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278A - 영상장치, 렌즈 구동 제어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영상장치, 렌즈 구동 제어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278A
KR20070012278A KR1020060068758A KR20060068758A KR20070012278A KR 20070012278 A KR20070012278 A KR 20070012278A KR 1020060068758 A KR1020060068758 A KR 1020060068758A KR 20060068758 A KR20060068758 A KR 20060068758A KR 20070012278 A KR20070012278 A KR 20070012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piezoelectric element
cas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9330B1 (ko
Inventor
시게아키 도미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3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335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21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27864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1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1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piezoelectric actuators

Abstract

제어기는 압전소자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압전소자를 변형하기 위해 구동파형 발생기를 제어하여 렌즈를 이동시킨다. 제어기는 홀장치로 감지된 자기장 강도에 기초하여 렌즈의 위치를 얻는다. 충격 감지회로는 외부 충격으로 유발된 압전소자의 변형에 의해 발생된 전압을 측정한다. 제어기는 충격 감지회로로 측정된 전압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여부를 판단하고, 렌즈의 잘못된 배치의 위치를 감지한다. 잘못된 배치의 위치를 감지할 때, 제어기는 충격이 가해지기 전에 얻어진 위치로 렌즈를 재설정한다.
제어기, 압전소자, 홀소자, 렌즈, 인버터, 구동파형 발생기, 영상회로, RAM, 영상메모리

Description

영상장치, 렌즈 구동 제어방법 및 기록 매체{IMAGING DEVICE, LENS DRIV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외의 목적들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이해함으로서 더 명백해지며, 도면은: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폰의 구조예시를 도시한 외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폰의 카메라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2A는 카메라유닛의 전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카메라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압전소자의 연장 또는 단축을 명백하게 지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연장되고 줄어드는 구동축을 지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셀룰라폰을 도시한 것이며, 도 3A는 연장된 압전소자를, 도 3B는 단축된 압전소자를 전체적인 조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셀룰라폰 및 전자회로의 구조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셀룰라폰의 구동파형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전압파형을 일예로 표시한 타이밍 차트이며, 도 5A는 제 1 인버터 회로로 공급된 전압파형을, 도 5B는 제 2 인버터 회로로 공급된 전압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5C는 압전소자에 인가된 전압의 시간변화를 일예로 표시한 도면이고, 5D는 시간에 따라 압전소자의 위치의 이동을 일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렌즈를 줌확대로 변화하기 위해 구동될 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셀룰라폰 제어기에 의해 실행된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셀룰라폰의 영상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며,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셀룰라폰의 충격 감지 중단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폰의 복수의 렌즈들을 구동하는 렌즈 구동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폰의 개폐 감지자석 및 개폐 감지 홀 장치의 이동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셀룰라폰의 구조 예시 및 전자 장치의 구조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셀룰라폰의 개폐 감지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2개의 회전 기계구조를 갖는 셀룰라폰의 구조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그리고
도 13A 및 13B는 슬라이드 기계구조를 갖는 셀룰라폰의 구조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영상장치,렌즈구동 제어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사용자의 외부수단 등은 셀룰라폰에 장착된 카메라 및 소형화 및 평평함이 요구되는 카메라유닛의 영상 확대력 및 초첨 거리를 변화시켰다. 카메라유닛은 소형화된 스텝모터 및 스텝모터로 영상 렌즈를 움직이게 하는 AF(자동 초점)기능을 가진다.
스텝 모터의 사용은 카메라유닛의 소형화에 국한된다. 카메라유닛의 이러한 형태의 대용에, 최근의 카메라유닛들은 렌즈를 움직이기 위해 사용되는 압전소자(피에조 소자)를 가진다. 압전소자를 사용하는 것은 카메라유닛들을 더 밝게 하고,소형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압전소자들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변형 특징을 가진다.
그런 특징을 가진 압전소자를 지닌 카메라유닛은 소자를 변형하기 위해 압전소자에 적당한 전압을 인가하고 영상 렌즈를 구동한다. 예를 들면,압전소자에 의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장치는 미심사청구된 일본 출원 공개공보 제 2004-294759 호에 개시된다.
압전소자를 사용하는 진동형태 작동기의 진동은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이된다. 렌즈는 진동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렌즈가 우측으로 이동한 후에 렌즈 외부 충격 등이 렌즈 및 렌즈 구동력을 가할 경우, 렌즈를 잘못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촬영을 하면 줌 확대는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되고 초점을 놓치게 되는 문제점을 불러 일으킨다. 그런 문제점은 정확한 위치에서 렌즈를 고정시키는 몇 기계구조를 제공함으로서 극복될 수 있는데, 그 기계구조는 렌즈 구동장치를 확대시키고 렌즈의 잠금/잠금 해제의 제어들을 복잡하게 할 것이다.
그러한 문제들은 셀룰라폰에 장착된 카메라에 국한되지 않고, 진동 형태작동기를 사용하는 광학시스템에서도 일어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환경의 관점에서 비롯되었고, 외부 충격 등이 촬상 시점에서의 영향에 강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라 영상장치는,
렌즈,
렌즈를 통한 피사체 상을 나타내는 영상유닛,
압전소자를 가지고, 인가된 전압을 지닌 압전소자를 변형시키고, 렌즈 및 영상유닛 간에서 조정하는 조정유닛,
조정유닛에 의해 조정된 후에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발생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제 1 감지기, 및
전기신호가 제 1 감지기에 의해 감지될 때, 렌즈와 영상유닛 간의 거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조정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라 렌즈 구동 제어방법은 렌즈, 영상유닛, 조정유 닛, 감지기, 및 제어기를 갖는 영상장치에 의해 실행되며, 그리고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렌즈와 영상유닛 간에서 위치된 압전소자를 조정유닛이 변형시키는 조정단계,
조정유닛에 의해 조정된 후에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발생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감지기가 감지단계,
전기신호가 감지단계에서 감지되었을 때, 제어기가 렌즈와 영상유닛 간에서의 거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조정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라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렌즈 및 영상유닛을 갖는 컴퓨터는,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렌즈와 영상유닛 간에서 위치된 압전소자를 변형하고 렌즈 및 영상유닛 간에서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단계;
조정단계에서 조정된 후에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발생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감지단계가 전기신호를 감지할 때, 렌즈와 영상유닛 간의 거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조정단계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외부 충격이 압전소자에 가해졌을 때 발생된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이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될 때, 본 위치에서 다시 렌즈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렌즈 위치의 잘못된 배치로 인해 야기된 줌 확대 및 초점 이동을 억제한다. 렌즈 구동용 및 외부 충격 감지에 압전소자를 같이 사용함으로서, 공간이 절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을 실행하는 실시예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라 렌즈 제어장치를 갖는 카메라 에 장착된 셀룰라폰(200)의 외부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는 열리는 뚜껑(205)을 지닌 셀룰라폰(200)의 전면부 외형을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1B는 열린 뚜껑(205)으로 후면부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라폰(200)은 힌지유닛(206)이 뚜껑(205)과 주몸체(207)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조되며, 그리고 접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셀룰라폰과 같이, 셀룰라폰(200)은 통화용 스피커(201), 주요 디스플레이 유닛(202), 키이 입력유닛(203), 통화용 마이크로폰(204),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209), 카메라유닛(210), 스트로보스코프 LED(발광 다이오드)(211), 스테레오 스피커(212), 재충전 배터리(213) 등을 가진다.
