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541A -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 Google Patents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541A
KR20060131541A KR1020050052060A KR20050052060A KR20060131541A KR 20060131541 A KR20060131541 A KR 20060131541A KR 1020050052060 A KR1020050052060 A KR 1020050052060A KR 20050052060 A KR20050052060 A KR 20050052060A KR 20060131541 A KR20060131541 A KR 2006013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induction motor
induction
toroidal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7281B1 (ko
Inventor
오승석
신현정
한승도
안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281B1/ko
Priority to US11/339,699 priority patent/US20060284509A1/en
Priority to EP06002286A priority patent/EP1734642A3/en
Priority to JP2006040973A priority patent/JP2006353077A/ja
Priority to CNA2006100085700A priority patent/CN1881756A/zh
Publication of KR2006013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2Machines with one stator and two or mor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6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internally short-circuited windings, e.g. cag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엔드턴 코일의 길이를 저감시켜 효율 및 출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소형/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는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수용공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됨과 아울러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복수개의 티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자와; 상기 각 티스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고정자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축 방향을 따라 권선되는 구동코일과; 상기 수용공의 내부에 소정 공극을 두고 이격되며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유도회전자와; 상기 유도회전자의 중심에 압입 결합되어 상기 유도회전자의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회전축과;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자와 상기 유도회전자의 사이에 소정 공극을 두고 이격되며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기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를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토로이달 스테이터, 소형, 동기회전자, 마그네트

Description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HYBRIDE INDUCTION MOTOR APPLIED TOROIDAL WINDING METHODE}
도 1은 종래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내지 5는 종래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로서, 플럭스라인 및 플럭스밀도와 역기전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로서, 토로이달 스테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로서, 플럭스라인 및 플럭스밀도와 역기전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자 3 : 유도회전자
5 : 회전축 6 : 동기회전자
7 : 절연부재 22 : 티스부
23 : 구동코일 61 : 마그네트
62 : 마그네트프레임 63 : 베어링
본 발명은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드턴 코일의 길이를 저감시켜 효율 및 출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소형/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는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사용전원에 따라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교류전동기에는 유도전동기, 동기전동기, 정류자전동기 등이 있으며, 최근 유도전동기와 동기전동기의 특성을 결합한 동기/유도 전동기가 소개되고 있다.
동기/유도 전동기는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극에 동기자인 영구자석을 자유회전 상태로 설치하여 이중공극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정자의 자계가 동기자를 회전시켜 동기자가 동기속도로 회전을 함과 동시에 동기자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회전자에 대해 회전자계 역할을 하면서 상기한 회전자가 회전을 하도록 하는 원리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5는 종래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로서, 플럭스라인 및 플럭 스밀도와 역기전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1)과, 회전자계가 생성되도록 구동코일(21)이 권선되며 하우징(1)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자(2)와, 상기 고정자(2)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기회전자(6)와, 상기 동기회전자(6)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도회전자(3) 및 상기 유도회전자(3)의 중심(3b)에 압입 결합되어 유도회전자(3)의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회전축(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2)는 복수개의 규소강판으로 형성된 적층철심으로, 그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수용공(21)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됨과 아울러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복수개의 티스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스부(22)에는 회전자계를 생성하는 구동코일(23)이 권선되어 있다.
상기 구동코일(23)은 메인코일(도시하지 않음)과 기동을 위한 서브코일(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도회전자(3)는 규소강판으로 된 적층철심에 봉도체(32)를 삽입하는 소위 농형의 유도회전자(squirrel cage rotor)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동기회전자(6)는 고정자(2)와 유도회전자(3) 각각에 대하여 전자기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자(2)와 유도회전자(3)의 사이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그네트(61)와, 상기 마그네트(61)를 지지하는 마그네트프레임(62)과, 상기 마그네트프레임(62)이 회전축(5) 상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 는 베어링(6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고정자(2)의 구동코일(23)에 1차 전류가 순차적으로 인가되어 회전자계가 형성되면, 이 회전자계에 의해 동기회전자(6)가 동기되어 동기속도로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상기 동기회전자(6)의 마그네트(61)에서 내측자속이 유도회전자(3)에 대해 회전자계 역할을 하며 유도회전자(3)가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유도회전자(3)에 결합되는 회전축(5)이 유도회전자(3)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5)에 연결된 각종 부품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자(2)에 권선되는 구동코일(23) 중 유효 자속을 생성하지 않는 부분이 상당히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구동코일(23) 중 고정자의 양단부에는 각 티스부(22)간의 코일을 서로 연결 함으로써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엔드턴(end-turn)(23a)이 형성되는데, 상기 엔드턴(23a)은 티스부(22)를 지나지 않기 때문에 동기회전자(6)에 영향을 미치는 회전자계를 생성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코일 자체의 저항인 동손(銅損)이 증가하여 효율 및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 엔드턴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또한, 상기 엔드턴(23a)은 권선방법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질 수는 있으나 기존의 권선방법에 있어서는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 밖에 없었다.
