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136B1 - 창문 자동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자동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136B1
KR100972136B1 KR1020080010671A KR20080010671A KR100972136B1 KR 100972136 B1 KR100972136 B1 KR 100972136B1 KR 1020080010671 A KR1020080010671 A KR 1020080010671A KR 20080010671 A KR20080010671 A KR 20080010671A KR 100972136 B1 KR100972136 B1 KR 10097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aught
locking
bracket
automa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464A (ko
Inventor
이장우
김범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8001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1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1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05C9/12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창문을 잠글 수 있는 창문 자동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창문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틀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창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는 가동부로 구성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틀과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장방변 일측에 결합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창문틀과 상기 창문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의 장방변에 설치되어 상기 창문이 닫힐 때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가 걸린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피걸림수단과, 상기 피걸림수단을 상기 창문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된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함에 있어서 창문이 잠겨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라도 편리하게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창문, 잠금장치

Description

창문 자동 잠금장치{AUTOMATIC LOCKING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된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함에 있어서 창문이 잠겨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라도 편리하게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문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는 건물의 내부와 바깥을 통하도록 설치된 창이나 도어의 총칭으로써, 창문는 쓰이는 재료에 따라 목제와 금속제로 나뉘고, 종류도 다양하다. 열고 닫는 데 따라 도어에는 외여닫이문·쌍여닫이문·미닫이문·미세기문·자재문·회전문·접문 등의 종류가 있고, 창에는 붙박이창·외여닫이창·쌍여닫이창·미세기창·오르내리창·회전창·미들창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창문를 여닫는 방식 중에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는 미닫이방식의 창문는 주로 한옥에서 방과 방 사이의 칸막이나 대청앞의 이중문, 또는 아파트나 건물의 도어 및 창 등에 주로 쓰이는데, 보통 4짝으로 구성되지만 2짝이나 6짝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창문의 일측에는 창문를 임의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 장치가 마련되 어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미닫이 방식을 사용하는 창문와, 창문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각형의 틀을 이루며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틀에 각각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설치하여 이를 구동시킴으로써 창문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창문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창문의 잠금장치는 사람의 손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작되므로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창문의 경우에 자동개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창문가 잠기지 않은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창문가 잠긴 상태에서는 자동개폐장치를 작동시킬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항상 창문의 개폐상태를 직접 확인한 후 그 잠긴상태를 해제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된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함에 있어서 창문이 잠겨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라도 편리하게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문 자동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문 자동 잠금장치는, 창문틀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창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는 가동부로 구성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틀과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장방변 일측에 결합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창문 틀과 상기 창문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의 장방변에 설치되어 상기 창문이 닫힐 때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가 걸린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피걸림수단과, 상기 피걸림수단을 상기 창문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문 자동 잠금장치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된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함에 있어서 창문이 잠겨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라도 편리하게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가 구비된 창문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의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창문이 닫히는 순간에서의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가 구비된 창문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 동잠금 장치의 피걸림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피걸림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이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 잠금장치는, 창문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310)와, 창문(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창문(20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310)와 맞물리는 가동부(320)로 구성되는 개폐장치(300)를 포함하며, 창문(200)의 장방변 일측에 결합되는 걸림부재(410)와, 걸림부재(410)와 대응되는 위치의 창문틀(100) 장방변에 설치되어 창문(200)이 닫힐 때 걸림부재(41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아울러 걸림부재(410)가 걸린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피걸림수단(430)과, 피걸림수단(430)을 창문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420)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310)는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이 창문 틀(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절곡된 타측면에는 관통공(313a)이 형성된 브래킷(313)과, 브래킷(313)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구동모터(312)와, 구동모터(312)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관통공(313a)을 통해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인 피니언기어(311)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창문틀(100)과 접촉되는 브래킷(313) 일측면의 외부 접촉면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브래킷(313)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스크류 볼트가 체결공을 통과 하여 창문틀(100)에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부(320)는 일측면에는 피니언기어(311)와 맞물리는 기어(321a)가 형성되고 기어(321a)가 형성된 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22)가 구비된 가동수단인 랙기어(321)와, 랙기어(321)가 삽입되는 삽입홈(323)에 설치되어 랙기어(321)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브래킷(324)으로 이루어진다.
랙기어(321)가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회전부재인 피니언기어(311)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반대로 가동수단인 랙기어(321)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회전부재인 피니언 기어(311)가 연질 재료로 이루어져 상호 간의 마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걸림부재(410)는 창문(200)이 아니라 창문틀(100)의 장방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피걸림수단(430)과 구동수단(420)은 창문(200)의 장방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410)는 창문(200)의 장방변에 설치되고 피걸림수단(430)과 구동수단(420)은 창문틀(1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창문틀(100)의 장방변에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으며 그 내면에 구동수단(420)과 피걸림수단(430)이 안착 설치되는 브래킷(401)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걸림부재(410)는 창문틀(100)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창문(200)의 장방변의 중심에 창문(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며, 그 단부에는 후술할 걸림공(426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가 (411)가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다.
