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506A -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지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506A
KR20070009506A KR1020060130221A KR20060130221A KR20070009506A KR 20070009506 A KR20070009506 A KR 20070009506A KR 1020060130221 A KR1020060130221 A KR 1020060130221A KR 20060130221 A KR20060130221 A KR 20060130221A KR 20070009506 A KR20070009506 A KR 20070009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pole
inner hollow
support memb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5982B1 (ko
Inventor
히로야스 미나요시
마사토 우시로야마
히토시 쇼지
Original Assignee
엔티티 인프라네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인프라네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티 인프라네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1Collapsible or foldable work holder suppor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4Work holder for positioning elements of building in installed lo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32Repairing by attaching repair preform, e.g., remaking, restoring, or pa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09Means comprising hand manipulatable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09Means comprising hand manipulatable tool
    • Y10T29/53913Aligner or ce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7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means to relatively position plural work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1Glass, ceramic, or sintered, fused, fired, or calcined metal oxide or metal carbide containing [e.g., porcelain, brick, ceme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환형의 측벽, 상기 환형의 측벽에 제공되는 내측 중공부, 및 상기 환형의 측벽의 일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 보강 방법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소정량의 모르타르, 소정량의 모래, 및 소정량의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주입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상기 전주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주입된다.
콘크리트 전주, 보강, 지그, 환형 측벽, 내측 중공부, 모르타르, 모래, 자갈, 아라미드, 충전, 주입, 삽입, 미나시키

Description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지그 {ARRANGING METHOD OF CONCRETE ELECTRIC POLE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JIG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으로 이미 보강된 전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주의 보강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단면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직 보강되지 않은 전주의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작업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으로 이미 보강된 전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전주의 보강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변형을 나타내는 확대단면사시도이다.
도 7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직 보강되지 않은 전주의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작업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으로 이미 보강된 전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전주의 보강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단면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사용되는 보강 부재 배열 지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지그에서 제2 및 제3 지지 부재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아직 보강되지 않은 전주의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작업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 나타낸 전주를 상측에서 본 제2 개구부의 상측 횡단면도로서, 제3 실시예에 따라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아라미드 봉(aramid rod)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에 나타낸 전주를 상측에서 본 제2 개구부의 상측 횡단면도로서, 제3 실시예에 따라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지그(jig)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8에 나타낸 전주를 상측에서 본 제2 개구부의 상측 횡단면도로서, 제3 실시예에 따라 아라미드 봉이 지그에 의해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나타낸 내측 중공부의 아라미드 봉의 배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변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으로 이미 보강된 전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사용되는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한 제1 지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사용되는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한 제2 지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1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아직 보강되지 않은 전주의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 나타낸 작업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4 실시예에 따라 도 18에 나타낸 전주에 제1 지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4 실시예에 따라 도 18에 나타낸 전주에 제1 지그가 삽입된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4 실시예에 따라 도 18에 나타낸 전주에 제1 지그가 삽입된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최종 상태의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제2 개 구부를 통해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4 실시예에 따라 도 18에 나타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이미 삽입된 제1 및 제2 지그를 포함하는 미나시키(minasiki) 지그 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26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도시한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26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도시한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26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도시한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에서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한 지그 및 그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는 그 하부는 지하에, 그리고 그 상부는 지상에 배치되도록 이미 설치되어 있다.
노후된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를 취급하기 위해 보강을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 둘레에 아라미드 섬유 시트와 같은 보강 부재를 감는 보강 방법이 사용되었다.
전주는 일반적으로 지상부와 지표면의 경계부를 포함하는 지하부의 범위가 보강된다.
즉, 콘크리트 전주가 종래의 보강 방법으로 보강되는 경우, 콘크리트 전주의 경계부 주변의 지표면을 굴착하여 콘크리트 전주의 지하부가 노출되도록 해야 한다.
콘크리트 전주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콘크리트 전주와 인접한 구조물이 제거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주택의 벽이 콘크리트 전주와 인접한 경우, 그 벽은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 전주의 경계부 주변의 지표면이 경사지고 돌이 많거나 콘크리트 전주가 경사진 지표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지표면을 정지(整地)해야 한다.
구조물의 제거 작업 및 그에 따른 새로운 구조물의 재설치 작업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보강 작업의 전체 시간을 많이 증가시키며 그에 따라 전체 비용도 증가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 기인하여 이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보강 방법에 비해 용이하게 콘크리트 전주를 보강할 수 있는 콘크리트 전주의 보강 부재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환형의 측벽을 갖는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를 보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환형의 측벽 내부에는 내측 중공 부가 제공되고 환형의 측벽 일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천공된다. 이 보강 방법은 소정량의 모르타르, 소정량의 모래, 및 소정량의 자갈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주입하는 단계, 및 전주의 보강을 위한 보강 부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환형의 측벽을 갖는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를 보강하는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환형의 측벽 내부에는 중공부가 제공되고, 환형의 측벽의 일부분에는 이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 보강 방법은 소정량의 모르타르, 소정량의 모래, 및 소정량의 자갈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주입하는 단계, 전주의 보강을 위한 보강 부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된 보강 부재와 상기 내측 중공부 사이의 틈새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환형의 측벽을 갖는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를 보강하는 또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환형의 측벽 내부에는 중공부가 제공되고, 환형의 측벽의 일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천공된다. 이 보강 방법은 지그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그 부재로 상기 보강 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전주 보강을 위한 보강 부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측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 소정량의 모르타르, 소정량의 모래, 및 소정량의 자갈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 부재로 상기 삽입된 보강 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되어 지지된 보강 부재 와 상기 내측 중공부 사이의 틈새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방법에 의해 보강된 콘크리트 전주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에 의해 보강된 콘크리트 전주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방법에 의해 보강된 콘크리트 전주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는 선재(string member)가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한 지그가 제공되며, 이 지그는 베이스부(base portion), 베이스부의 일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며 각각이 실질적으로 봉형이고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각 지지 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재가 각각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 상기 지지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는 선재가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한 지그가 제공되며, 이 지그는 베이스 바(base bar), 상기 베이스 바의 일 단부에 장착되며 실질적으로 환형의 표면을 갖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상에 장착되며 각각은 선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갖는 현수 부재(suspending member)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9항에 따른 지그를 사용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각각이 상기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고 선재가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배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배열 방법은 각 지그의 관통 구멍에 선재의 타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 관통 구멍을 통해 내측 중공부에 지지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복수의 지지 부재가 회전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었을 때 지그의 고정 부재에 의해 지지 부재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내측 중공부 내에서 그 회전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선재의 타 단부를 인장되게 잡아당기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에 기인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21항에 따른 지그를 사용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각각이 상기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고 선재가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배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배열 방법은 각 지그의 관통 구멍에 선재의 타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 관통 구멍을 통해 내측 중공부에 지지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각 관통 구멍의 축 방향 배열이 전주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도록 상기 지그를 취급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내측 중공부 내에서 그 회전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선재의 타 단부를 인장되게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양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실시예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이하 단순히 "전주"라 칭함)의 보강 방법은 지표면 위의 전주 측벽의 소정의 위치에 미리 형성된 어스 구멍(earth hole) 등의 주입 구멍 부분을 통해 전주 내에 보강 부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갖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주로 어스 구멍 아래의 경계부 근처의 전주 일부분을 보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의해 이미 보강된 전주(1)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된 전주(1)는 지표면 S에 직립하고 상측을 향해 서서히 테이퍼를 이루는 대략 튜브형이 되도록 지중에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 지표면 S는 산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경사지게 블록 등으로 보강된다.
보강된 전주(1)에는 보강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환형의 측벽(10) 및 환형의 측벽(101) 내측에 제공되는 내측 중공부(103)가 제공된다.
보강된 전주(1)에는 지표면 S 위의 전주(1)의 환형의 측벽(101)의 소정의 위치에 미리 천공되는 어스 구멍(105)이 형성된다.
보강된 전주(1)에는 지중에 위치되고 지중에 있는 하부의 내측 중공부(103)에 충전되도록 어스 구멍(105)으로부터 주입되는 소정량의 모르타르로 형성되는 모르타르 충전부(모르타르 충전층)가 제공된다.
모르타르 충전부(106)의 상단부는 지표면 S의 하부에서 대략 400㎜ 내지 800㎜로 위치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강부의 베이스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보강된 전주(1)에는 모르타르 충전부(106) 상에서 내측 중공부(103)가 어스 구멍(105) 근처까지 충전되도록 어스 구멍(105)으로부터 주입되는 보강 부재로 형성되는 보강부(보강층)(107)가 제공된다.
모르타르 및 보강 부재가 주입되는 어스 구멍 부분(105)은 대략 타원형이다. 어스 구멍 부분(105)의 장축은 대략 40㎜ 내지 60㎜이고, 단축은 대략 20㎜ 내지 40㎜이다.
