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152A - 받침대 모듈 - Google Patents

받침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152A
KR20070011152A KR1020060067214A KR20060067214A KR20070011152A KR 20070011152 A KR20070011152 A KR 20070011152A KR 1020060067214 A KR1020060067214 A KR 1020060067214A KR 20060067214 A KR20060067214 A KR 20060067214A KR 20070011152 A KR20070011152 A KR 20070011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drive
module
pedestal member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무트 뵈르너
세바슈티안 운터후버
Original Assignee
헬무트 뵈르너
세바슈티안 운터후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뵈르너, 세바슈티안 운터후버 filed Critical 헬무트 뵈르너
Publication of KR2007001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8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05Equipment for measuring the contacting force or the distance before contacting between two members during the position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6Fluid-pressure drives
    • B23Q5/266Fluid-pressure drives with means to control the feed rate by controlling the fluid flow
    • B23Q5/268Fluid-pressure drives with means to control the feed rate by controlling the fluid flow depending upon the position of the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4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 B23Q2716/08Holders for tools or work comprising a divider or 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Brush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평면에서 현재의 작업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을 위해 베이스에 배치되고, 전기식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 평면으로부터 이동하거나 그 이동 평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받침대 부재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에 있어서, 전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전기식으로 작동되는 것인 받침대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받침대 모듈{AN ABUTMENT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 모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받침대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취한 받침대 모듈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받침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 모듈의 제2 실시예로서,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취한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 받침대 모듈
12 : 제1 작업 이동 방향
13 : 제2 작업 이동 방향
14 : 대상물
15 : 베이스
16 : 받침대 부재
17 : 전기 회전 구동부
18 : 구동 모듈 유닛
21 : 크랭크 구동부
22 : 돌출핀
26 : 베이스 바디
27 : 슬롯형 소켓
28 : 안내 유닛
32 : 홀더
34 : 전기 접속부
35a, 35b : 벽부
본 발명은 받침대 모듈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동 평면에서 현재의 작업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을 위해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는 받침대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받침대 부재는 전기식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 평면으로부터 이동하여 다시 그 평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0,484,648호를 참조하면 유압 작동식 받침대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유압 작동식 받침대 모듈은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설정 피스톤의 매개부에 의해 접근 작업편의 이동 평면으로부터 이동하고 다시 그 이동 평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공압식에 있어서, 제어된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압축 공기 연결부가 제공된다. 또한, 받침 작업편의 이동이 감쇠될 수 있도록 받침부에 댐핑 수단이 제공된다.
그러나, 소정의 처리 및 이송 장비에 있어서, 유체 작동 매체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압축 공기로 작동되는 받침대 모듈은 이러한 경우에 유체 작동 매체가 처리 작업을 방해하게 되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이에 대한 예로서, 코팅 라인이 지명될 수 있다. 해결 방안을 제공하기 위해, 받침대 부재가 전기식으로 작동되는 받침대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종래의 전기식 작동 받침대 모듈과 비교하여 적용에 있어서 더 범용적이고 더 경제적인 초기에 언급한 형태의 받침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또는 본 명세서, 청구범위, 및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기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동 평면에서 현재의 작업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을 위해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는 받침대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로서, 이러한 받침대 부재는 전기식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 평면으로부터 이동하여 다시 그 평면으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인 받침대 모듈은 전기 회전 구동부가 받침대 부재를 전기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부는 청구범위에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회전 구동부는 받침대 모듈에 합체되어 있을 수 있어서 비교적 간결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요구량이 종래의 전기 작동식 받침대 모듈과 비교하여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 모듈은 전기 회전 구동부에 대한 낮은 에너지 요구량 때문에 경제적으로 매우 다양한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 특히, 유압 매체의 채택이 문제가 되는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에 채택될 수 있도록, 무엇보다도 비교적 간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기 회전 구동부로서, 예를 들어 전기 서보 모터를 채택할 수 있다. 전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출력 구동부의 운동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운동은 변환 수단에 의해, 대상물의 이동 평면을 향해 안내되거나 또는 그 평면으로부터 안내되는 선형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나, 원리상으로는, 예를 들어, 받침대 부재가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회전 운동에 의해 대상물의 이동 평면으로부터 또는 이동 평면을 향해 요동함으로써, 회전 운동이 받침대 부재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변환 수단은 크랭크 구동부의 형태이고, 이 크랭크 구동부는 한 쪽에서는 회전 구동되는 전기식 회전 구동부의 출력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쪽에서는 받침대 부재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크랭크 구동부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할 때에 간단하게 유지 보수될 수 있다.
