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364A - 회전처리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처리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364A
KR20060133364A KR1020050053175A KR20050053175A KR20060133364A KR 20060133364 A KR20060133364 A KR 20060133364A KR 1020050053175 A KR1020050053175 A KR 1020050053175A KR 20050053175 A KR20050053175 A KR 20050053175A KR 20060133364 A KR20060133364 A KR 20060133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mory
printing data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조원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3364A/ko
Publication of KR2006013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6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input data format or job format or job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7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conversion to printer read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상처리방법은, 프린팅하고자 하는 화상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과 상기 화상이 프린팅될 영역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화상이 회전되도록 상기 프린팅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화상, 처리, 회전, 메모리, 어드레스

Description

회전처리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그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OTATING IMAG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이미지로테이터를 구비하는 종래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화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이미지로테이터를 구비하는 종래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다른 화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한 화상의 폭, 화상의 높이 및 페이지 폭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하여 블록 단위로 어드레스가 지정되는 경로이며,
도 7은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처리장치 110: 메모리
120: 설정부 130: 이미지로테이터
140: 화상분할처리부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처리속도가 빠르며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처리장치는 그림, 사진 등의 화상을 나타내는 원본데이터가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프린팅되도록 이를 프린팅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이미 변환된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프린팅되도록 소정의 화상처리를 수행한다. 화상처리장치는 화상형성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에 프린팅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처리장치는 원본의 형태대로 프린트될 화상을 처리하는 경우도 있으나, 복수의 화상을 하나의 용지에 한꺼번에 프린팅하는, 이른바 모아찍기의 경우와 같이, 원본의 화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시켜 처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상처리장치는 복수의 화상을 용지에 적절히 맞추기 위하여 축소 및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고속으로 화상의 회전하기 위해서는, 화상처리장치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테이터와 같은 하드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로테이터를 구비하는 종래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화상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두 개의 화상을 하나의 용지에 함께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팅데이터를 마련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처리장치는 프린팅될 원본 화상의 하나인 제1화상(1a)을 축소하고 이미지로테이터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회전된 화상인 제1화상(1b)을 생성한다(도 1(a)). 마찬가지로, 화상처리장치는 프린팅될 원본 화상의 다른 하나인 제2화상(2a)을 축소하고 이미지로테이터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회전된 화상인 제2화상(2b)을 생성한다(도 1(b)).
다음으로 화상처리장치는 제1화상(1b) 및 제2화상(2b)을 하나의 용지에 함께 프린트하기 위하여 소정의 메모리에서의 영역을 할당한다. 화상처리장치는 제1화상(1b)을 할당된 메모리의 영역(3)의 적절한 위치에 옮기고(도 1(c)), 마찬가지로 제2화상(2b)을 할당된 메모리의 영역(3)의 적절한 위치에 옮긴다(도 1(d)). 여기에서 화상을 메모리에 옮기는 과정은 데이터에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한편, 화상처리장치는 복수의 화상을 하나의 용지에 프린트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화상이라도 화상을 회전함에 있어서 화상의 크기가 너무 커서 한 번에 메모리에 저장될 수 없다면, 화상을 복수로 분할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처리장치는 프린팅될 화상(4)이 너무 크기 때문에 화상(4)을 4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화상을 이미지로테이터를 통하여 회전시켜 4개로 분할되어 회전된 화상(5)을 생성한다(도 2(b)). 화상처리장치는 4개로 분할되어 회전된 화상(5)을 하나의 용지에 프린팅할 수 있도록 메모리의 영역을 할당한다. 다음으로 화상처리장치는 메모리의 영역(6)의 적절한 위치에 4개로 분할되어 회전된 화상(5)을 차례로 삽입한다(도 2(c)). 여기에서 화상을 메모리에 삽입하는 과정은 데이터에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화상처리장치는, 프린팅될 화상을 고속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미지로테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지로테이터는 입력되는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하학적 변환(geometrical transform)을 수행하여 이를 단순히 출력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로테이터에 의해 출력된 각 화상이 용지의 특정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의 할당에 있어서 추가적인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데이터의 처리에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며, 임시로 메모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메모리의 할당이 복잡해져 메모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처리속가 빠르며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프린팅하고자 하는 화상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과 상기 화상이 프린팅될 영역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화상이 회전되도록 상기 프린팅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프린팅될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화상처리방법은, 상기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이 분할되도록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프린팅하고자 하는 화상의 프린팅데이터가 저장되는 화상메모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과 상기 화상이 프린팅될 영역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화상이 회전되도록 상기 프린팅데이터를 변환하고,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상기 화상메모리에 저장하는 회전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는 사진, 그림 등의 화상을 나타내는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회전 등의 화상처리를 수행하여 이를 출력한다. 화상처리장치(100)는 컴퓨터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린터, 복사기 등의 프린팅장치(200)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프린팅장치(200)에 화상처리된 프린팅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화상처리장치(100)는 프린터, 복사기 등의 프린팅장치(200)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10), 설정부(120) 및 이미지로테이터(130)를 포함한다. 메모리(110)에는 프린팅될 화상의 프린팅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린팅데이터에는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은 복수의 화소로 표현되며, 메모리(110)에는, 화상이 용지에 프린트되는 경우 화상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도록 프린팅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예컨대 메모리(110) 내에 소정 영역에 저장된 프린팅데이터가 용지 한 페이지 분량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팅장치(200)는 설정된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프린팅데이터를 차례로 읽어 내어 프린팅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110)는 본 발명의 화상메모리의 일례이다.
