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010A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010A
KR20060133010A KR1020067021204A KR20067021204A KR20060133010A KR 20060133010 A KR20060133010 A KR 20060133010A KR 1020067021204 A KR1020067021204 A KR 1020067021204A KR 20067021204 A KR20067021204 A KR 20067021204A KR 20060133010 A KR20060133010 A KR 20060133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ellulose ester
ester film
cellulose
polyhydric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시부야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33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0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4Mixed esters, e.g. cellulose acetate-buty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8J2301/12Cellulose acet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제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B,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A로 할 때, 0.8≤μA/μB≤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매트제, 편광판용 보호 필름,

Description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CELLULOSE ESTER FILM}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LCD)의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며, 특히 5000 m 이상의 권취품에서의 권취 품질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의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용액 유연 제막 방법에 의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액(이하, 도핑이라고 함)을 경면 처리된 표면을 갖는 무한 이행하는 무단의 지지체(스테인레스강제 벨트 또는 드럼) 위에 유연 다이로부터 유연하고, 도핑막(이하, 웹이라고 함)을 박리 롤(박리점)로 박리하며, 이어서 웹을 건조 장치에 도입하여 반송하면서 건조시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얻고, 추가로 권취기에 의해 권취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고 있었다. LCD의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중 주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에서는, 2000 m 권취된 필름의 생산이 일반적이지만, 최근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수요의 확대에 따라, 필름의 생산이 2500 m 내지 4000 m 권취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향후에는 필름의 고생 산에 의해 필름 생산이 5000 m 권취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직경이 커지면, 권취 필름에 걸린 힘이 증대되어,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가 발생하는 현상이 있었다.
이들 필름의 권취 품질에 관계된다고 생각되는, 편광판용 보호 필름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물리 특성의 개량에 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53244호 공보
본 출원인은 이전에, 박막화가 가능하며, 투명성의 상실 또는 필름끼리의 밀착이 없고, 막 물성이 우수한 할로겐화은 사진용 지지체의 발명을 제안하였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지지체의 양면에 각각 매트제를 함유하는 하부층을 갖는 할로겐화은 사진용 지지체이며,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50 ㎛ 내지 100 ㎛이고, 한쪽 하부층과 다른 쪽 하부층에는 평균 입경이 상이한 매트제가 각각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51378호 공보
본 출원인은 이전에, 롤형으로 권취할 때의 블로킹을, 또한 롤형으로 권취하여 열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블로킹을 발생시키지 않는 할로겐화은 사진 감광 재료용 지지체를 제공하고, 또한 유제층 등의 도포 건조 과정에서의 공정의 오염 또는 도포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할로겐화은 사진 감광 재료의 발명을 제안하였다.
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은 한쪽 면에 1층 이상의 하부층을 가지며, 그 의 반대쪽 면에 배후층을 갖는 할로겐화은 사진 감광 재료용 지지체에서, 상기 하부층이 평균 1차 입경이 0.01 내지 1.6 ㎛인 매트제를 갖고, 상기 매트제의 상기 하부층 표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0.002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매트제 미립자의 입경을 규정하는 것이었다.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3994호 공보
본 출원인은 이전에, 수지 필름 위에 대전 방지층을 설치함으로써, 이것을 편광판 보호용 필름으로서 사용할 때 알칼리 비누화 공정에서의 대전 방지층의 파괴나, 도포 용매의 기재에 대한 영향 때문에 컬이 커지는 문제점 또는 첨가제가 제조시에 석출되어 공정을 오염시키거나, 필름 위에 석출되는 문제점 등이 개량된, 필름 이면과의 블로킹이 없고,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충분하며, 생산성이 높은 수지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의 발명을 제안하였다.
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발명은, 적어도 한쪽 표면측의 대전 방지제의 농도가 수지 필름 전체의 대전 방지제의 평균 농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4106호 공보
본 출원인은 이전에, 액정 표시 소자의 박막화에 따라 편광판 보호 필름을 박막화한 경우에도, 필름 제막 공정 및 편광판 제조 공정에서 취급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의 발명을 제안하였다.
이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발명은, 필름 중에 미립자를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하여, 0.04 내지 0.3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필름 중에 평균 입경 1.0 내지 10.0 ㎛의 매트제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5670호 공보
본 출원인은 이전에, 편광판 보호 필름을 박막화한 경우에 발생하는 필름 제막 공정 및 편광판 제조 공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한, 취급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의 발명을 제안하였다.
