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066B1 -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 Google Patents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066B1
KR101276066B1 KR1020120069521A KR20120069521A KR101276066B1 KR 101276066 B1 KR101276066 B1 KR 101276066B1 KR 1020120069521 A KR1020120069521 A KR 1020120069521A KR 20120069521 A KR20120069521 A KR 20120069521A KR 101276066 B1 KR101276066 B1 KR 101276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nsion
tension support
empty space
electr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석
김탁용
오용철
조휘욱
홍관표
Original Assignee
(주) 주암전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주암전기통신 filed Critical (주) 주암전기통신
Priority to KR102012006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서 발생된 크랙 상태를 줄일 수 있는 전주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에 영향을 주는 장력을 억제하고, 손상된 전주를 보강하기 위한 전주 보강 구조물로서, 내부에 빈공간으로 이루어진 전주에 대하여 상기 전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외주면의 일측에 제1 전주홀이, 타측에 제2 전주홀이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전주홀부;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장력 지지물이 상기 제1 전주홀에 비스듬히 삽입된 후 상기 빈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력 지지물이 상기 제2 전주홀에 비스듬히 삽입되어 상기 빈공간에 형성되는 장력 지지부; 및 상기 빈공간에서 형성된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이 덮히도록 상기 전주홀부에 경화 물질을 투입하는 경화물질 살포부를 포함하는 전주 보강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은 경화물질이 그 장력 지지물들 사이에서 굳어져 전주에서 발생된 장력에 충분히 견딜수 있기 때문에 크랙 발생을 원척적으로 방지하게 됨으로써, 전주를 교체하거나 수시로 보강 공사를 해야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ELECTRIC POLE REINFORCING STRUCTURE FOR SUPPRESSING TENSION}
본 발명은 전주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에서 발생된 크랙 상태를 줄이거나, 크랙이 발생한 전주를 보강할 수 있는 전주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배전 및 변전에서는 가공 전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전주가 필수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전주에는 송전, 배전 및 변전 요소에 따라 다르겠지만 많은 구조물, 예컨대 가공전선, 지지대, 완금, 변압기, 지지금구 및 애자 등과 같은 구조물들이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전주에는 강한 장력이 발생되고, 이는 전주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전주는 장력에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되기 위하여 철근을 집어넣은 콘크리트 전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10)에 발생된 크랙 상태(1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10)의 내부 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10)는 가공전선, 지지대, 완금, 변압기, 지지금구 및 애자 등과 같은 구조물에 의하여 발생된 장력에 견디기 위하여 철근을 집어 넣은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10)의 내부는 제작 공정상 빈공간 상태(12)로 두어 제작되기 때문에 오랜시간이 지나면 장력과 날씨 환경(예:더위, 추위 등) 등에 의하여 크랙(11)이 발생되어진다. 이중에서도 장력에 의하여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럴 경우, 콘크리트 전주(10)를 교체하거나, 콘크리트 전주(10)에 대하여 보강 공사를 해야지만, 콘크리트 전주(10)의 교체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로 인하여 보강 공사 위주로 진행되어 왔었다.
상기 콘크리트 전주(10)의 보강 공사로는 인젝션 공법, 씰링 공법이 있지만, 대부분 콘크리트 전주(10)의 외주면에 보이는 크랙 부분(11)에 대해서만 보강이 이루어졌을뿐, 크랙(11)의 발생 원인이 되는 근원적인 장력에 대해서는 이렀다할 대책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크랙의 발생 원인이 되는 장력에 대처하도록 콘크리트 전주의 내부를 보강하거나 크랙 등과 같이 손상된 전주를 보강하는 전주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주에 영향을 주는 장력을 억제하고, 손상된 전주를 보강하기 위한 전주 보강 구조물로서, 내부에 빈공간으로 이루어진 전주에 대하여 상기 전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외주면의 일측에 제1 전주홀이, 타측에 제2 전주홀이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전주홀부;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장력 지지물이 상기 제1 전주홀에 비스듬히 삽입된 후 상기 빈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력 지지물이 상기 제2 전주홀에 비스듬히 삽입되어 상기 빈공간에 형성되는 장력 지지부; 및 상기 빈공간에서 형성된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이 덮히도록 상기 전주홀부에 경화 물질을 투입하는 경화물질 살포부를 포함하는 전주 보강 구조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상기 장력 지지부는 상기 빈공간에서 상기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이 교차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상기 장력 지지부는 봉형강으로 이루어되, 봉형강중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상기 경화물질 살포부는 시멘트 및 폴리머 재료를 포함한 상기 경화 물질을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 투입하여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전주에 영향을 주는 장력을 억제하기 위한 전주 보강 공법으로서, (a) 상기 전주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전주홀에 제1 장력 지지물을 비스듬히 끼워 상기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전주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전주홀에 제2 장력 지지물을 비스듬히 끼워 상기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전주에서 발생된 장력에 강한 물질인 경화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경화물질 살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경화 물질을 상기 제1 전주홀 및 제2 전주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다가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주 보강 공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른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 의하여, 상기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는, 상기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이 