어스 구멍 부분(105)이 제공되는 환형의 측벽(101)의 소정 위치는 일반적으로 지표면 S로부터 대략 1200㎜ 내지 1600㎜ 범위의 높이에 놓인다.
보강부(107)를 구성하는 보강 부재로서, 에폭시 수지 등의 강화 수지 및 회색 주철 등의 골재로 구성된 혼합물이 사용된다. 혼합물은 강화 수지에 골재를 혼합하여 형성되므로 혼합물의 강도가 더욱 증가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 부호 107a는 도 1 및 도 2의 검은 점을 포함하는 영역인 수지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107b는 빗금 친 영역인 회색 주철을 나타낸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는 상기 혼합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수지(107a) 대신에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회색 주철 대신에 아라미드로 구성된 싱글 체인(single chain)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 부재로는 고화되어도 수축하지 않는 비수축성 모르타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모르타르 충전부를 형성하기 위한 모르타르의 충전 대신에 전주(1)의 내측 중공부(103)에 소정량의 모래 및/또는 소정량의 자갈을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직 보강되지 않은 전주(1a) 보강의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작업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작업을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보강부(107)의 베이스 역할을 하는 소정량의 희박(poor) 모르타르 M이 모르타르 충전부(105)를 형성하는 전주(1a)의 지중 하부의 내측 중공부(103)에 충전되도록 어스 구멍(105)으로부터 주입된다(단계 S11).
모르타르의 주입량은 용량 등을 포함한 전주(1a)의 상태에 따라 가변적이어서, 제1 실시예에서 모르타르의 주입량은 모르타르 충전부(106)의 상부가 지표면 S로부터 대략 400㎜ 내지 800㎜ 아래에 위치되도록 조절된다.
다음에, 수지(107a) 및 회색 주철(107b)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보강 부재 R이 전주(1a)의 모르타르 충전부(106) 위에서 어스 구멍(105) 근처까지 내측 중공부(103)에 충전되도록 어스 구멍(105)으로부터 주입된다(단계 S13).
본 실시예에서, 단계 S13에서는, 어스 구멍(105)이 지표면 S에 대하여 대략 1200㎜ 내지 1600㎜ 범위의 높이에 있는 환형의 측벽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주입 작업이 어스 구멍 부분(105)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단계 S13에서는 주입 작업이 환형의 측벽(101)의 적어도 하나의 비계 볼트(scaffold bolt) 근처인 소정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다른 구멍 부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보강 작업 공정은 도 3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이루어져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보강된 전주(1)가 완성된다.
단계 S13에 나타낸 작업을 수행한 후, 전주(1)의 설치 요구 조건 및 보강 비용에 따른 제약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주(1)의 외주로부터 보강된 전주(1)의 보강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환형의 측벽(101)의 전주(1)의 경계부로부터 구멍(103) 부분까지의 외주 부분의 둘레에 아라미드 섬유 시트 등의 시트 부재를 감을 수 있다.
단계 S13에 설명한 바와 같이, 어스 구멍(105)이 제공되지 않거나 어스 구멍(105)보다 전주(1)의 높은 부분이 보강되어야 할 경우에는 환형의 측벽(10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비계 볼트가 제거되어, 내측 중공부(103)와 연통되도록 드릴이나 다른 유사한 장치로 제거된 위치에 구멍 부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구멍 부분은 내측 중공부(103)에 주입될 모르타르 및 보강 부재가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어스 구멍(105)이 전주(1)의 보강될 부분보다 높이 위치된 전주(1)의 부분을 간단하게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모르타르 및 회색 주철은 종래의 보강 방법에 사용된 아라미드 섬유 시트보다 저렴할 뿐 아니라 전주의 경계부 둘레의 지표면 S를 굴착할 필요가 없으 며, 주변의 정지 작업 및 복구 작업이 필요 없어서 전주의 보강 작업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택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근처 위치나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이 블록 등으로 보강된 지표면 위치와 같이 전주의 보강이 매우 곤란한 특수 위치에 전주가 설치된 경우에도,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보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출원인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의해 보강된 전주의 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의해 보강된 전주가 종래의 보강 방법에 의해 보강된 전주와 대략 동일한 강도를 갖거나 더 강도가 높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체 환형 측벽의 일부분을 대략 30 내지 50% 절제한 전주를 보강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전주에 요구되는 설계 강도를 만족하는 강도가 확인되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은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환형의 측벽의 상부 개구부에 끼워진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전주를 보강하도록 상기 환형의 측벽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전주 내에 보강 부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강 방법은 전주의 상부에 탑재된 변압기 및/또는 전주와 다른 전주 사이에 설치된 전선으로 인해 노후에 따른 전주의 중간부를 보강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의해 이미 보강된 전주(2)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된 전주(2)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표면 S에 직립하고 상부를 향하여 서서히 테이퍼를 이루는 튜브 형상을 갖도록 지중에 설치되어 있다.
보강된 전주(2)에는 보강 콘크리트로 구성된 환형의 측벽(201) 및 환형의 측벽(201) 내측에 제공되는 내측 중공부(203)가 제공된다.
환형의 측벽(201)은 그 상부에 내측 중공부(203)와 연통되는 상부 개구부 TP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된 전주(2)에는 지중에 위치하며 지중의 전주(2) 하부의 내측 중공부(203)에 충전되도록 상부 개구부 TP로부터 주입되는 소정량의 모르타르로 형성되는 모르타르 충전부(206)가 제공된다. 모르타르 충전부(206)의 상부 부분은 예를 들어 지표면 S로부터 대략 400㎜ 내지 800㎜ 아래에 위치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강부의 베이스 역할을 한다.
보강된 전주(2)에는 또한 모르타르 충전부(206) 위의 전주(2)의 내측 중공부(203)에 보강부(207)가 제공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부(207)는 모르타르 충전부(206) 상에 장착되는 보강 부재(207ab), 및 보강 부재(207ab)와 내측 중공부(203) 사이의 틈새에 충전되어 보강 부재(207ab)가 대략 전주(2)의 종 방향(축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충전 부재(207c)로 형성된다.
보강 부재(207ab)는 모르타르 충전부(206)의 상부에 장착되는 아라미드 봉(207a) 및 모르타르 충전부(206) 상에 장착되어 복수의 아라미드 봉이 조립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207b)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아라미드 봉(207a)은 대략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다.
또한, 전주(2)에는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환형 측벽(201)의 상부 개구부 TP에 끼워지는 커버(213)가 제공된다.
도 5에서는 단지 2개의 아라미드 봉(207a)만을 나타내어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대략 6개 내지 10개의 아라미드 봉(207a)이 고정 부재(207b)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207b)에 고정되는 아라미드 봉(207a)의 수는 내측 중공부(203)의 직경(구경), 보강에 요구되는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보강 부재(207ab)의 길이는 전주(2)의 보강될 부분의 요구에 따라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전주(2)의 지표면 S에 대한 경계면 및 중간부 모두를 보강하는 경우, 보강 부재(207ab)의 길이는 보강 부재(207ab)가 내측 중공부(203)에 삽입되고 모르타르 충전부(206)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강 부재(207ab)의 상부가 전선이 설치된 위치 근처인, 전주(2)의 경계부로부터 대략 3800㎜ 내지 5500㎜의 높이의 높이까지 도달되도록 조절된다. 보강 부재의 길이가 조절된 후, 조절된 보강 부재는 환형 측벽(201)의 상부 개구부 TP로부터 내측 중공부(203)에 삽입될 수 있 다.
한편, 보강 부재는 도 5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207ab1)는 모르타르 충전부(206)의 상부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판(207e) 및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되고 알루미늄 판(207e)과 연결되는 복수의 아라미드 체인(207d)을 포함한다. 이 경우, 알루미늄 판(207e)의 종 방향 길이 및 아라미드 체인(207d) 각각의 종 방향 길이는 보강이 가장 요구되는 중간부의 내측에 알루미늄 판(207e)이 위치되도록 조절된다. 도 6에서, 알루미늄 판(207e) 대신에 아라미드 섬유 시트가 양면에 부착된 비닐 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 부재(207ab)와 내측 중공부(203) 사이의 틈새에 비수축성 모르타르가 충전되면 고화되어도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이 비수축성 모르타르는 충전재(207c)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등의 수지, 콘크리트 또는 다른 유사한 소재가 충전재(207c)로 사용될 수 있다.
모르타르의 주입량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조정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정량의 모르타르 대신에 소정량의 모래 및/또는 소정량의 자갈이 전주(2)의 내측 중공부(203)에 주입될 수 있다.
