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194A - 화면 천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천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194A
KR20060134194A KR1020067023016A KR20067023016A KR20060134194A KR 20060134194 A KR20060134194 A KR 20060134194A KR 1020067023016 A KR1020067023016 A KR 1020067023016A KR 20067023016 A KR20067023016 A KR 20067023016A KR 20060134194 A KR20060134194 A KR 2006013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data
state
transition control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184B1 (ko
Inventor
히데아키 야지마
히데히코 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천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력 정보 기억부(104)는 화면의 이력 정보를 기억하고,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며,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천이를 제어하고, 화면 천이 제어장치(102)는 화면의 표시 데이터가 파기된 경우에도 표시 데이터가 파기된 화면의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하여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기억시킴으로써 화면의 이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면 천이 제어 장치{SCREEN TRANSI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화면 천이 제어장치와 화면 천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화면의 표시를 전환하는 화면 천이 제어장치와 화면 천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면 천이 제어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면의 이력을 트리 구조로 관리하고, 이력에 기록된 화면으로 복귀할(재표시할) 경우에는 표시중인 화면과 복귀 대상의 화면에 끼워진 화면에 관한 기록을 이력에서 삭제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15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이 천이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화면은 화면(P), 화면(Q), 화면(R), 화면(P) 순으로 천이한다. 최초 화면(P)과 최후 화면(P)은 동일한 화면이다. 화면(R)이 표시된 상태로 화면(P)으로 복귀하는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는 표시되는 화면은 화면(R)에서 화면(P)으로 바뀐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화면의 천이에 대응하여 이력이 변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있어서, 굵은 선의 장방형은 어떤 화면이 현재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가는 선의 장방형은 어떤 화면이 과거에 표시 장 치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화면이 화면(P), 화면(Q), 화면(R)순으로 변화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P)에 관한 기록, 화면(Q)에 관한 기록 및 화면(R)에 관한 기록이 차례로 이력에 추가된다. 그 후, 표시되는 화면이 화면(R)에서 화면(P)로 복귀하면 화면(Q) 및 화면(R)에 관한 기록은 이력에서 삭제된다. 또한, 종래의 화면 천이 제어 장치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화면에 대해서는 그 화면에 관한 기록을 이력에서 삭제하고, 또한 그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한다. 이에 의해 이력 및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양을 삭제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08932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서는 어떤 화면에 관한 기록을 이력에서 삭제하는 처리와 그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하는 처리는 어떤 이벤트(예를 들면, 화면 표시의 전환)를 계기로 동일할 때 실시된다. 이 때문에 이력에 기록되어 있는 화면의 표시 데이터는 파기되지 않는다. 한편, 휴대전화나 휴대 정보단말 등은 장치 전체의 메모리 용량이 적으므로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메모리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나 정보단말 등과 같이 메모리 용량이 적은 장치에서는 이력에 기록할 수 있는 화면의 수는 결국 표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화면 수와 동일해지고, 매우 적어진다.
또한, 최근 휴대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에 대해서도 인터넷을 통해 화면을 다운로드하고, 배경 화면 등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국제화에 대응하기 위해 휴대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시스템의 언어 설정을 리얼타임으로 변경할 필요가 생겼다.
그러나, 종래의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서는 배경 화면의 교체나 언어 설정의 변경에 따라서 화면의 표시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파기된 경우에는 이력상의 이 화면에 관한 기록도 파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력에 기록할 수 있는 화면 수가 표시 데이터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또 표시 데이터가 파기된 경우에도 이력을 유지하고, 더 빠른 화면 천이를 가능하게 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와 화면 천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외부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면분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와,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에 관한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부와,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표시 데이터중에서 선택한 1 이상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에 출력함과 동시에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천이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력 정보는 과거에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표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이력 정보는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에 관한 표시 데이터가 현재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및 상기 화면이 현재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는 화면 천이시에 천이 대상(遷移先)의 화면에 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이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없는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서 1 개의 화면에 관한 표시 데이터를 파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는, 과거에 표시된 것이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했을 때에는 이력 정보에서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면 천이 제어장치는 최신 화면에서 계수하여 소정수번째에 표시된 화면보다도 이후(뒤?)에 표시된 것이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지 않은 화면이 있는 경우에, 상기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입력하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또한, 화면 천이 제어장치는 최신 화면에서 계수하여 소정수번째에 표시된 화면보다도 이전에 표시된 것이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이 있는 경우에 상기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서 파기하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또한, 화면 천이 제어 장치는 제 1 정보 또는 제 2 정보와,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의 상태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정보 또는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화면의 상태에 일치시키는 화면 상태 감시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화면의 교체가 요구된 경우에 이력 정보를 유지한 채,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표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외부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화면 천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면분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 단계와,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에 관한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 단계와, 표시 데이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표시 데이터중에서 선택한 1 이상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에 출력함과 동시에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천이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이력 정보는 과거에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표시 데이터가 기억되지 않은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본 발명의 제 2 국면인 화면 천이 제어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은 본 발명의 제 2 국면인 화면 천이 제어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이력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화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이력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화면 이력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천이 제어부가 실시하는 화면 천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천이 제어부가 실시하는 화면 천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천이 제어부가 실시하는 빈 영역 확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천이 제어부가 실시하는 데이터 파기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천이 제어부가 실시하는 화면 천이 처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천이 제어부가 실시하는 화면 천이 처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가 실시하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가 실시하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천이 제어부가 실시하는 화면 교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화면 천이 제어부가 실시하는 화면 교체 처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종래의 화면 천이 제어장치의 화면 천이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화면 천이에 대응한 화면의 이력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1, 1001 애플리케이션
102, 1002 화면 천이 제어장치
103, 1003 화면 천이 제어부
104, 1004 이력 정보 기억부
105, 1005 표시 데이터 기억부
106, 1006 표시 장치
1007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
1008 화면 생성 감시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102)는 화면 천이 제어부(103), 이력 정보 기억부(104) 및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를 구비한다.
