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245A -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약제 카트리지및 약제 함침체 - Google Patents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약제 카트리지및 약제 함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245A
KR20060129245A KR1020067013503A KR20067013503A KR20060129245A KR 20060129245 A KR20060129245 A KR 20060129245A KR 1020067013503 A KR1020067013503 A KR 1020067013503A KR 20067013503 A KR20067013503 A KR 20067013503A KR 20060129245 A KR20060129245 A KR 2006012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main body
container
medical agen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노리 야마모토
신야 카와무라
사토시 야마사키
야스하루 다케이
타카오 조
Original Assignee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291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40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119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5304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42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76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84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76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30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14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327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76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0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14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55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73093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3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u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55Holders or dispensers for solid, gelified or impregnated insecticide, e.g. volatile blocks or impregnated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약제, 전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조가 단순하고, 비용이 싸며, 그 교환 작업이 용이하여 송풍기의 모터와 전지를 전기적으로 간단히 접속할 수 있고, 게다가 전체를 얇게 할 수 있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로 한다. 그 때문에, 일측 본체(10)와 타측 본체(11)를 힌지(12)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한 장치 본체(1)와, 그 일측 본체에 부착한 모터(21)와 팬(20)을 갖는 송풍기(2)와, 이 송풍기와 타측 본체 사이에 설치되고, 시트형 담체에 약제를 함침시킨 약제 함침체를 포함하는 약제 용기(3)와, 상기 일측 본체의 전지 수용 오목부(15)에 착탈 자유롭게 수용하여 부착한 전지(4)를 구비하고 전지에 의해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팬을 회전하여 약제 용기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하였다.
송풍식, 약제 방산

Description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약제 카트리지 및 약제 함침체{FAN CHEMICAL EMITTER, CHEMICAL CARTRIDGE USED FOR SAME, AND CHEMICAL IMPREGNATED BODY}
본 발명은 살충제, 살비제(miticide), 해충 혹은 해수 기피제(pest repellent), 해충 성장 제어제, 흡혈 행동 저지제 등의 해충 방제제, 방향제, 소취제, 살균제 등의 휘산성(volatile)을 갖는 약제를 송풍기의 바람의 힘으로 대기에 휘산, 확산시키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충 방제 성분을 유지한 약제 용기에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와 함께 해충 방제 성분을 기(氣) 중으로 방산 하는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 본체 내에 살충, 기피, 소취, 방균방미제의 목적에 이바지하게 하는 휘산성 약제를 담는 약제 용기와 송풍기를 구비하고, 송풍기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약제 용기로부터 휘산한 약제를 흡입한 공기와 함께 방출구로부터 방산 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충 방제제, 방향제, 소취제, 살균제 등, 휘산성을 갖는 약제를 유지하고,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등에 이용함으로써 약제를 대기에 방산 시키는 약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충 방제제, 방향제, 소취제, 살균제 등, 휘산성을 갖는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하고,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등에 이용함으로써 약제를 대기에 방산 시키는 약제 함침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1392호 공보에 개시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는 장치 본체 내에 송풍기와 약제 용기(약제 카트리지)와 전원 수납체를 설치한 것이며, 그 송풍기는 팬(fan)과 모터(motor)를 가지며, 약제 용기에는 휘산성 약제가 수납되고, 전원 수납체에는 전지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로 팬을 회전함으로써 약제 용기에 공기를 유통하여 휘산성의 약제를 대기에 휘산, 확산한다.
상술한 종래의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에 의해서 휘산성 약제의 약효가 없어지는 것과 동시에, 전지가 수명이 다하기 때문에, 그 약제 용기, 전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전원 수납체에 전지를 착탈이 자유롭게(replaceably) 수용하는 동시에, 그 전원 수납체에 약제 용기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그 전원 수납체를 장치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한 형태로 하며, 그 전원 수납체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약제 용기, 전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약제 용기, 전지를 교환하기 위해 복수의 부재를 착탈 자유롭 게(detachably)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장치 본체로부터 전원 수납체를 제거하고, 그 상태에서 전원 수납체로부터 약제 용기, 전지를 꺼내어 교환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롭고, 장치 본체와 전원 수납체를 분리하는 동안 어느 한쪽을 분실할 우려가 있다.
또한, 장치 본체에 송풍기의 모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모터와 전원 수납체에 수용한 전지를 코드로 접속할 수 없으므로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약제 용기는 통기성을 갖는 용기 내에 약제를 함침한(impregnated) 입상의 약제 함침체를 다수 수용한 형태이므로, 그 약제 용기는 두껍다.
이 때문에, 장치 본체가 두꺼워져 버린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7856호 공보에 개시된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해충 방제 장치는 해충 방제 성분을 유지한 약제 용기와 팬과 모터를 장치 본체(챔버) 내에 각각 수납하고, 그 장치 본체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은 형태로, 상기 모터로 팬을 회전함으로써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를 약제 용기에 접촉하여 해충 방제 성분과 함께 배기구를 통하여 공기 중으로 방출함으로써, 해충 방제 성분을 공기 중으로 방산 한다.
상술한 해충 방제 장치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옥외 등에서 사용한 때에도 유효한 해충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치 본체에 2개의 배기구를 상향, 하향으로서 형성하고,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상향의 배기구를 통하여 위 방향으로 배출하고, 또한 하향의 배기구를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해충 방제 장치는 장치 본체에 상향의 배기구, 하향의 배기구를 형성하고,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위 방향, 아래 방향으로만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頭部), 발 아래에 해충 방제 성분이 도달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종래의 해충 방제 장치와 같이, 단지 단순히 배기구를 상향, 하향으로 형성한 것으로만은 사용자의 두부, 발 아래까지 해충 방제 성분이 도달하는 데 시간이 걸려 사용 초기부터 해충을 방제할 수 없다.
또한, 사용하는 옥외 등의 개방 공간에서는 바람의 흐름이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기류 발생 등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변동하여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방산 되지 않아 해충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161호 공보에 기재한 바와 같이, 송풍기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약제 용기로부터 휘산한 약제를 흡입한 공기와 함께 방출구를 통하여 방산 시키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서는, 도 23,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241)의 상면으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42)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측면으로 흡입한 공기와 함께 휘산된 약제를 방산 하는 방출구(243)를 형성한다. 그리고 장치 본체(241) 상면의 흡입구(242)에는 약제를 담는 약제 용기(244)를 구비하고, 이 약제 용기(244)는 내부에 휘산성의 약제를 담는 동시에, 상면과 하면에 연륜형(annual ring) 슬릿형 개구부(245)를 형성하고, 이 상면과 하면에 형성한 개구부(245)를 통해 공기가 유통하도록 이루어져 있 다. 또한, 이 장치 본체(241)의 내부에는 송풍기(246)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송풍기(246)의 양측에 전원이 되는 전지(247)를 수납하여, 이 전지(247)에 의해 송풍기(246)를 구동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장치 본체(241)를 구성함으로써, 전지(247)에 의해 구동되고 내부에 구비한 송풍기(246)에 의해 상면에 형성하는 흡입구(24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는 약제 용기(244) 안을 통과한다. 그리고 약제 용기(244) 안을 통과한 공기와 함께 휘산된 약제가 측면에 형성한 방출구(243)를 통하여 외부로 방산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치 본체(241)에 있어서는 예컨대, 사람의 손목 등에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착용 밴드(248)를 부착하고 있다. 이 착용 밴드(248)는 유연성을 갖는 얇고 가는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버클(249)을 구비한 것으로, 이 착용 밴드(248)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장치 본체(241)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손목 등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에 휘산성 약제를 담는 약제 용기와, 이 약제 용기로부터 휘산된 약제를 방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방산하기 위한 송풍기와, 또한, 제일 무거운 송풍기를 움직이는 전원인 전지를 각각 구비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장치 본체는 대형화되고, 또한 중량이 무거워져 사용자가 장치 본체의 대형화나 무거운 중량에 의해 매우 사용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손 목 등에 끼워 사용하는 경우, 그 대형화, 중량감에 의해 불쾌한 느낌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1392호 공보에 개시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는 장치 본체 내에 송풍기와 약제 용기(약제 카트리지)와 전원 수납체를 설치한 것이고, 그 송풍기는 팬과 모터를 갖고, 약제 용기는 통기성을 갖는 용기 내에 약제를 함침한 입상의 약제 함침체를 다수 수용한 것이며, 전원 수납체에는 전지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로 팬을 회전함으로써 용기에 공기를 유통하여 약제를 대기에 방산 한다.
상술한 종래의 약제 용기는 통기성을 갖는 용기 내에 약제를 함침한 입상의 약제 함침체를 다수 수용한 것이고, 그 용기가 두껍고 크기 때문에 약제 용기가 두껍다.
이 때문에 장치 본체 내에 약제 용기, 송풍기, 전지 등을 설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치 전체가 두꺼워진다.
또한, 상술한 약제 용기는 통기성을 갖는 용기 내에 약제를 함침한 입상의 약제 함침체를 다수 수용하고, 그 용기 안으로 공기를 유통함으로써 약제 함침체에 함침한 약제를 순차적으로(progressively) 대기로 방산 하는 것이며, 그 약제 함침체에 함침한 약제가 없어지면, 약제 함침체를 수용한 상태로 용기를 폐기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이 종료된 약제 용기를 폐기물로서 처리하기 때문에, 최근의 폐기물 문제, 자원 절약 문제 등의 사회적 사정 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00239호 공보에 개시되는 약제 유지체(약제 함침체)가 알려져 있다.
이 약제 유지체는 꼬인 실(twisted yarn)로 이루어지는 네트를 복수 중첩하고, 그 네트에 약제를 함침시킨 것이다.
상기 복수의 네트를 중첩한 약제 유지체는 얇게 할 수 있지만, 복수의 네트를 중첩한 것뿐이므로 취급이 어렵고, 게다가 그 약제 유지체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약제가 손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네트에 함침한 약제가 없어지면, 그 네트를 폐기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약제 용기와 마찬가지로 폐기물로서 처리하므로 최근 폐기물 문제, 자원 절약 문제 등의 사회적 사정 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의장 등록 제1173150호 공보에 개시되는 약제 용기(약제 카트리지)가 알려져 있다.
이 약제 용기는 개구부를 갖는 외측 통체와 개구부를 갖는 내측 통체로 구성된 용기와, 이 외측 통체와 내측 통체 사이의 간극에 약제를 함침시킨 입상의 약제 함침체를 다수 수용한 것이다.
이 약제 용기는 입상의 약제 함침체를 용기 내에 수용하고, 그 용기 내에 공기를 유통함으로써 약제 함침체에 함침한 약제를 대기에 방산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위 체적 당의 약제량이 적고, 다량의 약제를 갖는 약제 용기로 하면, 용기의 직 경이 커지기 때문에 전체도 커져 버린다.
이 때문에,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치 본체 내에 큰 약제 용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해지므로, 장치 본체가 대형이 되어 버린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1392에 개시된 약제 함침체는 입상의 담체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것이며, 통기성을 갖는 용기 내에 다수의 약제 함침체를 수납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큰 용기가 필요해져 두꺼워지기 때문에,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치 본체가 두꺼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시트형 담체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이면,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는 강성이 약하고, 그것 자체로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유지 용기에 의해 약제 함침체의 중앙부와 외주부와 중간부를 유지하여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약제 함침체의 유지 용기에서 유지된 유지 부분 면적이 크고, 게다가, 그 유지 부분에는 공기가 유통하지 않기 때문에, 그 유지 부분에 함침하여 유지된 약제를 대기에 방산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무익하다.
이것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9230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허니컴체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유지재(약제 함침체)가 알려져 있다. 이 약제 유지재는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에 비해서 강성도 강하고, 단위 체적 당의 약제 유지량도 많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시트형 약제 함침체, 상술한 허니컴체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종래의 약제 유지재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이용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유지하고 있었던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 되면 사용 종료되며, 그 약제 유지재를 폐기물로서 처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약제 함침체는 한번 사용하는 일회용 타입으로, 최근의 폐기물 문제, 자원 절약 문제 등의 사회적 사정 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이 종료된 약제 함침체에 재차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시킴으로써 사용되지 않은 약제 함침체로 하고,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이면, 사용이 종료된 약제 함침체에 약액을 적하하여 공급함으로써 재차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허니컴체는 다수의 코어를 갖는 형상이기 때문에 그 허니컴체에 약제를 재차 함침하여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대량의 약액을 넣은 용기 내에 허니컴체를 침지하거나, 허니컴체에 함침시키는 양 이상의 다량의 약액을 계속해서 흐르게 하거나 하게 되기 때문에 다량의 약액이 필요한 동시에 약액을 처리하는 전용의 설비가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연속하여 복수의 허니컴체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하는 경우(예컨대, 공장에서의 제조시 등)에는 좋지만, 사용자가 사용 종료한 허니컴체에 약제를 재차 함침하여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약액이 무익하게 되며, 약액 처리 설비가 없기 때문에 약액 처리가 어렵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약제 용기, 전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하며 비용이 싸고, 그 약제 용기, 전지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며, 송풍기의 모터와 전지를 전기적으로 간단히 접속할 수 있고, 게다가 전체를 얇게 할 수 있도록 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배기구의 형상을 공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힘차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사용자의 두부, 발 아래에 해충 방제 성분이 단시간에 도달하여 사용 초기부터 해충을 방제할 수 있도록 한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장치 본체의 소형화나 경량화를 도모하며 실제로 사용할 때의 사용자의 불쾌감 등을 없애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얇게 할 수 있고,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취급이 쉽고, 게다가 손으로 잡았을 때에 약제가 손에 부착되지 않고, 사용 후에 약제를 보급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약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단위 체적 당의 약제량이 많고,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는 약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를 유효하게 대기에 방산 할 수 있는 것, 사용 종료 후에 사용자가 간단히 약제를 재차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바람직한 약제 함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는 장치 본체와 송풍기와 약제 용기와 전지를 구비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와 통기부와 전지 수용 오목부를 갖는 일측 본체와, 통기부를 갖는 타측 본체를 힌지로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송풍기는 모터로 팬을 회전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며, 그 모터 및 팬이 상기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에 부착되고,
상기 약제 용기는 송풍기와 타측 본체의 통기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지는 상기 전지 수용 오목부 내에 착탈 자유롭게 수용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측 본체의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와 전지 수용 오목부는 평면 방향으로 격리하여 두께 방향으로는 겹쳐지지 않도록 하며,
약제 용기는 시트형의 담체에 약제를 함침시킨 약제 함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의하면, 일측 본체에 대하여 타측 본체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개방함으로써, 그 일측 본체에 부착한 약제 용기 및 전지를 취출하거나 다시 부착하거나 할 수 있어 그 약제 용기 및 전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하며 비용이 싸다.
또한, 타측 본체를 개방하면 약제 용기 및 전지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그 교환 작업시에 일측 본체와 타측 본체가 힌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분실하는 경우도 없다.
게다가, 송풍기의 모터와 전지가 일측 본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코드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터와 전지를 전기적으로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용기의 두께가 얇은 동시에, 그 약제 용기와 전지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아 장치 전체를 얇게 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는 행거의 훅이 걸리는 훅 걸림부와, 그 행거의 끼워 맞춤부가 끼워 맞춰지는 행거 부착용 구멍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행거를 이용하여 매달아 사용할 수 있고, 마루나 테이블 등에 세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는 흡기구와 제1 배기구, 제2 배기구를 갖는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설치한 약제 용기, 팬,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용기는 해충 방제 성분을 함침시킨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며,
상기 모터로 팬을 회전함으로써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를 약제 용기 내의 약제 함침체에 접촉시켜 제1 배기구, 제2 배기구를 통하여 해충 방제 성분을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 제2 배기구는 반경 방향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또한 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구멍 형상이며,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제1 배기구로부터 위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제2 배기구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의하면, 모터에 의해서 팬을 회전함으로써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제1·제2 배기구로부터 힘차게 공기 중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사용자의 두부, 발 아래를 향해서 힘차게 배출되어 해충 방제 성분이 사용자의 두부, 발 아래에 단시간에 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허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사용 초기부터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제1 배기구, 제2 배기구는 팬과 대향한 내측 입구와 장치 본체의 외면에 개구한 외측 출구를 연통하는 구멍 형상이며, 그 내측 입구의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서로 연속하는 외측 출구의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류측 안내면, 및 내측 입구의 하류측 입구 가장자리와 이와 연속하는 외측 출구의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류측 안내면은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제2 배기구의 상류측 안내면, 하류측 안내면이 팬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힘차게 게다가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는 제1·제2 배기구와 팬 수용실을 갖는 본체부의 두께 방향 일측부에 흡기구를 갖는 커버부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고, 그 본체부와 커버부 사이의 팬 수용실에 개구한 약제 수용실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본체부에 그 커버부와 반대측의 배면에 개구한 모터 수용실과 전지 수용실을 형성하고,
상기 모터 수용실에 모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지 수용실에 전지를 설치하고, 이 모터와 전지가 본체부의 두께 방향에 중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부를 벗김으로써 약제 용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모터와 전지가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장치 본체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 해충 방제 성분과 함께 공기를 외기 중으로 방출하는 제3 배기구를 형성하고,
이 제3 배기구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또한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구멍 형상이며,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경사 위 방향 또는 경사 아래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3 배기구로부터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경사 위 방향 또는 경사 아래 방향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두부 또는 발 아래 중 어느 한쪽으로 다른 쪽보다도 다량의 해충 방제 성분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제3 배기구는 팬과 대향한 내측 입구와 장치 본체의 외면에 개구한 외측 출구를 연통하는 구멍 형상이며, 그 내측 입구의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서로 연속하는 외측 출구의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류측 안내면, 및 내측 입구의 하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서로 연속하는 외측 출구의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류측 안내면은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3 배기구로부터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힘차게, 게다가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 그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가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보조 배기구를 형성하고,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그 사용자의 전체에 해충 방제 성분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보조 배기구는 제1·제2 배기구 또는 제1·제2·제3 배기구보다도 공기 유통 저항이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보조 배기구로부터 허리의 가로 방향으로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약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 가로 방향의 해충 방제 성분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두부, 발 아래로도 충분한 해충 방제 성분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보조 배기구는 팬과 대향한 내측 입구와 장치 본체의 외면에 개구한 외측 출구를 연통하는 구멍 형상이고, 그 내측 입구의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서로 연속하는 외측 출구의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류측 안내면, 및 내측 입구의 하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서로 연속하는 외측 출구의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류측 안내면이 팬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구멍 형상이며,
이 보조 배기구 팬의 회전 방향의 개구 치수는 제1·제2 배기구 또는 제1·제2·제3 배기구 팬의 회전 방향의 개구 치수보다도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제2 배기구 또는 제1·제2·제3 배기구로부터 공기의 배출을 확실하게 힘차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 배기구로부터 공기의 배출을 확실하게 약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는 휘산성의 약제를 담는 약제 용기와 송풍기를 구비하여, 송풍기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약제 용기로부터 휘산된 약제를 흡입한 공기와 함께 방출구로부터 방산하는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와는 별체가 되며, 장치 본체의 송풍기를 움직이는 전원인 전지를 구비하는 전원 본체와, 전원 본체의 전지로부터 장치 본체의 송풍기로 통전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 전원 본체에 걸쳐 연결하는 연결 코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의하면,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장치 본체와, 전원 본체와, 연결 코드로 구성함으로써, 제일 무거운 전지를 구비하는 전원 본체를 장치 본체와 별체로 할 수 있고, 장치 본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함으로써,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치 본체를 손목 등에 끼워 전원 본체를 바지나 옷의 포켓 등의 내부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 장치 본체의 소형화, 경량화에 의해 불쾌한 생각을 느끼지 않고, 매우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연결 코드를 장치 본체 및/또는 전원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제거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치 본체 또는 전원 본체에 대하여 연결 코드를 자유롭게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 및/또는 전원 본체를 피장착물에 장착한 후에 장치 본체 또는 전원 본체에 연결 코드를 연결할 수도 있고, 장치 본체 혹은 전원 본체의 피장착물로의 장착을 매우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부착한다.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전원 본체에,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부착한다.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연결 코드에,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부착한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장치 본체 또는 전원 본체 또는 연결 코드, 나아가서는 이들 다수에,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부착한 것에 의해,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피장착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는 시트형으로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동시에, 약제를 함침한 약제 함침체와,
이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를 갖고,
상기 유지 용기는 약제 함침체의 상하면을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와,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부와 약제 함침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는 유지부에 형성한 통기부에서 외부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가 시트형으로 얇고, 이 약제 함침체를 유지 용기로 유지하여 약제 카트리지로 하였기 때문에, 약제 카트리지를 얇게 할 수 있으며, 그 약제 함침체를 소정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에 약제가 부착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약제 함침체의 유지 용기의 유지부에서 유지된 피유지 부분에 직접 공기가 유통하지 않지만, 그 피유지 부분에 함침한 약제는 공간부에 휘산하고, 그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방출되어 대기에 방산 된다. 따라서, 약제 함침체의 피유지 부분에 함침한 약제를 대기에 방산 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가 무익(useless)해지지 않는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유지부의 약제 함침체의 하면과 접하는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와 약제 함침체의 하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유지부에서의 약제 함침체의 상면에 접하는 부분에 통기 구멍을 상기 오목부와 대향 하여 형성함으로써 통기부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형의 약제를 통기 구멍으로부터 오목부에 주입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후에 액형의 약제를 통기 구멍으로부터 오목부에 공급하여 저장함으로써, 그 저장된 액형의 약제가 약제 함침체에 순차적으로 함침되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로 약제가 함침된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약제 카트리지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는 시트형으로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동시에, 약제를 함침한 약제 함침체와,
용기 본체와 덮개체로 상기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중앙 유지부와 외주 유지부를 복수의 중간 유지부에서 연결하여 공기의 유통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 유지부와 외주 유지부와 중간 유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며, 이 오목부와 약제 함침체의 하면에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는 중앙 누름부와 외주 누름부를 복수의 중간 누름부에서 연결하여 공기 유통부를 형성하고, 이 중앙 누름부와 외주 누름부와 중간 누름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오목부와 대향한 통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는 착탈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의 공기의 유통부와 덮개체의 공기의 유통부에 걸쳐 공기가 유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상기 약제 카트리지와 마찬가지로, 약제 카트리지를 얇게 할 수 있고, 그 약제 함침체를 소정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에 약제가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중앙 유지부, 외주 유지부, 중간 유지부와 중앙 누름부, 외주 누름부와 중간 누름부에 의해 약제 함침체의 중앙 부분, 외주 부분, 중간 부분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얇은 약제 함침체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그 얇은 약제 함침체를 이용한 약제 카트리지의 취급, 보관 등이 용이하다.
