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395A -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395A
KR20060135395A KR1020050055312A KR20050055312A KR20060135395A KR 20060135395 A KR20060135395 A KR 20060135395A KR 1020050055312 A KR1020050055312 A KR 1020050055312A KR 20050055312 A KR20050055312 A KR 20050055312A KR 20060135395 A KR20060135395 A KR 2006013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ing
unit
friction pad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5395A/ko
Publication of KR2006013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공급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및 픽업된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되어 회동하여 상기 용지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중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중송방지유닛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다.
화상형성기기, 용지급지장치, 중송, 마찰패드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for image form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급지장치가 구비된 화상형성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급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도 2에 도시된 중송방지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220 : 적재부
250 : 픽업롤러
280 : 마찰패드부
290 : 중송방지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송을 방지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기기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을 일컫는 것으로, 이들 화상형성기기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함께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급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급지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와 이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1매씩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구비한다. 픽업롤러 후방에는 급지롤러가 배치되어 픽업된 용지를 화상형성부로 급지시킨다.
용지는 보통 카세트의 최상위에 위치한 것이 급지되며, 이 과정에서 그 하위의 용지는 용지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나 마찰력에 의해 상위 용지의 급지에 따라서 조금씩 흘러나오는 현상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현재 급지되는 용지와 같이 급지되는 중송(double feeding)이 발생한다.
이러한 중송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수단을 갖춘 용지급지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다만,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복잡한 기구적인 구조를 가질 경우 설치가 불편하고 용지급지장치의 전체적인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의 중송방지수단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핑거 리타드(finger retard) 방식은 용지를 분리하는 핑거를 카세트 측에 설치하고,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다시 분리하는 리타드 롤러를 픽업롤러 상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리타드 방식에 대해서는 일본공개특허 제2001-19958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마찰패드 방식은 픽업롤러와 맞물리도록 설치된 마찰패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마찰패드 방식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211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마찰패드 방식은 중송 방지 기능이 마찰패드의 마찰계수에 의존한다. 따라서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마찰패드의 마모 등으로 마찰계수가 변하게 되면 중송 방지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가 간단하고, 마모로 인한 중송 방지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한 중송방지유닛을 가지는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공급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및 픽업된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되어 회동하여 상기 용지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중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송방지유닛은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되어 회동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와 연동되어 회동하며 상기 용지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스톱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부에는 후행하는 상기 용지가 걸리는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송방지유닛은 축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부와 스톱퍼부만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간단하다. 따라서, 용지급지장치 내부에서 설치가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픽업롤러에 접촉하는 마찰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픽 업된 상기 용지는 상기 마찰패드와 상기 픽업롤러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중송방지유닛에 접촉할 수 있다. 즉, 1차적으로 마찰패드에 의한 마찰력으로 중송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중송방지유닛에 의한 기구적인 힘으로 중송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급지장치가 구비된 화상형성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기기(100)는 본체(110)와 그 내부에 마련되는 화상형성부(120), 배지롤러(130) 및 용지공급장치(20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20)는 감광체(126)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22), 감광체(126)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유닛(125), 토너를 용지(P)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28) 및 토너를 용지(P)로 정착시키는 정착유닛(129)을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20)의 후방에는 배지롤러(130)가 설치되어 인쇄가 완료된 용지(P)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의 화상형성부(1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는바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110)의 하단에는 용지(P)를 화상형성부(120)로 급지시키기 위한 용지급 지장치(200)가 마련된다. 용지급지장치(200)는 카세트프레임(210)과 카세트프레임(210)에 설치된 스프링(225)에 연결되고 용지(P)가 적재되는 적재부(220) 및 픽업롤러(2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급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재부(220)는 카세트프레임(2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적재부(220)의 배면은 스프링(225)을 통해 카세트프레임(210)에 연결된다. 즉 적재부(220)는 스프링(225)의 탄성력을 통해 적재부(220)의 상측에 위치하는 픽업롤러(250) 측으로 용지(P)를 가압한다. 적재부(220)의 선단에는 마찰판(226)을 부착하여, 적재부(220)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용지(P)와 그 상단의 용지(P) 간에 중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적재부(220)의 상측에는 픽업롤러(250)가 샤프트(2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샤프트(260)는 카세트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기어(267)를 통해 외부 구동수단(미도시)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픽업롤러(250)의 양측에는 픽업하우징(255)이 샤프트(260)에 설치되어 픽업롤러(250)와 함께 회전한다. 픽업하우징(255)은 원호 형상으로 픽업롤러(250)의 반경보다 0.1mm 내지 2mm 정도 큰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즉, 적재부(22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용지(P)는 먼저 픽업하우징(255)에 의해 픽업되고, 다음으로 픽업롤러(250)에 의해 이송된다.