이력 정보 기억부(104)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 및 과거에 표시된 화면의 이력 정보(이하, "화면 이력 정보"라고 함)를 기억한다.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 및 과거에 표시된 화면의 표시 데이터(비트맵 데이터)를 기억한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의 화면 천이의 요구에 따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이 때, 요구된 화면의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요구된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입력하고, 입력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06)는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기억되는 화면 이력 정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화면 이력 정보는 1 이상의 "화면 상태 정보"로 구성된다. 화면 상태 정보는 1 개의 화면에 대한 정보이고, 화면을 식별하기 위한 "화면 식별자"와, 그 화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를 포함한다.
화면 상태는 도 2에 도시한 3 종류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이다. 이하,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존재하고, 또한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 상태"라고 하고, 또한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존재하지만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비표시 상태"라고 하고, 또한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파기 상태"라고 한다.
도 3은 화면 이력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화면 이력 정보는 5 개의 화면 상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화면 상태 정보는 5 개의 화면 식별자와 화면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화면 식별자가 A인 화면(이하, "화면 A"라고 함. 다른 화면에 대해서도 동일)의 화면 상태는 파기 상태이고, 화면 B, 화면 C 및 화면 D의 화면 상태는 비표시 상태이고, 화면 E의 화면 상태는 표시 상태이다.
도 1의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도 3에 도시한 화면 이력 정보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력 정보 기억부(104) 내의 정방형은 각각 1 개의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가장 좌측의 정방형은 화면 이력 정보에서 가장 오래된 화면(가장 앞에 표시된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가장 우측의 정방형은 화면 이력 정보에서 최신 화면(가장 뒤에 표시된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정방형 내의 알파벳 A~E은 화면 식별자를 나타낸다.
굵은 선으로 그려진 정방형은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가는 선으로 그려진 정방형은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사선이 그려진 정방형은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도 1에는 화면 E의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 화면 B, 화면 C 및 화면 D의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 화면 A의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표시 데이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 내의 정방형은 각각 1 개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을 나타낸다. 정방형 내의 문자(DE 등)는 각각 아래에 붙여진 알파벳으로 식별되는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화면 E, 화면 B, 화면 C 및 화면 D의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기억되어 있다.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장치(102)에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화면 천이 제어부(103)에 화면 천이가 요구될 때, 화면 천이 제어부(103)가 실시하는 처리(이하, "화면 천이 처리"라고 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애프릴케이션(101)으로부터 화면 천이 제어부(103)에 화면 천이가 요구되면,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우선 이력 정보 기억부(104)로부터 화면 이력 정보를 판독하고, 화면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화면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화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화면을 천이원(transition source)의 화면으로 설정한다(단계(S401)).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요구된 천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가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02)).
천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가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402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입력하기 위해, "빈 영역 확보 처리"(상세하게는 후술함)를 실행한다(단계(S403)).
빈 영역 확보 처리에 의해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빈 영역이 확보된 후,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의 빈 영역에 입력한다(단계(S404)).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기억된 천이 대상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06)는 이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을 표시한다(단계(S405)).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된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즉, 화면 식별자 및 화면 상태)를 화면 이력 정보에 추가한다(단계(S406)). 천이 대상 화면은 표시되어 있으므로 그 화면 상태는 표시 상태이다.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원 화면의 화면 상태를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고(단계(S407)), 화면 천이 처리를 종료한다.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요구된 천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가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S402))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5의 단계(S501)).
