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769A -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769A
KR20070010769A KR1020050065641A KR20050065641A KR20070010769A KR 20070010769 A KR20070010769 A KR 20070010769A KR 1020050065641 A KR1020050065641 A KR 1020050065641A KR 20050065641 A KR20050065641 A KR 20050065641A KR 20070010769 A KR20070010769 A KR 2007001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ard rail
support
nut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457B1 (ko
Inventor
이창건
최낙관
유성신
Original Assignee
이창건
유성신
최낙관
민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건, 유성신, 최낙관, 민경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창건
Priority to KR102005006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4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및 상부빔, 하부빔이 연결판에 의하여 일체로 격자형태로 형성된 가이드빔이 이중흡수판 역할을 하며, 충격완충부재에 의하여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1차로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제동거리를 줄여줌과 더불어 진행방향을 제한 유도하여 기존 시설물과의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완충부재 및 가이드빔에 의하여 지주에 효과적으로 충격을 분산전달시킴으로서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형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가드레일, 충격흡수판, 연결볼트

Description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Guard rail with Crossed Double Impact Absorbing Plate}
도 1a,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가드레일과 충격흡수형 가드레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중 실시예 1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가이드빔의 구체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완충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너트가 부착된 지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중 실시예 2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중 실시예 3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중 실시예 4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의 이용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110: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120:지주
130:가이드빔 140:충격완충부재
150:연결부재 160:지주캡
200: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300:라운드레일
본 발명은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충돌로 인한 승월 사고 및 이로 인한 2차 충돌사고를 방지하고, 차량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 차량의 파손, 시설물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충격흡수형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가드레일(1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드레일(10)은 지주(Post,11)를 설치시키고, 전면 및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파상형(W단면 형태) 가드레일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차량충돌 시, 그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지 못한 상태에서 그대로 지주(11)에 전달됨으로서 가드레일(10) 및 차량이 크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소개되었는바, 도 1b 및 도 1c를 기준으로 종래의 충격흡수형 가드레일(20)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충격흡수형 가드레일(20)은 먼저 지주(21)를 설치하고, 상기 지주(21) 상, 하부에 반원형으로 굴곡된 지주표면(A)에 대응하여 역시 반원형으로 파여진 직육면체 형태의 고무블록체인 충격완충부재(22)를 설치한 후,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상형(W단면 형태) 가드레일판(23)의 파상형저부(B)가 상기 충격완충부재(22)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파상형 가드레일판(23)의 전면(C)으로부터 충격완충부재(22) 및 지주(21)를 관통하여 라운드형 머리부가 형성된 연결볼트(24)의 반대쪽 단부를 너트(25)로 체결시켜 설치된다.
이에 상기 충격완충부재(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차량 충돌 시 가드레일(20)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드레일(20)의 경우도 외부로 노출된 너트(25)에 의하여 차량충돌 시 접촉면이 심하게 파열되거나 이로 인하여 차량이 전복될 소지가 크고, 이로 인한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장 큰 문제점은 파상형 가드레일판(23)이 충돌하는 차량진행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차량이 가드레일판(23)에 충돌시 가드레일판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미끄러지는 과정에서 차량이 가드레일을 승월하여 마주 오는 차량과 정면충돌하거나 가드레일 하부로 차량이 끼여져 자칫 더 큰 대형사고의 위험성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중간 다른 지장물이 있 을 경우 2차 충돌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가드레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드레일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차량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형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드레일 외부로 노출된 너트를 가드레일 안쪽에 설치되도록 하여 차량충돌 시 차량의 접촉면이 파열되지 않도록 하는 충격 흡수형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파상형 가드레일판을 설치함에 있어 종래와는 달리 차량진행 방향 즉 가로방향이 아닌 세로방향으로 파상형 가드레일판을 설치함으로서 차량 충돌시 가드레일판을 따라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고 제동이 걸리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파상형 가드레일판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지주에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지주와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파상형 가드레일판에 가로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가이드빔(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을 설치함으로서, 충격을 지주에 분산 전달되도록 하였다.
