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659A -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통신용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통신용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659A
KR20070009659A KR1020067022747A KR20067022747A KR20070009659A KR 20070009659 A KR20070009659 A KR 20070009659A KR 1020067022747 A KR1020067022747 A KR 1020067022747A KR 20067022747 A KR20067022747 A KR 20067022747A KR 20070009659 A KR20070009659 A KR 20070009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stination
telephon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사카타
아키히사 구라시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06Call di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27Collaboration services where a computer is used for data transfer and the telephone is used for tele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과제) 메이커나 기종의 차이가 있는 전화 장치라도, 또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전화 장치라도, 전화 중계 장치에 의한 전송 처리의 실행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얻는다.
(해결 수단)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는 데이터 처리부 (130) 를 통해 전화 발신처 (통신처) 의 식별 정보를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에 송신하고,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에 발신처 (전송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등록한다. 다음에,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는 전화 처리부 (120) 를 통해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전화 발신하고,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내에 저장된 발신처전화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장치 (100) 로의 전화 전송 처리를 행한다.
통신 시스템, 전송 제어 방법, 전화 장치, 통신 장치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프로그램{COMMUNICATION SYSTEM, TRANSFER CONTROL METHOD, TELEPHONE DEVICE USED FOR SAME,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전송 처리 기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전화 전송 처리 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은 도 5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화 장치 (200) 와, 전화 중계 장치 (600) 와, 복수의 전화 장치 (200) 와 전화 중계 장치 (600) 를 접속하는 전화망인 네트워크 (500) 를 구비하고 있다.
전화 장치 (200) 는 이용자의 지정에 기초하여 전화 발신 및 착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화망 (50) 은, 어떤 전화 장치 (200) (이하, A 라 함) 로부터 발신처 지정을 포함하는 발신 요구를 받고, 당해 발신처에 대응하는 별도의 전화 장치 (200) (이하, B 라함) 혹은 전화 중계 장치 (600) 와의 사이의 통신을 확립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화 중계 장치 (600) 는, 어떤 전화 장치 (200)(A) 와 통신을 확립한 후에, 그것을 별도의 전화 장치 (200)(B) 에 전송하는 전화 전송 처리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전화 전송 처리란, 전화 중계 장치 (600) 가 어떤 전화 장치 (200)(A) 로부터 전화 발신을 받았을 때에, 전화 중계 장치 (600) 에 대하여 전화 발신을 행한 전화 장치 (200)(A) 와 별도의 전화 장치 (200)(B) 사이에서 전화 통신을 가능한 상태로 하는 처리를 말한다.
이하, 전화 중계 장치 (600) 에 의한 전화 전송 처리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화 중계 장치 (600) 는 전화 장치 (200)(A) 와 접속했을 때, 이 전화 장치 (200)(A) 로부터 전화망 (50) 을 통해 접속처 지정 정보를 받는다. 이 접속처 지정 정보의 형식이나 송신 방법은, 전화 중계 장치 (600) 에서 정해지고 있고, 전화 장치 (200)(A) 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서, 접속처 지정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에, 전화 중계 장치 (600) 는 전화망 (50) 을 통해 이 접속처 지정에 대응하는 별도의 전화 장치 (200)(B) 와 접속하고, 전화 장치 (200)(A) 와 전화 장치 (200)(B) 사이의 통신을 확립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전송이 실행되게 된다.