천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인 경우에는(단계(S501)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상세하게는 후술함)를 실행한다.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단계(S501)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502)).
천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인 경우에는(단계(S502))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기억된 천이 대상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06)는 이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을 표시한다(단계(S504)).
천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단계(S502)의 "아니오"), 천이 대상 화면 상태는 파기 상태이다. 따라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입력하기 위해, 빈 영역 확보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403)).
빈 영역 확보 처리에 의해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빈 영역이 확보된 후,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의 빈 영역에 입력한다(단계(S503)).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기억된 천이 대상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06)는 이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을 표시한다(단계(S504)).
천이 대상 화면이 표시 장치(106)에 표시된 후,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 이 대상 화면의 화면 상태를 표시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505)).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를 실행하고, 천이원 화면 및 천이원 화면과 천이 대상 화면 사이에 있는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한다(단계(S506)). 마지막으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원 화면에서 천이 대상 화면 중,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 화면에 관한 화면 상태 정보를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서 삭제하고(단계(S507)), 화면 천이 처리를 종료한다.
계속해서, 빈 영역 확보 처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빈 영역 확보 처리의 흐름도이다.
빈 영역 확보 처리에서는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우선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빈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01)). 빈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단계(S601))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빈 영역 확보 처리를 종료한다. 빈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S601)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임의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로부터 파기한다(단계(S602)).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파기된 표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변경하여(단계(S603)), 빈 영역 확보 처리를 종료한다.
계속해서,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의 흐름도이다.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에서는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우선 천이원 화면을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를 실시하는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701)). 계속해서 화 면 천이 제어부(103)는 처리 대상의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702)).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 경우에는(단계(S702)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이력 정보에서 1 개 오래된 화면을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708).
처리 대상의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S702)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703)).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인 경우에는(단계(S703)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로부터 파기한다(단계(S706)).
처리 대상의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단계(S703)의 "아니오"), 화면 상태는 표시 상태이다. 따라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을 비표시로 하고(단계(S704)), 또한 화면 상태를 비표시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705)).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서 파기한다(단계(S706)).
처리 대상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서 파기한 후,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707)).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이력 정보에서 1 개 오래된 화면을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708)).
그 후,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이 천이 대상 화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709)). 처리 대상의 화면이 천이 대상 화면인 경우에는(단계(S709)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를 종료하고, 화면 천이 처리로 복귀한다. 처리 대상의 화면이 천이 대상 화면이 아닌 경우에는(단계(S709))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에 대해 단계(S702) 내지 단계(S708)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하, 화면 천이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화면이 천이할 때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 및 이력 정보 기억부(104)의 내용이 변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화면 상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화면으로의 화면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예로서 화면 C로부터 화면 D로의 화면 천이 및 화면 D로부터 화면 E로의 화면 천이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한 상태 1에서는 표시 화면에는 화면 C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는 화면 A의 표시 데이터(DA), 화면 B의 표시 데이터(DB), 및 화면 C의 표시 데이터(DC)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는 화면 A 내지 화면 C의 표면 상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화면 C의 화면 상태는 표시 상태이고, 화면 A 및 화면 B의 화면 상태는 비표시 상태이다.
우선, 화면 C로부터 화면 D로의 화면 천이에 있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가 실시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화면 D로의 화면 천이가 요구되면, 우선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의 천이원을 화면 C에 설정한다(도 4의 단계(S401)). 계속 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인 화면 D의 화면 상태 정보가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단계(S402)의 "아니오").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는 빈 영역이 있으므로(도 6의 단계(S601)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D의 표시 데이터(DD)를 빈 영역에 입력한다(단계(S404)). 이 때 표시 화면에는 화면 C가 표시되어 있다(도 8의 상태 2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D의 표시 데이터(DD)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06)는 이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 D를 표시한다(단계(S405)).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D의 화면 상태 정보를 화면 이력 정보에 추가한다(단계(S406)). 마지막으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D의 화면 상태를 표시 상태로 하고, 화면 C의 화면 상태를 비표시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407))(도 8의 상태 3 참조).
계속해서,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빈 영역이 없는 경우의 예로서, 화면 D로부터 화면 E로의 화면 천이를 설명한다.
우선,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의 천이원을 화면 D로 설정한다(단계(S401)).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인 화면(E)의 화면 상태 정보가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단계(S402)의 "아니오").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빈 영역 확보 처리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빈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단계(S601)의 "아니오"). 따라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E의 표시 데이터(DE)를 입력하기 위한 빈 영 역을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확보한다.