예를 들면,키이 입력유닛(203)은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카메라 키이(208B), 셔터 동작용 설정 키이(208B), 자동 초점으로 피사체를 맞춘 상태로 유지하는 초점 잠금 키이(208C), 줌 확대를 조정하는 커서 키이(208D)를 가진다. 사용자는 이러한 키이를 조작함으로서 의도에 맞게 셀룰라폰(200)에 지시를 내릴 수 있다.
도 2A와 2B는 카메라유닛(2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카메라유닛(210)의 전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2B는 카메라유닛(210)의 측면 구 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유닛(210)은 영상회로(307), 영상회로(307)에 외부 광을 유도하는 렌즈 시스템(이하에,간단하게“렌즈”라 언급함)(304), 그리고 광학 방향으로 렌즈(304)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 메커니즘(309)을 가진다.
영상회로(307)는 CCD(전하결합소자) 및 CMOS(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와 같은 광전자장치로 일반적으로 배열된 집합체를 포함하고, 수신하는 광을 도트 매트리스 데이터(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전환한다.
렌즈(304)는 렌즈홀더(303)에 의해 수납되고,렌즈홀더(303)와 함께 이동한다. 렌즈(304)가 이동함으로서, 영상회로(307)에 의해 찍히는 피사체 상의 크기(피사체가 찍히는 각도)는 바뀐다. 즉,줌 확대가 바뀐다.
구동 메커니즘(309)은 압전소자(예를 들면, 피에조 소자)(306)를 가지는 진동형태 작동기, 구동축(302),FPCB(유연인쇄 회로기판)(401), 주축(402), SUS(수퍼용 스테인레스강)판(403),압착기판(301) 및 압착기 바아 스프링(305)을 포함한다. 구동 메커니즘(309)은 광학 방향으로 렌즈(304)를 이동시킨다.
압전소자(306)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길어지거나 또는 짧아진다. 구동축(302)은 압전소자(306)의 일개의 표면에 고정되고 묶어지게 되며, 그리고 고정되기 위해 렌즈홀더(303)와 압착기판(301) 간에 끼워진다. FPCB(401)는 압전소자(306)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구동회로이며, 그리고 압전소자(306)의 다른 표면에 고정된다. 주축(402)은 FPCB(401)에 고정되고, 구동축(302)을 지탱한다.SUS판(403)은 금속평판 부재를 포함하고, 카메라유닛(210)에 주축(402)을 고정 한다.
압착기판(301)은 렌즈홀더(303)와 함께 구동축(302)에 끼워지고, 구동축(302)을 고정한다. 압착기 바아 스프링(305)은 도면(렌즈 홀더(303))에서와 같이, 하부로 압착기 판(301)을 끌며, 그리고 렌즈홀더(303)와 구동축(302) 간에서 적당한 마찰을 준다.
도 3A 및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306)는 FPCB(401)로부터의 제어(구동)신호에 의해 길어지거나,짧아지게 된다.구동축(302)의 위치는 압전소자(306)의 연장 또는 단축에 따라 이동한다.
저속으로 압전소자(306)가 길어지거나 또는 짧아지고 구동축(302)이 저속으로 이동함으로서, 구동축(302)과 렌즈홀더(303)간의 마찰은 연장 또는 단축 방향으로 렌즈홀더(303)를 이동시킨다. 그러나, 고속으로 압전소자(306)가 길어지거나 또는 짧아질 때는 관성 때문에 마찰부가 미끄러져서 렌즈홀더(303)는 거의 움직이지 않고 대략 같은 위치에 남게 된다.
특히,렌즈(304)는 도 2B에서의 심볼(Y1)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상태까지 저속으로,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3A에 도시된 상태까지 고속으로 전환상태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렌즈(304)는 영상회로(307)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렌즈(304)는 도 2B에서의 심볼(Y2)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3A에 도시된 상태까지 저속으로,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상태까지 고속으로 전환 상태동작을 반복함으로서, 렌즈(304)는 영상회로(307)에 가깝게 된다.
카메라유닛(210)은 렌즈(304)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메커니즘을 가진다. 위치 측정 메커니즘은 렌즈홀더(303)에 고정된 자석(310)(도 2A에서 도시됨), 카메라유닛(210) 외부 프레임에 배치된 홀소자(308)를 포함한다.
자석(310)과 홀소자(308) 간의 거리는 렌즈홀더(303)의 위치에 따라 바뀌며, 그리고 홀소자(308)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강도는 거리의 변화에 따라 바뀐다. 따라서, 위치 측정 메커니즘은 홀소자(308)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강도에 기초하여 렌지 홀더(303)의 위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셀룰라폰(200)의 회로 구조를 설명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것처럼,예를 들면,셀룰라폰(200) 내부 회로는 제어기(108),키이 입력유닛(203),영상회로(307),홀소자(308),영상메모리(121),충격 감지회로(110),구동회로(111)를 가진다.
제어기(108)는 CPU(중앙 처리 유닛),RAM(랜덤 억세스 메모리),ROM(판독전용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ROM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셀룰라폰(200)의 각 유닛을 제어한다. 특히,실시예에서,제어기(108)는 키이 입력유닛(203)부터 지시에 따라 피사체 상에 대하여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제어기(108)는 커서 키이(208D)의 조작의 반응으로 구동회로(111)를 제어하고,렌즈(30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연장되고 단축된 압전소자(306)를 가진다. 충격 감지회로(110)로부터 감지신호에 반응하여,제어기(108)는 렌즈(304)의 위치를 재조정한다. 또한, 키이 입력부(203)부터 지시에 반응하여,예를 들면,제어기(108) 는 영상회로(307)에 의해 나타난 영상을 얻고, 영상을 영상메모리(121)에 저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 처리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있다.