전화 중계 장치 (600) 에 의해 정해지는 접속처 지정 정보의 형식 및 송신방법의 예로서는, 예컨대, 「통신 확립 후에 전화 장치로부터 톤 신호에 의해 접속처의 정보를 전달한다」는 것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전화 전송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로서, 예컨대, 오피스의 대표 번호에 걸려 온 전화를, 사원의 개인 전화에 전송하는 경우이고, 이러한 경우에 전화 중계 장치 (600) 의 전화 전송 처리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전화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전화 장치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도 있지만, 종래 시스템에서는 이들의 전화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전화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화 전송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 이나 2 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60739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044147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도 5 에 도시한 종래 시스템에서는, 전송 처리를 행할 때에, 전송처의 전화 번호 정보를, 전화망 (50) 을 통해 전화 중계 장치 (600) 가 정한 방법으로 송신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는, 전화 장치의 메이커나 기종의 차이에 의해, 전화 장치가 전화망을 통해 전화 중계 장치가 정한 방법으로 전송처의 전화 번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처리 기능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전화 장치라도, 전화 중계 장치를 이용한 전송 처리의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 장치의 메이커나 기종의 차이가 있어도 전화 중계 장치에 의한 전송 처리의 실행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처리 기능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전화 장치에 의한 전화 전송 처리의 실행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전화 장치와, 상기 복수의 전화 장치의 하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다른 전화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와, 이들 전화 장치 및 통신 장치를 접속하는 전화망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화 장치는, 전송처의 전화 장치를 나타내는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통신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제어 방법은, 복수의 전화 장치와, 상기 복수의 전화 장치의 하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다른 전화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와, 이들 전화 장치 및 통신 장치를 접속하는 전화망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저장된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전송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는, 통신 장치를 중계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와 전화망을 통해 접속되는 전화 장치로서,
통신처의 발신을 행하기 전단계에서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식별하는 통신처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는 통신 장치는, 발신원의 전화 장치와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통신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는 통신용 프로그램은, 통신 장치를 중계하여 발신원의 전화 장치와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통신용 프로그램으로서,
전송처의 전화 장치를 나타내는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상기 전화 장치에 실행시키고,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통신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상기 통신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화 장치에 삽입하는 통신용 프로그램은, 통신 장치를 중계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와 전화망을 통해 접속되는 전화 장치에 통신처의 발신을 행하기 전단계에서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식별하는 통신처 식별 정 보를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통신 장치에 삽입한 통신용 프로그램은, 발신원의 전화 장치와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는 통신 장치에,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통신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중계 장치 (통신 장치) 에 있어서, 하나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다른 전화 장치로 전송할 때에 있어서, 하나의 전화 장치에 있어서 우선, 전송처 식별 정보를 외부의 저장 수단에 등록하고, 그 후, 중계 장치에 있어서 당해 하나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저장된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를 결정하도록 한다. 하나의 전화 장치가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할 때, 전화망과는 상이한, 예컨대,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행하도록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장치의 메이커나 기종의 차이가 있어도, 전화 중계 장치에 의한 전송 처리의 실행이 가능해짐과 함께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전화 장치에 의한 전화 전송 처리의 실행이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 1 에 도시하고 있고, 도 5 와 동등한 부분은 동일 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전화 장치 (100) 와, 전화 중계 장치 (300) 와,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와,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와, 전화 장치 (100) 와 전화 중계 장치 (300) 를 접속하는 전화망 (50) 과, 전화 장치 (100) 와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를 접속하는 네트워크 (6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화망 (50) 은,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화 장치 (100) 및 전화 중계 장치 (300) 로부터의 통화 요구에 기초하여, 지정된 다른 전화 장치 (100) 또는 전화 중계 장치 (300) 와의 전화 접속을 확립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통화 요구에 있어서, 전화 장치 (100) 또는 전화 중계 장치 (300) 를 지정하기 위한 식별자를 전화 번호라고 부른다. 전화 번호의 표현 형식은 전화 장치 (100) 및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식별 가능한 형식이면 임의의 형식이라도 상관없다. 이 표현 형식의 예로서는, 예컨대, 수치열, RFC (Request For Comment) 3261 (http://www.ietf.org/rfc/rfc3261.txt) 에 기재된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의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가 있다.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전화망 (50) 을 통해 전화 장치 (100) 와 전화 접속하는 기능을 가짐과 함께 전화 전송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전화 전송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화 전송 처리란,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전화 장치로부터 전화 발신을 받았을 때에, 전화 중계 장치에 대하여 전화 발신을 행한 전화 장치 (100)(A) 와, 다른 전화 장치 (100)(B) 사이에서 전화 통신을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을 가리킨다.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는,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의한 전화 전송 처리에 있어서,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전송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도 2 에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발신원의 전화 장치 (100) 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이 전화 장치 (100) 로부터의 전화 접속의 통신처의 전화 장치의 전화 번호의 조(組)가 저장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발신원의 전화 장치 (100) 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전화 번호 그 자체가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09012345678 : 061111111」이라는 행은, 「09012345678」이라는 전화 번호로 식별되는 전화 장치로부터의 전화 발신을 받았을 때에는, 「0611111111」이라는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전화 전송 시에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의 정보를 참조하여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처의 전화 번호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네트워크 (60) 는 전화 장치 (100) 와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사이의 통신을 매개하는 기능을 갖는다. 네트워크 (60) 의 예로서는, 인터넷이 있다.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는, 네트워크 (60) 를 통해 전화 장치 (100) 와 통신을 행하는 기능과, 전화 장치 (100) 의 지정에 기초하여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내의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 에 있어서, 복수의 전화 장치 (100) 는 모두 동일 구성이고, 따라서 하나의 전화 장치에 관해서만 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화 장치 (100) 는, 이용자와의 입출력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입출력부 (110) 와, 전화망 (50) 을 통한 전화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전화 처리부 (120) 와, 네트워크 (60) 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데이터 처리부 (130) 와, 전화 발신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를 포함하고 있다.