샤프트(260)의 양단에는 픽업캠(265)이 설치된다. 픽업캠(265)도 픽업롤러(250)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적재부(220)과 접촉하여 주기적으로 적재부(220)가 상 승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즉, 픽업하우징(255)이 용지(P)를 픽업할 경우에 적재부(220)가 스프링(225)의 탄성력을 통해 상승된다. 픽업이 완료되면 픽업캠(265)이 회전하여 적재부(220)를 강제적으로 하강시킨다. 픽업캠(265)의 형상은 픽업하우징(255)이 용지(P)를 픽업하는 주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해 카세트프레임(210)에는 마찰패드부(280) 및 중송방지유닛(290)이 설치된다.
마찰패드부(280)는 픽업롤러(250)에 접촉하는 마찰패드(281)와 마찰패드(281)가 설치되는 받침부(282)를 포함한다. 받침부(282)는 마찰패드(281)에서 하향 연장되어 마찰패드(281)의 설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ㄴ'자 형태를 가진다. 또한, 받침부(282)의 배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받침부(282)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한다. 받침부(282)에는 카세트프레임(210)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282)는 적재부(220)가 하강함에 따라 접촉하여 하강하고, 적재부(220)가 상승하면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한다. 받침부(282)가 하강하면 마찰패드(281)와 픽업롤러(250)는 이격된다. 따라서, 급지를 대기하는 경우나 용지(P)를 픽업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찰패드(281)와 픽업롤러(250)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마찰패드(281)의 마모를 막는다.
픽업캠(265)이 회전함에 따라 적재부(220)가 상승하면 받침부(282)도 따라서 상승하여 마찰패드(281)와 픽업롤러(250)는 서로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적재부(220) 가 상승된 시점 즉 용지(P)를 픽업하우징(255)이 픽업하는 시점에는 마찰패드(281)가 픽업롤러(250)에 접촉하여 중송을 방지한다.
중송방지유닛(290)은 카세트프레임(210)에 설치된 축(293)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부(291) 및 레버부(29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톱퍼부(292)를 포함한다.
중송방지유닛(290)은 용지(P)가 픽업됨에 따라 레버부(291)에 용지(P)의 선단이 접촉하여 레버부(291)가 회동하고, 이에 따라 스톱퍼부(292)가 용지(P)의 배면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중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톱퍼부(292)에는 걸림단(295)을 형성하여 후행하는 용지(P')가 걸리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걸림단(295)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여 용지(P')가 보다 더 잘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스톱퍼부(292)의 무게는 레버부(291)의 무게보다 더 크게 한다. 따라서, 레버부(291)가 용지(P)의 선단에 접촉하여 회동하더라도 용지(P)의 후단이 통과하면 자중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축(293)에 토션 바 스프링을 설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마찰패드부(280)의 양측에 한 쌍의 중송방지유닛(290)을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중송방지유닛(290)은 용지(P)의 급지 경로 상이라면 어디든지 설치가 가능하다. 다만, 마찰패드부(280) 후방의 급지 경로 상에 설치한다면 마찰패드(281)에 의한 중송 방지뿐만 아니라 중송방지유닛(290)에 의한 중송 방지가 이루어져 더욱 효과적으로 중송을 막을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도 2에 도시된 중송방지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 다. 도 3a는 급지 대기 상태, 도 3b는 용지가 픽업되어 선단이 레버부에 접촉하는 상태, 도 3c는 용지가 급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급지 대기 상태인 경우 적재부(220)는 픽업캠(265)에 의해 눌러져 있다. 적재부(220)가 받침부(282)를 누른 상태에서는 마찰패드(291)와 픽업롤러(250)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중송방지유닛(290)은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용지(P)의 급지가 시작되면 픽업캠(265)이 회전한다. 픽업캠(265)이 회전함에 따라 적재부(220)가 스프링(225)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한다. 이에 따라 마찰패드부(280)도 상승하여 마찰패드(281)가 픽업롤러(250)와 접촉한다. 적재부(220)가 상승하면 픽업하우징(255)에 최상위의 용지(P)가 맞닿아 픽업된다. 용지(P)가 픽업되어 픽업롤러(250)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용지(P)가 마찰패드(281)와 픽업롤러(250) 사이를 지나면서 1차적으로 중송이 방지된다.