이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발명은, 필름 중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서, 미립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내지 30 ㎚이고, 필름 중에서의 미립자의 평균 장축 입경을 A(㎚), 필름 중에서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한 미립자의 첨가 질량 비율을 B(%)로 했을 때, A×B가 15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중의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200 ㎚인 것을 규정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17059호 공보
이 특허 문헌 6에 기재된 발명은,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반송성 및 내상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를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유연하여 제막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 중의 매트제 함유율을 0.03 내지 0.15 중량%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매트제가 평균 입경 0.5 내지 1 ㎛의 이산화규소인 것을 규정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6208호 공보
본 출원인은 이전에, 필름 두께가 얇아도 주름 또는 꺾임이 발생하지 않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발명을 제안하였다.
이 특허 문헌 7에 기재된 발명은, 두께 60 ㎛ 이하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서, 온도 23 ℃ 습도 55 %에서의 필름 접촉면끼리의 마찰 계수를 a, 온도 23 ℃ 습도 80 %에서의 상기 마찰 계수를 b, 및 온도 23 ℃ 습도 85 %에서의 상기 마찰 계수를 c로 할 때, 1.0≤b/a≤1.5, 또한 1.0≤c/a≤5.0, 바람직하게는 1.0≤b/a≤1.5, 또한 1.0≤c/a≤2.0이 되는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중의 미립자의 평균 입경 및 입자간 거리를 규정하고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종래의 발명은 모두 필름 위에 도설층이 있으며, 그의 도설층 중의 물성에 대한 발명이고, 필름 자체에서의 표면 물리 특성의 개량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4 내지 7에 기재된 종래의 발명은 모두,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자체에서의 표면 물성의 개량에 대한 것이지만, 개량의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액정 표시 소자, 즉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예를 들면 5000 m 권취 이상으로 권취 직경이 늘어난 큰 부하가 걸린 권취품이어도, 권취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기한 점에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윤활성의 지표로서의 마찰 계수는, 원리적으로 면 접촉 하중에서의 마찰 저항력/하중으로 구하기 때문에, 하중에는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는 변화되지 않는다. 단, 일반적으로, 마찰면의 상태 및 접촉의 상태 등에 의한 하중의 변화에 따라 마찰 계수가 변화되는 경우는 있지만, 이 변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가 적을수록 바람직한 형태인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필름의 권취 직경이 증가하는 등, 권취 필름에 대한 부하가 과대한 경우에도 이 마찰 계수가 변화되지 않도록 억제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품질의 열화가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발명은, 매트제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B,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A로 할 때,
0.8≤μA/μB≤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 Ra, 십점 평균 조도: Rz,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 Sm이 각각 하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9.0 ㎚≤Ra≤11.0 ㎚
150 ㎚≤Rz≤250 ㎚
10 ㎚≤Sm≤300 ㎚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500 ㎚이고,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0.3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0 내지 1000 ㎚이고,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1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1
식 중, A, B 및 C는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은 비페닐기이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식 중 A, B 및 C가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이 비페닐기인 화합물과, 식 중 A, B 및 C가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이 페닐기인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2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1종 이상의 모노카르복실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비율 4.5 내지 12.5 중량%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7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모노카르복실산이 분자 내에 방향족환 또는 시클로알킬환을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7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2 내지 20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7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2 내지 3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7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탄소수 4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매트제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B,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A로 할 때,
0.8≤μA/μB≤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액정 표시 소자, 즉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예를 들면 5000 m 권취 이상으로 권취 직경이 늘어난 큰 부하가 걸린 권취품이어도, 권취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 Ra, 십점 평균 조도: Rz,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 Sm이 각각 하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9.0 ㎚≤Ra≤11.0 ㎚
150 ㎚≤Rz≤250 ㎚
10 ㎚≤Sm≤300 ㎚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필름의 표면 상태를 특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필름이 접촉할 때 접촉면에서의 마찰 계수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권취 품질에 대한 필름 윤활성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직경이 커져 권취 필름에 걸린 힘이 증대되어도,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500 ㎚이고,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0.3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권취 후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동마찰 계수를 특정 범위 내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특정 입경의 미립자를 특정한 입자간 거리로 존재시킨다. 즉, 미립자를 필름 내부의 함유량 또는 함유 비율로 규정하지 않고, 미립자의 존재의 정도, 즉 입자간 거리로 규정한다.
청구의 범위 제3항에 의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따르면, 필름의 표면 상태를 특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필름이 접촉할 때 접촉면에서의 마찰 계수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직경이 커져 권취 필 름에 걸린 힘이 증대되어도,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0 내지 1000 ㎚이고,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1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필름의 표면 상태를 특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필름이 접촉할 때 접촉면에서의 마찰 계수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직경이 커져 권취 필름에 걸린 힘이 증대되어도,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어서, 권취 후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동마찰 계수를 특정 범위 내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가소제를 사용한다. 특정한 가소제의 사용에 의해 흡습성 및 투습성이 저하되고, 습도 변화시의 필름 내습성이 향상되며, 이것이 마찰 계수의 저하, 나아가서는 윤활성의 개선에 밀접하게 결부된다.