전화 장치 (100) 의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는, 전화 중계 장치 (300) 의 전화 번호 정보 (이하, 전화 중계 장치 전화 번호) 와, 네트워크 (60) 상에서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이하, 전화 발신 제어 서버 식별 정보) 를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발신 요구 처리부 (140) 가, 복수의 전화 중계 장치 전화 번호와 전화 발신 제어 서버 식별 정보의 정보를 유지하여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기초하여 이들의 정보를 구별하여 이용해도 좋다.
여기서, 전화망 (50) 을 통한 전화 접속 확립의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화 장치 (100)(A) 가 전화 장치 (100)(B) 에 전화를 거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다른 쪽이 전화 장치 (100) 가 아니라 전화 중계 장치 (300) 인 경우의 전화 접속도 동일한 순서로 실행된다.
우선, 전화 장치 (100)(A) 는, 전화 장치 (100)(B)의 전화 번호를 발신처로서 지정하여 전화망 (50) 에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전화망 (50) 은 접속 요구로 지정된 발신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장치 (100)(B) 에 대하여, 전화 접속요구를 통지하고, 전화 장치 (100)(B) 가 응답한 경우, 전화 장치 (100)(A) 와 전화 장치 (100)(B) 사이의 전화 접속을 확립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전화 접속의 확립이 실행된다.
또한, 전화망 (50) 은 전화 장치 (100)(B) 에 전화 접속 요구를 통지할 때에, 발신원의 전화 장치 (100)(A) 의 지정에 기초하여 전화 장치 (100)(A)의 식별 정보를 함께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의한 전화 전송 처리는 이하의 순서로 행해진다. 우선,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전화 장치 (100)(A) 로부터 전화 발신을 받고, 전화 장치 (100)(A) 와의 사이에서 전화 접속을 확립한다. 다음에,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전화 장치 (100)(A) 에 지정된 전화 장치 (100)(B) 에 대하여, 전화 발신을 행하고, 전화 장치 (100)(B) 와의 사이에서 전화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최후에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자신과 전화 장치 (100)(A) 와의 전화 접속의 단점(端點)과, 자신과 전화 장치 (100)(B) 와의 전화 접속의 단점을 접속하여, 전화 접속 장치 (100)(A) 와 전화 접속 장치 (100)(B) 사이에서의 전화 접속을 확립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전화 전송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의 순서는 전화 전송 처리의 일례이고, 전화 장치 (100)(A) 와 전화 장치 (100)(B) 사이의 전화 접속을 확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순서라면, 임의의 순서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 시스템과 비교하여, 전화 장치 (100) 가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전화 전송을 요구할 때의 전송처의 지정을 전화망 (50) 과는 상이한 네트워크 (60) 를 통해 행하는 점이 상이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도 3, 도 4 의 플로우 차 트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전화 장치 (100)(A) 로부터 전화 발신을 받은 후에 전화 장치 (100)(A) 가 지정하는 전화 장치 (100)(B) 에 전화 전송할 때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처리는 이하의 순서로 실행된다.
(1) 전화 장치 (100) 로부터 전화 중계 장치 (300) 로의 전화 발신 처리.
(2)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의한 전화 전송 처리.
이하, 각각의 처리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 설명한다.
(1) 전화 장치 (100) 로부터 전화 중계 장치 (300) 로의 전화 발신 처리에 관해서:
이 처리는 전화 장치 (100)(A) 내의 발신 요구 처리부 (140) 에 의해 실행된다. 이하, 발신 요구 처리부 (140) 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는 입출력부 (110) 를 통해 이용자로부터의 전화 발신 요구를 수신한다 (단계 S11). 전화 발신 요구에는 통신처가 되는 전화 장치 (100)(B) 의 식별 정보 (이하, 통신처 식별 정보) 의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처 식별 정보의 형식은,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가 이 식별 정보로부터 대응하는 전원 장치 (100)(B) 의 전화 번호를 식별 가능한 형식이면, 임의의 형식이어도 좋다. 통신처 식별 정보의 예로서는, 예컨대, 전화 장치 (100)(B) 의 전화 번호, 전화 장치 (100)(B) 의 단말 고유의 ID, 전화 장치 (100)(B) 의 이용자 ID, 전화 장치 (100)(B) 의 네트워크 (60) 상에서의 ID 등이 있다.