이 예에서는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하기로 한다. 빈 영역 확보 처리에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하고(단계(S602)), 또한, 화면 A의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603)).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E의 표시 데이터(DE)를 빈 영역(화면 A의 표시 데이터(DA)가 있는 영역)에 입력한다(단계(S404)). 또한, 이 때 표시 화면에는 화면 D가 표시되어 있다(도 8의 상태 4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E의 표시 데이터(DE)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06)는 이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 E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단계(S405)).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E의 화면 상태 정보를 화면 이력 정보에 추가한다(단계(S406)). 마지막으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E의 화면 상태를 표시 상태로 하고, 화면 D의 화면 상태를 비표시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407))(도 8의 상태 5 참조).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화면 상태 정보가 존재하는 화면으로 천이하는 경우의 일례로서, 화면 E로부터 화면 A로의 화면 천이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상태 1에서는 표시 화면에 화면 E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는 화면 B의 표시 데이터(DB), 화면 C의 표시 데이 터(DC), 화면 D의 표시 데이터(DD) 및 화면 E의 표시 데이터(DE)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는 화면 A~화면 E의 화면 상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화면 A의 화면 상태는 파기 상태이고, 화면 B, 화면 C 및 화면 D의 화면 상태는 비표시 상태이고, 화면 E의 화면 상태는 표시 상태이다.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화면 A로의 화면 천이가 요구되면,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우선 화면의 천이원을 화면 E에 설정한다(단계(S401)).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인 화면 A의 화면 상태 정보가 이력 정보 기억부(104)에 존재한다고 판정한다(단계(S402)의 "예").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천이 대상 화면인 화면 A의 화면 상태 정보가 파기 상태라고 판정한다(도 5의 단계(S502)의 "아니오").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빈 영역 확보 처리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빈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단계(S601)의 "아니오"), 따라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의 표시 데이터(DA)를 입력하기 위한 빈 영역을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확보한다.
이 예에서는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B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하기로 한다. 빈 영역 확보 처리에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B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하고(단계(S602)), 또한 화면 B의 화면 정보를 파기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603)).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의 표시 데이터(DA)를 빈 영역(화면 B의 표시 데이터(DB)가 있는 영역)에 입력한다(단계(S503)). 또한, 이 때 표시 화면에는 화면 E가 표시되어 있다(또 9의 상태 2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의 표시 데이터(DA)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06)는 이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 A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단계(S504)).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의 화면 상태를 표시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505))(도 9의 상태 3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506)).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에서는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우선 천이원 화면인 화면 E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도 7의 단계(S701)).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E의 화면 상태를 표시 상태로 판정한다(단계(S703)의 "아니오"). 따라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E를 비표시로 하고(단계(S704)), 또한 화면 E의 화면 상태를 비표시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705)).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E의 표시 데이터(DE)를 파기하고(단계(S706)), 또한 화면 E의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707))(도 9의 상태 4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D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708)). 화면 D는 천이 대상 화면에는 없으므로(단계(S709)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D에 대해 단계(S702)~단계(S707)의 처리를 실시한다. 화면 D의 화면 상태는 비표시 상태에 있으므로(단계(S703)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D의 표시 데이터(DD)를 파기하고(단계(S706)), 또한 화면 D의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707))(도 9의 상태 5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C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709)). 화면 C는 천이 대상 화면이 아니므로(단계(S709)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C에 대해 단계(S702)~단계(S707)의 처리를 실시한다. 화면 C의 화면 상태는 비표시 상태이므로 화면 D에 대한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화면 C에 대해 실시된다(도 9의 상태 6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B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708)). 화면 B는 천이 대상 화면이 아니므로(단계(S709)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B에 대해 단계(S702)~단계(S707)의 처리를 실시한다. 화면 B의 화면 상태는 파기 상태이므로(단계(S702)의 "예"), 표시 데이터의 파기는 실시되지 않는다(도 9의 상태 7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708)). 화면 A는 천이 대상 화면이므로(단계(S709)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파기 처리를 종료한다.