즉,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3
식 중, A, B 및 C는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은 비페닐기이다.
청구의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필름의 표면 상태를 특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필름이 접촉할 때 접촉면에서의 마찰 계수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권취 후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동마찰 계수를 특정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직경이 커져 권취 필름에 걸린 힘이 증대되어도,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특히 트리스비페닐포스페이트(TBP)는 필름의 소수성을 향상시키며, 그 결과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식 중 A, B 및 C가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이 비페닐기인 화합물과, 식 중 A, B 및 C가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이 페닐기인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4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필름의 표면 상태를 특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필름이 접촉할 때 접촉면에서의 마찰 계수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직경이 커져 권취 필름에 걸린 힘이 증대되어도,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1종 이상의 모노카르복실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비율 4.5 내지 12.5 중량%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7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모노카르복실산이 분자 내에 방향족환 또는 시클로알킬환을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청구의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7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2 내지 20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청구의 범위 제9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7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2 내지 3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7항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탄소수 4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접촉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매트제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B,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A로 할 때,
0.8≤μA/μB≤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윤활성의 지표로서의 마찰 계수는, 원리적으로 면 접촉 하중에서의 마찰 저항력/하중으로 구하기 때문에, 하중에는 의존하지 않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는 변화되지 않는다. 단, 일반적으로 마찰면의 상태 및 접촉 상태 등에 의한 하중의 변화에 따라 마찰 계수가 변화되지만, 이 변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하중이 변화되어도, 마찰 계수의 변화가 적을수록 바람직한 형태인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필름의 권취 직경이 증가하는 등, 권취 필름에 대한 부하가 과대한 경우에도 이 마찰 계수가 변화되지 않도록 억제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품질의 열화가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B,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A로 할 때,
0.8≤μA/μB≤1.3이다.
여기서, μA/μB가 0.8 미만이면, 저접촉 하중에서의 동마찰 계수가 높아지고, 권취 직경이 작은 권취 필름에서의 필름 윤활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결과, 권취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μA/μB가 1.3을 초과하면, 고접촉 하중에서의 동마찰 계수가 높아지고, 권취 직경이 큰 후기의 권취 필름에서 외관 열화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결과로서, μA/μB가 0.8 미만이면, 권취 필름에서의 권취 안정성이 저하되어, 외관 열화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μA/μB가 1.3을 초과하여도, 권취 필름에서의 권취 안정성이 저하되어, 외관 열화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종래 필름의 점 접촉시의 동마찰 계수 시험은 행해지고 있지 않으며, JIS 규격 등의 일반적인 필름의 동마찰 계수 시험은 면 접촉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 경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 μB 및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 μA의 측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한다.
측정 방법
신또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의 표면성 시험기 TYPE14S, TYPE18L, TYPE32, 트라이스포스테이션 및 이들의 유사 기종을 사용하며, 면 접촉시의 동마찰 계수 시험에 대해서는 면 접촉 압자를 사용하고, 적절하게 상기한 하중을 가하여 동마찰 계수 시험을 행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면접촉 압자에 대해서는, 각종 옵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장치에 지정되어 있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동마찰 계수 및 정마찰 계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측정 방법은 일례이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유사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적절하게 동마찰 계수 및 정마찰 계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 Ra, 십점 평균 조도: Rz,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 Sm이 각각 하기의 범위 내이다.
9.0 ㎚≤Ra≤11.0 ㎚
150 ㎚≤Rz≤250 ㎚
10 ㎚≤Sm≤300 ㎚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Ra), 십점 평균 조도(Rz),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Sm)을 상기한 범위 내로 유지함으로써, 권취 품질에 대한 필름 윤활성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권취 직경이 커져 권취 필름에 걸린 힘이 증대되어도, 필름 권취 외관의 열화 또는 필름끼리의 윤활성의 열화, 즉 권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500 ㎚이고,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0.3 내지 3 ㎛이다.
여기서,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0 ㎚ 미만이면, 필름끼리를 중첩시켰을 때의 접촉점의 개수가 줄어들어 필름끼리의 마찰 저항이 증가되는 결과, 권취 필름에서의 필름의 외관 열화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0 ㎚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이 열화되어 필름의 외관이 열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0.3 ㎛ 미만이면, 필름의 투명성이 열화되어 필름의 외관이 열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3 ㎛를 초과하면, 필름끼리를 중첩시켰을 때의 접촉점의 개수가 줄어들어 필름끼리의 마찰 저항이 증가되는 결과, 권취 필름에서의 필름의 외관 열화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0 내지 1000 ㎚이고,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1 내지 5 ㎛이다.