키이 입력유닛(203)은,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 키이(208A)의 조작 반응으로 카메라 활성화 지시로, 설정 키이(208B)의 조작 반응으로 셔터지시(영상획득 지시)로, 커서 키이(208D)의 조작 반응으로 줌인(줌확대 증가)/ 줌아웃(줌확대 감소) 지시로 제어기(108)를 공급한다.
영상회로(307)는 제어기(108)의 제어하에 영상메모리(121)에 피사체의 상을 나타냄으로서 얻게 되는 영상 데이터를 공급한다.
홀소자(308)는 제어기(108)를 감지된 자기장 강도에 기초하여 렌즈(304)의 위치를 지시하는 신호로 공급한다.
영상메모리(121)는,예를 들면,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하고,영상회로(307)의 영상동작으로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영상메모리(121)는 제거할 수 있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구동회로(111)는 FPCB(401)상에 장착되고,제어기(108)부터의 지시에 따라 렌즈(304)를 이동시키는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 구동신호를 압전소자(306)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구동회로(111)는 전원유닛(101),구동파형 발생기(102),제 1 인버터 회로(104), 제 2 인버터 회로(105),전류를 제한하는 저항기(112) 및 전원을 안정시키는 커패시터(112)를 포함한다.
각 인버터 회로들(104,105)은,P-채널 MOSFETS(금속 산화 반도체 영역 영 향 트랜지스터)(104A,105A) 및 N-채널 MOSFETS(104B, 105B)를 포함하고 있는 CMOS(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의 인버터 회로이다.
전원유닛(101)은 전자 회로에 전원 전압(Vcc)을 공급한다. 구동파형 발생기(102)는 제어기(108)로부터 지시에 반응하여 압전소자(306)를 제어하는 한 쌍의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원유닛(101)은 전선(103A)을 통하여 구동신호들 중 하나를 제 1 인버터 회로(104)에 공급하고, 전선(103B)을 통하여 다른 신호를 제 2 인버터 회로(105)에 공급한다. MOSFETS(104A, 104B)의 게이트 전극들에 공급된 신호 전압이 높은 레벨인 경우,N-채널 MOSFET(104B)만 ON이 되며, 그리고 도면의 좌측 상에(제 1 인버터 회로(104)측)압전소자(306)의 전극 전압은 낮은 레벨이 된다. 반면에, MOSFETS(104A, 104B)의 게이트 전극들에 공급된 신호 전압이 낮은 레벨인 경우,P-채널 MOSFET(104A)만 ON이 되며, 그리고 도면의 좌측 상에(제 1 인버터 회로(104)측) 압전소자(306)의 전극 전압은 전원전압(Vcc)과 거의 같게 된다.
마찬가지로, MOSFETS(105A, 105B)의 게이트 전극들에 공급된 신호 전압이 높은 레벨인 경우,N-채널 MOSFET(105B)만 ON이 되며, 그리고 도면의 우측 상에(제 2 인버터 회로(105)측)압전소자(306)의 전극 전압은 낮은 레벨이 된다. 반면에, MOSFETS(105A, 105B)의 게이트 전극들에 공급된 신호 전압이 낮은 레벨인 경우,P-채널 MOSFET(105A)만 ON이 되며, 그리고 도면의 우측 상에(제 2 인버터 회로(105)측) 압전소자(306)의 전극 전압은 전원전압(Vcc)과 거의 같게 된다.
예를 들면, 구동파형 발생기(102)가 제어기(108)로부터 줌아웃(줌확대 감소) 의 지시를 수신함으로서,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독립 전압 파형 (WA,WB)이 발생된다.도면에서 수평축들은 시간을,그리고 수직축들은 전압을 나타낸다. 구동파형 발생기(102)는 전선(103A)을 통하여 제 1 인버터 회로(104)에 도 5A의 전압파형(WA)를 공급하고, 전선(103B)을 통하여 제 2 인버터 회로(105)에 도 5B의 전압파형(WB)를 공급한다. 전압 파형(WA, WB) 둘 다 때문에, 도 5C에서 도시된 전압은 압전소자(306)의 양극들 간에서 인가된다. 압전소자(306)의 우측(제 2 인버터 회로(105)측)전극의 전압이 좌측의(제 1 인버터 회로(104)측)전극의 전압보다 높은 상태가 양극 상태라 가정한다. 전압파형(WA)이 낮은 레벨인 경우,그리고 전압파형(WB)이 높은 레벨인 경우, 압전소자(306)에 인가된 전압은 -Vp가 된다. 전압파형(WA)이 높은 레벨인 경우,그리고 전압파형(WB)이 낮은 레벨인 경우, 압전소자(306)에 인가된 전압은 +Vp가 된다.
도 5C에서 도시된 전압이 압전소자(306)에 인가됨으로서, 도 5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압전소자(306)는 고속으로 짧게 하고 저속으로 길게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 결과, 렌즈홀더(303) 및 렌즈(304)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렌즈(304)는 영상회로(307)에 떨어져 이동한다.
구동파형 발생기(102)가 제어기(108)로부터 줌인(줌확대 증가)의 지시를 수신함으로서, 구동파형 발생기(10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3A)을 통하여 제 1 인버터 회로(104)에 전압파형(WA)를 공급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3B)을 통하여 제 2 인버터 회로(105)에 전압파형(WB)를 공급한다. 따라서,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파형의 극성을 역으로 하는 전압이 압전소 자(306)에 인가하게 되고, 도 5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306)의 이동은 상하로 뒤바뀌는 모양이 된다. 즉,압전소자(306)는 고속으로 길게 하는, 저속으로 짧게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렌즈홀더(303) 및 렌즈(304)는 후방으로 이동하고(도 2B의 우측), 렌즈(304)는 영상회로(307)와 점점 가깝게 된다.
충격 감지회로(110)는 FPCB(401)에 장착되고,셀룰라폰(200)의 외부로부터 충격(외력)을 감지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렌즈(304)의 위치는 렌즈 홀더(303)와 구동축(102) 간의 마찰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므로,충격 같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렌즈(304)는 잘못된 위치로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충격 감지회로(110)는 충격을 감지하고,제어기(108)에 통지한다.