마지막으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B~화면 E의 화면 상태 정보를 삭제하고(단계(S507)), 화면 천이 처리를 종료한다(도 9의 상태 8 참조).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의하면 표시 데이터가 메모리 용량의 사정상 파기된 경우에도 표시 데이터가 파기된 화면의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하여 이력 정보 기억부에 기억함으로써, 화면의 이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모리 용량이 적은 휴대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에서도 종래보다 도 많은 화면을 이력에 기록할 수 있고, 그 결과 화면 천이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에서는 화면 상태로서 표시 상태, 비표시 상태 및 파기 상태의 3가지 상태가 있다고 했지만, 화면 상태는 이 3가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외의 화면 상태로서는 예를 들면 화면에 어떤 처리도 실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 상태, 사용자의 조작 대상인 상태를 나타내는 액티브 상태나 사용자가 조작 대상이 아닌 상태를 나타내는 인액티브 상태 등을 추가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데이터의 유무"와 "화면의 표시/비표시"와의 조합을 1개의 화면 상태로 했지만, "표시 데이터의 유무" 및 "화면의 표시/비표시"를 각각 화면 상태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는 모든 화면에 대해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 비표시로 하는 처리 및 파기하는 처리를 실시하기로 했지만, 모든 화면에 대해 이들 3 가지 처리를 실시할 필요는 없다. 일부의 화면에 대해서만 이들 처리를 실시하고, 다른 화면에 대해서는 이들 처리는 실시되지 않는다는 설정이 가능하도록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화면의 천이는 통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다른 처리를 실시하는 화면으로의 전환에 한정되지 않는다. 브라우저나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의 처리 결과를 이력으로서 유지하는 경우에 이 이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1 개의 화면으 로 간주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1002)는 화면 천이 제어부(1003), 이력 정보 기억부(1004),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 및 화면 상태 감시부(1008)를 구비한다.
화면 천이 제어부(1003)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상태뿐만 아니라 또한 화면 천이 처리가 종료했을 때,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에 화면이 천이한 것을 통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천이 제어부(1003)로부터 화면이 천이한 것이 통지될 때, 이력 정보 기억부(1004)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 이력 정보를 참조하고, 화면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화면 상태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력 정보 기억부(1004)로부터 화면 이력 정보를 판독하고, 화면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화면 상태 정보에서 소정수번째까지(이하, "N번째"라고 함)의 화면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들 화면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화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화면 중,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 것에 대해서는 그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에 입력하고,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에서 비표시 상태로 변경한다.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N+1번째의 화면 상태 정보에서 가장 오래된 화면 상태 정보 중,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 또는 비표시 상태인 화면에 대해서는 그 표시 데이터를 파기하고,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한다(이하, 이들 처리를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라고 함). 이에 의해 즉시 천이할 가능성이 높은 화면의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에 준비되므로 이들 화면으로의 화면 천이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화면 상태 감시부(1008)는 이력 정보 기억부(1004)에 기억되어 있는 각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를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상태 감시부(1008)는 각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에서 화면 상태를 취득하고, 각 화면의 현재 상태와 비교한다. 화면 상태와 화면의 현재 상태가 다른 경우에는 화면 상태 감시부(1008)는 화면의 현재 상태와 일치하도록 화면 상태를 변경한다. 화면 상태 감시부(1008)에 의한 각 화면의 상태를 확인하는 처리는 일정 시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되어도 좋고, 또한 화면의 상태에 변화가 있을 때, 화면에서 화면 상태 감시부(1008)에 변화가 있는 것을 통지함으로써 실시되어도 좋고, 또는 화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윈도우 시스템 등의 모듈에서 화면 상태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각 화면의 상태와 이력 정보 기억부(1004)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 상태와 불일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표시 디바이스의 전환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화면 천이의 요구 이외에 의해 화면 상태가 변경된 경우나 화면 천이 제어장치가 관리하지 않은 다른 화면의 영향에 의해 화면 상태가 변경된 경우 등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장치(1002)에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화면 천이 제어부(1003)가 실시하는 화면 천이 처리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화면 천이 제어부(1003)는 화면 천이 처리가 종 료되면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에 대해 화면이 천이한 것을 통지한다.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 통지를 수취하면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화면 천이 제어부(103)로부터 화면이 천이한 것이 통지되면,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우선 이력 정보 기억부(1004)에서 화면 이력 정보를 판독하고, 화면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 상태 정보 중 가장 오래된 화면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 화면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화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화면을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실시하는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1101)).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처리 대상의 화면이 최신 화면에서 계수하여 N번째의 화면 보다도 오래된 화면(N번째의 화면보다 전에 표시된 화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02)). 여기서, "N"이라는 것은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가 유지하고 있는 값이며, 최신 화면에서 몇 화면 전의 화면에까지 복귀되는 화면 천이가 빈번히 실시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정수)이다. 또한, 이 값은 시스템의 설계 시에 설정되어도 좋고,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관측함으로써 빈번히 복귀하는 화면수를 시스템에 학습시키는 것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처리 대상의 화면이 최신 화면에서 계수하여 N번째의 화면 보다도 오래된 화면인 경우에는(단계(S1102)의 "예"),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 화면의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03)).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 인 경우에는(단계(S1103)의 "예"),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 화면 보다도 새로운 화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09)).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단계(S1103의 "아니오"),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처리 대상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에서 파기한다(단계(S1104)).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1105)).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 화면보다도 새로운 화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09)).