게다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와 누름부에서 유지된 피유지 부분에 함침한 약제는 오목부에 휘산하고, 그 오목부를 유통하는 공기와 함께 대기에 방산되기 때문에, 그 약제가 무익해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사용 후에는 액형의 약제를 통기 구멍으로부터 오목부에 주입하여 저장함으로써 그 약제가 약제 함침체에 함침되고, 약제 함침체로 약제가 함침된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약제 카트리지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중앙 유지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외주 유지부에 환형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주 유지부에 환형의 오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의 외주연의 전체 둘레로부터 균일하게 약제가 함침하고, 전역에 걸쳐 약제를 균일하게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중앙 유지부와 중앙 누름부, 외주 유지부와 외주 누름부, 중간 유지부와 중간 누름부 상호가 각각 동일 형상, 크기이며, 공기의 유통부가 동일 형상, 크기가 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공기의 유통부와 덮개체의 공기의 유통부에 걸쳐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하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에 함침한 약제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대기에 방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는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체에 약제를 함침한 시트 형상의 약제 함침체와, 이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를 구비하고,
그 유지 용기의 중앙부에 액 저장 오목부를 갖고, 이 액 저장 오목부에 저장한 약액이 시트체의 외주부를 향하여 침투하도록 한 약제 카트리지이다.
이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사용에 의해 약제 함침체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사용 후에, 유지 용기의 중앙부의 액 저장 오목부에 약액을 공급하여 저장함으로써, 그 약액이 외주부를 향하여 침투하여 시트체의 전체에 걸쳐 함침한다.
따라서, 사용 후에 약제를 보급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 저장 오목부는 유지 용기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그 액 저장 오목부에 의해 팬의 풍량이 무익해지지 않고, 팬의 풍량을 유효 이용하여 약제를 대기에 효율적으로 방산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의 약제 함침체를 유지 용기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얇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시트 형상의 약제 함침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손으로 잡았을 때에 약제가 손에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유지 용기의 외주부에 액 저장 오목부를 갖고, 이 액 저장 오목부에 저장한 약액이 시트체의 중앙부를 향해서 침투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앙부의 액 저장 오목부에 저장한 약액이 외주부를 향해서 침투하고, 외주부의 액 저장 오목부에 저장한 약액이 중앙부를 향해서 침투하기 때문에, 큰 약제 함침체라도 약제를 전체에 걸쳐 보급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는 용기 본체와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중앙 지지부와 외주 지지부를 복수의 연결부에서 연결하는 공기의 유통부를 가지며,
상기 덮개는 중앙 누름부와 외주 누름부를 복수의 연결부에서 연결하여 공기의 유통부를 갖고,
상기 중앙 지지부에 형성한 오목부와 상기 중앙 누름부에 형성한 공급구에 중앙부의 액 저장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주 지지부에 형성한 외주 오목부와 상기 외주 누름부에 형성한 외주 공급구에 외주부의 액 저장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의 중앙부와 외주부를 용기 본체와 덮개로 유지하기 때문에, 얇은 약제 함침체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그 얇은 약제 함침체를 이용한 약제 카트리지의 취급, 보관 등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는 시트 형상의 약제 함침체와, 이 약제 함침체를 유지한 유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함침체는 시트형으로 흡액성과 통기성을 갖고, 또한 일부분에 고흡액부를 가진 담체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가 시트 형상이기 때문에 얇게 할 수 있으며, 그 약제 함침체를 유지 용기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취급이 쉽다.
또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치 본체에 세트하여 사용하고, 그 약제를 대기에 방산한 사용 후에는, 그 약제 함침체의 담체의 고흡액부에 약제를 공급하여 함침하여 유지함으로써, 그 고흡액부에 유지한 약액이 순차 담체의 전역에 침투 하기 때문에, 사용 후에 약제를 보급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담체의 일부분의 고흡액부에 한번에 다량의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시킴으로써 그 고흡액부로부터 담체의 전역에 약제를 순차 침투시키기 때문에, 담체의 전체에 걸쳐 약액이 균일하게 함침하게 되며, 담체의 전체에 약제가 균일하게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함침체로 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담체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하여 고흡액부로 한 약제 카트리지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흡액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고, 그 상면이 다른 부분보다도 높아지기 때문에, 약액을 보급할 때에 그 고흡액부의 위치를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는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mountain fold), 곡 모양(valley fold)으로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편평한 가공 시트재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하고, 그 가공 시트재의 주연부를 접합하여 주름 형상이 붕괴도지 않도록 유지한 약제 함침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의 단위 체적당에 유지하고 있는 약제의 양이 많아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다량의 약제를 유지한 약제 카트리지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트재의 단면 부분이 접합되어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 시트재의 전역에 걸쳐 공기가 대략 균일하게 유통하므로, 약제 함침체의 전역으로부터 대략 균일하게 약제를 방산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약제 함침체의 주연부를 고정구로 유지한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약제 함침체를 공기의 유통부를 갖는 용기 내에 설치한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구 및 용기를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어 그 약제 카트리지의 취급이 용이하고, 약제 함침체가 유지하고 있는 약제가 손에 부착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는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편평한 가공 시트재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함침체와,
이 가공 시트재의 주연부를 협지하여 눌러 찌부러뜨려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유지한 고정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의 단위 체적당에 유지하고 있는 약제의 양이 많고,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다량의 약제를 유지한 약제 카트리지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트재의 단면 부분을 고정구로 눌러 찌부러뜨려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 시트재의 전역에 걸쳐 공기가 대략 균일하게 유통하므로 약제 함침체의 전역으로부터 대략 균일하게 약제를 방산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를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어 그 약제 카트리지의 취급이 용이하며 약제가 손에 부착되는 경우가 없다.
게다가, 고정구에 의해 가공 시트재의 주연부를 협지함으로써 단면 부분을 눌러 찌부러뜨려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가공 시트재의 주연부를 따로 접합할 필요 없이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는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편평한 가공 시트재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함침체와,
공기의 유통부를 갖는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함침체를 용기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의 단위 체적당에 유지하고 있는 약제의 양이 많아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다량의 약제를 유지한 약제 카트리지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용기를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카트리지의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약제가 손에 부착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는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통 형상의 가공 시트재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함침체와, 환형의 중공부와 축심의 중공부를 갖는 동시에, 그 각 중공부에 공기가 유통하는 형상의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함침체를 용기의 환형의 중공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의 단위 체적당에 유지하고 있는 약제의 양이 많아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다량의 약제를 유지한 약제 카트리지를 소직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용기를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약제가 손에 부착하는 경우가 없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에 의하면, 가공 시트재가 흡액성을 갖기 때문에, 다 사용한 후에 약액을 가공 시트재에 보급하여 전체에 침투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함침체는 두께 방향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개구한 다수의 코어를 갖고, 그 두께 방향으로 공기가 유통하도록 한 허니컴체와,
상기 허니컴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 측면의 전면에 걸쳐 설치한 시트체로 이루어지며,
그 허니컴체와 시트체에 약제가 함침하여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제 함침체에 의하면, 시트체를 허니컴체로 보강하여 소정의·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허니컴체에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하기 때문에, 시트체를 보강하는 허니컴체에 의해 시트체에 공기가 유통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고, 그 허니컴체 및 시트체에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를 유효하게 대기에 방산할 수 있다.
또한, 허니컴체 및 시트체에 유지한 약제가 다 떨어진 경우에는 시트체에 약액을 제공하여 전역에 침투시킴으로써 허니컴체로 순차적으로 함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트체에 약액을 공급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이며, 또한 그 약액이 무익해지지 않고, 사용 후의 허니컴체 및 시트체에 사용자가 간단히 약제를 재차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에 있어서, 허니컴체와 시트체를 유지 용기로 유지하여 허니컴체의 측면과 시트체를 밀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허니컴체의 측면과 시트체가 밀착하기 때문에, 시트체에 침투한 약액이 허니컴체에 확실하게 함침하고, 사용이 종료된 허니컴체에 약제를 확실하게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에 있어서, 시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에 끼워 맞춰진 누름체로 유지 용기로 하고, 상기 지지부와 누름체에 의해 허니컴체와 시트체를 협지하여 밀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지지부에 시트체를 지지하고, 그 용기 본체와 누름체를 끼워 맞추어 연결함으로써, 허니컴체의 한쪽 측면과 시트체를 확실하게 밀착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지지부에 시트체와 대향한 약액 저장부와, 이 약액 저장부에 약액을 공급하는 주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입구로부터 약액 저장부에 약액을 공급하여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약액이 시트체의 전역에 침투하기 때문에, 허니컴체에 약액을 공급하는 작업을 하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가 폐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개방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매달기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설치 사용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우측면도.
도 10은 행거의 사시도.
도 11은 약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배기구 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배기구 부분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 형태인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약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다른 장착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일사용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치 본체와 전원 본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3은 종래의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사시도.
도 24는 종래의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약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약제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XXⅦ-XXⅦ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8은 용기 본체의 평면도.
도 29는 도 28도의 XXⅨ-XXⅨ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0은 덮개의 평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의 변형예의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인 약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인 약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7은 도 36의 XXXⅦ-XXXⅦ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9는 도 38의 XXXⅨ-XXXⅨ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1은 도 40의 XLI-XL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3은 도 42의 XLⅢ-XL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인 약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인 약제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46은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7A 및 47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8A 및 48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0은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1은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인 약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인 약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55는 도 54의 LV-LV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6은 도 54의 LⅥ-LⅥ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8은 고정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9는 도 58의 LⅨ-LⅨ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0은 다른 형상의 약제 함침체를 구비한 약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61은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2는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3은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카트리지의 제4 변형예의 일부 파단 정면도.
도 64는 상기 제4 변형예를 이용하는 장치 본체와 용기의 단면도.
도 6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인 약제 함침체를 이용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단면도.
도 66은 본 발명의 약제 함침체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저면도.
도 67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의 평면도.
도 68은 도 67의 LXⅧ-LXⅧ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9는 본 발명의 약제 함침체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0은 도 69의 LXX-LXX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1은 본 발명의 약제 함침체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2는 도 71의 LXXⅡ-LXX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3은 본 발명의 약제 함침체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4는 도 73의 LXXⅣ-LXXⅣ 선에 따른 단면도.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와, 이 장치 본체(1) 내에 설치한 송풍기(2), 약제 용기(약제 카트리지)(3), 전지(4) 등으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장치 본체(1)는 일측 본체(10)와 타측 본체(11)를 힌지(12)로 개폐 자유롭게 연결한다.
상기 일측 본체(10)는 평면 크기에 비해서 두께 치수가 현저하게 작고, 즉 얇은 판형이며,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13)와, 이 송부기 부착용 오목부(13)에 개구한 통기부(14)와, 전지 수용 오목부(15)를 갖고, 그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13)와 전지 수용 오목부(15)는 일측 본체(10)의 내측면(10a)에 각각 개구하고 있는 동시에, 평면 방향으로 격리하여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기부(14)는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13)를 일측 본체(10)의 외표면(10b)에 개구하고 있다.
상기 타측 본체(11)는 평면 크기에 비해서 두께 치수가 현저하게 작고, 즉 얇은 판형이며, 이는 상기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13)와 전지 수용 오목부(15)를 각각 폐색하는 폐쇄 자세와, 상기 각 오목부를 개방하는 개방 자세를 갖으며, 각 자세에서 상기 일측 본체(10)의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13)와 이와 대향한 부분의 통기부(16)를 개폐한다.
상기 송풍기(2)는 팬(20)과 모터(21)를 구비하고, 그 팬(20)과 모터(21)가 일측 본체(10)의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13) 내에 수용되어 부착되고, 타측 본 체(11)를 폐쇄 자세로 하여 모터(21)로 팬(20)을 회전하면 일측 본체(10)의 통기부(14)와 타측 본체(11)의 통기부(16)에 걸쳐 공기가 유통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타측 본체(11)의 통기부(16)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를 일측 본체(10)의 통기부(14)를 통하여 대기에 토출한다. 또한, 이 반대라도 좋다.
상기 약제 용기(3)는 시트형의 담체에 약제를 함침한 약제 함침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일측 본체(10)의 내측면(10a)에서의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13)의 개구 가장자리에 적재되고, 타측 본체(11)를 폐쇄 자세로 하면 타측 본체(11)의 내측면(11a)에서 유지된다.
상기 전지(4)는 일측 본체(10)의 전지 수용 오목부(15)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다.
이렇기 때문에, 일측 본체(10)에 대하여 타측 본체(11)를 개방 자세로 함으로써 약제 용기(3), 전지(4)를 취출하거나 부착하거나 하여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본체(10)에 대하여 타측 본체(11)를 폐쇄 자세로 하고, 모터(21)로 팬(20)을 회전함으로써, 약제 용기(3)의 약제 함침체에 공기가 유통하여 공기와 함께 약제를 대기에 방산 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1)는 평면 크기에 비해서 두께 치수가 현저하게 작고, 즉 얇은 판형이다. 또한, 평면 크기는 팬(20), 전지(4)의 평면 크기보다도 약간 큰 정도, 즉 장치 본체(1)의 내부에 팬(20), 전지(4)를 수용하는 것 이외의 평면 방향 스페이스(무익한 평면 방향의 스페이스)가 없는 평면 크기이다.
따라서, 장치 본체(1)가 박형으로 콤팩트가 되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박형으로 컴팩트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제조용의 금형이 소형이 되고,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가 적어져 제조 비용을 싸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치 본체(1)의 평면 형상은 대략 원형의 일측부(1a)와, 대략 직사각형상의 타측부(1b)와, 이 일측부(1a)와 타측부(1b)를 연결하는 중간부(1c)에 의해 전체가 대략 직사각형이며, 또한 일측부가 대략 원형이다.
상기 일측부(1a)의 평면 크기는 팬(20)의 외부 직경보다도 약간 크고, 타측부(1b)는 전지(4)의 평면 크기보다도 약간 크며, 중간부는 평면으로 한 쌍의 삼각형상으로서, 장치 본체(1)의 내부에 평면 방향의 무익한 스페이스가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1)의 표면 형상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고 미적으로 액센트가 있는 전체 형상이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어필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장치 본체(1)의 표면 형상은 요철이 없고 순조롭게 연속된 형상이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 없는 형상이었다.
상기 통기부(14)는 장치 본체(1)의 일측부(1a)뿐만 아니라 중간부(1c)의 양측면에도 형성되어 약제를 다방향을 향해서 방산 할 수 있다.
다음에, 각 부재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상기 일측 본체(10)는 외측 껍질(17)과 내측 껍질(18)과 내면판(19)을 갖고, 그 외측 껍질(17)은 표면판(17a)과, 그 표면판(17a)에 따라 설치한 측면판(17b)으로 접시 형상이며, 그 측면판(17b)에 통기용 절결부(50)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1 걸림 지지부(51)와 제2 걸림 지지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껍질(18)은 기판(18a)과, 그 기판(18a)에 설치한 측면판(18b)을 가지며, 상기 외측 껍질(17) 내에 끼워 넣어져 부착된다.
상기 기판(18a)에는 외측 껍질(17)의 표면판(17a)을 향하여 개구한 오목부(5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오목부(53)에 상기 모터(21)가 수용되어 부착되어 있고, 그 출력축(21a)이 기판(18a)을 관통하여 돌출하고, 또한 팬(20)이 부착되어 있다. 그 팬(20)은 시록코팬(sirocco fan)으로 되어 있지만, 프로펠라팬(propellar fan) 등 일 수도 있다.
상기 측면판(18b)에는 복수의 송풍 가이드(54)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걸림 지지부(51)에 걸리는 걸림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면판(19)은 환형 오목부(56)와, 원형 구멍(57)을 갖는 동시에, 걸림부(58)를 갖고, 그 걸림부(58)를 상기 외측 껍질(17)의 제2 걸림 지지부(52)에 걸어서 부착하여 상기 팬(20)을 덮는다.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내측 껍질(18)의 오목부(53)에 모터(21)를 수용하여 부착한 상태에서, 그 내측 껍질(18)을 외측 껍질(17) 내에 끼워 맞춰 부착하고, 이 후에 팬(20)을 부착하며, 그 후에 내면판(19)을 설치함으로써 일측 본체(10)에 송풍기(2)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모터(21)가 외측 껍질(17)에 의해 외부에서 눈으로 관찰되지 않아 외관의 미관이 좋다.
또한, 외측 껍질(17)과 내측 껍질(18)에 전지 수용 오목부(1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타측 본체(11)는 표면판(11b)과, 그 표면판(11b)에 설치된 측면판(11c)으로 접시 형상이며, 그 측면판(11c)에 설치한 걸림부(59)가 내측 껍질(18)의 걸림부(55)에 걸리는 동시에, 표면판(11b)에서의 원형 가장자리부(11d)에 통기부(16), 예컨대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 본체(10)의 외측 껍질(17)의 측면판(17b)의 평면 방향 중간부와 타측 본체(11)의 측면판(11c)의 평면 방향 중간부(즉, 장치 본체(1)의 중간부(1c)를 형성하는 부분)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17c, 11e)가 대향하여 형성되고, 그 절결부(17c, 11e)에서 통기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약제 용기(3)는 일측면이 개구한 원형 용기(30)와, 이 원형 용기(30) 내에 설치한 원판형의 약제 함침체(31)와, 상기 원형 용기(30) 내에 끼워 맞춰진 원형의 덮개(32)를 구비하고, 원형 용기(30), 덮개(32)는 통기부(30a, 32a)를 갖는다.