구동수단(420)은, 브래킷(401)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421a)을 구비한 구동모터(421)와, 구동축(421a)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422)와, 전달부재(422)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423a)이 형성된 회전축(423)으로 이루어진다.
전달부재(422)는 구동모터(42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축(423)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면과 하단면의 중심에는 각각 구동축(421a)과 회전축(423)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삽입공(422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422a)의 단면 형상은 구동모터(421)의 구동력을 회전축(423)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다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삽입공(422a)에 각각 삽입되는 구동축(421a)과 회전축(423)의 단부도 각각 삽입공(422a)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달부재(422)의 삽입공(422a)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축(42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수단(430)은, 회전축(423)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며 구동모터(312)의 구동에 따라 브래킷(4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431)와, 가동부재(431)의 단부에 결합되며 걸림부재(410)의 단부가 삽입되는 걸림공(432a)이 관통 형성된 피걸림부재(4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423)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가동부재(431)가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423)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가동부재(431)에 형성된 중공(431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31b)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재(431)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동시에 직선 왕복 운동가능하도록 가동부재(431)의 단부에는 걸림공(432a)이 관통 형성된 피걸림부재(432)가 결합되어 있다.
피걸림부재(432)는 가동부재(431)의 단부에 가동부재(4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동부재(431)의 외주면에 삽입되고 가동부재(431)의 단부에는 피걸림부재(432)가 이탈되지 않도록 피걸림부재(432)보다 큰 폭을 갖는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와셔(433)가 될 수도 있고 핀과 같은 부품이 가동부재(431)의 단부에 삽입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와셔(433)의 대향측에 위치한 가동부재(431)의 단부와 피걸림부재(432)의 단부 사이의 가동부재(431)의 외주면에는 압축력을 갖는 복귀스프링(4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창문(200)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 리모트 콘트롤러나 혹은 기타 장치를 이용하여 구동모터(421)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모터(421) 단부의 구동축(421a)이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구동축(421a)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 전달부재(422)가 그 회전력을 회전축(423)에 전달하게 되어 회전축(42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423)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회전축(423)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가동부재(431)가 창문틀(100)을 따라 상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걸림부재(410)가 걸림공(432a)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 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나 기타 장치를 이용하여 구동모터(312)에 전기 등이 공급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구동모터(312)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311)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 기어(311)가 회전되면 피니언 기어(311)와 맞물린 랙기어(321)에 힘이 전달되어 랙기어(321)가 고정된 창문(200)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함하여 걸림부재(410)가 걸림공(432a)에서 이탈되면서 창문이 열리게 되어 도 3a의 상태가 된다.
반대로 창문(200)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200)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31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피니언기어(31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랙기어(321)가 고정된 창문(200)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창문(200)의 걸림돌기(411)의 경사면이 걸림공(432a)의 주연부와 접촉되고 닫히는 방향으로 창문(200)의 이동이 더 진행되면 걸림공(432a)의 주연부가 걸림돌기(41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피걸림부재(43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복귀스프링(434)에 탄성력이 축적되어 도 3b의 상태가 된다.
그 후, 창문(200)이 닫히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걸림부재(410)는 걸림공(432a)에 완전히 삽입되면 그 순간 복귀스프링(434)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하여 피걸림부재(432)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창문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상태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피걸림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피걸림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이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 잠금장치가 고장이 난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창문의 잠금 상태를 해지하여 자동개폐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440)은, 피걸림부재(432)의 일측에 피걸림부재(432)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돌부(443)와, 돌부(443)와 접촉되어 상기 브래킷(4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걸림부재(432)를 이동시키는 가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는 브래킷(40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441)과, 회전판(441)의 회전 중심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는 회전판(441)의 판면에 회전판(44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돌부(443)와 접촉되는 회전돌기(442)로 구성할 수도 있고, 브래킷(40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일측면이 돌부(443)와 접촉되는 타원 형상의 캠(444)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창문 자동 잠금장치가 고장일 경우에는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판(441)을 회전시키면 돌부(443)와 접촉되어 있는 회전돌기(442)가 회전하면서 피걸림부재(432)를 브래킷(40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걸림부재(410)의 걸림돌기(411)가 걸림공(432a)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된 다.
