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971A - 광원 모듈 및 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 모듈 및 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971A
KR20070003971A KR1020067019747A KR20067019747A KR20070003971A KR 20070003971 A KR20070003971 A KR 20070003971A KR 1020067019747 A KR1020067019747 A KR 1020067019747A KR 20067019747 A KR20067019747 A KR 20067019747A KR 20070003971 A KR20070003971 A KR 20070003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light source
source modul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807B1 (ko
Inventor
이사오 마쿠타
마사유키 시노하라
준이치 타카기
마사토 마토바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광원 모듈(22)에는, 발광 다이오드 등을 이용한 발광부품(30)을 마련하고 있다. 이 광원 모듈(22)은, 광원 모듈(22)의 광을 면형상으로 펼처서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기 위한 도광판(23)에 부착된다. 그 때문에, 광원 모듈(22)의 앞면에는, 도광판(23)의 피연결부(27)와 연결시켜서 광원 모듈(22)를 도광판(23)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광원 모듈(22)의 양단부에는, 솔더을 이용하는 일 없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39)가 마련되어 있다.
광원 모듈, 면광원 장치

Description

광원 모듈 및 면광원 장치{LIGHT SOURCE MODULE AND AREA LIGHT SOURCE}
본 발명은, 광원 모듈 및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광판과 조합시켜서 면광원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광원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면광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종래의 면광원 장치에서는, 발광부품(11)은 LED(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하고 있고, 1개 내지 복수개의 발광부품(11)이 미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2)에 솔더링으로 실장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2)은, 발광부품(11)을 도광판(13)의 단면(端面)(광 입사면)에 맞대여지도록 하여, 코킹 구조 또는 점착테이프 등으로 도광판(13)에 고정되어 있다. 얇은 상자 모양을 한 합성수지제 홀더(14) 내에는, 반사 시트(15), 도광판(13), 확산판(16), 테두리 형상을 한 림 시트(17)가 겹처저서 수납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2)은, 도광판(13)과 홀더(14)의 언저리(緣)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이 면광원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하여 백라이트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면광원 장치의 부품중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용도나 조립되는 제품마다 다양한 형상과 치수의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제품의 컴팩트화를 위해서는, 가능한 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끌고 다니 는 거리를 단축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가능한 한 다른 부품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배선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면광원 장치이 조립되는 각 제품마다 끌고 다니는 거리나 형상이 다양하다.
따라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발광부품이 솔더링된 종래의 면광원 장치에서는, 다종다양한 플렉시블 기판에 대응하여 면광원 장치의 종류도 다종다양하게 되지 않을 수가 없고, 이와 같은 유저의 요구에 응하도록 하면, 다종다양한 면광원 장치를 제품화하여 재고로 하여 둘던지, 수주 생산 방식을 취하든지 할 필요가 있다. 전자와 같이 다종다양한 면광원 장치를 준비하여 두는 방법에서는, 그 제조 라인의 규모, 재고 스페이스, 재고 리스크 등의 증대를 때문에 생산 원가가 높게 든다. 또한, 다종다양한 면광원 장치를 라인업 하고 있어도, 반드시 유저가 필요로 하는 제품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와 같이 수주 생산 방식을 취하는 경우에는, 유저측에서 보면, 발주로부터 납품까지의 제작 리드 타임이 길어저서, 제품화가 지연된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신제품의 설계가 완료되고 나서, 실제로 신제품이 조립되기까지의 흐름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휴대전화 등의 신제품의 설계가 완료된 경우, 휴대전화의 메이커(이하, 유저라고 한다)에서는, 그 제품에 응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형상이나 도광판의 사이즈, 출사면 휘도 등을 설계하고, 그것을 요구 사양으로 하여 면광원 장치 메이커에게 면광원 장치를 발주한다. 면광원 장치 메이커에서는, 그 요구 사양과 자사제의 발광부품이나 도광판의 구조를 고려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상세 설계를 행하여 유저에게 승인을 구 한다. 유저로부터 인정이 내려오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제조 부문 또는 제조 메이커에게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발주한다. 그리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의 부품이 납품되면, 이들을 조립하여 면광원 장치를 제작하고, 검사한 후에 유저에게 납품한다. 유저에서는, 그 면광원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등을 조립한다.
여기서, 면광원 장치가 주문되고 나서 실제로 납품되기 까지의 기간은, 다른 휴대전화용 부품의 납품 기간에 비하여 길다. 이것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주문으로부터 납품까지의 기간이 길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납품까지의 기간이 긴데다가, 면광원 장치 메이커와 유저 사이에서 면광원 장치의 상세 사양의 결정까지 시간이 걸리면, 점점더 면광원 장치가 납품되기 까지의 기간이 길어지고, 유저에 있어서의 제품의 출하시기가 늦어진다. 특히, 면광원 장치와 같은 주변부품의 설계는, 휴대전화 등의 설계 작업의 최종 단계에서 행하여지는 일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점점더 다른 부품에 비하여 면광원 장치의 부품 조달이 늦어진다.
