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806B1 -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806B1
KR100776806B1 KR1020060025642A KR20060025642A KR100776806B1 KR 100776806 B1 KR100776806 B1 KR 100776806B1 KR 1020060025642 A KR1020060025642 A KR 1020060025642A KR 20060025642 A KR20060025642 A KR 20060025642A KR 100776806 B1 KR100776806 B1 KR 10077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osition fixing
rack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196A (ko
Inventor
장영호
Original Assignee
장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호 filed Critical 장영호
Priority to KR102006002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806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 시간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창문을 고정할 수 있으며,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어느 한쪽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창문틀;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가 돌출 연장된 구동모터; 샤프트의 어느 한쪽 단부에 장착되며 가이드 레일에 배열된 래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 및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래크 또는 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제1 또는 제2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창문, 창문 개폐장치, 가이드 레일, 래크, 샤프트, 모터, 기어, 위치고정부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WINDOW}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위치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 위치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2 및 제3 위치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가이드 레일
14; 래크 16; 프레임
16a; 관통공 18; 과부하 감지센서
20; 창문틀 20a; 제1 통공
20b; 제2 통공 22; 창문
24; 가로대 26; 감지부
30; 구동모터 32; 샤프트
34; 케이싱 36; 홀더
40; 구동기어 50; 제1 위치고정부
52; 솔레노이드 54; 스프링
56; 플랜져 56a, 66a, 76a; 요철부
58; 브래킷 58a; 나사공
60; 제2 위치고정부 70; 제3 위치고정부
62, 72; 하우징 64, 74; 리니어 모터
66, 76; 이동봉 80; 풀리
90; 제어박스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100i, 100j;창문개폐장치
200; 벽체 210; 공간부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 시간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창문을 고정할 수 있으며,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특히 아파트 거실이나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프레임에는 창문틀과 유리로 구성된 창문이 설치되는데, 창문은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열고 닫는 방식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와 같은 창문을 개폐하는 경우 반드시 사람이 창문까지 가서 그 창문을 직접 이동시켜야만 하였다.
그런데, 최근에 제작되는 창문은 단열과 방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매우 무겁게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직접 창문을 열고 닫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발코니 문이나 창문을 좀 더 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창문 자동개폐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 일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 등록 제377492호 "창문틀의 개폐 장치"에는 적어도 한 개의 가이드 레일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 착된 창문틀; 창문틀의 내, 외 어느 일 측에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을 향하는 양쪽으로 듀얼 샤프트가 돌출된 구동모터; 및 듀얼 샤프트의 적어도 어느 일 단부에 장착되며 가이드 레일에 배열된 래크와 맞물리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창문틀의 개폐 장치"를 더욱 개량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미감을 향상시키며,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더 편리하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을 개폐하는 장치의 부품을 줄여 시공 시간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고정부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창문을 고정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창문을 개폐하는 구동장치를 창문 틀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어느 한쪽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창문틀; 상기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가 돌출 연장된 구 동모터; 상기 샤프트의 어느 한쪽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배열된 래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 및 상기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래크 또는 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제1 또는 제2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고정부는, 한쪽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 말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일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한쪽 단부에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된 플랜져; 및 한쪽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상기 솔레노이드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된 브래킷; 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고정부는, 상기 창문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쪽 내부에 배치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연장 배치된 한쪽 단부에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되는 이동봉;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는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는 상기 창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공간부의 내측 한쪽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샤프트의 말단에 장착되어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창문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창문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되 일부가 외부로 돌 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상기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어느 한쪽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 이상의 창문 틀; 상기 한 쌍 이상의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가 돌출 연장된 한 쌍 이상의 제1,2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장착되며 상기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에 배열된 래크와 맞물리는 한 쌍 이상의 제1,2 구동기어; 및 상기 한 쌍 이상의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 이상의 구동기어 또는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한 쌍 이상의 제1 또는 제2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고정부는, 한쪽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 말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일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한쪽 단부에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된 플랜져; 및 한쪽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상기 솔레노이드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된 브래킷;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위치고정부는, 상기 창문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쪽 내부에 배치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 내부로부터 외측 으로 연장 배치되고 연장 배치된 한쪽 단부에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되는 이동봉; 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벽체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는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는 상기 창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공간부의 내측 한쪽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 이상의 제1,2 구동모터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장착되어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 이상의 제1,2 구동모터는 상기 한 쌍 이상의 창문 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 이상의 제1,2 구동기어 및 상기 한 쌍 이상의 위치고정부는 상기 한 쌍 이상의 창문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어느 한쪽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창문틀; 상기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가 돌출 연장된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의 어느 한쪽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배열된 래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풀리; 및 상기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풀리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제3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3 위치고정부는, 상기 창문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쪽 내부에 배치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연장 배치된 한쪽 단부에 상기 풀리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되는 이동봉;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벽체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는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는 상기 창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공간부의 내측 한쪽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샤프트의 말단에 장착되어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창문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창문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위치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a)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받은 종래 창문틀 개폐장치와 동일하게 본체(10)와 창문틀(20), 구동모터(30), 구동기어(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에 제1 위치고정부(50)가 포함되게 된다.
