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085A -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085A
KR20000030085A KR1019990048208A KR19990048208A KR20000030085A KR 20000030085 A KR20000030085 A KR 20000030085A KR 1019990048208 A KR1019990048208 A KR 1019990048208A KR 19990048208 A KR19990048208 A KR 19990048208A KR 20000030085 A KR20000030085 A KR 2000003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closing
remote control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546B1 (ko
Inventor
김학겸
Original Assignee
김학겸
오토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겸, 오토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학겸
Priority to KR101999004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546B1/ko
Priority to KR2019990023896U priority patent/KR200175856Y1/ko
Publication of KR2000003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085A/ko
Priority to AU52539/00A priority patent/AU5253900A/en
Priority to CNB008013276A priority patent/CN1300438C/zh
Priority to PCT/KR2000/000613 priority patent/WO2000079689A2/en
Priority to EP00937355A priority patent/EP1114231A4/en
Priority to US09/763,169 priority patent/US6581332B1/en
Priority to JP2001504596A priority patent/JP200350253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이 구비된 창틀과, 이 창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유리가 설치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등의 거실 창문을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원공급용 레일(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창틀(10)의 레일(1)에 안내되는 활차(2)를 회전시켜 창문(30)을 창틀(10)에 대해 자동적으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서 창문(30)의 하부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창문이동수단(50)과; 창문(30)의 이동을 원격방식으로 제어하는 원격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60); 및 송신기(6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창문이동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되고, 창문이동수단(50)은 창문(30)의 외측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51)와, 창문의 자동 개폐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베이스부재(51)에 고정되며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타측단부가 회동 가능한 회전력발생수단(52)과, 이 회전력발생수단(52)의 회전력을 활차(2)에 전달하여 이를 회전시켜 창문(30)을 자동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활차회전수단(53)과, 창문(30)의 자동 개폐 작동 시에는 회전력발생수단(52)을 활차회전수단(53)에 계합시켜 회전력발생수단(52)으로부터의 회전력이 활차회전수단(53)에 전달되도록 하고, 창문(30)의 자동 개폐 작동 정지시 및 수동 개방 시에는 회전력발생수단(52)을 활차회전수단(53)으로부터 비계합시켜 회전력발생수단(52)으로부터의 회전력이 활차회전수단(5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승강수단(54) 및 이러한 수단들을 외측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55)로 구성되고, 또한 창문의 자동 개폐시 창문이 거의 닫히거나 열릴 경우 상기 창문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창문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 창문이동속도 감속수단과 방범장치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강제로 창문을 열 경우 이를 경보할 수가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고장시 대형이면서 무거운 창문을 창틀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없이 창문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원활하도록 하고, 리모콘에 의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개방이 용이함과 동시에 소음발생이 전혀 없으며, 리모콘에 의한 창문의 개폐시 창문이 거의 닫히거나 열릴 경우 모터의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창문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고,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창문을 열 경우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경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효율적인 방범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Automatic window open and close apparatus by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창문을 수평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의 대형 거실창문이나 발코니창문을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열거나 닫을 시에 창문의 속도를 용이하게 감속시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시 창문을 창틀로부터 제거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으며 또한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거실의 창문이나 발코니 창문은 방음 등을 위해 창문에 페어 그라스가 끼워져 있고 그에 따라 중량이 매우 무거운 바, 지금까지 창문을 열거나 닫기 위해서는 사람이 일일이 창문에 가서 이를 열거나 닫아야만 하였다.
그러나, 산업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가전제품들은 대부분 리모콘을 사용하여 원격조정이 되도록 설계되었던 바, 창문 역시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대형 건물 등에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2개의 투명유리 문을 동시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개폐시키는 자동 도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자동 도어장치는 문의 상부 내, 외측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하고, 내부에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장착하여 유압식으로 작동하거나, 모터나 로프를 이용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라이드 방식의 자동 도어장치는 별도의 감지센서를 도어의 상부 내, 외측에 2개를 설치하여야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접근했을 경우에만 도어가 열리도록 되는 것에 불과하였으며, 도어의 개폐 시에는 소음이 많게되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기술은 아파트와 같은 거실 및 발코니에 적용하기가 곤란하고, 설사 적용하더라도 개폐 시에는 소음이 많아 조용한 실내 분위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22755호(공개번호 제1999-68755호)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창문을 자동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2개의 모터와, 워엄, 워엄기어 및 이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워엄기어에 가압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활차로 이루어진 창문 이동장치를 창문의 상부프레임 내에 내장시켜 리모콘에 의해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워엄 및 워엄기어가 회전하게되고 그에 따라 활차가 회전됨으로써 창문을 원격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은 창문 개폐 시에 리모콘을 누르고 있는 동안 모터가 구동되어 창문이 개폐되도록 하였으나 창문이 완전히 닫히거나 열려졌을 때에만 마이크로스위치가 작동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 가속 이동중인 창문이 창틀에 심하게 부딪힘에 따라 창문에 심한 충격을 주게되어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발명은 창문 이동장치가 창문을 구성하는 상측프레임 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등이 파손되거나 할 경우에는 대형이면서 매우 무거운 발코니 창문을 창틀로부터 완전히 떼어낸 뒤 보수를 해야하지만 이러한 창문은 매우 무겁기 때문에 혼자서는 들 수 없어 2인 이상이 출장 수리를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수리시간 및 수리경비가 매우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발명은 활차가 스프링에 의해 워엄기어에 가압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하였으나, 수동으로 창문을 열고 닫을 경우 워엄기어와 활차간의 마찰음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고장시 대형이면서 무거운 창문을 창틀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없이 창문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원활하도록 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모콘에 의해 창문을 개폐할 경우에는 워엄이 워엄기어에 치합되어 작동하여 창문을 개폐할 수 있으며, 수동 개방 시에는 워엄이 워엄기어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수동 개폐가 용이함과 동시에 소음발생이 전혀 없도록 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콘에 의한 창문의 개폐시 창문이 거의 닫히거나 열릴 경우 모터의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창문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창문을 열 경우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방범기능을 구유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발코니 창에 적용하여 개폐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창문이동수단의 설치상태를 도시적으로 보인 창문의 정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창문이동수단의 커버를 제외한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4는 창문이동수단의 확대 조립단면도,