설정부(120)는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프린팅될 화상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수행할 회전 등의 화상처리를 설정한다. 예컨대,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화상을 하나의 용지에 프린트할 수 있도록(이하, "모아찍기"라고도 함) 하기 위한 수행할 화상처리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정부(120)는, 하나의 용지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을 적절히 배치하기 위하여 각 화상을 회전시키는 화상처리를 수행할 것을 설정한다. 이 경우 설정부(120)는, 복수의 화상 각각이 하나의 페이지의 크기를 가진다면, 이들을 모두를 하나의 페이지의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이들 화상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화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할 화상처리를 화상의 회전으로 설정하면, 프린팅될 화상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결정한다. 이 경우 설정부(120)는 하나의 용지에 프린트되는 화상의 수, 용지의 크기 등에 따라 예상되는 프린팅될 화상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미리 설정해 두고, 사용자로부터 소정 개수의 화상에 대하여 모아찍기를 수행할 것을 지시 받으면, 설정된 정보로부터 적절한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할 화상처리를 화상의 회전으로 설정하면, 프린팅될 화상이 용지에 배치될 위치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설정부(120)는 하나의 용지에 프린트되는 화상의 수, 용지의 크기 등에 따라 예상되는 프린팅될 화상의 위치를 미리 설정해 두고, 사용자로부터 소정 개수의 화상에 대하여 모아찍기를 수행할 것을 지시 받으면, 설정된 정보로부터 화상의 적절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정부(120)는 CPU와 소정의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프린팅데이터를 입력 받아 입력된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대응하는 화상이 회전되도록 기하학적 변환(geometrical transform)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로테이터(130)는 대상이 되는 화상의 회전 처리를 위하여, 회전될 화상의 크기를 입력 받는다. 본 실시예의 화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는 화상의 폭(image width), 화상의 높이(image height) 및 페이지 폭(page width)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의 폭, 화상의 높이 및 페이지 폭을 도 4에 도시하였다. 화상의 폭 및 화상의 높이는 2차원의 화상에 있어서 각각 화상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나타낸다. 페이지 폭은 하나의 용지에 프린팅될 화상의 폭을 나타낸다. 페이 지 폭은 화상의 폭보다 크거나 같다. 본 실시예의 페이지 폭은 본 발명의 프린팅될 영역의 크기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로테이터(130)는 본 발명의 회전변환부의 일례이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페이지 폭이 화상의 폭보다 큰 경우 화상에 대하여 회전처리를 수행한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화상의 영역에 있어서, 화상의 폭보다 크고 페이지 폭보다 작은 영역에 대하여는 회전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예컨대, 이미지로테이터(1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10a)의 화상의 폭 및 화상의 높이와 페이지 폭을 참조하여, 화상(10a)을 화상(10b)과 같이 회전시키며 화상의 폭보다 크고 페이지 폭보다 작은 영역에 속하는 화상(12)에 대하여는 회전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도 4(b) 참조).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회전 처리된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회전 처리된 프린팅데이터의 화상이 용지에 프린팅될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회전 처리된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화상의 폭방향(메모리(120)에서 어드레스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이 아닌 화상의 높이방향(메모리(120)에서 어드레스가 건너 뛰어 증가하는 방향)으로 지정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화상의 폭의 배수에만 기초하여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폭을 감안하여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다시 말하면,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폭방향으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동안은 화상의 폭만큼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폭방향으로 어드레스의 부여가 끝나고 높이방향으로 넘어 가면, 페이지 폭을 감안하여 소정 어드레스를 건너뛰어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로테이터(130)는 메모리(120)에 화상데이터를 읽어 내고 쓰는 경우 DMA(Direct Memory Access)의 방식으로 메모리(120)를 액세스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로테이터(130)는 DMA방식으로 화상데이터를 읽어 내고 쓰기 위하여 DMA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화상을 복수의 블록(block)으로 나누고 각 블록에 대하여 회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블록 단위로 어드레스가 지정되는 경로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화상의 회전방향에 따라 블록(20)의 처리 및 저장 순서를 변화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미지로테이터(130)는 각 블록(20) 내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는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지정한다. 즉 블록 내의 어드레스의 순서는 회전방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블록의 크기 및 어드레스의 지정 순서는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의 의해 처리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화상에 대하여 모아찍기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프린팅될 제1화상(30a)을 축소처리한 뒤 회전처리를 수행하여 회전된 화상(30b)을 생성한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생성된 화상(30b)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정보에 따라 용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리(110)의 영역(40)에서 적절한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에 배치되도록 어 드레스를 부여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도 7의 (a) 참조).