도 7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되지 않은 전주(2a)의 보강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작업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커버(213)가 전주(2a)의 상부 개구부 TP로부터 제거되고, 모르타르 충 전부(205)를 형성하는 전주(2a)의 지중 하부 내측 중공부(203)에 보강부(207)의 베이스 역할을 하는 소정량의 희박 모르타르 M1이 충전되도록 상부 개구부 TP로부터 주입된다(단계 S21).
다음에, 복수의 아라미드 봉(207a)이 고정 부재(207b)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미리 조립된 보강 부재(207ab)가 크레인 C 등으로 인상되어서 보강 부재(207ab)가 상부 개구부 TP로부터 내측 중공부(203)에 삽입되도록 한다(단계 S23).
단계 S23의 작업을 행한 후, 보강 부재(207ab)가 크레인 C에 의해 인상되는 동안, 충전재(207c)가 보강 부재(207ab)의 상부 근처 높이까지 상부 개구부 TP로부터 내측 중공부(203)에 주입되어, 보강 부재(207ab)가 삽입되는 전주(2a)의 중간 부를 보강한다(단계 S25).
최종적으로, 크레인 C가 보강 부재(207ab)로부터 제거되고 커버(213)가 전주(2a)의 상부 개구부 TP에 끼워져서 보강 작업이 마무리된다(단계 S27).
보강 작업이 도 7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수행되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보강된 전주(2)가 얻어진다.
한편, 단계 S27의 작업이 수행된 후, 전주(2)의 설치 요구 조건 및 보강 비용에 따른 제약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주(2)의 외주로부터 보강된 전주(2)의 보강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환형의 측벽(201)의 외주 부분의 둘레에 아라미드 섬유 시트 등의 시트 부재를 감을 수 있다. 특히, 아라미드 섬유 등과 같은 시트 부재는 전주(2)의 경계부에서 보강부(207)의 상부 근처 범위 부분인 환형의 측벽(201) 부분의 외주 둘레에만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적절하게 얻을 수 있다.
전주의 중간부 또는 경계부 이외의 어스 구멍에 관한 전주의 상부를 보강하는 경우,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을 이용하면 보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특히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은 전주의 환형 측벽에 적어도 2개의 개구부(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보강용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제1 개구부로부터 환형 측벽의 내측에 모르타르, 모래, 또는 자갈 등의 베이스 소재를 주입하는 단계, 및 제2 개구부로부터 환형 측벽의 내측에 각각이 "아라미드 봉"이라 칭하는 아라미드로 구성된 복수의 봉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재인 복수의 아라미드 봉이 전주의 환형 측벽 내측에 삽입된다. 각 아라미드 봉에는 선재가 연결된다. 각 아라미드 봉에 연결되는 각 선재는 전주의 측벽 내측의 아라미드 봉 각각을 배열하기 위한 지그의 각 관통 구멍을 통해 연결된다.
지그를 이용하면 복수의 아라미드 봉을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 중공부에 배열할 수 있다.
각 아라미드 봉은 대략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다.
아라미드 봉에 연결되는 선재로는 리니어 선재, 스테인리스 와이어 등이 사용되며, 상기 선재는 대략 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대략 1.5㎜의 직경을 갖는다.
선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아라미드 봉의 상부 외주 둘레에 감겨서 연결될 수 있거나, 아라미드 봉의 상부 외주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의해 이미 보강된 전주(3)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된 전주(3)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표면 S에 직립하고 상부를 향하여 서서히 테이퍼를 이루는 튜브 형상을 갖도록 지중에 설치되어 있다.
보강된 전주(3)에는 보강 콘크리트로 구성된 환형의 측벽(301) 및 환형의 측벽(301) 내측에 제공되는 내측 중공부(303)가 제공된다.
보강된 전주(3)에는 지표면 S 위의 전주(3)의 환형 측벽(301)의 소정의 제1 및 제2 위치에 관통된 제1 개구부(305a) 및 제2 개구부(305b)가 형성된다.
도 8에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축 방향으로 배열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는 지표면 S 위의 환형 측벽의 소망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보강된 전주(3)에는 지중에 위치되고 전주(3)의 지중에 있는 하부 부분의 내측 중공부(303)에 충전되도록 제1 개구부로부터 주입되는 소정량의 모르타르, 소정량의 모래, 또는 소정량의 자갈로 형성되는 베이스부(306)가 제공된다.
베이스부(306)의 상부는 예를 들어, 지표면 S의 대략 400㎜ 내지 800㎜ 아래 에 위치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강부의 베이스 역할을 한다.
적어도 하나의 비계 볼트가 제거된 환형 측벽(301)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어스 구멍 또는 구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305a) 및 제2 개구부(305b)로 이용될 수 있으며, 환형의 측벽(301)의 적정한 위치에 구멍 부분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코어 샘플링 드릴(core sampling drill) 등에 의해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305a)가 형성되는 제1 위치는 지표면 S에 대하여 대략 1000㎜ 내지 1200㎜의 높이에 위치되며, 제2 개구부(305b)가 형성되는 제2 위치는 제1 위치로부터 200㎜ 내지 300㎜ 상측에 위치된다. 한편, 제1 개구부(305a) 및 제2 개구부(305b) 각각은 대략 타원형이다. 제1 개구부(305a) 및 제2 개구부(305b) 각각은 장축이 대략 40㎜ 내지 60㎜이고, 단축이 대략 20㎜ 내지 40㎜이다.
보강된 전주(3)에는 또한 베이스부(306) 위의 전주(3)의 내측 중공부(303)에 제공되는 보강부(307)가 제공된다.
도 9는 보강부(307)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사시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307)는 베이스부(306)에 장착되는 복수의 아라미드 봉(307a), 및 아라미드 봉(307a)이 대략 전주(3)의 종 방향(축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아라미드 봉(307a)과 내측 중공부(303) 사이의 틈새에 충전되는 충전재(307b)를 포함한다.
아라미드 봉(307a)의 일 단부(상단부)에는 선재(307d)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된다.
즉, 선재(307d)의 일 단부는 아라미드 봉(307a)의 일 단부의 외주 둘레에 감겨서 고정되게 연결되거나, 아라미드 봉(307d)의 일 단부의 외주 둘레에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
도 9에서는 6개의 아라미드 봉(307a)만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내측 중공부(303)에 삽입되는 아라미드 봉(307a)의 수는 내측 중공부의 직경, 보강이 요구되는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각 아라미드 봉(307a)은 대략 1800㎜ 내지 2000㎜의 종 방향(축 방향)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각 아라미드 봉(307a)의 종 방향 길이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주(3)의 보강될 부분의 요구에 따라 조정된다.
아라미드 봉(307a)과 내측 중공부(303) 사이의 틈새에 비수축성 모르타르가 충전되면 고화되어도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이 비수축성 모르타르는 충전재(307c)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등의 수지, 콘크리트 또는 다른 유사한 소재가 충전재(307c)로 사용될 수 있다.
모르타르, 모래, 또는 자갈의 주입량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조정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사용되는 보강 부재 배열 지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50)에는 베이스 바(50a), 및 예를 들어 각 각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종 방향 길이가 동일한 제1, 제2, 제3 봉형 지지 부재(51, 52, 53)가 제공된다.
각 지지 부재(51, 52, 53)의 길이는 전주(3)의 내측 중공부(303)의 직경(구경)과 대략 동일하다.
제1 지지 부재(51)는 베이스 바(50a)의 일 단부에 고정되고,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는 그 중간부가 핀 부재(50b)에 의해 제1 지지 부재(51)에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지그(50)에는 또한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의 제1 및 제2 위치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핸들링 암(handling arm)(55, 56)이 제공된다. 제1 위치와 핀 부재(50b) 사이의 거리 및 제2 위치와 핀 부재(50b) 사이의 거리는 상호 대략 동일하다.
제1, 제2, 제3 지지 부재(51, 52, 53) 각각의 양 단부에는 선재(307d)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54)이 형성된다.
핀 부재(50b)로부터 관통 구멍(54)의 형성 위치까지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주(3)의 내측 중공부(303)에 6개의 아라미드 봉(307a)이 삽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지그(50) 전체에 6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지그(50)의 제1 지지 부재(51)에는 또한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57, 58)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핸들링 암(55, 56)을 베이스 바(50a)의 타 단부 위치 쪽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됨으로써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가 베이스 바(50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개방)되면, 스토퍼(57, 58)는 제1, 제2, 제3 지지 부재(51, 52, 53)가 서로 60°각도로 위치되어, 제1, 제2, 제3 지지 부재(51, 52, 53)가 핀 부재(50b)에 대하여 원주 방향(회전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를 고정시킨다.
즉,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가 스토퍼(57, 58)에 의해 고정되면, 각 관통 구멍(54)은 원주 방향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핀 부재(50b)를 중심으로 한 원호 상에 배열된다.
