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773A -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773A
KR20070000773A KR1020050056380A KR20050056380A KR20070000773A KR 20070000773 A KR20070000773 A KR 20070000773A KR 1020050056380 A KR1020050056380 A KR 1020050056380A KR 20050056380 A KR20050056380 A KR 20050056380A KR 20070000773 A KR20070000773 A KR 2007000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exclusive
internal
internal clock
di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5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773A/ko
Publication of KR2007000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5Clock input buff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클럭의 주파수 변화에 관계 없이 내부 회로에서 항상 동일한 위상이 먼저 시작되도록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클럭 - 클럭 버퍼의 출력 신호로서 외부 클럭을 분주한 클럭 신호임 - 을 2분주하기 위한 제1 클럭분주수단; 상기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클럭의 반전 신호를 2분주하기 위한 제2 클럭분주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럭분주수단의 출력 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하기 위한 배타적 논리합 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가 제공된다.
내부 클럭, 분주, 2배수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내부 제어신호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INTERNAL CLOCK GENERATOR IN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클럭 생성 원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클럭 발생기의 회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내부 클럭 발생기의 시뮬레이션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5: 2배수기
XOR: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INV: 인버터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대부분의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의 경우, 외부 클럭과 내부 클럭의 주파수가 동일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외부 클럭의 주파수가 고속화되면서 내부 클럭이 더 이상 외부 클럭과 같은 주파수를 유지하는 것이 힘들어졌다. 즉, 메모리 소자가 시스템 클럭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외부 클럭을 n분주(주로 2분주)하여 내부 클럭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처럼 분주된 클럭을 내부 클럭으로 사용하게 되면 내부 클럭의 주기가 외부 클럭에 비해 n배만큼 커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 클럭의 주파수가 변화하게 되면 내부 클럭을 사용하는 임의의 내부 회로에서의 내부 클럭의 위상이 바뀔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칩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 클럭의 주파수 변화에 관계 없이 내부 회로에서 항상 동일한 위상이 먼저 시작되도록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제 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클럭 - 클럭 버퍼의 출력 신호로서 외부 클럭을 분주한 클럭 신호임 - 을 2분주하기 위한 제1 클럭분주수단; 상기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클럭의 반전 신호를 2분주하기 위한 제2 클럭분주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럭분주수단의 출력 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하기 위한 배타적 논리합 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2분주기(2배수기)와 배타적 논리합 로직을 이용하여 항상 클럭의 시작이 동일한 위상에서 시작되는 내부 클럭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내부 클럭 발생기는 내부 클럭이 사용되는 각 단위 회로 블럭마다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클럭 생성 원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내부 클럭 A 및 내부 클럭 B는 외부 클럭(CLK)을 2분주한 클럭 버퍼의 출력 클럭으로서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제어신호가 논리레벨 하이로 활성화되면 논리레벨 하이부터 토클링을 시작하는 내부 클럭(원하는 신호)을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클럭 발생기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 클럭 발생기는,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클럭 - 클럭 버퍼의 출력 신호로서 외부 클럭을 2분주한 클럭 신호임 - 을 2분주하기 위한 2배수기(20)와,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버터(INV)를 통해 반전된 내부 클럭 - 클럭 버퍼의 출력 신호로서 외부 클럭을 2분주한 클럭 신호임 - 을 2분주하기 위한 2배수기(25)와, 두 2배수기(20, 25)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원하는 클럭을 출력하는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를 구비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내부 클럭 발생기의 시뮬레이션 파형도로서, 이하 이를 참조하여 상기 도 2의 내부 클럭 발생기의 동작을 살펴본다.
우선, 내부 클럭(CLK X2)은 외부 클럭에 비해 2배의 주기를 갖는 클럭이며, 이 클럭과 그의 반전 클럭이 각각 2배수기(20, 25)에 입력된다.
내부 제어신호(control)가 논리레벨 로우로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두 2배수기(20, 25)가 디스에이블 되어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로부터 출력되는 클럭(wanted CLK)은 토글링을 하지 않고, 내부 제어신호(control)가 논리레벨 하이로 활성화되면 두 2배수기(20, 25)가 인에이블 되어 비로소 두 2배수기(20, 25)로부터 내부 클럭(CLK X2)에 비해 2배의 주기를 갖는 신호(XOR input1)와 그의 반전 신호(XOR input2)가 생성되며, 이에 따라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에서 두 신호(XOR input1, XOR input2)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내부 제어신호(control)의 활성화 시점 이후에 항상 논리레벨 하이부터 토글링하는 클럭(wanted CLK)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 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내부 클럭으로 외부 클럭을 2분주한 클럭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내부 클럭이 외부 클럭에 비해 몇 배의 주기를 가지는가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 아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내부 제어신호의 활성화 시점 이후에 항상 논리레벨 하이부터 토글링하는 클럭을 생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는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내부 회로들이 라이징 에지에서 트리거 됨을 고려한 것으로, 논리레벨 로우부터 토글링하는 클럭을 생성하는 경우도 성립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일 실시예의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후단에 인버터를 추가하거나 배타적 부정 논리합 게이트를 사용하면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고속 동작 시스템에서 메모리 소자의 안정적인 내부 동작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클럭 - 클럭 버퍼의 출력 신호로서 외부 클럭을 분주한 클럭 신호임 - 을 2분주하기 위한 제1 클럭분주수단;
    상기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클럭의 반전 신호를 2분주하기 위한 제2 클럭분주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럭분주수단의 출력 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하기 위한 배타적 논리합 수단
    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타적 논리합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클럭분주수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타적 논리합 수단은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타적 논리합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클럭분주수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배타적 부정 논리합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5. 제1항의 내부 클럭 발생기가 각 단위 회로 블럭마다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20050056380A 2005-06-28 2005-06-28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KR20070000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380A KR20070000773A (ko) 2005-06-28 2005-06-28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380A KR20070000773A (ko) 2005-06-28 2005-06-28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73A true KR20070000773A (ko) 2007-01-03

Family

ID=3786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380A KR20070000773A (ko) 2005-06-28 2005-06-28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7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655B1 (ko) 반도체 기억 소자의 동작 제한 필터 및 그 방법
KR100301056B1 (ko) 싱크로너스 데이터 샘플링 회로
KR100744042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US9203415B2 (en) Modulated clock synchronizer
JP2015192158A (ja) 半導体装置
JP6220642B2 (ja) 乱数生成モードを備える記憶回路
US9264023B2 (en) Scannable flop with a single storage element
KR102553855B1 (ko) 시프트레지스터
KR20160076214A (ko) 반도체 장치
US8854093B2 (en) Multi-phase clock generation circuit
KR20080108859A (ko) 내부 클럭 드라이버 회로
US7135935B2 (en) Hyper-ring oscillator
KR101595287B1 (ko) 클럭 분주 회로
KR20070000773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KR100980413B1 (ko) 클럭 버퍼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4416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lock signals
KR100732766B1 (ko)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
KR101068628B1 (ko) 클럭 발생 회로
KR100853465B1 (ko) 내부리드신호 생성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6642756B1 (en) Frequency multiplier design
JP2011250057A (ja) 分周回路、分周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9016321A (ja) 乱数生成回路
KR100991997B1 (ko) 내부클락 발생 장치
JP4363998B2 (ja) クロック変換装置及びクロック発生装置
KR20060077112A (ko) 주파수 더블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