교차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봉형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장력 지지물을 상기 빈공간 내부에 형성시키고, 상기 (b) 단계는 봉형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장력 지지물을 상기 빈공간 내부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형강은 철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른 상기 (d) 단계는 시멘트 및 폴리머 재료를 포함한 상기 경화 물질을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 투입하여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이 투입되고 경화물질이 그 장력 지지물들 사이에서 굳어짐으로써, 전주에서 발생된 장력에 충분히 견딜수 있기 때문에 크랙 발생을 원척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전주를 교체하거나, 수시로 보강 공사를 해야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서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이 교차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크랙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10)에 발생된 크랙 상태(1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10)의 내부 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전주 보강 구조물(100)의 '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공법(S100)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전주 보강 구조물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전주 보강 구조물(100)의 '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물(100)은 지면상(101)에 설치된 전주(102)에 대하여 크랙의 원인이 되는 장력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전주홀부(110), 장력 지지부(120) 및 경화물질 살포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주홀부(110)는 내부에 빈공간(102a)으로 이루어진 전주(102)에 대하여 상기 전주(10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다. 이때, 전주홀(110)은 1 내지 2m 높이를 갖는 전주(10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주홀(110)은 전주(102)의 외주면의 일측에 복수개의 제1 전주홀(111)이 구비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의 타측에 제2 전주홀(112)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주홀(110)의 용도는 이후에 설명될 장력 지지부(12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전주홀(110)의 용도는 통상적으로 전주(102)에 설치될 다른 구조물을 위한 용도로서도 사용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지지부(120)는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장력 지지물(121)은 전주(102)에 구비된 제1 전주홀(111)에 비스듬히 삽입된 후 전주(102)의 내부에 구비된 빈공간(102a)안에 형성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2 장력 지지물(122)은 전주(102)에 구비된 제2 전주홀(112)에 비스듬히 삽입된 후 전주(102)의 내부에 구비된 빈공간(102a) 안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주(102)의 빈공간(102a) 내부에 형성된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은 교차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이 전주(102)의 빈공간(102a) 내부에서 교차된 상태로 구비되면, 이후에 설명될 경화 물질(131)이 투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을 구비한 장력 지지부(120)는 전주에서 발생된 장력에 충분히 견디도록 봉형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봉형강은 철근과 같이 강도가 강한 물질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화물질 살포부(130)는 경화 물질(131)을 투입하기 위한 기구로서, 전주(102)의 빈공간(102a)에서 형성된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이 덮히도록 전주홀부(110)에 경화 물질(131)을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경화 물질(131)은 시멘트 및 폴리머 재료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경화물질 살포부(130)는 시멘트 및 폴리머 재료 중어느 하나의 경화 물질(131)을 전주홀부(110)를 통해 전주(102)의 빈공간(102a) 안으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경화 물질(131)이 전주(102)의 빈공간(102a) 안으로 투입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경화 물질(131)이 전주(102)의 빈공간(102a)에서 교차 형성된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을 덮고 단단하게 굳어진다.
이와 같이, 전주(102)의 빈공간 내부(102a)에 경화 물질과 함께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이 단단하게 고정되면, 전주(102)에서 발생된 장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수 있는 힘을 전주(102)로 제공함으로써, 전주(102)의 크랙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주(102)의 크랙 방지는 크랙을 단순히 메우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전주(102)에 영향을 주는 장력을 근복적으로 완화시킴과 같은 맥락을 의미한다.
전주 보강 공법의 예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공법(S100)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보강 공법(S100)은 크랙이 발생된 전주(102)에 대하여 장력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S110 단계에서는 전주(102)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전주홀(111)에 제1 장력 지지물(121)을 비스듬히 끼워 전주(102)의 빈공간 내부에 형성시킨다(S110).
이후, 도 4에 도시된 S120 단계에서는 전주(102)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전주홀(112)에 제2 장력 지지물(122)을 비스듬히 끼워 전주(102)의 빈공간 내부에 형성시킨다(S120). 이때, S110 단계와 S120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은 봉형강으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강도에 강한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S110 단계와 S120 단계가 실시되면, 상기 전주(102)의 빈공간(102a) 내부에는,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이 교차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이 교차되면, 이후에 설명될 경화 물질(131)의 투입이 용이하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S130 단계에서는 전주(102)에서 발생된 장력에 대하여 상기 장력에 강한 물질인 경화 물질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경화 물질은 시멘트 및 폴리머 재료를 포함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S140 단계에서는 S130 단계에 의해 제조된 경화 물질, 예컨대, 시멘트 또는 폴리머 재료 중 어느 하나의 경화 물질(131)을 경화물질 살포기(130)를 이용하여 전주(102)의 제1 전주홀(111) 및 제2 전주홀(1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투입한다.