크랭크 구동부는 출력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크랭크 디스크와, 한 쪽에서는 출력 구동축 더 구체적으로는 크랭크 디스크에 회전 축선과 중심이 다른 상태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 쪽에서는 받침대 부재와 피봇가능하게 결합된 크랭크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편심 결합으로 인하여, 크랭크 디스크의 1 회전 중에, 받침대 부재는 상부 지점과 하부 지점 사이에서 선형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크랭크 연결부의 행정을 설정하기 위해, 크랭크 연결부는 회전부 또는 축선에 중심이 다르게 배치된 크랭크 디스크 상의 다른 피봇 지점에 선택적으로 피봇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크랭크 구동부에 대한 변형례로서, 래크와 피니언을 조합한 형태로 변환 수단이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피니언은 받침대 부재와 연결된 래크와 결합하도록 예를 들어, 회전 구동축에 배치되어, 회전 피니언 운동이 래크의 상방향 및 하방향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래크의 상방향 운동과 하방향 운동 사이에서 전환될 때,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어야 한다.
다른 특히 간결한 구조의 받침대 모듈은 전기 회전 구동부가 리드 나사 구동부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리드 나사 구동부는 변환 수단으로서 리드 나사와 이 리드 나사와 협동하는 리드 나사 너트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회전 구동부 더 구체적으로 리드 나사 구동부는 연관된 행정 촉진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행정 촉진 수단은 추가의 힘으로 이동 평면으로부터 전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발생된 받침대 부재의 하방향 행정에 도움을 주거나 하방향 행정을 촉진시킨다. 일단 받침대 부재가 그 상부 기능 위치에 있고 대상물과 충돌하면, 이 후 하방향 행정 중에 받침대 부재와 그것과 충돌한 대상물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게 되어, 하방향 행정 중에 추가의 행정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추가의 행정 힘 또는 추가의 힘은 행정 촉진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행정 촉진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형태일 수 있는데, 그 스프링은 한 쪽 단부에서 고정되게 지지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에서는 리드 나사 너트에 맞닿은 채 지지되어 있어서, 상방향 행정 중에 스프링에 장력이 가해지고, 하방향 행정 중에는 스프링은 탄성 회복력 형태의 추가의 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부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제1 작업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 제1 작업 이동 방향에 대체로 수직하는 제2 작업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이 중단되거나 단수화(singularize) 될 수 있도록, 대상물의 이동 평면에 위치하는 상부 기능 위치에서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대 부재와 충돌하는 임의의 바람직한 받침 방향을 갖지 않기 때문에, 공간 요건에 따라 처리 및 이송 장비에 다양한 장착 방향으로 받침대 모듈을 끼워맞출 수 있다. 또한, 받침대 모듈을 이송 수단의 각각 교차부에 또는 노드(node)에 끼워맞춰, 작업 이동 방향과 대체로 수직하게 오프셋되어 오는 대상물이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단수화 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받침대 모듈은 대상물의 이동 평면으로부터 또는 이동 평면을 향하는 받침대 부재의 이동 중에 받침대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안내 유닛은 구체적으로 슬롯형 수용 소켓을 구비할 수 있는데, 받침대 부재는 이 슬롯형 수용 소켓 내부에서 완전히 하부 휴식 위치로 수용될 수 있고, 받침대 부재는 슬롯형 수용 소켓으로부터 상부 기능 위치로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대상물의 작업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는, 현재 작업 이동 방향에서 받침대 부재 후방에 배치된 안내 유닛의 벽부가 지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받침대 부재는 안내 유닛의 소켓에 있는 평탄한 지지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수직으로 왕봉이동하는 받침대 부재와 안내 유닛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그리스와 같은 윤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부와 편리한 형태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 모듈(11)의 제1 작동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에 채택되어, 이동 평면에서 제1 작업 이동 방향(12; 도 2)으로 또는 이 제1 작업 이동 방향(12)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작업 이동 방향(13)으로 이동하는 대상물(14) 예를 들어, 작업편 등을 단수화 한다. 대상물을 단수화 한 후, 이 대상물을 개별적으로 처리하거나 안내하거나 할 수도 있다.