본체(10)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12)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2)을 형성하는 어느 한쪽에는 래크(14)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200)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6)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의 내, 외측의 선택된 어느 한쪽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구동모터(30)의 전류를 측정한 후 측정된 전류 값이 변할 경우에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부하 감지센서(18)가 구비될 수 있다.
창문틀(20)은 프레임(16)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창문틀(20)의 상, 하측에는 창문틀(20)의 개폐시 최고 위치와 최저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한 쌍의 감지부(26)가 구비된다.
또한, 창문틀(20)에는 방충을 위한 망(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구동모터(30)는 창문틀(20)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데, 여기에서는 창문(22)의 중앙부에 가로대(24)가 배치되고 이러한 가로대(24)에 구동모터(30)가 위치하게 되며 가이드 레일(12)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32)가 돌출된다.
이러한 구동모터(30)는 벽체(200) 또는 창문틀(20)에 장착된 제어박스(9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게 되며, 제어박스(90)는 케이블 또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리모콘, 미도시)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샤프트(32)는 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된 홀더(36)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모터(30)와 샤프트(32)는 케이싱(34)에 수용된다.
구동기어(40)는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성되고 샤프트(32)의 어느 한쪽 단부에 장착되며 가이드 레일(12)에 위치한 래크(14)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1 위치고정부(50)는 창문틀(20)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구동기어(4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래크(14)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되게 되며, 제2 위치고정부(60)는 제1 위치고정부(50)와 비슷한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기어(40)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된다.
제1 위치고정부(50)는 솔레노이드(52)와 스프링(54), 플랜져(56) 및 브래킷(58)으로 구성되는데, 솔레노이드(52)는 한쪽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스프링(54)은 전술한 솔레노이드(52) 내부 말단에 배치되고, 플랜져(56)는 스프링(54)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일부가 솔레노이드(52)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한쪽 단부에는 래크(14)에 맞물리도록 요철부(56a)가 구비된다.
그리고 브래킷(58)은 한쪽이 솔레노이드(52)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솔레노이드(52)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공(58a)이 형성된다.
솔레노이드(52)는 도선을 지름보다 길이가 긴 형태의 원통형에 균일하게 감은 코일로, 전류를 도선에 흘리면 자기장을 형성하여 플랜져(56)를 솔레노이드(52)의 내부 방향을 향해 끌어당기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동일한 구성요소가 사용될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b)는 벽체(200)와 프레임(16)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래크(14)는 창문(2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전술한 공간부(210)의 내 측 한쪽에 배치되며, 구동기어(40)는 프레임(16)에 형성된 관통공(16a)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샤프트(32)의 말단에 장착되어 래크(14)에 맞물리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때, 프레임(16)에 형성되는 관통공(16a)은 창문(22)의 상, 하측 이동시 샤프트(32)와 위치고정부(50)의 플랜져(56)에 의해 창문(22)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프레임(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위치고정부(50)는 브래킷(58)이 창문틀(20)에 고정 설치되고, 상술한 프레임(16)의 관통공(16a)을 관통하여 공간부(210) 내측에 플랜져(16)의 일부와 요철부(56a)가 위치되어 솔레노이드(52)의 작동시 요철부(56a)가 래크(14)에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c)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100a)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구동모터(30)와 샤프트(32) 및 홀더(36)가 창문(22) 중앙부의 가로대(24) 저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d)는 제3 실시예(100c)와 같이 창문(22) 중앙의 가로대(24) 저면에 구동모터(30)와 샤프트(32) 및 홀더(36)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100d)에서는 제2 실시예(100b)와 같이 벽체(200)와 프레임(16)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래크(14)는 창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전술한 공간부(210)의 내측 한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구동기어(40)는 프레임(16)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샤프트(32)의 말단에 장착되어 래크(14)에 맞물리도록 배치되게 된다.