압전소자(306)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변형시키는 특징, 및 외력에 의해 변형될 때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충격 감지회로(110)는 외력을 감지하기 위해 압전소자(306)의 특징을 이용한다. 충격 감지회로(110)는 압전소자(306) 양극 간의 전위차를 증폭하는 연산 증폭기(106), 및 연산 증폭기(106)의 출력 전압 상의 아날로그 대 디지털 전환을 실행하는 A/D 컨버터(107)를 포함한다.충격 감지회로(110)는 FPCB(401)에 장착된다.렌즈(304)를 구동하고,같은 압전소자(306)로 충격을 감지함으로서,압전소자(306)의 연장 또는 단축 방향은 압전소자(306)에 인가된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의 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FPCB(401)의 공간은 절약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106)는 압전소자(306)에 발생된 순간 전압차를 증폭하고,A/D 컨버터(107)에 증폭된 전압차를 공급한다. A/D 컨버터(107)는 공급된 전압차(아 날로그 값)를 디지털값으로 전환하고,제어기(108)에 디지털 값을 공급한다. 제어기(108)는, 압전소자(306)의 힘이 A/D 컨버터(107)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값에서의 레벨보다 크거나 같은 여부를 판단하여, 어떤 충격 및 외력이 렌즈(304)의 이동가능 방향에 가해진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상술한 구조를 사용하는 셀룰라폰(200)의 동작은 도 7의 순서도와 관련지어 설명된다.
예를 들면,사용자가 셀룰라폰(200)의 카메라로 촬영을 원할 때,사용자는 카메라 키이(208A)를 누른다. 이 키이 조작에 반응하여,제어기(108)는 영상모드(피사체를 영상화하는 모드)로 모드를 설정하고, 카메라유닛(210)을 활동적으로 한다. 설정 키이(208B)를 누름으로서 영상이 실행되고, 제어기(108)는 영상메모리(121)내의 영상회로(307)로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주요 디스플레이 장치(202)에 공급하며, 그리고 영상을 화면표시한다. 사용자가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길 원할 때는 커서 키이(208D)를 적절하게 조작함으로 확대 변경이 가능하다. 이것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확대 변화 처리)
예를 들면,커서 키이(208D)를 누름으로서,영상 확대를 변경하는 지시가 주어짐에 따라, 제어기(108)는 도 6의 순서도에 도시된 처리를 시작한다. 우선,제어기(108)는 충격 감지회로(110)를 OFF한다(단계 S101). OFF하는 것은 전원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멈추고,제어기(108)로의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것이다. 충격 감지회로(110)가 OFF로 되는 이유는 제어기(108)가 충격으로부터 발생된 전압과 같이 구 동파형 발생기(102)로 발생된 구동신호를 잘못 감지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다음으로,제어기(108)는 눌러진 커서 키이(208D)에 부합하는 구동신호로 압전소자(306)를 구동하는 처리(피에조 구동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2). 예를 들면,커서 키이(208D)의 상부를 누름으로서, 제어기(108)는 줌인이 주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도 5A, 5B에 도시된 구동파형(WA, WB)이 각 인버터 회로(104,105)에 공급되는 방식으로 구동파형 발생기(102)를 제어한다. 커서 키이(208D)의 하부를 누름으로서, 제어기(108)는 줌아웃이 주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도 5A, 5B에 도시된 구동파형(WA, WB)이 각 인버터 회로(105,104)에 공급되는 방식으로 구동파형 발생기(102)를 제어한다. 도 5C에 도시된 전압파형 또는 역으로 된 전압파형은 압전소자(306)에 인가된다. 구동파형은 렌즈(304)가 움직이는 방향 및 이동량(발생된 펄스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이 방식으로, 압전소자(306)는 연장 또는 단축을 반복하여, 제어기(108)는 렌즈(304)의 위치를 제어한다.
제어기(108)는 렌즈(304)의 이동처리 종료 여부, 즉, 커서 키이(208D)가 종료된 여부, 또는 렌즈(304)가 이동가능한 경계 범위(막다른 곳)에 이른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 제어기(108)는 렌즈(304)가 막다른 곳에 이르거나, 또는 홀소자(308)로 자기장 강도의 감지 레벨에 기초하여 아닌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아직 종료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때(단계 S103 ; NO), 제어기(108)는 단계 S102로 처리를 계속한다. 사용자는 렌즈(30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원하는 줌 확대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렌즈(304)의 피사계 심도가 깊고 피사체가 렌즈(304)의 이동가능한 범위내에 항상 초점에 잡힌다고 가정한다.
단계 S103에서,처리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될 때(단계 S103 ; YES), 제어기(108)는 홀소자(308)의 출력전압을 얻고, RAM에 얻어진 값을 저장한다(단계 S104). 이 값은, 렌즈(304)의 이동 처리를 종료할 때 렌즈(304)의 위치를 지시한다.
그 후에,제어기(108)는 충격 감지회로(110)를 ON으로 하고(단계 S105), 압전소자(306)의 기전 전압을 측정가능한 상태로 충격 감지회로(110)를 설정한다.
(영상 처리)
예를 들면,설정 키이(208B)를 누름으로서, 피사체 상이 주어짐에 따라, 제어기(108)는 도 7A에서 도시된 처리를 시작한다.제어기(108)는 영상회로(307)의 동작을 영상화시킴으로서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메모리(121)내에 이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201). 영상메모리(12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의 형식은 임의적이다.영상메모리(121)는 별개의 전자 파일로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중단 처리)
다음으로,외부 충격을 감지하고,렌즈(304)의 위치를 조정하는 동작은 도 7B와 관련지어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제어기(108)는 충격감지를 지시하는 중단 신호를 수신함으로, 이 처리를 시작한다. 또는 제어기(108)는 주기적인 타이밍으로 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은 이 경우에 국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셀룰라폰(200)의 카메라를 사용하고,피사체 상을 만들면서, 어떤 외부 충격 또는 외력이 셀룰라폰(200)에 가해짐에 따라, 압전소자(306)는 비틀리게 되고 순간 전압이 발생된다. 연산 증폭기(106)는 압전소자(306)에 의해 발생된 순간 전압을 증폭하고,A/D 컨버터(107)에 증폭된 전압을 공급한다. A/D 컨버터(107)는 공급된 전압(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전환하고,제어기(108)에 디지털 값을 공급한다. 이것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우선,제어기(108)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된 증폭된 값의 디지털 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1). 임계값은 사전에 설정되고, 영상 렌즈(304)가 이동하는 방식으로 최소값으로 설정된다.
