서 정보로서 각각에 대하여 「TrackorderNO: 1」, 「TrackorderNO: 2」, 「TrackorderNO: 3」, 「TrackorderNO: 4」가 나타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1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봄」에 첨부되어 있는 속성정보 중의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를 인식한 후, 그 인식한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에 대응하는 모든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레코드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2에 이동하고, 레코드 취득 처리의 결과,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에 대응하는 한 개 이상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취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에 대응하는 하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도 25)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긍정 결과를 얻어서 계속되는 스텝 SP103에 이동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2에서 하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만을 취득했으므로, 스텝 SP103에 있어서는, 그 하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을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인식한다.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4에 이동하고,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인식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과 릴레이션이 부여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의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NO: 1)가, 이번에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 「봄」의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NO: 1)와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여기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105에 이동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5에서, 스텝 SP101에서 취득한 모든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중,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지금까지 인식하고 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다음으로 오래된 작성 일시 정보(TimeINF)를 가지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스텝 SP101에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만을 취득하고 있고, 이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을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지금까지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다음으로 오래된 작성 일시 정보를 가지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계속되는 스텝 SP106에 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예를 들면 스텝 SP101에서 취득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복수 있고,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지금까지 인식하고 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다음으로 오래된 작성 일시 정보를 가지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이것들 중에 존재할 경우, 그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새롭게 다시 인식하고, 상기 스텝 SP104로 되돌아오도록 이루어져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이 스텝 SP106에 있어서,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에 대하여 앨범 「사계」용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를 새로 작성하는 것과 함께(도 25 파선 부분), 그 작성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에 대응하는 두 번째 앨범 폴더 FA2를, 타이틀 일람 화면 위에 생성한다(도 24 파선 부분).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07에 이동하고,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P106에서 새로 작성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와 릴레이션하도록 하고, 이번에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 「봄」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1을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작성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이렇게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대하여 행해진 변경에 근거하여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 생성한 두 번째 앨범 폴더 FA2와 조건을 부여하도록 하고, 새로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 「봄」의 타이틀을 타이틀 일람표시 화면 위에 표시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에 있어서 나머지 음악 데이터 「여름」, 「가을」, 「겨울」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해, 자동정리 처리 순서 RT1의 스텝 SP101 ~ SP7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에 따라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머지 음악 데이터 「여름」, 「가을」, 「겨울」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2, R13, R14가, 첫 번째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과 릴레이션되도록 하고, 각각 새로 작성된다. 이에 따라 타이틀 일람 화면에 있어서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 번째 앨범 폴더 FA1에 대하여, 이들 음악 데이터 「여름」, 「가을」, 「겨울」의 타이틀이 조건이 부여되도록 표시된다.
이렇게 하여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앨범 「사계」에 속하는 모든 종류의 음악 데이터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타이틀을, 결여 없이 첫 번째 앨범 폴더 FA1에 조건을 부여해서 표시하는 것과 함께, 후에 중복해서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 「봄」에 대해서는, 새로 생성한 두 번째 앨범 폴더 FA2에 조건을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처음에 생성되어 있던 앨범 폴더 FA1에 대하여, 앨범 「사계」에 속하는 각종 음악 데이터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타이틀을 우선적으로 조건을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후에 중복해서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 「봄」에 대해서는, 앨범 폴더 FA1이 아닌, 이 후에 생성된 앨범 폴더 FA2에 조건을 부여해서 표시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2)은, 앨범 「사계」에 속하는 모든 종류의 음악 데이터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타이틀을, 결손 및 중복 없이 앨범 폴더 FA1를 통해 일괄하고, 아티스트 측이 의도한 수록순서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세 개의 음악 데이터 「봄」과 두 개의 음악 데이터 「여름」과 하나의 음악 데이터 「가을」이 다운로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음악 데이터 「봄」이 삭제될 때에 실행되는 삭제시의 자동정리 처리 순서 RT2를, 도 27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시점에 있어서,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 및 음악관리 테이블 TB3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에 있어서는, 앨범 「사계」에 대응하는 세 개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R2, R3이 생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 세 개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R2, R3을, 작성일시가 오래된 쪽부터,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이라고 적절히 부른다.