이로서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과 가이드빔이 이중충격 흡수판 형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이중충격 흡수판은 설치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 형태로 설치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셋째, 가드레일 외부로 설치되는 너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너트가 지주에 설치되도록 하여 노출된 너트로 인하여 차량 충돌 시 차량 접촉면이 파열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한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을 도면을 참조하여 최선의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로서 첫째 가드레일을 신설하는 경우 본 발명의 가드레일 실시예(실시예 1,2)들과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2,3)들로 구분되며 이하 각 실시예를 차례대로 살펴보도록 하며, 동일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의 이중 충격 흡수판(110,130)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100)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지주(120) 외면과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후면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빔으로서 지주 상부에 설치된 상부빔(131); 지주 하부에 설치된 하부빔(132); 및 상기 상부빔과 하부빔을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판재형태의 연결판(133);을 포함하는 가이드빔(130);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과 가이드빔(13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블록체를 포함하는 충격완충부재(140); 및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의 전면으로부터 가이드빔(130)과 충격완충부재(140)를 관통하여 지주(120)에 고정되어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과 가이드빔(130)을 지주(120)에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151) 및 너트(15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실시예 1의 가드레일을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W 단면형태의 파상형 가드레일판으로 제작되며, 도 1a와 같이 파상형부(D)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세로방향(도 2a를 기준으로 하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파상형부(D)가 차량충돌시 종래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이 가드레일판을 따라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가드레일판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제공거리를 짧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에 차량이 충돌하면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가드레일의 파손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으며, 충격을 완화해주어 차량의 파손, 전복 및 가드레일 승월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본 발명의 가이드빔(130) 및 충격완충부재(140)가 담당하게 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상기 가이드빔(130)의 구체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빔(130)은 지주(120) 상부에 설치된 상부빔(131); 지주(120) 하부에 설치된 하부빔(132); 및 상기 상부빔과 하부빔을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판재형태의 연결판(1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빔(131) 및 하부빔(132)은 폐합된 관형태의 빔으로 제작된 강재빔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폐합된 관형태의 빔은 도 3a의 좌측으로부터 반원형부가 형성된 말굽형 단면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사각 단면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반원형 단면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여러 다른 단면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로 제작하는 이유는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음에 있어 하중전달면을 넓게 형성시킴으로서 충격을 효율적으로 지주(120)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빔이 충격에 의하여 찌그러들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충격완충부재(140)의 설치면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부빔(131)과 하부빔(132)은 상,하로 서로 연결판(1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상부빔과 하부빔이 일체로 작용하도록 한다.
이로서 충격에 대하여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후면에 격자형태(상부빔, 하부빔이 연결판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는 구조적으로 격자형태의 구조용부재로 작용하게 된다.)의 가이드빔(130)이 설치되어 충격을 지주 상, 하부에 분산하여 전달시키면서 충격에 대한 저항능력이 배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설치방향 즉, 위에서 살펴본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과 직교방향인 가로방향으로 가이드빔(130)이 설치되어 결국 양자는 서로 직교하는 이중 충격 흡수 판의 역할을 하게된다.
나아가 도 3b와 같이, 상부빔(131)의 단면크기와 하부빔(132)의 단면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되, 상부빔의 단면크기가 하부빔의 단면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부빔(131)의 경우에는 중형 및 대형차 충돌가능성이 높은 반면, 하부빔(132)의 경우에는 소형차 충돌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절한 충격저항능력의 분배 및 제작비용 절감을 위한 것이며, 상부빔 및 하부빔이 서로 연결판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체로 작용함에는 그 작용이 다를 수 없게 된다.
이는 도 3c와 같이 상부빔(131) 및 하부빔(132)을 강재(강판)을 가공하여 제작할 때, 그 강판의 두께(후박 또는 박판과 같이 두께가 다른 강판 사용)를 상부빔은 좀 더 두꺼운 강판을 하부빔은 상부빔보다 얇은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이유가 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빔(130)이 만약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으로부터 충격을 그대로 전달받도록 하는 것보다 보다 완화된 충격을 전달받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충격완화를 위한 구성이 바로 본 발명의 충격완충부재(140)이다.