받침대 모듈(11)은 위에 받침대 부재(16)가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15)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받침대 부재는 전기 회전 구동부(17)에 의해 대상물(14)의 이동 평면으로부터 이동하거나 그 이동 평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회전 구동부(17)는 전기 서보 모터의 형태이고, 베이스(15) 및 받침대 부재(16)와 별개인 구동 모듈 유닛(18)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모듈 유닛(18)은 필요하다면 베이스(1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기 회전 구동부(17)의 서보 모터는 출력 구동축(19)을 구동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출력 구동축(19)에서는 서보 모터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서 출력 구동축과 연결된 크랭크 구동부(21)의 크랭크 디스크(20)를 구동시킨다.
크랭크 디스크(20)는 그 단부에서 외측을 향하는 돌출핀(22)을 구비하고, 그 돌출핀의 축선(23)은 출력 구동축(19)의 회전 축선(24)과 중심이 다르다.
상기 돌출핀(22)에는 크랭크 구동부(21)의 크랭크 아암(25)이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고, 그 일부에서는 크랭크 아암은 크랭크 디스크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서, 구체적으로 원통형인 받침대 부재(16)의 베이스 바디(2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크랭크 디스크(20)와 크랭크 아암(25)은 베이스(15) 내의 수용 공간(40)에 배치되는 한편, 받침대 부재는 안내 유닛(28)의 슬롯형 소켓(27)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안내 유닛(28)은 2 개의 벽부(35a, 35b)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벽부들은 받침대 부재(16)의 양 측부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상물(14)의 충돌에 있어서 지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 부재(16)는 베이스 바디(26)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베이스 바디의 한 쪽에는 크랭크 구동부(21)의 크랭크 아암(25)이 회전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있고, 다른 쪽에는 부착 수단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부착 나사(29)에 의해 받침대 부재(16)의 단부가 고정되며, 돌출 위치에서 받침대 부재의 단부와 맞닿은 채, 단수화되는 대상물(14)이 받쳐질 수 있다. 도 4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받침대 부재(16)의 단부(30)와 베이스 바디(26)는 대체로 T자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단부(30)는 비교적 폭이 넓은 형태이고 대체로 안내 유닛(28)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26)는 대체로 슬롯형 소켓(27)의 원통형 연장 개구(31)에서 평탄한 지지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통형 베이스 바디(26)와 연장 개구(31)의 내벽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체적으로 그리스 형태의 윤활제를 사용한다.