다음에,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는 데이터 처리부 (130) 에 대하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 발신 제어 서버 식별 정보로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를 지정하고, 이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에 대하여 전화 장치 (100)(A) 자신의 식별 정보와 단계 S11 에서 취득한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12).
여기서, 전화 장치 (100)(A) 자신의 식별 정보의 형식은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전화 장치 (100)(A) 를 한번에 식별 가능한 형식이면 임의의 형식이라도 상관없다. 전화 장치 (100)(A) 의 식별 정보의 예로서는, 예컨대 전화 장치 (100)(A) 의 전화 번호, 전화 장치 (100)(A) 의 단말 고유의 ID, 전화 장치 (100)(A) 의 이용자 ID, 전화 장치 (100)(A) 의 네트워크 (60) 상에서의 ID 등이 있다.
데이터 처리부 (130) 는, 지정된 전화 발신 제어 서버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60) 를 통해,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에 접속하고, 전화 장치 (100)(A) 의 식별 정보와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 (130) 는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에 접속할 때에 전자 서명이나 패스워드 등의 인증 정보를 부가하여 보내도 좋다.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는 데이터 처리부 (130)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우선, 통신처 식별 정보를 대응하는 전화 장치의 전화 번호로 변환하고, 다음에,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내의 데이터에, 전화 장치 (100)(A) 의 식별 정보와 발신처 (통신처) 의 전화 장치의 전화 번호와의 조를 발신원 식별 정보와 발신처 전화 번호의 조로서 등록한다. 또한, 발신처 식별 정보로서 전화 번호가 사 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변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에서는 발신 요구 처리부 (140) 가 자신의 전화 장치의 식별 정보의 송신을 명시적으로 지시한다고 하고 있지만, 이것은 반드시 명시적으로 지시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는 발신처의 식별 정보만의 송신을 지시하고,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가 전화 장치 (100) 의 데이터 처리부 (130) 와의 통신 처리에 있어서, 통신의 발신원의 식별 정보의 취득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화 장치 (100) 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는 전화 처리부 (120) 에 대하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 중계 장치 전화 번호를 지정하고,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전화 발신을 행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13). 전화 처리부 (120) 는 지정된 전화 중계 장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전화망 (50) 을 통해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통지하여 전화 접속을 행한다. 또한, 여기에서 통지되는 식별 정보의 형식으로서는 단계 S12 에서 이용된 식별 정보와 동등한 형식이 이용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전화 장치 (100)(A) 로부터, 전화 중계 장치 (300) 로의 전화 발신이 행해진다. 한편, 상기 단계 S12 에 있어서, 발신 요구 처리부 (140) 가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에 의한 등록 처리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확인이 완료된 단계에서 단계 S13 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2)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의한 전화 전송에 관해서 :
본 처리는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의해 실행된다. 이하, 전화 중계 장 치 (300) 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전화 장치 (100)(A) 로부터의 전화 발신을 받아 전화 접속을 확립한다 (단계 S21). 다음에,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전화 발신원의 전화 장치 (100)(A) 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에 당해 발신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단계 S22).