또한, 면광원 장치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설계 변경이나 사양 변경이 있는 경우도, 휴대전화 등의 메이커에서는, 그때마다 면광원 장치의 메이커를 통하여 설계 변경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소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LED를 실장한 면광원 장치에 관한 문헌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 알려져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에 LED를 실장한 다른 구조의 면광원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 특원2003-204570
특허 문헌 2 : 특개2003-21554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광원 모듈에 배선 기판 접속용의 커넥터를 마련함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모듈은, 광을 방출하여 도광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원 모듈로서, 배선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상기 발광소자를 도통시키기 위한 도전성 베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모듈은, 발광소자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의 배선부재를 분리시키고,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원 모듈에는, 커넥터에 의해 배선부재를 나중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용도에 의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배선부재를 분리함에 의해, 광원 모듈의 품종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 모듈의 재고량이 적어도 되고, 재고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재고 리스크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면광원 장치의 유저에 있어서는, 배선부재를 자기(自己) 조달하여 광원 모듈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의 입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신제품의 개발의 경우에는, 신제품의 출하시기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원 모듈의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부품 내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품이 상기 도전성 베이스에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양태에서는, 시판의 발광부품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모듈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상기 발광부품을 상기 도전성 베이스에 마련된 발광부품 실장부의 위에 실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품 실장부의 발광부품 재치면를 오목하게 마련함에 의해, 광원 모듈의 높이(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품과 상기 도전성 베이스를 접속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품의 측면에서 접속하면, 도전성 베이스나 솔더 등의 위에 발광부품이 겹쳐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어서, 광원 모듈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품은,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내에 인서트 성형하여도 좋다. 발광부품을 인서트함에 의해 광원 모듈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발광소자를 상기 도전성 베이스상에 실장하고,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내에 인서트 성형하고 있다. 이 실시 양태에 의하면, LED 등의 발광소자를 직접 도전성 베이스상에 실장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 모듈의 조립공수가 적어지고, 또한, 광원 모듈의 소형화,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때 상기 발광소자가 투명 수지부 내에 밀봉 성형되고 나서, 하우징 내에 인서트 성형하면, 발광소자의 광을 용이하게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배선부재를 해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배선부재를 커넥터에 접속한 후라도, 재차 배선부재를 커넥터로부터 떼어낼 수 있어서, 광원 모듈이나 면광원 장치의 수리나 재이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발광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발광부품 수납부를 마련하고, 발광부품의 앞면의 일부를 맞닿게 함에 의해 발광부품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면을 상기 발광부품 수납부 내에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발광부품을 위치 결정면에 맞닿게 함에 의해, 발광부품을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면광원 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광원 모듈과, 광원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광 입사면으로부터 도입하고, 그 광을 면형상으로 펼처서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도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는, 발광소자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의 배선부재를 분리시키고,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원 모듈에는, 커넥터에 의해 배선부재를 나중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용도에 의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배선부재를 분리함에 의해, 면광원 장치의 품종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면광원 장치의 재고량이 적어도 되고, 재고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재고 리스크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면광원 장치의 유저에 있어서는, 배선부재를 자기 조달하여 광원 모듈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의 입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신제품의 개발의 경우에는, 신제품의 출하시기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광원 모듈에 연결부를 마련하고, 상기 도광판에 상기 연결부와 결합하는 피연결부를 마련하고, 연결부와 피연결부를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도광판에 상기 광원 모듈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도광판과 광원 모듈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과 광원 모듈의 위치 결정도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도광판을 서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정밀도 좋게 광원 모듈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가 있다.
특히, 도광판과 광원 모듈의 위치 결정 후에 있어서, 광원 모듈의 광 방출면과 도광판의 광 입사면과의 거리가, 0.05㎜ 이하가 되도록 하면, 면광원 장치의 중앙 휘도의 저하를 적게 할 수 있고, 휘도 얼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또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판은, 내부를 도광하는 광을 반사시킴에 의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기 위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패턴은 어떤 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을 이용하면, 발광소자가 좁은 영역에 국재(局在)한 이른바 점광원의 경우에도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상 설명하는 구성 요소는, 가능한 한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면광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면광원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면광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광원 모듈의 정면측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광원 모듈의 배면측에서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광원 모듈에 사용되고 있는 콘택트의 사시도.
도 8(a)는 도 7에 도시한 콘택트의 평면도, 도 8(b)는 그 정면도.
도 9는, 발광부품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광원 모듈에 있어서, 하우징에 실장된 발광부품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a)는 도 10의 X-X선 단면도, 도 11(b)는 도 10의 Y-Y선 단면도.
도 12는 도광판에 부착된 광원 모듈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한 평면도.
도 13 은 광 입사부와 발광부품의 이간 거리(d)를 변화시킨 때의, 도광판의 광출사면에서의 휘도 얼룩의 크기와, 광출사면의 중앙의 상대 휘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커넥터 손잡이를 일으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a)는 커넥터 손잡이를 일으켜서 클립 사이를 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5(b)는 클립 사이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5(c)는 커넥터 손잡이를 비스듬하게 쓰러뜨려서 클립 사이를 닫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5(d)는 커넥터 손잡이를 수평으로 쓰러뜨려서 클립 사이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6(a) 내지 (d)는, 광원 모듈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7은 광원 모듈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8은 35㎛ 두께의 구리박을 붙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전류를 흘린 때와 100㎛ 두께의 구리박에 전류를 흘린 때의, 통전 전류와 온도 상승(△T)과의 관계를 계측한 결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종래의 면광원 장치와 액정 표시 패널을 조합시킨 때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와 액정 표시 패널을 조합시킬 때에 이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평면도, 도 20(b)는 면광원 장치와 액정 표시 패널의 개략 측면도.