도5는 창문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6은 창문이동수단의 정지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문의 수동 및 자동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 록커의 해제 및 걸림상태를 보인 창문 및 창틀의 일부절단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창문을 자동적으로 원격제어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9는 도1에 도시된 발코니창의 창문을 원격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어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레일 2: 활차
2a: 활차회전축 10: 창틀
20: 페어그라스 30:창문
40:전원공급용 레일 50,50a,50b: 창문이동수단
51: 베이스부재 52: 회전력발생수단
52a: 홀더 52b: 워엄
53: 활차회전수단 53b: 워엄기어
54,91: 솔레노이드 55: 창문이동수단 커버
56: 탄력부재 60: 리모콘송신기
70: 제어수단 73: 제어부
81: 경보기회로 90: 록커
100: 록커해제수단 102: 회동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는 창틀의 레일에 안내되는 활차를 회전시켜 창문을 창틀에 대해 자동적으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서 창문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창문이동수단과; 창문의 이동을 원격방식으로 제어하는 원격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모콘송신기; 및 이 리모콘송신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창문이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이동수단은 창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창문의 닫힘 및 열림측에서 창문의 하부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창문이동수단들로 구성되는바, 이 각각의 창문이동수단들은 창문의 외측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와, 창문의 자동 개폐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며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타측단부가 회동 가능한 회전력발생수단과, 이 회전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활차에 전달하여 활차를 회전시켜 창문을 자동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활차회전수단과, 창문의 자동 개폐 작동 시에는 회전력발생수단을 활차회전수단에 계합시켜 회전력발생수단으로부터의 회전력이 활차회전수단에 전달되도록 하고, 창문의 자동 개폐 작동 정지시 및 수동 개방 시에는 회전력발생수단을 활차회전수단으로부터 비계합시켜 회전력발생수단으로부터의 회전력이 활차회전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승강수단 및 이들 수단들을 외측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베이스부재는 창문의 외측에 직접 장착되는 제1베이스판과, 이 제1베이스판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2베이스판으로 구성되고, 창문의 개폐시 제2베이스판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기 위해서 제1베이스판과 제2베이스판 사이에는 다수의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중요한 회전력발생수단은 베이스부재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타측단부가 회동 가능한 홀더와, 창문의 자동 개폐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정, 역회전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워엄 및 홀더의 타측단부에 장착되어 승강수단에 연결된 승강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활차회전수단은 베이스부재의 브래킷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워엄기어와, 이 워엄기어에 장착되어 활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승강수단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창문이동수단은 창문의 초기 자동 개폐시 승강수단을 먼저 작동시켜 회전력발생수단이 활차회전수단과 계합되도록 한 뒤 소정 시간 경과후 회전력발생수단을 작동시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지연수단을 구비하며, 리모콘송신기에 의한 창문의 자동 개폐시 창문이 거의 닫히거나 열릴 경우 창문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창문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 창문이동속도 감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 창문이동속도 감속수단은 창문이동수단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와, 창틀에 설치된 자석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송신기에 의한 창문의 오픈 시에는 창문의 열림측에 설치한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창문의 열림이 제어되고, 리모콘송신기에 의한 창문의 닫음 시에는 창문의 닫힘측에 설치한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창문의 닫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고, 창문의 수동 개폐 시에는 상기와 같은 리드스위치의 감지신호와는 전혀 무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창문을 열 경우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방범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 방범수단은 창문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방범센서와, 경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보기로 구성되고, 경보신호는 램프에 의한 시각적신호 또는 경광등에 의한 시각 및 청각적신호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보신호는 유선이나 무선방식으로 사용자(또는 거주자)나 인근 경찰관서 또는 방범경비업체 등에 전달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창문이 완전히 닫혔을 경우 창문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창틀에 록킹되는 록커를 더 포함하는바, 이 록커는 창문이동수단이 작동될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해 창틀에 대한 록킹을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닫혀진 창문을 수동으로 열기 위해 록커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록커해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가 적용되는 발코니창(100)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발코니창(100)은 레일(1)이 구비된 창틀(10)과, 창틀(10)의 레일(1)을 따라 수평 이동되며 유리(20)가 설치되는 창문(3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코니창(100)에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창문이동수단(50)을 개폐되는 창문(30)의 하부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켜 창문(30)을 리모콘 송신기(60)(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한다)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자동 개폐시키고, 또한 수동으로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에는 전원공급용 레일(40)이 창틀(10)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는데 이 레일(40)에는 창문(30)에 설치된 전기접점(31)이 항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창문(30)이 수평 이동하더라도 소정의 직류전압(예컨대 12-30V)을 이후 설명하는 창문이동수단(50)등에 공급토록 한다. 이를 위해서 도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창문(30)의 골재내부에는 전기접점(31)으로부터 창문이동수단 및 솔레노이드와 같이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기부품까지 전선이 배선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비록 도1에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창문이동수단(50)이 창문(30)의 하부 외측(여기에서 외측이라는 용어는 창문골재의 외측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거실측 즉, 사용자가 리모콘으로서 조작할 수 있는 거실쪽을 의미한다)에 설치되어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창문(3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명세서의 이해를 돕고 또한 페어그라스(20)가 창문(30)에 장착되면 창문의 하중이 매우 무거운 점을 감안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시 수리를 위해 창문(30)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이동수단(50)은 전원공급용 레일(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창틀(10)의 레일(1)에 안내되는 활차(2)를 회전시켜 창문(30)을 창틀(10)에 대해 자동적으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서 창문(3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창문이동수단(50)은 창문(30)의 자동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창문(30)의 열림측 및 닫힘측에서 창문(30)의 하부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창문이동수단(50a),(50b)으로 구성된다.
