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125A -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125A
KR20060135125A KR1020050054803A KR20050054803A KR20060135125A KR 20060135125 A KR20060135125 A KR 20060135125A KR 1020050054803 A KR1020050054803 A KR 1020050054803A KR 20050054803 A KR20050054803 A KR 20050054803A KR 20060135125 A KR20060135125 A KR 2006013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ck
motor
box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698B1 (ko
Inventor
송현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05005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698B1/ko
Publication of KR2006013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05F15/64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operated by friction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창문 또는 베란다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갖는 구동수단 및 창문을 자동으로 괘정 및 해정시키는 잠금수단을 하나의 박스에 내장시켜 창틀에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 시공하는 창문 또는 기존의 설치된 창문에 모두 적용가능하고 특히 창문을 자동 잠금 시키는 수단이 구비되어 구동수단과 연계되므로 별도의 잠금수단이 불필요하고 창문은 개폐량에 관계없이 항상 잠겨 있으므로 방범용으로도 적합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을 모터로 회전되는 피니언 및 래크를 이용하여 자동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로 회전되는 피니언이 내장되고 틀체(12)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박스, 창틀에 고정되고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를 통하여 창문이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래크판 그리고 박스에 내장되고 래크와 치합되는 물림부를 통하여 창문을 괘정시키고 모터가 작동되는 동안 물림부가 래크에서 떨어져 창문의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래크, 피니언, 모터, 솔레노이드

Description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Window automatic open and shu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 자동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 개폐장치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자동 개폐장치의 잠금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 개폐장치의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자동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박스 11 : 브래킷
12 : 틀체 14 : 창문
15 : 창틀 20 : 구동수단
21 : 모터 23 : 피니언
30 : 래크부 31 : 래크
40 : 잠금수단 41,71 : 솔레노이드
42,72 : 레버 43,73 : 힌지
44,74 : 물림부 45,75 : 스프링
50 : 콘트롤박스 60 : 리모콘
본 발명은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베란다문 또는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모터를 갖는 구동수단 및 창문을 자동 잠금 시키는 잠금수단을 하나의 박스에 내장시켜 창틀에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 시공하는 창문 및 기존의 설치된 창문 모두에 적용가능하고 특히 잠금수단에 의해 창문이 자동으로 잠금되므로 별도의 창문 잠금장치가 불필요한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베란다문 또는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장치는 다수 제안된 바 있다. 국내 실용등록 제382598호는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하여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장치이다. 이는 래크의 파손시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래크를 이중으로 분리 제작한 특징이 있으나 이를 제외하곤 흔히 알려진 래크와 피니언을 사용하는 것이다.
창문을 자동 개폐시키는 장치는 와이어 타입 또는 체인 타입 등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으나 이들 자동 개폐장치들은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는 있으나 창문을 자동으로 잠글 수 없으므로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비해야 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창문이 잠겨 있을 경우 이를 해정해야만 자동 개폐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개폐장치의 자유로운 개폐동작에 방해가 되어 개선의 필요성이 있 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용 창문 또는 베란다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갖는 구동수단 및 창문을 자동으로 괘정 및 해정시키는 잠금수단을 하나의 박스에 내장시켜 창틀에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 시공하는 창문 또는 기존의 설치된 창문에 모두 적용가능하고 특히 창문을 자동 잠금 시키는 수단이 구비되어 구동수단과 연계되므로 별도의 잠금수단이 불필요하고 창문은 개폐량에 관계없이 항상 잠겨 있으므로 방범용으로도 적합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문을 모터로 회전되는 피니언 및 래크를 이용하여 자동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로 회전되는 피니언이 내장되고 틀체(12)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박스, 창틀에 고정되고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를 통하여 창문이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래크판 그리고 박스에 내장되고 래크와 치합되는 물림부를 통하여 창문을 괘정시키고 모터가 작동되는 동안 물림부가 래크에서 떨어져 창문의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 개폐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자동 개폐장 치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창문을 자동 개폐시키는 구동수단(20) 및 자동 괘,해정 시키는 잠금수단(40)이 하나의 박스(10)에 내장된다.
박스(10)는 양쪽의 브래킷(11)이 나사 체결방식으로 틀체(12)에 고정되며 구동수단(20)은 모터(21)와 피니언(23)을 갖는다. 모터(21)는 가격이 저렴하고 제어가 쉬운 DC서보모터가 적합하며 모터 하부에는 큰 토크를 얻기 위해 기어 감속부(22)가 구비된다. 피니언(23)은 박스(10)의 하부 일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구성이며 이와 치합되는 래크(31)를 갖는 래크판(30)은 창틀(15)의 상측에 구비된다.
래크판(30)은 접착제 또는 나사체결 방식으로 창틀(15)에 고정되며 창틀(15)과 틀체(12)은 바퀴(16)를 통하여 구름 접촉된다.