도 21은 도 5의 광원 모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광원 모듈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25(a), (b)는 도 23의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도광판의 광 입사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5(c), (d)는 광원 모듈의 배면도 및 평면도.
도 26(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원 모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6(b)는 해당 광원 모듈의 개략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원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 략도.
(부호의 설명)
21 : 면광원 장치
22 : 광원 모듈
23 : 도광판
27 : 피연결부
28 : 광 입사부
30 : 발광부품
31 : 압당부
32 : 연결부
34 : 콘택트
34A, 34B : 콘택트 파츠
35 : 하우징
36 : 커넥터 손잡이
37 : 제너 다이오드
38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39 : 커넥터
52 : 솔더
58 : 기판 삽입구
61A, 61B : 클립
62 : 지레
68 : 액정 표시 패널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21)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이 면광원 장치(21)는, 광원 모듈(22), 도광판(23), 림 시트(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광판(23)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굴절율이 높은 투명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23)의 하면에는 도광판(23) 내를 도광하는 광을 반사시켜서 상면(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기 위한 패턴(23A)이 형성되어 있다. 패턴은, 삼각 프리즘형상을 한 미세한 요철을 도광판(23)의 하면에 다수 마련한 것이고, 각 패턴은 광원 모듈(22)의 발광점을 거의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 모듈(22)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패턴 밀도가 작고, 광원 모듈(2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패턴 밀도가 점점 커지고 있고, 그로 인해 도광판(23)의 상면에서의 휘도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광원 모듈(22)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23)의 측면(광 입사면)으로부터 도광판(23) 내로 입사하고, 도광판(23) 내를 도광하면서 조금씩 상면로부터 출사되고, 도광판(23)의 상면으로부터는 거의 균일하게 광이 출사된다. 림 시 트(24)는,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광판(23)의 상면의 주변부, 특히 도광판(23) 하면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덮고 있다. 또한, 도광판(23)의 하면에는, 필요에 응하여 반사 시트(25)가 마련되고, 도광판(23)과 림 시트(24) 사이에는, 필요에 응하여 확산 시트(26)나 프리즘 시트 등이 마련된다.
도광판(23)의 단면(端面)에는, 기부(基部)가 가늘고 선단부에서 폭이 넓어진 한 쌍의 피연결부(27)가 마련되고, 피연결부(27) 사이에는 사다리꼴 모양을 한광 입사부(28)가 마련되어 있다. 광 입사부(28)는 그 중앙부가 광 입사면으로 되어 있고, 그 양측에 사면(斜面)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으로 보아서는, 피연결부(27)의 양측 사면의 연장선(29)(도 3 및 도 4에서 1점쇄선으로 도시한다)은, 림 시트(24)의 내주면의 코너보다도 외측에서, 도광판(23) 하면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33)(이것을 패턴 형성 영역이라고 하고, 도 4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한다)의 코너보다도 내측을 통과하고 있다. 이로써, 패턴 형성 영역(33)보다도 외측을 향하여 광 입사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피연결부(27)의 사면에서 반사시켜서 패턴 형성 영역(33)에 모아서, 광의 로스를 적게 하고 있다.
한편, 광원 모듈(22)의 앞면 중앙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끌어넣어저 있고, 그 중앙에는 발광부품(30)이 실장되어 있다. 발광부품(30)의 양측에서는, 각각 개략 사다리꼴의 압당부(押當部)(31)가 앞쪽에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압당부(31)의 단부에는, 입구가 좁고 속에서 폭이 넓어진 연결부(32)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광원 모듈(22)의 연결부(32) 내에 상방으로부터 도광판(23)의 피연결부(27)를 감입(嵌入)하여 감합(嵌合)시킴에 의해, 도 3의 과 같이 도광 판(23)과 광원 모듈(22)이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이 때 연결부(32)에 피연결부(27)를 감임하기 쉽도록, 연결부(32)의 상면측의 언저리는 모서리를 없애고 있다. 도광판(23)의 광 입사부(28)는 광원 모듈(22)의 압당부(31) 사이에 감입되어 있고, 압당부(31)의 사면은 광 입사부(28)의 사면에 압접하여 있다. 또한, 연결부(32)와 피연결부(27)를 결합시켜서 광원 모듈(22)을 도광판(23)의 측면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발광부품(30)의 앞면은 도광판(23)의 광 입사부(28)에 대향하고 있다.
도 5는 광원 모듈(22)의 정면측에서의 사시도, 도 6는 광원 모듈(22)의 배면측에서의 사시도이다. 광원 모듈(22)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콘택트(도전성 베이스)(34)와, 합성수지제의 하우징(35)과, 커넥터 손잡이(36)와, 발광부품(30) 및 제너 다이오드(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5)은 콘택트(34)에 부착되어 있고, 커넥터 손잡이(36)는 하우징(35)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발광부품(30) 및 제너 다이오드(37)는 콘택트(34)에 실장되어 있다.