한편,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는,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과 릴레이션하도록 해서 3종류의 음악 데이터 「봄」, 「여름」, 「가을」에 대응하는 세 개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R12, R13이 작성되어 있고,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와 릴레이션하도록 해서 2종류의 음악 데이터 「봄」, 「여름」에 대응하는 두 개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1, R22이 작성되어 있고,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과 릴레이션하도록 해서 하나의 음악 데이터 「봄」에 대응하는 하나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이 작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저가 조작 입력부(200)를 통해, 첫 번째 앨범 폴더 FA1(도 26)에 타이틀이 조건이 부여된 음악 데이터 「봄」을 삭제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11에 이동하고, 그 음악 데이터 「봄」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을 삭제하는 것과 함께, 이 음악 데이터 「봄」 자체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소거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12에 이동하고, 삭제한 음악 데이터 「봄」에 첨부되어 있던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가 포함되는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 및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모두 취득한다.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13에 이동하고, 스텝 SP112의 레코드 취득 처리의 결과, 앨범 식별 정보(AlbumID: 001)에 대응하는 한 개 이상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취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세 개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R2, R3을 취득 할 수 있었다는 판정 결과가 얻어지므로, 계속되는 스텝 SP114에 이동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14에 있어서, 스텝 SP112에서 취득한 세 개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R2, R3을 작성 일시 정보(TimeINF)에 근거하여 시계열순으로 소트한 후, 그 소트한 세 개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R2, R3 중에서 최근의 작성 일시 정보를 가지는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을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인식한다.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15에 이동하고,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인식한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과 릴레이션이 부여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의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NO: 1)가, 삭제한 음악 데이터 「봄」의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NO: 1)와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여기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므로,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16에 이동하고,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록 순서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서 판정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의 릴레이션을, 삭제한 음악 데이터 「봄」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이 릴레이션되어 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 대하여 다시 부여하고, 그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만이 릴레이션되어 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을 삭제한다. 또한 이렇게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 및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대하여 행해진 변경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 번째 앨범 폴더 FA1에 있어서의 음악 데이터 「봄」을 삭제한 부분에, 세 번째 앨범 폴더 FA3에 조건이 부여된 음악 데이터 「봄」의 타이틀을, 이동하도록 해서 표시하도록 하는 것과 함께, 세 번째 앨범 폴더 FA3을 소거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텝 SP115에 있어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 SP117에 진행되고, 스텝 SP112에서 취득한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중, 처리 대상 레코드로서 지금까지 인식하고 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다음으로 새로운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상기 스텝 SP115에 이동하고, 이에 반해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종료 스텝으로 이동하고 자동정리 처리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삭제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도 28)과 같은 수록 순서정보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1, R31이 릴레이션되어 있는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 R3 중, 최근 작성된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에 릴레이션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의 릴레이션을, 삭제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이 릴레이션되어 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 대하여 다시 부여하도록 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삭제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과 같은 수록 순서정보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1, R31이 릴레이션되어 있는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 R3 중, 다음으로 새로 작성된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에 릴레이션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1의 릴레이션을, 삭제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이 릴레이션되어 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 대하여 다시 부여하도록 하면, 이 경우,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에 대하여는, 2곡째의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4만이 릴레이션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에 대하여는, 1곡째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만이 릴레이션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음악 데이터 레코드가 적절히 정리되어 있다고 하기 어려워진다. 그 후,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에 릴레이션되어 있는 1곡째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의 릴레이션을,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에 다시 부여하도록 하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리되어 있는 상태로 할 수 있지만, 릴레이션을 다시 부여하는 회수가 2회가 된다. 이 점 전술한 본 실시예의 방법에서는, 릴레이션을 다시 부여하는 처리를 1회 실행하는 것만으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리된 상태로 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에 두 개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1, R22이 릴레이션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TrackID: 4)에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1을 삭제하는 처리가 실행되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에 대하여는 한 개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2만이 릴레이션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에 유일하게 릴레이션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2를 삭제하는 처리가 실행되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 자체가 삭제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전술한 도 26의 타이틀 일람 화면이 디스플레이(206)에 표시된 상태에서, 유저가 조작 입력부(200)를 통해, 첫 번째 앨범 폴더 FA1을 지정해서 삭제 조작을 행하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그 첫 번째 앨범 폴더 FA1에 그 타이틀이 조건이 부여된 음악 데이터 「봄」, 「여름」, 「가을」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소거하는 것과 함께,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R12, R13(도 34)의 각각에 대해서, 전술한 삭제시의 자동정리 처리 순서 RT2를 실행한다.
