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890A - 수액용기 공동(空洞)으로부터의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용기 공동(空洞)으로부터의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890A
KR20070007890A KR1020067023005A KR20067023005A KR20070007890A KR 20070007890 A KR20070007890 A KR 20070007890A KR 1020067023005 A KR1020067023005 A KR 1020067023005A KR 20067023005 A KR20067023005 A KR 20067023005A KR 20070007890 A KR20070007890 A KR 20070007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mbrane
reservoir
valve hous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825B1 (ko
Inventor
피터 스체나이더
루돌프 더웨스
버나르드 하슬러
카알 프리에드리치 크라우세
Original Assignee
후버 페르팍쿵엔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633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0789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버 페르팍쿵엔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버 페르팍쿵엔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0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6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B65D83/663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pellant being separated from the product and incrementally released by means of a pressure reg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18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 CO2 cartridge for dispensing and carbonating the beve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Amplifier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폐쇄가능한 배출구(14)를 통해 용기(12)의 저장실(15)로부터 외부로의 (특히, 탄산함유음료)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가 공개된다.
상기 장치는 저장실(15)로부터 분리되고 가압의 추진제가 설비된 그리고 압력조절장치(17)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15)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저장기(16)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장치(17)는 추진제가 상기 압력저장기(16)로부터 상기 저장실(15)로 배출되는 개방위치방향으로 편향매체(biasing means)에 의하여 부딪히는 ,바람직하게는 막의 형태인, 축으로 이동가능한 조절요소(30)를 갖추고 있다. 상기 용기(12)가 접하는 주위압력이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30)에 작용하는 반면, 상기 용기(12)의 상기 저장실(15)안의 내부압력이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30)에 작용한다.
정량토출용 장치, 압력조절장치, 편향매체, 추진제, 탄산음료

Description

수액용기 공동(空洞)으로부터의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DEVICE FOR DISPENSING A FLUID FROM THE HOLLOW SPACE OF A RECEPTACL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가능한 배출구를 통해 용기의 저장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맥주나 이와 유사한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에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저장실로부터 분리되고 압축추진제가 설비된 그리고 압력조절장치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저장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US-A-5 368 207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압력저장기는 가압된 용기( 예를들면 스프레이캔)로 이것은 기체압력상태하 액체가 설비되며 스프레이캔에서 보통 발견되는 종류의 밸브를 통해서 상기 용기(container)로부터 정량토출될 수 있는 제1실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의 제1실에서 압력을 생산하기 위해서, 제2실은 상기 용기안에 제공되며, 상기 제2실에서 고압상태하 추진제가 설비된다. 상기 추진제는 제1실 내부에 일정압력이 유지되도록 제공된 압력조절기를 통하여 제2실부터 제1실안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기는 폐쇄된 하우징안으로 이동가능하게 유도될 수 있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며 하우징벽에 대하여 양단부가 밀봉되어 있다. 하우징과 공동으로 상기 플런저는 하나의 단부에서 소정의 참조압력까지 가압되는 제 3실을 동봉한다. 상기 플런저의 반대단부에서 상기 제1실과 이어지는 측면이 출구를 향한 개구(opening)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측면은 상기 플런저의 축위치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및 상기 하우징의 두 개의 단부 각각 사이에서 공동(空洞)이 상기 플런저의 직경 감소에 기인하여 또한 동봉되며, 상기 공동은 가압추진제가 설비된 제2실에 대하여 개방되는 입구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플런저의 위치에따라서 추진제는 제2실로부터 나와 상기 용기의 제1실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용기 제1실의 압력이 감소한다면, 예를들면 액체가 상기 밸브를 통해 외부로 정량토출된다면 이는 상기 플런저에 작용하는 제3실에서의 참조압력에 기인하여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 변위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추진제는 제2실부터 제1실안으로 배출된며 이는 제1실의 압력증가를 가져온다. 상기 압력조절기는 본질상 제3실안의 참조압력에 의존하는 제1실에서의 평형압력을 성립시키기 위해서 상기 방식으로 시험된다.
비록 압력조절장치가 스프레이캔 내부 같은 용기내부의 대략 일정압력을 발생시키는 데 근본적으로 적합하지만, 적용되는 압력조절개념은 상당한 단점을 포함한다.
예를들면 DE 298 22 430 U1으로부터 잘 알려진, 예를들면 맥주같은 탄산음료를 정량토출시키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용기가 사용된다면 상기 용기둘레의 주위압력에 관계없이 액체 및 기체간의 평형압력에 바람직하게는 일치하는 일정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3, 5 또는 10리터의 부피를 갖는 파티케그(party keg)에 특별히 적용함을 고려하면 예를들면 맥주를 뽑을 때조차도 기압이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압력상태하에서 맥주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맥주 및 이산화탄소간 결과적 평형압력은 맥주안의 이산화탄소의 용해도 함수이다. 온도에 따라서 절대압력은 약 5℃ 및 10℃ 사이의 온도에서 대략 0.5 내지 2 bar이다. 이것은 주위압력에 대하여 약 0.5 내지 1bar의 과도압력이 상기 용기안에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제3실안에서 상기 참조압력을 유지하는 것은 장시간동안에 대해서는 어렵다. 특히 제조공차를 고려하면, 참조실로부터의 어떤 압력의 손실은 수개월간 지속되는 저장기간 동안에 예상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압력조절기에 의해 조정됨으로써 액체에 작용하는 상응하는 압력강하에 이른다. 적은 오차를 갖는 고품질 미세제작된 부품을 사용할 때 조차도, 보다 장기간동안에 걸친 기체부피를 완전히 밀봉하는 것은 어렵기때문에 확산 및 이동에 기인한 손실은 기간진행상 예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특히 저장에 있어서 장기간이 흐른 뒤에는, 압력조절기가 더이상 액체에 대해 원하는 압력을 설정할 수 없다는 결과와 함께 참조압력이 시간에 따라 떨어진다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가 외부로 압력하에 정량토출될 수 있는 상기 용기의 저장실 내부에 미리 조절된 압력이 가능한한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처음에 언급된 종류의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이것을 또한 가장 간단하면서 가장 비용효율이 높은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으며, 연장된 저장은 압력이 제어되는 정밀도상에서 최소 손해의 효과를 가진다.