즉, 구동코일(23)에 회전자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정자(2)에 다수의 극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구동코일(23)은 인접한 티스부(22)끼리 권선되는 것이 아니라 몇개의 티스부(22)를 건너뛰어 권선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엔드턴(23a)의 길이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전체의 크기가 커지고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엔드턴 코일의 길이를 저감시켜 효율 및 출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소형/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는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수용공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됨과 아울러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복수개의 티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자와; 상기 각 티스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고정자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축 방향을 따라 권선되는 구동코일과; 상기 수용공의 내부에 소정 공극을 두고 이격되며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유도회전자와; 상기 유도회전자의 중심에 압입 결합되어 상기 유도회전자의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회전축과;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자와 상기 유도회전자의 사이에 소정 공극을 두고 이격되며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기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기회전자는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되는 마그네트프레임과, 상기 마그네트프레임이 회전축 상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티스부 사이의 구동코일이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로서, 토로이달 스테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로서, 플럭스라인 및 플럭스밀도와 역기전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이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는,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수용공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됨과 아울러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복수개의 티스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자(2)와, 상기 각 티스부(22)의 사이에 해당되는 고정자(2)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축 방향을 따라 토로이달 방식으로 권선되는 구동코일(23)과, 상기 수용공의 내부에 소정 공극을 두고 이격되며 회 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유도회전자(3)와, 상기 유도회전자(3)의 중심에 압입 결합되어 유도회전자(3)의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회전축(5)과,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61)를 구비하여 고정자(2)와 유도회전자(3)의 사이에 소정 공극을 두고 이격되며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기회전자(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2)는 복수개의 규소강판으로 형성된 적층철심으로, 그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수용공(21)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됨과 아울러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복수개의 티스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티스부(22)의 사이에 해당되는 고정자(2)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토로이달 방식으로 회전자계를 생성하는 구동코일(23)이 권선되어 있다.
상기 구동코일(23)은 메인코일(도시하지 않음)과 기동을 위한 서브코일(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2)에는 각 티스부(22) 사이의 구동코일(23)이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절연부재(7)가 일체로 몰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도회전자(3)는 규소강판으로 된 적층철심에 봉도체(32)를 삽입하는 소위 농형의 유도회전자(squirrel cage rotor)(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동기회전자(6)는 고정자(2)와 유도회전자(3) 각각에 대하여 전자기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자(2)와 유도회전자(3)의 사이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그네트(61)와, 상기 마그네트(61)를 지지하는 마그네트프레임(62) 과, 상기 마그네트프레임(62)이 회전축(5) 상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6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고정자(2)의 구동코일(23)에 1차 전류가 순차적으로 인가되어 회전자계가 형성되면, 이 회전자계에 의해 동기회전자(6)가 동기되어 동기속도로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상기 동기회전자(6)의 마그네트(61)에서 내측자속이 유도회전자(3)에 대해 회전자계 역할을 하며 유도회전자(3)가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유도회전자(3)에 결합되는 회전축(5)이 유도회전자(3)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5)에 연결된 각종 부품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자(2)의 권선되는 구동코일(23)을 고정자(2)의 각 티스부(22)의 사이에 해당되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축 방향을 따라 토로이달 방식으로 권선함으로써, 따라 종래 대비 전기/자기적인 성능 저하없이 엔드턴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른 효율 및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원가를 절감하고,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소형/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는 구동코일(23)이 티스부(22)에 권선되는 구조에 비해 역기전력(逆起電力)이 커질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 대비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에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엔드턴 코일의 길이를 저감시켜 효율 및 출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의 소형/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수용공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됨과 아울러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복수개의 티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자와;
    상기 각 티스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고정자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축 방향을 따라 권선되는 구동코일과;
    상기 수용공의 내부에 소정 공극을 두고 이격되며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유도회전자와;
