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362B1 - 침입방지용 창호 - Google Patents

침입방지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362B1
KR100798362B1 KR1020060116299A KR20060116299A KR100798362B1 KR 100798362 B1 KR100798362 B1 KR 100798362B1 KR 1020060116299 A KR1020060116299 A KR 1020060116299A KR 20060116299 A KR20060116299 A KR 20060116299A KR 100798362 B1 KR100798362 B1 KR 100798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window
unit
window fram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2006011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4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liding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by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방지용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벽체에 고정되는 창틀(10)과; 창틀(1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창문(20)과; 창문(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마찰부(30)와; 제1마찰부(30)와 밀착되어 마찰을 발생하는 제2마찰부(40)와; 제2마찰부(40)를 제1마찰부(3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50); 및 구동부(5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입방지용 창호{A wind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제1마찰부, 제2마찰부 및 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마찰부, 제2마찰부 및 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 및 도 5의 회동바아가 회동되면서 제2마찰부를 하강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창틀 20 ... 창문
30 ... 제1마찰부 30a ... 제1마찰면
40 ... 제2마찰부 40a ... 제2마찰면
50 ... 구동부 51 ... 솔레노이드코일
52 ... 축 53 ... 스프링
60 ... 전원부 70 ... 센서
110 ... 창틀 120 ... 창문
121 ... 손잡이 130,130' ... 제1마찰부
130a ... 제1마찰면 140,140' ... 제2마찰부
140a ... 제2마찰면 151 ... 버튼
152 ...수직바아 153 ... 수평바아
154 ... 제1돌기 155 ... 제2돌기
156 ... 회동바아 156a ... 제1장공
156b ... 제2장공 157 ... 스프링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침입자를 방지할 수 있는 침입방지용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벽체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창호는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창틀과, 창틀내에서 슬라이딩 운동되거나 힌지회동되어 그 창틀을 개폐하는 창문과, 건물 내부에서 창문을 잠글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창호에 있어서, 잠금장치는 창문이 창틀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작동 가능하며, 약간이라도 열려진 상태에서는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여름이나 더운 날씨에 창문을 약간이라도 열어놓고 생활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침입자가 창문을 열고 내부로 침입할 수 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문을 건물 내부에서만 열수 있으며, 더 나아가 창문을 약간만 열어놓더라도 건물 외부에서 창문을 열 수 없도록 할 수 있는 침입방지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1실시예는, 건물벽체에 고정되는 창틀(10); 상기 창틀(1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창문(20); 상기 창문(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마찰부(30); 상기 제1마찰부(30)와 밀착되어 마찰을 발생하는 제2마찰부(40); 상기 제2마찰부(40)를 제1마찰부(3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창틀(10)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자기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코일(51)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51)로부터 자기력이 발생하였을 때 그 솔레노이드코일(51) 내부로 몰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마찰부(40)에 결합되는 축(52)과, 상기 축(52)의 외주에 설치되어 상기 제2마찰부(40)를 상기 제1마찰부(3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53)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20)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저항력을 직접 받는 구동부(50); 상기 구동부(5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60); 상기 창틀(10)에는 건물 내부의 사람을 검지하는 센서(70); 및 상기 센서(70)에서 발생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5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찰부(30)는 바아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면(30a)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찰부(40)는 상기 제1마찰면(30a)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제2마찰면(4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60)는 독립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2실시예는, 건물벽체에 고정되는 창틀(110); 상기 창틀(11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창문(120); 상기 창문(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마찰부(130)(130'); 상기 창틀(1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마찰부(130)(130')가 상기 창문(120)으로부터 돌출될 때 밀착되는 제2마찰부(140)(140'); 및 상기 제1마찰부(130)(130')를 상기 제2마찰부(140)(14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찰부(130)(130')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면(130a)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찰부(140)(140')는 상기 제1마찰면(130a)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제2마찰면(14a)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버튼(151)과, 버튼(151)이 눌리어질 때 상방으로 움직이는 수직바아(152)와, 상기 수직바아(152)에 연동되어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수평바아(153)와, 상기 제1마찰부(130)(13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1돌기(154)와, 상기 수평바아(153)에 설치되는 제2돌기(155)와, 상기 제1돌기(154)와 제2돌기(155)가 각각 삽입되는 제1,2장공(156a)(156b)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장공(156a)(156b) 사이가 창문(120)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바아(156)와, 상기 제1마찰부(130)(130')를 창문(12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157)을 포함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마찰부, 제2마찰부 및 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1실시예는, 건물벽체에 고정되는 창틀(10)과; 창틀(1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창문(20)과; 창문(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마찰부(30)와; 제1마찰부(30)와 밀착되어 마찰을 발생하는 제2마찰부(40)와; 제2마찰부(40)를 제1마찰부(3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50)와; 구동부(5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60)를 포함한다. 이때 창틀(10)에는 건물 내부의 사람을 검지하는 센서(70)와, 센서(70)에서 발생된 신호에 의하여 구동부(5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드라이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창문(20)은, 유리도어 및 그 유리도어를 감싸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프레임의 상,하 단부는 凹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마찰부(30)는 바아 형상을 가지며, 창문(20)의 상부 또는 하부측의 凹 형상의 프레임 내부측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마찰부(30)는 창문(20)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이러한 제1마찰부(3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면(30a)이 형성되어 있다.