우선, 콘택트(34)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은 콘택트(34)의 사시도, 도 8(a), (b)는 콘택트(34)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콘택트(34)는, 간극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제 1의 콘택트 파츠(34A)와 제 2의 콘택트 파츠(3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콘택트 파츠(34A, 34B)는, 어느것이나 금속판을 푸레스 가공하여 성형되어 있다. 양 콘택트 파츠(34A, 34B)의 양단부에는 각각 커넥터(39)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39)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잡고서 각 콘택트 파츠(34A, 34B)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있다. 콘택트(34)는, 그 좌우중 한쪽에만 커넥터(39)를 마련하고, 우측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접속하는 타입의 것과, 좌측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접속하는 타입의 것으로 나누어도 좋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에 커넥터(39)를 마련하여 둠에 의해, 품종을 적게 할 수 있다.
양 콘택트 파츠(34A, 34B)에는 각각, 발광부품(30)을 실장하기 위한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가 좌우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양 콘택트 파츠(34A, 34B)에는, 제너 다이오드(37)를 실장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 실장부(41A, 41B)가 전후로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는, 상면을 움푹 들어가게 하여 판두께를 얇게 하고 있다. 이것은, 판두께가 얇은 부분에 발광부품(30)을 실장함에 의해, 광원 모듈(22)의 높이(두께)가 작아지도록 한 것이다. 부호 42A, 42B로 나타내는 것은, 양 콘택트 파츠(34A, 34B)에 하우징(35)을 부착하기 위한 2조의 계합편(係合片)이다. 계합편(42A, 42B)은, 원터치로 하우징(35)을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나사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35)을 부착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콘택트(34)의 위에 부착된 하우징(35)의 중앙부에는, 전방 및 상하로 개구한 오목개소, 즉 발광부품 수납부(43)가 마련되어 있고, 발광부품 수납부(43) 내에 발광부품(30)을 모아서 발광부품(30)을 콘택트(34)에 실장하고 있다. 도 9는 발광부품(30)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발광부품(30)은, LED 등의 발광소자(44)(베어 칩)를 투명 수지부(45) 내에 밀봉하고, 투명 수지부(45)의 상하 좌우의 면 및 배면을 백색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부(46)로 덮어서 투명 수지부(45)의 앞면(광 방출 면)를 피복부(46)로부터 노출시킨 것이다. 또한, 피복부(46)의 좌우 양측에 는, 측면부터 하면에 걸쳐서 개략 L형태를 한 외부 단자(47)가 마련되어 있고, 양 외부 단자(47)는 발광소자(44)의 양 전극에 도통하고 있다.
도 10은 하우징(35)에 실장된 발광부품(30)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a)는 도 10의 X-X선 단면도, 도 11(b)는 도 10의 Y-Y선 단면도이다. 발광부품 수납부(43)의 양측면에는 오목부(48)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48)의 앞면이 위치 결정면(49)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8) 내의 한쪽 측면에는 볼록부(50)가 돌출 마련되고, 오목부(48) 내의 배면에는 한 쌍의 철곡부(凸曲部)(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발광부품 수납부(43) 내에 상방부터 발광부품(30)을 압입하면, 발광부품(30)의 외부 단자(47)가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의 판두께가 얇은 부분의 위에 올라타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와 외부 단자(47)의 하면 사이를 솔더(52)로 접합함에 의해, 발광부품(30)이 콘택트(34)에 접속된다. 또한, 볼록부(50)가 발광부품(30)의 한쪽 측면에 꽉 닿음에 의해, 발광부품(30)의 다른쪽 측면이 발광부품 수납부(43)의 측면에 꽉 눌려지고, 발광부품(30)의 좌우 방향의 덜컹거림이 방지됨과 함께, 발광부품 수납부(43) 내에서 발광부품(30)이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된다. 또한, 철곡부(51)가 발광부품(30)의 배면에 꽉 닿음에 의해, 외부 단자(47)의 앞면이 위치 결정면(49)에 꽉 눌려지고, 발광부품(30)의 전후 방향의 덜컹거림이 방지됨과 함께, 발광부품 수납부(43) 내에서 발광부품(30)이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 발광부품(30)의 배면에 마련된 볼록부(53)는, 철곡부(51) 사이에 감입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5)에는, 제너 다이오드(37)를 수납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 수납부(54)가 개구하고 있고, 제너 다이오드 수납부(54)로부터는 제너 다이오드 실장부(41A, 41B)가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너 다이오드 수납부(54) 내에 제너 다이오드(37)를 수납하고 제너 다이오드 실장부(41A, 41B)에 제너 다이오드(37)를 솔더링함에 의해 콘택트(34)에 제너 다이오드(37)가 실장된다.
도 12는 도광판(23)에 부착된 광원 모듈(22)를 도시하고 있다. 발광부품 수납부(43)의 양측에 마련된 압당부(31)의 앞면은, 도광판(23)의 광 입사부(28)의 사면과 같은 기울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압당부(31)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부(32)에 도광판(23)의 피연결부(27)를 압입하여 연결부(32)와 피연결부(27)를 계합시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모듈(22)이 도광판(23)에 끌어당겨저서 압당부(31)의 앞면이 광 입사부(28)의 사면에 압접된다. 이렇게 하여 압당부(31)의 앞면과 광 입사부(28)의 사면이 압접함에 의해 광원 모듈(22)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발광부품 수납부(43) 내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는 발광부품(30)의 중심이 광 입사부(28)의 앞면(광 입사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발광부품(30)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도광판(23)에 대해 광원 모듈(22)의 회전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광원 모듈(22)를 부착함에 의해 광원 모듈(22)은 도광판(23)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도 위치 결정된다. 발광부품(30)는, 외부 단자(47)의 앞면이 위치 결정면(49)에 꽉 눌리여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하는 광 입사부(28)의 앞면과 발광부품(30)의 앞면과의 거리(d)도 소정 거리로 유지된다.