상기 충격완충부재(140)의 예를 도시한 것이 도 4이며, 지주 또는 가이드 빔의 외면형상에 대응한 지지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141); 상기 지지부와 접하여 중앙부에 너트수용홈과 볼트수용홈이 연통되거나 볼트수용홈이 형성된 몸통부(142) 및 상기 몸통부와 접하여 분절된 결합판 또는 분절되지 않은 결합판으로 형성된 부 착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충격완충부재는 고무블록체로서 탄성복원력을 가진 부재가 이용될 수 있지만 그 재질에 있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우레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41)는 도 2a, 도 2c, 도 3a 및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빔(130)의 상부빔(131) 및 하부빔(132)의 단면형태에 대응하여, 예컨대 굴곡된 반원형태의 표면에 접하도록 반원형의 지지수용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가이드빔(130)에 밀착 설치가 용이하고, 가이드빔(130)과 같은 충격전달대상에 대한 이격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몸통부(142)는 후술되는 연결부재(150)인 볼트(151) 및 너트(152)가 관통될 수 있도록 너트수용홈(142a)과 볼트수용홈(142b)을 함께 구비하거나, 미도시된 너트수용홈이 없는 볼트수용홈(142b)만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중앙부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설치할 수 있다.
너트수용홈(142a)의 경우 너트(152)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너트의 직경을 고려하여 홈을 형성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볼트수용홈(142b)의 경우 봉 형태의 볼트가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구멍이 몸통부(142) 중앙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너트수용폼(142a)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부착부(143)는 두가지 형태로 몸통부(142)에 형성시킬 수 있다.
첫째는 분절된 결합판형태로 도 4를 기준으로 몸통부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분절된 결합판형태로 제작하는 이유는 접촉되는 대상물과의 마 찰부분을 복수 형성시킴으로서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둘째는 미도시된 분절시키지 않은 하나의 결합판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충격완충부재(140)는 가이드빔(130)과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같이 지주(120)와 가이드빔(130) 사이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위에서 살펴본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가이드빔(130) 및 충격완충부재(140)를 지주(120)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본 발명의 연결부재(150)가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50)는 볼트(151) 및 너트(152)의 체결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너트(152)의 경우 종래에는 도 1a와 같이 가드레일판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너트에 의한 충돌차량 접촉면이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너트(152)를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볼트(151)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주(120)에 부착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너트(152,152a,152b)가 부착 설치된 지주(1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의 경우, 너트(152)가 지주(120)를 가로질러 관통된 관통형너트(152a)로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서 볼트(151)가 관통볼트 초입으로부터 삽 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너트가 지주(120)에 부착 설치됨으로서 차량이 직접 너트에 접촉할 여지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b의 경우, 너트(152b)가 지주(120) 외부표면에 돌출되도록 용접등의 방법으로 부착 설치되는 방식이며, 이도 역시 너트가 지주(120)에 부착, 설치됨으로서 차량이 직접 너트에 접촉할 여지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너트(152b)는 도 4의 너트수용홈(142a)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볼트(151)는 충돌차량의 접촉면의 파손이 완화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볼트머리부가 형성된 통상의 볼트를 이용하게 되며, 도 2b를 기준으로 하면, 볼트머리부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20)의 전면으로부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에 미리 형성시킨 볼트공을 관통하면서, 충격완충부재(140)의 볼트수용홈(142b)을 역시 관통하여 가이드빔(130)의 상부빔(131), 하부빔(132)에 역시 미리 형성시킨 볼트공을 통해 최종적으로 끝 단부가 지주(120)에 설치된 관통형너트(152a)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지주(120) 상부에는 지주캡(160)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한다.
이로서 본 발명의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가이드빔(130), 충격완충부재(140)이 지주(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가이드빔(130), 충격완충부재(140)는 지주(12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가드레일(100)의 설치형태 즉, 중앙분리대용, 도로 측면용인가에 따라 지주(120) 양쪽 또는 어느 한쪽 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100)의 차량충돌에 의한 충격흐름을 살펴보면, 차량은 먼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에 충돌하면 그 진행방향과 거의 직각방향으로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의 파상형부(D)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차량의 운행이 제동되면서, 그 충격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후면에 설치된 충격완충부재(140)에 의하여 충격이 1차로 완화되게 된다. 이어 상기 충격완충부재(140)와 접하여 설치된 격자형태의 가이드빔(130)에 의하여 2차로 충격이 지주 상하부에 분산되어 효과적으로 전달됨으로서 충돌차량의 파손, 가드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가드레일의 승월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지주(120)에 설치된 너트(152a,152b)에 의한 차량표면의 파열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과 가이드빔(130)에 의한 이중 충격 흡수판이 가드레일(100)에 설치되게 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2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은,
지주에 부착되는 가드레일판을 포함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빔으로서 지주 상부에 설치된 상부빔(131); 지주 하부에 설치된 하부빔(132); 및 상기 상부빔과 하부빔을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판재형태의 연결판(133);을 포함하는 가이드빔(130);
상기 가이드빔(130)과 지주(12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블록체를 포함하는 충격완충부재(140); 및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의 전면으로부터 가이드빔(130)과 충격완충부재(140)를 관통하여 지주(120)에 고정되어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과 가이드빔(130)을 지주(120)에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151) 및 너트(15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실시예 2의 가드레일을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2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은 실시예1과 비교하여 충격완충부재(140), 가이드빔(130) 및 너트(152)의 설치 위치 및 형태가 변경된 것으로서 실시예 1의 변형례라고 볼 수 있다.