상기 목적은 처음에 특정한 종류 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추진제가 상기 압력저장기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배출되는 개방위치방향으로 편향매체(biasing means)에 의하여 부딪히는 축으로 이동가능한 조절요소에 의하여,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에 작용하고 상기 용기에 접하는 주위압력에 의하여, 및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에 작용하는 용기의 저장실안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문제점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완전히 해결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저장실 안의 내부압력은 이제 상기 저장실 및 용기위의 외부압력사이의 압력미분 더하기 편향매체에 의해 생산된 일정힘을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것은 원하는 압력조절범위가 적절한 편향매체을 선택함에 의해서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각각의 필링(filling)재의 최적 태핑(tapping)이 얻어지며, 예를들면 밀맥주가 필스맥주(pils beer)나 미네랄워터같은 다른 탄산음료보다도 높은 압력없이 해낼 수 있게 된다. 저장실 안의 설정압력은 폐쇄가스저장기(a closed gas reservoir) 다시말하면, 공기스프링를 유지하는 것에 더이상 의존할 필요가 없게되며 예를들면 기계스프링같은 매체에 의해 기계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것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얼마나 오랫동안 용기가 저장되는지에 관계없이 그리고 심지어 연장된 저장기간후에도 상기 용기의 저장실안에 성립될 수 있슴을 보장한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빈 용기가 압력저장기 및 압력조절장치와 함께 제조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장치가 임의로 선택된 시간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용기는 필링(filling)플랜트에서 나중에 독립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상기 용기가 채워질 때 ,예를들면 얼마지나지 않아서 ,예를들면 상기 내용물을 정량토출하기를 시작하기를 원할 때, 최종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참조압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밀폐된 가스저장기가 요구되지 않기때문에, 상기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조 및 조합은 매우 간단화되고 덜 비싸다. 플라스틱 주입성형부품이 저비용에서 상기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될 때, 조절은 연장된 저장기간 동안에조차도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용기의 임의위치에 상기 압력저장기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다른 이점은 기성용기는 압력저장기 및 제조자에 의한 압력조절장치에 적합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에서 표준인 용기뚜껑에서 중앙개구(the center opening)를 통하여 요구되는 개조없이 채워지고/거나 밀봉된다. 파티캔용 음료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같은 통상적인 필링(filling) 및 실(sealing) 플랜트가 ,예를들면 상기 플랜트에 변형이 이루어짐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한가지 이로운 전개상, 압력저장기는 통합배출밸브를 갖는 압력카트리지로서 배열된다.
이것은 상용 압력카트리지가 사용될 수 있게 하여, 간단한 축조 및 비용효율이 높은 생산을 얻도록 한다.
여기서는 가스추진제가 활성탄소같은 필링(filling)첨가제와 결합하는 압력카트리지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방식으로 훨씬 낮은 필링(filling)압력이 상기 흡수제의 부재하에서 가능한 압력카트리지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이로운 전개상, 압력저장기는 편향매체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적은 힘을 갖고 상기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편향된 배출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방식으로 가압된 용기를, 예를들면 스프레이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상용 배출밸브와 함께 특별히 변형을 가할 필요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편향매체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상기 배출밸브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크기때문에 결과적으로 저장실의 내부압력 및 용기의 외부압력간 압력미분에 의한 조절요소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이루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오차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조절요소가 작용하는 밸브플런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밸브플런저를 갖는 배출밸브가 제공된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압력카트리지의 사용을 결합한 간단히 축조된 압력조절장치를 낳는다.
상기 발명의 이로운 전개상, 상기 편향매체는 스프링으로 배열된다.
여기서는 임의종류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스프링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고 해도, 공기스프링과 연관된 이미 언급된 단점들을 피하기 위해서 기계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스프링, 디스크 스프링, 웨이브 스프링 및 다른 형을 포함한 임의종류의 기계스프링이 이런 면에서 무난하다. 상기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되지만, 플라스틱 및 다른 재료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압력조절범위는 선택되는 스프링 특성곡선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편향매체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S형 특성곡선을 갖는다.
장력(스프링힘)이 선택된 범위에 걸쳐 구부림에 거의 독립적인 편향매체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에 의해 제조공차의 영향이 보상될 수 있으며 용기안의 원하는 내부압력이 편향매체이 구부러지는 정도에 무관하게 정밀도를 갖고 대체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조절요소는 막(membra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피스톤에서 발생하는 것 같은 마찰효과에 의해 반대로 작용되지 않는 고도로 섬세한 제어를 낳으며, 제조공차에 대하여도 민감하지 않게된다. 상기 구조는 저장실 내부압력이 막의 한쪽 면에 작용하고 주위압력이 막의 다른 쪽면에 작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작동기요소는 어떠한 압력조절도 활성화된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는 비활성화 위치로부터 상기 압력조절장치를 스위칭하기 위해서 상기 용기가 제공된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압력조절장치의 활성화는 용기가 채워지는 것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압력저장기 및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용기는 필링플랜트까지 첨가되는 음료필링없이 제조자에 의해 완전히 미리 조립된 형태로 생산될 수 있다. 압력조절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필링 중 또는 후 어느 때나 활성화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압력조절장치가 최종사용자가 직접 이를 활성화하기까지, 예를들면 내용물을 정량토출하기 시작하고 싶을 때까지, 비활성화된 채로 남아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밸브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 외부로 작동가능한 작동기요소가 회전가능하게 설비되고 상기 밸브하우징을 통해 상기 편형매체이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과 맞닿도록 상기 비활성화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화된 위치로 회전함에 의해서 축으로 편향된다.
이것은 조절요소의 간단한 설치와 활성화를 가능케한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절요소은 상기 밸브하우징에 밀봉하여 연결될 수 있는 막요소 위에서 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설비된다.
이것은 상기 장치의 단순화된 조립을 가능케 한다.
상기 막요소는 상기 밸브하우징 및 상기 압력저장기에 스냅(snap)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택일적으로 접합은 ,예를들면 마찰용접 또는 초음파용접에 의한, 용접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또한 단순화며 빠른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조절장치는 작동기요소의 회전이동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다.
이것은 압력조절장치가 간단한 방식으로 활성화되도록 한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편향매체는 한쪽으로는 막요소 다른 쪽으로는 중간요소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중간요소는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에 대하여 상기 편향매체를 맞닿게 하기위해서 작동기요소를 회전함에 의해서 상기 밸브하우징안으로 축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것은 매우 간단한 구조 및 매우 간단한 조립을 낳는다.
상기 실시예의 한가기 이로운 전개로, 상기 작동기요소 및 상기 중간요소는
이에의해서 상기 작동기요소의 회전이동이 상기 중간요소의 축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캠표면을 포함한다.
이것은 작동기요소가 비활성위치에서 활성화된 위치로 쉽고 빠르게 바뀔 수 있게 한다.
상기 발명의 한가지 적절한 전개로, 매체는 상기 작동기요소및 상기 중간요소사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위해 제공된다.