이 결과,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 릴레이션되어 있던 모든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R12, R13이 소거된 후,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에 릴레이션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의 릴레이션과,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에 릴레이션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2의 릴레이션이,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 다시 부여되고, 이에 따라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리된 상태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릴레이션을 다시 부여하는 회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효율적으로 음악 데이터 레코드를 정리하도록 되어 있다.
(2-5) 타이틀 일람 화면표시 처리
다음으로 타이틀 일람 화면표시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제 이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는, 데이터베이스 중의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 및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대하여 변경이 이루어질 때마다, 데이터베이스가, 변경이 있었던 위치(변경된 레코드)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도 15)에 통지한다.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 및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의 레코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레코드 상태정보를 내부의 캐시에 기억하고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변경 장소가 통지될 때마다, 이 레코드 상 태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XML브라우저 모듈(246)이, 그 캐시에 축적되어 있는 레코드 상태정보를 적절히 판독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타이틀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6a에 있어서, 캐시에 축적되는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의 일례를 게시한다. 이 도 36a에 나타내는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은, 도 28에 나타낸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 및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대응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의 세로 1열째에는,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에 있어서의 각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R2, R3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식별 정보(PlaylistID: 1, 2, 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의 가로 1행째에는,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ID: 1, 2, 3, ...)가 순서대로, 또한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36a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세 개의 수록 순서 정보(TrackorderID: 1, 2, 3)만을 나타냈지만, 실제는 그 이상의 수록 순서 정보가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의 세로 1열째에 배치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식별 정보와, 가로 1행째에 배치된 수록 순서 정보와 대응하도록 하고,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의 각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 R21, ..., R31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식별 정보(TrackID: 1 ~ 6)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6b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정의를 나타낸다. 이 변수 「IDelld」 및 「IUpdld」는,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 및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대하여 변경이 행해졌을 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 이 수취하는 것이다. 변수 「IDelld」는, 데이터베이스 중의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에 있어서, 어떤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삭제되었을 때, 이 삭제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변수 「IUpdld」는, 어떤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의 릴레이션 관계가 변경되었을 때, 이 변경이 행해진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 및 음악관리 테이블 TB3의 상황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있고, 이것에 대응해서 캐시에 축적되어 있는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의 상황이 도 3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도 28에 나타내는 음악관리 테이블 TB3의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이 삭제되면, 이에 따라 음악관리 테이블 TB3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이 삭제된 상태가 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변수 「IDelld」(도 37a)에 의해, 삭제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제3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3인 취지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하는 것과 함께, 변수 「IUpdld」(도 37a)에 의해, 릴레이션 관계의 변경이 있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인 취지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따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도 36a에 나타내는 레코드 상태정보 INF1로부터, 「PlaylistID: 3」과 이것에 대응하는 「TrackID: 6」을 소거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과 함께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의 릴레이션 관계의 현상을 통지하도록 요구하는 요구 신호(SQL문에 해당한다)를, 데이터베이스에 송출한다. 이 요구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는,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 대해서만 릴레이션 관계를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 결과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한다.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통지된 결과에 근거하여 레코드 상태정보 INF1 중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식별 정보 「PlaylistID: 1」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는 「TrakID: 1, 2, 3」(도 36a)을, 「TrakID 6, 2, 3」(도 37a)에 갱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렇게 하여 캐시에 축적되어 있는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이, 도 36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7a에 나타내는 상태로 갱신된다. 이때 XML브라우저 모듈(246)은, 이 레코드 상태정보 INF1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하고 있는 타이틀 일람 화면의 표시 내용을,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0에 나타내는 상태로 갱신한다.