A/D 컨버터(107)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할 때(단계 S301 ; YES), 제어기(108)는 렌즈의 이동방향, 및 RAM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렌즈(304)의 위치와, 홀소자(308)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강도에 기초하여 얻어진 렌즈의 현위치 간의 차이로부터 이동량을 얻고, 얻어진 방향 및 양을 구동파형 발생기(102)에 공급한다(단계 S302).
구동파형 발생기(102)는 렌즈(304)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에 기초하여 본 위치에 렌즈(304)를 이동하는 구동 전압파형을 발생하고,렌즈(304)를 이동시킨다(단계 S303). 제어기(108)는 홀소자(308)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강도를 감시할 수 있고, 렌즈(304)가 적당한 위치로 되돌아 올 때까지, 구동 전압은 공급되는 방식으로 구동파형 발생기(102)를 제어한다.
반대로, A/D 컨버터(107)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 로 판단할 때(단계 S301 ; NO), 제어기(108)는 렌즈(304)의 위치를 보정하지 않고, 충격 감지 중단처리를 종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폰(200)의 제어기(108)는 충격 감지회로(110)부터 공급된 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여부를 판단하여, 렌즈(304)의 잘못된 위치 배치를 감지한다. 잘못된 위치 배치를 감지할 때, 제어기(108)는 다시 본 위치로 렌즈(304)를 설정하여서, 잘못 조정된 줌 확대로 촬영이 실행되는 문제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
렌즈(304)를 구동시키고,같은 압전소자(306)로 충격을 감지함으로, 압전소자(306)의 연장 또는 단축방향은 렌즈(304)가 충격에 의해 움직이는 방향으로 따라 갈 수 있어, 공간은 절약될 수 있다. 렌즈(304)의 위치를 고정하는 마개 등을 배치하는 것은 필요 없어서, 소형화 및 무게 감소를 용이하게 한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렌즈(304)의 피사계 심도가 깊고 피사체가 렌즈(304)의 이동가능한 범위내에서 항상 초점이 잡힐 수 있는 방식으로 구조된 카메라유닛(210)을 설명하였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보다 더 고성능 카메라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본 발명은 줌 및 초점을 별도로 조정할 수 있는 카메라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의 렌즈들(304)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렌즈(304)의 위치로 배치된다. 진동 작동기 및 구동회로는 각 렌즈에 대해 배치되고, 각 렌즈(304)의 위치는 감지된다. 각 렌즈(304)에 관해서 진동 형태 작 동기 및 구동회로를 배치함으로, 초점의 줌 확대 및 초점 조정의 변화를 별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따라서,렌즈(304)의 피사계 심도가 깊지 않음으로서, 셀룰라폰(200)의 카메라는 보다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충격 감지회로(110)는 압전소자(306) 중 임의의 어떤 하나의 기전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런 구조를 갖는 카메라유닛의 제어기(108)로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한다.
셀룰라폰(200)의 카메라로 촬영을 원할 때, 사용자는 카메라 키이(208A)를 누른다. 따라서,셀룰라폰(200)은 피사체를 영상화하는 모드로 설정되고, 카메라유닛(210)은 활성화된다. 사용자가 줌확대를 바꾸고 싶어할 때,사용자는 커서 키이(208D)를 누른다. 제어기(108)는 상술된 확대변화 처리를 실행하고, 구동신호를 각 압전소자(306)에 공급하며, 그리고 예를 들면, 같은 방향으로 각 렌즈(304)를 이동하고 줌확대를 변화한다(단계 S102). 각 렌즈(304)의 구동방법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같다. 각 렌즈(304)의 이동이 종료됨으로서, 제어기(108)는 각 렌즈(304)의 위치를 저장한다(단계 S104).
실시예에서, 렌즈(304)의 피사계 심도가 깊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초점은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필요성에 따라, 자동 초점 잠금 키이(208C)를 누른다. 이 사용자의 조작에 반응하여,제어기(108)는 도 8에서 도시된 자동 초점 처리를 시작한다.
(자동 초점 처리)
우선, 제어기(108)는 충격 감지회로(110)를 OFF로 한다(단계 S401). 그 후에,제어기(108)는 압전소자들(306) 중 어떤 하나를 구동시킴으로서 렌즈들(304) 중 어떤 한 개를 이동시키며, 그리고 영상회로(307)에 의해 나타난 영상을 초점으로 잡는다(단계 S402). 카메라가 초점을 벗어난 경우(단계 S403 ; NO), 제어기(108)는 단계 S402 처리를 반복하며, 그리고 피사체가 초점에 잡힌 경우(단계 S403 ; YES), 제어기(108)는 다음 처리 흐름으로 이동한다. 초점을 잡는 설계는 임의적이며, 그리고 예를 들면, 영상회로(307)로 촬영된 영상의 각 픽셀 광도의 분산이 초점이 잡힌 상태만큼 큰 상태인 차지된 설계는 사용될 수 있다. 광도의 대조를 사용하는 설계와 같은 다른 설계, 및 광 위상차이를 감지하는 설계는 초점을 잡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초점 잡는 것이 종료될 때(단계 S403 ; YES), 이 초점이 잡힌 상태에서 개별적 렌즈들(304)의 위치는 일시적으로 RAM에 저장된다(단계 S404).
그 후에,제어기(108)는 충격 감지회로(110)를 ON으로 하고(단계 S405),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기(108)가 자동 초점 처리를 실행하면서, 어떤 충격 또는 외력이 셀룰라폰(200)에 가해짐으로서,충격 감지회로(110)는 충격이 감지된 것을 제어기(108)에 통지한다. 제어기(108)는 상술된 충격 감지 중단 처리를 시작한다. 즉, 충격 때문에, 제어기(108)는 감지된 전압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1). 전압값이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할 때(단계 S301 ; YES), 제어기(108)는 RAM(최근에 측정된 각 렌즈(304)의 위치)에 저장된 각 렌즈(304)의 위치로 각 렌즈(304)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파형 발생기를 가진다(단계 S302). 압전소자(306)는 입력 구동신호에 따라 길게 하거나 또는 짧게 하 며, 그리고 렌즈(304)는 본 위치로 되돌아 온다(단계 S303).