제2마찰부(40)는 제1마찰부(30) 보다 짧은 바아 형상을 가지며, 제1마찰면(30a)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제2마찰면(40a)을 가진다. 이때 상기한 제1마찰면(30a)과 제2마찰면(40a)은 상호 치합되는 다양한 형상의 요철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톱니 형상으로 도시하였다.
구동부(50)는 창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마찰부(40)를 제1마찰부(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50)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 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자기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코일(51)과, 솔레노이드코일(51)로부터 자기력이 발생하였을 때 그 솔레노이드코일(51) 내부로 몰입되는 것으로서 제2마찰부(40)와 결합되는 축(52)과, 축(52)의 외주에 설치되어 제2마찰부(40)를 제1마찰부(3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5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평소에 제2마찰부(40)는 스프링(53)에 의하여 탄성바이어스되어 제1마찰부(30)에 밀착되어 있다. 그러나 제2마찰부(40)는 솔레노이드코일(51)에 전원이 인가될 때 축(52)이 솔레노이드코일(51) 내부로 몰입되면서 제1마찰부(30)로부터 분리된다.
전원부(60)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독립적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배터리, 더욱 바람직하게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침입방지용 창호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가정용 전원을 끌어오기 위한 별도의 전기선 시공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60)에는 배터리가 방전될 때 이를 경보음으로 알리는 방전경고회로가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70)는 건물 내부에서 창문(20)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검지한다. 이때 센서(70)는 건물 내부의 사람만 검지하여야 하며, 이러한 센서(70)로서 사람의 체온을 검지하는 열감지센서이거나, 움직임을 검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한 구조의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평소에 제2마찰부(40)는 스프링(53)에 의하여 제1마찰부(3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이에 따라 제1마찰면(30a)과 제2마찰면(40a)의 요철은 상호 밀착된 상 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창문(20)은 창틀(1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창문(20)은 창틀(10)에서 움직이지 못한다.
건물 내부에서 창문(20)을 열기 위하여 사람이 창문(20)으로 접근하면, 창틀(10)에 설치된 센서(70)는 접근하는 사람을 검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여 구동부드라이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구동부드라이버는 전원부(60)의 전원을 솔레노이드코일(51)로 인가하고, 솔레노이드코일(51)은 축(52)을 그 솔레노이드코일(51) 내부로 몰입시킴으로써 제2마찰부(40)를 제1마찰부(30)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제2마찰부(40)의 제2마찰면(40a)은 제1마찰부(30)의 제1마찰면(30a)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창문(20)은 창틀(10)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사람은 창문(20)을 적절히 열수 있다. 이후에 사람이 창문(2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센서(70)는 더 이상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드라이버는 솔레노이드코일(5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그러면, 스프링(53)은 제2마찰부(40)를 다시 제1마찰부(3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고, 이에 따라 제2마찰부(40)는 제1마찰부(30)에 밀착되어 창문(20)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건물 외부에서 침입자는 창문(20)을 열려고 해도 열 수가 없게 된다.