상기 중간요소는 또한 축으로 변위가능하지만, 회전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안에 설비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작동자요소는 외부로부터 상기 밸브하우징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스냅 잠김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는 간단한 축조 및 간단한 조립의 지지를 제공한다.
상기 발명의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장실에 대하여 밀봉된 공동(空洞)은 상기 압력저장기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밸브하우징 안에 형성되며, 상기 공동은 상기 활성화된 위치에서 외부로 환기된다.
상기 발명의 이로운 전개상, 상기 공동은 상기 작동기요소를 상기 밸브하우징과 맞물림을 밀봉함에 의해서 상기 주위압력에 대하여 상기 비활성화 위치에서 밀봉되고, 상기 작동기요소를 상기 활성화된 위치로 회전함에 의해서 외부로 환기된다.
상기 방식으로 저장실은 주위요인으로부터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완전히 격리된다. 압력조절장치의 내부는 맥주나 공정수(rinsing water)같은 액체의 원하지 않는 통과에 대하여 필링동안 보호된다. 이것은 동시에 압력조절장치가 최종사용자가 이를 활성화하기 전까지 개시되지 않아서 누출을 통한 어떠한 손실도 상기 활성화전에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매체는 상기 활성화된 위치에서 상기 중간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것은 활성화된 위치에 이르면 계속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여기서는 작동기요소가 비활성화된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활성화된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만이 적당하다. 적당한 이음매(toothing)가 상기 목적상 제공될 수 있는 데, 예를들면 밸브하우징에서 작동기요소의 관련 스냅고정(snap-lock)요소가 상기 이음매에 결합한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막요소는 상기 막에 의해 움직일 게 유지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서 상기 배출밸브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의해, 압력저장기의 막 및 배출밸브는 간단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막은 상기 막요소에 의해 상기 압력저장기로부터 공간을 두고 분리된 채로 유지되며, 여기서 공동(空洞)은 상기 막요소 및 상기 압력저장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공동안으로 상기 배출밸브가 열리며 최소 하나의 배출개구(discharge opening)를 통하여 상기 공동은 상기 용기의 상기 저장실과 이어져 있다.
이것은 상기 배출밸브가 상기 공동을 통하여 저장실캔 안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될 수 있도록 압력저장기와 막을 간단히 연결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막 및 상기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기 막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탄성재로 구성된 상기 막은 2성분 주형기술을 사용하여 2개의 서로 다른 부재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종래기술에서 기본적으로 알려진 2성분 주형기술로 최소 하나의 경질 플라스틱 및 연질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복수의 플라스틱부품이 생산된다. 적당한 주입성형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동안 맞춤재료에서 연질 플라스틱성분이 경질 플라스틱성분과 함께 접합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식으로 집적된 막을 갖는 상기 막요소는 저럼하게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막요소 및 막사이의 영구 밀봉이 비용 효율이 높고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성취된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압력저장기는 상기 용안에 상기 압력조절장치과 함께 설비되며 상기 하우징벽의 개구(opening)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의 뚜껑표면에 , 밸브하우징에 의해서 밀봉하여 설치된다.
상기 방식으로 용기는 사용자에게 외부로 눈에 띄지않고 압력조절장치 및 압력저장기와 결합할 수 있다. 압력저장기를 갖는 압력조절장치를 용기의 뚜껑표면에 고정시키는 것은 저장실로부터 유체의 배출동안 , 즉 유체를 배분할 때, 상기 추진제가 저장실에 설비된 액체를 통하여 통과할 필요없이 추진제가 압력저장기로부터 용기의 헤드공간 안으로 직접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단점은 피해나간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작동기요소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원형지시자(originality indicator)에 의한 상기 비활성위치에서 안전하며, 상기 작동기요소가 걸려서 상기 활성화된 위치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추가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장치는 상기 압력조절장치가 일단 활성화된 위치에 놓이면 다시 비활성화된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도록 제공된다.
이것은 상기 장치의 단순한 수동작동을 보장하고 상기 장치가 아직 본래상태에 있슴을 보여주는 징조를 제공한다.
압력조절장치는 또한 일단 활성화된 위치에 있다면 다시 비활성화된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위에서 상술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발명의 특징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한 조합뿐 아니라 다른 조합 또는 분리하여 적용될 수 있슴은 자명하다.
상기 발명의 부가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명세서로부터 얻는다.
도1은 파티케그(party keg)의 형태이나 압력조절장치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투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2는 압력저장기가 플랜지되는 압력조절장치를 통한 횡단면도이며,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도1의 용기에서 사용된다.
도3은 도2의 비활성화상태(원형상태)에 있는 압력조절장치의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4는 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도2의 압력조절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5는 S형곡선을 갖는 조절요소의 스프링곡선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용기(container) 14: 배출구(discharge port)
15: 저장실 16: 압력저장기
17,17': 압력조절장치 20: 배출밸브(discharge valve)
26: 밸브하우징 28: 막요소(membrane element)
30: 조절요소 31: 플랜지(flange)
32: 배출개구(discharge opening) 33: 공동(cavity) 38: 편향매체(biasing means) 42: 작동기요소 44: 중간요소 46: 공동(cavity) 54:원형지시자 88: 고정장치(lock)
상기 발명에 의한 장치는 도1에서 보여지며, 여기서는 전체로 인용숫자(10) 으로 표시된다. 장치(10)은 맥주같은 기체압력상태하의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용기이다. 상기 용기는 3,5,10리터의 부피를 갖는 파티케그로서 이용가능하며, 마개가 수용되고 용기를 채우고 DE298 22 430 U1 같은 적당한 정량토출장치로 용기를 비우기위해서 배열된 중앙개구(14)가 용기의 뚜껑표면(13)위에 제공된다.