도 11은 핸들링 암(55, 56)이 베이스 바(50a)의 일 단부 쪽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되어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가 베이스 바(50a) 쪽으로 회전되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폐쇄 상태의 지그(50)는 제2 개구부(305b)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12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아직 보강되지 않은 전주(3a)의 보강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작업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코어 샘플링 드릴 CS에 의해 환형 측벽(301)의 적절한 부분이 천공되어 환형 측벽(301)의 적절한 부분에 제1 및 제2 개구부(305a, 305b)가 형성된다(단계 S31).
다음에, 모르타르, 모래, 또는 자갈 등의 베이스 부재 BM이 지중의 전주(3a) 하부의 내측 중공부(303)에 충전되도록 제1 개구부(305a)로부터 주입되어 베이스부(306)를 형성하도록 한다(단계 S33).
단계 S33의 작업 후, 선재(307d)에 연결된 6개의 아라미드 봉(307a)이 제2 개구부(305b)를 통해 내측 중공부(303)에 삽입되어 베이스부(306) 위에 장착되도록 한다(단계 S35). 단계 S35에서, 각 선재의 타 단부 각각은 제2 개구부(306b)를 통해 내측 중공부(305)로부터 잡아당겨져서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도 13은 제2 개구부(305b)의 상측을 위에서 본 횡단면도로, 아라미드 봉(307a)이 전주(3a)의 내측 중공부(303)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단계 S37에서, 선재(307d)는 그 타단부부터 지그(50)의 관통 구멍(54)을 통과하도록 각각 놓이고, 지그(50)는 그 일 단부부터 제2 개구부(305b)를 통해 전주(3a)의 내측 중공부(303)에 삽입되도록 된다(도 14).
또한 단계 S37에서, 핸들링 암(55, 56)은 전주(3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조작되어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가 베이스 바(50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개방)됨으로써, 제1, 제2, 제3 지지 부재(51, 52, 53)가 스토퍼(57, 58)에 의해 서로 60°각도로 각각 위치되도록 고정된다.
즉, 제1, 제2, 제3 지지 부재(51, 52, 53)는 핀 부재(50b)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의 회전에 의해 정해지는 원호 상의 위치에 놓인다.
상기 조작 후, 단계 S37에서, 전주(3)의 외측에 노출된 선재(307d)는 인장되도록 전주(3a) 외측 방향으로 당겨져서 아라미드 봉(307a)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50)에 의해 현수되도록 한다.
단계 S37에서 제1, 제2, 제3 지지 부재(51, 52, 53)에는 동일한 간격의 원호 상의 위치에 모든 관통 구멍(54)이 놓이므로, 인장된 선재(307a)에 연결되고 제1, 제2, 제3 지지 부재(51, 52, 53)에 의해 지지되는 아라미드 봉(307a)은 내측 중공부(303)에서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의 원호 상 위치에 각각 놓인다.
도 16은 모든 아라미드 봉(307a)이 내측 중공부(303)에서 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의 원호 상 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10, 도 11,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지그(50)는 지그의 예시이다. 즉, 지그의 구조는 전주(3)의 내측 중공부(303)에 삽입되는 아라미드 봉(307a)의 수에 따라 당연히 변경된다.
임의의 지그를 사용하는 경우, 지지 부재가 회전되어 개방되면 임의의 지그는 핀 부재(50b)에 의해 정해지는 원호 상에 모든 관통 구멍이 놓이는 불변(invariant) 구조를 갖는다.
단계 S35 및 S37에서 모든 아라미드 봉(307a)이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놓이는 작업 후, 아라미드 봉(307a)의 상단부 근처 높이까지 제1 개구부(305a)로부터 내측 중공부(303)에 충전재(307c)가 주입되며, 이 때 모든 아라미드 봉(307a)은 지그(50)에 의해 지지된다(단계 S39).
주입된 충전재(307c)가 고화된 후, 지그(50)로부터 포장 부재가 제거되어 고정된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다음에, 핸들링 암(55, 56)이 베이스 바(50a)의 일 단 부 쪽으로 이동하여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가 베이스 바(50a) 쪽으로 회전되어 폐쇄된다(도 11 및 도 14). 지지 부재(52, 53)가 폐쇄된 상태로 된 지그(50)는 제2 개구부(305b)를 통해 내측 중공부(303)로부터 인출되어, 지그(50)의 관통 구멍(54)으로부터 각각의 선재(307)가 제거된다(단계 S41). 한편, 단계 S41에서는 충전재(307c)가 충전된 직후에 지그(50)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선재(307d)의 전주(3a)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은 절단된다.
단계 S41의 작업 후, 제1 및 제2 개구부(305a, 305b)는 밀봉된다. 어스 구멍이 제1 및 제2 개구부로 이용되는 경우, 어스 구멍에는 어스 구멍 커버가 끼워진다. 제1 및 제2 개구부가 코어 샘플링 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제1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환형의 측벽의 외주 일부분 둘레에는 아라미드 섬유 시트가 감길 수 있다.
도 12a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보강 작업이 행하여져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보강된 전주가 얻어진다.
한편, 단계 S41의 작업을 한 후, 전주(3)의 설치 요구 조건 및 보강 비용에 따른 제약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주(3)의 외주로부터 보강된 전주(3)의 보강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환형의 측벽(301)의 외주 부분의 둘레에 아라미드 섬유 시트 등의 시트 부재를 감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적절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라, 전주(3)의 내측 중공부(303)에 아라미드 봉을 배열 하는데 사용되는 지그는 아라미드 봉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해준다. 또한 주입된 충전재가 고화된 후에 지그를 인출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주의 보강 작업 시간을 상당히 단축하고 작업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지그(50)는 핸들링 암(55, 56)이 제2 및 제3 지지 부재(52, 53)를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지그(60)의 변형을 나타낸다.
즉,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그(60)는 베이스 바(50a)에 대응하는 베이스 바(60a), 제1, 제2, 제3 지지 부재(51, 52, 53)와 대응하는 제1, 제2, 제3 지지 부재(61, 62, 63)를 포함한다. 제1, 제2, 제3 지지 부재(61, 62, 63)의 양 단부에는 관통 구멍(54)과 대응하는 관통 구멍(64)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변형에서, 지그(60)에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65, 66)가 제공된다. 제1 탄성 부재(65)는 제1 지지 부재(61)와 제2 지지 부재(62) 사이에 연결되고, 제2 탄성 부재(66)는 제1 지지 부재(61)와 제3 지지 부재(63) 사이에 연결된다.
즉, 제2 및 제3 지지 부재(62, 63)는 제1, 제2, 제3 지지 부재(61, 62, 63)가 핀 부재(50b)에 대응하는 핀 부재(60b)에 관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놓이도록 개방되며, 이 때 제2 지지 부재(62)는 제1 탄성 부재(65)에 의해 제1 지지 부재(61)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편향되지만 스토퍼(67)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3 지지 부재(63)는 제2 탄성 부재(66)에 의해 제1 지지 부재(61)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편향되지만 스토퍼(68)에 의해 고정된다.
도 17에 나타낸 지그(60)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 지그(60)가 내측 중공부(303)에 삽입되고, 이 때 제2 및 제3 지지 부재(62, 63)는 외력을 받아 편향력에 대항하여 제1 지지 부재 쪽으로 각각 이동된다.
내측 중공부(303)에 지그(60)를 삽입한 후, 제2 및 제3 지지 부재(62, 63)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탄성 부재(65, 66)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지지 부재(61) 쪽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어, 제2 및 제3 지지 부재(62, 63)가 스토퍼(67, 68)에 의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제1, 제2, 제3 지지 부재(61, 62, 63)는 자동적으로 내측 중공부(303)에서 핀 부재(60b)에 관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60°간격으로 놓이게 된다.
그러므로, 지그(60)는 전주의 내측 중공부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될 수 없어서, 보강할 때마다 새로운 지그(60)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점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지그(60)를 사용함으로써 제3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도 1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보강 방법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주의 환형 측벽에 적어도 2개의 개구부(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보강용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제1 개구부로부터 환형 측벽의 내측에 모르타르, 모래, 또는 자갈 등의 베이스 소재를 주입하는 단계, 및 제2 개구부로부터 환형 측벽의 내측에 복수의 보강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강 부재로는 복수의 아라미드 봉이 사용되지만, 제4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보강 부재에 아라미드 봉 및 특정의 보강부가 제공된다. 특정의 보강부는 편평하지 않고 고정 부재에 의해 아라미드 봉의 일 단부(하단부)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외측 외주면을 갖는다. 특정의 보강부를 아라미드 봉에 연결하면 보강 부재의 무게가 증가되어 내측 중공부에 충전재가 주입된 후에 충전재가 부력으로 인해 부양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 부재의 부양을 방지함으로써 내측 중공부의 보강부가 안정되어 보강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선재의 일 단부는 아라미드 봉의 단부(상단부)와 서로 각각 연결된다. 각 아라미드 봉에 연결된 각 선재는 또한 전주의 환형 내벽의 내측에 있는 각 보강 부재 배열을 위한 지그와 연결된다.