상기 약제 함침체(31)는 시트형의 담체에 약제를 함침시킨 원판 형상인 것이다.
상기 원형 용기(30)가 내면판(19)의 원형 오목부(56)에 끼워 맞춰지도록 적재되어 부착되고, 타측 본체(11)를 폐쇄 자세로 하면 원형 돌기부(11d)가 원형의 덮개(32)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형 용기(30)(약제 용기 3)를 단단히 장치 본체(1) 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2)와 전지(4)가 평면 방향으로 이격하여 두께 방향으로는 중첩 되지 않는 동시에, 약제 용기(3)는 시트형의 담체에 약제를 함침한 약제 함침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다.
이들이 합쳐져, 전체가 얇은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1)의 측면에는 행거용의 훅 걸림부(60)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저면에는 행거 부착용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장치 본체(1)의 일측 본체(10)에 있어서의 내측 껍질(18)의 측면판(18b)에 U자 편(62)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상술한 훅 걸림부(60)로 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1)의 일측 본체(10)에 있어서의 외측 껍질(17)의 표면판(17a)에 대략 L자형의 부착용 편(6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착용 편(63)에 상술한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행거(6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훅 걸림부(60)에 걸리는 훅(65)과,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용 편(63)의 구멍(61)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66)를 갖는다.
이와 같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거(64)로 매달고, 그 행거(64)를 사람의 벨트에 걸음으로써 본 발명의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사람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거(64)의 부착용 편(66)을 구멍(61)에 끼워 맞추고, 그 행거(64)를 장치 본체(1)의 표면(일측 본체(10))의 표면판(10a)과 대략 직각으로 함으로써 그 행거(64)를 쓰러짐 방지구로서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마루, 테이블 등에 세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훅 걸림부(60)에 끈을 연결하여, 그 끈으로 벽 등에 매달거나, 신체나 피착물에 매달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박형으로 콤팩트이기 때문에, 아이부터 어른까지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허리, 목, 수족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4에 있어서, 부호 5는 스위치, 부호 6은 램프이며, 그 스위치 5를 ON, OFF 함으로써 모터(21)에 통전, 통전되지 않는 동시에, 램프 6이 점등, 소등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약제를 함침시키는 시트형의 담체로서는 통기성이 큰 종이, 천, 직물, 부직포나 네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적재 상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를 용기, 덮개로 견지하거나 혹은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의 외주 등 일부 개소를 수지 등으로 코트하고 견지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성을 생각하면 그 두께를 2∼5 mm, 면적을 700∼3,000 ㎟로 얇고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약제로서는 살충제, 살비제, 해충 혹은 해수 기피제, 해충의 성장 제어제, 흡혈 행동 저지제 등의 해충 방제제, 방향제, 소취제, 살균제 등으로 휘산성인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로 살충을 목적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종래로부터 이용되고 있는 각종 휘산성 살중체를 이용할 수 있고, 피레스로이드계(pyrethroid) 살충제, 커버메이트계(carbamate) 살충제, 유기인계(organophosporus) 살충제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적 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미량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고활성 메트플루트린(methofluthrin), 트랜스플루트린(transfluthrin), 엠펜트린(empenthrin), 테라레스린(terallethrin),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이 약제 함침체를 얇고, 또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터(21)의 전원으로서는 AAAA, AAA, AA, C, 및 D 사이즈의 알카라인 건전기, AAAA, AAA, AA, C, 및 D 사이즈의 망간 건전지, 알카라인 각 전지(9 V), 리튬 전지, 리튬 버튼 전지 등의 전지를 단일 혹은 복수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팬(20)으로서 원심식 팬을 이용한 경우에는 그 원심식 팬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식 팬의 외부 직경(D)은 30 mm∼6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mm보다 작아지면 회전에 의한 원심력를 얻을 수 없어 팬을 고회전으로 돌려야 하므로 에너지효율이 나빠진다.
또한, 내부 공간 체적 자체도 작아지기 때문에, 모터(21)의 선택지가 감소한다. 60 mm보다 커지면, 장치 자체가 대형화되어 휴대성이 나빠진다.
원심식 팬의 외부 직경(D)과 내부 직경(d)의 비(D/d)는 1.05∼1.6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1.05보다 아래가 되면 팬 블레이드의 폭이 작아져 충분한 바람을 일으킬 수 없게 된다. 또한, 1.6을 넘으면 팬 블레이드의 회전 저항이 커져 에너지 효율이 나빠진다.
원심식 팬의 날개 실효 높이(h)는 2 mm∼10 mm의 범위가 좋고, 2 mm보다 아래가 되면 날개 면적이 부족하여 충분한 바람을 일으킬 수 없게 된다. 10 mm를 넘으면 소형, 박형화로는 부적당해지며, 또한 회전 저항이 증가, 에너지 효율이 나빠진다.
원심식 팬의 내부 공간 이외에 모터를 배치하면, 바람의 유입에 대해서는 전혀 악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팬의 높이와 모터의 높이를 더한 것이 장치의 최저 높이가 되며 장치 자체를 소형, 박형화할 수 없게 된다.
원심식 팬의 내부 공간의 60% 이상에 모터 하우징(도 2의 오목부(53))을 설치하여 모터(21)를 수납하면 내부 공간이 불충분해지며 통기량이 불충분해져 효율이 나빠진다.
여기서, 원심식 팬의 내부 공간의 60% 이내에 모터 하우징[도 2의 오목부(53)]을 설치하고, 모터(21)를 수납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박형화할 수 있으고, 또한 효율적으로 약제를 방산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도 2의 오목부(53))의 수납 비율은 60%에 보다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1) 내에 약제 용기(약제 카트리지)(102)와 팬(103)과 모터(104)가 수용되어 있으며, 그 모터(104)에 의해 팬(103)을 회전하면 흡기구(105)로부터 장치 본체(101) 내에 공기가 흡입되고, 그 공기는 약제 용기(102)에 접촉되거나 그 약제 용기(102) 내의 약제 함침체가 유 지한 해충 방제 성분과 함께 제1 배기구(106), 제2 배기구(107)를 통하여 장치 본체(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장치 본체(101)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그 제1 배기구(106)로부터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하는 공기를 위 방향으로 배출하고, 또한 제2 배기구(107)로부터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하는 공기를 아래 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 제1·제2 배기구(106, 107)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103)과 대향한 내측 입구(110)와 장치 본체(101)의 외면(101a)에 개구한 외측 출구(111)를 연통하는 반경 방향에 소정의 길이의 구멍 형상이며, 상류측 안내면(112)은 그 내측 입구(110)의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a)와 외측 출구(111)의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111a)를 연결하고, 하류측 안내면(113)은 내측 입구(110)의 하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b)와 외측 출구(111)의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111b)를 연결한다.
상기 상류측 안내면(112)은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a)보다도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111a)가 하류측이 되도록 경사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호형이 되어 있다.
상기 하류측 안내면(113)은 하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b)보다도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111b)가 하류측이 되도록 경사지고 있다.
상기 제1 배기구(106)(상류측의 배기구)의 하류측 입구 가장자리(110b)와 제2 배기구(107)(하류측의 배기구)의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a)는 근접하고 있는 편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동일하다.
여기서, 상류측은 팬(103)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이고, 하류측은 팬(103)의 회전 방향으로 대하여 하류측이다.
또한, 경사지고 있는 것은 방사 방향, 즉 반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제1·제2 배기구(106, 107)는 팬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구멍 형상이다.
이와 같기 때문에 팬(103)의 회전에 의해 제1·제2 배기구(106, 107)로부터 화살표 a,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가 힘차게 배출된다.
따라서, 장치 본체(101)를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사용자의 두부, 발 아래를 향해서 힘차게 배출되어 해충 방제 성분이 두부, 발 아래에 단시간에 도달하기 때문에, 사용 초기에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하기에, 각 부재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상기 장치 본체(101)는 본체부(120)와 이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 커버부(121)를 구비하여 그 내부에 팬 수용실(122), 약제 수용실(123), 및 모터 수용실(124)을 갖는다.
상기 팬 수용실(122)은 원형이며, 팬(103)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그 팬 수용실(122)의 원형 외주면(122a)에 제1·제2 배기구(106, 107)(내측 입구(110))가 각각 개구되어 있다.
상기 약제 수용실(123)은 팬 수용실(122)과 연통하고, 또한 커버부(121)와 대향하며, 이 커버부(121)에 흡기구(1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 수용실(124)은 본체부(120)의 배면(120a)에 개구하고, 또한 상기 팬 수용실(122)과는 구획되며, 모터(104)의 출력축(104a)이 출력 구멍(125)으로부터 팬 수용실(122)로 돌출되고, 또한 팬(10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20)에는 전지 수용부(126)가 팬 수용실(122)에 개구하지 않는 동시에, 모터 수용실(124)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모터 수용실(124)과 연속한 오목부가 배면(120a)에 개구하여 형성되어 전지 수용부(126)로 되어 있다.
이 전지 수용부(126)에 전지(127)가 착탈 자유롭게 수용되어 있다.
이 전지(127)에 의해 모터(104)가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전지(127)와 모터(104)가 장치 본체(101)의 두께 방향에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장치 본체(101)의 두께(H)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수용실(124)과 전지 수용부(126)(오목부)는 본체부(120)의 배면(120a)에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캡을 설치하여 폐색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 본체(101)(본체부(120))에는 훅 걸림부(128)와 끼워 맞춤 오목부(1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훅 걸림부(128)에 행거(130)를 부착하고, 이 행거(130)를 사용자의 벨트 등에 걸어 사용한다.
상기 행거(13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훅 걸림부(128)에 걸리 는 훅(131)과, 상기 끼워 맞춤부(129)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132)를 갖는다.
그리고,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132)를 끼워 맞춤 오목부(129)에 끼워 맞추고, 훅(131)을 테이블 면 등의 적재면에 접하여 장치 본체(101)를 비스듬한 자세로 하여 걸쳐 세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장치는 본체부(120)의 배면(120a)을 적재면에 두고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약제 용기(102)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구한 원형용기(140)와, 이 원형 용기(140) 내에 설치한 원판 형태의 약제 함침체(141)와, 상기 원형 용기(140) 내에 끼워 맞춰진 원형의 덮개(142)를 구비하고, 원형 용기(140), 덮개(142)는 통기부(140a, 142a)를 갖는다.
상기 약제 함침체(141)는 시트형의 담체에 해충 방제 성분을 함침시킨 원판형상이다.
상기 원형 용기(140)가 본체부(120)의 전면(120b)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143)에 끼워 맞춰져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 용기(102)는 시트형의 담체에 해충 방제 성분을 함침한 약제 함침체(141)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고, 이것에 의해 장치 본체(101)의 두께(H)를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1·제2 배기구(106, 107)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팬(103)의 외주면(103a)과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a) 사이의 거리(A)는 0.1 mm∼5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팬(103)의 중심(103b)과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a) 사이의 거리(R)와, 팬(103)의 중심(103b)과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111a) 사이의 거리(r)의 관계는 r=1.05×R∼2.5×R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팬(103)의 회전에 의한 바람을 제1·제2 배기구(106, 107)(즉, 유로) 안에 효율적으로 모아서(converge), 풍력을 그다지 손실하지 않고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힘차게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거리 A는 A=0에 한정되지 않고 근접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A<0.1 mm가 되면 구성 부재의 정밀도를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팬(103)이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a)에 간섭하거나, 부재를 고정밀도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하는 비용이 증대한다.
또한, A>5 mm로 하면, 팬(103)의 바람이 제1·제2 배기구(106, 107) 안으로 보내지지 않고, 거리(A)의 부분을 통과하기 쉬워져 바람이 팬 수용실(122) 안을 순환하고 풍력을 손실하여 효율이 나빠진다.
또한, r<1.05×R의 경우, 제1·제2 배기구(106, 107)의 폭이 너무 좁아져 팬(103)의 바람이 제1·제2 배기구(106, 107)를 통과할 때에 압력 손실을 일으킨다.
또한, r>2.5×R의 경우, 제1·제2 배기구(106, 107)의 폭이 너무 넓어져 팬(103)의 바람이 급격히 확대되고 손실을 일으켜 효율이 나빠진다.
제1·제2 배기구(106, 107)의 폭은 내측 입구(110)와 외측 출구(111) 사이의 반경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제2 배기구(106, 107)를 동일한 공기의 흐름 유통 저항으로 하여 동일한 풍량이 배출되고, 신체의 두부와 발 아래에 해충 방제 성분이 동일량 방출되도록 하였지만, 사용 장소 등에 의해서는 두부와 발 아래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도 다량의 해충 방제 성분이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제2 배기구(106, 107)의 한쪽 공기의 공기 유통 저항을 다른 쪽보다도 작게 하여 다량의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외기로 방출하도록 하거나, 제3 배기구를 형성하여 이 제3 배기구로부터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제1·제2·제3 배기구(106, 107, 108)를 대략 120°간격으로 형성하고, 제1 배기구(106)로부터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며, 제2 배기구(107)로부터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제3 배기구(108)로부터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한 상측을 향해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하면, 위 방향으로 다량의 해충 방제 성분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아래 방향으로 다량의 해충 방제 성분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제3 배기구(108)로부터 비스듬한 아래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장치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로 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제2 배기구(106, 107) 또는 제1·제2·제3 배기 구(106, 107, 108)만을 설치하였지만, 장치 본체(101)를 허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그 허리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해충 방제 성분이 부족한 경우에는 허리의 가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보조 배기구를 형성하여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우측 가로 방향과 좌측 가로 방향의 보조 배기구(109)를 형성한다.
이 보조 배기구(109)는 상술한 제1·제2 배기구(106, 107)와 대략 동일 형상이며, 그 공기의 공기 유통 저항이 제1·제2 배기구(106, 107)보다도 크다. 예컨대 팬 회전 방향의 개구 치수가 작고, 배출되는 공기량이 제1·제2 배기구(106, 107)보다도 적으며, 또한 힘이 약하다.
즉,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a)와 하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110b) 사이의 팬 회전 방향의 치수,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111a)와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111b) 사이의 팬 회전 방향의 치수가 제1·제2 배기구(106, 107)보다도 보조 배기구(109)가 작은 값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화살표 d,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가로 방향과 좌측 가로 방향에 해충 방제 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 허리의 가로 방향의 해충 방제 성분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두부, 발 아래에도 충분한 해충 방제 성분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기구(109)는 좌우 한쪽만이라도 좋고, 좌우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으며, 좌우 한쪽에만 2개 형성하여도 좋다.
즉, 보조 배기구(109)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기구의 총수로서는 상기 상하 방향 2 개소의 2개의 배기구(제1·제2 배기구(106, 107)) 또는 3 방향 3 개소의 3개의 배기구(제1·제2·제3 배기구(106, 107, 108)와 보조 배기구(109)를 합쳐, 많아도 6개까지가 바람직하고, 그 이상 많게 하면 상하 방향의 공기의 힘이 약해진다. 또한, 허리 가로 방향의 해충 방제효과는 6개 이내가 적당하다.
상기 제1·제2·제3 배기구(106, 107, 108), 보조 배기구(109)로부터의 이물의 혼입을 막는 등의 목적을 위하여, 각 배기구에 정류판을 복수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정류판은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병행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류판끼리의 간격은 1∼10 mm가 바람직하다.
정류판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타원형, 물방울형 등 바람의 흐름의 저항을 받지 않는 형상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해충 방제 성분으로서는 살비제, 해충 혹은 해수 기피제, 살충제 또는 해충의 성장 제어제, 흡혈 행동 저지제 등으로 휘산성인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살충을 목적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종래로부터 이용되고 있는 각종 휘산성 살충제를 이용할 수 있고,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커버메이트계 살충제, 유기인계 살충제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미량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고활성의 고활성 메트플루트린, 트랜스플루 트린, 엠펜트린, 테라레스린, 프로플루트린이 약제 함침체를 얇고, 또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약제를 함침시키는 시트형의 담체로서는, 통기성이 큰 종이, 천, 직물, 부직포나 네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적재 상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를 용기, 덮개로 견지하거나 혹은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의 외주 등 일부 개소를 수지 등으로 코팅하여 견지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덮개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탈, 나일론, 아크릴, ABS, 종이, AS,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휴대성을 고려하면 그 두께를 2∼5mm, 면적을 700∼3000㎟로 얇고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직포의 기초 중량 10∼1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 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초 중량이 100g/㎡를 넘으면, 약제 함침체의 공기 저항이 너무 커져 팬에 의한 바람이 약제를 통과할 수 없게 되며, 약제를 방산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기초 중량이 10g/㎡보다 아래가 되면, 약제 함침체에 유지시킬 수 있는 약제량이 감소하여 제조성이 나빠지고, 또한 약량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팬으로서는, 예컨대 시록코팬, 레이디얼팬, 터본팬 등의 원심팬을 들 수 있다.
팬은 500∼4000rpm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700∼3000rpm로 회전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원심식 팬의 직경은 20∼100mm가 바람직하고, 30∼60mm가 더 바람직하다. 높이는 2∼50 mm가 바람직하고, 5∼20 mm가 더 바람직하다.
특히, 시록코팬, 레이디얼팬으로서는 날개 매수 10∼50장인 것이 좋다.
팬의 구동 전원으로서는 모터(21)의 전원으로서는 AAAA, AAA, AA, C, 및 D 사이즈의 알카라인 건전기, AAAA, AAA, AA, C, 및 D 사이즈의 망간 건전지, 알카라인 각 전지(9 V), 리튬 전지, 리튬 버튼 전지 등의 전지를 단일 혹은 복수를 직렬 및 병렬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충전식의 2차 전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AC 어댑터 등을 이용하여 가정용 전원(AC 100 V)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장치 본체(101)를 부착하기 위한 기구는 행거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 클립이나 스트랩을 통과시키기 위한 훅, 구멍, 밴드를 통과시켜 발이나 허리, 팔 등에 장착하는 밴드 관통 구멍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장치 본체(101)에는 장치로의 전류 통전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고, 통전 중을 표시하기 위해 LED, 네온 램프, 액정 등을 이용하거나, 팬 자체를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여 팬의 회전에 의해 통전 상태를 판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지와 약제 용기 내의 약제 함침체의 종료 시기가 동일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그 때에는 약제 용기와 전지를 일체로 하여 교환 카트리지로 하며, 편의성(expediency)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전지와 약제 함침체의 종점을 동일하게 하지 않는 경우는 약제 용기내의 약제 함침체와 전지의 종점 표시를 따로따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101)(본체부(120))에 있어서의 팬 수용 실(122)을 구성하는 외주 부분을 두껍게 하여 배기구를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장치 본체(101)의 팬 수용실(122)의 외주 부분에 복수의 안내 날개를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둘레 방향에 인접한 안내 날개 사이에 배기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전지 수용실(126)은 장치 본체(101)(본체부(120))의 측면 부분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주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개 등의 페트, 소 등의 가축에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머리부터 꼬리, 또는 얼굴부터 배나 뒷다리 등의 전후 방향이 해충 방제 성분을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14,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를 담는 약제 용기(약제 카트리지)(201)와 송풍기(202)를 각각 구비하고, 이 송풍기(202)에 의해 흡입구(20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며, 약제 용기(201)로부터 휘산한 약제를 흡입한 공기와 함께 방출구(204)로부터 방산하는 장치 본체(205)와, 장치 본체(205)와는 별체가 되며, 장치 본체(205) 송풍기(202)의 전원(207)을 구비하는 전원 본체(208)와, 전원 본체(208)의 전원(207)으로부터 장치 본체(205)의 송풍기(202)에 통전하기 위해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에 걸쳐 연결하는 연결 코드(209)로 구성한다.