여기서, 발신원의 전화 장치 (100)(A) 의 식별 정보의 취득 방법의 예로서는, 전화 중계 장치 (300) 를 경유하여 전화 장치 (100)(A) 로부터 통지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발신원의 전화 장치 (100)(A) 의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는,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단계 S22 에서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내에 대응 데이터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전송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2 에서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내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전화 중계 장치 (300) 는 발신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처 전화 번호 (즉, 전화 장치 (100)(B) 의 전화 번호) 의 정보를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로부터 취득하고, 이 발신처 전화 번호로의 전화 전송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23).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이 발신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장치 (100)(B) 와의 전화 접속을 확립하고, 발신원의 전화 장치 (100)(A) 와의 전화 접속과 단점을 접속함으로써, 발신원의 전화 장치 (100)(A) 와 발신처의 전화 장치 (100)(B) 사이의 전화 접속을 확립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의한 전화 전송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단계 S22 에서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내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종래 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화 전송처를 결정하여 전화 전송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단계 S21 에 있어서, 전화 장치 (100)(A) 와의 전화 접속을 확립한 후에, 단계 S22 의 처리를 행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전화 장치 (100)(A) 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받은 단계에서,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전화 장치 (100)(A) 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단계 S21 의 단계에서는, 전화 접속의 확립을 행하지 않고 단계 S22 의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23 의 단계에서 전화 접속의 확립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화 장치 (100) 가 전화 전송의 전송처의 지정을 네트워크 (60) 를 통해 행한다. 그 때문에, 전화 장치 (100) 가 네트워크 (60) 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전송처의 지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전화 장치 (100) 가 전화망 (50) 을 통해 전화 중계 장치 (300) 와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전화 장치 (100) 의 일부가 전화망 (50) 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전화 중계 장치는 직접 접속되어 있는 전화 장치와 전화 접속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예컨대, 기업의 내선 전화와 같이, 전화망 (50) 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전화 장치로의 전송 처리도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가 발신처의 식별 정보를 전화 번호로 변환하여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에 저장하고,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이 전화 번호를 이용한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식별 정보의 전화 번호로의 변환을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가 아니라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행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가 발신처 식별 정보를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310) 에 그대로 저장하고,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이 발신처 식별 정보를 취득한 후에 전화 번호로의 변환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13 에 있어서, 전화 처리부 (120) 가 통지하는 전화 장치 (100) 자신의 식별 정보의 형식은, 단계 S12 에서 이용된 식별 정보와 동등한 형식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단계 S13 에서는, 단계 S12 와는 다른 형식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가 단계 S12 에서 받는 발신원 식별 정보의 형식과, 전화 중계 장치 (300) 가 단계 S13 에서 받는 발신원 식별 정보의 형식이 다른 형식이 되기 때문에, 전화 발신 제어 서버 (400) 또는 전화 중계 장치 (300) 에 있어서 식별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11 에 있어서,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는 입출력부 (110) 로부터 전화 발신 요구를 받는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발신 요구 처리부 (140) 가 입출력부 (110) 이외, 예컨대 데이터 처리부 (130) 로부터 전화 발신 요구를 받도록 해도 된다. 예컨대, 이용자에 의한 데이터 처리부 (130) 에서의 처리 결과로서, 데이터 처리부 (130) 가 발신 요구 처리부 (140) 에 전화 발신 요구를 행하고, 이것을 발신 요구 처리부 (140) 가 받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전화 장치 내의 다른 구성 요소에서의 처리와 연계하여, 발신 요구 처리부 (140) 가 전화 발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발신처의 전화 번호에 관한 제한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발신 요구 처리부 (140) 또는 데이터 처리부 (130) 또는 전화 처리부 (120) 에 있어서, 발신처의 식별 정보의 내용에 제한을 마련한다고 해도 좋다. 또한, 그 제한 내용을 네트워크 (60) 를 통해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지정하는 발신처를 한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도 3, 도 4 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는, 미리 프로그램으로서 동작 순서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두고, 이것을 컴퓨터에 의해 독해하여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장치의 메이커나 기종의 차이가 있더라도, 전화 중계 장치에 의한 전송 처리의 실행이 가능해짐과 함께,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전화 장치에 의한 전화 전송 처리의 실행이 가능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 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행해지는 전화 발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행해지는 전화 전송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는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전화망 60 : 네트워크
100 : 전화 장치 110 : 입출력부
120 : 전화 처리부 130 : 데이터 처리부
140 : 발신 요구 처리부 300 : 전화 중계 장치
310 : 발신처 데이터 저장부 400 : 전화 발신 제어 서버

Claims (18)

  1. 복수의 전화 장치와, 상기 복수의 전화 장치의 하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다른 전화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와, 이들 전화 장치 및 통신 장치를 접속하는 전화망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화 장치는 전송처의 전화 장치를 나타내는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통신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장치는,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를 상기 전화망과는 상이한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장치는,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의 송신과 시차를 갖게 하여 통신 처의 발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는, 상기 전화 장치에 부여된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복수의 전화 장치와, 상기 복수의 전화 장치의 하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다른 전화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와, 이들 전화 장치 및 통신 장치를 접속하는 전화망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저장된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전송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를 상기 전화망과는 상이한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통신망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로 하는 전송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의 송신과 통신처의 발신을 시차를 갖게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제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로서, 전화 장치에 부여된 전화 번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제어 방법.