지그를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보강 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 중공부의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아라미드 봉에 연결되는 선재로는 리니어 스트링, 스테인리스 와이어 등이 사용되며, 선재는 대략 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5㎜의 직경을 갖는다.
각각의 보강 부재(각각의 아라미드 봉 및 각각의 특정 보강부)는 대략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다.
선재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강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 부재의 무게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주의 환형 측벽의 내측에서 각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해 더욱 튼튼한 지그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제4 실시예에서는 전주의 환형 측벽 내부에서 각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해 2개의 지그가 이 용된다.
도 1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의해 이미 보강된 전주(4)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된 전주(4)는 제1, 제2,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표면 S에 직립하고 상부를 향하여 서서히 테이퍼를 이루는 튜브 형상을 갖도록 지중에 설치되어 있다.
보강된 전주(4)에는 보강 콘크리트로 구성된 환형의 측벽(401) 및 환형의 측벽(401) 내측에 제공되는 내측 중공부(403)가 제공된다.
보강된 전주(4)에는 지표면 S 위의 전주(4)의 환형 측벽(401)의 소정의 제1 및 제2 위치에 관통된 제1 개구부(405a) 및 제2 개구부(405b)가 형성된다.
도 18에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축 방향으로 배열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는 지표면 S 위의 환형 측벽의 소망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비계 볼트가 제거된 환형 측벽(40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각 구멍 또는 구멍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개구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환형의 측벽(401)의 적절한 부분에 구멍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및 제2 개구부가 코어 샘플링 드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405a)가 형성되는 제1 위치 및 제2 개구부(405b)가 형성되는 제2 위치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놓인다.
보강된 전주(4)에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중에 위치되고 지중의 전 주(4) 하부에 있는 내측 중공부(403)에 충전되도록 제1 개구부(405a)로부터 주입되는 소정량의 모르타르, 모래, 또는 자갈 등의 베이스 부재로 형성되는 베이스부(406)가 제공된다.
보강된 전주(4)에는 또한 전주(4)의 내측 중공부(403)에 제공되는 보강부(407)가 제공된다.
보강부(407)는 각각이 아라미드 봉(408a)을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408)를 포함한다. 각 아라미드 봉(408a)은 대략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대략 17 내지 19㎜의 직경을 갖는다.
보강 부재(408)는 또한 각각이 동일한 직경의 아라미드 봉(408a)을 갖고 베이스부(408)에 장착되는 복수의 특정 보강부(보강 바)를 포함한다. 보강 부재(408)는 특정 보강부(408b)의 상단부를 아라미드 봉(408a)에 각각 동축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부재(408c)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 선재(408d)는 일 단부 및 타 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일 단부는 각 아라미드 봉(408a)의 각 상단부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선재(408d) 및 아라미드 봉(408a)을 고정되게 연결하는 방식은 제3 실시예와 유사하다.
보강부(407)는 아라미드 봉(408a)과 내측 중공부(403) 사이의 틈새에 충전되어 아라미드 봉(408a)이 전주(4)의 대략 종 방향(축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충전재(410)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보강부(408b)의 종 방향 길이는 특정 보강부(408b)가 고정 부재(408c)를 통해 아라미드 봉(408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경우에 아라미드 봉(408a) 및 특정 보강부(408b)의 전체 종 방향 길이가 전주(4)의 제1 개구부(405a)에서 경계부까지의 범위와 대략 동일하도록 조정된다. 그러므로, 특정 보강부(407b)는 대략 700㎜ 내지 900㎜, 바람직하게는 대략 800㎜의 종 방향 길이를 갖는다.
특정 보강부는 보강 부재(408) 자체의 무게가 안정되도록 해주며, 보강 부재가 충전재(410)의 주입 후에 부양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아라미드 봉(408a) 및 특정 보강부(408b)의 전체 종 방향 길이가 대략 2500㎜ 내지 2900㎜에 도달하기 때문에, 아라미드 봉(408a), 특정 보강부(408b), 및 고정 부재(408c)로 이루어진 부재의 조합체를 운반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아라미드 봉(408a), 특정 보강부(408b), 및 고정 부재(408c)가 별도로 운반되고, 아라미드 봉(408a), 특정 보강부(408b), 및 고정 부재(408c)가 전주(4)가 설치될 위치에 도착하면, 아라미드 봉(408a)과 특정 보강부(408b)가 고정 부재(408c)를 통해 고정되게 연결되어 보강 부재(408)를 조립한다. 그러므로 보강 부재의 운반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
도 1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사용되는 보강 부재 배열을 위한 제1 지그(7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에 사용되는 보강 부재 배열을 위한 제2 지그(8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보 19에 나타낸 제1 지그(70)는 외주가 균일하지 않은 특정 보강 바로 구성된다.
제1 지그(70)는 보강 부재(408)를 지지하기 위한 대략 아크 형상을 갖는 제1 지지 부재(71), 및 제1 지지 부재의 내측 아크면(71a)이 종 방향에서 베이스 바(7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쪽으로 대면하도록 제1 지지 부재(71)가 고정되는 일 단부를 갖는 베이스 바(72)를 포함한다.
제1 지그(70)에는 또한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내측 아크면(71a)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현수부(suspending portion)(73)가 제공된다.
각각의 현수부(73)는 베이스 바(72)의 종 방향 및 제1 지지 부재(71)의 반경 방향과 직교하는 축 방향을 갖는 관통 구멍(73a)을 갖는다.
각각의 현수부(73)는 선재(408d)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관통 구멍(73a)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지지 부재(71)의 반경 방향이 수평으로 위치되고 선재(408d)의 타 단부가 관통 구멍(73)을 관통하도록 제1 지그(70)가 배열되는 경우, 선재(408d)의 타 단부가 당겨지면 모든 선재(408d)가 인장되어 보강 부재(408)는 각 관통 구멍(73a)의 축 방향에서 제1 지지 부재(71)의 현수부(73)의 관통 구멍(73a)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현수부(73)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내측 아크면(71a)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9에는 단지 4개의 현수부(73)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현수부(73)의 수는 보강 부재(408)의 수 및 내측 중공부(403)의 직경, 그리고 보강이 요구되는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도 19에서, 각 관통 구 멍(73a)은 대략 원형이지만, 이러한 구조는 지그의 일례에 불과하다. 즉, 각 관통 구멍(73a)은 대략 타원형 또는 대략 장방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지그(70)는 각각의 축 방향이 베이스 바(72)의 종 방향과 평행인 복수의 아이홀(eyehole)(74a)을 갖는 아이홀부(74)를 포함한다. 선재(408d)가 현수부(73)의 관통 구멍(73a)으로부터 노출되면, 아이홀(74a)은 노출된 선재(408d)가 용이하게 당겨지도록 해준다. 제1 지그(70)는 또한 대략 환형이고 베이스 바(72)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베이스 바(72)의 종 방향과 직교되도록 돌출하는 조작부(75)를 포함한다. 조작부(75)는 제1 지그(70)가 내측 중공부(40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지그(70)는 베이스 바(72)에 형성되어 보강 부재를 지지하는 경우에 제2 지그(80)가 지지되도록 장착되는 지그 지지부(76)를 포함한다.
지그 지지부(76)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그 지지부(76)의 제2 지그(80)의 무게에 따라 베이스 바(72) 상에 원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낸 제2 지그는 제1 지그(70)와 유사하게 특정 보강 바로 구성된다. 제2 지그(80)는 보강 부재(408)를 지지하기 위한 대략 아크 형상을 갖는 제2 지지 부재(81), 및 제2 지지 부재(81)의 내측 아크면(81a)이 종 방향에서 베이스 바(72) 자체 쪽으로 대면하도록 제2 지지 부재(81)가 고정되는 일 단부를 갖는 베이스 바(82)를 포함한다.
제2 지그(80)에는 또한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내측 아크면(81a) 상에 고정 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현수부(83)가 제공된다.
각각의 현수부(83)는 베이스 바(82)의 종 방향 및 제2 지지 부재(81)의 반경 방향과 직교하는 축 방향을 갖는 관통 구멍(83a)을 갖는다.
각각의 현수부(83)는 선재(408d)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관통 구멍(83a)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지지 부재(81)의 반경 방향이 수평으로 위치되고 선재(408d)의 타 단부가 관통 구멍(83)을 관통하도록 제2 지그(80)가 배열되는 경우, 선재(408d)의 타 단부가 당겨지면 모든 선재(408d)가 인장되어 보강 부재(408)는 각 관통 구멍(83a)의 축 방향에서 제2 지지 부재(81)의 현수부(83)의 관통 구멍(83a)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현수부(83)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내측 아크면(81a)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0에는 단지 4개의 현수부(83)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제1 지그(70)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0에서 각 관통 구멍(83a)은 대략 원형이지만, 이러한 구조는 제1 지그(70)와 마찬가지로 지그의 일례에 불과하다.