다음에서, 이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장치 본체(205)는 대략 원형의 상하 단통형이며, 상면에 원형상이 크게 개구하는 흡입구(203)를 형성하는 동시에, 측면에 있어서의 한쪽 측에 복수의 슬릿형으로 개구하는 방출구(204)를 형성한다. 또한, 이 흡입구(203)나 방출구(204)의 크기나 형태 혹은 방출구(204)의 위치나 개수에 대해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 장치 본체(205)의 내부에 있어서는 그 하부에 송풍기(202)를 구비한다. 이 송풍기(202)는 모터(211)와 이 모터(211)의 출력축에 부착되는 원심 송풍기의 일종인 시록코팬(212)으로 이루어진다. 이 시록코팬(212)은 원주 방향에 걸쳐 등간격으로 다수의 날개(213)를 경사지게 하면서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모터(211)에 의해 시록코팬(212)의 다수의 날개(213)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치 본체(205)상면의 흡입구(20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가 장치 본체(205) 내에서 원심 방향으로 흘러 장치 본체(205) 측면의 방출구(204)로부터 외부로 방산한다. 또한, 이 송풍기(202)에 있어서는 원심 송풍기의 일종인 시록코팬(212)을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송풍팬, 예컨대, 구동축에 프로펠라 형의 임펠러를 구비한 프로펠라 팬 등일 수도 있다. 이 프로펠라팬을 송풍팬으로 한 경우, 장치 본체(205)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205)의 저면에 통기 구멍을 설치하여 이것을 흡입구로 하고, 상술한 흡입구(203)를 방출구로 하여 이 방출구에 후술하는 휘산성의 약제를 담는 약제 용기(201)를 배치하고, 공기가 송풍팬에 의해 저면에 설치한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며, 송풍팬을 통해 방출구에 배치된 약제 용기(201) 안을 통과하여 휘산한 약제가 공기와 함께 외부에 방산하도록 한다.
또한, 장치 본체(205)의 내부에는 휘산성의 약제를 담는 약제 용기(201)도 구비하고, 이것은 약제 용기(201)를 장치 본체(205)의 상면에 형성한 흡입구(203) 내에 끼워 넣고, 송풍기(202)의 상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약제 용기(201)는 원형의 얇은 형상이고, 상부체(214)와 하부체(215) 사이에 약제를 함침시킨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216)를 끼워 넣도록 하여 상부체(214)와 하부체(215)를 끼워 맞춘 것이며, 상부체(214)와 하부체(215)는 큰 개구부(217, 218)를 형성하고, 이 상부체(214)의 개구부(217)와 하부체(215)의 개구부(218)를 사이에 두고 공기가 유통하며, 이 공기의 유통에 의해 약제 함침체(216)에 함침한 약제가 휘산한다.
그리고, 이 약제 용기(201)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되는 약제 함침체에 함침시키는 휘산성의 약제로서는 살충, 기피, 소취, 방향, 방균방미 등의 목적에 이바지하는 각종 약제이다. 또한, 이 휘산성 약제로서 살충을 목적으로 한 것에 있어서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커버메이트계 살충제, 유기인계 살충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미량으로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메트플루트린, 트랜스플루트린, 엠펜트린, 테라레스린, 프로플루트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약제 용기(201) 혹은 약제 함침체(216)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휘산성의 약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약제 함침체(216)에서는 시트형이 아니고, 망형, 격자형, 허니컴형, 면형, 스펀지형, 나아가서는 다수의 입자체의 담체에 약제를 함침시킨 것을 약제 함침체(216)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약제 용기(201)에 있어서도 약제 용 기(201) 자신의 내부에 약제를 함침시킨 약제 함침체(216)를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약제 용기(201) 자신을 경질 스펀지체나 발포 성형체 등으로 제작하여 약제 용기(201) 자신에 약제를 함침시키는, 즉 약제 용기(201) 자신이 약제를 유지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약제 용기(201)에 있어서는 형태, 재질 등은 임의적이다.
또한, 장치 본체(205)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206)을 부착하는 부착부(219)를 형성하고, 이 부착부(219)는 얇고 가는 형상이며 장치 본체(205)의 좌우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그리고, 이 장치 본체(205)에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206)을 부착한다. 이 장착 수단(206)으로서는, 예컨대 사람의 손목 등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연성을 갖는 길고 평평한 띠형의 착용 밴드(221)로, 단부에 버클(222)을 구비하다. 이 착용 밴드(221)에 의해, 예컨대, 사용자의 손목 등에 해당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205)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착 수단(206)인 착용 밴드(221)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람의 손목 등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길이 수 센티의 치수로부터 사람의 허리나 물건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1, 2 미터의 치수까지, 길이는 임의이며, 또한, 옆폭이나 두께도 사용하는 목적이나 장소, 즉 피장착물에 따라 결정하면 좋고, 띠형인 것부터 끈형인 것까지 다양한 것으로 좋다. 그 원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 은 아니고, 합성 수지, 피혁, 천, 섬유, 고무 등의 기존 재료의 것으로 좋다. 또한, 착용 밴드(221)에 구비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버클(22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버튼 형식, 훅 형식, 삽입 벨트 형식, 면 파스너 테이프(매직 테이프 : 등록 상표명) 형식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이 장착 수단(206)에 있어서는 착용 밴드(22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지에 장착하는 벨트나 포켓 등에 매다는 훅(223), 또는 양복 등에 직접 부착하는 핀이나 클립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전원 본체(208)는 장치 본체(205)의 송풍기(202)의 전원(207)을 구비하고, 이 전원 본체(208)는 장치 본체(205)와는 별체이다. 그리고, 이 전원 본체(208)에 구비하는 전원(207)으로서는 전지(224)이며, 전원 본체(208)는 필요한 전지(224), 예컨대 2개의 전지(224)를 수납하도록 하여, 전지(224)를 수납할 수 있는 필요 최소한의 크기의 상자체로 한다. 또한, 전지(224)는 통상의 전지(224)이외에 충전 방식의 전지일 수도 있다. 한편, 전원 본체(208)를 장치 본체(205)와 별체로 함으로써, 이 전원 본체(208)에 수납하는 전지(224)를 큰 것으로, 또한, 수량도 증가하도록, 즉 전원 본체(208)를 크게 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장치 본체(205)에의 공급 전압을 높일 수 있고, 송풍기(202)의 제어, 예컨대 팬의 강약 등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기간에 걸친 사용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전원 본체(208)에도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206)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 장착 수단(206)으로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착용 밴드(221)나 훅(223), 또는 핀이나 클립 등이다.
그리고,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에 걸쳐 연결하는 연결 코드(209)는 전원 본체(208) 내의 전원(207)인 전지(224)로부터 장치 본체(205)의 송풍기(202)에 통전하기 위한 전선이다. 이 연결 코드(209)로서는 될 수 있는 한 가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연결 코드(209)에는 그 단부 혹은 도중에 권취 기구부를 구비하여 연결 코드(209)의 길이를 임의의 길이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코드(209)에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206)을 부착한다. 이것은, 예컨대 이 연결 코드(209)의 도중에 장착 수단(206)인 접착 부재(225)를 구비하고, 이 접착 부재(225)는 요철부를 가지며 복부 등에 달라붙게 되는 면 파스너 테이프(매직 테이프 : 등록 상표명)이다. 단, 이 접착 부재(225)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 밴드(221)나 훅(223) 혹은 안전핀이나 세탁 가위 등으로서, 옷 등에 연결 코드(209)가 달라붙게 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연결 코드(209)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205)에 대하여 혹은 전원 본체(208)에 대하여 나아가서는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 양쪽에 대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의 양방에 대하여 연결 코드(209)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205)의 측면에 볼록형 핀(226)을 설치하는 동시에, 전원 본체(208)의 측면에 구멍 형상의 잭(227)을 설치하고, 그리고, 연결 코드(209)의 일단에 잭(228)을 설치하는 동시 에, 타단에 핀(229)을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통상은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를 연결 코드(209)를 통해 연결시켜 사용하지만,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그 사용예로서는 장치 본체(205)를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 혹은 허리 등에 착용 밴드(221)를 매개로 하여 장착한다. 한편, 전원 본체(208)는 사용자의 옷이나 바지의 포켓 내에 수납하거나 혹은 착용 밴드(221)를 매개로 하여 허리 등에 장착한다. 그리고, 이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에 걸쳐 연결 코드(209)를 연결하고, 전원 본체(208)로부터 연결 코드(209)를 매개로 하여 장치 본체(205)에 전기를 흘려 장치 본체(205)의 송풍기(202)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장치 본체(205)에 있어서, 송풍기(202)에 의해 흡입구(20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가 장치 본체(205) 내부에 구비한 약제 용기(201) 안을 통과하여 약제 용기(201) 안을 통과한 공기와 함께 비산한 약제가 측면에 형성된 방출구(204)로부터 외부에 방산한다.
이상과 같이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송풍기(202)에 의해 흡입한 공기와 함께 약제 용기(201)로부터 비산한 약제를 방산하는 장치 본체(205)와, 장치 본체(205)와는 별체가 되며 전원(207)인 전지(224)를 구비하는 전원 본체(208)와,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에 걸쳐 연결하는 연결 코드(209)로 구성함으로써, 제일 무거운 전원(207)인 전지(224)를 구비하는 전원 본체(208)를 장치 본체(205)와 별체로 할 수 있고, 장치 본체(205)에는 약제 용기(201)와 송풍기(202)를 구비한 것으로만 되며, 장치 본체(205)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치 본체(205)를 착용 밴드(221)에 의해 손목 등에 끼워 전원 본체(208)를 바지나 옷의 포켓 등으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장치 본체(205)의 소형화, 경량화에 의해 불쾌한 생각을 느끼지 않고, 매우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를 별체로 하여, 이들을 연결 코드(209)로 연결하도록 한 것에 의해, 예컨대 장치 본체(205), 전원 본체(208) 중 어느 한쪽이 피장착물인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져 떨어져도 연결 코드(209)에 의해 양자는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가 함께 없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5) 또는 전원 본체(208)에 대하여 연결 코드(209)를 제거 가능하게 한 것에 의해,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사용할 때, 장치 본체(205)또는 전원 본체(208)를 피장착물인 신체에 장착한 후에 장치 본체(205) 또는 전원 본체(208)에 연결 코드(209)를 연결할 수도 있고, 장치 본체(205) 혹은 전원 본체(208)의 피장착물에의 장착을 매우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5) 또는 전원 본체(208) 또는 연결 코드(209), 나아가서는 이들의 복수에 피장착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착 수단(206), 예컨대 착용 밴드(221)나 훅(223), 핀, 클립 등을 부착한 것에 의해,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피장착물인 신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신체의 일부 정도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부위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는 상술한 형태의 것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전원 본체(208)에 있어서는 전원(207)인 전지(224)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이 전원(207)을 태양 전지 전원 본체(208)에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고, 전원(207)을 태양 전지로 한 경우,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205)를 착용 밴드(221)에 의해 손목 등에 끼우는 동시에, 전원 본체(208)를 모자의 창이나 어깨 등에 접착되도록 장착하여,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사용예로서도 사람에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개 등의 페트에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205)를 페트의 목걸이(231)에 훅 등의 장착 수단(206)에 의해 장착하는 동시에, 전원 본체(208)를 사람의 손목 등에 끼운다. 그리고, 장치 본체(205)와 전원 본체(208)에 걸쳐 연결하는 연결 코드(209)를 페트의 목걸이(231)로부터 사람의 손까지 이어지는 리드(232)와 일체화시켜, 즉 연결 코드(209)가 들어가는 리드(232)로서,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페트 등에 사용한다.
또한, 장착 수단(206)에 있어서, 상술한 각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205)에 반드시 장착 수단(206)을 부착한 예로 설명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치 본체(205), 전원 본체(208), 연결 코드(209)의 전부에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그 중 어느 하나에만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장착 수단(206)을 구비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5)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205)의 흡입구(203)에 약제 용기(201)를 배치하고 있지만, 방출구(204)에 설치 수단을 구비하여 이 방출구(204)에 약제 용기(201)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흡입구(203)와 방출구(204)의 양쪽에 약제 용기(201)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송풍기(202)의 시록코팬(212)의 내주측에, 또는 외주측에 약제 용기(201)를 배치하여, 약제 용기(201)와 송풍기(202)를 일체화시키거나, 송풍기(202)에 있어서 약제를 유지한 시록코팬(212)으로 하여 시록코팬(212)을 착탈 자유롭게 하거나 혹은 시록코팬(212)에 있어서의 다수의 날개(213)의 전면에 통기성 시트형의 약제 용기(201)를 착탈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약제를 대기에 방산시키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일례를 도 25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이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1)에 송풍기(30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카트리지(303)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 송풍기(302)의 팬(304)을 모터(305)로 회전하면 약제 카트리지(303)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301)는 본체(310)와 커버부(311)를 구비하고, 송풍기 설치부(312)와 전지 부착부(31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공기 흡입부(314)와 공기 토출부(315)를 갖고 있다.
상기 송풍기(302)는 하우징(306)에 팬(304)과 모터(305)를 설치한 것이고, 그 하우징(306)이 송풍기 설치부(312)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306)의 흡입구(306a)가 공기 흡입부(314)에 연통하고, 도시하지 않는 토출구가 공기 토출부(315)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상기 전지 부착부(313)에 전지(30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311)는 개폐 자유롭게 본체부(310)에 연결되고, 이 커버부(311)를 개방함으로써 약제 카트리지(303), 전지(307)가 부착되거나 그리고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303)는 시트형으로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동시에, 약제를 함침한 약제 함침체(320)와, 이 약제 함침체(320)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321)를 구비하고 있다.
즉, 약제 함침체(320)는 시트형으로 흡액성을 갖기 때문에 강성이 약하고, 그 자체에서는 형상을 유지할 수 없거나, 약제 함침체(320)를 직접 손으로 잡으면 약제가 손에 부착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320)의 일부분을 유지 용기(321)로 유지하여 다른 부분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약제 함침체(320)는 얇고, 유지 용기(321) 자신도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카트리지(303) 전체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약제 카트리지(303)를 이용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를 얇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지 용기(321)는 약제 함침체(320)의 상하면을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321a)와,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부(32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지부(321a)와 약제 함침체(320) 사이에는 공간부(3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321c)는 유지부(321a)에 형성한 통기부(321d)에서 외부에 개구하고, 공간부(321c)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부(321a)의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과 접하는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와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 사이에 공간부(321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유지부(321a)의 약제 함침체(320)의 상면에 접하는 부분에 통기 구멍을 형성하여 통기부(321d)로 하고, 그 통기 구멍으로 공간부(321c)(오목부)를 외부에 개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320)를 유지 용기(321)에서 유지하여 약제 함침체(320)의 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손으로 잡아도 약제가 손에 부착되는 일은 없다.
또한, 약제 함침체(320)의 유지부(321a)에서 유지된 부분에는 공기가 유통하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에 함침한 약제는 유통하는 공기로 휘산하지 않지만, 그 부분에 함침한 약제는 공간부(321c)에 휘산하고, 그 공간부(321c)로부터 공기의 유통부(321b)를 통하여 외부로 휘산하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320)의 유지부(321a)에서 유지된 부분에 함침한 약제를 대기에 방산할 수 있다.
상기 유지 용기(321)의 구체 형상의 일례를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지 용기(321)는 도 25∼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0)와 덮개체(340)를 구비하고, 그 용기 본체(330)와 덮개체(340)로 약제 함침체(320) 를 협지하여 유지한다.
이 용기 본체(330)는 중앙 유지부(331)와, 이 중앙 유지부(331)의 주위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외주 유지부(332)와, 이 외주 유지부(332)와 중앙 유지부(331)를 연결하는 복수의 중간 유지부(333)를 가지며, 그 인접한 중간 유지부(333) 사이가 개구하여 공기의 유통부(334)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 유지부(331)의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에 접하는 상면(331a)에는 오목부(335)가 형성되고,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 사이에 공간부(321c)를 형성한다.
상기 외주 유지부(332)의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에 접하는 상면(332a)에는 환형의 오목부(336)가 형성되고,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 사이에 공간부(321c)를 형성한다.
상기 중간 유지부(333)의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에 접하는 상면(333a)에는 상기 오목부(335)와 환형의 오목부(336)를 연통하는 연통용의 오목부(337)가 형성되고,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 사이에 공간부(321c)를 형성한다.
상기 덮개체(340)는 중앙 누름부(341)와, 이 중앙 누름부(341)의 주위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외주 누름부(342)와, 이 외주 누름부(342)와 중앙 누름부(341)를 연결하는 복수의 중간 누름부(343)를 갖고, 그 인접한 중간 누름부(343) 사이가 개구하여 공기의 유통부(344)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 누름부(341)는 상술한 중앙 유지부(331)와 동일한 크기이며, 그 통기 구멍(345)이 오목부(335)와 대향하고 있다.
상기 외주 누름부(342)는 상술한 외주 유지부(332)와 동일한 크기이며, 그 통기 구멍(346)이 환형의 오목부(336)와 대향하고 있다.
상기 중간 누름부(343)는 상술한 중간 유지부(333)와 동일 형상, 크기이며, 그 공기의 유통부(344)가 상술한 공기의 유통부(334)와 대향하고, 양방의 공기의 유통부(334, 344)에 걸쳐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 중간 누름부(343)에 통기 구멍(347)이 상술한 오목부(337)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330)와 덮개체(340)는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외주 유지부(332)의 외주연에는 상면(332a)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한 링체(332b)를 구비하고, 그 링체(332b)에 약제 함침체(320)를 끼워 넣고, 그 후에 덮개체(340)를 끼워 맞추어 부착한다.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덮개체(340)에 링체를 설치하여 그 링체를 외주 유지부(332)의 외주면에 끼워 맞추어 부착할 수도 있고, 용기 본체(330)와 덮개체(340)에 핀과 구멍을 대향하여 설치하며, 그 핀과 구멍을 끼워 맞추어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유지부(333), 중간 누름부(343)는 방사형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자 형상, 다공판 형상 등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약제 함침체(320)의 중앙부는 중앙 유지부(331)와 중앙 누름부(341)에 의해 협지하여 지지되고, 외주부가 외주 유지부(332)와 외주 누름부(342)에서 협지하여 지지되며, 중간부의 복수 개소가 중간 유지부(333)와 중간 누름부(343)에 의해 각각 협지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각 공기의 유통부(334, 344)를 유통하는 공기가 약제 함침체(320)를 통과한다.
또한, 각 오목부(335, 336, 337)와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21c)에 공기가 유통한다.
이에 따라, 약제 카트리지(303)를 장치 본체(301)에 부착하고,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우징(306)의 상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팬(304)을 회전함으로써 약제 함침체(320)에 공기가 유통하여 약제가 대기에 방산 된다.
또한, 약제 함침체(320)에 있어서의 각 유지부와 각 누름부에서 협지하여 유지된 부분(즉, 피유지 부분)에 함침된 약제는 상술한 공간부(321c)에 휘산하고, 통기 구멍으로부터 공간부(321c)를 유통하는 공기와 함께 외부에 방산하며, 상술한 팬(304)의 회전에 의한 공기와 함께 대기에 방산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유지부(331, 332, 333)의 상면에 오목부(335, 336, 337)를 형성하여 공간부(321c)를 형성하고, 각 누름부(341, 342, 343)에 통기 구멍(345, 346, 347)을 형성하여 공간부(321c)를 외부에 개구함으로써, 그 오목부(335, 336, 337)를 이용하여 사용 후의 약제 함침체(320)에 재차 약제를 함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 후(즉, 약제 함침체(320)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상태)에는 약제 카트리지(303)를 장치 본체(301)로부터 취출하고, 액형의 약제를 통기 구멍(345, 346, 347)으로부터 주입하여 각 오목부(335, 336, 337)에 공급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각 오목부(335, 336, 337)에 저장된 액형의 약제는 약제 함침체(320)의 전체에 걸쳐 함침되어, 약제를 함침하고 있는 사용되지 않은 약제 카트리지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오목부(335)에 저장된 액형의 약제는 약제 함침체(320)의 중앙부에 함침하고, 환형의 오목부(336)에 저장된 액형의 약제는 약제 함침체(320)의 외주부에 함침하며, 연통용의 오목부(337)에 저장된 액형의 약제는 약제 함침체(320)의 중간부에 함침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약제 함침체(320)의 전역에 약제가 함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형의 약제를 보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양이 표시된 스포이드식 용기, 적량 수용된 앰플 용기, 정량형 용기, 정량 컵 부착 용기 등의 정량용기, 노즐 용기 등으로 보급량을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하면서 공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급시, 보급 시기가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되면 편리하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약제 함침체(320)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시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330)의 각 유지부(331, 332, 333)의 상면(331a, 332a, 333a)에 오목부(335, 336, 337)를 형성하고, 덮개체(340)의 각 누름부(341, 342, 343)에 관통 구멍(345, 346, 347)을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의 서로 대향한 유지부, 누름부에 오목부, 통기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고, 어느 2개의 서로 대향한 유지부, 누름부에 오목부, 통기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가 서로 대향한 유지부, 누름부에 오목부, 통기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2와 도 33에 도시하는 변형예와 같이, 용기 본체(330)의 외주 유지부(332)를 수평으로 대하여 외주 근방보다도 낮아지도록 비스듬히 하여 대략 V 자형의 환형의 오목부(336)를 형성하고,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 사이에 공간부(321c)를 형성한다.