전주(102)의 제1 전주홀(111) 및 제2 전주홀(1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경화 물질(131)이 투입되면, 투입된 경화 물질(131)은 전주(102)의 빈공간(102a)에서 형성된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을 덮고 전주(102)의 빈공간(102a) 내부에서 굳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장력 지지물(121)과 제2 장력 지지물(122)을 덮고 경화 물질(131)이 굳어지면, 전주(102)에서 발생된 장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수 있는 힘을 전주(102)로 제공하게 되어 전주(102)의 크랙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주(102)를 교체하거나, 수시로 보강 공사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경화 물질이 투입된 후 제1 전주홀(111) 및 제2 전주홀(112)을 선택적으로 봉합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전주 보강 구조물 101 : 지면
102 : 전주 110 : 전주홀부
111 : 제1 전주홀 112 : 제2 전주홀
120 : 장력 지지부 121 : 제1 장력 지지물
122 : 제2 장력 지지물 130 : 경화물질 살포부
131 : 경화 물질 102a: 전주의 빈공간 내부

Claims (10)

  1. 전주에 영향을 주는 장력을 억제하고, 손상된 전주를 보강하기 위한 전주 보강 구조물로서,
    내부에 빈공간으로 이루어진 전주에 대하여 상기 전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전주홀부;
    상기 빈공간에 형성되는 봉형강의 장력 지지부; 및
    상기 빈공간에 형성된 장력 지지부가 덮히도록 상기 전주홀부에 경화 물질을 투입하는 경화물질 살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주홀부는 상기 전주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전주홀과, 상기 전주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전주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 지지부는 상기 제1 전주홀에 비스듬히 삽입된 후 상기 빈공간에 형성되는 제1 장력 지지물과, 상기 제2 전주홀에 비스듬히 삽입되어 상기 빈공간에 상기 제1 장력 지지물과 교차하게 형성되는 제2 장력 지지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물질은 상기 빈공간에서 교차 형성된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을 덮고 단단하게 굳어지어 전주에서 발생된 장력에 의한 크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주에 영향을 주는 장력을 억제하기 위한 전주 보강 공법으로서,
    (a) 상기 전주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전주홀에 봉형강으로 이루어진 제1 장력 지지물을 비스듬히 끼워 상기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전주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전주홀에 봉형강으로 이루어진 제2 장력 지지물을 비스듬히 끼워 상기 전주의 빈공간 내부에 상기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을 교차하여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전주에서 발생된 장력에 강한 물질인 경화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빈공간에 교차 형성된 상기 제1 장력 지지물과 제2 장력 지지물이 덮히도록 경화물질 살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경화 물질을 상기 제1 전주홀 및 제2 전주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다가 투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경화 물질이 굳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공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69521A 2012-06-28 2012-06-28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KR10127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21A KR101276066B1 (ko) 2012-06-28 2012-06-28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21A KR101276066B1 (ko) 2012-06-28 2012-06-28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066B1 true KR101276066B1 (ko) 2013-06-17

Family

ID=4886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521A KR101276066B1 (ko) 2012-06-28 2012-06-28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0771A (zh) * 2014-10-11 2014-12-24 安吉安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杀虫灯的抗灾害支架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506A (ko) * 2002-02-15 2007-01-18 엔티티 인프라네트 가부시키가이샤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506A (ko) * 2002-02-15 2007-01-18 엔티티 인프라네트 가부시키가이샤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0771A (zh) * 2014-10-11 2014-12-24 安吉安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杀虫灯的抗灾害支架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751B1 (ko) 능동형 지보재 및 숏크리트를 와이어네트로 일체화시킨 터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2003670B1 (ko) 텍스타일 그리드 고정장치를 이용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70484B1 (ko)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8444108B2 (en) Mine seal with electrically non-conductive ties
KR101777760B1 (ko) 보강용 나선철근이 포함된 매입형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파일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매입 시공하는 방법
CN105113665B (zh) 装配式建筑物的预制吊装墙体
KR101449708B1 (ko) 전단보강용 철근을 이용한 덧침 콘크리트와의 일체성 향상 및 중공슬래브의 전단내력 향상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259807B2 (ja) 道路橋防護柵及びその設置工法
KR100982241B1 (ko) 강관 및 콘크리트 기둥의 보수보강공법
KR101531626B1 (ko)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JP201807130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101276066B1 (ko) 장력 억제용 전주 보강 구조물
KR10107388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앵커와 철근 마운팅장치,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978443B1 (ko)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영구거푸집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도로용 방호벽의 보수·보강공법
JP2015078495A (ja) 補強構造の構築方法
US20130097955A1 (en) Precast concrete pile with carbon fiber reinforced grid
KR101580521B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 균열방지 침목 시공방법
JP5438557B2 (ja) グラウトホールキャップ
CN110966021A (zh) 一种用于运营隧道支护背后大型空洞的整治结构
CN106089261B (zh) 顺向陡倾薄层围岩中隧洞边墙的支护结构以及支护方法
JP5809487B2 (ja) 柱体の構造及び柱体の補強方法
JP5922993B2 (ja) 複数微細ひび割れ型繊維補強セメント複合材料を用いた構造体およびライニング方法
JP6345328B1 (ja) 元位置建柱工法および元位置建柱構造
CN105064357A (zh) 一种预应力锚索内嵌式锚固装置及锚固方法
CN213980806U (zh) 一种衬砌管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