한편 위치고정부(50)는 브래킷(58)이 창문틀(20)에 고정 설치되고, 프레임(16)의 관통공(16a)을 관통하여 공간부(210) 내측에 플랜져(16)의 일부와 요철부(56a)가 위치되어 솔레노이드(52)의 작동시 요철부(56a)가 래크(14)에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100e)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3 실시예(100a, 100c)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구동모터(30)가 창문틀(20)의 하부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구동모터(30)로부터 돌출 연장된 샤프트(32)와 그 축에 장착되는 구동기어(40) 및 위치고정부(50) 또한 창문틀(20)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게 되는데, 구동기어(40)와 위치고정부(50)가 창문틀(20)의 외부에 위치한 래크(14)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동기어(40)는 제1 통공(20a)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위치고정부(50)는 제2 통공(20b)을 통해 요철부(56a)가 구비된 플랜져(56)가 외부로 돌출되어 래크(14)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30)와 샤프트(32)가 창문틀(20)의 하부 내측에 배치하게 될 경우 케이싱(34)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며 구동 장치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f)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4 실시예(100b, 100d)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즉, 벽체(200)와 프레임(16)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래크(14)는 창문(2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전술한 공간부(210)의 내측 한쪽에 배치되는데, 이때 제6 실시예(100f)에서는 제5 실시예(100e)와 같이 구동모터(30)와 샤프트가 창문틀(20)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고 구동기어(40)는 프레임(16)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샤프트(32)의 말단에 장착되어 공간부(210) 내측에서 래크(14)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위치고정부(50)는 브래킷(58)이 창문틀(20)에 고정 설치되고, 프레임(16)의 관통공(16a)을 관통하여 공간부(210) 내측에 플랜져(16)의 일부와 요철부(56a)가 위치되어 솔레노이드(52)의 작동시 요철부(56a)가 래크(14)에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g)는 제1 실시예(100a)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창문(22)이 이중창, 즉 복수개로 구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창문(22)을 이중창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12), 래크(14), 창문틀(20), 구동모터(30), 구동기어(40) 및 위치고정부(50)와 같은 구성요소 또한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때, 여기에서는 창문(22)을 이중창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삼중창 이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제7 실시예(100g)의 경우 창문(22)이 이중창이라는 점 외에는 제1 실시예(100a)와 유사하여 제1 실시예(100a)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8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h)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제7 실시예(100g)와 같이 창문(22)이 이중창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100h)에 대한 설명 또한 제2 실시예(100b)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9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i)는 전술한 제1 내지 제9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 위치고정부(50) 대신 제2 위치고정부(60)가 사용된다.
제2 위치고정부(60)는 하우징(62)과 리니어 모터(64) 및 이동봉(66)으로 구성되는데, 하우징(62)은 제2 위치고정부(60)를 창문틀(20)에 장착되도록 하게 되고, 리니어 모터(64)는 하우징(62)의 한쪽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동봉(66)은 하우징(62)의 다른 쪽 내부, 즉 리니어 모터(64)와는 다른 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연장 배치된 한쪽 단부에 구동기어(40)에 맞물리도록 요철부(66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2 위치고정(60)부가 창문틀(20)에 고정된 상태로 구동기어(40)의 하측에 배치되며, 리니어 모터(64)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동봉(66)이 상승함으로써 요철부(66a)가 구동기어(40)의 기어에 맞물려 구동기어(40)가 동작하지 못하도 록 하게 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제2 위치고정부(60)가 구동기어(4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동기어(4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하측 모두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j)는 구동기어(40)와 구동모터(30) 사이의 샤프트(32)에 풀리(80)가 장착된다.
또한, 제10 실시예에 다른 창문 개폐장치(100j)에는 도 10에 도시된 제2 위치고정부(60)와 거의 유사한 제3 위치고정부(70)가 포함되는데, 제2 위치고정부(60)의 구성과 동일하게 하우징(72)과 리니어 모터(74) 및 이동봉(76)으로 구성되어 하우징(72)은 제3 위치고정부(70)를 창문틀(20)에 장착되도록 하게 되고, 리니어 모터(74)는 하우징(72)의 한쪽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동봉(76)은 하우징(72)의 다른 쪽 내부, 즉 리니어 모터(74)와는 다른 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연장 배치된 한쪽 단부에 구동기어(40)에 맞물리도록 요철부(76a)가 구비된다.