  11. 통신 장치를 중계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와 전화망을 통해 접속되는 전화 장치로서,
    통신처의 발신을 행하기 전단계에서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식별하는 통신처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식별하는 통신처 식별 정보를 상기 전화망과는 상이한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처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5. 발신원의 전화 장치와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통신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통신 장치를 중계하여 발신원의 전화 장치와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통신용 프로그램으로서,
    전송처의 전화 장치를 나타내는 통신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상기 전화 장치에 실행시키고,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통신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상기 통신 장치에 실행시키는, 통신용 프로그램.
  17. 통신 장치를 중계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와 전화망을 통해 접속되는 전화 장치에, 통신처의 발신을 행하는 전단계에서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식별하는 통신처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통신용 프로그램.
  18. 발신원의 전화 장치와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는 통신 장치에,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통신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아, 상기 통신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처의 전화 장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통신용 프로그램.
KR1020067022747A 2004-06-30 2005-05-18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통신용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0700096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2392 2004-06-30
JPJP-P-2004-00192392 2004-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659A true KR20070009659A (ko) 2007-01-18

Family

ID=3578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747A KR20070009659A (ko) 2004-06-30 2005-05-18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통신용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06745A1 (ko)
EP (1) EP1763205A4 (ko)
JP (1) JPWO2006003758A1 (ko)
KR (1) KR20070009659A (ko)
CN (1) CN1947405A (ko)
WO (1) WO2006003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6849C (zh) * 2006-04-14 2009-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前传的系统及前传的方法
JP5126092B2 (ja) 2009-02-03 2013-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処理装置、通信端末、中継処理システム、中継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38472B2 (ja) 2009-05-13 2013-11-13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中継装置、電話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52100B2 (ja) 2009-05-19 2013-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中継装置、電話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10045B2 (ja) 2009-06-24 2012-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中継装置、電話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09487B1 (ko) * 2011-09-30 2018-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1094B1 (en) * 1998-01-22 2003-05-27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all forwarding of telephone calls from an IP connection
US6275575B1 (en) * 2000-01-12 2001-08-14 Right4Me.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and initiating cross-platform telephone conferences
US7002952B2 (en) * 2001-05-25 2006-02-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sage-based billing for voice over packet communications
JP2003087835A (ja) * 2001-09-13 2003-03-20 Toshiba Corp Webダイヤルイン接続方法及びダイヤルイン接続のための内線電話帳サービス機能を有するWebサーバコンピュ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7405A (zh) 2007-04-11
JPWO2006003758A1 (ja) 2008-04-17
EP1763205A1 (en) 2007-03-14
EP1763205A4 (en) 2007-08-08
WO2006003758A1 (ja) 2006-01-12
US20070206745A1 (en)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13049C1 (en) Client controlled dynamic call forwarding
US8243704B2 (en) Call control device, relay device, call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1071726A (ja) セッション共有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ユーザ端末
KR20080044830A (ko) Sip와 같은 컴퓨터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전화 호출을다이얼로그와 연관시키는 방법
KR20070009659A (ko)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통신용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5474503B2 (ja) 呼接続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36269A1 (en) Communication system
JP4622817B2 (ja) 着信呼転送装置および着信呼転送方法
JP4677350B2 (ja) 呼制御信号転送装置、呼制御信号転送方法および呼制御信号転送プログラム
JP4044082B2 (ja) 選択装置、変換装置、選択方法、変換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22953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호 변경 요청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7013616A (ja) プレゼンス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6333220A (ja) 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のサーバ装置
KR100814398B1 (ko) 멀티콜 서비스 지원 VoIP 단말 및 그 방법
JP5233714B2 (ja) 通信メディア変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505509A (zh) 资源预留的实现方法以及互通网元
JP2007174003A (ja) 代理応答端末およびシステム
JP4514774B2 (ja) 連携サーバ装置
JP5466202B2 (ja) ファクシミリ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ファクシミリ送受信装置、ファクシミリ送受信方法
JP5299350B2 (ja) 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および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590302B2 (ja) VoIPゲートウエイ装置および呼中継方法
JP4555005B2 (ja) プロトコル変換サーバ
JP5046007B2 (ja) Ip電話装置
JP2009049559A (ja) メッセージ中継装置、メッセージ中継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848835B2 (ja) Ip電話装置、電話ネットワーク、ダイヤル中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