누름 본체(340)의 외주 누름부(342)의 일부분, 예컨대 중간 누름부(343)와 연속한 부분을 내주를 향하여 오목하게 변형하여 오목부(348)를 형성한다.
이 오목부(348)와 용기 본체(330)의 링체(332b)에 의해 통기부(321d)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함침체(320)의 하면측에 공간부(321c)를 형성하였지만, 상면측에 공간부(321c)를 형성할 수도 있고, 하면측과 상면측의 양방에 공간부(321c)를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303)는 상술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풍기의 팬에 직접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고, 팬과 일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선풍기의 흡입측, 토출측에 부착할 수도 있고, 에어컨의 흡출구에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약제 함침체(320)에 함침하는 약제로서는 상온, 송풍 등 의 조건으로 휘산하는 해충 방제제(살충제, 기피제, 해충 성장 제어제, 살비제, 방충성 정유 등), 방향제, 방향 소취제, 소취제, 곰팡이 방지제, 제균제, 해수 기피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를 살충을 목적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종래로부터 이용되고 있는 각종 휘산성 살충제를 이용할 수 있어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커버메이트계 살충제, 유기인계 살충제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량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고활성의 메트플루트린, 트랜스플루트린, 엠펜트린, 테라레스린, 프로플루트린이 약제 함침체를 얇고, 또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에 약제를 서방화하는 휘산 조정제(바셀린류, 글리콜류 등), 용해제(파라핀류, 다가 알콜류,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 산화 방지제(BHT, BHA 등), 인디케이터 기능제(색 변색소 등),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약제 함침체의 담체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부직포(천연 섬유, 화학 섬유, 탄소 섬유 등), 수지 네트(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 천(직물, 편물), 초지(paper yarn; 펄프, 린터, 합성지 등) 등이 예시되고, 시트 형상, 망 형상, 허니컴 형상, 드래인 보드 형상, 격자 형상 등을 이루는 성형체, 또는 그 형상을 확보하는 수용 형상, 면 형성, 스펀지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에서 기류의 통기성이나 약제의 함유성이 우수한 부직포 등으 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약제를 대기에 방산시키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일례를 도 34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이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401)에 송풍기(40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카트리지(403)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 송풍기(402)의 팬(404)을 모터(405)로 회전하면 약제 카트리지(403)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401)는 본체부(410)와 커버부(411)를 구비하고, 송풍기 설치부(412)와 전지 부착부(413)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공기 흡입부(414)와 공기 토출부(415)를 갖고 있다.
상기 송풍기(402)는 하우징(406)에 팬(404)과 모터(405)를 설치한 것이고, 그 하우징(406)이 송풍기 설치부(412)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406)의 흡입구(406a)가 공기 흡입부(414)에 연통하고, 도시하지 않는 토출구가 공기 토출부(415)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상기 전지 부착부(413)에 전지(40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411)는 개폐 자유롭게 본체부(410)에 연결되고, 이 커버부(411)를 개방함으로써 약제 카트리지(403), 전지(407)를 부착하거나 그리고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403)는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체에 약제를 함침한 시트형의 약제 함침체(420)와, 이 약제 함침체(420)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421)를 구비하고 있다.
즉, 약제 함침체(420)는 시트 형상으로 강성이 약하고, 그 자체에서는 형상을 유지할 수 없거나, 약제 함침체(420)를 직접 손으로 잡으면 약제가 손에 부착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420)의 일부분을 유지 용기(421)에서 유지하고 다른 부분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유지 용기(421)는 약제 함침체(420)를 유지하는 유지부(421a)와,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부(421b)를 구비하고, 그 유지부(421a)의 중앙부(즉, 유지용기(421)의 중앙부)에는 액 저장 오목부(421c)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406)의 오목부(406b)에 유지 용기(421)가 끼워 맞추어져 부착되고, 팬(404)을 회전함으로써 약제 함침체(420)에 공기가 유통하여 약제가 대기에 방산 된다.
이와 같으므로 사용 후, 즉 약제 함침체(420)(시트체)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후에는 약제 카트리지(403)를 장치 본체(401)로부터 제거하고, 약액을 액 저장 오목부(421c)에 공급하여 저장한다.
상기 액 저장 오목부(421c)에 저장된 약액은 시트체의 외주부를 향해서 순차적으로 침투하여 시트체의 전체에 걸쳐 함침되고, 약제를 함침하고 있는 사용되지 않은 약제 카트리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후에 약제를 보급하여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약제 카트리지 이다.
또한, 약제 카트리지(403)는 팬(404)과 대향하여 부착되고, 그 약제 카트리지(403)의 중앙부는 팬(404)의 중앙부와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 용기(421)의 중앙부는 팬(404)의 중앙부와 대향한다.
이 때문에, 액 저장 오목부(421c)를 유지 용기(421)의 중앙부에 설치한 것에 의해, 장치 본체(401)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그 액 저장 오목부(421c)는 팬(404)의 회전에 의한 공기 흐름이 적은 부분에 위치하고, 이 액 저장 오목부(421c)에 의해 팬(404)의 회전에 의한 공기 흐름이 저해되는 일은 거의 없으며, 팬(404)의 회전에 의한 공기 흐름의 대부분이 약제 함침체(420)를 유통하고, 송풍기(402)의 풍량이 무익해지는 일이 없으며, 그 풍량을 약제를 대기에 방산하는 데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404)의 중앙부는 모터(405)의 회전축(405a)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앙부에는 공기의 흐름이 거의 없고, 이 팬(404)의 중앙부와 대향한 부분에는 공기가 거의 흐르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액 저장 오목부(421c)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시트 형상의 약제 함침체(420)를 유지 용기(421)에서 유지하여 약제 카트리지(403)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약제 카트리지(403)를 얇게 할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용기(421)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상기 유지 용기(421)는 도 34와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430)와 덮개체(440)를 구비하고, 그 용기 본체(430)와 덮개체(440)로 약제 함침 체(420)를 협지하여 지지한다.
이 용기 본체(430)는 중앙 지지부(431)와, 이 중앙 지지부(431)의 주위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외주 지지부(432)와, 이 외주 지지부(432)와 중앙 지지부(431)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433)를 가지며, 그 인접한 연결부(433) 사이가 개구하여 공기의 유통부(434)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 지지부(431)의 지지면(431a)에는 오목부(4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체(440)는 중앙 누름부(441)와, 이 중앙 누름부(441)의 주위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외주 누름부(442)와, 이 외주 누름부(442)와 중앙 누름부(441)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443)를 갖고, 그 인접한 연결부(443) 사이가 개구하여 공기의 유통부(444)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 누름부(441)는 상술한 중앙 지지부(431)와 동일한 크기이고, 공급구(445)가 오목부(435)와 대향하고 있으며, 이 공급구(445)와 오목부(435)에서 액 저장 오목부(421c)로 되어 있다.
상기 외주 누름부(442)는 상술한 외주 지지부(432)와 동일한 크기이다.
상기연결부(443)는 상술한 연결부(433)와 동일 형상, 크기이며, 공기의 유통부(444)가 상술한 공기의 유통부(434)와 대향하고, 양방의 공기의 유통부(434, 444)에 걸쳐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430)와 덮개체(440)는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외주 지지부(432)의 외주연에는 지지면(432a)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한 링체(432b)를 구비하며, 그 링체(432b)에 약제 함침체(420) 를 끼워 넣고, 그 후에 덮개체(440)를 끼워 맞추어 부착한다.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체(440)에 링체를 설치하여 그 링체를 외주 지지부(432)의 외주면에 끼워 맞추어 설치할 수도 있고, 용기 본체(430)와 덮개체(440)에 핀과 구멍을 대향하여 설치하고, 그 핀과 구멍을 끼워 맞추어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433, 443)는 방사형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자 형상, 다공판 형상 등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약제 함침체(420)의 중앙부는 중앙 유지부(431)와 중앙 누름부(441)에서 협지되어 지지되고, 외주부가 외주 지지부(432)와 외주 누름부(442)에서 협지하여 지지되며, 중간부의 복수 개소가 연결부(433, 443) 상호로 각각 협지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각 공기의 유통부(434, 444)를 유통하는 공기가 약제 함침체(420)를 통과한다.
이와 같으므로, 사용 후(즉, 약제 함침체(420)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상태)에는 약제 카트리지(403)를 장치 본체(401)로부터 취출하고, 약액을 공급구(445)로부터 주입하여 오목부(435), 또는 오목부(435)와 공급구(445)에 저장한다.
그리고, 오목부(435)에 저장된 약액은 약제 함침체(420)의 전체에 걸쳐 침투하여 함침한다.
상기 액 저장 오목부(421c)의 깊이는 약액의 공급량에 따라 설계할 수도 있 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체 하면과 오목부(435) 상면이 접하고 있는 경우, 공급한 약액이 시트체와 표면 장력으로 유보 상태에 있는 깊이가 바람직하며, 너무 깊으면 시트체에 접하지 않는 잔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서, 상기 약제 카트리지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36과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430)의 중앙 지지부(431)를 덮개체(440)의 중앙 누름부(441)보다도 크게 하고, 또한 오목부(435)를 중앙 누름부(441)보다도 크게 한다.
덮개체(440)의 중앙 누름부(441)를 연결부(443)보다도 두껍게 하여 중앙 누름부(441)를 연결부(443)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고, 이 중앙 누름부(441)에 의해 약제 함침체(420)를 오목부(435) 안으로 압입한다.
이와 같이하면, 오목부(435)에 저장된 약액이 시트체에 함침하기 쉬워진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체를 오목부(435)의 저면에 접근, 또는 접하고 있는 경우, 액 저장 오목부(421c)의 깊이는 공급하는 약액량에 따라 결정되고, 또한, 약액은 공급하는 동시에 주위에 침투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너무 깊게 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제1 변형예는 약제 함침체(420)가 작은 경우에 바람직하지만, 큰 약제 함침체의 경우에는 외주부에도 액 저장 오목부를 형성하고, 시트체의 중앙부, 외주부에 약액을 공급하여 중앙부로부터 외주부를 향해서 침투시키는 동시에, 외주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서 침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시에는 약액을 시트체의 전역에 빠르게 침투시키는 데 유효하다.
예컨대, 도 38, 도 39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용기 본체(430)의 중앙지지부(431)에 오목부(435)를 형성하고, 외주 지지부(432)에 외주 오목부(436), 예컨대 환형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덮개체(440)의 중앙 누름부(441)에 공급구(445)를 형성한다. 연결부(443)를 외주 누름부(442)보다도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그 돌출부(443a)를 링체(432b)에 접하여 외주 누름부(442)와 링체(432b)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그 간극을 외주 공급구(446)로 한다.
그리고, 이 외주 오목부(436)에 의해 외주부의 액 저장 오목부(421c)로 한다.
이 제2 변형예에서는 외주 누름부(442)가 중앙 누름부(441)보다도 두껍고, 약제 함침체(420)의 외주연을 외주 오목부(436)에 압입하여 약액이 침투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0과 도 41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와 같이 용기 본체(430)의 외주 지지부(432)를 외주 근방이 낮아지도록 수평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여 링체(432b)에 의해 외주 오목부(436)를 형성한다.
덮개체(440)의 연결부(443)를 중앙부보다도 외주부가 낮아지도록 수평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여 그 외주 누름부(442)가 외주 지지부(432)와 대략 평행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약제 함침체(420)의 외주연이 외주 지지부(432)에 압박된다.
상기 덮개체(440)의 외주 누름부(442)의 일부분, 예컨대 연결부(443)와 대향한 부분에 오목부(442a)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442a)와 링체(432b)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며, 이 간극을 외주 공급구(446)로 한다.
또한, 도 42와 도 43에 도시하는 제4 변형예와 같이, 덮개체(440)의 중앙 누름부(441)에 하향 오목부(445a)를 형성하고, 그 상면에 작은 공급 구멍(445b)를 복수 형성하여 하향 오목부(445a)와 공급 구멍(445b)에서 공급구(445)를 구성하고, 그 공급구(445)와 오목부(435)에서 중앙부의 액 저장 오목부(421c)를 구성한다.
덮개체(440)의 외주 누름부(442)를 내측 세로편(448)과 상측 가로편(449)에 의해 단면 갈고리 형상으로 하고, 그 외주 누름부(442)와 외주 지지부(432)의 링체(432b)에 의해 하향 오목부(446a)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 가로편(449)에 외주 공급 구멍(446b)을 형성하고, 그 외주 공급 구멍(446b)과 하향 오목부(446a)에서 외주 공급구(446)를 구성하며, 그 외주 공급구(446)와 외주 오목부(436)에서 외주부의 액 저장 오목부(421c)를 구성한다.
또한, 상술한 각 오목부 내부 저면에 시보 가공(embossing process) 등에 의해 요철을 설치하여 간극을 형성, 격자 형상으로 하여 소공간을 형성, 복수의 돌기 링을 설치하여 홈을 형성하고, 시트체 사이에 표면 장력을 촉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을 액 저장 오목부(421c)에 보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양이 표시된 스포이드식 용기, 적량 수용된 앰플 용기, 정량형 용기, 정량 컵 부착 용기 등의 정량 용기, 노즐 용기 등으로 보급량을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함으로 공 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급시, 보급 시기가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되면 편리하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약제 함침체(420)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시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403)는 상술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풍기의 팬에 직접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팬과 일체로 할 수도 좋다. 또한 선풍기의 흡입측, 토출측에 부착할 수도 있고, 에어컨의 취출구에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약제 함침체(420)의 시트체(담체)에 함침하는 약제로서는 상온, 송풍 등의 조건으로 휘산하는 해충 방제제(살충제, 기피제, 해충 성장 제어제, 살비제, 방충성 정유 등), 방향제, 방향 소취제, 소취제, 곰팡이 방지제, 제균제, 해수 기피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를 살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종래로부터 이용되고 있는 각종 휘산성 살충제를 이용할 수 있고,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커버메이트계 살충제, 유기인계 살충제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량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고활성의 메트플루트린, 트랜스플루트린, 엠펜트린, 테라레스린, 프로플루트린이 약제 함침체를 얇고, 또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에 약제를 서방화하는 휘산 조정제(바셀린류, 글리콜류 등), 용해 제(파라핀류, 다가 알콜류,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 산화 방지제(BHT, BHA 등), 인디케이터 기능제(색 변색소 등),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약제 함침체 시트체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부직포(천연 섬유, 화학 섬유, 탄소 섬유 등), 수지 네트(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 천(직물, 편물), 초지(paper yarn)(펄프, 린터, 합성지 등) 등이 예시되고, 시트 형상, 망 형상, 허니컴 형상, 드래인 보드 형상, 격자 형상 등을 이루는 성형체, 또는 그 형상을 확보하는 수용 형상, 면 형성, 스펀지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에서 기류의 통기성이나 약제의 함유성이 우수한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약제를 대기에 방산시키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일례를 도 44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이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501)에 송풍기(50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카트리지(503)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 송풍기(502)의 팬(504)을 모터(505)로 회전하면 약제 카트리지(503)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501)는 본체부(510)와 커버부(511)를 구비하고, 송풍기 부착부(512)와 전지 부착부(513)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공기 흡입부(514)와 공기 토 출부(515)를 갖고 있다.
상기 송풍기(502)는 하우징(506)에 팬(504)과 모터(505)를 설치한 것이고, 그 하우징(506)이 송풍기 부착부(512)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506)의 흡입구(506a)가 공기 흡입부(514)에 연통하며, 도시하지 않는 토출구가 공기 토출부(515)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상기 전지 부착부(513)에 전지(50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511)는 개폐 자유롭게 본체부(510)에 연결되고, 이 커버부(511)를 개방함으로써 약제 카트리지(503), 전지(507)를 부착하거나 그리고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503)는 시트 형상의 약제 함침체(520)와, 이 약제 함침체(520)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53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약제 함침체(520)는 시트 형상으로 강성이 약하고, 그 자체로서는 형상을 유지할 수 없거나, 약제 함침체(520)를 직접 손으로 잡으면 약제가 손에 부착될 우려가 있어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520)의 일부분을 유지 용기(530)로 유지하여 취급하기 쉽고 다른 부분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취급하기 쉬운 약제 카트리지(503)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520)는 시트형으로 흡액성과 통기성을 갖는 담체(521)에 소정량의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시트 형상인 것이다.
상기 약제 함침체(520)의 시트형의 담체(521)는 그 일부분에 고흡액부(522)를 구비하고, 그 고흡액부(522)에 다량의 약액을 한번에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으 며, 그 고흡액부(522)에 유지된 약액은 담체(521)의 전역에 걸쳐 순차 침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으므로, 약제 카트리지(503)의 사용 후(즉, 약제 함침체(520)의 담체(521)에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되고, 그 담체(521)에 약제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는 그 고흡액부(522)에 약제를 적하하여 공급함으로써 고흡액부(522)에 다량의 약액을 유지함으로써, 그 약액이 담체(521)의 전역에 걸쳐 순차적으로 침투하여 담체(521)의 전체에 약제가 함침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하고 있는 사용되지 않은 약제 카트리지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후에 약제를 보급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시에 있어서도 약제 함침체(520)의 담체(521)에 형성한 고흡액부(522)에 다량의 약액을 함침하여 유지시키고, 그 유지한 약액을 순차적으로 담체(521)의 전역에 걸쳐 침투시키기 때문에, 담체(521)의 전체에 걸쳐 약제를 균일하게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503)의 구체적인 예를 도 45, 도 46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 함침체(520)의 담체(521)는 중앙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도 두꺼운 시트형으로, 그 두꺼운 중앙부가 고흡액부(522)이다.
이 고흡액부(522)의 상면에는 오목부(522a)가 형성되어 약액을 공급하였을 때에 내부에 흡수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담체(521)의 흡액 성능(즉, 단위 체적당 흡액할 수 있는 액체량의 대 소)은 전역에 걸쳐 동일하여도 그 중앙부가 두껍기 때문에 다량의 약액을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흡액부(522)를 구성한다.
상기 담체(521)의 흡액 성능은 중앙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중앙부(고흡액부(522))에 의해 다량의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흡액부(522)의 흡액 성능을 다른 부분보다도 크게 하면, 그 고흡액부(522)는 다른 부분과 큰 차이가 없는 두께가 된다.
즉, 담체(521)의 고흡액부(522)는 단위 체적당 흡액할 수 있는 액체량이 다른 부분보다도 큰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고흡액부(522)의 형상으로서는 전술한 원형 외에, 사용하는 소재에 의해 직사각형, 반원형, 기모형(raising) 등 자유이다.
상기 유지 용기(530)는 용기 본체(540)와 누름 본체(550)를 구비하고, 이 용기 본체(540)와 누름 본체(550)에 의해 약제 함침체(520)를 협지하여 유지한다.
이 용기 본체(540)는 중앙 지지부(541)와 외주 지지부(542)를 복수의 연결부(543)로 연결하고, 그 인접한 연결부(543)와 중앙 지지부(541)와 외주 지지부(542) 사이가 개구하여 공기의 유통부(544)를 구성한다.