도 13은, 광 입사부(28) 앞면과 발광부품(30) 앞면과의 거리(d)(이간 거리라고 한다)를 변화시킨 때의, 도광판(23)의 광출사면에서의 휘도 얼룩(휘도의 편차)의 크기와, 광출사면의 중앙의 상대 휘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이간 거리(d)가 커지면, 도광판(23)의 광출사면에서의 중앙의 상대 휘도가 저하되고, 휘도 얼룩은 커진다. 특히, 도 13에 의하면, 이간 거리(d)가 0.05㎜보다 커지면 급격하게 중앙 상대 휘도의 저하와 휘도 얼룩이 커진다. 따라서, 이간 거리(d)는 0.05㎜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광 입사부(28)의 앞면과 발광부품(30)의 앞면이 접촉하면, 간섭 줄무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광 입사부(28)의 앞면과 발광부품(30)의 앞면을 접촉시키는 일 없이, 그 이간 거리(d)를 0.0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당부(31)의 측단면에는, 계합 볼록부(55)가 돌출하고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23)에서는, 피연결부(27)의 외측에 각각 돌출부(56)가 마련되어 있고, 돌출부(56)의 내측면에 오목부(57)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의 원내(圓內)에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계합 볼록부(55)가 오목부(57)의 앞면에 맞닿음에 의해, 압당부(31)의 단부가 도광판(23)측으로 끌어당겨저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5)의 양단부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삽입하여 커넥터(39)에 접속하기 위한 기판 삽입구(58)가 개구되어 있다. 커넥터(39)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립(61A, 61B)과 지레(62)를 갖고 있다. 한쪽의 클립(61A)은, 지지부(63)를 통하여 콘택트 파츠(34A, 34B)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쪽의 클립(61B)은, 지점부(64)에 의해 기부가 지지되어 있고, 클립(61B)의 기부로부터 지레(62)가 연장되어 나와 있다. 그렇게 하여, 지레(62)에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클립(61A, 62B) 사이의 간극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의 두께보다도 커져 있고, 지레(62)를 위로 밀어올리면 클립(61B)의 끝이 아래로 내려가 클립(61A, 31B) 사이가 좁아지게 되어 있다(도 15 참조).
커넥터(39)는 커넥터 손잡이(36)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손잡이(36)는 하우징(35)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으킬 수 있다. 커넥터 손잡이(36)를 일으킨 상태에서는, 커넥터(39)의 클립(61A, 61B) 사이가 열리고, 커넥터 손잡이(36)를 쓰러뜨린 상태에서는, 클립(61A, 61B) 사이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도 15(a), (b), (c), (d)는 이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커넥터 손잡이(36)는, 커넥터(39)의 지지부(63) 상면에 마련된 반원형상의 홈부(66)에 의해 축부(6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넥터 손잡이(36)의 기부는, 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만곡 또는 굴곡한 작용부(67)로 되어 있고, 작용부(67)의 선단은 지레(62)의 하면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축부(65)는, 작용부(67)의 외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손잡이(36)를 일으킨 상태에서는, 작용부(67)는 지레(62)로부터 떨어저 있기 때문에, 클립(61A, 61B) 사이는 열려 있다. 이 때,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삽입구(58)로부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이 삽입되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은 클립(61A, 61B) 사이로 깊숙이 파고들어간다.
계속해서, 커넥터 손잡이(36)를 쓰러뜨리면,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손잡이(36)는 축부(65)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작용부(67)의 선단이 지레(62)의 하면에 닿는다. 또한 커넥터 손잡이(36)를 수평이 될 때 까지 압하하면, 작용부(67)에 의해 지레(62)가 압상되고, 그것에 의해 클립(61B)의 선단은 지점부(64)를 지점으로 하여 내려간다. 그 결과,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61A, 61B) 사이가 닫히고 클립(61A, 61B) 사이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가 파지됨과 함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의 배선(59)과 각 콘택트 파츠(34A, 34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도광판(23)에 부착된 광원 모듈(22)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가 접속됨에 의해 면광원 장치(21)가 완성된다. 또한, 도 5 또는 도 6에 도시하는 60은, 공구를 삽입하여 계합편(42A, 42B)을 하우징(35)으로부터 꺼내기 위한 구멍이다.
다음에, 도 16(a) 내지 (d)에 의해 상기 광원 모듈(22)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35)에 커넥터 손잡이(36)를 부착한(도 16(a)) 후, 하우징(35)의 하면에 콘택트(34)(콘택트 파츠(34A, 34B))를 부착한다(도 16(b)). 계속해서, 콘택트(34)의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와 제너 다이오드 실장부(41A, 41B)의 위에 솔더(52)를 도포하고(도 16(c)), 발광부품 수납부(43) 내에 발광부품(30)을 갑입하고,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의 위에 발광부품(30)을 겹친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 수납부(54) 내에 제너 다이오드(37)를 수납하고 제너 다이오드 실장부(41A, 41B)의 위에 제너 다이오드(37)를 겹친다. 이 후, 광원 모듈(22)을 리플로우 로(爐)에 넣어서 솔더(52)를 리플로우시켜서, 발광부품(30) 및 제너 다이오드(37)를 콘택트(34)에 실장한다(도 16(d)).