안내 유닛(28)에는 홀더(32)가 추가로 마련되어 있는데, 이 홀더에 의해 전체 받침대 모듈이 처리 및 이송 장비(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32)는 예를 들어, 2 개의 리드 나사 너트 소켓(33)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소켓은 각각 나사식 막대에서 작동된다. 따라서, 받침대 모듈(11)은 예를 들어, 레일(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 회전 구동부(1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 접속부(34)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전기 접속부(34)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구동 모듈 유닛(1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착 대상물(14)을 단수화하기 위해, 먼저 전기 회전 구동부(17)는 출력 구동축(19)이 회전하도록 움직이게 된다. 이어서, 출력 구동축(19)에 장착된 크랭크 디스크(20)는 마찬가지로 수반되고, 편심 피봇 작용으로 인해 종전 위치에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출력축(19)의 회전은 크랭크 아암 위에 있는 받침대 부재(16)가 그 정상 위치에 도달하여, 그 최고 기능 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 후, 서보 모터는 정지되고, 이에 따라 출력 구동축(19)의 회전 운동도 중단된다. 받침대 부재(16)는 이제 도착한 대상물(14)을 단수화하거나 중단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 대상물은 제1 작업 이동 방향(12) 및/또는 이 제1 작업 이동 방향에 대체로 수직하는 제2 작업 이동 방향(13)으로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 부재(16)의 단부(30)는 제1 작업 이동 방향(12)으로 진행하는 대상물(14)이 충돌 시에, 충돌 방향에서 받침대 부재(16) 후방에 위치하는 안내 유닛(28)의 벽부(35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향에서, 비교적 중량의 대상물일지라도 중단될 수 있지만, 상기 단부의 좁은 말단부(36)는 그 방향으로는 안내 유닛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더 경량의 대상물을 중단시키는 데에 더 적절하다.
중단된 대상물(14)을 해제시키기 위해, 서보 모터가 재가동되어 출력축(19)이 더 회전되고, 받침대 부재(16)의 단부(30)는 대상물(14)이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롯형 소켓(27)으로 진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 모듈(11)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2 실시예는 전기 회전 구동부로서 리드 나사 구동부(17)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리드 나사 구동부는 대체로 리드 나사(46)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49)을 포함하고 있는데, 리드 나사는 구동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드 나사는, 리드 나사 너트(48)가 리드 나사(46)의 회전 방향에 따라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리드 나사에 나사 결합되도록 즉, 리드 나사 너트(48)가 선택적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리드 나사 너트(48)의 암나사부와 협동하는 숫나사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드 나사 너트(48)는 베이스 바디(26)의 하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상부는 단부(30)에 연결되어 있다. 리드 나사 너트(48)는 또한 슬리브 부분(52)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슬리부 부분은 튜브처럼 리드 나사 구동부의 구동 유닛(49)을 포위하고 있다. 슬리브 부분(52)의 튜브면에는, 원통형 홈이 있는데, 이 원통형 홈에는 스프링(47) 형태의 스트로크 촉진 수단이 합체되어 있다. 스프링(47)은 한 쪽으로는 베이스 바디(15)에 고정되게 지지되어 있고, 다른 한 쪽에서는 슬리브 부분(52)의 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받침대 부재를 그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 유닛(49)을 작동시키고 리드 나사(46)를 회전시켜, 리드 나사 너트(48)가 안내 유닛(46) 하방향으로 그 경로를 따라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결합된 받침대 부재(16)도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스프링(47)에는 상방향 행정 중에 장력이 가해진다. 