도1에서 보여지지 않는다해도 용기(10)와 같은 것은 예를들면 US-S-6 053 475(이것의 전체명세는 현 명세에서 참조됨으로써 편입된다)로부터 알려진 것같은 용기로부터 액체를 꺼내기위해서 필요시 빼낼 수 있는 용기의 옆벽에 구성된 정량토출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기는 특히 맥주를 보존하고 액을 받기위해서 사용된다. 유체의 액을 받기위해서 부가압력의 공급이 대부분의 경우에 불필요하게 되지만, 용기부피안의 특정내부압력을 공급하는 것이 몇몇 적용예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도2 내지 도4에 따라서 압력조절장치(17)과 함께 압력저장기(16)는 용기내부에서 상기 목적상 완전히 통합된다. 압력저장기(16)은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형태의 압력카트리지로서 배열되며 이는 주지 디자인의 배출밸브(20)가 제공된다. 배출밸브(20)는 예를들면 스프레이캔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것같은 디자인일 수 있다. 배출밸브는 스프링이 실린 밸브요소(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압력카트리지의 추진제가 압력저장기에서 위로 돌출된 밸브플런저가 눌려질 때 방사배출개구(40, 도2 및 도4)를 통하여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력저장기는 안에 설비된 가압된 추진기체(예를들면 이산화탄소)를 위한 흡착제와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가능한 흡착제는 활 성탄소를 포함한다. 이것은 매우 높은 초기압력이 필요없이 압력카트리지로부터 추진제를 연장하여 빼내고 난 후조차도 압력카트리지에 충분한 압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추진기체는 압력조절장치(17)를 통하여 압력카트리지로부터 소정의 내부압력이 상기방식으로 적용되는 용기(12)의 저장실(15)안으로 배출될 수 있다. 맥주를 태핑할 때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조건을 위해 저장실(15)안에서 약 1.2 내지 2bar의 절대압력에 해당하는 주위압력에 대하여 저장실(15)안에 약 0.2 내지 1bar의 과도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2)의 저장실(15)안의 과도압력은 냉각된 맥주가 정상적으로 태핑되는 표준온도범위에서의 이산화탄소 및 맥주의 평형압력에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들면 5℃ 와 1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0.7 bar의 상태에서 저장실(15)안에 바람직한 과도압력을 낳는 결과가 된다.
상기 발명압력에 의할 때 조절장치(17)는 이제 압력카트리지로부터 저장실(15)안으로 추진제를 배출함에 의해서 저장실(15)안에 특정의 바람직한 과도압력을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유체정량토출는 원하는 만큼 오랫동안 지속되거나 중단될 수 있다. 본 종류 장치의 이점은 부가압력이 없이 작동하는 용기의 경우처럼 맥주의 맛이 상당한 정도까지 악영향을 받지않고,맥주가 처음 용기로부터 정량토출된 후 수일후라도 태핑이 가능하게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한 압력조절장치(17)는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배출밸브(20)의 밸브플런저에 작용하는 막(30)을 포함하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스프링(38)에 의해 부가적으로 맞닿는다. 용기(10)의 주위압력은 밸브플런저로부터 멀어지는 막(30)의 면에 작용하는 반면, 용기(12)의 저장실(15)에 내부압력이 막(30)의 다른 면에 작용한다. 스프링(38)은 압력카트리지의 상단모서리(19)위에 막요소(28)을 통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밸브하우징(26)에 유지된다. 막(30)은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밸브플런저에 대하여 스프링(38)에 의해 맞닿는다.
결과적으로 막(30)은 처음에는 저장실(15) 및 용기(12)의 주위압력간 압력미분에 의해 작용되며 그래서 막(30)은 폐쇄위치 예를들면 압력카트리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맞닿는다. 둘째로, 밸브플런저는 이에 의해 밸브플런저가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편향되는 스프링요소(도시되지 않음)의 편형힘에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스프링(38)의 장력은 반대방향으로 즉,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밸브플런저에 작용한다.
이것은 밸브플런저의 배출개구(40)를 통하여 압력카트리지(18)로부터 배출되는 그리고 막요소(28)의 배출개구(32)를 통하여 거기로부터 저장실(15)안으로 항상 배출되는 추진제의 양만큼이 저장실(15)안에 성립되는 한정된 내부압력을 위해 요구된다. 내부압력은 스프링(38)의 장력에서 배출밸브(20)에 결합된 임의의 스프링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뺌에 의해서 미리 결정된다. 스프링곡선을 일치하여 조정함에 의해서 주위압력에 대한 저장실(15)안에 성립된 과도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치(10)의 구조는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이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밸브하우징(26)은 개략 원통형태를 갖으며 삽입된 외부실(outer seal)의 도움으로 도1의 용기(12)의 뚜껑표면에 있는 개구(24)안으로 상단말단부에서 밀봉하 여 삽입된다. 밸브하우징(26)은 상단말단부에서 개방되지만, 기저말단부는 베이스(67)를 갖는 데, 베이스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부로 돌출된 슬리브형 증축부(68)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오목부(69)가 있다. 밸브하우징(26)의 기저말단부에서 밸브하우징(26)의 내부벽을 향하는 빈공간을 정의하는 돌출된 스커트(skirting)가 있으며, 스커트 내부에 막(30)이 고정되는 막요소(28)가 스냅연결부(22)에 의하여 밀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막요소(28)는 기본적으로 볼형태이며 중앙에 스프링(38)의 기저말단부를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중앙 상부방향의 돌출부를 갖고 하부는 또한 배출밸브(20)을 작동하는 데 이바지하는 플랜지(31)를 포함한다. 플랜지(31)는 탄성 막(30)을 통하여 막요소(28)의 외부벽에 연결된다. 막요소의 상단측부위에는 고리형 돌출부가 형성되는 데 이것의 내부모서리는 밸브하우징(26)의 기저말단부에 밀봉하여 연결되기위한 고리형 실(seal)면으로서 배열된다. 탄성막(30), 동일재료로 만들어진 실(35), 중앙플랜지(31) 및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막요소(28)는 2-성분 주입성형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막요소(28)의 경질 부분(hard parts)은 경질부분 및 연질부분간의 내부적 재료적합를 낳는 복합주입성형과정에서 연질 막(30) 및 실(seal,35)과 함께 생산된다.
도2로부터 볼 수 있듯이, 막요소(28)는 스냅연결부(22)를 통하여 밸브하우징(26)의 스커트(27), 실(seal, 35)위에 물리며, 이에 의해서 용기의 외부를 향하는 막(30)의 머리면이 밸브하우징(26)의 기저면에서 오목부(recess,69)에 의하여 슬리브형 증축부(68)만을 통과여 밸브하우징(26)내부에 형성되는 공동(46)과 이어질 수 있다.
막요소(28)는 스냅연결부(48)의 도움으로 압력카트리지의 모서리(19)에 스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요소(28)의 배출개구(32)를 통하여 용기(12)의 저장실(15)와 이어지는 공동(33)은 막요소(28) 및 막(30), 압력카트리지의 상단모서리(19)사이에서 둘러싸인다. 추진제가 밸브플런저(22)의 개구(40)를 통하여 압력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공동(33)은 배출밸브(32)를 통하여 저장실(15)과 이어진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대로, 이것은 결과적으로 추진제가 소정의 압력미분이 저장실(15) 및 ,스프링(38)이 밸브(22)의 개방위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서 배출밸브(20)에 결합된 스프링요소가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임의의 힘을 뺀 것에 의존하는, 주위압력간에 성립되는 것과 같은 시간까지 공동(33)을 통하여 압력카트리지(18)로부터 저장실(15)안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성스프링을 선택함에 의해서 저장실(15)안에 원하는 압력은 적절한 방식으로 영향받을 수 있다.