상기 가동부가 캠(444)으로 구성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캠(444)을 회전시키면 캠(444)의 단변부와 접촉하고 있던 돌부(443)가 캠(444)의 장변부와 접촉하게 되면서 피걸림부재(432)를 브래킷(40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걸림부재(401)의 걸림돌기(411)가 걸림공(432a)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가 구비된 창문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의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창문이 닫히는 순간에서의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가 구비된 창문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피걸림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잠금 장치의 피걸림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이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창문틀 200 : 창문
300 : 개폐부 310 : 구동수단
311 : 피니언 기어 312 : 구동모터
313 : 브래킷 320 : 가동수단 321 : 랙기어 322 : 탄성부재 323 : 삽입홈 324 : 가동브래킷
400 : 잠금장치 410 : 걸림부재
411 : 걸림돌기 420 : 구동수단
421 : 구동모터 422 : 전달부재
423 : 회전축 430 : 피걸림수단
431 : 가동부재 432 : 피걸림부재
433 : 와셔 434 : 복귀스프링
440 : 이동수단 441 : 회전판
442 : 회전돌기 443 : 돌부
444 : 캠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창문틀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창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는 가동부로 구성되는 개폐장치; 및
    상기 창문틀과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장방변 일측에 결합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창문틀과 상기 창문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의 장방변에 설치되어 상기 창문이 닫힐 때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가 걸린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피걸림수단과, 상기 피걸림수단을 상기 창문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창문의 장방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창문틀의 장방변에는 브래킷이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는 상기 피걸림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구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와, 상기 전달부재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걸림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걸림공이 관통 형성된 피걸림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피걸림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대향측에 위치한 가동부재의 단부와 상기 피걸림부재의 단부 사이의 상기 가동부재의 외주면에는 복귀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재를 임의로 상기 창문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피걸림부재의 일측에 상기 피걸림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돌부와, 상기 돌부와 접촉되어 상기 브래킷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걸림부재를 이동시키는 가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잠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기 회전판의 판면에 상기 회전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돌부와 접촉되는 회전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잠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일측면이 상기 돌부와 접촉되는 타원 형상의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1020080010671A 2008-02-01 2008-02-01 창문 자동 잠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7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71A KR100972136B1 (ko) 2008-02-01 2008-02-01 창문 자동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71A KR100972136B1 (ko) 2008-02-01 2008-02-01 창문 자동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64A KR20090084464A (ko) 2009-08-05
KR100972136B1 true KR100972136B1 (ko) 2010-07-23

Family

ID=4120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6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2136B1 (ko) 2008-02-01 2008-02-01 창문 자동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62Y1 (ko) * 2010-07-11 2013-03-21 기 동 조 문 자동잠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085A (ko) * 1999-11-02 2000-06-05 김학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0216904Y1 (ko) * 2000-10-12 2001-03-15 하정선 창문 개폐장치
KR20020016904A (ko) * 1999-07-19 2002-03-06 고바야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분말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JP2004137851A (ja) 2002-10-21 2004-05-13 Yume Kobo:Kk 引き違い戸用ロック装置
JP2006125149A (ja) 2004-11-01 2006-05-18 Tateyama Alum Ind Co Ltd 引き違いサッ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04A (ko) * 1999-07-19 2002-03-06 고바야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분말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000030085A (ko) * 1999-11-02 2000-06-05 김학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0216904Y1 (ko) * 2000-10-12 2001-03-15 하정선 창문 개폐장치
JP2004137851A (ja) 2002-10-21 2004-05-13 Yume Kobo:Kk 引き違い戸用ロック装置
JP2006125149A (ja) 2004-11-01 2006-05-18 Tateyama Alum Ind Co Ltd 引き違いサッ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62Y1 (ko) * 2010-07-11 2013-03-21 기 동 조 문 자동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64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2867B1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irect drive for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EP3135842B1 (en) Lock device equipped with opening support mechanism, and sliding door including lock device equipped with opening support mechanism
KR100895874B1 (ko) 도어록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160015907A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842834B1 (ko)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KR101271518B1 (ko)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20170081886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0972136B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200482943Y1 (ko) 도어 락장치
KR102037201B1 (ko) 풀 타입 다목적 도어락
KR100730642B1 (ko) 미서기창 잠금장치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TWI673421B (zh) 具多功能模組更換之鎖閘結構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200463600Y1 (ko) 창호용 핸들 조립체
KR200454646Y1 (ko) 강화유리문 잠금장치
KR20041894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200374168Y1 (ko) 디지털 도어록의 전동 모티스
KR20160109414A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1661462B1 (ko) 미닫이 문 잠금장치
KR102560736B1 (ko) 손가락 끼임방지용 안전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