받침대 부재(16)가 대상물(14)의 이동 평면으로부터 그 후퇴 위치로 복귀 이동하면, 리드 나사(46)의 이동 방향은 역방향이 되고, 리드 나사 너트(48)는 리드 나사(46)와 나사 체결되며, 이로 인하여 결합된 받침대 부재(16)가 하방향 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받침대 부재(16)의 연장된 위치에서, 대체로 단수화된 대상물(14)은 받침대 부재(16)에 부딪히게 진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받침대 부재(16)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 부재(16)의 하방향 행정 중에, 받침대 부재(16)와 대상물(14) 사이에 마찰이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추가의 행정 힘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행정 힘은 스프링(47) 형태의 행정 촉진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스프링(47)은 받침대 부재(16)의 연장된 위치에서 장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하방향 행정 중에 다시 이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드 나사 구 동부(17)에 의해 제공되는 행정 힘에 추가하여 탄성 회복력을 제공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 모듈(11)의 제2 작동 실시예는 리드 나사 구동부(17)가 대체로 받침대 부재(16)의 하부에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매우 간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전기식 작동 받침대 모듈과 비교하여 적용에 있어서 더 범용적이고 더 경제적인 형태의 받침대 모듈을 제공할 수 있고, 전기 회전 구동부가 받침대 모듈에 합체되어 있을 수 있어서 비교적 간결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4)

  1. 이동 평면에서 현재의 작업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을 위해 베이스에 배치되고, 전기식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 평면으로부터 이동하거나 그 이동 평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받침대 부재를 포함하고, 전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전기식으로 작동되는 것인 특히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출력 구동 운동이 발생되고, 이 운동은 변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평면을 향하거나 이 이동 평면으로부터 안내될 수 있는 받침대 부재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크랭크 구동부의 형태이고, 이 크랭크 구동부는 한 쪽에서는 전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식으로 구동가능한 출력 구동축에 결합되고, 다른 한 쪽에서는 받침대 부재에 결합되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구동부는 출력 구동축과 토크 전달 방식으로 연결된 크랭크 디스크와, 한 쪽에서는 구동축의 회전 축선에 대해 편심이 되게 크랭크 디스크에 피봇식으로 더 구체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 쪽에서는 받침대 부재에 연결된 크랭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연결부는 받침대 부재를 설정하기 위해 크랭크 디스크 상의 다른 피봇 지점에 선택적으로 피봇팅될 수 있고, 이러한 피봇 지점은 회전 축선에 대해 편심이 되어 있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전 구동부는 리드 나사 구동부 형태인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나사 구동부는 변환 수단으로서 리드 나사와 이 리드 나사와 협동하는 리드 나사 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특히 리드 나사 구동부 형태의 전기 구동부를 위한 행정 촉진 수단을 포함하고, 이러한 행정 촉진 수단은 전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이동 평면으로부터의 받침대 부재의 하방향 행정에 도움을 주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행정 촉진 수단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이 스프링은 한 쪽 단부에서 고정되게 지지되고, 다른 쪽 단부에서는 리드 나사 너트에 맞닿은 채 지지되어, 상방향 행정 중에는 스프링에 장력이 가해지고 하방향 행정 중에는 스프링이 탄성 회복력 형태의 추가의 힘을 제공하도록 상기 리드 나사 너트가 선형적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제1 작업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 제1 작업 이동 방향에 대체로 수직하는 제2 작업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이 선택적으로 중단될 수 있도록, 대상물의 이동 평면에 위치하는 상부 기능 위치에서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게 구성되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대상물의 이동 평면을 향해 또는 이동 평면으로부터 받침대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구체적으로 슬롯형 수용 소켓을 구비할 수 있는데, 받침대 부재는 이 슬롯형 수용 소켓 내부에서 완전히 하부 휴식 위치로 수용될 수 있고, 받침대 부재는 슬롯형 수용 소켓으로부터 상부 기능 위치로 부분 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대상물의 작업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는, 안내 유닛의 벽부가 현재 작업 이동 방향에서 지지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고, 이러한 벽부는 받침대 부재의 후방에 있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소켓의 평탄한 지지부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크랭크 연결부 또는 리드 나사에 결합된 베이스 바디와 대상물을 중단시키기 위해 부착 수단에 의해 베이스 바디에 일체로 구성된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처리 및 이송 장비용의 받침대 모듈.
