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600Y1 - 창호용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호용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600Y1
KR200463600Y1 KR2020100012008U KR20100012008U KR200463600Y1 KR 200463600 Y1 KR200463600 Y1 KR 200463600Y1 KR 2020100012008 U KR2020100012008 U KR 2020100012008U KR 20100012008 U KR20100012008 U KR 20100012008U KR 200463600 Y1 KR200463600 Y1 KR 200463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
grip
installation groove
grip por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779U (ko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이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재 filed Critical 이용재
Priority to KR2020100012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60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용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V'형상의 그립부설치홈을 갖는 사각형상의 핸들본체와, 상기 그립부설치홈에 삽입되어 출몰유동하며 전면은 'V' 형상으로 테이퍼진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전면 중앙부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래크와, 상기 그립부가 안착되고 상기 그립부설치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피니언설치공을 갖는 그립부베이스와, 상기 피니언설치공에 삽입되어 상기 래크와 치결합되는 피니언을 갖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양단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롤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롤설치홈의 일부는 절개되어 절개부를 이루며, 상기 안내롤설치홈에는 안내롤이 설치되되 상기 절개부를 통해 안내롤의 외주면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그립부설치홈의 내부 양측면인 안내롤접촉면과 구름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은 힘으로도 미닫이 창의 개폐가 용이하고, 그립부의 임의 지점을 누르더라도 항상 균일하고 동일한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개폐불량을 해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핸들 조립체{HANDLE ASSEMBLY FOR WINDOW}
본 고안은 창호용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창짝을 열 때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되 버튼부 아무면이나 눌렀을 때에도 치우치거나 기울어짐 없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동작하도록 개선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의 종류는 개폐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 미서기 창, 여닫이 창, 회전 창, 붙박이 창, 겹창, 기타 특수한 창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여러 형태의 창들 중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주로 설치되는 창문은 미닫이 타입이 대부분이며, 창문을 옆 방향으로 밀어 열거나 닫도록 사용된다.
미닫이 창은 닫힘 상태에서 잠금 작동되도록 크리센트와 같은 별도의 잠금장치가 필요하고, 이러한 잠금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레버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면, 작동레버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고, 잠금 해제상태에서 미닫이 창의 프레임을 잡고 밀거나 잡아당겨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때, 창의 프레임을 손으로 잡고 여닫기가 불편하므로 창문프레임에 손잡이를 설치하거나, 손잡이에 잠금장치를 마련하여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잠금장치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란다나 테라스등의 창문이 대형화되면서 창문의 자체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힘이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핸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등록특허 제0920009호, 공개특허 제2009-0131427호, 공개실용 제2010-0008308호를 비롯하여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대부분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하여 창을 열고자 하는 방향으로 핸들을 잡아당겼을 때 래크와 피니언의 기어결합에 의해 잠금장치가 해제되면서 창이 개방되도록 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핸들 중 본 고안과 같은 사각박스형상의 그립타입 핸들 조립체의 경우 그립부의 안쪽면, 즉 래크를 유동시키는 부재가 사선방향으로 경사 져 있기 때문에 그립부의 정면 혹은 정중앙을 누르지 않고 이를 벗어난 부위를 누를 경우 그립부가 치우치거나 비틀림되면서 래크의 유동을 원활하게 유도하지 못하여 작동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작동불량을 유발하거나 혹은 두 손을 사용하여 눌려야 하는 등 사용상 많은 불편이 따랐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사각박스 형상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창호용 핸들에서 그립부의 어느 한 부분을 누르더라도 항상 일정하고 동일한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그립부가 비틀어지거나 엇갈려 눌리지 않고 기존 대비 1/2 정도의 유동거리 내에서도 30°정도의 회전각을 유지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증진시킨 창호용 핸들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V'형상의 그립부설치홈을 갖는 사각형상의 핸들본체와, 상기 그립부설치홈에 삽입되어 출몰유동하며 전면은 'V' 형상으로 테이퍼진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전면 중앙부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래크와, 상기 그립부가 안착되고 상기 그립부설치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피니언설치공을 갖는 그립부베이스와, 상기 피니언설치공에 삽입되어 상기 래크와 치결합되는 피니언을 갖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양단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롤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롤설치홈의 일부는 절개되어 절개부를 이루며, 상기 안내롤설치홈에는 안내롤이 설치되되 상기 절개부를 통해 안내롤의 외주면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그립부설치홈의 내부 