비록 본 발명에 이용되는 창문이동수단(50)의 제1 및 제2창문이동수단(50a), (50b)이 창문(30)의 열림측(도1 및 도2에서 좌측) 및 닫힘측(도1 및 도2에서 우측)에서 창문(30)의 하부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및 제2창문이동수단(50a),(50b)은 창문(30)의 중앙 하부외측에 1개만이 설치되고 창문(30)의 하부 좌, 우측에는 활차(2)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창문(30)의 하부 좌 우측 중 어느 한 곳에만 설치되고 창문(30)의 하부 좌, 우측 중 나머지 다른 곳에는 활차만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창문(30)의 하중이 매우 무거운 점을 감안하여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시 수리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매우 무거운 창문(30)을 원활하게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창문이동수단(50a),(50b)이 동시에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3에는 창문이동수단(50)중 한 개의 창문이동수단(50a)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나머지 창문이동수단(50b)은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부품들의 배열만이 상이할 뿐 창문이동수단(50a)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1개의 창문이동수단(50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이동수단(50a)은 창문(3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이스부재(51)를 포함하는데, 이 베이스부재(51)는 창문(30)의 외측에 직접 장착되는 제1베이스판(51a)과, 이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2베이스판(51b)으로 구성되고, 제1베이스판(51a)과 제2베이스판(51b) 사이에는 창문(30)의 개폐시 제2베이스판(51b)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완충부재(56)가 더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완충부재(56)는 제1베이스판(51a)의 중앙부에 고정된 나사축(56a)이 삽입된 고탄력부재(예컨대 경질고무나 이에 상응하는 것)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나사축(56a)에는 제2베이스판(51b)의 개구(151)가 관통하여 너트(152)가 나삽 됨으로써 제1베이스판(51a)과 제2베이스판(51b)을 상호 결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제2베이스판(51b)에는 회전력발생수단(52)이 장착되어 창문(30)의 자동 개폐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바, 이 회전력발생수단(52)은 도6에서와 같이 힌지(153)를 중심으로 타측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회전력발생수단(52)은 베이스부재(51)의 제2베이스판(51b)에 장착되며 힌지(153)를 중심으로 타측단부가 회동 가능한 홀더(52a)와, 창문(30)의 자동 개폐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정, 역회전 가능한 2개의 모터(M)를 포함하고, 이들 모터(M)의 회전축에는 워엄(52b)을 장착하였다. 여기에서 힌지(153)에는 홀더(52a)를 끼운후 너트(153a)를 나삽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모터(M)는 워엄(52b)을 매개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강력한 마력을 내도록 하였으며 혹시 어느 한 개의 모터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한 개의 모터(M)가 작동하여 창문(30)을 개폐시키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이들 모터(M)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각각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더(52a)의 타측단부에는 승강봉(52c)이 장착되어 이후 설명할 승강수단(54)에 의해 홀더(52a)가 힌지(153)를 중심으로 도5 및 도6과 같이 회동되도록 하였다.
한편 회전력발생수단(52)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활차회전수단(53)을 매개로 활차(2)에 전달됨으로써 활차(2)가 회전되어 창문(30)이 수평적으로 개폐될 수가 있는바, 이 활차회전수단(53)은 제2베이스판(51b)에 형성된 브래킷(53a)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워엄기어(53b)와, 이 워엄기어(53a)에 장착되어 활차(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53c)으로 구성되며, 회전축(53c)의 끝단부 근처에는 워엄기어(53b)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차(2)에 전달하기 위해 활차(2)의 축(2a)에 삽입되는 핀(53d)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핀(53d) 및 활차축(2a)의 형상은 기타의 것(예컨대 사각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베이스판(51b)에는 승강수단(54)이 장착되는바, 이 승강수단(54)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솔레노이드(54)의 엑츄에이터 봉(54a)에 형성된 관통공(54b)에는 승강봉(52c)이 삽입 연결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54)는 창문(30)의 자동 개폐 작동시에는 회전력발생수단(52)을 구성하는 워엄(52b)을 활차회전수단(53)의 워엄기어(53b)에 치합시켜 모터(M)로부터의 회전력이 워엄(52b)을 매개로 워엄기어(53b)에 전달되도록 하고, 창문(30)의 자동 개폐 작동 정지시 및 수동 개방 시에는 워엄(52b)을 워엄기어(53b)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모터(M)로부터의 회전력이 워엄기어(53b)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결국 리모콘에 의한 창문(30)의 자동 개폐 시에만 솔레노이드(54)가 작동하여 워엄(52b)과 워엄기어(53b)가 도5에서와 같이 치합되어 창문(30)을 자동모드(원격제어모드)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창문(30)의 수동 개방 시에는 솔레노이드(54)가 작동하지 않아 워엄(52b)과 워엄기어(53b)가 도6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창문(30)을 자유로이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수동 개폐시 소음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도8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어수단(70)의 개략적 블록도인바, 제어수단(7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창문이동수단(50a),(50b)은 창문(30)의 초기 자동 개폐시 솔레노이드(54)를 먼저 작동시켜 회전력발생수단(52)의 워엄(52b)이 활차회전수단(53)인 워엄기어(53b)와 치합되도록 한 뒤 소정 시간 경과후 회전력발생수단(52)의 모터(M)를 