도 17은 이와 같이 하여 완성된 광원 모듈(22)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광부품(30) 및 제너 다이오드(37)는, 콘택트 파츠(34A, 34B)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콘택트 파츠(34A, 34B)로부터는 각각 2개의 커넥터(39)가 인출되어 있고 우측의 커넥터 쌍과 좌측의 커넥터 쌍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은, 우측에 위치하는 커넥터(39)에 접속할 수도 있고, 좌측에 위치하는 커넥터(39)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품(30)에는, 병렬로 제너 다이오드(37)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39)로부터 과전류나 서지 전류 등이 유입된 경우에는, 제너 다이오드(37)에 과전류 등이 흘러서, 발광부품(30)이 보호된다.
또한, 이 광원 모듈(22)에서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콘택트(34)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위에 발광부품을 실장한 종래예에 비하여 방열성이 양호하게 된다. 도 18은, 35㎛ 두께의 구리박을 붙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전류를 흘린 때와, 100㎛ 두께의 구리박에 전류를 흘린 때의, 통전 전류와 온도 상승(△T)의 관계를 계측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보다도 두께가 큰 구리박의 쪽이 방열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콘택트(34)를 이용함에 의해 방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광원 모듈(2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면광원 장치(21)에서는, 발광부품(30)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분리하고, 광원 모듈(22)에 마련한 커넥터(39)에 의해 발광부품(30)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있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에 요구되는 사양에 응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광원 모듈(22)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만을 다종류 제조하던지, 수주 생산으로 할 뿐이면 좋고, 광원 모듈(22), 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제외한 면광원 장치(21)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고, 광원 모듈(22)이나 면광원 장치(21)의 품종이나 재고 개수를 줄이고, 광원 모듈(22) 등의 재고 리스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면광원 장치(21)의 유저에 있어서는, 이 광원 모듈(22)를 이용함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 등을 이용한 신제품의 개발부터 제품 출하까지의 리드 타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유저에게서 휴대전화 등의 신제품의 설계를 행하는 경우에는, 면광원 장치 메이커로부터 공표되어 있는 광원 모듈(22)의 데이터(특히 커넥터(39)의 접속을 위한 사양)를 고려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의 형상을 설계한다. 그리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내부에서 만들던지, 직접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의 메이커에 발주하고, 또한, 면광원 장치 메이커에는, 도광판(23)의 사이즈 등을 지정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제외한 면광원 장치(21)를 발주한다. 이로써, 면광원 장치 메이커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상세 설계하여 제작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납기를 극히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게 있어서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의 상세를 결정하기 위해 면광원 장치 메이커와 사전 협의를 행하는 필요가 없어저서, 신속하게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발주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측에서 광원 모듈(22)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접속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고 하여도, 신제품의 출하까지의 리드 타임은 단축 가능해진다.
또한, 발광부품(30)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분리하고, 나중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만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용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면광원 장치용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일체화할 수 있다.
종래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용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액정 표시 패널의 메이커에서 제작하고, 면광원 장치용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면광원 장치의 메이커에서 제작하고 있었기 때문에,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68)에 연결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9)과 면광원 장치의 발광부품(11)에 연결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2)을 제각기 제작하여야 하였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용의 제어 회로(70)와 면광원 장치용의 제어 회로(71)도 제각기 제작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광원 모듈(2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면광원 장치(21)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유저측에서 조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68)에 연결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9)과 면광원 장치(21)에 연결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을 1장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2)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용의 제어 회로(70)와 면광원 장치용의 제어 회로(71)도 1장의 기판(73)상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원 모듈(22)에는 1개의 발광부품(30)이 실장되어 있지만, 광원 모듈(22)에 복수개의 발광부품(30)을 실장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1은 3개의 발광부품(3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실장한 광원 모듈(22)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도 21의 광원 모듈(22)의 회로도이고, 복수개의 발광부품(30)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지만,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예 2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면광원 장치(21)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25(a), (b)는 도광판(23)의 광 입사부(28)의 부근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 면 도, 도 25(c), (d)는 광원 모듈(22)의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면광원 장치(21)는, 도광판(23)의 코너 부근에 광원 모듈(22)를 배치하고, 발광부품(30)으로부터 도광판(23)의 대각 방향을 향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25(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을 한 광 입사부(28)는, 도광판(23)의 코너 부근에 마련되어 있고, 광 입사부(28)에 인접하여 그 한쪽에 피연결부(27)가 돌출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광 입사부(28)의 다른쪽에는 연결용 구멍(74)을 천공하고 있고, 연결용 구멍(74)이 천공되어 있는 부분의 이면측을 노치하여 판두께를 얇게 하고 있다.