또한, 제2 지그(80)는 아이홀부(74) 및 아이홀(74a)과 대략 유사한 기능을 갖는 복수의 아이홀(84a)을 갖는 아이홀부(84)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지그(80)는 또한 조작부(75)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조작부(85)를 포함하며, 제1 지그(70)와 마찬가지로 보강 부재를 지지하는 경우에 제2 지그(80)가 지지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지그 지지부(86)가 베이스 바(82)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1 지그(70) 및 제2 지그(80)의 축 방향 전체 길이는 대략 1000㎜ 내지 1200㎜가 되어서 각각의 제1 지지 부재(71) 및 제2 지지 부재(81)의 크기는 보강될 전주의 내측 중공부(403)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각각의 제1 지지 부재(71) 및 제2 지지 부재(81)의 각 아크 길이는 예를 들어 대략 230㎜이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71, 81)는 대략 서로 대칭이다. 즉, 제1 및 제2 지지 부재(71, 81)가 상이한 높이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제1 및 제2 지지 부재(71, 81)의 조합된 전체 형상이 조합된 상측을 보면 대략 환형을 나타내게 된다.
제1 및 제2 지그(70, 80)는 모두 8개의 현수부(73, 83)를 가지며, 이것은 8개의 현수부(73, 83)를 통해 내측 중공부(403)에 모두 8개의 보강 부재(408)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보강 부재(408)의 수는 내측 중공부(403)의 직경, 보강이 요구되는 정도 등에 따른다. 이하, 제1 및 제2 지그(70, 80)의 조합체를 "미나시키(minasiki) 지그 조합체"라 하고 참조 부호 90으로 표시한다.
도 21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아직 보강되지 않은 전주(4a)의 보강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 나타낸 작업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코어 샘플링 드릴 CS에 의해 환형 측벽(401)의 적절한 부분이 천공되어 환형 측벽(401)의 적절한 부분에 제1 및 제2 개구부(405a, 405b)가 형성된다(단계 S51).
다음에, 아라미드 봉(408a) 및 여기에 연결되는 특정 보강부(408b)를 포함하 는 보강 부재(408)가 준비된다. 선재(408d)는 아라미드 봉(408a)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보강 부재(408)가 제2 개구부(405b)를 통해 하단부로부터 내측 중공부(403)에 삽입된다(단계 S53). 단계 S53에서, 각 선재(408d)의 타 단부 각각은 제2 개구부(405b)를 통해 내측 중공부(403)로부터 당겨져서 외부에 노출된다.
다음에, 단계 S55에서, 선재(408d)는 이들의 타 단부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지그(70, 80)의 관통 구멍(73a, 83a)을 통과하도록 놓인다.
그리고, 단계 S55에서, 제1 및 제2 지그(70, 80)는 이들의 하단부로부터 제2 개구부(405b)를 통해 전주(4a)의 내측 중공부(403)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전주(4a)의 내측 중공부(403)에 제1 지그(70)를 삽입하는 공정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22 내지 도 24에서는 제1 지그(70)의 삽입 공정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보강 부재(408)가 이미 내측 중공부(403)에 삽입되어 있으며 선재(408d)는 도시가 생략되었다.
우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그의 지지 부재(71)가 제2 개구부(405b)를 통해 내측 중공부(403)에 제1 지지 부재(71)의 각 관통 구멍(73a)의 축 방향이 전주(4a)의 축 방향(종 방향)과 직교하도록 삽입된다.
전주(4a)의 축 방향에 있는 제2 개구부(405b)의 길이가 제1 지지 부재(71)의 아크 길이보다 짧은 경우, 제1 지지 부재(71)는 회전되어 내측 중공부(403)에 삽입된다.
도 23은 제1 지그(70)의 베이스 바(72)가 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열되고, 각 관통 구멍(73a)의 축 방향이 전주(4a)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나타낸 제1 지그(70)의 상태로부터, 제1 지그(70)의 조작부는 제1 지그(70)가 베이스 바(72)의 축 방향 둘레에서 90°회전되도록 조작되어, 각 관통 구멍(73a)의 축 방향이 전주(4a)의 종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도 24).
도 24에 나타낸 제1 지그(70)의 상태, 즉 각 관통 구멍(73a)의 축 방향이 전주(4a)의 종 방향과 평행하도록 제1 지지 부재(71)가 배열된 상태는 보강 부재가 내측 중공부(403)에 배열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를 이하에서는 "최종 상태"라고 한다.
제1 지그(70)가 최종 상태로 된 후, 제2 지그(80)의 제2 지지 부재(81)가 제2 개구부(405b)를 통해 내측 중공부(403)에 삽입되며, 이 때 제1 지그(70)는 그 최종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지지된다.
도 25는 최종 상태의 제1 지그(70), 및 제2 지그(80)의 제2 지지 부재(81)가 제2 개구부(405b)를 통해 내측 중공부(403)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제2 지그(80)의 제2 지지 부재(81) 삽입은 제1 지그(70)의 제1 지지 부재(71) 삽입과 대략 유사하게 행해진다.
즉,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81)는 내측 중공부(403)에 회전되어 삽입되고, 제2 지지 부재(81)는 각 관통 구멍(83a)의 축 방향이 전주(4a)의 종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한편, 내측 중공부(403)에 제2 지지 부재(81)를 삽입하는 것은 제1 지지 부재(71)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제2 지지 부 재(81)의 삽입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은 전주(4a)의 내측 중공부(403)에 이미 삽입된 제1 및 제2 지그(70, 80)를 포함하는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 부재(71, 81)는 상이한 높이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즉, 제2 지지 부재(81)는 제1 지지 부재(71)보다 높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그(70, 80)를 포함하는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는 밴드(92) 및 와이어(94)와 같은 고정 부재에 의해 전주(4a)의 외주 둘레에 감기는 지그 지지 부재(91)에 연결된다. 각 와이어(94)의 중간부에는 각 와이어(94)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부재(93)가 제공된다. 한편, 와이어(94)는 도 26에 점선 및 실선으로 각각 표시되며, 점선은 도 26에서 전주(4a)의 뒤쪽에 위치된다.
도 27은 도 26의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를 화살표 "A"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8은 도 26의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를 화살표 "B" 방향에서 도시한, 즉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의 상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도 27 및 도 28에서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만을 나타내었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 부재(71, 81) 조합체의 전체 형상은 조합체의 상측에서 볼 때 상이한 높이로 평행하게 배열된 대략 환형으로 나타난다.
즉,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중공부(403)에 8개의 보강 부재(408)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71, 81) 상에 적어도 8개의 현수부(73, 83)가 장착될 필요가 있어서, 현수부(73, 83)(관통 구멍(73a, 83a))가 원주 방향에서 대략 45°의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고 각 관통 구멍(73a, 83a)의 축 방향은 종 방향으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한다.
한편, 내측 중공부(403)에 6개의 보강 부재(408)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71, 81) 상에 적어도 6개의 현수부(73, 83)가 장착될 필요가 있어서, 현수부(73, 83)(관통 구멍(73a, 83a))가 원주 방향에서 대략 60°의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고 각 관통 구멍(73a, 83a)의 축 방향은 종 방향으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한다(도 29).
그리고, 단계 S55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를 고정되게 지지한 후, 제2 개구부(405b)를 통해 전주(4a)의 내측 중공부(403)를 통해 노출된 선재(408d)는 전주(4a) 외측으로 당겨져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된 선재(408d)는 현수부(73, 83)(관통 구멍(73a, 83))에 의해 보강 부재(408)가 현수되도록 한다.
단계 S55에서, 현수부(73, 83)(관통 구멍(73a, 83))가 대략 60°의 동일한 각도, 즉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각 관통 구멍(73a, 83a)의 축 방향이 종 방향과 대략 평행이기 때문에, 인장된 선재(408d)에 연결되고 현수부(73, 83)에 의해 지지되는 보강 부재(408)는 내측 중공부(403)에서 원주 방향으로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된다.
단계 S55에서의 모든 보강 부재(408)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되게 위치되는 작업 후에, 모르타르, 모래, 자갈과 같은 베이스 부재가 보강 부재(408)의 고정 부재(408c)에 인접한 높이까지 전주(4a)의 하부 내측 중공부(403)에 충전되도록 제1 개구부(405a)로부터 주입되며, 이 때, 보강 부재(408)는 제1 및 제2 지그(70, 80)에 의해 지지된다. 주입된 베이스 부재는 전주(4a)의 내측 중공부(403)에서 베이스부(406)를 형성한다(단계 S57).