작동시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지연회로(171a)(171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연회로(171a)(171b)는 저항과 콘덴서(도시하지 않았음)와 같은 시정수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콘(60)에 의한 창문(30)의 자동 개폐시 창문(30)이 거의 닫히거나 열릴 경우 창문(30)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창문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 창문이동속도 감속수단을 구비하였는바, 이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창문이동수단(50a),(50b)에 설치된 리드스위치(sw1)(sw2)와, 창틀(10)에 설치된 자석(MA1),(MA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송신기(60)에 의한 창문(30)의 오픈 시에는 창문의 열림측에 설치된 창문이동수단(50a)의 리드스위치(sw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모터(M) 및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제어되고, 송신기(60)에 의한 창문(30)의 닫음 시에는 창문의 닫힘측에 설치된 창문이동수단(50b)의 리드스위치(sw2)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모터(M) 및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창문(3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창문(30)을 열 경우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방범수단이 구비하였는바,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1,2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30)의 열림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방범용 리드스위치(sw3)를 창문(30)의 하부에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창틀(10)에는 방범용 자석(MA3)을 설치하였으며 창문(30)의 적당한 곳에는 방범용 리드스위치(sw3)의 작동시 경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보기회로(81)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출하거나 야간에 외부로부터 도둑이나 강도가 잠겨져 있던 창문(30)을 열고 침입했을 경우에는 경보기회로(81)가 작동함으로써 사용자는 누군가가 집에 들어왔음을 알 수가 있게된다. 여기에서 창문(30)이 열렸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로는 예컨대 불빛에 의한 시각적신호 또는 경광등에 의한 시각 및 청각적신호일 수도 있고 경보기회로(81)에 별도의 방범장치를 연결할 경우에는 유선이나 무선으로 미리 입력한 긴급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웃이나 경찰관서 또는 경비실에 알릴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창문(30)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혀졌을 경우 창문이동수단(5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켜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또한 창문(30)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혔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람이 리모콘(60)의 열림버튼이나 닫힘버튼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음에 따른 모터(M)의 과부하상태를 방지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창문(30)에는 마이크로스위치(sw4),(sw5)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30)이 완전히 닫혀질 경우 창문(30)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록커(90)가 창틀(10)에 록킹되도록 하였는바, 이 록커(90)는 솔레노이드(91)에 의해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커(90)는 리모콘(60)을 누를 경우(창문을 열고자 할 경우) 무엇보다도 솔레노이드(91)가 작동하여 창틀(10)에 대한 록킹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닫혀진 창문(30)을 수동으로 열기 위해서 록커(90)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록커해제수단(100)이 도7에 도시되어 있는바, 록커해제수단(100)은 스프링(101)에 의해 탄력 회동되는 회동부재(102)를 포함하고, 이 회동부재(102)는 창문(30)을 수동으로 열거나 닫을 때 사람이 잡고 돌려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200)와 연동되도록 하였으며, 창문(30)의 닫음 및 열음시 회동부재(102)의 상하측 면(102d),(102b)이 상하측에 있는 스토퍼(102c)에 걸려 손잡이(20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은 손잡이(200)를 잡고서 창문(30)을 용이하게 열거나 닫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록커(90)에는 스프링(92)이 연결되어 손잡이(200)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을 경우 록커(90)가 창틀(10)에 록킹되도록 하였으며 솔레노이드(91)와 록커(90)는 작동바(93)로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제2베이스판(51b)에는 홀더(52a)의 작동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리미트 바(limit bar)(154)가 설치되고, 이 리미트 바(154)는 홀더(52a)에 형성된 가이드공(52d)에 끼워진뒤 너트(154a)를 체결함으로써 도5에서와 같이 회전력발생수단(52)이 활차회전수단(53)에 계합될 경우는 가이드공(52d)의 상측부에 걸리고, 회전력발생수단(52)이 활차회전수단(53)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는 도6에서와 같이 가이드공(52d)의 하측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솔레노이드(54)의 오프시 스프링(54c)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홀더(52a)가 과도하게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베이스판(51b)의 우측에 있는 참조번호 PCB는 모터(M)와 솔레노이드(54) 및 각종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전자 회호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다.
한편 도4를 참조하면 활차(2)는 창문(30)을 이루는 골재의 내부에 통상의 방식으로 장착되는바, 활차홀더(21)는 적당한 방식(예컨대 나사고정방식)으로 창문(30)의 골재 내부에 장착되고, 활차(2)의 회전축(2a)이 삽입되는 활차홀더(21)부위에는 활차(2)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2a)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도면 부호 생략)이 내장되어 있으며, 축(2a)에 대한 활차(2)의 고정방법은 공지기술은 키 및 키이 홈 결합(도면 부호 생략)이 이용되었다.