한편, 광원 모듈(22)은, 도 25(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연결부(27)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발광부품(30)이 수납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앞면이 경사한 압당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도광판(23)의 연결용 구멍(74)과 대향하는 위 치에서 하우징(35)의 단부 상면이 노치되어 판두께가 얇게 되어 있고, 그 상면에 연결용 축(75)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23)의 피연결부(27)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하우징(35)에는 연결부(32)가 마련되어 있고, 연결부(32)가 마련되어 있는 측에만 커넥터(39)나 커넥터 손잡이(36), 기판 삽입구(58) 등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하여, 광원 모듈(22)의 연결용 축(75)을 도광판(23)의 연결용 구멍(74)에 하방으로부터 삽입함과 함께, 도광판(23)의 피연결부(27)를 광원 모듈(22)의 연결부(32)에 상방에서 감입하여,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23)의 코너 부분에 광원 모듈(22)를 고정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8)은, 기판 삽입구(58)로부터 광원 모듈(22) 내로 삽입되어 커넥터(39)에 결합된다.
실시예 3
도 26(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원 모듈(2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6(b)는 해당 광원 모듈(22)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광원 모듈(22) 내에 발광부품(30)을 인서트 성형한 것이다.
콘택트 파츠(34A)의 한쪽 단부에는 커넥터(39)가 마련되고, 다른쪽 단부에는 발광부품 실장부(40A)가 수직으로 세워저 있고, 발광부품 실장부(40A)의 선단에는 접점(76)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콘택트 파츠(34B)의 한쪽 단부에는 커넥터(39)가 마련되고, 다른쪽 단부에는 발광부품 실장부(40B)가 수직으로 세워저 있고, 발광부품 실장부(40B)의 선단에는 접점(76)가 마련되어 있다. 콘택트 파츠(34A)의 커넥터(39)와 콘택트 파츠(34B)의 커넥터(39)는 기판 삽입구(58) 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콘택트 파츠(34A)의 발광부품 실장부(40A)와 콘택트 파츠(34B)의 발광부품 실장부(40B)는 발광부품(30)의 폭보다도 약간 작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시켜저 있다. 발광부품(30)은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 사이에 압입되어 있고, 발광부품 실장부(40A)의 접점(76)은 발광부품(30)의 한쪽의 외부 단자(47)에 압접하고, 발광부품 실장부(40B)의 접점(76)은 발광부품(30)의 다른쪽의 외부 단자(47)에 압접하고 있다.
여기서, 발광부품(30)은, 제 1의 실시예와 같이 콘택트(34)의 위로는 올라타고 있지 않고, 발광부품 실장부(40A 및 40B) 사이에 감입되어 있고, 발광부품(30)의 하면과 콘택트 파츠(34A, 34B)의 하면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발광부품(30) 및 콘택트 파츠(34A, 34B)는,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하우징 성형용의 금형 내에 세트되고, 하우징(35)의 수지 내로 인서트된다. 하우징(35)의 높이는 발광부품(30)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성형되어 있고, 발광부품(30)의 상면 및 하면은 하우징(35)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종래예에서는, 광원 모듈의 높이는,
발광부품(11)의 높이 + 솔더의 두께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2)의 두께로 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에 의하면,
광원 모듈(22)의 높이 = 발광부품(30)의 높이
가 되고, 광원 모듈(22)를 박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부품의 높이를 0.6 내지 1.0㎜, 솔더의 두께를 0.05㎜,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두께를 0.1 내지 0.15㎜로 하면, 본 실시예의 광원 모듈(22)에서는, 그 높이를 약 15% 삭감할 수 있 다.
이 실시예에서는,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는 그 접점 구조에 의해 외부 단자(47)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외부 단자(47)와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을뿐이지만, 하우징(35)에 인서트 성형함에 의해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와 발광부품(30) 사이에도 수지가 돌아 들어가기 때문에 외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와 외부 단자(47)와의 전기적인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는 작다.
또한, 도 26(a), (b)에서, 광원 모듈(22)을 도광판(23)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부(32)나 피연결부(27) 등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39)는 한쪽밖에 마련하고 있지 않지만, 양쪽에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4
도 27은 콘택트(34)에 직접 발광소자(44)를 실장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콘택트 파츠(34A, 34B)의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를 어느것이나 수직으로 세우고 있다. 그리고, 한쪽의 발광부품 실장부(40A)의 앞면에 면발광형의 LED 등의 발광소자(44)(베어 칩)를 다이본드하고, 발광소자(44)와 발광부품 실장부(40B) 사이를 본딩 와이어(77)에 의해 접속하고 있다. 발광소자(44)는, 발광부품 실장부(40A, 40B)나 본딩 와이어(77)와 함께 투명 수지부(45) 내에 밀봉되고, 발광부품(30)이 콘택트(34)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또한, 투명 수지부(45)의 앞면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콘택트(34)의 위에 불투명한 수지에 의해 하우징(35)을 일체 성형하고, 광원 모듈(22)이 제작된다.