다음에, 제1 개구부(405a)로부터 보강 부재(408)(아라미드 봉(408a))의 상부 근처 높이까지 내측 중공부(403)에 충전재(410)가 주입되며, 이 때 보강 부재(408)는 제1 및 제2 지그(70, 80)에 의해 지지된다(단계 S59).
주입된 충전재(410)가 고화된 후,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 즉 제1 및 제2 지그(70, 80)는 내측 중공부(403)로부터 인출된다(단계 S61). 이러한 인출 단계는 제1 및 제2 지그(70, 80)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71, 81)를 전주(4a)의 내측 중공부(403)에 삽입하는 공정과 역으로 행해진다.
한편, 단계 S61에서, 충전재(410)는 약간의 점도를 가져서 제1 및 제2 지그(70, 80)가 단계 S59 직후에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61의 작업 후에, 전주(4a)의 외측에 노출된 선재(408d) 일부분은 절단되고, 잔여 부분은 전주(4a)의 내측 중공부에 삽입된다.
또한, 충전재가 제1 개구부(405a)의 근처까지 충전되는 경우, 충전재(410)의 주입은 일단 정지되어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가 내측 중공부(403)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며, 그 후에 충전재(410)가 제2 개구부(405b)로부터 다시 한번 주입되어 보강 부재(408)가 완전히 매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충전재(410)는 제1 개구 부(405a)보다 높은 위치까지 주입되기 때문에 제1 개구부는 임의의 밀봉 방법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51 내지 S61의 작업 공정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S61 이후의 작업 공정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공정과 동일하다.
즉, 보강 작업이 도 21a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행해져서 도 18에 나타낸 보강된 전주(4)가 얻어진다.
한편, 단계 S61의 작업을 행한 후, 전주(4)의 설치 요구 조건 및 보강 비용에 따른 제약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주(4)의 외주로부터 보강된 전주(4)의 보강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환형의 측벽(401)의 외주 부분의 둘레에 아라미드 섬유 시트 등의 시트 부재를 감을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전주의 경계부 둘레의 지표면을 굴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시트 부재가 환형 측벽(401)의 전주(4)의 경계부로부터 제1 개구부 및/또는 제2 개구부 근처에 이르는 외주 부분 둘레에만 감길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전주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또한, 출원인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 방법을 이용하여 보강된 전주의 벤드 테스트(JISA 5373)를 하여, 보강된 전주의 무게가 500㎏인 경우에 대략 2.3 내지 2.6의 안전 계수를 얻었고, 보강된 전주의 무게가 700㎏인 경우에 대략 2.1 내지 2.4의 안전 계수를 얻었다. 이러한 안전 계수는 전주의 강도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표준 안전 계수 2를 초과하는 것이며,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이 보강된 전주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제2, 제3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적절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 아라미드 봉(408a)에 연결되는 특정 보강부(408b)는 보강 부재(408) 자체의 무게를 안정되게 하여, 충전재(410)의 주입 후에 보강 부재(408)가 부양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주(4)의 보강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지그(70) 및 제2 지그(80)를 포함하는 미나시키 지그 조합체(90)를 제공할 수 있어서, 각각의 보강 부재가 특정 보강부를 가져서 매우 무거운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방법은 전주의 상부에 탑재된 변압기 및/또는 전주와 다른 전주 사이에 설치된 전선으로 인해 노후에 따른 전주의 중간부를 보강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각 실시예에서, 전주의 환형 측벽은 원형, 타원형, 장방형 등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하지 않은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이러한 변형은 청구범위를 뒷받침하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일본 특허출원 제2002-38252호, 제2002-132022호, 및 제2002-204901호의 전체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보강 방법에 비해 용이하게 콘크리트 전주를 보강할 수 있는 콘크리트 전주, 그 보강 부재 배열 지그, 및 보강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9)

  1.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선재가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한 지그로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단부에 장착되고, 각각이 대략 봉 형상 및 동일한 종 방향 길이를 갖는 복수의 지지 부재,
    각각이 상기 지지 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재가 각각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회전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그.
  3.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선재가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배열하기 위한 지그로서,
    베이스 바,
    상기 베이스 바의 일 단부에 장착되고, 대략 원호 형상의 표면을 갖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상에 장착되고, 선재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 구멍을 각각 갖는 복수의 현수 부재
    를 포함하는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축 방향이 상기 베이스 바의 종 방향과 직교하는 지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지지 부재 표면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열되는 지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이 축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바의 반대쪽으로 대면하는 지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이 축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바 쪽으로 대면하는 지그.
  8. 제1항에 따른 지그를 사용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상기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고 선재가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배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선재의 타 단부를 상기 지그의 관통 구멍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측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가 상기 회전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지그의 고정 부재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회전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내측 중공부에 배열되도록 상기 선재의 타 단부가 인장되게 잡아당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열 방법.
  9. 제3항에 따른 지그를 사용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전주의 내측 중공부에, 상기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고 선재가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배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선재의 타 단부를 상기 지그의 관통 구멍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측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관통 구멍 각각의 축 방향이 상기 전주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지그를 조작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부재가 원주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내측 중공부에 배열되도록 상기 선재의 타 단부가 인장되게 잡아당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열 방법.
KR1020060130221A 2002-02-15 2006-12-19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지그 KR100765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8252 2002-02-15
JPJP-P-2002-00038252 2002-02-15
JP2002132022 2002-05-07
JPJP-P-2002-00132022 2002-05-07
JPJP-P-2002-00204901 2002-07-12
JP2002204901 2002-07-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686A Division KR100765980B1 (ko) 2002-02-15 2002-12-20 콘크리트 전주 및 콘크리트 전주의 보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506A true KR20070009506A (ko) 2007-01-18
KR100765982B1 KR100765982B1 (ko) 2007-10-10

Family

ID=276252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686A KR100765980B1 (ko) 2002-02-15 2002-12-20 콘크리트 전주 및 콘크리트 전주의 보강 방법
KR1020060130221A KR100765982B1 (ko) 2002-02-15 2006-12-19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지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686A KR100765980B1 (ko) 2002-02-15 2002-12-20 콘크리트 전주 및 콘크리트 전주의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6890461B2 (ko)
EP (1) EP1336704B1 (ko)
KR (2) KR100765980B1 (ko)
CN (1) CN129068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3424A (ja) * 2011-09-01 2013-03-21 Taisei Corp 塔状構造物及び柱構成部材
KR101276066B1 (ko) * 2012-06-28 2013-06-17 (주) 주암전기통신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5414B4 (de) * 2001-09-14 2013-09-12 Aloys Wobben Verfahren zur Errichtung einer Windenergieanlage, Windenergieanlage
GB2389621A (en) * 2002-06-11 2003-12-17 Mallatite Ltd Method of reinforcing tubular columns
US20050183381A1 (en) * 2003-01-21 2005-08-25 Rosenberg Jean G. Method for manufacturing brakeless lightweight concrete poles
JP4282667B2 (ja) * 2003-02-01 2009-06-24 アロイス・ヴォベン 風力発電設備の構築方法および風力発電設備
WO2005080687A1 (en) * 2004-02-12 2005-09-01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Composite dowel system and related method
FR2882421A1 (fr) * 2005-02-22 2006-08-25 Freyssinet Internat Stup Soc P Procede de renforcement d'une structure tubulaire metallique et structure resultante
US7637075B2 (en) * 2006-09-29 2009-12-29 Ruud Lighting, Inc. Reinforced pole structure
CN101769087B (zh) * 2008-12-31 2012-05-23 E.I.内穆尔杜邦公司 电线杆加强装置及其加强方法
JP2012225018A (ja) * 2011-04-18 2012-11-15 Hiroyasu Minayoshi 補強用棒状部材配置用補助具および該補助具を用いた中空柱の補強工法
MX370466B (es) * 2013-09-18 2019-11-27 Eugenio Garza Montemayor Jorge Estructura de reja.