저장실(15)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승관(도시되지 않음)가 실스토퍼(sealing stopper,44)안으로 도입될 수 있는 데, 이는 용기(12)의 뚜껑표면(13)의 중앙개구안으로 삽입된다. 저장실(15)안에 작용하는 과도압력의 영향하에 저장실(15)로부터 외부로 유체를 정량토출가능하기 위해서 상승관(riser tube)이 적절한 정량토출밸브 및 배출파이프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유체는 예를들면 US-A-6 053 475로부터 알려진 것처럼 용기(12)의 옆벽에 통합된 정량토출밸브를 통하여 정량토출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한 장치(10)는 압력조절장치(17)이 소정의 순간까지 지연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미 상술한 대로 스프링(38)은 막(30)에 연결되는 플랜지(31)에 의해 막(30)을 접하면서 단부에서 지지된다. 다른쪽 말단부에서 스프링(38)은 외부용기(12)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작동기요소(42)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요소(44)에 의해 유지된다. 스프링은 이의 기저말단부에서 밸브하우징(26)의 슬리브형 증축부(68)안으로 그리고 플랜지(31)로부터 중앙돌출을 통하여 방향지워진다. 유사하게 스프링(38)은 상단말단부에서 중간요소(44)의 오목한 원통모양으로 유지되며 막요소(28)의 방향으로 향하는 돌출부위에 중앙위치된다.
압력조절장치(17)는 도2에서 보듯이 비활성화된 위치로부터 도4에서 보듯이 활성화된 위치로 작동기요소(42)를 약 90도 각도로 회전함에 의해서 바뀔 수 있다. 비활성화 위치에서 중간요소(44)는 막요소(28)로부터 축상으로 최대한 멀리 개시위치에서 지지되며 작동기요소(42)에 인접한다. 상기 위치에서 스프링(38)은 플랜지(31)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지 않으며 따라서 플랜지의 활성화를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밸브(20)위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배출밸브(20)의 활성화는 비활성화 위치에서 가능하지 않다. 중간요소(44)를 축으로 변위시킴은 스프링(38)이 팽창되도록 하면서 결과적으로 조절기능이 공동(33)의 압력, 밸브하우징(26)안의 공동(46)내부압력 및 스프링(38)의 편형력에 일치하는 저장실(15)의 압력간 압력미분에 의존하면서 배출밸브(20)를 활성화하도록 수행된다. 도2에서 보이는 비활성화위치로부터 도4에 따르는 활성화된 위치로 중간요소(44)를 축상 변위시키기 위해서 중간요소(44) 및 작동기요소(42)는 각각 외부원통표면에 4개의 캠표 면(80,82)을 갖고 있다. 캠표면의 외형은 도4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잘 조화된다. 방사면에 대하여 경사지면서 축방향으로 매끄럽게 움직이는 캠표면(80,82)에 의해서 도2에서 보이는 비활성화위치로부터 작동기요소(42)를 임의로 회전함은 결과적으로 중간요소(44)가 작동기요소(42)의 캠표면(82)를 따라서 캠표면(80)과 함께 미끄러져서, 축으로 변위가능한 중간요소때문에 막요소(28)의 방향으로 축으로 변위될 수 있지만, 회전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밸브하우징(26)내부로 방향지워지게 한다. 상기 목적상 중간요소(44)는 밸브하우징(26)의 축상 홈(64)으로 안내되는 외부주위위에 총 4개의 가이드리지(guide ridge,66)를 갖고 있다. 작동기요소(42)는 도2에 의한 비활성 개시위치로부터 회전의 한 방향, 즉 도3의 화살표(78)에 의해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그리고 90도보다 다소 적은 각도로 도4에서 도시된 활성화위치에 이를 때까지 회전할 수 있을 뿐이다. 밸브하우징(26)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고 작동기요소(42)의 외부주위위 관련된 주위오목부(72)와 상호작용하는 정지요소(70)는 작동기요소가 2개의 가장 바깥위치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3에서 볼수 있듯이, 정지요소(70)는 도2 및 도3에서 도시된 비활성화된 개시위치로 주위오목부(72)의 제1 말단부(74)에 관여한다. 상기 위치는 도3에서 보듯이 "0"마크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구별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작동기요소(42)가 도3의 화살표(78)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최종적으로 정지요소(70)에서 주위오목부(72)의 제2 말단부(76)에 도달한다. 상기 위치는 사용자에의해 "1"마크와 시각적으로 구별가능해 질 수 있다. 도4에서 도시되고 정지요소(70)에 접한 말단부(76)에 의해 특징된 활성화된 위치에서, 각각 중간요 소(44) 및 작동기요소(42)의 캠표면(80,82)은 방사면으로 확장된 부분(86,84)를 갖으면서 하나위에 다른 하나가 놓인다. 그러므로, 도4에서 도시된 말단부위치에 이를 때, 중간요소(44)의 정의된 말단부위치에 유사하게 이르며, 여기서 중간요소는 막요소(28)의 방향으로 정의된 양만큼 변위되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작동기요소(42) 및 밸브하우징(26)간 스냅고정요소는 또한 작동기요소(42)가 반대방향이 아니라 화살표(78)에 의해 도시된대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적절한 맞물림(toothing)이 상기목적상 제공될 수 있는 데,예를들면 내부주위를 따라 밸브하우징(26)의 내부표면위에 ,예를들면 스냅고정요소가 바브(barb)의 형태로 관여한다. (도4에서 작동기요소(42)의 외부표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한 바브는 인용숫자(88)로서 제시될 뿐이다.)
작동기요소(42)가 도2에 의한 비활성위치로부터 도4의 활성화된 위치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핸들(50)이 작동기요소(42)의 최상단부에 제공된다. 작동기요소(42) 상단면의 반은 필름경첩(film hinge,52)을 통하여 상기 목적상 추축으로 고정된다. 도2와 도3에 의한 비활성화위치에서 핸들(50)은 작동기요소(42) 의 외부표면과 접한 채 고정되며 관찰창(viewing window)안으로 돌출된 탈착요소(54)에 의해 상기 위치에서 고정잠김된다. 외부주위를 잡음에 의해서 핸들(50)은 이제 잡아당겨질 수며 상기 위치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되며 결과적으로 탈착요소(53)가 벗겨지고 핸들은 작동기요소(42)가 화살표(78)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반시계방향 회전되도록 두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이제 상승위치에 있는 양면으로부터 원형으로 잡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탈착요소는 핸들(50)의 임의 최초사용이 시각적으로 구별가능하도록 하며 따라서 원형상태를 확인하는 인증마크(quality seal)로서 제공된다.