양측면인 안내롤접촉면과 구름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래크와 피니언의 기어비는 1.5:1 또는 2:1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은 힘으로도 미닫이 창의 개폐가 용이하고, 그립부의 임의 지점을 누르더라도 항상 균일하고 동일한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개폐불량을 해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핸들 조립체는 핸들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본체(100)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미닫이 창의 창짝에 고정되고, 미닫이 창이 개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V' 형상의 그립부설치홈(11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설치홈(110)에는 홈 방향으로 출몰유동하는 그립부(2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그립부(200)의 출몰유동시 래크와 피니언의 기어결합에 의해 회전유동되는 회전축(300)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핸들본체(100)의 배면, 즉 창짝에 고정되는 면 쪽에 그 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며, 창짝을 관통하여 창짝 내부에 설치되고, 창짝 내부에서 로커(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창짝을 창틀에 로킹 또는 언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본체(100)에 형성된 그립부설치홈(110)은 상기 핸들본체(1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200)는 전면이 상기 그립부설치홈(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 중앙부에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둔 한 쌍의 래크(230)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래크(230)를 제외한 면은 그립부전면커버(210)에 의해 커버링되고, 도 3에서와 같이 그립부(200)가 완전히 세팅된 후에는 그립부상면커버(220)에 의해 상기 래크(230)도 커버링되므로 도 1과 같은 형태로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그립부(200)의 양단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각 한쌍의 안내롤설치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롤설치홈(240)에는 안내롤(2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롤(250)은 외주면 일부가 상기 그립부(200)의 양단면보다 높게 약간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롤설치홈(24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부(242)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절개부(242)를 통해 노출된 안내롤(250)의 일부는 핸들본체(100)의 그립부설치홈(110) 양측 내면인 안내롤접촉면(120)과 접촉되어 상기 그립부(200)를 원활히 안내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그립부(200)는 그립부베이스(260)에 안착되며, 상기 그립부베이스(260)는 상기 핸들본체(100)의 그립부설치홈(110) 내부 바닥면에 볼트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그립부(200) 설치 후 상기 그립부(200)가 그립부베이스(260) 및 핸들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그립부베이스(260)에는 롤 형태의 스토퍼(2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200)는 상기 스토퍼(280)를 넘지 못하고 그 이하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핸들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출몰유동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그립부베이스(260)의 적소에는 피니언설치공(270)이 천공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설치공(270)에는 회전축(300)이 관통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300)의 상단에는 앞서 설명한 래크(230)와 치결합되는 피니언(310)이 일체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그립부(200)의 출몰유동에 따라 상기 래크(230)가 움직이면서 상기 피니언(3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기존과 달리 래크(230)외 피니언(310)의 기어비를 1:1이 아닌 더 크게, 이를 테면 1.5:1, 2:1 등이 되게 하여 종래에는 그립부(200)를 6mm 정도 눌렀을 때 피니언(310)이 30°회전했던 것을 그 절반이 3mm 정도만 눌러도 30°회전될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이도록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기존에는 안내롤(250)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상기 그립부(200)의 양단면이 그립부설치홈(110)의 내부 양측면에 직접 면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커져 동작에 필요한 힘을 크게 요구하거나 혹은 이를 줄이기 위해 간격을 두게 되면 그립부(200)를 눌렀을 때 그립부(200)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틀리면서 비틀린만큼 면끼리 걸리게 되어 작동불량을 초래하기도 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안내롤(250)이 일종의 베어링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원활한 구름접촉을 유도함으로써 마찰력을 극소화시키므로 원활한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롤(250)로 인해 상기 그립부(200)의 양단, 즉 안내롤(250)과 안내롤접촉면(120)간 간격이 없이 완전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그립부(200)의 어느 지점을 누르더라도 그립부(200) 전체에 걸쳐 균일한 힘이 가해져 작동불량없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그립부(200)의 누름부 형상이 'V' 형태로 되어 있어 힘의 방향이 항상 중앙을 향하도록 구성된 것에서도 기인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핸들은 개방하고자 하는 미닫이 창을 열기 위해 핸들을 잡고 열기만 해도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로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미닫이 창을 열 수 있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그립부(200)의 어느 지점을 잡더라도 그립부(200)는 항상 핸들본체(100)의 폭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유동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틀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원활한 출몰유동이 가능하고, 래크와 피니언 간 기어비의 개선을 통해 조그만 힘으로도 회전축(300)을 크게 회전시킬 수 있어 미닫이 창의 개방시 편리함이 현저히 증진되게 된다.