이렇게 XML브라우저 모듈(246)은,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 내의 캐시에 축적되어 있는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중의 각 테이블 TB1, TB2를 직접 참조하지 않더라도, 각 테이블 TB1, TB2에 존재하는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 및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1, ...의 수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의 릴레이션 상황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처리 효율적으로 타이틀 일람 화면의 표시 내용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캐시 내의 레코드 상태정보 INF1 을 갱신할 때,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플레이 리스트 테이블 TB2에 존재하는 모든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에 대해서 릴레이션 관계의 현상을 통지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릴레이션 관계의 변경이 있었던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 대해서만 릴레이션 관계의 현상을 통지하도록 요구하게 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는, 이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에 대해서만 릴레이션 관계를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하면 되고, 이렇게 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후, 데이터베이스의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2(TrackID: 2)이 소거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출되는 변수 「IUpdld」(도 37b)에 의해, 릴레이션 관계의 변경이 있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 및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인 취지가,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된다. 이에 따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상기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캐시 내의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을 도 37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7b에 나타내는 상태로 갱신한다.
또한 이 후, 데이터베이스의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13(TrackID: 3)이 소거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출되는 변수 「IUpdld」(도 37c)에 의해, 릴레이션 관계의 변경이 있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인 취지가,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된다. 이에 따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상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캐시 내의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을 도 37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7c에 나타내는 상태로 갱신한다.
또한 이 후, 데이터베이스의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1(TrackID: 4)이 소거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출되는 변수 「IDelld」(도 37d)에 의해, 삭제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제2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2인 취지가,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된다. 이에 따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상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캐시 내의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을 도 37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7d에 나타내는 상태로 갱신한다.
또한 이 후, 데이터베이스의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22(TrackID: 5)가 소거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출되는 변수 「IUpdld」(도 37e)에 의해, 릴레이션 관계의 변경이 있었던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인 취지가,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된다. 이에 따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상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캐시 내의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을 도 37d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7e에 나타내는 상태로 갱신한다.
또한 이 후, 데이터베이스의 음악관리 테이블 TB3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레코드 R31(TrackID: 6)이 소거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출되는 변수 「IDelld」(도 37f)에 의해, 삭제된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가 제1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 R1인 취지가,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에 통지된다. 이에 따라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상기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캐시 내의 레코드 상태정보 INF1을 도 37e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7f에 나타내는 상태로 갱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2-6)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다운로드한 복수의 음악 데이터의 타이틀을, 각 음악 데이터에 대응된 앨범 식별 정보에 근거하는 앨범마다, 각 음악 데이터에 대응된 수록 순서정보에 근거하는 순서로 제시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이들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한 개씩 정리하는 작업을 유저에게 시키지 않아도 되고, 이 결과, 현격히 효율적으로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를 정리해서 제시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한 개씩 정리하는 작업을 유저에게 시키지 않아도 되고, 이 결과, 현격히 효율적으로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를 정리해서 제시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본 실시예의 정리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응하는 정보처리장치(1000)의 구성의 일례를,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정보처리장치(1000)는, 외부장치(1001)(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SV1)에 대하여 특정 콘텐츠 데이터 D1000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 S1000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다운로드 요구 신호 S1000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 D1000를 수신하는 통신부(1002)를 가진다.
이 통신부(1002)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 D1000는, 콘텐츠 데이터 본체(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에 해당한다)와, 적어도 콘텐츠 식별 정보(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해당한다), 콘텐츠 타이틀 정보(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타이틀 정보에 해당한다),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보유 영역(예를 들면 앨범 식별 정보가 보유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예를 들면 앨범 타이틀 정보가 보유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수록 순서정보 보유 영역(예를 들면 수록 순서정보가 보유되는 영역에 해당한다)을 포함하는 프린지 정보(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에 해당한다)를 가지고, 상기 프린지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 본체를 관련시켜서 기록 매체(1003)에 기록하는 기록부(1004)를 가진다.
또한 이 정보처리장치(1000)는, 기록부(1004)에 의해 기록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열거되어 표시되고, 그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의 하위 계층에,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타이틀 정보가, 수록 순서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수록 순서정보에 근거하는 순서로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화상생성부(1005)를 가진다.
그리고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기록부(1004)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에 근거해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에 해당한다)를 생성하는 것과 동시에 기록 매체(1003)에 기록하고, 그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 레코드식별 정보PlaylistID에 해당한다),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예를 들면 앨범 식별 정보AlbumID에 해당한다),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예 를 들면, 작성 일시 정보TimeINF에 해당한다)을 가지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레코드에 해당한다)에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되고,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를 가지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함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소트한다.
이어서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기록부(1004)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 중 가장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그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다음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한다.
계속해서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기록부(1004)는, 순차적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부여해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기록 매체(1003)에 기록한 다.