작동기요소를 외부주위를 잡음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하는 것은 설치될 때 사실상 불가능하다. 펜치나 이와 유사한 것 같은 도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작동기요소(42)는 밸브하우징(26)의 스냅링홈(snap ring groove,60)에 관여하는 주변볼록부(58)에 의하여 밸브요소(26)에 스냅설치된다. 그러나, 작동기요소(42)는 밸브요소(26)안에서 회전될 수 있다.
밸브하우징(26)은 4개의 지점(92)에서 축방향으로 홈이 파인 원형리지(circular ridge, 도3 및 도4 참조)에 있는 외부말단부에서 끝난다. 추가 원형리지는 원형리지(90)으로부터 막요소(28)의 방향으로 약 몇 밀리미터 정도로 파생되면서 밸브하우징(26)의 외부표면 위에 주형되는 데 , 이의 외부방사돌출은 제1 원형리지(90)의 것보다 크다. 상기 두개의 원형리지(90,92)간에 유연한 밀봉재료가 원형리지(92)의 외부인접표면을 또한 덮는 2-성분기술을 사용하면서 주입된다. 상기 두 개의 원형리지(90,92)는 도1에서 도시된 뚜껑표면(13)에 있는 개구(24)에 압력조절장치(17,17')를 밀봉하여 설치하기 위해서 주입된 실(94)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압력조절장치(17)가 도2에서 도시된 비활성화위치에 있다면, 밸브하우징(26)내부에 형성되는 공동(26)은 또한 주위환경에 대하여 완전히 밀봉된다. 이것은
밸브하우징(26)의 외부원형리지(90)의 외부면 및 작동기요소(42)의 관련 접촉표면간 2-성분 기술을 사용하여 주입되는 것과 유사하게 밀봉면(62)과 함께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2에 의한 비활성화위치에서 공동(46)은 주위공기에 대하여 밸브하우징(26)내부에 완전히 밀봉된다. 이것은 맥주나 공정수같은 우체의 통과에 대한 필링동안 압력조절장치(17,17')의 공동(46)을 보호한다. 압력조절장치(17,17')가 기능하기 위해서 필요한 외부로의 공동(46) 환기는 비활성화위치로부터 도4에서 도시된 활성화위치(17')로 작동기요소(42)가 회전될 때까지 발생하지 않는다. 약간 상승된 세그먼트(도시되지 않음)는 밸브하우징(26)의 앞면에 있는 실(62)에 형성되며 작동기요소(42) 덮개표면의 아랫면에 조합된 이음매(도시되지 않음)를 잠기고 밀봉되게 하는 형태에 관여한다. 작동기요소(42)가 회전될 때 상승세그먼트는 상기 이음매로부터 밖으로 이동한다. 작동기요소(42)의 최종위치에서,도4에 따른 활성화된 위치에서, 상기 상승세그먼트는 밸브하우징(26) 및 작동기요소(42)사이 밀봉면이 더이상 하나의 최상단부위에 다른 하나가 밀봉되게 놓이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갖으며, 주위로의 환기가 성립되는 결과를 갖는다. 축상의 슬롯은 또한 작동기요소(42)위 주변볼록부(58)의 적당한 위치에 제공되며, 슬롯에 의해서 공동(46)의 외부로의 충분한 혼기가 활성화된 위치일 때 보장된다.
스프링(38)이 나선스프링같이 그림에서 보이지만, 디스크 스프링, 웨이브 스프링 및 다른 구조형상 같은 임의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고 이해된다.
사용되는 스프링(38)은 저장실(15)안의 조정된압력이 미리 정의되는 것이 상기 매체에 의하기 때문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가능한 정밀도 정도를 갖고 미리정해진 스프링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공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스프링(38)은 도5에서 도시된 대로 약 S형 스프링 특성곡선을 갖고 배열된다.
도5는 스프링 편향(s)함수로서 스프링에 의해 작용하는 스프링힘(F)를 나타낸다. 정상적 선형 스프링곡선은 파선(88)에 의해 표시된다. 이것은 편향(s)이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힘이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의미한다. 인용숫자(90)으로 표시된 바람직한 종류의 S형 스프링곡선은 작용범위(92)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작용범위안에서 스프링에 의해 작용하는 힘은 스피링 편향(s)에 변화가 있을 때 조차도 전혀 변화가 없거나 단지 미미한 정도로만 변화할 뿐이다. 스프링(38)은 압력조절장치(17)가 활성화된 상태에 있을 때 작용범위(92)안에서 작동/작용되도록 바람직하게 디자인되고 설치된다. 이것의 영향은 스프링(38)이 밸브플런저와 관련하여 부정확하게 위치되는 때조차도 스피링(38)에 의해 작용하는 장력은 특정범위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는 것이며 저장실(15)안의 원하는 목적압력은 스프링(38)의 위치지정오류에 무관하게 조정된다는 결과를 갖는다.