도8에는 창문(30)의 이동을 원격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는바, 송신기(60)에서 발생된 전원신호, 창문열림 및/또는 창문닫힘 제어신호는 창문이동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70)의 신호수신부(71)에 수신되고 제어에 필요한 신호는 파형정형부(72)에서 파형이 정형된 뒤 제어부(73)에 입력되고, 제어부(73)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판단하여 예컨대 12-30V의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각부장치를 제어하게 되는바,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모터구동기(172a),(172b)는 지연회로(172a),(172b)를 매개로 구동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리모콘(60)을 조작하여 창문을 열거나 닫을 경우 솔레노이드(54)와 모터(M)가 동시에 작동되면 워엄(52b)이 워엄기어(53b)와 치합될시 각각의 치차에 손상을 줄 수 있고 그에 따른 소음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모터(M)의 작동타이밍을 솔레노이드(54)보다 약간 지연시킴으로써 이러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창문(30)이 닫힌 상태에서 도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방향으로 창문(30)을 열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60)의 전원스위치(ON/OFF)를 누르면 도8에 도시된 제어부(73)는 솔레노이드(54)와 솔레노이드(91)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는바, 이 경우 솔레노이드(54)는 도6의 상태에 있다가 도5의 상태로 전환되며 솔레노이드(91)는 록커(90)를 해제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록커(90)가 해제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54)가 작동하여 회전력발생수단(52)의 홀더(52a)가 활차회전수단(53)쪽으로 하강하게되고 그에 따라 워엄(52b)이 워엄기어(53b)에 치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모터구동기(172a),(172b)는 지연회로(172a),(172b)가 작동하는 관계로 현재까지는 작동 정지 중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60)의 창문열림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모터(M)가 소정의 시간 경과 후(즉 워엄52b와 워엄기어53b의 치합이 완료된 후) 정회전을 하게되고, 이 경우 도5에 도시된 모터(M)의 회전축에 장착된 워엄(52b)이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워엄기어(53b)가 회전하고, 이때 축(53)에 고정된 활차(2)역시 회전됨으로써 창문(30)은 도1의 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만약에 이러한 이동 중에 누르고 있던 창문열림버튼(◀)을 해제하면 모터(M)와 솔레노이드(54)에 공급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모터(M)는 정지되고 솔레노이드(54)는 다시 도6과 같이 작동하여 워엄(52b)이 워엄기어(53b)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창문(30) 역시 열림동작을 정지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터(M)를 작동시켜 창문(30)이 계속적으로 열릴 경우 창문이동수단(50)의 제1창문이동수단(50a)내에 설치한 리드스위치(sw1)(도2 참조)가 창틀(10)에 설치한 자석(MA1)을 통과할 시 리드스위치(sw1)는 자동으로 오프되어 도8에 도시된 제어부(73)에 신호를 제공하게된다. 이때 모터(M)의 작동이 디스에이블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54)가 오프됨으로써 순간적으로 이들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M)와 솔레노이드(54)가 정지되었다가 다시 작동될 경우에는 소정의 지연시간만큼의 시간이 경과된 뒤에야 비로소 모터(M)에 의해 워엄(52b) 및 워엄기어(53b)가 회전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리드스위치(sw1)와 자석(MA1)을 이용하여 창문(30)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따라서, 창문 열림시 리드스위치(sw1)가 자석(MA1)에 의해 순간적으로 오프되었다가 온되면 지연회로에 의한 시간동안 만큼 창문(30)의 이동속도가 감속된 뒤 다시 창문(30)은 계속적으로 열릴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열림 작동시에 창문이 완전히 열릴 경우 마이크로스위치(sw4)가 작동하게 되는바, 이 경우 제어부(73)는 모터구동기(172a),(172b)의 작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54)의 작동을 정지시켜 모터(M)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창문(30)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창문을 닫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전원스위치(ON/OFF)를 누른 뒤 리모콘(60)의 창문닫힘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솔레노이드(54)가 작동된 뒤 소정시간 경과 후 모터(M)가 역회전함으로써 창문(30)이 닫히게 된다.
만약에 이러한 이동 중에 누르고 있던 창문닫힘버튼(▶)을 해제하면 모터(M)와 솔레노이드(54)에 공급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모터(M)는 정지되고 솔레노이드(54)는 다시 도6과 같이 작동하여 워엄(52b)이 워엄기어(53b)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창문(30)역시 닫힘동작을 정지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터(M)를 작동시켜 창문(30)이 계속적으로 닫혀질 경우 창문이동수단(50)의 제1창문이동수단(50b)내에 설치한 리드스위치(sw2)(도2 참조)가 창틀(10)에 설치한 자석(MA2)을 통과할 시 리드스위치(sw2)는 자동으로 오프되어 도8에 도시된 제어부(73)에 신호를 제공하게된다. 이때 모터(M)의 작동이 디스에이블 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54)가 오프됨으로써 순간적으로 이들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 닫음시 리드스위치(sw2)가 자석(MA2)에 의해 순간적으로 오프 되었다가 온 되면 지연회로에 의한 시간동안 만큼 창문(30)의 이동속도가 감속된 뒤 다시 창문(30)은 계속적으로 닫혀질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닫힘 작동시에 창문이 완전히 닫혀질 경우 마이크로스위치(sw5)가 작동하게 되는바, 이 경우 제어부(73)는 모터구동기(172a),(172b)의 작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54)의 작동을 정지시켜 모터(M)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며 도7에 도시된 록커(90)는 창틀(10)에 록킹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창문(30)이 완전히 닫힌상태에서 야간이나 외출시 외부에서 창문(30)을 강제적으로 열을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창문이동수단(50b)에 설치한 방범용 리드스위치(sw3)가 방범용 자석(MA3)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이 경우에는 리드스위치(sw3)가 작동하여 제어부(73)에 신호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경보기회로(81)가 작동함으로써 누군가가 집에 들어왔음을 알 수가 있게된다. 따라서 불빛에 의한 시각적신호 또는 경광등에 의한 시각 및 청각적신호 또는 유선이나 무선으로 미리 입력한 긴급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웃이나 경찰관서 또는 경비실에 경보할 수 있음으로써 도난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닫혀진 문을 수동으로 열거나 닫고자 할 경우에는 도7에 도시한 손잡이(200)를 화살표방향으로 돌리면 손잡이(200)와 일체로 결합한 회동부재(102) 역시 회동하게 되는바, 회동부재(102)의 돌출턱(102a)이 록커(90)의 돌출턱(90a)을 밀어 주게되고 그에 따라 록커(90)의 자유단부는 회전축(90b)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창틀(10)에 대한 록킹이 해제된다.