여기서,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0 ㎚ 미만이면, 필름끼리를 중첩시켰을 때의 접촉점의 개수가 줄어들어 필름끼리의 마찰 저항이 증가되는 결과, 권취 필름에서의 필름의 외관 열화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00 ㎚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이 열화되어 필름의 외관이 열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1 ㎛ 미만이면, 필름의 투명성이 열화되어 필름의 외관이 열화되 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5 ㎛를 초과하면, 필름끼리를 중첩시켰을 때의 접촉점의 개수가 줄어들어 필름끼리의 마찰 저항이 증가되는 결과, 권취 필름에서의 필름의 외관 열화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로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의 경우에는, 특히 중합도 250 내지 400, 결합 아세트산량이 54 내지 62.5 %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며, 결합 아세트산량이 58 내지 62.5 %인 베이스 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는 목화 린터로부터 합성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와 목재 펄프로부터 합성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용해에 사용하는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양용제과 빈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생산 효율을 높이는 면에서 바람직하며, 양용제가 많을수록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용해성 및 미소한 불용해물에 의한 필름 이물질을 적게 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양용제와 빈용제의 혼합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양용제가 70 내지 98 중량%이고, 빈용제가 30 내지 2 중량%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용제 및 빈용제란, 사용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단독으로 용해시키는 것을 양용제, 단독으로 팽윤시키거나 또는 용해시키지 않는 것을 빈용제로 정의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의 경우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DCM) 등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또는 디옥솔란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CAP)의 경우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DCM), 아세톤 및 아세트산메틸(MA)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빈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EtOH), i-프로필알콜, n-부탄올, 시클로헥산, 아세톤 및 시클로헥사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비염소계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아세트산메틸(MA), 시클로헥사논, 포름산에틸, 1,3-디옥솔란,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 1,3-디플루오로-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메틸-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및 2,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용제는 1종만 사용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비염소계 유기 용제로서는, 이들 중에서도 아세트산메틸(MA) 및 아세톤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세트산메틸 및 아세톤은 용해성이 양호하며,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용액에는 용해성의 향상, 점도 조정, 건조 속도의 조정 및 용액을 유연했을 때의 겔화의 촉진 등을 목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저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2-부탄올, t-부틸알코올 및 시클로헥산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메탄올, 에탄올 및 1-부탄올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저급 알코올은 전체 유기 용제에 대하여 2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을 함유시킨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액은 유연 캐스팅시, 잔용제를 많이 포함한 상태에서도 막의 강도가 강하며, 유연 캐스팅에 사용하는 지지체인 벨트 또는 드럼 위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액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및 용제를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또는 용제가 비등하지 않는 온도 조건하에 교반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교반 혼합은 용기 내부의 액막 잔여물이 없는 장치 및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내를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로 충만시켜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압 용기 등을 사용하여 가압하에 교반 혼합할 수 있다.
용액 중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농도는, 필름 제막시의 건조 효율면에서 되도록이면 고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너무 고농도가 되면 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커져, 얻어진 필름의 평면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용액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농도는 15 중량% 내지 4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20 중량% 내지 35 중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액의 점도는 제막시에 유연 가능한 범위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5 P(포이즈) 내지 500 P(포이즈)의 범위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를 첨가할 때의 가열 온도는 사용 용제의 비점 이상이며, 상기 용제가 비등하지 않는 범위의 온도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60 ℃ 이상, 80 내지 110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은 설정 온도에서 용제가 비등하지 않도록 정해진다.
용해 후에는 냉각하면서 용기로부터 취출하거나, 또는 용기로부터 펌프 등으로 추출하고 열 교환기 등으로 냉각하여, 이것을 제막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5
식 중, A, B 및 C는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은 비페닐기이다.