즉, 충격완충부재(140)의 경우 지주(120)과 가이드빔(130) 사이에 설치되며, 이로서 가이드빔(130)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20) 후면에 설치되는데, 파상형저부(B)에 가이드빔(130)의 상부빔(131) 과 하부빔(132)이 접하여 볼트(151)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방식이 된다.
또한 지주(120)에 설치되는 너트(152)의 경우 실시예 1과 달리 관통형너트(152a)가 아닌, 도 5b와 같이 너트(152b)가 지주(120) 외부표면에 돌출되도록 용접등의 방법으로 부착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서 볼트(151)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의 전면으로부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역시 가이드빔(130) 및 충격완충부재(140)의 볼트수용홈(142b) 및 너트수용홈(142a)을 관통한 뒤, 지주(120)에 설치된 너트(152b)에 체결된다. 이때 충격완충부재(140)는 너트 수용홈(142a)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기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지주(120), 가이드빔(130), 충격완충부재(140) 및 지주캡(160)은 동일한 구성으로서 실시예 1과 같이 설치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3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는 달리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종래의 가드레일에 설치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으로 본 발명의 가이드빔(130)을 대체시킨 것으로서, 이는 종래 가드레일의 지주 및 가드레일판을 개량하여 본 발명의 가드레일로 개조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실시예 3의 가드레일(100)을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 3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100)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후면에 볼트(171) 및 너트(17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70)로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상기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과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블록체를 포함하는 충격완충부재(140); 및
상기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전면으로부터 충격완충부재(140) 를 관통하여 지주(120)에 고정되어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및 충격완충부재(140)를 지주(120)에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151) 및 너트(15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은 실시예 1,2와 같이 W 단면형태의 파상형 가드레일판으로 제작되며, 세로방향(도 2a를 기준으로 하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미끄럼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가이드빔(130)을 대체하여 설치시킨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가이드빔(130)이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과 서로 직교하여 설치되어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으로부터의 충격을 지주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으로 작용한다고 보았을 때, 실싱예 1과 실시예 2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가이드빔(130)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로부터 해체시킨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의 후면에 파상형저부에 통상의 볼트(171) 및 너트(17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볼트(171)의 반원형 볼트머리부가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의 전면으로부터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후면에서 너트(172)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충격완충부재(140)는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과 지주(120) 사이에 연결부재(150)에 의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충격완충부재(140)도 실시예 1, 실시예 2와 같이 지주(120)의 외면형상에 대응한 지지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141); 상기 지지부와 접하여 중앙부에 너트수용홈과 볼트수용홈이 연통되거나 볼트수용홈이 형성된 몸통부(142) 및 상기 몸통부와 접하여 분절된 결합판 또는 분절되지 않은 결합판으로 형성된 부착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무블록체로서 탄성복원력을 가진 부재가 이용될 수 있고 우레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41)는 도 7a, 도 7c 및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지주(120)의 단면형태에 대응하여, 예컨대 굴곡된 반원형태의 표면에 접하도록 반원형의 지지수용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지주(120)에 밀착 설치가 용이하고, 지주(120)와 같은 충격전달대상에 대한 이격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몸통부(142)는 실시예 1, 실시예 2와 같이 후술되는 연결부재(150)인 볼트(151) 및 너트(152)가 관통될 수 있도록 너트수용홈(142a)과 볼트수용홈(142b)을 함께 구비하거나, 미도시된 너트수용홈이 없는 볼트수용홈(142)만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중앙부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43)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두가지 형태로 몸통부(142)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분절된 결합판형태 및 분절시키지 않은 결합판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도 실시예 1과 실시예 2와 같이 볼트(151) 및 너트(152)의 체결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너트(152)의 경우 도 5a와 같이, 너트(152)가 지주(120)를 가로질러 관통된 관통형너트(152a)로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로서 볼트(151)가 관통볼트 초입으로부터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151)의 경우도 충돌차량의 접촉면의 파손이 완화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볼트머리부가 형성된 통상의 볼트를 이용하게 되며, 도 7b를 기준으로 하면, 볼트머리부가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의 전면으로부터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에 미리 형성시킨 볼트공을 관통하면서, 충격완충부재(140)의 볼트수용홈(142)을 역시 관통하여 최종적으로 끝 단부가 지주(120)에 설치된 관통형너트(152a)에 체결되도록 한다.