이렇게 창틀(10)로부터 록커(90)가 언록킹 된 상태에서 사람이 손잡이(200)를 화살표방향으로 더 돌리면 회동부재(102a)의 평면부(102b)는 스토퍼(102c)와 계합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되어 손잡이(200)를 시계방향으로 잡아당겨 창문을 열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손잡이(200)를 이용하여 창문(30)을 열 수 있는 이유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4)가 정지할 경우에는 워엄(52b)과 워엄기어(53b)가 분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워엄기어(53b)는 자유회전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손잡이(200)를 이용하여 창문(30)을 자유로이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열려진 창문(30)을 수동으로 닫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부재(102)의 일측면(102d)이 상측스토퍼(102c)와 걸리게 되므로 손잡이(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잡아당김으로써 창문(30)을 수동으로 닫을 수 있는 것이다.
도9에는 본 발명에 따라 창문(30)을 원격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어부(73)의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설명한다.
우선 창문(30)이 닫힌 상태에서는 방범기능이 수행되는바,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30)이 강제적으로 열렸을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S1)에서 스텝(S2)으로 진행되어 제어부(73)는 경보기회로(81)를 작동시켜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신호 또는 유선이나 무선방식으로 이를 외부에 경보하게 됨으로써 도난 등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스텝S3).
한편 창문(30)이 닫힌 상태에서 사람이 창문(30)을 리모콘(60)에 의해 원격방식으로 열고자 할 경우 리모콘(60)의 전원스위치(ON/OFF)를 누르면 프로그램은 스텝(S4)에서 스텝(S5)으로 진행되는바, 이때 제어부(73)는 그 다음 입력되는 신호가 창문열림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리모콘(60)에 있는 창문열림버튼(◀)을 누를 경우 제어부(73)는 도7에 도시된 솔레노이드(91)와 창문이동수단(50)의 솔레노이드(54)를 작동시켜 록커(90)가 창틀(10)로부터 해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력발생수단(52)의 홀더(52a)의 자유단부가 힌지(153)를 중심으로 도5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내려와서 워엄(52b)과 워엄기어(53b)가 치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73)는 지연회로(171a),(172b)를 작동시켜 솔레노이드(54)에 의해 워엄(52b)이 워엄기어(53b)에 완전히 치합될 때까지 모터(M)의 구동을 지연시키도록 한다(스텝 S6).
이렇게 솔레노이드(91)가 작동하여 록커(90)가 창틀(10)로부터 해제되고 솔레노이드(54)가 작동하는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73)는 그때서야 워엄(52b)과 워엄기어(53b)가 치합된 상태에서 창문이동수단(50)의 각 모터(M)를 회전시켜 창문(30)을 열도록 한다(스텝S7,S8).
그런데 이러한 창문(30)의 열림 시에 제1창문이동수단(50a)에 설치한 리드스위치(sw1)가 작동할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스텝(S9)에서 스텝(S10)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11)으로 진행되어 리드스위치(sw1)로부터의 신호를 기다린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60)에 있는 창문열림버튼(◀)을 오프시키지 않는 한 창문(30)은 계속적으로 열리게 되지만, 창문열림버튼(◀)을 오프시키면 프로그램은 종료되어 모터(M)와 솔레노이드(54)의 작동은 정지됨으로써 창문(30)의 열림동작은 정지된다.
한편 창문(30)의 열림시 창문이동수단(50a)에 설치한 리드스위치(sw1)가 창틀(10)에 설치한 자석(MA1)을 지나게 되면 리드스위치(sw1)가 순간적으로 오프되었다가 온 되는바, 이때 모터(M)와 솔레노이드(54)가 오프 되었다가 온 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연회로(171a),(171b)에 의해 모터(M)가 솔레노이드(54) 보다 소정의 시간 후에 다시 작동하게 됨으로써 창문(30)은 다시 열리게된다(스텝S12,13).
따라서, 자석(MA1)이 있는 부근에서 창문(30)의 열림속도는 감속되어 창문(30)이 창틀(10)에 무리하게 부딪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창문(30)이 자석(MA1)근처에서 이동속도를 감속하다가 다시 열리는 도중에 사용자가 창문열림버튼(◀)을 오프시키면 프로그램은 스텝(S14)에서 스텝(S15)으로 진행되어 마이크로스위치(sw4)의 작동상태를 계속 감지하지만, 마이크로스위치(sw4)가 작동하면(즉 창문이 완전히 열리면), 제어부(73)는 솔레노이드(54)와 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램은 스텝(S14)에서 스텝(S16)으로 진행된다.