같은 방법으로,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프린팅될 제2화상(32a)을 축소처리한 뒤 회전처리를 수행하여 회전된 화상(32b)을 생성한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생성된 화상(32b)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정보에 따라 용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리(110)의 영역(40)에서 적절한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에 배치되도록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도 7의 (b) 참조).
즉, 회전 처리된 제1화상(30a) 및 제2화상(32a)의 프린팅데이터는 용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동일한 메모리(110)의 영역(40)에서 적절한 위치로 배분되어 함께 저장된다. 메모리(110)의 영역(40)에 저장된 제1화상(30a) 및 제2화상(32a)의 프린팅데이터는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읽어져 하나의 용지에 함께 프린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화상(30a) 및 제2화상(32a)의 프린팅데이터가 따로 저장된 경우 이를 합치기 위하여 별도의 메모리를 할당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해결할 수 있으며, 할당된 메모리에 데이터를 재전송해야 하는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의 의해 처리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상을 분할하여 회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는 화상분할처리부(140)를 더 포함한다. 화상분할처리부(140)는 이미지로테이터(110)의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회전될 화상을 적절한 개 수의 화상으로 분할한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분할된 화상을 하나씩 입력 받아 이에 대하여 회전처리를 수행한다. 이미지로테이터(130)는 회전 처리된 화상(42)을 용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리(110)의 영역(40)에 분할된 각 화상이 원래의 화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도, 분할된 각 화상을 합치기 위하여 별도의 메모리를 할당할 필요가 없고, 이를 위한 데이터 처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며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화상처리장치(100)의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프린팅될 제1화상 및 제2화상에 대하여 수행될 회전 등의 화상처리를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회전방향, 회전량 및 프린팅될 화상의 위치를 결정한다(S100).
이미지로테이터(130)는 제1화상에 대하여 축소변환을 수행한 후 설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회전처리를 수행하고(S102), 회전된 화상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결정된 프린팅될 화상의 위치에 따라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104).
이미지로테이터(130)는 제2화상에 대하여 축소변환을 수행한 후 설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회전처리를 수행하고(S106), 회전된 화상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결정된 프린팅될 화상의 위치에 따라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108).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며 처리속도가 향상된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프린팅하고자 하는 화상의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과 상기 화상이 프린팅될 영역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화상이 회전되도록 상기 프린팅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프린팅될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이 분할되도록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프린팅하고자 하는 화상의 프린팅데이터가 저장되는 화상메모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과 상기 화상이 프린팅될 영역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프린팅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화상이 회전되도록 상기 프린팅데이터를 변환하고,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상기 화상메모리에 저장하는 회전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KR1020050053175A 2005-06-20 2005-06-20 회전처리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33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75A KR20060133364A (ko) 2005-06-20 2005-06-20 회전처리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75A KR20060133364A (ko) 2005-06-20 2005-06-20 회전처리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364A true KR20060133364A (ko) 2006-12-26

Family

ID=3781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175A KR20060133364A (ko) 2005-06-20 2005-06-20 회전처리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33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131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00211216A5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EP0296835B1 (en) Colour printer apparatus
JP698845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133364A (ko) 회전처리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H04252562A (ja) 画像処理装置
JPH10210251A (ja) 画像メモリアクセス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記憶装置、アドレス発生方法、及びアドレス発生装置
JP445081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21421B2 (ko)
JP422304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35382B2 (ja) 画像処理装置
JP409562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31647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
JP7249504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800674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545399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10569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10173836A (ja) 画像処理装置
JP409562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903877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802106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4795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5132696B2 (ja) メモリ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メモリ制御方法
JPH06217106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4320314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