또한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기록부(1004)는, 기록되는 모든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새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 부여해서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기록 매체(1003)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추가로 이 정보처리장치(1000)는, 기록 매체(1003)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부(1006)를 가진다.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삭제부(1006)는, 지정된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같은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와 수록 순서정보를 가지고 가장 새로 생성된 특정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서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삭제부(1006)는, 그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를 가지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함께 이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소트하고,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 중 가장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한다.
계속해서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삭제부(1006)는,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 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그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다음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삭제부(1006)는, 순차적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그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그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그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로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사실상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기록부(1004)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로서의 앨범 식별 정보에 근거해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기록 매체(1003)에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는, 앨범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 앨범 식별 정보, 및 앨범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를 가지고, 그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는 앨범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정보처리장치(1000)의 화상생성부(1005)는, 기록부(1004) 및 삭제 부(1006)로부터,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와 그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와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을 생성해서 기록 매체(1003)에 일시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경우 기록부(1004) 및 삭제부(1006)는, 삭제 또는 갱신된 앨범 플레이 리스트의 앨범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화상생성부(1005)에 통지하고, 이 화상생성부(1005)는, 이 통지에 근거해 화상을 재생성하고, 기억매체(1003)에 일시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는 DVD-Video 또는 포토 앨범으로서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에 해당한다. 또한 이러한 프린지 정보에 장르 정보도 포함되도록 한 다음에, 화상생성부(1005)는, 조작에 따라 장르 정보가 배열되어 표시되고, 그 장르 정보의 하위 계층에, 그 장르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타이틀 정보가 배열되어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8에 나타낸 정보처리장치(1000)는, 도 2에 나타낸 클라이언트 단말(2)에 해당한다. 또한 도 38에 나타낸 통신부(10O2)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에 해당한다. 또한 도 38에 나타낸 기록 매체(1003)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기록 매체(29)에 해당한다. 또한 도 38에 나타낸 기록부(1004)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제어부(23)에 해당한다. 또한 도 38에 나타낸 화상생성부(1005)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제어부(23)에 해당한다. 또한 도 38에 나타낸 삭제부(1006)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제어부(23)에 해당한다.
(2-7) 기타 실시예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악 데이터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영상이나 프로그램 등의 그 밖의 여러 가지 콘텐츠 데이터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로서, 앨범 CD에 기억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일괄해서 이루어진 앨범 음악 데이터 세트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종류의 콘텐츠 데이터가 하나로 정리된 것이면, 그 밖에 여러 가지 형태를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앨범 CD 대신에, DVD(Digital Versatile Disc)-Video나 포토 앨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가, 자동정리 처리 순서 RT1, RT2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콘텐츠 타이틀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자동정리 처리 순서 RT1, RT2를 하드웨어적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음악 데이터)를 유저에 제시하는 방법으로서, 콘텐츠 데이터의 타이틀을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가 정지 화상이면, 그 자체를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해도 되고, 중요한 것은 콘텐츠 데이 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로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2)을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면, PC 등의 그 밖에 여러 가지 정보처리장치를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신 수단(214, 215)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적어도 콘텐츠 식별 정보(ContentID), 콘텐츠 타이틀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보유 영역(AlbumINFO 부분),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AlbumINFO 부분), 수록 순서정보 보유 영역(AlbumINFO 부분)을 포함하는 프린지 정보(속성정보)를 가지고, 상기 프린지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 본체를 관련시켜서 기록 매체(211)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으로서, 또한 화상(타이틀 일람 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화상생성 수단으로서, 또한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수단으로서, CPU(203)을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밖에 여러 가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를 복수 개 보유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로부터,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정보처리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클라이언트 단말,
SV1: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203, 270: CPU,
214: 통신 처리부, 215, 27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laims (9)