지주(120) 상부에는 지주캡(160)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한다.
이로서 본 발명의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충격완충부재(140)가 지주(120)에 고정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충격완충부재(140)는 지주(120)를 기준으로 역시 서로 대칭 또는 한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100)의 차량충돌에 의한 충격흐름을 살펴보면, 차량은 먼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에 충돌하면 그 진행방향과 거의 직각방향으로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의 파상형부(D)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짐이 방지되어 차량의 운행이 제동되면서, 그 충격은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후면에 설 치된 충격완충부재(140)에 의하여 충격이 1차로 완화되게 된다. 이어 상기 충격완충부재(140)와 접하여 설치된 격자형태의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에 의하여 2차로 충격이 지주 상하부에 분산되어 효과적으로 전달됨으로서 충돌차량의 파손, 가드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가드레일의 승월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외부로 노출된 너트에 의한 차량표면의 파열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과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에 의하여 이중 충격 흡수판이 가드레일에 설치되게 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4는 실시예 3의 변형예로서,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후면에 볼트(171) 및 너트(17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70)로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상기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과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블록체를 포함하는 충격완충부재(140); 및
상기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전면으로부터 충격완충부재(140)를 관통하여 지주(120)에 고정되어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및 충격완충부재(140)를 지주(120)에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151) 및 너트(15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예 3에 있어서,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과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사이에 도 3a, 도 3b 및 도 3c와 같은 가이드빔(130)을 더 설치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가이드빔(130)은 실시예 1, 2와 같이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의 파상형부 상부(F)에 설치된 상부빔(131);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빔(132); 및 상기 상부빔과 하부빔을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판재형태의 연결판(1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역시 상기 상부빔(131) 및 하부빔(132)은 폐합된 관형태의 빔으로 제작된 강재빔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실시예 4의 가드레일을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충격완충부재(140) 및 지주(120)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가이드빔(130)의 설치를 살펴보면,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과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사이에, 볼트(171) 및 너트(17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70)에 의하여 가이드빔(130)을 체결시키는 방식이 된다.
즉, 가이드빔(130)의 상부빔(131) 및 하부빔(132)의 후면이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의 파상형부상부(F)에 접하도록 하고, 전면이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의 후면에 파상형저부(B)에 통상의 볼트(171) 및 너트(17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볼트(171)의 반원형 볼트머리부가 가이드빔(130)을 관통하여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 후면에서 너트(172)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도 9는 도로의 시,종점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100)을 도시한 것으로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을 이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지주(120)를 기준으로 전면에는 실시예 3에 의한 가드레일(100)이 설치되도록 하여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이 설치되고,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후면에는 가이드빔(130)이 설치되며, 가이드빔(130)과 지주(120) 사이에는 미도시된 충격완충부재(140) 및 연결부재(150)가 설치된다.