처리 대상 화면이 N번째의 화면 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아닌 경우에는(단계(S1102)의 "아니오"),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 화면의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06)).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단계(S1006)의 "아니오"),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 화면보다도 새로운 화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09)).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인 경우에는(단계(S1106))의 "예"),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처리 대상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에 입력한다(단계(S1107)).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상태를 비표시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1108)).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이 화면보다도 새로운 화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09)).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실시한 화면 보다도 새로운 화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단계(S1109)의 "예"),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이력 정보에서 1 개 새로운 화면을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1110)). 화면 생성 상태 관리 부(1007)는 새로운 처리 대상 화면에 대해 단계(S1102)~단계(S1109)의 처리를 실시한다.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실시한 화면 보다도 새로운 화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S1109)의 "아니오")),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시에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 및 이력 정보 기억부(1004)의 내용이 변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제 화면 천이 처리가 종료되고, 표시 장치(1006)에 화면 E가 표시되고,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에는 화면 B의 표시 데이터(DB), 화면 D의 표시 데이터(DD) 및 화면 E의 표시 데이터(DE)가 기억되어 있다고 하자. 또한, 화면 A 및 화면 C의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 화면 B 및 화면 D의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 및 화면 E의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라고 하자. 이 상태를 도 12의 상태 1에 나타낸다.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N의 값으로서 "3"을 유지하고 있다고 하자.
화면 천이 처리의 종료가 화면 천이 제어부(1003)로부터 통지되면,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우선 화면 A를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실시하는 대상으로 설정한다(도 11의 단계(S1101)).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A가 화면 E에서 계수하여 3번째의 화면보다도 오래된 화면이라고 판정한다(단계(S1102)의 "예").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A의 화면 정보가 파기 상태라고 판정한다(단계(S1103)의 "예")(도 12의 상태 2 참조).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A 보다도 새로운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단계(S1109)의 "예"), 화면 B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1110)).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B가 화면 E에서 계수하여 3번째 화면보다도 오래된 화면이라고 판정한다(단계(S1102)의 "예").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B의 화면 정보가 파기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다(단계(S1103)의 "아니오"). 따라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B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에서 파기한다(단계(S1104)).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B의 화면 상태를 파기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1105)(도 12의 상태 3 참조).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B보다도 새로운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단계(S1109)의 "예"), 화면 C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1110)).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C가 화면 E부터 계수하여 3번째 화면 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아니라고 판정한다(단계(S1102)의 "아니오").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B의 화면 정보가 파기 상태라고 판정한다(단계(S1106)의 "예"). 따라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C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1005)에 입력한다(단계(S1107)).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C의 화면 상태를 비표시 상태로 변경한다(단계(S1108))(도 12의 상태 4 참조).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C보다도 새로운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단계(S1109)의 "예"), 화면 D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1110)).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D가 화면 E로부터 계수하여 3번째의 화면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아니라고 판정한다(단계(S1102)의 "아니오").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D의 화면 정보가 파기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다(단계(S1106)의 "아니오")(도 12의 상태 5 참조).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D보다도 새로운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단계(S1109)의 "예"), 화면 E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1110)).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E가 화면 E부터 계수하여 3번째 화면 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아니라고 판정한다(단계(S1102)의 "아니오").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E의 화면 정보가 파기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다(단계(S1106)의 "아니오")(도 12의 상태 6 참조).
계속해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1007)는 화면 E보다도 새로운 화면의 화면 상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단계(S1109)의 "아니오"),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는 최신 화면에서 소정수번째까지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입력한다. 이에 의해 즉시 천이할 가능성이 높은 화면에 대해서는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준비되므로 이들 화면으로의 화면 천이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는 천이할 가능성이 낮은 오래된 화면에 대해서는 표시 데이터를 파기한다. 이에 의해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는 화면 천이 처리의 종료 직후 즉시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실행하기로 했지만, CPU 사용률이 낮은 상태나 시스템이 아이들(idle) 상태가 된 시점에서,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는 화면 천이의 종료 후, 매회 반드시 실행될 필요는 없고, CPU 사용률이 높은 경우나 시스템이 아이들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이 처리는 실행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에 의해 화면 천이 처리나 그외의 처리의 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면 천이 처리 및 화면 생성 상태 관리 처리를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각각의 프로그램으로 하고, 이들 프로그램을 전환하여 처리가 실시되도록 해도 좋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의 특징은 인터넷 등으로부터 배경 화면 등이 다운로드되어 화면이 변경된 경우나 시스템의 언어 설정이 리얼타임으로 변경된 경우 등에 도 1에 도시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력 정보 기억부(104) 에 화면 이력 정보를 유지한 채,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 내의 표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이다(이하, 이 처리를 "화면 교체 처리"라고 함).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 장치에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화면의 교체가 요구되면,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교체 처리를 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면 교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화면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화면의 교체가 요구되면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우선 이력 정보 기억부(104)로부터 화면 이력 정보를 판독하고, 화면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화면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화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화면을 화면 교체 처리를 실시하는 대상의 화면에 설정한다(단계(S1301)).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 또는 비표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302)). 이 화면의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 또는 비표시 상태인 경우에는(단계(S1302)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터를 교체하는 화면(이하, "새로운 화면"이라고 함)의 표시 데이터로 갱신한다(단계(S1303)).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 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304)).