비록 외부 충격이 셀룰라폰(200)에 가해질 경우조차도, 줌 조정 또는 초점을 잡은 후 적당한 위치로 각 렌즈(304)의 위치를 되돌리는 것은 그런 구조를 사용함으로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에서,셀룰라폰(200)은 뚜껑(205)이 열리고/닫히는 것으로부터 발생된 진동 및 충격을 감지할 수 있고, 렌즈(30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감지자석(501) 및 개폐 감지 홀소자(502) 각각은 셀룰라폰(200)의 뚜껑(205) 및 주몸체(207)에 내장되어 있다. 개폐 감지자석(501)과 개폐 감지 홀소자(502) 간의 거리는 뚜껑(205)이 열리고/닫히는 것에 따라, 변화한다. 개폐 감지 홀소자(502)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장 강도는 거리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제어기(108)는 개폐 감지 홀소자(502)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셀룰라폰(200) 뚜껑(205)의 개폐상태를 판단한다. 셀룰라폰(200)은 개폐된 뚜껑(205)을 가진 카메라유닛(210)으로 피사체의 상을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실시예의 셀룰라폰(200) 회로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셀룰라폰(200) 내부 회로는 제어기(108)에 따라 ,뚜껑(205)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회로(500)를 가지고, 다양한 지시 및 정보를 입력하는 키이 입력유닛(203),영상회로(307),홀소자(308),영상메모리(121) 및 구동회로(111)를 가진다.
제어기(108)는 카메라유닛(210)이 RAM에 영상 가능한 상태의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유닛(210)이 전원으로 공급되고, 영상이 가능한 상태로 있는 경우 플래그는 1로 설정된다.카메라유닛(210)이 전원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 플래그는 0으로 설정된다.
개폐 감지회로(500)는 개폐 감지 홀소자(502)를 가지며, 개폐 감지자석(501)으로부터 수신된 자기장 강도를 전압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전압을 제어기(108)에 공급한다. 뚜껑(205) 및 주몸체(207)의 개폐가 카메라 활성화 후 실행될 때, 개폐의 충격 때문에 잘못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개폐 감지회로(500)는 뚜껑(205)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여 제어기(108)에 통지한다.
실시예의 셀룰라폰(200)이 충격 감지회로(110)를 가진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셀룰라폰(200)은 충격 감지회로(110)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개폐 감지처리)
제어기는 개폐 감지회로(500)를 제어하고,도 11의 순서도에 도시된 개폐 감지처리를 시작한다. 전형적으로, 렌즈(304)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제 1 실시예의 단계 S104에 저장된 후 충격 감지회로(110)가 단계 S105에서 ON으로 되기 전에 이 처리는 실행된다. 또는 제어기(108)는 주기적인 타이밍으로 이 처리를 실행한다. 셀룰라폰(200)의 뚜껑(205) 및 주몸체(207)가 열리거나 또는 닫힐 때, 렌즈(304)의 위치는 이동될 수 있다. 제어기(108)는 이 잘못된 배치의 위치를 막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개폐 감지회로(500)는 개폐 감지 홀소자(502)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장 강도를 전압으로 전환하고, A/D 컨버터(107) 등은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 고,얻어진 전압값을 제어기(108)에 공급한다. 이것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우선,제어기(108)는 셀룰라폰(200)이 열렸는지 또는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01). 특히,개폐 감지회로(500)로부터 공급된 전압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기(108)는 뚜껑(205)이 열린 것으로 판단한다. 개폐 감지회로(500)로부터 공급된 전압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기(108)는 뚜껑(205)이 닫힌 것으로 판단한다. 임계값은 사전에 설정된 값이다.
셀룰라폰(200)이 열리거나 또는,닫힌 것을 판단할 때(단계 S501 ; YES), 제어기(108)는 렌즈(304)를 이동시키는 방향, 및 RAM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렌즈 위치와, 홀소자(308)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강도로부터 얻어진 현 렌즈 위치 간의 차이에서의 이동량을 얻고, 구동파형 발생기(102)에 그것들을 공급한다. 즉,제어기(108)는 렌즈(304)를 RAM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본 위치로 이동한다(복귀한다)(단계 S502). 제어기(108)는 홀소자(308)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강도를 감시하고, 렌즈(304)가 적당한 위치로 되돌아 올 때까지 압전소자를 길게 하거나 또는 짧게 하는 구동파형 발생기(102)를 제어한다.
후에,제어기(108)는 카메라가 촬영 가능한 상태에 있는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03). 카메라유닛(210)이 영상 가능한 상태에 있는 여부를 지시하는 상술된 플래그에 관한 판단으로 실행한다.
셀룰라폰(200)이 열리거나 또는 닫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때(단계 S501 ; NO), 카메라가 렌즈(304)위치의 보정없이 촬영 가능한 상태의 여부를 제어기(108)는 판단한다(단계 S503).
그것이 영상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때(단계 S503 ; YES), 제어기(108)는 다시 단계 S301의 처리로 되돌아가고,뚜껑(205)이 열려는지 또는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것이 영상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때(영상 모드가 종료됨)(단계 S503 ; NO), 제어기(108)는 개폐 감지처리를 종료한다.
실시예의 셀룰라폰(200)의 제어기(108)는 개폐 감지회로(500)로부터 공급된 값으로 뚜껑(205)이 열렸는지 또는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뚜껑(205)이 열렸을 때는 렌즈(304)의 잘못된 배치의 위치를 막을 수 있다.
상술한 자동 초점 처리와 결합해서 개폐 감지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형적으로,각 렌즈(304)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단계 S404에 저장된 후,충격 감지회로(110)가 단계 S405에서 ON으로 되기 전에 개폐 감지처리는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개폐 감지회로(500)로부터 공급된 값으로 뚜껑(205)이 열렸는지 또는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자동 초점 처리를 실행할 때 제어기(108)는 각 렌즈(304)의 잘못된 배치의 위치를 막을 수 있다.개폐로부터 발생된 충격과 다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조차도, 최근 줌 조정 또는 초점을 잡은 후에 각 렌즈(304)의 위치를 적당한 위치로 되돌리는 것은 가능하다.
외형,기계구조,회로 구조, 및 상술한 각 유닛의 동작, 파형, 및 순서도는 단지 예시이며, 동일 동작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는 경우 임의로 수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도 12A 내지 12D는 상술된 힌지유닛(206) 구조와 다른, 회전 기 계구조를 가지는 셀룰라폰(600)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회전 유닛(2061)은 힌지유닛(206)과 같은 것으로서 뚜껑(205)을 열거나 또는 닫는다. 제 1 회전 유닛(2061)이 뚜껑(205)을 회전하게 한 후,제 2 회전 유닛(2062)은 주요 디스플레이 유닛(202)의 디스플레이면 수평 방향으로 뚜껑(205)을 회전하게 한다.