또한, 특히 트리스비페닐포스페이트(TBP)는 필름의 소수성을 향상시키며, 그 결과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 물에서, 식 중 A, B 및 C가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이 비페닐기인 화합물과, 식 중 A, B 및 C가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이 페닐기인 화합물을 더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6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인산에스테르계에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BD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및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등을, 프탈산에스테르계에서는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메톡시에틸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EPEG), 메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및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가소제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소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필름이 얻어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흡수율 및 수분율을 특정한 범위 내로 하기 위해 바람직한 가소제의 첨가량으로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한 중량%로 12 중량% 이하이다. 가소제를 2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가소제의 합계량이 12 중량% 이 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1종 이상의 모노카르복실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한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한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4.5 내지 12.5 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 중량%이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서, 상기 모노카르복실산은 분자 내에 방향족환 또는 시클로알킬환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서, 지방족 다가 알코올은 2 내지 20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가소제를 감량하는 데 큰 기여를 한다고 생각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족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에 대하여 설명하면 , 지방족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는 2 내지 20가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1종 이상의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족 다가 알코올은 2 내지 20가의 알코올로 다음의 화학식 2로 표시된다.
R1-(OH)n
단, 식 중 R1은 n가의 지방족 유기기, n은 2 내지 20의 양의 정수, OH기는 알코올성 및/또는 페놀성 수산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n가의 지방족 유기기로서는 알킬렌기(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및 테트라메틸렌기 등), 알케닐렌기(예를 들면 에테닐렌기 등), 알키닐렌기(예를 들면 에티닐렌기 등), 시클로알킬렌기(예를 들면 1,4-시클로헥산디일기 등) 및 알칸트리일기(예를 들면 1,2,3-프로판트리일기 등)를 들 수 있다. n가의 지방족 유기기는 치환기(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등)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n은 2 내지 20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다가 알코올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도니톨, 아라비톨,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디부틸렌글리콜, 1,2,4-부탄트리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헥산트리올, 갈락티톨, 만니톨, 3-메틸펜탄-1,3,5-트리올, 피나콜, 소르비톨,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및 크실리톨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크실리톨이 바람직하다.
(모노카르복실산)
본 발명에서,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에서의 모노카르복실산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지환족 모노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지환족 모노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을 사용하면 투습성 및 보류성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서는, 탄소수 1 내지 32의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지방산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탄소수는 1 내지 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 내지 1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세트산을 함유하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아세트산과 다른 모노카르복실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페랄곤산, 카프르산, 2-에틸-헥산카르복실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헵타데실산, 스테아르산, 노나데칸산, 아라킨산, 베헨산, 리그노세린산, 세로틴산, 헵타코산산, 몬탄산, 멜리신산 및 락세르산 등의 포화 지방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소르브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 아라키돈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추가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지환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로서는 시클로펜탄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시클로옥탄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로서는 벤조산, 및 톨루일산 등의 벤조산의 벤젠환에 알킬기를 도입한 것, 비페닐카르복실산, 나프탈렌카르복실산 및 테트랄린카르복실산 등의 벤젠환을 2개 이상 갖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특히 벤조산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0 내지 1500인 것이 바람직하며, 350 내지 7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류성의 면에서는 큰 것이 바람직하며, 투습성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의 면에서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에서의 카르복실산은 1종 단독일 수도, 2종 이상 혼합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다가 알코올 중의 OH기는 모두 에스테르화할 수 있으며, 일부를 OH기 상태 그대로 남길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자 내에 방향환 또는 시클로알킬환을 3개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7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8
Figure 112006073752925-PCT00009
Figure 112006073752925-PCT00010
상기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중,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TMPTB),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프로피오네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1,3-디부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과 아세트산 및 벤조산의 혼합 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과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과 아세트산 및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혼합 에스테르, 3-메틸펜탄- 1,3,5-트리올과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3-메틸펜탄-1,3,5-트리올과 벤조산의 에스테르, 크실리톨과 벤조산의 에스테르 및 크실리톨과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의 사용량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하여 4.5 내지 12.5 중량%가 바람직하며, 6 내지 12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와 용제 및 상기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외에,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다.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는, 미리 용제와 혼합하여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나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해 전의 용제에 투입할 수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해 후의 도핑에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는 가소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와 종래의 가소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하여 4.5 내지 12.5 중량%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지만,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와 가소제의 합계량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한 중량%로 12.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가소제의 사용량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하여 8.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의 사용량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하여 7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소제의 사용량 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하여 5.