상기 외주 지지부(542)는 상면(542a)보다도 돌출한 링체(54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520)는 중앙 지지부(541)의 상면(541a), 외주 지지부(542)의 상면(542a), 연결부(543)의 상면(543a)에 적재되어 지지된다.
상기 누름체(550)는 링체(545)에 끼워 맞춰지는 링 형상이며, 이 누름체(550)와 외주 지지부(542)에 의해 약제 함침체(520)의 외주 부분을 협지하여 유지한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503)는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용기 본체(540)를 하우징(506)의 설치부(506b)에 끼워 맞추어 송풍기(502)의 팬(504)과 대향하여 부착되고, 그 팬(504)의 풍량이 적은 중심부(504a)(즉, 모터(505)의 회전축(505a)이 연결되는 부분)이 약제 함침체(520) 담체(521)의 중앙부(고흡액부(522))와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고흡액부(522)에 유통하는 공기량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현저하게 적고, 고흡액부(522)가 두꺼워도 약제 함침체(520)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한다.
상기 고흡액부(522)는 용기 본체(540)의 중앙 지지부(541)의 상면(541a)에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를 보급할 때에 고흡액부(522)에 다량의 약액이 함침하여 유지됨으로써 중량이 무겁게 된 경우에도 그 고흡액부(522)가 밑으로 늘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중앙 지지부(541)는 고흡액부(522)와 동일 크기, 또는 고흡액부(522)보다도 크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고흡액부(522)에 다량의 약액을 함침하였을 때에, 그 약액이 고흡액부(522)의 하면으로부터 새어나와 흐르는 경우는 없다.
상기 중앙 지지부(541)는 얕게 움푹 패인 접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 이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용기 본체(540)의 중앙 지지부(541)는 고흡액부(522)보다도 작을 수 도 있다. 또한, 연결부(543)의 수는 6개에 한정되지 않고 4개, 3개 등일 수도 있다.
상술한 누름체(550)는 도 47A 및 도 47B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중앙링(551)과 외주링(552)을 복수의 스테이(553)로 연결하여 개구부(554)를 형성한 형상이며, 그 중앙링(551)이 고흡액부(522)에 끼워 맞춰지고, 외주링(552)이 용기 본체(540)의 링체(545)에 끼워 맞춰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중앙링(551)이 약액을 적하 공급하는 표시자가 된다.
이 경우에는, 용기 본체(540)의 중앙 지지부(541)를 링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누름체(550)의 중앙링(551)을 고흡액부(522)의 상면에 접하여 중앙 지지부(541)에서 협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중앙링(551)의 높이를 고흡액부(522)의 높이보다 높게 하여 공급한 약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520)의 고흡액부(522)는 도 48A 및 도 48b에 도시하는 제2변형예와 같이 담체(521)의 외주 근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담체(521)의 외주 근방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둔 복수 위치를 두껍게 하여 고흡액부(522)로 한다.
상기 약제 함침체(520)의 고흡액부(522)는 도 49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 도 50에 도시하는 제4 변형예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연속한 가는 폭의 띠형으로 하고,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체(550)의 중앙링(551) 등의 중앙부로부터 약액을 공급하거나, 도 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체(550) 외주링(552)의 오목부(552a)와 링체(545) 사이의 간극(554) 등의 외주부로부터 약액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복수의 띠형의 고흡액부(522)를 격자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임의의 위치에 복수의 고흡액부(5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520)의 고흡액부(522)는 담체(521)와 별체로서 중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1에 도시하는 제5 변형예와 같이, 2장의 담체(521) 사이에 고흡액부(522)를 끼워 넣는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고흡액부(522)를 누름체(550)의 중앙링(551) 사이에 끼워 넣어 부착하고, 그 누름체(550)를 용기 본체(540)에 부착함으로써 고흡액부(522)를 담체(521)에 접촉시킨다.
또한, 용기 본체(540)의 중앙 지지부(541)에 고흡액부(522)를 설치하고, 이 고흡액부(522)에 담체(521)를 중첩시켜 적재한다.
상술한 고흡액부(522)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흡액부(522)를 담체(521)와 동일 소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이질 소재로 형성하고, 그 고흡액부(522)를 담체(521)와 일체, 별체로 하여 접착, 봉합, 적재, 용착한다.
또한, 담체(521)의 일부분에 소재를 분사하는 등의 특수 가공에 의해 기초 중량을 크게 하여 고흡액부(522)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약제 함침체(520)의 담체(521), 고흡액부(522)의 소재로 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부직포(천연 섬유, 화학 섬유, 탄소 섬유 등), 수지 네트(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 천(직물, 편물), 초지(펄프, 린터, 합성지 등) 등이 예시되고, 시트 형상, 망 형상, 허니컴 형상, 드래인 보드 형상, 격자 형상, 절첩 형상 등을 이루는 성형체, 또는 그 형상을 확보하는 수용 형상, 면 형성, 스펀지 형상, 또한 발포 비드, 발포 우레탄, 나무나 대나무의 숯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에서 기류의 통기성이나 약제의 함유성이 우수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흡액부(522)에 약액을 보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양이 표시된 스포이드식 용기, 적량 수용된 앰플 용기, 정량형 용기, 정량 컵 부착 용기 등의 정량 용기, 노즐 용기 등으로 보급량을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하면서 공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급시 보급 시기를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으면 편리하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약제 함침체(520)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시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약제 함침체(520)의 담체(521)에 함침하는 약제로서는 상온, 송풍 등의 조건으로 휘산하는 해충 방제제(살충제, 기피제, 해충 성장 제어제, 살비제, 방충성 정유 등), 방향제, 방향 소취제, 소취제, 곰팡이 방지제, 제균제, 해수 기피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를 살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종래로부터 이용되 고 있는 각종 휘산성 살충제를 이용할 수 있고, 프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커버메이트계 살충제, 유기인계 살충제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량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고활성의 메트플루트린, 트랜스플루트린, 엠펜트린, 테라레스린, 프로플루트린이 약제 함침체를 얇고, 또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에 약제를 서방화하는 휘산 조정제(바셀린류, 글리콜류 등), 용해제(파라핀류, 다가 알콜류,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 산화 방지제(BHT, BHA 등), 인디케이터 기능제(색 변색소 등),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503)는 전술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풍기의 팬에 직접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팬과 일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선풍기의 흡입측, 토출측에 부착할 수도 있고, 에어컨의 토출구에 부착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 제7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약제를 대기에 방산시키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일례를 도 52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이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601)에 송풍기(60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카트리지(603)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 송풍기(602)의 팬(604)을 모터(605)로 회전하면 약제 카트리지(603)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601)는 본체부(610)와 커버부(611)를 구비하고, 송풍기 부착부(612)와 전지 부착부(613)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공기 흡입부(614)와 공기 토출부(615)를 갖고 있다.
상기 송풍기(602)는 하우징(606)에 팬(604)과 모터(605)를 설치한 것이고, 그 하우징(606)이 송풍기 부착부(612)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606)의 흡입구(606a)가 공기 흡입부(614)에 연통하며 도시하지 않는 토출구가 공기 토출부(615)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상기 전지 부착부(613)에 전지(60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611)는 개폐 자유롭게 본체부(610)에 연결되고, 이 커버부(611)를 개방함으로써 약제 카트리지(603), 전지(607)를 부착하거나 그리고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카트리지(603)는 약제 함침체(620)와 고정구(6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약제 카트리지(603)는 약제 함침체(620)와 고정구(6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약제 함침체(620)와 후술하는 용기로 구성할 수도 있고, 약제 함침체(620) 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620)는 도 52∼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편평한 가공 시트재(621)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것이다.
따라서, 가공 시트재(621)의 단위 체적당의 표면적이 크고, 많은 약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620)의 단위 체적당의 약제량이 많아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다량의 약제를 유지한 얇은 약제 함침체(620)를 제공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 시트재(621)의 주연부(622)를 열용착 등으로 접합하여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유지하여 절첩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즉, 시트를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 그대로 있는 경우, 외력에 의해 신장되어 주름 형상이 붕괴되어 절첩의 간격을 유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가공 시트재(621)의 전역에 걸쳐 공기가 대략 균일하게 유통하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620)의 전역으로부터 대략 균일하게 약제가 방산한다.
따라서, 약제 함침체(620)가 유지하고 있는 약제의 양은 전역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감소하고, 그 약제 함침체(620)가 유지하고 있는 약제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함침체(620)는 평면 형상이 원형이며, 가공 시트재(621)의 주연부(622)가 원형 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약제 함침체(620)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좋고, 그 경우에는 대향한 2개의 단면 부분을 접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630)는 약제 함침체(620)의 주연부를 유지하여 약제 함침체(620)를 소정 형상으로 유지하고, 절첩 방향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동시에, 그 고정구(630)를 손으로 잡음으로써 약제 카트리지(603)를 취급함에 있어서 약제 카트리지의 취급이 용이하고, 약제가 손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약제 함침체(620)의 고정구(630)에 의한 유지 부분 이외에는 공기가 유통되도록 한다.
즉, 고정구(630)는 약제 유지체(620)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고정구(630)는 지지 부재(631)와 누름 부재(632)를 구비하고, 그 지지 부재(631)는 링체(633)의 하부에 지지편(634)을 설치한 형상이며, 지지편(634)이 링체(633)의 내면(633a)보다도 내측으로 둘출되어 있다.
상기 누름 부재(632)는 지지 부재(631)의 링체(633)에 끼워 맞춰지는 링 형상이다.
그리고, 약제 함침체(620)를 지지 부재(631)의 링체(633) 내에 끼워 넣도록 설치하여 외주연 부분(622)을 지지편(634)에 접하고, 누름 부재(632)를 링체(633)에 끼워 맞춤 부착하여 상술한 외주연 부분에 압박하여 지지편(634)과 누름 부재(632)로 약제 함침체(620)의 외주연 부분을 협지한다.
즉, 링 형상의 지지 부재(631)와 누름 부재(632)가 상술한 유지부에서 그 지지 부재(631), 누름 부재(632)의 내부가 상술한 공기의 유통부를 구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공 시트재(621)의 접합부분(주연부(622))이 그 가공 시트재(621)의 두께 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그 접합부분을 고정구(630)로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 시트재(621)의 상면(621a), 하면(621b)이 유지 부분보다도 같은 치수만큼 상측, 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되 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57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가공 시트재(621)의 접합 부분(주연부(622))을 가공 시트재(621)의 하면(621b)과 대략 동일 높이로 하고, 그 접합 부분을 고정구(630)로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 시트재(621)의 상면(621a)이 유지 부분보다도 크게 상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약제 함침체(620)의 하면(620a)과 고정구(630)의 하면(630a)을 대략 동일면, 바람직하게는 동일면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고정구(630)의 상하치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카트리지(603)를 장치 본체(601)에 적재하기 쉬운 동시에, 고정구(630)를 작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2에 있어서는 하우징(606)의 상면(606b)에 약제 카트리지(603)를 적재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620)의 하면(620a)과 고정구(630)의 하면(630a)을 동일 높이로 하여 적재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하며, 도 57에 도시하는 약제 카트리지(603)의 상하 치수(H1)보다도 도 56에 도시하는 약제 카트리지(603)의 고착구(630)의 상하 치수(H2)가 더 크다. 즉, 지지편(634)의 두께(상하 치수)가 다르다.
상술한 약제 함침체(620)의 가공 시트재(621)는 통기성 뿐만 아니라, 흡액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약제 함침체(620)가 유지하고 있는 약제를 전부 대기에 방산한 경우, 즉 약제 카트리지를 다 사용한 후에, 그 가공 시트재(621)에 약액을 보급하여 전역에 걸쳐 침투시키기 때문에, 다시 약제를 유지한 약제 함침체를 제공 할 수 있다.
따라서, 다 사용한 약제 카트리지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 사용한 후에 약액을 보급하는 데 바람직한 약제 카트리지를 도 58, 도 5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구(630)의 지지편(634)을 외주링(634a)과 내주링(634b)을 연결편(634c)으로 연결한 형상으로 한다.
고정구(630)의 누름 부재(632)를 외주링(632a)과 내주링(634b)을 복수의 연결 막대(632c)로 연결한 형상으로 한다.
이러한 약제 카트리지이면, 약제 함침체(620)에 있어서의 내주링(632b)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약제를 공급할 수 있어 그 약제의 보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8, 도 59에 도시하는 고정구(630)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620)의 상면과 하면을 각 내주링(632b, 634b), 각 연결 막대(632c, 634c)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함침체(620)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내주링부, 연결편은 지지 부재(631)와 누름 부재(632)의 한쪽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내주링의 크기, 형상, 개수는 자유이며, 약제 함침체(620)의 크기, 가공 시트재의 사용 재료, 약제 함침량 등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부재(631)에만 내주링, 연결편을 설치하고, 그 내주링, 연결편의 상면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보급한 약액이 오목부에 저장됨으로써 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54에 도시하는 약제 카트리지의 가공 시트 재(621)의 표면에, 약액을 보급하는 부분의 표시, 예컨대 색, 마크를 붙일 수도 있다.
다음에서,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함침체(620)를 가공 시트재(621)의 주연부(62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형상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구(630)로 가공 시트재(621)의 주연부를 협지함으로써 상술한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공 시트재(621)의 주연부(622)를 눌러 찌부러뜨려 유지하여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지지 부재(630)의 링체(633)에 누름 부재(632)가 나사 결합하고, 가공 시트재(621)의 주연부(622)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연부(622)를 접합한 약제 함침체(620)만으로 약제 카트리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약제 함침체(620)를 공기의 유통부를 갖는 용기(640) 내에 설치하여 약제 카트리지(60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1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용기(640)는 링 형상이고, 내주 부분이 공기의 유통부에서 외주링 형부에 내측으로 향한 오목부(641)를 갖는 형상이며, 이 내측으로 향한 오목부(641) 내에 약제 함침체(620)의 접합한 단면 부분(622)(즉, 주위)을 끼워 넣어 약제 함침체(620)를 용기(640) 내에 설치한다.
도 62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와 같이, 약제 함침체(620)가 접합하지 않는 단 면 부분(622)을 내측으로 향한 오목부(641) 내에 끼워 넣어 약제 함침체(620)를 용기(640) 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하면, 용기(640)를 손으로 잡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약제가 손에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이상의 각예에 의하면 약제 함침체(620)를 원형상으로, 고정구(630), 용기(640)를 링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제 함침체(620)를 직사각형상, 삼각형상, 반원형상 등으로 하고, 고정구(630), 용기(640)를 직사각형 프레임형, 삼각형 프레임형, 반원형 프레임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고정구(630)는 약제 함침체(620)의 주연부를 유지, 압박하는 형상으로 공기의 유통부를 갖는 것이면 좋고, 용기(640)는 약제 함침체(620)를 수용하는 동시에, 공기의 유통부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각 예는 약제 함침체(620)를 편평 형상으로 하여 약제 카트리지를 얇게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약제 함침체(620)를 통 형상으로 하고, 용기(640)를 환형의 중공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하여, 그 환형의 중공부 내에 약제 함침체(620)를 삽입하여 부착함으로써 약제 카트리지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3과 도 64에 도시하는 제4 변형예와 같이, 내부통(642)과 외부통(643)과 일단면판(644)과 타단면판(645)으로 환형의 중공부(646)와 축심의 중공부(647)를 갖는 통 형상의 용기(640)를 구성한다.
이 내부통(642)과 외부통(643)에는 통기부(642a, 643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일단면판(644)에 유통 구멍(644a)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상술한 환형의 중공부(646)의 직경 방향의 길이(외부통(643)의 반경-내부통(642)의 반경)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통 형상의 가공 시트재(621)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형상의 약제 함침체(620)로 한다.
이 약제 함침체(620)를 용기(640)의 환형의 중공부(646) 내에 삽입하여 부착하여 약제 카트리지로 한다.
이 약제 카트리지(603)는 장치 본체(601)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다.
예컨대, 일단면판(644)의 유통 구멍(644a)의 주연부에 외측을 향한 갈고리 형태의 걸림편(648)을 설치하고, 장치 본체(601)의 공기 흡입부(614)의 주연부에 내측을 향한 갈고리형의 지지편(649)을 설치하며, 이 지지편(649)에 걸림편(648)을 걺으로써 유통 구멍(644a)과 공기 흡입부(614)가 연통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602)의 팬(604)을 모터(605)로 구동함으로써, 외부통(643)의 통기부(643a), 환형의 중공부(646), 내부통(642)의 통기부(642a), 축심의 중공부(647), 일단면판(644)의 유통 구멍(644a), 장치 본체(601)의 공기 흡입부(614), 공기 토출부(615)로 공기가 흐르고 약제 함침체(620)에 유지된 약제가 대기에 방산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약제 함침체(620)의 단위체적당의 약제량은 많게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량의 약제를 유지한 약제 함침체(620)를 소직경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를 소직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용기(640)를 잡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약제 함침체(620)에 유지한 약제가 손에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용기(640)의 환형의 중공부(646) 내에 다이어프램을 설치하여 가공 시트재(621)의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내부통(642)에 돌기를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설치하고, 이 인접한 돌기 사이에서 가공 시트재(621) 중 하나인 산형부를 유지하여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제 카트리지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장치 본체(601)에 설치하고, 송풍기(602)로 송풍함으로써 약제를 대기에 방산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약제 카트리지를 설치 수단을 이용하여 실내 등에 설치하고, 자연 휘산에 의해 약제를 대기에 방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약제 카트리지의 형상을 팬 형상, 제등 형상, 아코디언 형상, 커튼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공 시트재(621)에 이용하는 시트는 통기성과 흡액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부직포나 직편물 등으로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질로서는 사용되는 약제에 따라 내약제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예컨대, 천연 섬유로서 펄프, 솜, 양모, 삼, 비단 등, 합성 섬유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설폰, 레이온, 메타크릴산 수지,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공 시트재(621)의 시트로서는 약액의 흡액성 또한 유지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 두께는 0.02 mm∼1.0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를 방산(공기의 유통성)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시트의 밀도는 0.05∼1.0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 시트재(621)의 접음 폭에 대해서는 절첩 폭에도 관계하기 때문에 단정할 수 없지만, 약제 카트리지의 소형화, 특히 박형화를 목표로 하는 데에 있어서, 접음 폭을 길게 하면 약제 함침체의 두께가 증대해 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약제 함침체의 면적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음 폭은 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 2mm 이상이다.
또한, 도 63, 도 64에 도시하는 통 형상의 약제 카트리지의 경우에는, 접음 폭은 30mm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공 시트재(621)의 절첩한 주름과 주름 사이의 간격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간격이 넓으면 약제 함침량이 적고, 압박 상태(겹쳐 압박된 상태)이면 약제 함침량은 증가하지만 공기의 유통을 저해하여 약제의 방산을 방해한다. 상술한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1mm 이상(눈으로 관찰하여 닿을 듯 말듯한 접촉 상태)이다.
또한, 주름 형상으로서는 동일한 높이(접은 폭, 절첩 간격이 동일) 외에, 맞지 않는 높이(접음 폭이 다르고, 간격이 동일함), 중앙보다 높거나 하는 등의 형상, 또한 수평 형상 외에 활 모양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열용착의 경우, 외주가 라운딩을 띤 상태가 됨).
상기 고정구(630)의 재질로서는 수지류(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 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탈, 나일론, 아크릴, ABS, AS 등) 합성지, 금속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휘산성의 약제로서는 상온, 송풍에 의해 휘산하는 해충 방제제(살충제, 기피제, 곤충 성장 제어제, 살비제, 방충 정유 등), 방향제, 소취제, 제균제, 해수 기피제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약제로서는 메트플루트린, 엠펜트린, 테라레스린, 프로플루트린, 프로플루트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해충 방제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약제는 높은 치사 활성을 나타내고, 사용량이 미량으로 좋고, 소형의 약제 카트리지에 최적이다.