S형 특성곡선을 갖는 적절한 스프링 디자인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Claims (27)

  1. 적어도 하나의 폐쇄가능한 배출구(14)를 통해 용기(12)의 저장실(15)로부터 외부로의 탄산음료 정량토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저장실(15)로부터 분리되고 가압의 추진제가 설비된 그리고 압력조절장치(17,17')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15)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저장기(16)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절장치(17,17')는 추진제가 상기 압력저장기(16)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배출되는 개방위치방향으로 편향매체(biasing means)에 의하여 부딪히며 축으로 이동가능한 조절요소(3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12)가 접하는 주위압력이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30)에 작용하고
    상기 용기(12)의 상기 저장실(15)안의 내부압력이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30)에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저장기(16)는 통합배출밸브(20)를 갖는 압력카트리지로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20)는 편향매체(38)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적은 힘을 갖고 상기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 출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20)는 상기 조절요소(30)가 작용하는 밸브플런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매체(38)은 스프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매체(38)은 대략 S형 특성곡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요소는 막(30)으로써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기요소(42)는 어떠한 압력조절도 활성화된 위치(17')에서 발생하지 않는 비활성화 위치(17)로부터 상기 압력조절장치를 스위칭하기 위해서 상기 용기가 제공된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17,17')는 밸브하우징(26)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 외부로 작동가능한 작동기요소(42)가 회전가능하게 설비되고 상기 밸브하우징을 통해 상기 편형매체(38)이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30)과 맞닿도록 상기 비활성화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화된 위치로 회전함에 의해서 축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요소(30)은 상기 밸브하우징(26)에 밀봉하여 연결될 수 있는 막요소(28) 위에서 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설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막요소(28)는 상기 밸브하우징(26) 및 상기 압력저장기(16)에 스냅고정(snap-locked)될 수 있거나 또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17,17')는 상기 작동기요소의 회전이동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매체(38)은 한쪽으로는 막요소(28) 다른 쪽으로는 중간요소(44)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중간요소(44)는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조절요소(30)에 대하여 상기 편향매체(38)을 맞닿게 하기위해서 작동기요소(42)를 회전함에 의해서 상기 밸브하우징(26)안으로 축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요소(42) 및 상기 중간요소(44)는 캠표면(80,84)을 포함하며,
    상기 캠표면에 의해서 상기 작동기요소(42)의 회전이동이 상기 중간요소(44)의 축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매체(70,72)는 상기 작동기요소(42) 및 상기 중간요소(44)사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요소(44)는 축으로 변위가능하지만, 회전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안에 설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요소(42)는 외부로부터 상기 밸브하우징(26)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스냅고정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8. 제9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15)에 대하여 밀봉된 공동(空洞,46)은 상기 압력저장기(16)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밸브하우징 안에 형성되며, 상기 공동(46)은 상기 활성화된 위치에서 외부로 환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46)은 상기 작동기요소(42)의 상기 밸브하우징(26)과 맞물림을 밀봉함에 의해서 상기 주위압력에 대하여 상기 비활성화 위치에서 밀봉되고, 상기 작동기요소(42)를 상기 활성화된 위치로 회전함에 의해서 외부로 환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체(82,86)는 상기 활성화된 위치에서 상기 중간요소(44)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1. 제10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요소(28)는 상기 막(30)에 의해 이동이 유지되는 플랜지(flange,31)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서 상기 배출밸브(20)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2. 제10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30)은 상기 막요소(28)에 의해 상기 압력저장기(16)로부터 공간을 두고 분리된 채로 유지되며,
    공동(33)은 상기 막요소(28) 및 상기 압력저장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공동안으로 상기 배출밸브(20)가 열리며 최소 하나의 배출개구(discharge opening,32)를 통하여 상기 공동은 상기 용기(12)의 상기 저장실(15)과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막(30) 및 상기 플랜지(31)를 포함하는 상기 막요소(28)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탄성재로 구성된 상기 막(30)은 2성분 주형기술을 사용하여 2개의 서로 다른 부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저장기(16)는 상기 용기(12)안에 상기 압력조절장치(17,17')와 함께 설비되며 상기 하우징벽의 개구(opening)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12)의 뚜껑표면(13)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하우징(26)에 의해서, 밀봉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요소(42)는 핸 들(5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원형지시자(originality indicator,54)에 의한 상기 비활성위치에서 안전하며, 상기 작동기요소(42)가 맞물려서 상기 활성화된 위치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6. 제8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88)는 상기 압력조절장치가 일단 활성화된 위치에 놓이면 다시 비활성화된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를 위한 압력조절장치(17,17a).
KR1020067023005A 2004-04-02 2005-03-26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KR100970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7171A DE102004017171A1 (de) 2004-04-02 2004-04-02 Vorrichtung zur Ausgabe eines Fluides aus einem Hohlraum eines Behälters
DE102004017171.8 2004-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890A true KR20070007890A (ko) 2007-01-16
KR100970825B1 KR100970825B1 (ko) 2010-07-16

Family

ID=3496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005A KR100970825B1 (ko) 2004-04-02 2005-03-26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20080099511A1 (ko)
EP (1) EP1737759B2 (ko)
KR (1) KR100970825B1 (ko)
CN (1) CN100546887C (ko)
AT (1) ATE401262T1 (ko)
AU (1) AU2005229402B8 (ko)
CA (1) CA2565091C (ko)
DE (2) DE102004017171A1 (ko)
EA (1) EA009752B1 (ko)
ES (1) ES2310812T3 (ko)
HK (1) HK1098733A1 (ko)
PL (1) PL1737759T3 (ko)
WO (1) WO20050952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09Y1 (ko) * 2010-12-24 2013-11-13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부치크 거품 음료와 탄산 음료 중 적어도 하나의 수동 토출을 위한 장치의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1558B2 (en) 2006-03-06 2020-04-28 The Coca-Cola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acid and an acid degradable component and/or composition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components
NL1032890C2 (nl) * 2006-11-17 2008-05-20 Heineken Supply Chain Bv Tapinrichting voor drank, voorzien van een drukregelaar.
WO2008146237A2 (en) * 2007-05-30 2008-12-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everage carousel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tapping multiple self-emptying beverage containers
DE102007029450A1 (de) 2007-06-21 2009-01-02 Huber Packaging Group Gmbh + Co. Kg Überdrucksicherung für geschlossenen Behälter
US8162176B2 (en) 2007-09-06 2012-04-24 The Coca-Cola Company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selectable beverage
DE102007055466A1 (de) * 2007-11-13 2009-05-14 Huber Packaging Group Gmbh + Co. Kg Zapfeinrichtung
NL2001467C2 (nl) 2008-04-10 2009-10-13 Heineken Supply Chain Bv Inrichting voor houden van drank.
EP2184259A1 (en) 2008-11-05 2010-05-12 Carlsberg Breweries A/S Pressure generating device for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241531A1 (en) * 2009-04-15 2010-10-20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and system for pressuris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s
CN102803121B (zh) * 2009-04-15 2015-08-19 嘉士伯酿酒有限公司 用于加压和分配碳酸饮料的方法和系统
CH703028B1 (de) 2010-04-28 2014-05-30 Coca Cola Co Druckknopf-Dispenser für Flaschen mit karbonisierten Getränken.
CH703027B1 (de) 2010-04-28 2014-05-30 Coca Cola Co Druckknopf-Dispenser mit Druckgas-Kapsel für Getränkeflaschen.