잠금수단(40)은 승강식 솔레노이드(41) 및 레버(42)로 구성되며 레버(42) 하단에는 래크(31)에 치합되는 물림부(44)가 형성된다. 그리고 레버(42)는 힌지(43)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레버(42)는 솔레노이드(41)와 연결된다. 솔레노이드(41)가 작동되면 레버(42)가 힌지(4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물림부(44)가 래크(31)에서 떨어지므로 창문(14)이 해정되고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이어서 구동수단(20)이 작동되면 창문이 자동으로 여닫힌다. 또한 구동수단이 정지되면 솔레노이드(41)의 작동이 함께 정지되면서 스프링(45)에 의해 레버(42)가 당겨지고 물림부(44)가 래크(31)와 치합되어 창문(14)이 고정된다.
모터(21)와 솔레노이드(41)는 콘트롤박스(5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콘트롤박스(50)는 리모콘(60)으로 조작된다. 그리고 창문(14)이 완전 열리거나 또는 닫혔을 때 모터(21)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리미트스위치(51) 및 돌기(52)가 구 비된다. 미설명부호 46은 정전시 또는 수동으로 창문을 열고자 할때 레버(42)를 당겨 물림부(44)가 래크(31)에서 떨어지도록 해주는 수동레버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새로 시공하는 창문 또는 기존의 설치된 창문에 래크판(30)을 접착제 또는 나사못으로 체결시킨다. 그리고 구동수단 및 잠금수단이 내장된 박스(10)를 래크판(30)과 대응되도록 이의 브래킷(11)을 틀체(12)에 체결시킨다. 이때 박스(10)의 하부쪽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피니언(23) 및 물림부(44)가 래크(31)와 치합되도록 주의하면서 박스(10)를 틀체(12)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콘트롤박스(50)를 창문의 한쪽에 고정시키고 전선으로 박스(10)와 연결시키며, 리미트스위치(51) 및 돌기(52)를 틀체(12) 및 창틀(15)에 체결 조립한다.
이처럼 조립되는 본 발명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창문(14)이 닫히면 돌기(52)가 리미트스위치(51)를 건드려 모터(21) 및 솔레노이드(4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스프링(45)에 의해 레버(42)가 당겨져 물림부(44)가 래크(31)와 치합되므로 창문(14)이 고정된다. 물림부(44)가 래크(31)와 치합되면 창문을 잡아당기더라도 열리지 않고 괘정된 상태이므로 방범의 목적으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리모콘(60)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된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콘트롤박스(50)로부터 모터(21) 및 솔레노이드(41)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솔레노이드(41)가 먼저 작동되도록 콘트롤박스(50)에서 제어해주면 레버(42)가 당겨지면서 이의 물림부(44)가 래크(31)에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모터(21)가 작동되면 이의 감속부(22)를 통하여 피니언(23)이 회전되고 이의 회전력은 래크(31)를 통하여 창문으로 전달되므로 창문(14)은 바퀴(16) 및 레일(13)을 타고 열린다.
원하는 열림 위치로 창문이 이동되면 리모콘(60)의 조작을 정지시키고 모터(21) 및 솔레노이드(4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면 스프링(45)의 복원력으로 레버(42)가 당겨져 이의 물림부(44)가 래크(31)와 치합되어 창문(14)이 고정된다. 따라서 각 열림 위치에서 창문은 자동으로 괘정되므로 별도의 잠금장치가 불필요하며 열린 상태에서 창문이 자동 잠기므로 방범용으로 특히 접합하다.
창문을 닫을 때는 열릴 때의 역순으로 리모콘(60)을 조작하면 모터(21) 및 솔레노이드(41)가 작동되므로 이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모터 및 솔레노이드가 틀체에 고정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모터 및 솔레노이드가 창문에 내장되어 창문과 함께 이동되도록 할 수 도 있는 것은 당연하며 이때 전원 공급은 레일 형태의 구리판을 타고 이동되면서 전기가 계속 공급되도록 해야 된다.
도 5는 본 발명 자동 잠금장치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자동 개폐장치의 잠금수단과 동일 구성을 가지며 단지 구동수단이 없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 잠금장치는 브래킷(77)으로 틀체(12)에 고정되는 박스(70)가 구비되고 박스 내부에는 솔레노이드(71)와 레버(72)가 힌지(73)를 중심으로 연결되며 레버(72) 하단에는 물림부(74)가 구비된다. 그리고 레버(72)는 스프링(75)으로 당겨지면서 물림부(74)는 창틀(15)에 고정되는 래크판(30)의 래크(31)에 걸리는 것으로 이들이 서로 걸리면 창문(14)이 잠금된다.
본 발명 잠금장치는 틀체 또는 창틀에 설치되는 버튼(78)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버튼(78)을 누르면 솔레노이드(71)가 당겨지면서 물림부(74)가 래크(31)에서 벗어나 창문을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다. 버튼(78)은 한번 누르면 창문을 여닫는 시간동안 솔레노이드(71)로 전원이 계속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누르고 있는 동안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71)에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75)의 복원으로 물림부(74)가 래크(31)와 치합되면서 창문(14)이 자동 잠금된다.