처리 대상의 화면의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 또는 비표시 상태 화면이 아니라 고 판정되면(단계(S1302)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이 화면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304)).
처리를 실시한 화면 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단계(S1304)의 "예"),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이력 정보에서 1 개 오래된 화면을 처리 대상으로 설정하고(단계(S1305)), 설정된 화면에 대해 단계(S1302) 내지 단계(S1304)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 화면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S1304)의 "아니오"),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교체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 화면 교체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화면 교체 처리 시에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 및 이력 정보 기억부(104)의 내용이 변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상태 1은 표시 화면에 화면 C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 데이터 기억부(105)에는 화면 B의 표시 데이터(DB) 및 화면 C의 표시 데이터(DC)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화면 A의 화면 상태가 파기 상태, 화면 B의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 및 화면 C의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이다.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화면의 교체가 요구되면,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우선 화면 C를 화면 교체 처리를 실시하는 화면에 설정한다(도 13의 단계(S1301)).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C가 표시 상태라고 판정한다(단계(S1302)의 "예"). 따라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C의 표시 데이터를 새로운 화면의 표시 데이터(DC)로 갱신한다. 또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표 시 데이터(DC)를 표시 장치(106)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106)는 이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 C'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도 14의 상태 2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C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존재한다고 판정하고(단계(S1304)의 "예"), 화면 B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1305)).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B의 화면 상태가 비표시 상태라고 판정한다(단계(S1302)의 "예"). 따라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B의 표시 데이터를 새로운 화면의 표시 데이터(DB')로 갱신한다(도 14의 상태 3 참조).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B 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존재한다고 판정하고(단계(S1304)의 "예"), 화면 A를 처리 대상으로 설정한다(단계(S1305)).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의 화면 상태가 표시 상태 또는 비표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다(단계(S1302)의 "아니오"). 계속해서, 화면 천이 제어부(103)는 화면 A보다도 오래된 화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단계(S1304)의 "아니오"), 화면 교체 처리를 종료한다(도 14의 상태 4 참조).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에 의하면 인터넷 등으로부터 배경 화면 등이 다운로드되어 화면이 변경된 경우나 시스템의 언어 설정이 리얼타임으로 변경되는 경우 등, 화면의 표시 데이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화면의 이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따 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와 동일하다고 했지만,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천이 제어장치의 구성과 동일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되는 화면은 1 개로 설명했지만, 동시에 표시되는 화면은 복수라도 좋다. 이 경우, 동시에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단계가 각 처리의 흐름도에 추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면 천이 제어장치가 실시하는 각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관계없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CD-ROM으로 대표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배포되어도 관계없고,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전화나 휴대 정보단말 등에 제공되어도 관계없다.
본 발명의 화면 천이 제어장치는 이력에 기록되는 화면의 수를 늘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화면 천이를 고속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화면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화면의 이력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휴대전화나 휴대 정보단말 등 뿐만 아니라 화면 천이 처리가 필요한 가전기기, 정보처리기기나 산업기기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외부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면분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에 관한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부, 및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표시 데이터중에서 선택한 1 이상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또한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천이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력 정보는 과거에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표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는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에 관한 표시 데이터가 현재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및 상기 화면이 현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천이 제어부는 화면 천이 시, 천이 대상 화면에 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이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1 개의 화면에 관한 표시 데이터를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천이 제어부는, 과거에 표시되는 것이 상기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파기했을 때에는 상기 이력 정보에서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최신 화면에서 계수하여 소정수번째에 표시된 화면 보다도 이후에 표시되는 것이 상기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표시 데이터가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면이 있는 경우에, 상기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입력하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최신 화면에서 계수하여 소정수번째에 표시된 화면 보다도 이전에 표시된 것이 상기 이력 정보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표시 데이터가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이 있는 경우에 상기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서 파기하는 화면 생성 상태 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또는 상기 제 2 정보와,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의 상태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정보 또는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화면의 상태에 일치시키는 화면 상태 감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천이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화면의 교체가 요구된 경우에 상기 이력 정보를 유지한 채,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표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장치.