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의 사용에 의해, 종래의 가소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중에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프탈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지방산 다가 알코올과 1종 이상의 모노카르복실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상기 화합물 전체량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함유량이 8.0 중량% 이상 13 중량%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화합물 전체량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함유량이 8.0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3 중량%를 초과하면, 치수 안정성의 열화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정 열화 방지의 면에서 파장 370 ㎚ 이하의 자외선 흡수능이 우수하며, 양호한 액정 표시성의 면에서 파장 400 ㎚ 이상의 가시광의 흡수가 가급적으로 적은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시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윤활성의 향상 및 권취 후의 블로킹 방지 등을 목적으로 매트제로서 첨가하는 미립자는, 주도핑에 첨가할 수 있지만, 첨가액에 첨가하는 것이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첨가액에 첨가하여, 필름에 함유시킨다. 또한, 주도핑에 함유시킬 수도 있으며, 미립자로서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립자로서는 무기 화합물의 예로서,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소성카올린, 소성규산칼슘, 수화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을 들 수 있다. 산화지르코늄의 미립자는, 예를 들면 에어로실 R976 및 R811(이상, 닛본 에어로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미립자는 규소를 포함하는 것이 탁도(濁度)가 낮아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며, 특히 이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예로서는 에어로실 R972, R972V, R974, R812, 200, 200V, 300, R202, OX50, TT600(이상, 닛본 에어로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규소 미립자의 1차 평균 입경이 20 ㎚ 이하이며, 겉보기 비중이 70 g/ℓ 이상인 이산화규소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만족하는 이산화규소의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에어로실 200V 및 에어로실 R972V가 있으며, 필름의 탁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마찰 계수를 내리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립자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하여, 0.04 내지 0.4 중량% 첨가하여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용해시켜 얻어지는 도핑을 지지체 위에 유연(캐스팅 공정)한 후, 가열하여 용제의 일부를 제거(지지체 위의 건조 공정)하고 나서,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고 박리된 필름을 건조(필름 건조 공정)시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캐스팅 공정에서의 지지체는 벨트형 또는 드럼형 스테인레스를 경면 처리한 지지체가 사용된다. 캐스팅 공정의 지지체의 온도는, 일반적인 온도 범위 0 ℃ 내지 용제의 비점 미만의 온도로 유연할 수 있지만, 5 내지 30 ℃의 지지체 위에 유연하는 것이 도핑을 겔화시켜 박리 한계 시간을 높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5 내지 15 ℃의 지지체 위에 유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 위의 건조 공정에서는 도핑을 유연하여 일단 겔화시킨 후, 유연으로부터 박리할 때까지의 시간을 100 %로 했을 때, 유연으로부터 30 % 이내에 도핑 온도를 40 ℃ 내지 70 ℃로 함으로써 용제의 증발을 촉진하여, 그만큼 빠르게 지지체 위로부터 박리할 수 있으며, 박리 강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30 % 이내에 도핑 온도를 55 ℃ 내지 70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온도를 20 %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 위에서의 건조는 잔류 용매량 60 % 내지 150 %에서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지지체로부터의 박리 강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80 내지 12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할 때의 도핑의 온도는 0 ℃ 내지 30 ℃로 하는 것이 박리시의 베이스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박리시의 베이스 파단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5 ℃ 내지 20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 건조 공정에서는 지지체로부터 박리한 필름을 건조시키며, 잔류 용매량을 3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치수 안정성이 양호한 필름을 얻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필름 건조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롤 현수 방식이나, 핀 텐터 방식 또는 클립 텐터 방식으로 필름을 반송하면서 건조하는 방식이 채용된다. 액정 표시용 부재용으로서는, 텐터 방식으로 폭을 유지하면서 건조시키는 것이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다.
필름을 건조시키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열풍, 적외선, 가열 롤 및 마이크로파 등으로 행한다. 간편함의 면에서 열풍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는 40 ℃ 내지 150 ℃의 범위에서 3 내지 5 단계의 온도로 나누어, 점점 높게 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 ℃ 내지 140 ℃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치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의 유연으로부터 후 건조까지의 공정은 공기 분위기 하에서 행할 수도 있고,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에 대한 권취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정텐션법, 정토크법, 테이퍼텐션법 및 내부 응력이 일정한 프로그램 텐션 조절법 등의 권취 방법으로 권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LCD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소자, 즉 편광판용 보호 필름에 사용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두께 20 내지 80 ㎛의 셀 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사용하는 편광자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을, 요오드와 같은 2색성 염료로 처리하여 연신한 것이나, 염화비닐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을 처리하여 배향시킨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편광자를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적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편광판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보상 필름을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에 적층한 것으로서 구성되며, 한쪽에만 적층한 것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다른쪽 면에 액정층을 도설하지 않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지지체나 기타 투명 지지체 또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판은 액정셀의 셀측 한쪽 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쪽 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쪽에 설치되는 경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보상 필름은, 편광자에 대하여 액정셀에 가까운 쪽에 접착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3(도핑액의 제조)>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의 도핑액을 이하와 같이 제조하였다.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아세틸 치환도 2.88) 100 중량부
티누빈 T-326(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사 제조) 1 중량부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EPEG)(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TMPTB)(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가소제 및/또는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배합량의 합계 10 중량부
에어로실 200V 0.09 중량부(이산화규소ㆍ매트제, 닛본 에어로실사 제조)
메틸렌클로라이드(DCM) 320 중량부
아세트산메틸(MA) 320 중량부
에탄올(EtOH) 20 중량부
상기한 소재로부터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을 제조하였고, 가소제인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EPEG)(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TMPTB)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하여, 3 종류의 도핑 소재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소재를 각각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압하에 80 ℃로 보온ㆍ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필름 시료의 제조)
상기한 도핑액을 여과한 후, 도시하지 않은 벨트 유연 장치를 사용하여, 도핑 온도 33 ℃에서 유연 다이로부터, 스테인레스강제 무단 벨트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위에 유연하였다. 지지체 위에 형성된 웹을 박리 롤에 의해 지지체 위로부터 박리하여, 다수의 롤로 반송시키면서 건조시켰다. 이때, 클립 텐터를 사용하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면서 건조를 행하였다. 건조 후, 롤형으로 권취함으로써, 막 두께 40 ㎛의 3 종류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을 얻었다.