EP2582614A1 (en) 2010-06-17 2013-04-24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for adsorbing propellent gas for a beer dispensing system
EP2444365A1 (en) 2010-10-20 2012-04-25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of filling a pressure generating device
EP2786960A1 (en) 2013-04-05 2014-10-08 Carlsberg Breweries A/S Constant flow rate throttle for a beer dispenser
EP2803631A1 (en) 2013-05-16 2014-11-19 Carlsberg Breweries A/S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a method of dispensing beverage
WO2014184314A1 (en) 2013-05-17 2014-11-20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of manufactur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gas supply
KR101790878B1 (ko) 2016-06-01 2017-10-26 김창곤 나선형 유동 경로를 갖는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휴대형 화장수 분사장치
DE102018107596A1 (de) * 2018-03-29 2019-10-02 Bw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ereiten von Trinkwasser
RU2709871C1 (ru) * 2019-06-07 2019-12-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о-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С.М. Кир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МедА) Портатив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в полевых и экстремальных условиях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3051A (en) 1956-05-11 1959-02-10 Henry F Hamburg Beverage dispenser
US3039661A (en) 1959-04-28 1962-06-19 Aircraft Armaments Inc Dispensing head for container
US3134520A (en) 1961-09-28 1964-05-26 Aircraft Armaments Inc Regulator assembly
DE1191244B (de) 1963-09-09 1965-04-15 Reynolds Metals Co Vorratsgefaess fuer unter dem Druck eines Gases stehende Getraenke
CH438991A (de) 1965-05-10 1967-06-30 Reynolds Metals Co Flüssigkeitsausgabegerät
DE1216144B (de) 1965-05-25 1966-05-05 Firestone Tire & Rubber Co Behaelter mit elastischen Waenden zur Abgabe von Fluessigkeiten unter Druck
US3347417A (en) * 1965-08-23 1967-10-17 Reynolds Metals Co Charged liquid dispenser with pocketed gas container
US3327899A (en) 1965-09-13 1967-06-27 Conax Corp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3352456A (en) * 1966-01-03 1967-11-14 Goss Gas Inc Combined pressure regulating and cartridge piercing assembly
DD110024A1 (ko) 1974-03-05 1974-12-05
US4011971A (en) 1975-12-29 1977-03-15 Edward R. Haydo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from a sealed container and for preserving undispensed portions thereof
JPS5768163A (en) * 1980-10-14 1982-04-26 Alps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aerosol spray
DE3345619A1 (de) 1983-12-16 1985-06-20 Günter 7519 Eppingen Grittmann Spundlochverschluss fuer dosen
ES2032102T3 (es) * 1988-06-29 1993-01-01 Jaico C.V. Cooperative Vennootschap Capsula de presion para un recipiente rociador.
FR2690142B1 (fr) 1992-04-17 1995-11-17 Oreal Recipient pressurise, en particulier boitier aerosol, pour la distribution sous pression d'un composant liquide ou pateux.
WO1993022222A1 (en) * 1992-04-30 1993-11-11 I.P.R.S., U.S.A. Pressure generator and dispensing apparatus utilizing same
US5398851A (en) * 1993-08-06 1995-03-21 River Medical, Inc. Liquid delivery device
GB2316451B (en) * 1996-08-15 2000-09-13 Tenax Corp Dispensing device
US5894869A (en) 1997-05-12 1999-04-20 Crosman Corporation CO2 cartridge pressurization device
US6053475A (en) * 1997-12-13 2000-04-25 Huber Verpackungen Gmbh & Co. Tap for withdrawing fluid from a container
US6109476A (en) * 1998-07-30 2000-08-29 Maytag Corporation Ice dispensing system
US5894784A (en) 1998-08-10 1999-04-20 Ingersoll-Rand Company Backup washers for diaphragms and diaphragm pump incorporating same
BR9916337A (pt) 1998-12-16 2001-09-11 Heineken Tech Services Recipiente, dispositivo de controle de pressão, método para preparar um recipiente para distribuir um fluido sob pressão substancialmente constante e usos de um recipiente e de um método
DE29822430U1 (de) 1998-12-16 1999-04-01 Schmalbach Lubeca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r Hochdruckflasche in Getränkebehältern
CA2305041A1 (en) * 2000-04-13 2001-10-13 Pierre Tardif Reusable pouring cap for a container capable of receiving potable liquids for human consumption
US6758240B2 (en) * 2001-11-16 2004-07-06 Roger J. Gregoire Bias spring structure for pressure regulators
AUPS023702A0 (en) * 2002-01-31 2002-02-21 Fraser-Easton, Gilbert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pressurised dispensing vess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09Y1 (ko) * 2010-12-24 2013-11-13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부치크 거품 음료와 탄산 음료 중 적어도 하나의 수동 토출을 위한 장치의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10812T3 (es) 2009-01-16
EA200601833A1 (ru) 2007-06-29
CN1964901A (zh) 2007-05-16
AU2005229402B2 (en) 2011-02-10
US20080099511A1 (en) 2008-05-01
CN100546887C (zh) 2009-10-07
AU2005229402B8 (en) 2011-06-09
ATE401262T1 (de) 2008-08-15
DE102004017171A1 (de) 2005-10-20
AU2005229402A1 (en) 2005-10-13
WO2005095229A8 (de) 2005-12-22
AU2005229402A8 (en) 2011-06-09
WO2005095229A1 (de) 2005-10-13
DE502005004734D1 (de) 2008-08-28
KR100970825B1 (ko) 2010-07-16
EP1737759A1 (de) 2007-01-03
US20070114249A1 (en) 2007-05-24
EA009752B1 (ru) 2008-04-28
EP1737759B1 (de) 2008-07-16
US7866510B2 (en) 2011-01-11
EP1737759B2 (de) 2014-11-05
CA2565091A1 (en) 2005-10-13
PL1737759T3 (pl) 2008-12-31
CA2565091C (en) 2011-05-17
HK1098733A1 (en) 200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825B1 (ko) 유체 정량토출용 장치
JP4558209B2 (ja) 圧力制御装置を有する流体分与容器
CA2355262C (en) Container for dispensing fluid, comprising a pressure control device with activation step
JP4804627B2 (ja) 飲料容器のバルブ組立品、飲料容器並びに飲料容器を充填し又空にする方法
US201302338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especially carbonated beverages
JPS63272695A (ja) 流体容器の圧力を除去する装置
US20130233878A1 (en) Dispensing unit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iquid under pressure
JP2022046778A (ja) 圧力レギュレータバルブ
US10668492B2 (en) Vented closure assembly for a spray container
JP3043754B2 (ja) バルブおよびこのバルブを備えた収容吐出アセンブリ
US8584909B2 (en) Dispensing tap for beverages
JPH10196825A (ja) 加圧液体の収納・供給装置のためのバルブおよび該バルブを備えた装置
US11597643B2 (en) Container for storing a liquid, pressure valve therefor and use of the container as a beer barre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 a container of this type; hollow container base, modular system for producing a hollow container base and method for filling a container
US6705592B2 (en) Closure for a container to be pressurized, as well as such a container
US20230166958A1 (en) Valve for a beverage container
JP2022539207A (ja) シーリング装置をハンド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MXPA06010004A (en) Closure for a container that holds a free-flowing product
ZA200104766B (en) Containe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 for dispensing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