한편 창문(30)이 열린 상태에서 사람이 창문(30)을 리모콘(60)에 의해 원격방식으로 닫고자 할 경우 제어부(73)는 현재 입력되는 신호가 창문닫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스텝S21). 만약에 사용자가 리모콘(60)에 있는 창문닫힘버튼(▶)을 누를 경우 제어부(73)는 도2에 도시된 창문이동수단(50)의 솔레노이드(54)를 작동시켜 회전력발생수단(52)의 홀더(52a)의 자유단부가 힌지(153)를 중심으로 도5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내려와서 워엄(52b)과 워엄기어(53b)가 치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73)는 지연회로(171a),(172b)를 작동시켜 솔레노이드(54)에 의해 워엄(52b)이 워엄기어(53b)에 완전히 치합될 때까지 모터(M)의 구동을 지연시키도록 한다(스텝 S22).
이렇게 솔레노이드(54)가 작동하는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73)는 그때서야 워엄(52b)과 워엄기어(53b)가 치합된 상태에서 창문이동수단(50)의 각 모터(M)를 회전시켜 창문(30)을 닫도록 한다(스텝S23,S24).
그런데 이러한 창문(30)의 닫힘 시에 제2창문이동수단(50b)에 설치한 리드스위치(sw2)가 작동할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스텝(S25)에서 스텝(S26)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27)으로 진행되어 리드스위치(sw2)로부터의 신호를 기다린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60)에 있는 창문닫힘버튼(▶)을 오프시키지 않는 한 창문(30)은 계속적으로 닫히게 되지만, 창문닫힘버튼(▶)을 오프시키면 프로그램은 종료되어 모터(M)와 솔레노이드(54)의 작동은 정지되어 창문(30)의 닫힘동작은 정지된다.
한편 창문(30)의 닫힘시 창문이동수단(50b)에 설치한 리드스위치(sw2)가 창틀(10)에 설치한 자석(MA2)을 지나게 되면 리드스위치(sw2)가 순간적으로 오프되었다가 온되는바, 이때 모터(M)와 솔레노이드(54)가 오프되었다가 온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연회로(171a),(171b)에 의해 모터(M)가 솔레노이드(54) 보다 소정의 시간 후에 다시 작동하게 됨으로써 창문(30)은 다시 닫히게된다(스텝S28,29).
따라서, 자석(MA2)이 있는 부근에서 창문(30)의 닫힘속도는 감속되어 창문(30)이 창틀(10)에 무리하게 부딪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창문(30)이 자석(MA2)근처에서 이동속도를 감속하다가 다시 닫히는 도중에 사용자가 창문닫힘버튼(▶)을 오프시키면 프로그램은 스텝(S30)에서 스텝(S31)으로 진행되어 마이크로스위치(sw5)의 작동상태를 계속 감지하는데, 마이크로스위치(sw5)가 작동하면(즉 창문이 완전히 닫히면), 제어부(73)는 솔레노이드(54)와 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램은 스텝(S30)에서 스텝(S32)으로 진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리모콘(60)에 있는 창문열림/닫힘버튼(◀/▶)을 누름에 따라 창문(30)이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고 더욱이 이러한 창문(30)의 이동시에 리드스위치가 자석 위를 지나갈 때에는 이동중인 창문의 이동속도를 감속할 수 있어 종래에서와 같이 창문이 창틀에 과도하게 부딪치지 않게 되고, 더욱이 본 발명은 창문의 하부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고장시 수리가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고장시 대형이면서 무거운 창문을 창틀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없이 창문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원활하도록 하고, 리모콘에 의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개방이 용이함과 동시에 소음발생이 전혀 없으며, 리모콘에 의한 창문의 개폐시 창문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창문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고,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창문을 열 경우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경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효율적인 방범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변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창문이동수단(50)은 창문의 하부 외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창문(30)의 상부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으며, 창문(30)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스위치와 자석은 접촉식 스위치, 기계적 스위치 또는 광 스위치로 대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8)

  1. 레일(1)이 구비된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레일(1)을 따라 수평 이동되며 유리(20)가 설치되는 창문(30) 및 상기 창틀(10)의 레일(1) 벽을 따라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용 레일(40)로 이루어진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용 레일(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창틀(10)의 레일(1)에 안내되는 활차(2)를 회전시켜 상기 창문(30)을 창틀(10)에 대해 자동적으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창문(30)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창문이동수단(50)과;
    상기 창문(30)의 이동을 원격방식으로 제어하는 원격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60); 및
    상기 송신기(6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창문이동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동수단(50)은 상기 창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창문(30)의 열림측 및 닫힘측에서 창문(30)의 하부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창문이동수단(50a),(50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창문이동수단(50a),(50b)은,
    상기 창문(30)의 외측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51)와,
    상기 창문의 자동 개폐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부재(51)에 고정되며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타측단부가 회동 가능한 회전력발생수단(52)과,
    상기 회전력발생수단(5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활차(2)에 전달하여 상기 활차(2)를 회전시켜 상기 창문(30)을 자동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활차회전수단(53)과,
    상기 창문(30)의 자동 개폐 작동시에는 상기 회전력발생수단(52)을 상기 활차회전수단(53)에 계합시켜 상기 회전력발생수단(52)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상기 활차회전수단(53)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창문(30)의 자동 개폐 작동 정지시 및 수동 개방시에는 상기 회전력발생수단(52)을 상기 활차회전수단(53)으로부터 비계합시켜 상기 회전력발생수단(52)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상기 활차회전수단(5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승강수단(54) 및,
    상기 수단들을 외측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5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51)는 창문(30)의 외측에 직접 장착되는 제1베이스판(51a)과, 상기 제1베이스판(51a)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2베이스판(51b)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30)의 개폐시 상기 제2베이스판(51b)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베이스판(51a)과 제2베이스판(51b) 사이에는 다수의 완충부재(56)가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발생수단(52)은,
    상기 베이스부재(51)의 제2베이스판(51b)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타측단부가 회동 가능한 홀더(52a)와,
    상기 창문(30)의 자동 개폐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정, 역회전 가능한 적어도 1개 이상의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회전축에 장착된 워엄(52b) 및,