즉,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1실시예는 자동으로 건물내의 사람을 검지함으로써, 건물 내의 사람만이 창문을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마찰부, 제2마찰부 및 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은 도 4 및 도 5의 회동바아가 회동되면서 제2마찰부를 하강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2실시예는, 건물벽체에 고정되는 창틀(110)과; 창틀(11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창문(120)과; 창문(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마찰부(130)(130')와; 창틀(1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마찰부(130)(130')가 창문(120)으로부터 돌출될 때 밀착되는 제2마찰부(140)(140'); 및 제1마찰부(130)(130')를 제2마찰부(140)(14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마찰부(130)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바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마찰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제1마찰부(130) 보다 짧은 바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2마찰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바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마찰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제1마찰부(140') 보다 기다란 바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창문(120)은, 유리도어 및 그 유리도어를 감싸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프레임의 상,하 단부는 凹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마찰부(130)(130')는 창문(120)의 상부 또는 하부측의 凹 형상의 프레임 내부측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마찰부(130)(130')는 창문(12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이러한 제1,마찰부(130)(13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면(130a)이 형성되 어 있다.
제2마찰부(140)는 창틀(110)의 상부 천정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마찰면(130a)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제2마찰면(1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제1마찰면(130a)과 제2마찰면(140a)은 상호 치합되는 다양한 형상의 요철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톱니 형상으로 도시하였다.
구동부는 창문(1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마찰부(130)(130')를 제2마찰부(140)(14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창문(120)의 손잡이(121)를 잡을 때 눌리어지는 버튼(151)과, 버튼(151)이 눌리어질 때 상방으로 움직이는 수직바아(152)와, 수직바아(152)에 연동되어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수평바아(153)와, 제2마찰부(13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1돌기(154)와, 수평바아(153)에 설치되는 제2돌기(155)와, 제1돌기(154)와 제2돌기(155)가 각각 삽입되는 제1,2장공(156a)(156b)이 형성되고 제1,2장공(156a)(156b) 사이가 창문(120)에 힌지(h) 결합되는 회동바아(156)와, 제1마찰부(130)(130')를 창문(12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157)을 포함한다.
이때, 손잡이(121)는 건물 내부측의 창문(120)에 설치되어 있다. 또, 버튼(151)은 손잡이(121)를 잡을 때 눌리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손잡이(121)와는 별도로 건물 내부측 창문(12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버튼(151)과 수직바아(152)와 접촉되는 부분은 버튼(151)의 수평 운동을 수직 운동으 로 변환할 수 있도록 캠구조로 되어 있다. 또, 수직바아(152)와 수평바아(153)가 접촉되는 부분 역시 수직바아(152)의 수직 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캠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 상기한 구조의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평소에는 스프링(157)에 의하여 제1마찰부(130)(130')는 제2마찰부(140)(14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이에 따라 제2마찰부(140)(140')의 제2마찰면(140a)과 제1마찰부(130)(130')의 제1마찰면(130a)의 요철은 상호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창문(120)은 창틀(11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건물 내부에서 창문(120)을 열고자 사람이 손잡이(121)를 잡게 되면, 버튼(151)이 화살표 A 방향으로 눌리어지면서 수직바아(15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상승하고, 수직바아(152)에 의하여 수평바아(153)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아(153)의 제2돌기(155)가 제ㅇ장공(156a)에서 움직이면서 회동바아(156)를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2장공(156b)에 삽입되어 있던 제1돌기(154)가 하방으로 움직이면서 결과적으로 제1마찰부(130)(130')는 창문(120) 내부로 몰입된다(화살표 E 방향). 이 경우 제1마찰부(130)(130')는 제2마찰부(140)(140')로부터 분리되면서 창문(120)은 창틀(110)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람이 손잡이(121)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157)에 의하여 제1마찰부(130)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바아(156)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수평바아(153), 수직바아(152) 및 버튼(151)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침입방지용 창호의 제2실시예는 수동으로 건물내의 사람만이 창문을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따른 침입방지용 창호는, 창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마찰부와, 제1마찰부와 밀착되어 마찰을 발생하는 제2마찰부와, 제1마찰부를 제2마찰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건물 내에서만 창문을 열수 있다. 이때 창문이 열려지는 정도에 관계없이, 외부에서는 창문을 열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여름이나 더운 날씨에도 창문을 열어놓고 생활할 수 있다라는 작용, 작용이 있다.

Claims (6)

  1. 건물벽체에 고정되는 창틀(10);
    상기 창틀(1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창문(20);
    상기 창문(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마찰부(30);
    상기 제1마찰부(30)와 밀착되어 마찰을 발생하는 제2마찰부(40);
    상기 제2마찰부(40)를 제1마찰부(3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창틀(10)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자기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코일(51)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51)로부터 자기력이 발생하였을 때 그 솔레노이드코일(51) 내부로 몰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마찰부(40)에 결합되는 축(52)과, 상기 축(52)의 외주에 설치되어 상기 제2마찰부(40)를 상기 제1마찰부(3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53)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20)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저항력을 직접 받는 구동부(50);
    상기 구동부(5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60);
    상기 창틀(10)에는 건물 내부의 사람을 검지하는 센서(70); 및
    상기 센서(70)에서 발생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5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찰부(30)는 바아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면(30a)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찰부(40)는 상기 제1마찰면(30a)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제2마찰면(4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방지용 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60)는 독립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방지용 창호.