도 9의 우측부에는 라운드형태로 실시예 3에 의한 가드레일(100)이 라운드레일(300)에 의하여 라운딩되어 설치되며,
라운딩되어 설치된 가드레일(100)에는 실시예 3에 의한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200)이 설치된 본 발명의 가드레일이 역시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110) 후면에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100)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적절하게 조합 또는 단독으로 중앙분리대, 노견측 분리대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의 경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및 충격완충부재에 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제동거리를 줄여줌과 더불어 진행방향을 제한 유도하여 기존 시설물과의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충격을 흡수하면서, 가이드빔(또는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에 의하여 지주에 효과적으로 충격을 분산전달시킴으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완충부재 설치에 의하여 특히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음에 따라 충돌차량이 퉁겨져 나가거나 가드레일의 승월 또는 전복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로서 너트를 지주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충돌차량의 표면 파열 및 그 충력이 탑승자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7)

  1. 지주에 부착되는 가드레일판을 포함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상기 지주외면과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후면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빔으로서 지주 상부에 설치된 상부빔; 지주 하부에 설치된 하부빔; 및 상기 상부빔과 하부빔을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판재형태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가이드빔;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과 가이드빔 사이 또는 지주와 가이드빔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블록체를 포함하는 충격완충부재; 및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의 전면으로부터 가이드빔과 충격완충부재를 관통하여 지주에 고정되어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충격완충부재와 가이드빔을 지주에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파상형 가드레일판과 가이드빔이 서로 직교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
  2. 지주 및 파상형 가드레일판을 포함하는 기존 가드레일을 개량한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후면에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기존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상기 기존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과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블록체를 포함하는 충격완충부재; 및
    상기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전면으로부터 충격완충부재를 관통하여 지주에 고정되어 기존 파상형 가드레일판을 지주에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과 기존의 가로 파상형 가드레일판이 서로 직교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은 지주 상부에 설치된 상부빔; 지주 하부에 설치된 하부빔; 및 상기 상부빔과 하부빔을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판재형태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빔 및 하부빔은 폐합된 관형태의 빔으로 제작된 강재빔으로서 상부빔과 하부빔의 빔 단면형태를 서로 다르게 형성시키거나, 상부빔과 하부빔의 빔 단면모양을 서로 다르게 형성시키거나, 상부빔과 하부빔 제작을 위한 강재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여 상부빔과 하부빔의 충격저항능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인 너트는 지주를 가로질러 관통된 관통형너트 또는 지주를 관통하지 않고 지주 외면에 부착된 너트로서 지주와 일체로 부착되며, 라운드 볼트머리부가 형성된 볼트의 단부가 상기 관통형너트 또는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지주 또는 가이드 빔의 외면형상에 대응한 지지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접하여 중앙부에 너트수용홈과 볼트수용홈이 연통되거나 볼트수용홈이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와 접하여 분절된 결합판으로 형성된 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파상형 가드레일판과 세로 파상형 가드레일판 사이에, 기존 파상형 가드레일판 상부에 설치된 상부빔; 기존 파상형 가드레일판 하부에 설치된 하부빔; 및 상기 상부빔과 하부빔을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판재형태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가이드빔이 더 설치되어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설치된 가드레일.
KR1020050065641A 2005-07-20 2005-07-20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KR10067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41A KR100676457B1 (ko) 2005-07-20 2005-07-20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41A KR100676457B1 (ko) 2005-07-20 2005-07-20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112U Division KR200398290Y1 (ko) 2005-07-20 2005-07-20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69A true KR20070010769A (ko) 2007-01-24
KR100676457B1 KR100676457B1 (ko) 2007-02-01

Family

ID=3801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641A KR100676457B1 (ko) 2005-07-20 2005-07-20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9475A (zh) * 2021-11-18 2022-02-18 开研(宁波)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车道动态控制装置
CN115450357A (zh) * 2022-08-17 2022-12-09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组合结构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2924B1 (en) * 2019-04-11 2020-10-20 Laura Metaal Holding B V Friction-increasing element for attachment to a roadblock, and roadblock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ch friction-increasing el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9475A (zh) * 2021-11-18 2022-02-18 开研(宁波)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车道动态控制装置
CN115450357A (zh) * 2022-08-17 2022-12-09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组合结构板
CN115450357B (zh) * 2022-08-17 2023-11-03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组合结构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457B1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975B1 (ko) 가드레일구조체
KR20080109207A (ko)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장치
KR100676457B1 (ko)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KR100832789B1 (ko)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101250343B1 (ko) 차량 방호책
AU2017200567B2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KR101170330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2592572B1 (ko) 가드레일
KR200398290Y1 (ko)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KR100737745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110068698A (ko) 가드레일
KR20120090908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20150031868A (ko) 파단 기능의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의 충격흡수장치
KR20100007313U (ko) 가드레일 보강제 지주 완충 충격흡수 패킹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101134717B1 (ko)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040012654A (ko) 차량용 방호울타리
CN104842908A (zh) 缓冲吸能装置以及车辆
KR101259931B1 (ko)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KR200245934Y1 (ko) 충격완화용 가드레일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369079B1 (ko) 판상형 가드레일과 아크형 완충빔을 갖는 가드레일 시설물
KR200393428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