KR1020060067214A 2005-07-19 2006-07-19 받침대 모듈 KR20070011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15616 2005-07-19
EP05015616.5 2005-07-19
EP05022965.7 2005-10-21
EP05022965A EP1746054B1 (de) 2005-07-19 2005-10-21 Anschlagmodul mit einem elektrischen Drehantrie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152A true KR20070011152A (ko) 2007-01-24

Family

ID=3767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214A KR20070011152A (ko) 2005-07-19 2006-07-19 받침대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66156B2 (ko)
EP (1) EP1746054B1 (ko)
KR (1) KR20070011152A (ko)
CN (1) CN100540214C (ko)
AT (1) ATE384679T1 (ko)
DE (1) DE502005002670D1 (ko)
ES (1) ES229759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2076A1 (de) 2007-12-21 2009-06-25 Robert Bosch Gmbh Anschlagmodul, insbesondere für automatisierte Bearbeitungs- und Fördereinrichtungen
DE102010049412B4 (de) * 2010-10-23 2020-06-25 Intepro Gmbh Innovative Technik Und Produktion Stoppvorrichtung
CN105417133B (zh) * 2015-12-30 2018-02-16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卧式阻挡器
CN106241247B (zh) * 2016-10-13 2018-10-16 天津新玛特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积放式输送线小车的到位翻转阻挡装置
DE102017204445A1 (de) 2017-03-16 2018-09-20 Asutec Gmbh Anschlagmodul
DE102018124772A1 (de) * 2018-10-08 2020-04-09 Wörner Automatisierungstechnik GmbH Anschlagmodul zum positionsgenauen Abbremsen und/oder Anhalten eines Gegenstands
DE102019203469A1 (de) * 2019-03-14 2020-09-17 Asutec Gmbh Anschlagmodul
CN113579694B (zh) * 2021-07-22 2022-12-30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电机输出轴与齿轮压装装置
DE102022105362A1 (de) 2022-03-08 2023-09-14 Krones Aktiengesellschaft Behandlungsanlage für Behälter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Behandlung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6153A1 (de) * 1980-04-26 1981-11-05 Johann A. Krause Maschinenfabrik, 2820 Bremen Foerderbahn, insbesondere friktionsrollenbahn
DE3810754A1 (de) * 1988-03-30 1989-10-12 Helmut Woerner Anschlag mit einer daempfungseinrichtung
DE9015950U1 (ko) 1990-11-07 1991-02-14 Woerner, Helmut, 7306 Denkendorf, De
KR100247894B1 (ko) * 1997-09-19 2000-03-15 윤종용 회전식 정지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마킹장치
US6202821B1 (en) * 1998-12-16 2001-03-20 Richard E. Crockett Gravity motivated flow-rail
EP1333207B1 (en) * 2002-02-01 2005-08-03 Vetco Gray Controls Limited Linear actuators
DE20207436U1 (de) * 2002-05-11 2002-07-25 Transnorm System Gmbh Rollenförderer
CA2484158A1 (en) * 2003-11-17 2005-05-17 Univer S.P.A. Centering and/or clamping device for work pieces, having an actua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6054A1 (de) 2007-01-24
ATE384679T1 (de) 2008-02-15
US7766156B2 (en) 2010-08-03
US20070017909A1 (en) 2007-01-25
ES2297590T3 (es) 2008-05-01
CN1899761A (zh) 2007-01-24
DE502005002670D1 (de) 2008-03-13
EP1746054B1 (de) 2008-01-23
CN100540214C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1152A (ko) 받침대 모듈
US7975825B2 (en) Stop module, in particular for automated machining and conveyor devices
KR100996222B1 (ko) 접촉 모듈
KR100996223B1 (ko) 접촉 모듈
KR20010050878A (ko) 전동핸드
KR20070114819A (ko) 회전 터릿을 이용한 자동 척 교환기
JPH0413571B2 (ko)
GB2415661A (en) An anti-rotation mechanism for a reciprocating saw
JPWO2005084882A1 (ja) クランプ装置及びクランプ方法
CN116277075B (zh) 一种自动上料机械臂
CN110253548B (zh) 一种三自由度可微调的自动抓取装置
CN209793773U (zh) 大行程电动夹爪
EP1529602A3 (en)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for power tool and power tool incorporating such apparatus
CN113003174B (zh) 间距可变装置
CN110587276A (zh) 穿线夹具
EP2592301A2 (en) Compliance device for an electric cylinder and electric cylinder
JP6365214B2 (ja) 把持装置
CN208307860U (zh) 一种用于直线电机安装测试设备的推杆推送装置
CN218396342U (zh) 焊接工具调节组件及焊接装置
CN220347692U (zh) 一种弹簧装配装置及自动组装机
CN216577874U (zh) 一种能在狭窄区域内上下料的复合机器人
US20230173687A1 (en) Clamping linear actuator
JP5231818B2 (ja) シリンダ型アクチュエータ
CN114290295B (zh) 安装夹头、安装机构及膨胀螺栓安装系统
CN217597138U (zh) 一种自动化生产夹持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