그리고 용지(P)가 픽업롤러(250)에 의해 더 이송됨에 따라 용지(P)의 선단과 중송방지유닛(290)의 레버부(291)가 접촉하게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용지(P)의 선단이 레버부(291)와 접촉하면 중송방지유닛(290)은 용지(P)의 급지 방향과 반대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스톱퍼부(292)가 용지(P)의 배면의 향하여 돌출되고, 걸림단(295)이 용지(P)의 배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용지(P)에 후행하는 용지(P')가 픽업롤러(250) 측으로 진입하려는 경우 걸림단(295)에 의해 걸려 중송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1차적으로 마찰패드부(280)에 의한 마찰력으로 중송을 방지한다. 또한, 2차적으로 중송방지유닛(290)에 의한 기구적인 힘으로 중송을 방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송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중송방지유닛(290)은 간단한 브라켓 형태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중송방지유닛(290)은 용지(P)나 타 기구물과 접촉이 거의 없어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중송 방지 효과가 줄어들지 않고 신뢰성이 보장된다.
용지(P)의 픽업이 끝나면, 픽업캠(265)에 의해 적재부(220)가 다시 하강하고, 동시에 마찰패드부(280)가 하강하여 마찰패드(281)가 픽업롤러(250)와 이격된다. 용지(P)의 후단이 레버부(291)를 지나면 그 자중에 의해 중송방지유닛(29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외에 각각의 구성요소를 일부 변형하여 다르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마찰패드부를 제거하고 중송방지유닛만으로 중송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변형된 실시예의 기본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송방지유닛은 축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부와 스톱퍼부만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간단하다. 따라서, 용지급지장치 내부에서 설치가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송방지유닛은 용지나 타 기구물과 접촉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중송 방지 효과가 줄어들지 않고 신뢰성이 보장된다.

Claims (5)

  1.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및
    픽업된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되어 회동하여 상기 용지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중송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송방지유닛은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되어 회동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와 연동되어 회동하며 상기 용지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스톱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부에는 후행하는 상기 용지가 걸리는 걸림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에 접촉하는 마찰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픽업된 상기 용지는 상기 마찰패드와 상기 픽업롤러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중송방지유닛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1020050055312A 2005-06-24 2005-06-24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20060135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312A KR20060135395A (ko) 2005-06-24 2005-06-24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312A KR20060135395A (ko) 2005-06-24 2005-06-24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395A true KR20060135395A (ko) 2006-12-29

Family

ID=3781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312A KR20060135395A (ko) 2005-06-24 2005-06-24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53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EP1918230A2 (en) Printing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857303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76909A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30062682A (ko) 화상형성장치
US8459639B2 (en) Sheet conveyor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204560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67299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heet feeder
JP2006315834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KR100561441B1 (ko)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5397212B2 (ja) 給紙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JP4315031B2 (ja) 給紙カセット
KR20060135395A (ko)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급지장치
JP2005263497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エンドガイド
JP2004168436A (ja) 給紙装置および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522058B2 (ja) シ―ト材給送装置
KR100285252B1 (ko) 다목적 피더의 중송 방지 장치_
JP3866193B2 (ja) 給紙カセット装置
KR10125357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JP3817481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70023190A (ko)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KR940003117B1 (ko)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급지 장치
KR200228383Y1 (ko)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JP2006016174A (ja) 給紙装置
JP2000044078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