    상기 유도회전자의 중심에 압입 결합되어 상기 유도회전자의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회전축과;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자와 상기 유도회전자의 사이에 소정 공극을 두고 이격되며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기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회전자는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되는 마그네트프레임과, 상기 마그네트프레임이 상기 회전축 상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티스부 사이의 구동코일이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KR1020050052060A 2005-06-16 2005-06-16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KR100677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60A KR100677281B1 (ko) 2005-06-16 2005-06-16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US11/339,699 US20060284509A1 (en) 2005-06-16 2006-01-26 Induction motor
EP06002286A EP1734642A3 (en) 2005-06-16 2006-02-03 Motor with an induction rotor and a synchronous rotor
JP2006040973A JP2006353077A (ja) 2005-06-16 2006-02-17 誘導電動機
CNA2006100085700A CN1881756A (zh) 2005-06-16 2006-02-17 感应电动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60A KR100677281B1 (ko) 2005-06-16 2005-06-16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41A true KR20060131541A (ko) 2006-12-20
KR100677281B1 KR100677281B1 (ko) 2007-02-02

Family

ID=3700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060A KR100677281B1 (ko) 2005-06-16 2005-06-16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84509A1 (ko)
EP (1) EP1734642A3 (ko)
JP (1) JP2006353077A (ko)
KR (1) KR100677281B1 (ko)
CN (1) CN18817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33802T1 (de) * 2003-12-12 2009-07-15 Wifag Maschf Ag Aussenläuferantrieb
KR20070071202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덕션 모터의 속도 가변장치 및 방법
KR101198232B1 (ko) 2006-03-17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덕션모터
KR100803570B1 (ko) * 2006-06-20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축방향 공극형 모터
US7791245B1 (en) * 2009-03-24 2010-09-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ptimized electric machine for smart actuators
CN102684394B (zh) * 2011-03-17 2016-12-07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马达组件
FR2983235B1 (fr) * 2011-11-24 2018-04-13 Safran Electrical & Power Systeme mecanique tournant a actionnement sans contact
US10651702B2 (en) * 2014-09-04 2020-05-12 Coreless Motor Co., Ltd. Coreless rotating electrical machine with stator including cylindrical coil and cooling method therefor
CN112421835A (zh) * 2020-12-25 2021-02-26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车用扁线永磁同步电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888A (en) * 1969-07-02 1971-06-28 Bowmar Instrument Corp Electromagnetic indicating apparatus
US4093869A (en) * 1976-04-13 1978-06-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Quadrature axis field brushless exciter
US4473752A (en) * 1982-05-27 1984-09-25 Lockheed Corporation Aircraft engine starting with synchronous ac generator
US5079467A (en) * 1989-07-10 1992-01-0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Radial drive for fluid pump
US6211595B1 (en) * 1997-07-18 2001-04-03 Sankyo Seiki Mfg. Co., Ltd. Armature structure of toroidal winding type rotating electric machine
JPH11356017A (ja) * 1998-06-09 1999-12-24 Shibaura Mechatronics Corp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WO2001045237A1 (en) * 1999-12-14 2001-06-21 Delphi Technologies, Inc. Brushless motor with reduced rotor inertia
JP2001298882A (ja) * 2000-04-18 2001-10-26 Nissan Motor Co Ltd 電動機のステータ
EP1416616B1 (en) * 2002-10-26 2010-06-09 LG Electronics Inc. Electric motor
KR100480123B1 (ko) * 2002-10-26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쉐이딩 코일형 단상 유도전동기
KR100595552B1 (ko) * 2004-03-31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결형 보빈, 이를 구비한 모터의 고정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4642A3 (en) 2008-02-13
US20060284509A1 (en) 2006-12-21
KR100677281B1 (ko) 2007-02-02
EP1734642A2 (en) 2006-12-20
CN1881756A (zh) 2006-12-20
JP2006353077A (ja)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281B1 (ko)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JP5059314B2 (ja) 単相誘導電動機
US8378547B2 (en) Electric motor
KR100652596B1 (ko) 이중자석 하이브리드 유도 전동기
KR100565220B1 (ko) 자기저항 동기 전동기
KR920704402A (ko) 전동기
US8941280B2 (en) DC motor with concentrated windings having connecting wires run through armature slots
JP2004147487A (ja) 電気モータ
KR100631551B1 (ko) 이중자석 하이브리드 유도 전동기
JP2014533086A (ja) 厚さが異なる永久磁石を有する回転子及びそれを含むモータ
JP2008136343A (ja) 直流モータのアーマチュア、直流モータ及び直流モータのアーマチュア巻線方法
KR100706193B1 (ko) 모터 고정자용 인슐레이터
JP2009240031A (ja) 電動モータ
CN112994300A (zh) 永磁空心线圈发电机
JP2012196043A (ja) 直流モータの巻線巻装方法、及び直流モータ
JP5063090B2 (ja) 回転電機及び圧縮機
KR100710365B1 (ko) 모터
KR200413099Y1 (ko) 모터 고정자용 인슐레이터
KR100511272B1 (ko)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의 회전자 구조
KR100698158B1 (ko) 모터
JP2010220336A (ja)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KR20100005890A (ko) 모터
JP2008295152A (ja) 電動モータ
JP2001157427A (ja) 永久磁石同期電動機
KR100631573B1 (ko) 하이브리드 유도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