    상기 홀더(52a)의 타측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수단(54)에 연결된 승강봉(52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회전수단(53)은 상기 베이스부재(51)의 제2베이스판(51b)에 형성된 브래킷(53a)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워엄기어(53b)와, 상기 워엄기어(53a)에 장착되어 상기 활차(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53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54)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창문이동수단(50a),(50b)은 창문(30)의 초기 자동 개폐시 상기 승강수단(54)을 먼저 작동시켜 회전력발생수단(52)이 활차회전수단(53)과 계합되도록 한뒤 소정 시간 경과후 상기 회전력발생수단(52)을 작동시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지연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의한 창문(30)의 자동 개폐시 창문(30)이 거의 닫히거나 열릴 경우 상기 창문(30)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창문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 창문이동속도 감속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동속도 감속수단은 상기 각각의 창문이동수단(50a),
    (50b)에 각각 설치된 리드스위치(sw1), (sw2)와, 창틀(10)에 설치된 자석(MA1), (MA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의한 창문(30)의 오픈시에는 창문의 열림측에 설치된 창문이동수단(50a)의 리드스위치(sw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모터(M) 및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송신기에 의한 창문(30)의 닫음시에는 창문의 닫힘측에 설치된 창문이동수단(50b)의 리드스위치(sw2)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모터(M) 및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3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외측에서 강제적으로 창문(30)을 열 경우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방범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방범수단은 창문(30)의 열림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방범용 스위치(sw3)와, 상기 방범용 스위치(sw3)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자석(MA3) 및 상기 방범용 스위치(sw3)의 작동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의 경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보기회로(8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경보신호는 램프에 의한 시각적신호 또는 경광등에 의한 시각 및 청각적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30)이 완전히 닫혔을 경우 상기 창문(30)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창틀(10)에 록킹되는 록커(9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90)는 창문이동수단(50)이 작동될 경우 솔레노이드(91)에 의해 창틀(10)에 대한 록킹이 자동적으로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닫혀진 창문(30)을 수동으로 열기 위해 상기 록커(90)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록커해제수단(10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동수단(50)은 창문(30)의 상부 외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19990048208A 1999-06-17 1999-11-02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0300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208A KR100300546B1 (ko) 1999-11-02 1999-11-02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19990023896U KR200175856Y1 (ko) 1999-11-02 1999-11-03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AU52539/00A AU5253900A (en) 1999-06-17 2000-06-12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CNB008013276A CN1300438C (zh) 1999-06-17 2000-06-12 玻璃窗自动开闭用的遥控装置
PCT/KR2000/000613 WO2000079689A2 (en) 1999-06-17 2000-06-12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EP00937355A EP1114231A4 (en) 1999-06-17 2000-06-12 REMOTELABLE DEVICE FOR OPENING / CLOSING A WINDOW
US09/763,169 US6581332B1 (en) 1999-06-17 2000-06-12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JP2001504596A JP2003502535A (ja) 1999-06-17 2000-06-12 遠隔操作可能な窓の自動開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208A KR100300546B1 (ko) 1999-11-02 1999-11-02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896U Division KR200175856Y1 (ko) 1999-11-02 1999-11-03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85A true KR20000030085A (ko) 2000-06-05
KR100300546B1 KR100300546B1 (ko) 2001-11-02

Family

ID=1961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208A KR100300546B1 (ko) 1999-06-17 1999-11-02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5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62B1 (ko) * 2006-11-23 2008-01-28 김창수 침입방지용 창호
KR100972136B1 (ko) * 2008-02-01 2010-07-23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 자동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78B1 (ko) * 2014-04-04 2014-10-22 (주)메티스 전력소모를 절감한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KR101737564B1 (ko) 2015-07-08 2017-05-29 채창호 미닫이형 창호 자동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319B1 (ko) * 1999-06-17 2001-01-15 김학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62B1 (ko) * 2006-11-23 2008-01-28 김창수 침입방지용 창호
KR100972136B1 (ko) * 2008-02-01 2010-07-23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 자동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0546B1 (ko) 200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1332B1 (en)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EP0737789B1 (en) Electronic safety-lock
US6089626A (en) Security device for a movable closure and method therefor
US6035676A (en) System for remote operation of a deadbolt lock
US5222327A (en) Side mount garage door operator
EP1672151A2 (en) Window lock and window opening and closing system
EP1165923B1 (en) Disconnect for sectional door operator
MXPA04002019A (es) Prevencion de accenso no autorizado a cajas de ascensor.
MXPA04003559A (es) Operador de movimiento de barrera que incluye caracateristica de temporizador para cerrar.
KR100704451B1 (ko) 문 자동개폐장치
KR100300546B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GB2464520A (en) Frame-mounted lock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control
KR200175856Y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0341118B1 (ko) 디지털 보조 도어록
JP2006097237A (ja) 窓ないし戸の開閉装置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KR100278319B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EP0995178B1 (en) Article displacement indication
EP1014322B1 (en) Burglary prevention apparatus particularly for protecting apartments and the like
JP2005213778A (ja) 施錠装置
GB2297584A (en) A double-hung window arrangement and an electrical window operator for operating an upper sash of such an arrangement
BG64064B1 (bg) Електромеханична брава с дистанционно управление
JPH063958Y2 (ja) 電動ガレ−ジ扉のクラツチ
JPH07180447A6 (ja) ガレージの扉開閉装置
JPH028485A (ja) 引戸クロ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