이때, 제2 위치고정부(60)와는 달리 제3 위치고정부(70)는 샤프트(32)에 위치하고 있는 풀리(80)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는 점이 다른 것이다.
한편, 제3 위치고정부(70) 또한 제2 위치고정부(60)와 같이 풀리(8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의 (a) 및 (b)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 위치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제6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의 동작 상태는 하기에 서술하는 제5 실시예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5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100e)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e)를 사용하여 창문(22)을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리모콘(미도시)을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손 등을 이용하여 제어박스(9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에 제어박스(90)는 창문틀(20)의 하부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구동모터(30)가 구동하도록 제어하게 되고, 구동모터(30)의 구동에 따라 홀더(36)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모터(30)로부터 돌출 연장된 샤프트(32)가 회전된다.
샤프트(32)의 회전은 동시에 그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40)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1 통공(20a)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동기어(40)는 프레임(16)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2) 내측에 위치한 래크(14)에 이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래크(14)의 상,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구동기어(40)가 래크(14)의 상,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국 창문틀(20)이 열림 또는 닫힘 구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창문틀(2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이 최고 위치 또는 최저 위치에 도착하면 그 상, 하부에 구비된 감지부(26)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박스(90)에 알리게 되며, 제어박스(90)에서는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창문틀(20)의 이동 시 사용자 등이 장난을 하다가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창문(22)과 프레임(16) 사이에 끼이게 되면 본체(10)의 내, 외측의 선택된 어느 한쪽에 배치되는 과부하 감지센서(18)는 창문(22)에 신체의 일부가 꼈을 때 전류 값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박스(90)에 전달하게 되며, 전달된 신호를 받은 제어박스(90)는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켜 안전하게 창문(22)을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창문(22)을 더욱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서는 위치고정부(50)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제5 실시예(100e)에서는 위치고정부(50)가 브래킷(58)에 의해 창문틀(20) 내부에 위치하고 제2 통공(20b)을 통해 일부, 즉 플랜져(56)가 외부로 돌출되어 래크(14)에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고정된 창문(22)을 더 열거나 닫고자 할 경우 제어박스(90)를 통해 위치고정부(5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솔레노이드(52)가 자기장을 형성하여 플랜져(56)를 솔레노이드(52)의 내부 방향을 향해 끌어당기게 된다.
이에 플랜져(56)는 자기장에 의해 솔레노이드(52)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솔레노이드(52) 내부로 삽입되고, 래크(14)에 이 맞물려 있던 요철부(56a)가 래크(14)로부터 이탈되면서 창문(22)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창문(22)의 이동이 완료된 후 솔레노이드(52)에 전원의 인가가 중단되면 플랜져(56)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플랜져(56)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요철부(56a)가 다시 래크(14)에 맞물리게 되어 창문(22)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도 13의 (a) 및 (b)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2 및 제3 위치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9 및 제10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2 및 제3 위치고정부는 그 동작구성이 동일하므로 이 중 제10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 및 제3 위치고정부를 이용한 창문 개폐시의 동작은 전술한 제1 위치고정부의 창문 개폐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유사한 동작에 대한 설명은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100j)와 도 13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제어박스(90)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30)가 구동되어 샤프트(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샤프트(32)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40)가 래크(14)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여 창문틀(20)이 상, 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창문틀(20)이 이동 중 사용자가 창문틀(20)의 이동을 멈추게 하고, 멈춘 상태에서 창문틀(20)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 제어박스(90)를 이용하여 제3 위치고정부(70)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제3 위치고정부(70)의 하우징(72) 내에 배치된 리니어 모터(74)에 전원이 인가되면, 리니어 모터(74)로부터 연장 배치된 이동봉(76)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봉(76)의 말단에 구비된 요철부(76a)가 구동기어(40)에 맞물림으로써 창문틀(20)이 현재 위치에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창문틀(20)을 완전히 닫고자 하거나 열고자 하는 등 창문틀(20)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어박스(90)를 조작하여 제3 위치고정부(70)에 인가되어 있던 전원을 끊게 되면 리니어 모터(74)의 동작에 의해 이동봉(76)이 원위치, 즉 하측 방향으로 동작하여 요철부(76a)가 구동기어(40)로부터 떨어지게 됨으로써 창문틀(2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창문이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창문이 좌우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위치고정부의 플랜져가 단면이 원형인 원형바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위치고정부의 제동력을 높이기 위하여 단면이 삼각 또는 사각 형상과 같이 각이 진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 의하면, 창문을 개폐하는 장치의 부품을 줄여 시공 시간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위치고정부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창문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을 개폐하는 구동장치를 창문 틀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어느 한쪽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창문틀;
    상기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가 돌출 연장된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의 어느 한쪽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배열된 래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 및