도 12A는 뚜껑(205)이 제 1 회전 유닛(2061)으로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전면부이다. 도 12B는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 부이다. 도 12C는 뚜껑(205)이 도 12A에서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 2 회전 유닛(2062)에 의해 회전되고,전면으로서 있는 주요 디스플레이 유닛(202)의 디스플레이면으로 주몸체(207) 상을 겹친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전면부이다. 도 12D는 닫힌 상태의 측면부이다. 이러한 각 실시예의 같은 구조 부분들은 동일 참조 번호, 및 생략될 설명들에 의해 설명된다. 이러한 도면에서,셀룰라폰(600)은 셔터 키이(301)를 가지며, 그리고 사용자는 셔터 키이(301)를 누름으로서 열린 상태거나 또는 닫힌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런 회전 기계구조를 갖는 셀룰라폰(600)이 제 2 회전 장치(2062)에 의해 도 12A의 열린 상태에서 도 12C의 닫힌 상태로 변형될 때,충격은 렌즈(304) 및 압전소자(306)에 가해질 수 있다.셀룰라폰(600)은 충격을 감지함으로서 렌즈 위치를 다시 설정하기 위한 방식으로 구조될 수 있다. 렌즈 위치는 제 1 회전 유닛(2061)의 개폐에서 발생된 충격을 감지함으로서 다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도 13A 및 13B는 슬라이드 기계구조를 갖는 셀룰라폰(7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는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B는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각 실시예의 동일 구조 부분은 동일 참조 번호 및 생략될 설명에 의해 설명된다.
슬라이드 기계구조를 갖는 셀룰라폰(700)에서,슬라이드 유닛(2063)이 움직이고, 도 13A의 열린 상태에서 도 13B의 닫힌 상태로, 또는 도 13B의 닫힌 상태에서 13A의 열린 상태로 변화할 때, 움직임으로 발생된 충격은 렌즈(304) 및 압전소자(306)에 가해질 수 있다. 셀룰라폰(700)은 충격을 감지함으로 렌즈 위치를 다시 설정하는 방식으로 구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들에서 연속적으로 줌 확대를 변화하지만,노말 모드(일반 촬영모드) 및 매크로 모드(접사 촬영모드) 간의 변환과 같이 2 단계, 3 단계로 단계식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할 때 제어기(108)는 렌즈(304)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구동파형 발생기(102)로 발생된 구동신호의 파형은 직사각형이 아니고,톱니 모양일 수 있다. 압전소자(306)의 구동회로(111)는 CMOS 인버터 회로로 구성되지만, 그러나, 예를 들면,H 브리지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 안에서,제어기(108)는 홀소자(308)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장 강도에 기초하여 렌즈(304)의 위치를 얻고,일시적으로 렌즈 위치를 RAM에 저장한다. 소정의 임계값보다 충격이 크게 가해지는 경우, 제어기(108)는 RAM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위치로 되돌아 오기 위해 렌즈(304)를 제어한다. 그러나 제어기(108)는 렌즈(304)가 이동되고 소정의 복귀 위치로 되돌아도게 되는 방식으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소정의 복귀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ROM,플래쉬 메 모리 등에 저장된다. 특히,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는 촬영모드,줌 확대 등에 따라 소정의 복귀 위치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소정의 제 1 복귀 위치는 일반 촬영 모드에 따라서 저장되고, 소정의 제 2 복귀 위치는 접사 촬영모드에 따라 저장된다. 충격 감지회로(110)가 임계값보다 더 큰 충격을 감지함으로서, 제어기(108)는 현재 촬영 모드, 또는 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로부터의 줌 확대에 따라 복귀위치를 얻으며, 그리고 렌즈(304)가 복귀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어를 실행한다.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촬영모드의 수 또는 줌 확대 값은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서 이 설계는 특히나 효과적이다. 촬영모드 또는 줌 확대에 따라 복귀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기(108)에 의해 이 설계는 실현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된 휴대용 통신 단자는 상술된 각 실시예에서 기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경우에 국한되지 않고,일반적으로 사용된 전기 카메라 또는 카메라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각 실시예에서 제어기(108)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사전에 ROM에 저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경우에 국 되지 않고, 상술된 실시예의 상술된 제어 같은 제어는 기존 카메라 장치로 상술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행될 수 있다. 그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설계는 임의적이며, 예를 들면,프로그램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 매체 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메모리 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되고,배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 변화들은 본 발명의 넓은 범위 및 요점에 일탈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보다 첨부된 청구항들로 나타난다. 다양한 수정은 본 발명의 청구항의 균등한 의미내에서 만들어지며, 그리고 청구항내에서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간주된다.
이 출원은,출원의 명세서, 청구항, 도면 및 요점을 포함하는 일본 특허 출원 2005년 7월 22일에 제출된 제 2005-213330호,및 일본 특허 출원 2005년 11월 4일에 제출된 제 2005-321005호에 기초한다. 상술된 일본 특허 출원의 개시는 당업자의 완전한 참조에 의해 여기에 병합된다.

Claims (12)

  1.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한 피사체 상을 나타내는 영상유닛;
    압전소자를 가지고, 인가된 전압을 지닌 상기 압전소자를 변형시키고, 상기 렌즈 및 상기 영상유닛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유닛;
    상기 조정유닛에 의해 조정된 후에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발생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제 1 감지기; 및
    상기 전기신호가 상기 제 1 감지기에 의해 감지될 때, 상기 렌즈와 상기 영상유닛 간의 상기 거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위치를 얻는 획득유닛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조정유닛으로 조정의 시간으로 상기 획득유닛에 의해 얻은 제 1 위치가 상기 제 1 감지기에 의한 감지 시점에서 상기 획득유닛에 의해 얻은 제 2 위치와 다를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렌즈를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부재, 및 상기 제 1 수용 부재를 이동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제 2 수용 부재 상에 구비되고, 자기장 강도에 의해 상기 제 1 수용 부재와 상기 제 2 수용 부재 간의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한 쌍의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획득유닛은 상기 감지부로 감지된 상기 자기장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렌지의 상기 위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2 위치와 다를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렌즈를 상기 저장된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소정의 지시신호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유닛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지시신호가 상기 수신유닛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와 다를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렌즈를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신호가 상기 수신유닛으로 입력되고 상기 렌즈가 이동가능한 범위에 이르지 않을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감지기를 무력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케이스,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간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키는 변형 기계구조, 및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간의 상기 위치 관계가 상기 변형 기계구조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2 감지기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렌즈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간의 상기 위치 관계가 변화되는 것을 상기 제 2 감지기가 감지할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렌즈와 상기 영상유닛 간의 상기 거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가 회전축을 갖는 상기 변형 기계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제 2 케이스를 겹쳐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회 전축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를 슬라이딩하게 하는 상기 변형 기계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겹쳐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10. 렌즈, 영상유닛, 조정유닛, 감지기, 및 제어기를 갖는 영상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렌즈구동 제어방법은: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상기 렌즈와 상기 영상유닛 간에서 위치된 상기 압전소자를 상기 조정유닛이 변형시키는 조정단계;
    상기 조정단계에 조정된 후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발생된 전기신호를 상기 감지기가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상기 전기신호가 상기 감지단계에 감지되었을 때, 상기 렌즈와 상기 영상유닛 간의 거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조정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제어방법.