상기 약제에 약제를 서방화하는 휘산 조정제(바셀린류, 글리콜류 등), 용해제(파라핀류, 다가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 산화 방지제(BHT, BHA 등), 인디케이터 기능제(색 변색소 등),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 사용한 후에 약제를 보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양이 표시된 스포이드식 용기, 적량 수용된 앰플 용기, 정량형 용기, 정량 컵 부착 용기 등의 정량 용기, 노즐 용기 등으로 보급량을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하면서 공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급시, 보급 시기를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으면 편리하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약제 함침체(620)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시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 제8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제 함침체를 이용하여 약제를 대기에 방산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의 일례를 도 6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장치 본체(701) 내에 송풍기(702)와 전지(703)와 약제 함침체(704a)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704)를 설치하고, 그 송풍기(702)의 팬(702a)을 모터(702b)로 회전하면 흡입구(705)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한 공기를 약제 함침체(704a)를 통해 토출구(706)를 통하여 방출하여, 약제 함침체(704a)가 유지한 약제를 대기에 방산한다.
상기 장치 본체(701)의 약제 카트리지(704)와 대향한 부분(701a)은 개폐가 자유롭고, 그 약제 카트리지(704)를 추출하거나, 부착하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장치 본체(701)를 본체부(707)에 커버부(708)를 개폐 자유롭게 설치한 것으로 하고, 그 커버부(708)를 개방함으로써 약제 카트리지(704)와 전지(703)를 취출하거나, 부착하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약제 함침체(704a)는 허니컴체(710)와,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체(720)로 이루어지며, 그 허니컴체(710)와 시트체(720)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하고 있다.
상기 허니컴체(710)는 두께 방향 일측면(710a)과 타측면(710b)에 개구한 다수의 코어(711)를 갖고, 그 두께 방향으로 공기가 유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허니컴체(7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면,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출측의 측면(타측면(710b))의 전면에 걸쳐 시트체(720)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허니컴체(710)는 두께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편평한 형상, 즉, 허니컴체(710)는 얇게 평면 방향으로 큰 형상이며, 그 두께 방향으로 개구한 다수의 코어(711)를 갖고, 그 공기 유출측 측면의 전면에 걸쳐 시트체(7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허니컴체(710)의 코어(711) 형상은 상술한 벌집 형상 외에, 마분지의 물결 형상,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코어(711)가 적층형으로 성형되었지만 그 외에, 소용돌이형으로 말아 넣은 것이어도 좋다. 이 허니컴체(710)의 소재로서는 후술하는 시트체(720)의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으므로 약제 카트리지(704)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701)가 얇아진다.
또한, 시트체(720)가 허니컴체(710)로 보강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허니컴체(710)에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하고, 시트체(720)를 보강하는 허니컴체(710)에 의해 시트체(720)에 공기가 유통하는 것을 저해하는 일이 없고, 그 허니컴체(710), 시트체(720)에 함침하여 부지한 약제를 유효하게 대기에 방산할 수 있다.
또한,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701)에 부착함으로써 허니컴체(710)와 시트체(720)에 공기가 유통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팬(702a)을 회전함으로써 허니컴체(710)와 시트체(720)에 유지한 약제가 대기에 방산 된다.
또한, 약제 함침체(704a)의 허니컴체(710), 시트체(720)에 유지한 약제가 없어진 경우에는, 약제 카트리지(704)를 장치 본체(701)로부터 취출하고, 그 시트체(720)가 허니컴체(710)의 위가 되도록 놓고, 그 시트체(720)의 일부분에 약액을 적하 등에 의해 공급하며, 그 약액을 시트체(720)의 전역에 걸쳐 침투시키는 동시에, 그 시트체(720)로부터 시트체(720)와 밀착한 허니컴체(710)면에도 침투하여, 허니컴체(710)의 전역에 순차 함침시켜 유지함으로써,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함침체(704a)를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트체(720)는 허니컴체(710)의 코어(711)를 구성하는 두께 방향을 향하는 다수의 벽재(712)에 걸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각 벽재(712)에 약제가 함침하여 유지된다.
이 약제 함침체(704a)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704)를 재차 장치 본체(701) 내에 부착하여 약제를 대기에 방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체(720)에 약액을 적하하여 공급함으로써, 허니컴체(710)의 전역에 걸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고, 그 시트체(720)에 공급하는 약액의 양은 허니컴체(710), 시트체(720)에 함침하여 유지하는 양에 적당한 값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약액이 무익하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이 종료된 허니컴체(710), 시트체(720)(즉 약제 함침체)에 사용자가 간단히 약제를 재차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허니컴체(710)의 두께 방향의 한쪽 측면(예컨대, 타측면(710b))에 시트체(720)가 밀착하고, 그 시트체(720)에 공급된 약제가 허니컴체(710)(벽재(712))에 원활하게 확실하게 함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트체(720)로부터 허니컴체(710)(벽재(712))에 약액이 원활하게 확실하게 함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용기(730)에 의해 허니컴체(710)의 한쪽 측면(예컨대, 타측면(710b))에 시트체(720)가 밀착되어 있다.
상기 유지 용기(730)는 링 형상의 용기 본체(740)와 링 형상의 누름체(750)를 구비하고, 이 용기 본체(740) 내에 약제 함침체(704a)를 넣고, 누름체(750)을 끼워 맞추어 연결함으로써 허니컴체(710)와 시트체(720)를 협지하고, 그 허니컴체(710)의 두께 방향의 한쪽 측면에 시트재(720)를 밀착하고 있다.
이와 같기 때문에, 허니컴체(710)의 한쪽 측면에 시트체(720)를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다.
다음에, 약제 함침체(704a)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704)의 제1 변형예를 도 66∼도 6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용기 본체(740)는 중앙 지지부(741)와 외주 지지부(742)를 복수의 스테이(743)로 일체적으로 연결한 것이며, 그 인접한 스테이(743)와 중앙 지지부(741)와 외주 지지부(742) 사이의 부분이 개구하여 공기의 유통부(744)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 지지부(742)에는 링체(745)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누름체(750)는 링체(745)에 끼워 맞춰지는 링 형상이다.
상기 허니컴체(710)가 전술한 링체(745)에 끼워 넣어져 시트체(720)가 중앙지지부(741), 외주 지지부(742), 스테이(743)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누름체(750)는 링체(745)에 끼워 맞춰 부착되고, 허니컴체(710)의 일측면(710a)에서의 외주연에 접하여 허니컴체(710)와 시트체(720)의 외주연 부분을 협지한다.
상기 중앙 지지부(741)에는 지지면(741a)에 개구한 약액 저장부(746)를 가지며, 그 약액 저장부(746)는 지지면(741a)과 반대 측면(741b)에 형성한 주입구(747)에서 외부로 개구하고 있다.
이와 같으므로, 약제 카트리지(704)(유지 용기(730))를 장치 본체(701)로부터 취출하고, 상하 반전하여 주입구(747)가 상향되도록 적재한다.
그리고, 주입구(747)로부터 약액을 약액 저장부(746) 안에 적하하여 공급함으로써 저장한다.
이것에 의해, 약액이 시트체(72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역에 순차 침투하는 동시에, 시트체(720)로부터 시트체(720)에 밀착한 허니컴체(710)의 면에도 침투하여 허니컴체(710)의 전역에 순차적으로 함침된다.
다음에, 약제 함침체(704a)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704)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69와 도 7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740)의 외주 지지부(742)의 지지면(742a)에 링형의 약액 저장부(746)를 형성하고, 이 약액 저장부(746)를 주입구(747)에서 하면으로 개구한다.
이와 같이하면, 시트체(720)의 외주부에 약액을 공급하고, 그 약액이 중앙부를 향해서 침투한다.
다음에, 약제 함침체(704a)를 포함하는 약제 카트리지(704)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71과 도 7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740)의 중앙 지지부(741)와 외주 지지부(742)에 약액 저장부(746)와 주입구(747)를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하면, 시트체(720)의 중앙부와 외주부에 약액을 각각 공급하여 외주를 향해서 침투하고, 또한 중앙를 향해서 침투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허니컴체(710)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시트체(720)를 허니컴체(710)보다도 위로 하고, 이 시트체(720)의 위에 약액을 직접적으로 공급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트체(720)를 허니컴체(710)보다도 아래로 하고, 그 허니컴체(710)의 상에서 코어(711) 내에 약액을 공급하여 시트체(720)에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8, 도 72에 도시하는 주입구(747)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약액 저장부(746)는 도 68, 도 7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깊게 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도 73과 도 74에 도시하는 제4 변형예와 같이 중앙 지지부(741), 외주 지지부(742)에 얕은 약액 저장부(746)를 형성한다.
그리고, 중앙부의 코어(711)와 외주부의 코어(711)로부터 약액을 시트체(720)의 중앙부와 외주부에 공급한다.
또한, 약제를 공급하는 주입 개소로서, 예컨대, 약액 저장부에 대면하는 누름부 위치에 표시가 되는 링 프레임을 설치하거나 또는 주입 개소를 착색한 코어로 할 수도 있다.
전술한 각 예에서는 약제 함침체(704a)를 그 시트체(720)측이 내기측에서 허니컴체(710)가 외기측이 되도록 설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반대일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하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시트체(720)를 외기측으로 향하게 하고, 허니컴체(710)가 내기측이 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예에서는 약제 함침체(704a)는 허니컴체(710)의 일면에 시트체(720)를 밀착시켰지만, 허니컴체(710)의 양면에 시트체(720)를 각각 밀착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약제 함침체(704a)의 허니컴체(710)에 함침하는 약제로서는 상온, 송풍 등의 조건으로 휘산하는 해충 방제제(살충제, 기피제, 해충 성장제어제, 살비제, 방충성 정유 등), 방향제, 방향 소취제, 소취제, 곰팡이 방지제, 제균제, 해수 기피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로 살충을 목적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종래로부터 이용되고 있는 각종 휘산성 살충제를 이용할 수 있고,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커버메이트계 살충제, 유기인계 살충제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량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고활성의 메트플루트린, 트랜스플루트린, 엠펜트린, 테라레스린, 프로플루트린이 약제 함침체를 얇고, 또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에 약제를 서방화하는 휘산 조정제(바셀린류, 글리콜류 등), 용해 제(파라핀류, 다가알콜류, 지방산에스테르류 등), 산화 방지제(BHT, BHA 등), 인디케이터 기능제(색 변색소 등),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시트체(720)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부직포(천연 섬유, 화학 섬유, 탄소 섬유 등), 수지 네트(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 천(직물, 편물), 초지(펄프, 린터, 합성지 등) 등이 예시되고, 시트 형상, 주름상자 형상, 망 형상, 허니컴 형상, 드래인 보드 형상, 격자 형상 등을 이루는 성형체, 또는 그 형상을 확보하는 수용 형상, 면 형성, 스펀지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에서 기류의 통기성이나 약제의 함유성이 우수한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 함침체(704a)에 약액을 보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양이 표시된 스포이드식 용기, 적량 수용된 앰플 용기, 정량형 용기, 정량 컵 부착 용기 등의 정량 용기, 노즐 용기 등으로 보급량을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하면서 공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급시, 보급 시기를 눈으로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으면 편리하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약제 함침체(704a)의 허니컴체(710)에 함침한 약제가 전부 대기에 방산된 시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35)

  1. 장치 본체와 송풍기와 약제 용기와 전지를 구비한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와 통기부와 전지 수용 오목부를 갖는 일측 본체와, 통기부를 갖는 타측 본체를 힌지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송풍기는 모터로 팬을 회전하도록 하여 이루어지고, 그 모터, 팬이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에 부착되고,
    상기 약제 용기는 상기 송풍기와 상기 타측 본체의 통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는 상기 전지 수용 오목부 내에 착탈 자유롭게 수용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본체의 송풍기 부착용 오목부와 상기 전지 수용 오목부는 평면 방향으로 격리하여 두께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약제 용기는 시트형의 담체에 약제를 함침시킨 약제 함침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행거용의 훅이 걸리는 훅 걸림부와, 행거의 끼워 맞춤부가 끼워 맞춰지는 행거 부착용 구멍을 구비하는 것인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3. 흡기구와 제1 배기구, 제2 배기구를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한 약제 용기, 팬,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용기는 해충 방제 성분을 함침시킨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고,
    상기 모터로 상기 팬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를 상기 약제 용기 내의 약제 함침체에 접촉시켜 상기 제1 배기구, 제2 배기구를 통하여 해충 방제 성분과 함께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 제2 배기구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구멍 형상이며, 상기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상기 제1 배기구를 통하여 위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제2 배기구를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 제2 배기구는 상기 팬과 대향한 내측 입구와 상기 장치 본체의 외면에 개구한 외측 출구를 연통하는 구멍 형상이고,
    상기 구멍 형상은 상기 내측 입구의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연속하는 상기 외측 출구의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류측 안내면, 및
    상기 내측 입구의 하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연속하는 상기 외측 출구의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류측 안내면을 갖고,
    상기 상류측 안내면과 하류측 안내면은 각각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인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제1·제2 배기구와 팬 수용실을 갖는 본체부의 두께 방향 일측부에 흡기구를 갖는 커버부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고, 상기 본체부와 커버부 사이에 상기 팬 수용실에 개구한 약제 수용실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커버부와 반대측의 배면에 개구한 모터 수용실과 전지 수용실을 형성하고,
    상기 모터 수용실에 모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 수용실에 전지를 설치하며, 상기 모터와 전지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한 것인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해충 방제 성분과 함께 공기를 외기 중으로 배출하는 제3 배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배기구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구멍 형상이며, 상기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경사 위 방향 또는 경사 아래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 것인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기구는 팬과 대향한 내측 입구와 상기 장치 본체의 외면에 개구한 외측 출구를 연통하는 구멍 형상이고,
    상기 구멍 형상은 상기 내측 입구의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연속하는 상기 외측 출구의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류측 안내면, 및
    상기 내측 입구의 하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연속하는 상기 외측 출구의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류측 안내면을 갖고,
    상기 상류측 안내면 및 하류측 안내면은 상기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인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가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보조 배기구를 형성하고,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 것인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기구는 상기 제1·제2 배기구 또는 상기 제1·제2·제3 배기구보다도 공기의 공기 유통 저항이 큰 것인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기구는 상기 팬과 대향한 내측 입구와 상기 장치 본체의 외면에 개구한 외측 출구를 연통하는 구멍 형상이고,
    상기 구멍 형상은 상기 내측 입구의 상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연속 하는 상기 외측 출구의 상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류측 안내면, 및
    상기 내측 입구의 하류측 입구 개구 가장자리와 이와 연속하는 상기 외측 출구의 하류측 출구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류측 안내면을 갖고,
    상기 상류측 안내면과 상기 하류측 안내면은 상기 팬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구멍 형상이며,
    상기 보조 배기구의 팬의 회전 방향의 개구 치수는 상기 제1·제2 배기구 또는 상기 제1·제2·제3 배기구의 팬의 회전 방향의 개구 치수보다도 작은 송풍식 해충 방제 장치.
  11. 휘산성 약제를 담는 약제 용기와 송풍기를 구비하여 송풍기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약제 용기로부터 휘산한 약제를 흡입한 공기와 함께 방출구를 통하여 방산하는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와는 별체가 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송풍기의 전원을 구비하는 전원 본체와,
    상기 전원 본체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의 송풍기에 통전하기 위해 상기 장치 본체와 전원 본체에 걸쳐 연결하는 연결 코드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코드는 상기 장치 본체 및/또는 상기 전원 본체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피장착물로의 장착을 가능케하는 장착 수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본체에 피장착물로의 장착을 가능케 하는 장착수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코드에 피장착물로의 장착을 가능케하는 장착 수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16. 시트형으로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동시에, 약제를 함침한 약제 함침체와,
    상기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를 갖고,
    상기 유지 용기는 상기 약제 함침체의 상하면을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와,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와 약제 함침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유지부에 형성한 통기부를 통하여 외부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약제 함침체의 하면과 접하는 부분에 오목 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약제 함침체의 하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유지부에서의 약제 함침체의 상면에 접하는 부분에 통기 구멍을, 상기 오목부와 대향하여 형성함으로써 통기부를 제공하는 것인 약제 카트리지.
  18. 시트형으로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동시에, 약제를 함침한 약제 함침체와,
    용기 본체와 덮개체로 상기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중앙 유지부와 외주 유지부를 복수의 중간 유지부에서 연결하여 공기의 유통부를 형성하며, 상기 중앙 유지부와 외주 유지부와 중간 유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약제 함침체의 하면에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체는 중앙 누름부와 외주 누름부를 복수의 중간 누름부에서 연결하여 공기의 유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누름부와 외주 누름부와 중간 누름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오목부와 대향한 통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체는 착탈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의 공기의 유통부와 상기 덮개체의 공기의 유통부에 걸쳐 공기가 유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중앙 유지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외주 유지부에 환형의 오목부를 형성한 것인 약제 카트리지.
  20. 제18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지부와 중앙 누름부, 상기 외주 유지부와 외주 누름부, 상기 중간 유지부와 중간 누름부가 각각 동일 형상, 크기이고, 공기의 유통부가 서로에 대하여 동일 형상, 크기가 되도록 한 약제 카트리지.
  21.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체에 약제를 함침한 시트 형상의 약제 함침체와, 상기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는 유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용기의 중앙부에 액 저장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액 저장 오목부에 저장한 약액이 상기 시트체의 외주부를 향해서 침투하도록 한 약제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용기의 외주부에 액 저장 오목부를 갖고, 상기 액 저장 오목부에 저장한 약액이 상기 시트체의 중앙부를 향해서 침투하도록 한 약제 카트리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함침체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 용기는 용기 본체와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중앙 지지부와 외주 지지부를 복수의 연결부에서 연결하여 공기의 유통부를 가지며,
    상기 덮개체는 중앙 누름부와 외주 누름부를 복수의 연결부에서 연결하여 공 기의 유통부를 갖고,
    상기 중앙 지지부에 형성한 오목부와 상기 중앙 누름부에 형성한 공급구에서 중앙부의 액 저장 오목부로 하며,
    상기 외주 지지부에 형성한 외주 오목부와 상기 외주 누름부에 형성한 외주 공급구에서 외주부의 액 저장 오목부로 한 것인 약제 카트리지.
  24. 시트 형상의 약제 함침체와, 상기 약제 함침체를 유지한 유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함침체는 시트형으로 흡액성과 통기성을 갖고, 또한 일부분에 고흡액부를 갖은 담체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하여 고흡액부로 한 것인 약제 카트리지.
  26.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편평한 가공 시트재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하고, 상기 가공 시트재의 주연부를 접합하여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유지한 약제 함침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함침체의 주연부를 고정구로 유지한 것인 약제 카트리지.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함침체를 공기의 유통부를 포함하는 용기 내에 설치한 것인 약제 카트리지.
  29.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편평한 가공 시트재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함침체와,
    상기 가공 시트재의 주연부를 협지하여 눌어 찌부러뜨려 주름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유지한 고정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30.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편평한 가공 시트재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함침체와,
    공기의 유통부를 갖는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함침체를 상기 용기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31. 통기성과 흡액성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접음 폭으로 산 모양 접기, 곡 모양 접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 절첩한 주름 형상이며, 또한 통 형상의 가공 시트재에 약제를 함침하여 유지한 약제 함침체와,
    환형의 중공부와 축심의 중공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각 중공부에 공기가 유통하는 형상의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함침체를 상기 용기의 환형의 중공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32. 두께 방향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개구한 다수의 코어를 갖고, 그 두께 방향으로 공기가 유통하도록 한 허니컴체와,
    상기 허니컴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 측면의 전면에 걸쳐 설치한 시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허니컴체와 시트체에 약제가 함침하여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함침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컴체와 시트체를 유지 용기로 유지하여 상기 허니컴체의 측면과 시트체를 밀착한 약제 함침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끼워 맞춰진 누름체로 유지 용기로 하고,
    상기 지지부와 누름체에 의해 상기 허니컴체와 시트체를 협지하여 밀착한 것인 약제 함침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지지부에 시트체와 대향한 약액 저장부와, 상기 약액 저장부에 약액을 공급하는 주입구를 형성한 것인 약제 함침체.