  1. 외부장치에 대하여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다운로드 요구 신호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적어도 콘텐츠 식별 정보, 콘텐츠 타이틀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보유 영역,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 수록 순서정보 보유 영역을 포함하는 프린지 정보를 가지고, 상기 프린지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 본체를 관련시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배열되어 표시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의 하위 계층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보유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콘텐츠 타이틀 정보가, 상기 수록 순서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수록 순서정보에 근거하는 순서로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화상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기록 매 체에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를 가지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함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소트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 중 가장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다음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 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부여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되는 모든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새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 부여해서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삭제 수단은,
    지정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동일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와 상기 수록 순서정보를 가지고 가장 새로 생성된 특정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함께 상기 콘텐 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소트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 중 가장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다음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로서의 앨범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는, 앨범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 앨범 식별 정보, 및 앨범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를 가지고, 상기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는 상기 앨범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생성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 및 상기 삭제 수단으로부터, 상기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와 상기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앨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와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을 생성해서 기록 매체에 일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 및 상기 삭제 수단은, 삭제 또는 갱신된 앨범 플레이 리스트 의 상기 앨범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상기 화상생성 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화상생성 수단은, 상기 통지에 근거하여 화상을 재생성하고, 상기 기억매체에 일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는, DVD-Video 또는 포토 앨범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지 정보에는 장르 정보도 포함되고,
    상기 화상생성 수단은,
    조작에 따라 상기 장르 정보가 배열되어 표시되고, 상기 장르 정보의 하위 계층에, 상기 장르 정보가 부여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콘텐츠 타이틀 정보가 더 배열되어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외부장치에 대하여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 구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다운로드 요구 신호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스텝과,
    상기 통신 스텝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적어도 콘텐츠 식별 정보, 콘텐츠 타이틀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보유 영역,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 수록 순서정보 보유 영역을 포함하는 프린지 정보를 가지고, 상기 프린지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 본체를 관련시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배열되어 표시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의 하위 계층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보유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콘텐츠 타이틀 정보가, 상기 수록 순서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수록 순서정보에 근거하는 순서로 더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화상생성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스텝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를 가지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 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함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소트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 중 가장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수록 순서 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다음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부여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를 콘 텐트 데이터 본체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되는 모든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새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 부여해서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9. 컴퓨터에 대하여,
    외부장치에 대하여 특정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다운로드 요구 신호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스텝과,
    상기 통신 스텝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적어도 콘텐츠 식별 정보, 콘텐츠 타이틀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보유 영역,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 수록 순서정보 보유 영역을 포함하는 프린지 정보를 가지고, 상기 프린지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 본체를 관련시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배열되어 표시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의 하위 계층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 보유 영역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타이틀 정보가 보유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콘텐츠 타이틀 정보가, 상기 수록 순서 보유 영역에 보유되는 수록 순서 정보에 기초하는 순서로 더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화상생성 스텝을 실행시키는 콘텐츠 타이틀 표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록 스텝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 및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를 가지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식별 정보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함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작성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소트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 중 가장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다음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오래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부여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되는 모든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가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 중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수록 순서정보에 일치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가 존재할 때, 새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에 부여된 콘텐츠 데이터 세트 플레이 리스트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에 부여하여 콘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타이틀 표시 프로그램.
KR1020067022923A 2004-05-19 2005-05-19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표시 프로그램 KR20070012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9501A JP4423550B2 (ja) 2004-05-19 2004-05-19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タイトル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タイトル表示プログラム