하기의 표 1에, 사용한 가소제 및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의 종류와,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 μB 및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 μA의 측정 결과, 및 μA/μB의 비의 계산 결과를 통합하여 나타내었다.
여기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 μB 및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μA의 측정 시험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측정 방법
신또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의 표면성 시험기 TYPE14S, TYPE18L, TYPE32, 트라이스포스테이션 및 이들의 유사 기종을 사용하며, 면 접촉시의 동마찰 계수 시험에 대해서는 면 접촉 압자를 사용하고, 적절하게 상기한 하중을 가하여 동마찰 계수 시험을 행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면 접촉 압자에 대해서는, 각종 옵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장치에 지정되어 있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동마찰 계수 및 정마찰 계수를 구할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
비교를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막 두께 40 ㎛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을 제조하였지만, 비교예 1과 2에서는 면 접촉 하중 300 g 에서의 동마찰 계수(μB)와, 면 접촉 하중 1000 g에서의 동마찰 계수(μA)의 비:μA/μB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인 1.3을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3에서는, μA/μB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인 0.8 미만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권취 품질의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과 2의 각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권취 품질을 평가하였다. 여기서, 권취 품질의 평가 방법으로서, 각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권취 필름에 대하여 외관을 확인하고, 돌기형의 볼록 부분으로 관찰되는 수에 의해 0 내지 5개를 A, 6 내지 10개를 B, 11 내지 20개를 C, 21개 이상을 D로 하였다.
(산술 평균 조도: Ra, 십점 평균 조도: Rz,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 Sm의 측정)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각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1 ㎡를 샘플링하여, 필름 양면의 산술 평균 조도(Ra)의 평균값, 십점 평균 조도(Rz)의 평균값 및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Sm)을 JIS K7125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비코(Veeco)사 제조의 필름 표면 조도 측정기(WYKO-NT1100)를 사용하여, 배율 20배로써 필름의 양면을 각각 측정 3점씩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산술 평균 조도(Ra) 및 십점 평균 조도(Rz)로 하였다. 또한, 조도 곡선의 피크로부터 밸리가 되는 점을 변화점으로 하여, 변화점으로부터 다음의 변화점까지의 간격 평균값을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Sm)으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통합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3752925-PCT0001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권취 품질이 양호하고, 필름이 우수한 물리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용 보호 필름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9.5 ㎚ 및 십점 평균 조도(Rz)가 170 ㎚이며,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Sm)이 250 ㎚이기 때문에, 필름끼리를 중첩시켰을 때의 접촉 면적이 적절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필름끼리의 마찰 계수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권취 품질이 양호하다.
이에 비해 비교예 1과 2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권취 품질이 불량하며, 필름의 표면 물리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편광판용 보호 필름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과 2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6.0 ㎚와 8.0 ㎚로 낮고, 십점 평균 조도(Rz)가 80 ㎚와 110 ㎚로 낮으며, 반대로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Sm)이 650 ㎚와 400 ㎚로 높아져 있기 때문에, 필름끼리를 중첩시켰을 때의 접촉 면적이 적어진다고 추정되며, 필름끼리의 마찰 계수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여, 권취 품질이 열화된다.
또한, 비교예 3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13.0 ㎚로 매우 높고, 십점 평균 조도(Rz)가 300 ㎚이며,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Sm)이 100 ㎚로 낮아져 있기 때문에, 권취 품질은 양호하지만, 필름 평활성이 열화되어 실용에는 견디지 못하는 것이었다.
<실시예 4 및 5>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막 두께 40 ㎛의 2종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을 얻었다.