본 발명은, 광원 모듈 및 면광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광판과 조합시켜서 면광원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광원 모듈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Claims (14)

  1. 광을 방출하여 도광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원 모듈로서,
    배선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상기 발광소자를 도통시키기 위한 도전성 베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부품 내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품을 상기 도전성 베이스에 실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품은 상기 도전성 베이스에 마련된 발광부품 실장부의 위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품 실장부의 발광부품 재치면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품과 상기 도전성 베이스는, 상기 발광부품의 측면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품을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내에 인서트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도전성 베이스상에 실장되고,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내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투명 수지부 내에 밀봉 성형되고 나서, 하우징 내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배선부재를 해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발광부품 수납부를 마련하고, 발광부품의 앞면의 일부를 맞닿게 함에 의해 발광부품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면을 상기 발광부품 수납부 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10. 제 1항에 기재된 광원 모듈과,
    광원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광 입사면으로부터 도입하고, 그 광을 면형상으로 펼처서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도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에 연결부를 마련하고, 상기 도광판에 상기 연결부와 결합하는 피연결부를 마련하고, 연결부와 피연결부를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도광판에 상기 광원 모듈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도광판을 서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 고정된 광원 모듈의 광 방출면과, 상기 도광판의 광 입사면과의 거리가 0.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내부를 도광하는 광을 반사시킴에 의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기 위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패턴은 어떤 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KR1020067019747A 2004-04-26 2005-04-20 광원 모듈 및 면광원 장치 KR100823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29377 2004-04-26
JP2004129377A JP4465596B2 (ja) 2004-04-26 2004-04-26 光源モジュール及び面光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971A true KR20070003971A (ko) 2007-01-05
KR100823807B1 KR100823807B1 (ko) 2008-04-21

Family

ID=3519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747A KR100823807B1 (ko) 2004-04-26 2005-04-20 광원 모듈 및 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17219A1 (ko)
EP (1) EP1744098A4 (ko)
JP (1) JP4465596B2 (ko)
KR (1) KR100823807B1 (ko)
CN (1) CN100498050C (ko)
TW (1) TWI278702B (ko)
WO (1) WO20051035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6951B2 (en) 2007-07-06 2011-06-07 Lg Display Co., Ltd. Flat light source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1443377B1 (ko) * 2007-10-29 2014-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6893B (en) * 2005-06-22 2007-03-21 Au Optronics Corp A backlight unit
KR101309470B1 (ko) * 2006-12-29 2013-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9216753A (ja) * 2008-03-07 2009-09-2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WO2009118960A1 (ja) * 2008-03-25 2011-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072875B2 (ja) * 2009-02-04 2012-11-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TWI382248B (zh) * 2009-02-17 2013-01-11 Wintek Corp A backlight module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positioning structure
CN102460009B (zh) * 2009-06-02 2014-07-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分隔空间的设备和系统
FI20096108A (fi) * 2009-10-28 2011-04-29 Perlos Oyj Järjestely
US8786803B2 (en) * 2010-05-13 2014-07-22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794811B2 (en) * 2011-03-16 2014-08-05 GE Lighting Solutions, LLC Edge-illuminated flat panel and light module for same
DE102012101411B4 (de) * 2012-02-22 2016-02-18 R.Stahl Schaltgeräte GmbH Explosionsgeschützte Leuchte mit eingegossener Optik
CN202708988U (zh) * 2012-07-03 2013-01-30 深圳安嵘光电产品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照明灯具
JP6827635B2 (ja) * 2016-12-09 2021-02-1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7862A (en) * 1996-11-25 1998-03-17 Taiwan Liton Electronic Co., Ltd. LED back light assembly
JP3900661B2 (ja) * 1998-03-13 2007-04-04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KR100421688B1 (ko) * 1999-11-11 2004-03-10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풀컬러 광원 유니트
JP3604622B2 (ja) 2000-09-14 2004-12-22 光造 谷畑 棒状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151331B2 (ja) * 2002-07-23 200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6951B2 (en) 2007-07-06 2011-06-07 Lg Display Co., Ltd. Flat light source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1123541B1 (ko) * 2007-07-06 2012-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면 광원 유닛 및 그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443377B1 (ko) * 2007-10-29 2014-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65596B2 (ja) 2010-05-19
TWI278702B (en) 2007-04-11
CN100498050C (zh) 2009-06-10
EP1744098A1 (en) 2007-01-17
KR100823807B1 (ko) 2008-04-21
US20070217219A1 (en) 2007-09-20
JP2005310696A (ja) 2005-11-04
WO2005103561A1 (ja) 2005-11-03
CN1946966A (zh) 2007-04-11
TW200615656A (en) 2006-05-16
EP1744098A4 (en)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807B1 (ko) 광원 모듈 및 면광원 장치
US7607805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JP4599470B2 (ja) 基板保持具、電子装置及び表示装置
US7891858B2 (en) Display
JP3699414B2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の接続構造
EP3450821B1 (en) Back panel,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for backlight unit
JP2009048996A (ja) ランプソケットと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の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ランプ接続端子の製造方法
KR101419459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듈 및 모듈에 포함되는 커넥터
CN104421771A (zh) 发光二极管组件以及包括该组件的液晶显示装置
EP2343581A1 (en) Backlight unit
JP2005121837A (ja) 表示装置
US8591091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090175053A1 (en) Connector, light source module having the connector, and planar light source device
JP4618160B2 (ja) 表示装置
KR20060136043A (ko) 표시 장치
JP6570297B2 (ja) 照明モジュール
JP3110374B2 (ja) Elランプの取付構造
KR20100008184A (ko) 램프 소켓,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램프 조립방법
JP200513455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WO2015194648A1 (ja) シャーシ、バックライトシャーシ、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2005250269A (ja)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
JP3724020B2 (ja) フレーム・グラウンド接続構造
JPH1130775A (ja) バックライト式液晶表示装置の構造
JP2006229096A (ja) 光通信モジュール
KR100764359B1 (ko) 직하 백라이트 장치용 반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