  9.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외부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화면 천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면분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 단계,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에 관한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 단계, 및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표시 데이터중에서 선택한 1 이상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또한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천이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이력 정보는 과거에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표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방법.
  10.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외부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화면 천이 제어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복수의 화면분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 단계,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에 관한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 단계, 및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표시 데이터중에서 선택한 1 이상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또한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천이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이력 정보는 과거에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표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11.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외부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화면 천이 제어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화면분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 단계,
    이제까지 표시된 화면에 관한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 단계, 및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표시 데이터중에서 선택한 1 이상의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또한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천이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이력 정보는 과거에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표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천이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67023016A 2004-04-05 2006-11-02 화면 천이 제어 장치 KR101083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0782 2004-04-05
JPJP-P-2004-00110782 2004-04-05
PCT/JP2005/004005 WO2005098587A1 (ja) 2004-04-05 2005-03-08 画面遷移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194A true KR20060134194A (ko) 2006-12-27
KR101083184B1 KR101083184B1 (ko) 2011-11-11

Family

ID=3512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016A KR101083184B1 (ko) 2004-04-05 2006-11-02 화면 천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80396A1 (ko)
EP (1) EP1739543A4 (ko)
JP (1) JP4564488B2 (ko)
KR (1) KR101083184B1 (ko)
CN (1) CN1942854B (ko)
WO (1) WO2005098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922A (ko) * 2012-10-12 2015-05-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화면 천이도 작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1373B2 (en) * 2004-04-05 2011-04-05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screen management apparatus
JP4860459B2 (ja) * 2006-12-27 2012-01-2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116415B2 (ja) * 2007-09-14 2013-01-0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638761B2 (ja) * 2009-02-10 2014-12-10 富士通株式会社 画面生成方法、画面表示方法、画面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2011636A1 (en) 2010-07-20 2012-01-26 Lg Electronics Inc. User profile based configuration of user experience environment
US8667112B2 (en) 2010-07-20 2014-03-04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etworked smart devices
CN103098500B (zh) 2010-07-20 2016-10-12 Lg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电子系统和使用其提供信息的方法
WO2012011626A1 (ko) * 2010-07-20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정보 제공 방법
JP5749667B2 (ja) * 2012-01-24 2015-07-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監視制御システム
JP5613710B2 (ja) * 2012-03-21 2014-10-29 株式会社東芝 サーバ端末、画面転送システムおよび画面転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9640B2 (ja) * 1987-11-20 1997-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JPH04303231A (ja) * 1991-03-29 1992-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Crt画面制御方法
US5544302A (en) * 1993-06-03 1996-08-06 Taligent, Inc. Object-oriented framework for creating and using container objects with built-in properties
JP2001109620A (ja) * 1999-10-06 2001-04-20 Hitachi Ltd 画面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面遷移プログラムの生成方法
JP2001134361A (ja) * 1999-11-02 2001-05-18 Riso Kagaku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108932A (ja) * 2000-09-29 2002-04-12 Fujitsu Ltd 画面情報保存制御用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922A (ko) * 2012-10-12 2015-05-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화면 천이도 작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9543A1 (en) 2007-01-03
EP1739543A4 (en) 2009-09-30
CN1942854B (zh) 2010-05-12
JP4564488B2 (ja) 2010-10-20
CN1942854A (zh) 2007-04-04
US20070180396A1 (en) 2007-08-02
JPWO2005098587A1 (ja) 2007-08-16
KR101083184B1 (ko) 2011-11-11
WO2005098587A1 (ja)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184B1 (ko) 화면 천이 제어 장치
JP6011479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3494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スケジュール作成画面表示方法
DE202004021926U1 (de) Vorsehen von Benachrichtigungen über neue Ereignisse auf einer Vorrichtung mit kleinem Bildschirm
US200902548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multitude of objects on a display
EP3223091B1 (en) Method for displaying monitoring viewer in hmi system
JP2000089983A (ja) データ保存装置及びデータ保存方法
CN117130697A (zh) 在任务栏固定应用的方法和装置
CN116303589A (zh) 一种工作流构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10825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8898187B2 (en) Default location that may be dynamically changed
CN115526953A (zh) 生成视图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552705A (zh) 基于图表的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2009003696A (ja) 表示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795194A (zh) 桌面显示控制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612664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13743807B (zh) 排班信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106424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contacts
JP2010182215A (ja) 時系列地図データ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時系列地図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時系列地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JP6282051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98430B2 (ja) 画面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面表示制御方法
WO2023189526A1 (ja) 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
EP4016322A1 (en) Data structure based on event compaction and read-offsets
KR1005388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부 관리 방법
JP2007264743A (ja) 電子装置、その電子メール情報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電子メール情報メンテナンス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