하기의 표 2에, 사용한 가소제 및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의 종류와,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 μB 및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 μA의 측정 결과, 및 μA/μB의 비의 계산 결과를 통합하여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비교를 위해, 상기 실시예 4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막 두께 40 ㎛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을 제조하였지만, 비교예 4에서는, μA/μB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인 0.8 미만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권취 품질의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와 5, 및 비교예 4의 각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대하여, 필름의 권취 품질을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4와 5 및 비교예 4에서 얻어진 각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대하여, 매트제(이산화규소 미립자)의 평균 입경을 측정함과 동시에,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또한, 입자간 거리의 측정은 필름 표면 및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행하였다. 즉, 20 ㎛ 사방의 평면의 관찰 부분 1 부분당 입자간 거리의 평균을 구하였다. 또한 관찰 부분을 5 부분으로 하여 입자간 거리의 평균을 구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값의 평균을 입자간 거리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통합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3752925-PCT0001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와 5에 의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따르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권취 품질이 양호하고, 필름이 우수한 물리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용 보호 필름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 중의 매트제(이산화규소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실시예 4에서는 250 ㎚인데 비해, 실시예 5에서는 700 ㎚였다. 필름 중의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는, 어떠한 경우에도 3 ㎛였다.
이에 비해 비교예 4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권취 품질이 불량하며, 필름의 표면 물리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편광판용 보호 필름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 중의 매트제(이산화규소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200 ㎚이고, 필름 중의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는 2 ㎛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4와 5에 의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따르면, 비교예 4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비해, 필름끼리를 중첩시켰을 때의 접촉 면적이 적절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필름끼리의 마찰 계수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권취 품질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LCD)의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며, 특히 5000 m 이상의 권취품에서 권취 품질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예를 들면 5000 m 권취 이상으로 권취 직경이 늘어난 큰 부하의 권취품이어도, 권취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매트제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이며, 면 접촉 하중 3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B, 면 접촉 하중 1000 g(겉보기 면적 63×63 ㎟)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μA로 할 때,
    0.8≤μA/μB≤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 Ra, 십점 평균 조도: Rz, 국부 피크의 평균 간격: Sm이 각각 하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9.0 ㎚≤Ra≤11.0 ㎚
    150 ㎚≤Rz≤250 ㎚
    10 ㎚≤Sm≤300 ㎚
  3. 제1항에 있어서,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500 ㎚이고,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0.3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필름 중의 매트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0 내지 1000 ㎚이고, 매트제 미립자의 입자간 거리가 1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 스 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6073752925-PCT00013
    식 중, A, B 및 C는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은 비페닐기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식 중 A, B 및 C가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이 비페닐기인 화합물과, 식 중 A, B 및 C가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를 나타내고, A, B 및 C 중 2개 이상이 페닐기인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6073752925-PCT00014
  7.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1종 이상의 모노카르복실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비율 4.5 내지 12.5 중량%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모노카르복실산이 분자 내에 방향족환 또는 시클로알킬환을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9. 제7항에 있어서,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2 내지 20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10. 제7항에 있어서,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2 내지 3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11. 제7항에 있어서,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탄소수 4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KR1020067021204A 2004-04-16 2005-04-06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KR20060133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21737 2004-04-16
JP2004121737A JP2005306900A (ja) 2004-04-16 2004-04-16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010A true KR20060133010A (ko) 2006-12-22

Family

ID=3514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204A KR20060133010A (ko) 2004-04-16 2005-04-06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5306900A (ko)
KR (1) KR20060133010A (ko)
CN (1) CN1942511A (ko)
TW (1) TW200617070A (ko)
WO (1) WO2005100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49B1 (ko) * 2009-05-14 2013-05-02 가부시키가이샤 지로 코포레토 프란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6208A (ja) * 2001-09-20 2003-04-03 Konica Corp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213012A (ja) * 2002-01-17 2003-07-30 Konica Corp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
JP4099998B2 (ja) * 2002-01-30 2008-06-1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089328B2 (ja) * 2002-02-07 2008-05-2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延伸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延伸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楕円偏光板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06900A (ja) 2005-11-04
TWI375696B (ko) 2012-11-01
CN1942511A (zh) 2007-04-04
TW200617070A (en) 2006-06-01
WO2005100458A1 (ja)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838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JP3807167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990596B1 (ko)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4036014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07084608A (ja) 透明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透明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313467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83759A (ja)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60133010A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JP2007023157A (ja) 透明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透明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181683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4341207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4766043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6057109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2003300248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02021A (ja) 透明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透明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206721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4419558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表示装置
JP4089156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5298559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246797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
JP2011183584A (ja)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013568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300736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978071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4323749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