    상기 창문틀의 내, 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래크 또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제1 위치고정부 또는 제2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위치고정부는,
    한쪽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 말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일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한쪽 단부에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된 플랜져; 및
    한쪽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상기 솔레노이드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고정부는,
    상기 창문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쪽 내부에 배치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연장 배치된 한쪽 단부에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되는 이동봉을 포함하는 창문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상기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어느 한쪽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 이상의 창문 틀;
    상기 한 쌍 이상의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가 돌출 연장된 한 쌍 이상의 제1,2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장착되며 상기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레일에 배열된 래크와 맞물리는 한 쌍 이상의 제1,2 구동기어; 및
    상기 한 쌍 이상의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 이상의 구동기어 또는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한 쌍 이상의 제1 위치고정부 또는 제2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위치고정부는,
    한쪽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 말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일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한쪽 단부에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된 플랜져; 및
    한쪽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상기 솔레노이드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고정부는,
    상기 창문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쪽 내부에 배치되는 리니어 모터;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연장 배치된 한쪽 단부에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되는 이동봉을 포함하는 창문 개폐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마주하며 상응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어느 한쪽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피 고정체인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창문틀;
    상기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가 돌출 연장된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의 어느 한쪽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배열된 래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풀리; 및
    상기 창문틀의 내,외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풀리에 맞물리도록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제3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위치고정부는,
    상기 창문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쪽 내부에 배치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연장 배치된 한쪽 단부에 상기 풀리에 맞물리도록 요철부가 구비되는 이동봉을 포함하는 창문 개폐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0025642A 2006-03-21 2006-03-21 창문 개폐장치 KR10077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642A KR100776806B1 (ko) 2006-03-21 2006-03-21 창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642A KR100776806B1 (ko) 2006-03-21 2006-03-21 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196A KR20070096196A (ko) 2007-10-02
KR100776806B1 true KR100776806B1 (ko) 2007-11-19

Family

ID=3880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642A KR100776806B1 (ko) 2006-03-21 2006-03-21 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6004A (zh) * 2012-12-04 2013-03-27 刘荣 一种可调式防盗窗
CN111254940B (zh) * 2020-02-19 2021-05-07 宁波市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地基基础建造基坑支护模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103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0357498Y1 (ko) 2004-04-17 2004-07-30 한정화 이동식 방범창
KR200377492Y1 (ko) 2004-12-03 2005-03-11 장영호 창문틀의 개폐 장치
KR100663698B1 (ko) 2005-06-24 2007-01-02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103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0357498Y1 (ko) 2004-04-17 2004-07-30 한정화 이동식 방범창
KR200377492Y1 (ko) 2004-12-03 2005-03-11 장영호 창문틀의 개폐 장치
KR100663698B1 (ko) 2005-06-24 2007-01-02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가정용 창문 자동 개폐 및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196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roller shutter door
KR101842302B1 (ko) 자동 슬라이딩 도어용 구동 시스템
KR100706328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US20160265259A1 (en) System for sliding a door
KR100704451B1 (ko) 문 자동개폐장치
KR100776806B1 (ko) 창문 개폐장치
KR200471155Y1 (ko) 고소 창문 개폐장치
US3691684A (en) Window power actuating device
JP2005120760A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8303546A (ja) 上げ下げ窓の安全装置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KR20060109180A (ko) 브라인드 조립체를 채용한 단열창문
JP2019526728A (ja) 建築物用のスライド窓およびそれを含む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410638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KR101589158B1 (ko) 쌍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KR100798362B1 (ko) 침입방지용 창호
KR100910157B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용 랙의 높이조절장치
KR200385576Y1 (ko) 이동식 방범창
KR20210006669A (ko) 자동 개폐가 가능한 여닫이형 창호
KR101840085B1 (ko)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KR200377492Y1 (ko) 창문틀의 개폐 장치
KR102475027B1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KR20060062332A (ko) 창문틀의 개폐 장치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JP480864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