CN103592305B (zh) * 2013-11-28 2016-05-04 国家电网公司 一种便携式在役电杆集料外露率检测仪器及其检测方法
US10227789B2 (en) * 2014-12-09 2019-03-12 Logsys Power Services Pty Ltd Planted pole reinforcement methods
CN105927626A (zh) * 2016-07-07 2016-09-07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齐齐哈尔供电公司 可调式水泥杆裂纹紧固器
CN108798190B (zh) * 2018-08-09 2023-12-05 江西荣仁电力器材有限公司 电线杆、模具
US10870999B1 (en) * 2018-10-30 2020-12-22 Exo Group, LLC Method for repairing a damaged hollow pole
CN111005616B (zh) * 2019-12-21 2021-07-02 台州市卢宏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水泥电力杆安装用竖立装置
CN113394709B (zh) * 2021-07-09 2022-06-03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输电线路自动控制检测防护清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7670A (en) * 1937-09-01 1939-05-09 Ono Sonoji Foldable umbrella frame
US2313110A (en) * 1940-02-28 1943-03-09 Louis S Wertz Process for filling cavities
US2751669A (en) * 1953-10-13 1956-06-26 Virgil R Crumpacker Fixture device
US3170232A (en) * 1961-08-29 1965-02-23 Western Electric Co Apparatus for positioning components
DE1214512B (de) * 1963-06-19 1966-04-14 Hermann Rosorius Ingenieurbuer Spreizdorn zum Zentrieren von rohrartigen Werkstuecken unterschiedlicher Durchmesser
US3374798A (en) * 1964-12-07 1968-03-26 Licentia Ekman & Brundin Camouflage equipment
US3471980A (en) * 1967-10-18 1969-10-14 Arlo Inc Method for developing a column
DE1632500B1 (de) * 1968-02-27 1971-06-09 Bremshey & Co Gestell fuer einen verkuerzbaren Schirm
US3513615A (en) * 1968-11-12 1970-05-26 Alva A Berry Take-apart cubical quadrant antenna spreader assembly
US3594973A (en) * 1969-06-23 1971-07-27 Arlo Inc Method for developing a multiple-pole stand
US3798867A (en) * 1972-03-02 1974-03-26 B Starling Structural method and apparatus
US3991532A (en) * 1973-05-07 1976-11-16 Desert Outdoor Advertising, Inc. Sign post construction
US3957250A (en) * 1975-04-14 1976-05-18 Murphy Stanley E Plastic fence post
US4028709A (en) * 1975-09-10 1977-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Field Operations Bureau Of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Adjustable yagi antenna
US4069832A (en) * 1976-08-18 1978-01-24 Bingham Andrew M Collapsible rod and joint structure forming a tetrahedral or similar frame
US4249837A (en) * 1978-11-03 1981-02-10 Heintzman GmbH &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 overburden
US4463538A (en) * 1982-01-21 1984-08-07 Dragunas Alfred R Reinforcing network for concrete structure
US4771530A (en) * 1987-04-08 1988-09-20 General Atomics Application of inwardly directed prestressing pressure to concrete members
GB8719143D0 (en) * 1987-08-13 1987-09-23 Scott Bader Co Pole repair system
US4905441A (en) * 1988-12-12 1990-03-06 Insitu Corporation System for strengthening structural elements
US4921555A (en) * 1989-05-25 1990-05-01 Skiff Russell A Process for reinforcing utility poles
US5043033A (en) * 1991-01-28 1991-08-27 Fyfe Edward R Process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existing concrete support columns
WO1993004250A1 (en) * 1991-08-15 1993-03-04 Amatek Limited A non-conductive electric power support pole
JP3047196B2 (ja) * 1991-11-20 2000-05-29 大成建設株式会社 把持金具と大径鉄筋の吊り治具及び縦継ぎ鉄筋の建込み方法
US5218810A (en) * 1992-02-25 1993-06-15 Hexcel Corporation Fabric reinforced concrete columns
JPH05332032A (ja) * 1992-05-29 1993-12-14 Tonen Corp 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修方法
US5245812A (en) * 1992-07-29 1993-09-21 Landers Phillip G Method of strengthening a structural element
US5296187A (en) * 1993-03-23 1994-03-22 Ribbon Technology, Corp. Methods for manufacturing columnar structures
US5326410A (en) * 1993-03-25 1994-07-05 Timber Products, Inc. Method for reinforcing structural supports and reinforced structural supports
JP3192277B2 (ja) * 1993-05-14 2001-07-2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柱
US5321875A (en) * 1993-06-22 1994-06-21 Bethlehem Steel Corporation Well block centering tool
US5450700A (en) * 1993-07-23 1995-09-19 Ribbo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reinforcing a foundation
US5416964A (en) * 1994-04-08 1995-05-23 Thomas; Harley L. Cam bearing alignment tool
JPH07279314A (ja) * 1994-04-11 1995-10-27 Nippon Steel Corp 定着機構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補強用連続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筋材
US5487251A (en) * 1994-05-06 1996-01-30 Independent Concrete Pipe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cast structures
US5613664A (en) * 1994-09-30 1997-03-25 Svalbe; John Plastic fences and method for prefabricating such fences
JP2670427B2 (ja) * 1994-10-13 1997-10-29 株式会社松村組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構築方法及びその実施に用いる鉄筋位置決め治具
JPH1030304A (ja) * 1996-07-17 1998-02-03 Shinko Kosen Kogyo Kk コンクリート補強材の継手
JP3378456B2 (ja) * 1997-02-21 2003-02-17 株式会社ピーエス三菱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筋係着治具
JP3582971B2 (ja) * 1997-11-07 2004-10-27 サン・ロード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施工方法
JP2000282711A (ja) * 1999-03-31 2000-10-10 Hazama Gumi Ltd 塔状建造物における制振構造
JP3314270B2 (ja) * 1999-04-12 2002-08-12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電柱の補修工法
JP3194729B2 (ja) * 1999-05-27 2001-08-06 住友建設株式会社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体、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構築方法及び鉄筋拘束具
JP2001040684A (ja) * 1999-07-30 2001-02-13 Sadanobu Tarui 土留擁壁
JP2002004416A (ja) * 2000-06-20 2002-01-09 Takeshige Shimonohara 凹凸を内包した構造材及びその仕口部の連結方法
JP2002209316A (ja) * 2001-01-09 2002-07-26 Airec Engineering Corp 電柱の補修方法
JP2002357018A (ja) 2001-06-04 2002-12-13 Giken Kogyo Kk 筒状立設物の補強方法
JP2003018732A (ja) 2001-07-02 2003-01-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中空柱状物の強度向上方法および強度向上構造
JP2003166352A (ja) 2001-11-30 2003-06-1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コンクリート柱
US6715504B2 (en) * 2002-06-11 2004-04-06 Christopher Chen Stick umbrella with reinforced fr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3424A (ja) * 2011-09-01 2013-03-21 Taisei Corp 塔状構造物及び柱構成部材
KR101276066B1 (ko) * 2012-06-28 2013-06-17 (주) 주암전기통신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6704A2 (en) 2003-08-20
US6890461B2 (en) 2005-05-10
EP1336704A3 (en) 2003-12-17
KR100765982B1 (ko) 2007-10-10
US20030157281A1 (en) 2003-08-21
US7343658B2 (en) 2008-03-18
KR20030069042A (ko) 2003-08-25
KR100765980B1 (ko) 2007-10-10
US20050150185A1 (en) 2005-07-14
CN1290682C (zh) 2006-12-20
EP1336704B1 (en) 2013-02-13
US20050166534A1 (en) 2005-08-04
CN1438101A (zh)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982B1 (ko)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지그
EP0793754B1 (en) Tensionless pier foundation
KR100430342B1 (ko) 돌출간이 방사상으로 돌출된 현장 타설 콘크리트 파일형성장치 및 방법
CN107217910A (zh) 供电线路电杆栽杆装置及其栽杆方法
KR100441209B1 (ko) 긴장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구조와 방법 및 그에이용되는 긴장재 정착장치와 반력대 장치
CN106638619B (zh) 一种基坑支护建筑结构
JP2000144726A (ja) 場所打ち杭、地下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GB2120304A (en) Forming concrete piles
JP2004092376A (ja) 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方法、補強コンクリート製電柱、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材懸吊用治具
GB2132667A (en) Method of installing precast concrete piles
JP4342335B2 (ja) 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方法
CN113863168B (zh) 一种集束钢管混凝土拱桥上锚头的吊杆更换装置
JP7349906B2 (ja) 地下構造物の周囲岩盤の圧縮装置及び圧縮方法
JP2004100281A (ja) ケーシングを使用しない構真柱の建て込み工法
JP2006283391A (ja) 鋼管柱の補強方法、補強鋼管柱、および鋼管柱の補強材懸吊用治具
CN112921960B (zh) 支护桩、基坑围护墙、接桩结构、导向架及其施工方法
CN117306425A (zh) 公路高墩桥梁施工用高墩偏位纠正装置及其施工方法
CN212670584U (zh) 一种榫卯连接全预应力混凝土实心矩形支护桩
JP2006138169A (ja) 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材配置用治具、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コンクリート製電柱
JPH11247203A (ja) 斜杭による既存建物基礎の補強方法
GB2324825A (en) Pole support and reinforcement
JPH1136294A (ja) 場所打杭の鉄筋建込み装置と建込み方法
JPH08144686A (ja) 立坑の構築方法
JPH09302682A (ja) 既設の地下構造物の支持構造及び支持方法
JP2005133497A (ja) 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