본 발명 잠금장치는 창틀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고 솔레노이드에 달린 로드가 이 구멍으로 직접 출입되면서 창문이 잠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구성이 더욱 간소화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 또는 베란다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모터로 구동되는 피니언 및 이와 치합되는 래크를 구비하되 창문이 열린 뒤 자동으로 괘정되어 열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 열림과 자동 괘,해정장치를 하나의 박스에 내장시켜 조립식으로 창문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새로 시공하는 주택 또는 기존 주택의 창문을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만 구비된 잠금장치를 창문에 설치할 경우 별도의 괘정장치 없이 창문을 자동 잠금시킬 수 있으므로 방범용으로도 적합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창문을 모터로 회전되는 피니언 및 래크를 이용하여 자동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21)로 회전되는 피니언(23)이 내장되고 틀체(12)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박스(10),
    창틀(15)에 고정되고 피니언(23)과 치합되는 래크(31)를 통하여 창문(14)이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래크판(30) 그리고
    박스(10)에 내장되고 래크(31)와 치합되는 물림부(44)를 통하여 창문(14)을 괘정시키고 모터(21)가 작동되는 동안 물림부(44)가 래크(31)에서 떨어져 창문(14)의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잠금수단(4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수단(40)은 전원이 공급되면 상승되는 솔레노이드(41), 솔레노이드(41)와 연결되고 힌지(43)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물림부(44)가 래크(31)에서 떨어지도록 해주는 레버(42) 및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 레버(42)당겨 물림부(44)가 래크(31)와 맞물리도록 해주는 스프링(4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모터(21) 및 솔레노이드(41)로 전원을 공급하는 콘트롤박스(50)가 구비되고, 콘트롤박스(50)는 리모콘(60)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4. 창틀(15)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래크(31)를 갖는 래크판(30),
    창틀(15)이 끼워지는 벽 매입 틀체(12)에 고정되는 박스(70),
    박스(70)에 내장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창문을 해정하기 위해 상승되는 솔레노이드(71),
    솔레노이드(71)와 힌지(73)로 연결 회동되는 레버(72) 그리고
    솔레노이드(7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 레버(72)를 당겨 이의 물림부(74)가 래크(31)와 맞물려 창문(14)이 잠기도록 해주는 스프링(7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1020050054803A 2005-06-24 2005-06-24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KR10066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03A KR100663698B1 (ko) 2005-06-24 2005-06-24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03A KR100663698B1 (ko) 2005-06-24 2005-06-24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125A true KR20060135125A (ko) 2006-12-29
KR100663698B1 KR100663698B1 (ko) 2007-01-02

Family

ID=3781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803A KR100663698B1 (ko) 2005-06-24 2005-06-24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915B1 (ko) * 2023-01-17 2023-05-03 주식회사 부일이엔지 인공지능과 연계한 건축물 정보통신망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85B1 (ko) 2006-03-20 2007-11-19 장영호 창호 개폐 장치
KR100776806B1 (ko) 2006-03-21 2007-11-19 장영호 창문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262A (ja) * 1994-08-29 1996-03-12 J Ee C K:Kk 窓の自動開閉装置
JP3696940B2 (ja) * 1995-07-26 2005-09-21 株式会社ムラキ工業 自動開閉装置を備えた横開きシャッター
JP2984653B1 (ja) * 1998-06-11 1999-11-29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Cdma方式セルラシステムの基地局無線装置
SG80048A1 (en) * 1998-07-15 2001-04-17 Mitsui Chemicals Inc A phosphine sulfide,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and a use thereof
KR20010003365A (ko) * 1999-06-23 2001-01-15 이철재 가방의 음성 해정장치
JP2002245539A (ja) 2001-02-15 2002-08-3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915B1 (ko) * 2023-01-17 2023-05-03 주식회사 부일이엔지 인공지능과 연계한 건축물 정보통신망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698B1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1707B2 (en) Revolving door drive mechanism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US9038317B2 (en) Residential window power actuator
JP2006194065A (ja) 窓(扉、戸等の開閉手段を含む)のロック及び/又は開閉を自動制御する窓の自動開閉システム
US20070011946A1 (en) Automatically operated windows
KR100663698B1 (ko)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US20040098915A1 (en) Residential handicap accessible door
ITMI20110136A1 (it) Serramento motorizzato
US2850088A (en) Doors
KR100806347B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및 방범장치
US20100270814A1 (en) Motorized system for latching and unlatching casement windows
JP3982767B1 (ja) 窓の施錠・開錠と、その開閉を行う窓の自動開閉装置
CN103590726B (zh) 一种锁和转门机构内置电驱动的自动防盗门
KR100538412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090129550A (ko) 선택적 자동 창호 개폐 기구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US20180223585A1 (en) Fixing and/or emergency opening system
GB2414515A (en) Powered sash window
KR100946577B1 (ko) 윈도우 디지탈 락
CN103643852B (zh) 一种电动窗户自动开闭装置
KR101128850B1 (ko) 도어클로저 및 그 도어클로저를 이용한 출입문개폐장치
JP2002097840A (ja) 引き違い障子の駆動装置
DE202004008762U1 (de) Dachfensterschließer
CN104612546B (zh) 单动源控制的具有离合器自动开关锁及开关门的单扇门
JPH086442Y2 (ja) 温室における天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