KR1020067013503A 2003-12-25 2004-12-22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약제 카트리지및 약제 함침체 KR20060129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9128 2003-12-25
JP2003429128A JP4634031B2 (ja) 2003-12-25 2003-12-25 送風式薬剤拡散装置
JP2004011929A JP4530402B2 (ja) 2004-01-20 2004-01-20 送風式害虫防除装置
JPJP-P-2004-00011929 2004-01-20
JPJP-P-2004-00124204 2004-04-20
JP2004124204A JP4627628B2 (ja) 2004-04-20 2004-04-20 薬剤カートリッジ
JP2004128463A JP4627629B2 (ja) 2004-04-23 2004-04-23 薬剤カートリッジ
JPJP-P-2004-00128463 2004-04-23
JP2004130590A JP4771449B2 (ja) 2004-04-27 2004-04-27 薬剤含浸体
JPJP-P-2004-00130590 2004-04-27
JP2004132745A JP4627631B2 (ja) 2004-04-28 2004-04-28 送風式薬剤放散装置
JPJP-P-2004-00132745 2004-04-28
JP2004140754A JP4771450B2 (ja) 2004-05-11 2004-05-11 薬剤カートリッジ
JPJP-P-2004-00140754 2004-05-11
JP2004155498A JP4730934B2 (ja) 2004-05-26 2004-05-26 薬剤カートリッジ
JPJP-P-2004-00155498 2004-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245A true KR20060129245A (ko) 2006-12-15

Family

ID=3474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503A KR20060129245A (ko) 2003-12-25 2004-12-22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약제 카트리지및 약제 함침체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5) US7887760B2 (ko)
EP (5) EP1749542B1 (ko)
KR (1) KR20060129245A (ko)
CN (1) CN102077820B (ko)
AR (2) AR047855A1 (ko)
AT (3) ATE503502T1 (ko)
AU (1) AU2004308209A1 (ko)
BR (1) BRPI0417764B1 (ko)
CA (1) CA2548620A1 (ko)
CO (1) CO5700669A2 (ko)
DE (2) DE602004032060D1 (ko)
ES (3) ES2584033T3 (ko)
HK (3) HK1095704A1 (ko)
HU (2) HUE028322T2 (ko)
IL (1) IL176177A0 (ko)
MA (1) MA28397B1 (ko)
MY (2) MY165344A (ko)
PE (1) PE20050816A1 (ko)
SG (1) SG151308A1 (ko)
TW (4) TWI379633B (ko)
WO (1) WO20050630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663B1 (ko) * 2021-07-26 2022-12-14 이지은 방충제 내장형 탈부착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9542B1 (en) * 2003-12-25 2011-03-30 Fumakilla Limited Chemical cartridge comprising a chemical impregnated body for a blower type chemical diffusing apparatus
DE102007007182A1 (de) * 2007-02-14 2008-08-21 Andreas Stihl Ag & Co. Kg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und Schutzelement für ein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JP5305497B2 (ja) * 2007-04-13 2013-10-02 フマキラー株式会社 ファン式害虫防除装置
US7833492B2 (en) * 2007-07-03 2010-11-16 S.C. Johnson & Son, Inc. Wearable chemical dispenser
WO2009092135A1 (en) * 2008-01-21 2009-07-30 Bioscent Technologies Pty Ltd Improved deodorising vapour dispersion system
CN101363612B (zh) * 2008-09-02 2011-01-12 宁波天瑞电器有限公司 驱蚊照明灯
US8602261B2 (en) * 2009-04-23 2013-12-10 S.C. Johnson & Son, Inc. Insect controlling bands
CN102421617A (zh) * 2009-05-12 2012-04-18 宝洁公司 用于挥发性组合物的分配器
US9364574B2 (en) 2009-08-14 2016-06-14 S. C. Johnson & Son, Inc. Wearable chemical dispenser
US8806665B2 (en) * 2009-11-20 2014-08-19 Kenneth Christopher Noble Pest entrapment device and method
JP4625877B1 (ja) * 2010-04-19 2011-02-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送風装置
TWI422748B (zh) * 2010-05-25 2014-01-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扇輪
US8783888B2 (en) 2010-07-20 2014-07-22 Winvic Sales Inc. Flameless candle with fragrance diffusion
JP5752943B2 (ja) * 2011-01-18 2015-07-22 フマキラー株式会社 ファン式薬剤拡散装置
JP5752942B2 (ja) * 2011-01-18 2015-07-22 フマキラー株式会社 薬剤含浸体の製造方法
JP5706170B2 (ja) * 2011-01-18 2015-04-22 フマキラー株式会社 薬剤カートリッジ
US8524158B2 (en) 2011-05-11 2013-09-03 S. C. Johnson & Son, Inc. Wearable chemical dispenser with useful life indicator
EP2754627A4 (en) * 2011-09-06 2015-08-05 Yuyama Mfg Co Ltd DRUG CASSETT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202391757U (zh) * 2011-10-18 2012-08-22 陈家润 手持电风扇
USD732648S1 (en) * 2011-12-15 2015-06-23 Wik Far East Ltd. Vaporizer
JP5768192B2 (ja) 2012-01-03 2015-08-2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携帯型エアロゾル発生装置用の電源システム
US20150110934A1 (en) * 2012-03-02 2015-04-23 Ag Thames Holdings Ltd Dispersal units
US9121638B2 (en) 2012-03-26 2015-09-01 Dri-Eaz Products, Inc. Surface dryers producing uniform exit velocity profi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40091487A1 (en) * 2012-10-02 2014-04-03 David C. Belongia Dispensing System
US9833530B2 (en) * 2012-11-02 2017-12-05 S.C. Johnson & Son, Inc. Volatile material dispenser having a faceplate
US9272062B1 (en) * 2012-12-26 2016-03-01 Brandywine Product Group International Inc. Air freshener and ornament
MX366798B (es) * 2013-01-10 2019-07-24 L & D S A U Ambientador.
USD761950S1 (en) * 2013-07-10 2016-07-19 Dri-Eaz Products, Inc. Air dryer
US9591842B2 (en) * 2013-08-30 2017-03-14 S. C. Johnson & Son, Inc. Passive volatile dispensing device
US9149031B2 (en) 2013-09-13 2015-10-06 S.C. Johnson & Son, Inc. Portable area repellent device
US10378558B2 (en) 2013-09-13 2019-08-13 S.C. Johnson & Son, Inc. Air treatment chemical dispenser having angled dispersion of chemicals
US9327045B2 (en) * 2013-10-22 2016-05-03 American Covers, Inc. Air freshener with porous membrane with leak pad and adjustable opening
US9352062B2 (en) 2013-10-30 2016-05-31 S.C. Johnson & Son, Inc. Wearable chemical dispenser
ITTO20140024U1 (it) * 2014-02-06 2015-08-06 Millefiori S R L Profumatore per autoveicoli
US9681652B2 (en) 2014-02-23 2017-06-20 Trece, Inc. Clasp hanger
US9352064B2 (en) 2014-06-05 2016-05-31 S. C. Johnson & Son, Inc. Wearable chemical dispenser
EP3174561A4 (en) * 2014-07-30 2019-07-24 GPCP IP Holdings LLC AIR FRESH DISPENSERS, CARTRIDGES THEREOF, SYSTEMS AND METHOD
US10124653B2 (en) * 2014-08-19 2018-11-13 Alfred Esses Mobile device holder and air freshener
GB2544032A (en) * 2015-06-29 2017-05-10 Surfaceskins Ltd Liquid or gel delivery devices
WO2018005423A2 (en) * 2016-06-30 2018-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agrance dispenser with user-selectable release rate
US10349647B2 (en) * 2016-10-24 2019-07-16 Dainihon Jochugiku Co., Ltd.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taining volatile chemical
WO2018220059A1 (en) * 2017-05-30 2018-12-06 Firmenich Sa Malodour counteracting and fragrance delivery system
US11986578B2 (en) * 2017-05-30 2024-05-21 Firmenich Sa Malodour counteracting and fragrance delivery system
US10265431B2 (en) 2017-06-08 2019-04-23 Henkel IP & Holding GmbH Volatile diffuser pods and related systems
US10603398B2 (en) * 2017-07-14 2020-03-31 Scentsy, Inc. Portable diffuser and related methods
JP6612925B2 (ja) * 2017-09-29 2019-1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マガジン式充電装置
KR101986622B1 (ko) * 2017-11-27 2019-06-07 이근영 다향 스마트 디퓨저
US11236759B2 (en) 2018-10-29 2022-02-01 Legend Brands, Inc. Contoured fan blad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134672B1 (en) * 2019-03-19 2021-10-05 Ronald D. Warren Bug repellent system
US10765105B1 (en) 2019-09-27 2020-09-08 Proviter Group Oy Device for mosquito repellents
BR112022010950A2 (pt) 2019-12-06 2022-09-06 Johnson & Son Inc S C Dispensador e método de uso do mesmo
US11464882B2 (en) 2020-01-10 2022-10-11 1St Sense Technologies Llc Dry diffuser apparatus and method
US20210228834A1 (en) * 2020-01-26 2021-07-29 Lidia Viana Wearable Apparatus for Producing Vapors of Volatil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5289A (en) * 1945-10-22 1952-02-12 Wallace Stanley Chemical container and package
US3043739A (en) 1958-12-31 1962-07-10 Grace W R & Co Filter element formed of pleated paper
US3343664A (en) * 1966-05-31 1967-09-26 Edward J Poitras Compartmented package
GB1272564A (en) 1968-09-30 1972-05-03 Marshall D A 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 filters
FR1596401A (ko) 1968-12-26 1970-06-15
DE2101367A1 (de) 1970-01-21 1972-01-27 Thuron Industries, Inc., Dallas, Tex. (V.StA.)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insektenvernichtenden Dampfs zur Verwendung bei Tieren
FR2082708A5 (ko) 1970-03-13 1971-12-10 Hellion Gilbert
US4035351A (en) 1972-07-22 1977-07-12 Hoechst Aktiengesellschaft Water-soluble monoazo dyestuff containing a phenylene diazo component
JPS5314329B2 (ko) * 1972-09-20 1978-05-17
GB1460539A (en) * 1973-10-23 1977-01-06 Permtek Dispensing package and cartridge
GB1475004A (en) 1973-11-02 1977-06-01 Permtek Vapour disseminating device
US3964684A (en) * 1975-04-21 1976-06-22 Globol-Werk Gmbh Deodorizing or perfuming assembly
US4035451A (en) * 1976-07-23 1977-07-12 The Risdon Manufacturing Company Cartridge forming part of a system for inducing air flow past a product capable of being vaporized
US4276236A (en) * 1978-04-27 1981-06-30 Risdon Enterprises, Inc. Apparatus for inducing air flow past a product capable of being vaporized
EP0093262A1 (en) 1979-05-10 1983-11-09 Sy Hyman Article for the dispersion of a volatile substance and an article of manufa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said articles
ES279748Y (es) 1984-05-11 1988-05-01 Airwick Ag Dispositivo para proporcionar un producto volatil
US4597781A (en) 1984-11-21 1986-07-01 Donald Spector Compact air purifier unit
US4666638A (en) * 1985-08-27 1987-05-19 Remington Products, Inc. Fragrance device
US4802626A (en) 1986-12-22 1989-02-07 Hunter's Specialties, Inc. Molded scent impregnated devices
JPH01173150A (ja) 1987-12-28 1989-07-07 Nec Corp 非同期的信号の監視方式
US4928881A (en) * 1988-04-01 1990-05-29 Inman Mold Manufacturing Co., Inc. Air freshener
US4857240A (en) * 1988-08-08 1989-08-15 The State Chemical Mfg. Co. Fragrance vapor dispenser mounting bracket
US5250265A (en) * 1988-09-05 1993-10-05 Nippondenso Co., Ltd. Automotive solar-operated deodorizer with solar cell cooling and automated operational control
US5342584A (en) * 1989-09-13 1994-08-30 Ecolab Inc. Air freshener device and cartridge with battery
US5121881A (en) * 1991-01-04 1992-06-16 Reckitt & Colman Inc. Air-freshening liquid container
JPH05219166A (ja) * 1992-02-04 1993-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タンド付き無線機
US5370829A (en) * 1993-10-15 1994-12-06 Waterbury Companies, Inc. Apparatus for inducing air flow past a cartridge containing a vaporizable substance
JPH1094555A (ja) * 1996-07-31 1998-04-14 Shigeyuki Yasuda 携帯用遠赤外線放射型加熱体及びコイン型携帯用遠赤外線放射型加熱体
CN1288971C (zh) * 1997-07-10 2006-12-13 地球制药株式会社 害虫防治装置
US5972213A (en) 1998-04-27 1999-10-26 Golan; Ilan Zadok Liquid filter utilizing pleated disc
ID22612A (id) 1998-05-28 1999-12-02 Sumitomo Chemical Co Metode dan alat untuk mengendalikan hama
FR2782271B1 (fr) * 1998-08-03 2001-05-25 Robert Caussade Sa Diffuseur statique de substances gazeuses
US6224655B1 (en) * 1998-11-03 2001-05-01 Pierre Messier Biostatic air filter
CN2380229Y (zh) * 1999-02-04 2000-05-31 李向东 一种银离子消毒杀菌装置
US6343434B1 (en) * 1999-02-16 2002-02-05 John Michael Petti Pest-activated bait dispensing system
US6346143B1 (en) * 1999-02-25 2002-02-12 Mcgowan Kimberly F. Odor adsorptive filter for refrigerators and freezers
JP4294178B2 (ja) * 1999-10-01 2009-07-08 アース製薬株式会社 害虫防除装置
JP4393651B2 (ja) 2000-01-17 2010-01-06 アース製薬株式会社 薬剤の揮散方法
JP4115643B2 (ja) 2000-01-17 2008-07-09 アース製薬株式会社 携帯用害虫防除装置
JP3071760U (ja) * 2000-03-15 2000-09-22 フマキラー株式会社 電池式害虫防除装置
US6746521B2 (en) * 2000-04-05 2004-06-08 Furnace Fresh, Inc. Fragrant medium container
FR2807973B1 (fr) * 2000-04-21 2002-11-15 Filtrauto Filtre a air d'habitacle de vehicule, vehicule comportant un tel filtre, et procede de fabrication
FR2809994B1 (fr) 2000-06-08 2004-11-12 Valeo Dispositif de filtration destine a equiper un appareil d'aeration et/ou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020037244A1 (en) 2000-09-26 2002-03-28 Toshio Takahashi Air cleaner
JP4790161B2 (ja) 2001-01-29 2011-10-12 フマキラー株式会社 ファン式薬剤拡散装置
IL155477A0 (en) * 2001-01-29 2003-11-23 Fumakilla Ltd Fan type chemical dispersion equipment
US6749672B2 (en) 2001-04-30 2004-06-15 Cathy A. Lynn Scenting device for air flow apparatus
US20020197186A1 (en) * 2001-06-20 2002-12-26 Murray Joseph C. Air treatment devices
US20020197187A1 (en) * 2001-06-20 2002-12-26 Murray Joseph C. Automotive air treatment devices
JP4741753B2 (ja) * 2001-06-28 2011-08-10 住友化学株式会社 害虫防除器
JP3806903B2 (ja) * 2001-07-04 2006-08-09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薬剤揮散装置
JP4863421B2 (ja) 2001-09-28 2012-01-25 フマキラー株式会社 揮散性薬剤の送風放散装置
JP4361263B2 (ja) * 2002-02-07 2009-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エレメント
US6926902B2 (en) * 2002-02-22 2005-08-09 Dainhon Jochugiku Co., Ltd. Insecticide transpiration apparatus
US6758878B2 (en) * 2002-04-10 2004-07-06 Aaf Mcquay, Inc. Thermobondable filter medium and border fr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ATE345040T1 (de) * 2002-04-12 2006-12-15 Dainippon Jochugiku Kk Vorrichtung zum verdampfen von insektizid
JP4123419B2 (ja) 2002-06-27 2008-07-23 フマキラー株式会社 薬剤放散装置
US6991842B2 (en) 2002-11-14 2006-01-31 Marni Hurwitz Scent dispersing mat apparatus
US20040159239A1 (en) 2003-02-14 2004-08-19 Nagem Daniel A. Multi-phase HVAC filtration system
EP1749542B1 (en) 2003-12-25 2011-03-30 Fumakilla Limited Chemical cartridge comprising a chemical impregnated body for a blower type chemical diffusing apparatus
BRPI0822721A2 (pt) * 2008-12-29 2015-07-07 Tomtom Int Bv Dispositivo de navegação e métod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663B1 (ko) * 2021-07-26 2022-12-14 이지은 방충제 내장형 탈부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0827A1 (en) 2011-05-12
TW201234959A (en) 2012-09-01
HUE030254T2 (en) 2017-04-28
HK1095704A1 (en) 2007-05-18
US20110108634A1 (en) 2011-05-12
EP2283875B1 (en) 2016-10-12
CN102077820B (zh) 2013-12-25
HK1156803A1 (en) 2012-06-22
ATE502656T1 (de) 2011-04-15
MY165344A (en) 2018-03-21
MA28397B1 (fr) 2007-01-02
EP2305319A1 (en) 2011-04-06
TWI469734B (zh) 2015-01-21
US7887760B2 (en) 2011-02-15
ES2609730T3 (es) 2017-04-24
EP1749542A2 (en) 2007-02-07
CN102077820A (zh) 2011-06-01
CO5700669A2 (es) 2006-11-30
SG151308A1 (en) 2009-04-30
TW201234960A (en) 2012-09-01
EP1698228B1 (en) 2011-03-23
TWI494059B (zh) 2015-08-01
EP1698228A1 (en) 2006-09-06
HUE028322T2 (en) 2016-12-28
TWI379633B (en) 2012-12-21
US8435450B2 (en) 2013-05-07
IL176177A0 (en) 2006-10-05
AR047855A1 (es) 2006-03-01
US8367011B2 (en) 2013-02-05
CA2548620A1 (en) 2005-07-14
TWI379634B (ko) 2012-12-21
BRPI0417764B1 (pt) 2016-05-10
DE602004032060D1 (de) 2011-05-12
PE20050816A1 (es) 2005-10-04
BRPI0417764A (pt) 2007-04-17
US8449828B2 (en) 2013-05-28
TW200524528A (en) 2005-08-01
DE602004031977D1 (de) 2011-05-05
EP2305319B1 (en) 2016-05-18
MY180446A (en) 2020-11-28
EP1698228A4 (en) 2007-08-01
US20110108633A1 (en) 2011-05-12
AU2004308209A1 (en) 2005-07-14
ES2386765T3 (es) 2012-08-29
EP1749542A3 (en) 2007-08-15
EP2283875A1 (en) 2011-02-16
HK1135281A1 (en) 2010-06-04
US8551409B2 (en) 2013-10-08
AR057822A2 (es) 2007-12-19
EP2281582B1 (en) 2012-05-09
TW201110879A (en) 2011-04-01
ES2584033T3 (es) 2016-09-23
ATE503502T1 (de) 2011-04-15
EP1749542B1 (en) 2011-03-30
EP2281582A1 (en) 2011-02-09
ATE556725T1 (de) 2012-05-15
US20110116977A1 (en) 2011-05-19
WO2005063013A1 (ja) 2005-07-14
US20070183940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9245A (ko) 송풍식 약제 방산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약제 카트리지및 약제 함침체
ES2683093T3 (es) Aparato de difusión de productos químicos de tipo ventilador
CN1897809B (zh) 送风式药剂放散装置以及它所使用的药剂盒以及药剂含浸体
JP4771450B2 (ja) 薬剤カートリッジ
JP4627628B2 (ja) 薬剤カートリッジ
MXPA06007268A (es) Aparato difusor de productos quimicos de tipo soplador, y cartucho de productos quimicos y cuerpo impregnado con roductos quimicos usado para el mismo
JP4337977B2 (ja) ファン式薬剤放散装置
JP2019041581A (ja) 薬剤揮散容器及び薬剤揮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