100 : 핸들본체 110 : 그립부설치홈
120 : 안내롤접촉면 200 : 그립부
210 : 그립부전면커버 220 : 그립부상면커버
230 : 래크 240 : 안내롤설치홈
250 : 안내롤 260 : 그립부베이스
270 : 피니언설치공 280 : 스토퍼
300 : 회전축 310 : 피니언

Claims (2)

  1. 'V'형상의 그립부설치홈(110)을 갖는 사각형상의 핸들본체(100)와, 상기 그립부설치홈(110)에 삽입되어 출몰유동하며 전면은 'V' 형상으로 테이퍼진 그립부(200)와, 상기 그립부(200)의 전면 중앙부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래크(230)와, 상기 그립부(200)가 안착되고 상기 그립부설치홈(1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피니언설치공(270)을 갖는 그립부베이스(260)와, 상기 피니언설치공(270)에 삽입되어 상기 래크(230)와 치결합되는 피니언(310)을 갖는 회전축(300)을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20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롤설치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롤설치홈(240)의 일부는 절개되어 절개부(242)를 이루며,
    상기 안내롤설치홈(240)에는 안내롤(250)이 설치되되 상기 절개부(242)를 통해 안내롤(250)의 외주면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그립부설치홈(110)의 내부 양측면인 안내롤접촉면(120)과 구름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크(230)와 피니언(310)의 기어비는 1.5:1 또는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
KR2020100012008U 2010-11-22 2010-11-22 창호용 핸들 조립체 KR200463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008U KR200463600Y1 (ko) 2010-11-22 2010-11-22 창호용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008U KR200463600Y1 (ko) 2010-11-22 2010-11-22 창호용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79U KR20120003779U (ko) 2012-06-01
KR200463600Y1 true KR200463600Y1 (ko) 2012-11-14

Family

ID=4661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008U KR200463600Y1 (ko) 2010-11-22 2010-11-22 창호용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6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79B1 (ko) 2019-01-04 2019-09-27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102026443B1 (ko) 2019-05-07 2019-09-27 이유복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793Y1 (ko) 2005-09-26 2006-01-11 주식회사 일흥 자동차용 컵홀더장치
KR200434418Y1 (ko) 2006-09-29 2006-12-20 안건형 그립형 개폐 손잡이
JP2008127857A (ja) 2006-11-21 2008-06-05 Miwa Lock Co Ltd 引戸用ロック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引戸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793Y1 (ko) 2005-09-26 2006-01-11 주식회사 일흥 자동차용 컵홀더장치
KR200434418Y1 (ko) 2006-09-29 2006-12-20 안건형 그립형 개폐 손잡이
JP2008127857A (ja) 2006-11-21 2008-06-05 Miwa Lock Co Ltd 引戸用ロック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引戸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79B1 (ko) 2019-01-04 2019-09-27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102026443B1 (ko) 2019-05-07 2019-09-27 이유복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79U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6122B2 (en) Lift handle arrangement
KR101271518B1 (ko)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200463600Y1 (ko) 창호용 핸들 조립체
KR200414222Y1 (ko) 창문용 크레센트
KR20180038172A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EP1593799B1 (en) A multi-purpose handle for window or door units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101743238B1 (ko) 잠금키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장치
KR200439800Y1 (ko) 창문 손잡이
KR100755495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핸들
JP6113765B2 (ja) 打掛錠
KR101929708B1 (ko) 창호용 그립핸들
KR20180110404A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1075036B1 (ko) 슬라이드형 이중창 잠금장치
JP2008144450A (ja) ドアロック具の表示装置
KR100943543B1 (ko) 안전형 도어록 장치
JP6501667B2 (ja) スライドラッチ装置
JP4959369B2 (ja) 建具用ロック具
JP5121900B2 (ja) 扉用錠前の回転伝達軸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KR101296443B1 (ko) 도어 조립체
US20100050707A1 (en) Frameless glass door lock
KR101384016B1 (ko) 창호용 크리센트
CN216690645U (zh) 一种锁盒
KR100972136B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