  11. 렌즈 및 영상유닛을 갖는 컴퓨터가: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상기 렌즈와 상기 영상유닛 간에서 위치된 상기 압전소자를 변형하고 상기 렌즈 및 상기 영상유닛 간에서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단계;
    상기 조정단계에서 조정된 후에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발생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가 상기 전기신호를 감지할 때, 상기 렌즈와 상기 영상유닛 간의 상기 거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단계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12.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한 피사체 상을 나타내는 영상수단;
    인가된 전압으로 압전소자를 변형시키고, 상기 렌즈 및 상기 영상수단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상기 압전소자를 갖는 조정수단;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후에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발생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전기신호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될 때, 상기 렌즈와 상기 영상유닛 간의 상기 거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KR1020060068758A 2005-07-22 2006-07-21 촬상 장치,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819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3330A JP2007033570A (ja) 2005-07-22 2005-07-22 撮像装置、及び、レンズ駆動制御方法
JPJP-P-2005-00213330 2005-07-22
JPJP-P-2005-00321005 2005-11-04
JP2005321005A JP2007127864A (ja) 2005-11-04 2005-11-04 撮像装置、レンズの駆動方法、及び、レンズの駆動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278A true KR20070012278A (ko) 2007-01-25
KR100819330B1 KR100819330B1 (ko) 2008-04-02

Family

ID=3767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758A KR100819330B1 (ko) 2005-07-22 2006-07-21 촬상 장치,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38198B2 (ko)
KR (1) KR100819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1228B1 (en) * 2005-06-06 2010-08-11 The Technology Partnership Plc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river for a nebuliser
JP2009124857A (ja) * 2007-11-15 2009-06-04 Nidec Copal Corp 駆動装置
US20100255875A1 (en) * 2007-11-22 2010-10-07 Keisuke Oozeki Imag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mobile telephone, program, and light emission control method
WO2013084709A1 (ja) * 2011-12-09 2013-06-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素子用駆動回路
CN113589466B (zh) * 2020-04-30 2023-03-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驱动装置和电子设备
CN113805302B (zh) * 2020-05-28 2023-03-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驱动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894B2 (ja) 1991-03-07 2000-03-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可変焦点カメラ
JP3199589B2 (ja) 1994-12-20 2001-08-20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クフォーカス制御式カメラの電磁ロック機構
JP3789017B2 (ja) 1996-12-27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制御装置
JPH10209516A (ja) 1997-01-17 1998-08-07 Toyota Motor Corp 圧電素子の状態検出方法および圧電素子装置
JPH11289780A (ja) 1998-03-31 1999-10-19 Minolta Co Ltd 電気機械変換素子を用いた駆動装置
JP3516588B2 (ja) 1998-04-03 2004-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剛性制御装置
JP2000208825A (ja) 1999-01-08 2000-07-28 Minolta Co Ltd 電気機械変換素子を使用したアクチエ―タ
JP2000258835A (ja) 1999-03-10 2000-09-22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1195856A (ja) 2000-01-07 2001-07-19 Nippon Hoso Kyokai <Nhk> 磁気記録再生装置
JP4511766B2 (ja) * 2000-07-10 2010-07-28 株式会社リコー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における振れ補正方法
WO2003078854A1 (fr) * 2002-03-19 2003-09-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rticulation, terminal portatif de type a ouverture/fermeture presentant une telle articulation
JP2004222037A (ja) 2003-01-16 2004-08-0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4192020B2 (ja) 2003-03-27 2008-12-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04354531A (ja)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スイッチ
JP2005055714A (ja) 2003-08-05 2005-03-03 Nisca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5159559A (ja) 2003-11-21 2005-06-16 Kyocera Corp 携帯型電話装置
TW200523653A (en) * 2004-01-06 2005-07-16 Starshine Technology Corp Focusing control module for image photographing
JP2005242716A (ja) 2004-02-26 2005-09-08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60077314A (ko) * 2004-12-30 2006-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 장치
KR100752698B1 (ko) 2006-02-27 2007-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 구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330B1 (ko) 2008-04-02
US20070019308A1 (en) 2007-01-25
US7738198B2 (en)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9349B2 (ja) 撮像装置及びレンズの移動制御方法
US8259184B2 (en) Imaging apparatus with shake correction
US7830416B2 (en) Imaging device with erroneous shake correction prevention due to front curtain shock
US7432636B2 (en) Driving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KR100819330B1 (ko) 촬상 장치,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7114585A (ja)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00059555A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CN100492085C (zh) 摄像装置、透镜驱动控制方法
JP4880309B2 (ja) 撮像装置
WO2010103763A1 (ja) レンズ駆動装置、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033574A (ja) 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制御方法
JP5293947B2 (ja) 撮像装置
JP200510219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4837351B2 (ja) 撮影装置
JP5526729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007914A (ja) 光学機器
EP2039148B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4955356B2 (ja) レンズ移動装置
JP2007127864A (ja) 撮像装置、レンズの駆動方法、及び、レンズの駆動プログラム
JP2007271996A (ja) レンズ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825680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7057666A (ja) 撮像装置、レンズ駆動制御方法およびレンズ制御プログラム
JP2007192929A (ja) 基準位置検出手段を有する駆動装置、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115855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CN115151851A (zh) 光学成像系统、用于执行光学图像稳定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