JPJP-P-2004-00149501 2004-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444A true KR20070012444A (ko) 2007-01-25

Family

ID=3539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923A KR20070012444A (ko) 2004-05-19 2005-05-19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표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32538B2 (ko)
JP (1) JP4423550B2 (ko)
KR (1) KR20070012444A (ko)
CN (1) CN100573661C (ko)
WO (1) WO2005111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812A (ko) 2006-03-27 2007-10-0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콘텐츠 리스트 표시장치, 콘텐츠선택 처리 방법 및 콘텐츠 선택 처리장치
JP4946592B2 (ja) * 2007-04-20 2012-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ウンロード装置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530450B2 (ja) 2008-10-28 2014-06-25 エアビク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内のラジオで放送される楽曲の購入
CN101997865A (zh) * 2009-08-27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媒体产品搜索广播电台的方法
US8942888B2 (en) 2009-10-15 2015-01-27 Airbiquity Inc. Extensible scheme for operating vehicle head unit as extend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US9002574B2 (en) 2009-10-15 2015-04-07 Airbiquity Inc. Mobile integration platform (MIP) integrated handset application proxy (HAP)
US8831823B2 (en) 2009-10-15 2014-09-09 Airbiquity Inc. Centralized management of motor vehicle software applications and services
US9370029B2 (en) 2009-10-15 2016-06-14 Airbiquity Inc. Efficient headunit communication integration
US8838332B2 (en) 2009-10-15 2014-09-16 Airbiquity Inc. Centralized management of motor vehicle software applications and services
KR101262525B1 (ko) * 2011-10-05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의 앨범 리스트 관리 방법과 그 시스템
US9104538B2 (en) 2012-06-08 2015-08-11 Airbiquity Inc. Assessment of electronic sensor data to remotely identify a motor vehicle and monitor driver behavior
KR102369985B1 (ko) 2015-09-04 2022-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JP6733240B2 (ja) * 2016-03-18 2020-07-29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一覧の更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963A (ja) 1995-03-31 1996-10-15 Sony Corp フローチャート作成用シートならびに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オーサリング方法
US6622158B1 (en) * 1998-04-20 2003-09-16 Sony Corporation Character information copying syste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US8090619B1 (en) * 1999-08-27 2012-01-03 Ochoa Optics Llc Method and system for music distribution
US6792476B1 (en) * 1999-10-29 2004-09-14 Sony Corpor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JP2001236081A (ja) * 1999-11-12 2001-08-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1202085A (ja) * 2000-01-21 2001-07-27 Toshiba Corp 再生装置
JP4644925B2 (ja) 2000-10-12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4383649B2 (ja) 2000-12-18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編集装置
JP2002319271A (ja) 2001-04-19 2002-10-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22656A (ja) 2001-07-06 2003-01-24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618476B2 (ja) 2001-07-06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50816A (ja) 2001-08-03 2003-02-21 Sony Corp 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
JP2003051179A (ja) 2001-08-03 2003-02-21 Sony Corp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US6829033B2 (en) * 2001-08-31 2004-12-07 Qualcomm Incorporated Presentation scheduling in digital cinema system
CN1249610C (zh) * 2002-04-13 2006-04-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资料自动下载之系统及方法
WO2003100783A2 (en) * 2002-05-24 2003-12-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editing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 method, editing method, and reproduction method
JP4080923B2 (ja) 2002-05-24 2008-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2004117618A (ja) * 2002-09-25 2004-04-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転送方法、および音楽再生装置
JP3994849B2 (ja) 2002-10-25 2007-10-24 ヤマハ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処理用プログラム
JP2004187066A (ja) * 2002-12-04 2004-07-0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EP1435619A3 (en) 2003-01-02 200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edia apparatus with "Slide-Show" and relevant audio output
JP3883971B2 (ja) 2003-02-10 2007-02-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2005044391A (ja) 2003-07-22 2005-02-17 Alpine Electronics Inc プレイリストを用いたオーディオ記録再生装置およびプレイリスト作成方法
JP4518768B2 (ja) 2003-09-16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クライアント機器
JP2005182855A (ja) 2003-12-16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0880A (zh) 2007-04-18
CN100573661C (zh) 2009-12-23
JP4423550B2 (ja) 2010-03-03
JP2005331682A (ja) 2005-12-02
US8032538B2 (en) 2011-10-04
WO2005111994A1 (ja) 2005-11-24
US20090307252A1 (en)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2444A (ko)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표시 프로그램
KR101149900B1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정보처리 프로그램
KR101249531B1 (ko) 관련 정보 연속 출력 방법, 관련 정보 연속 제공 방법, 관련 정보 연속 출력 장치, 관련 정보 연속 제공 장치
JP4415274B2 (ja) 通信方法、通信端末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70014171A (ko) 콘텐츠 취득 방법, 콘텐츠 취득 장치 및 콘텐츠 취득프로그램
WO2005111995A1 (ja) 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提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JP4624265B2 (ja) データ記録制御装置、データ記録制御方法及びデータ記録制御プログラム
KR101123752B1 (ko)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기록 프로그램
JP4582394B2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
KR101129653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070011395A (ko) 화상 데이터 처리장치, 화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화상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JP2005332476A (ja) 情報処理装置
JP4666199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JP4666198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KR20070017456A (ko)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JP4232102B2 (ja) コンテンツ記録保持端末
KR20070018929A (ko) 콘텐츠 제시장치, 콘텐츠 제시 방법 및 콘텐츠 제시프로그램
JP2006004332A (ja) コンテンツ記憶方法
JP2006221257A (ja) 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