  5. 건물벽체에 고정되는 창틀(110);
    상기 창틀(11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창문(120);
    상기 창문(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마찰부(130)(130');
    상기 창틀(1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마찰부(130)(130')가 상기 창문(120)으로부터 돌출될 때 밀착되는 제2마찰부(140)(140'); 및
    상기 제1마찰부(130)(130')를 상기 제2마찰부(140)(14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찰부(130)(130')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면(130a)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찰부(140)(140')는 상기 제1마찰면(130a)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제2마찰면(14a)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버튼(151)과, 버튼(151)이 눌리어질 때 상방으로 움직이는 수직바아(152)와, 상기 수직바아(152)에 연동되어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수평바아(153)와, 상기 제1마찰부(130)(13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1돌기(154)와, 상기 수평바아(153)에 설치되는 제2돌기(155)와, 상기 제1돌기(154)와 제2돌기(155)가 각각 삽입되는 제1,2장공(156a)(156b)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장공(156a)(156b) 사이가 창문(120)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바아(156)와, 상기 제1마찰부(130)(130')를 창문(12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1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방지용 창호.
  6. 삭제
KR1020060116299A 2006-11-23 2006-11-23 침입방지용 창호 KR100798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299A KR100798362B1 (ko) 2006-11-23 2006-11-23 침입방지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299A KR100798362B1 (ko) 2006-11-23 2006-11-23 침입방지용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362B1 true KR100798362B1 (ko) 2008-01-28

Family

ID=3921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299A KR100798362B1 (ko) 2006-11-23 2006-11-23 침입방지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3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399A (zh) * 2012-08-16 2012-11-28 广州市粤兴铝业有限公司 吊挂式推拉门防晃动装置
CN108505896A (zh) * 2018-03-16 2018-09-07 上海市格致中学 防坠玻璃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104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000030085A (ko) * 1999-11-02 2000-06-05 김학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000018409U (ko) * 1999-03-18 2000-10-16 장건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잠금 장치 창문
KR100624168B1 (ko) 2006-02-10 2006-09-13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104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000018409U (ko) * 1999-03-18 2000-10-16 장건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잠금 장치 창문
KR20000030085A (ko) * 1999-11-02 2000-06-05 김학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0624168B1 (ko) 2006-02-10 2006-09-13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399A (zh) * 2012-08-16 2012-11-28 广州市粤兴铝业有限公司 吊挂式推拉门防晃动装置
CN108505896A (zh) * 2018-03-16 2018-09-07 上海市格致中学 防坠玻璃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2032B2 (en) System for changing a locking state
US20050161000A1 (en) Window mounted pet door
EP1861573A1 (en) Operating system utilizing a delay-open function for a motorized barrier operator
EP1716307A2 (en) Motorized barrier operator system adaptable to different safety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the same
DE602005008400D1 (de) Kraftfahrzeugtür mit Kurzhubabsenkung der Fensterscheibe
KR100798362B1 (ko) 침입방지용 창호
KR100718290B1 (ko)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JP2006283506A (ja) 開閉体装置
KR101014366B1 (ko)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환기용 창문 구조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KR101114554B1 (ko) 침수방지용 건축물의 실내개폐문
KR102349413B1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JP3183380U (ja) 改良型外開き窓用スライド式網戸装置
WO2018178425A2 (es) Sistema y método de cierre motorizado
CA2707271A1 (en) Window with electrical connection to operable sash
KR100776806B1 (ko) 창문 개폐장치
KR20170099574A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061147B1 (ko) 소리 나는 도어 핸들
CN211776788U (zh) 一种自动开关窗
JP4746186B2 (ja) 開閉装置
KR101678951B1 (ko) 발열유리를 구비한 이동 창짝용 전원 인가 핸들 시스템
KR101754963B1 (ko) 도어구조
JP2019085853A (ja) 電動シャッター装置
JPS63151787A (ja) シャッターエンドスラットの気密安全装置
JP4854191B2 (ja) 開閉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