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916A -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916A
KR20060127916A KR1020067015023A KR20067015023A KR20060127916A KR 20060127916 A KR20060127916 A KR 20060127916A KR 1020067015023 A KR1020067015023 A KR 1020067015023A KR 20067015023 A KR20067015023 A KR 20067015023A KR 20060127916 A KR20060127916 A KR 20060127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composition
tocopherol
thickening gel
oily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시 요네다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c)토코페롤 화합물 및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정화된 유성 증점겔 조성물, (2)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및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에 (c)토코페롤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능 개선방법, 및 (3) 상기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METHOD FOR STABILIZING OIL-BASED THICKENING GEL COMPOSITION}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35 U.S.C. §111(b)의 조항하에 2004년 2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543,400호의 이익을 35 U.S.C. §119(e)(1)에 따라 주장하는 35 U.S.C. §111(a)의 규정하에 출원된 출원이다.
본 발명은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개선시기는 방법, 상기 방법으로 안정화된 유성 증점겔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유성 겔 조성물을 얻는 방법으로서, 액상 유성 성분을 무수 실릭산과 혼합하는 방법, 금속비누와 혼합하는 방법, 다가알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혼합하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소62-53910호 공보(관련 문헌 : 미국특허 제4767625호 공보)에는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분자내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수용성재료, 유성 성분 및 물로부터 얻어지는 액상-결정형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3-141212호 공보에는 저극성유, 금속비누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비수성 졸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6-48921호 공 보(미국 특허 제5380455호 공보)에는 플루오로폴리머 및 액상유를 함유하는 클렌징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9-255520호 공보에는 40~70질량%의 다가알콜, 10~50질량%의 비극성 또는 저극성 성분 및 1~30질량%의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비수성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10-139627호 공보(미국특허 제5928657호 공보)에는 지방상, 5~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탄수화물지방 에스테르 및 다가알콜을 함유하는 투명 겔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0-26238호 공보에는 디글리세린 테트라올레이트 및 16~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이소파라핀을 함유하는 젤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0-229816호 공보에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중질 액상 파라핀 및 실온에서 액상인 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고형, 비수성 유성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0-239123호 공보에는 12~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불포화 또는 분기 알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유성 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무수 실릭산, 금속비누,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들 성분은 겔화를 위해 다량으로 혼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피부에 대한 발림성이 열등하고, 몇몇의 사용자들은 피부자극으로 고통받을 수 있고, 적은 유성 성분은 액상 클렌징유와 비교하여 열등한 클렌징 특성을 초래할 수 있는 등의 문제를 수반한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겔이 쉽게 붕괴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불충분하다. 따라서, 종래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 모두 만족스럽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물 및/또는 다가알콜 및 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상기 발견을 일본특허공개 제2003-176211호 공보에 개시하였다.
그러나, 기술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유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충분한 보존 안정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자극이 매우 적고, 다량의 유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클렌징 화장품, 수분 화장품 등에 적합한 유성 증점겔 조성물, 특히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함유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의 안정화 방법, 상기 방법으로 안정화된 유성 증점겔 조성물 및 안정한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결과적으로 (c)토코페롤 화합물이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및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에 첨가된 경우에, 보존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발견에 의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사항에 관한 것이다.
1.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c)토코페롤 화합물 및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2. 1에 있어서, 상기 (c)토코페롤 화합물의 첨가량은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은 0.01~5질량%이고,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의 양은 0.01~70질량%이고, 또한 (d)유성 성분의 양은 30~99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4. 1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는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1
여기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또한 R은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노말 알킬기,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이소알킬기 또는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안테이소알킬기, 그것의 동족체, 및/또는 그 염을 나타낸다.
5. 4에 있어서, 상기 X는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6. 4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7. 1에 있어서, 상기 (d)유성 성분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8. 1에 있어서, 상기 (c)토코페롤 화합물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9. 1에 있어서, 상기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물티톨,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글루코스, 사카로스, 프룩토스, 락토스, 말토스, 자일로스 및 트레할로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10. 9에 있어서, 상기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및/또는 소르비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11.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및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에 (c)토코페롤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2. 11에 있어서, 상기 (c)토코페롤 화합물의 첨가량은 0.01~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3.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0.01~5질량%의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0.01~70질량%의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및 30~99질량%의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4. 11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는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2
여기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또한 R은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노말 알킬기,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이소알킬기 또는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안테이소알킬기, 그것의 동족체, 및/또는 그 염을 나타낸다.
15. 14에 있어서, 상기 X는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6. 14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7. 11에 있어서, 상기 유성 성분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8. 11에 있어서, 상기 (c)토코페롤 화합물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9. 1~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토코페롤 화합물(c)은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3
여기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3는 수소원자 또는 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또는 이들 화합물의 2종 이상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나타낸다. 이들 중에서, α-토코페롤(R1=메틸기, R2=메틸기 및 R3=수소원자), β-토코페롤(R1=메틸기, R2=H 및 R3=수소원자), γ-토코페롤(R1=수소원자, R2=메틸기 및 R3=수소원자), δ-토코페롤(R1=수소원자, R2=수소원자 및 R3=H), 및 그 에스테르인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숙시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α-토코페롤 및 δ-토코페롤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코페롤은 d-이성질체, l-이성질체 또는 dl-이성질체이어도 좋고,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 그 예로는 서팩틴의 염 및 그것의 동족체의 염이 열거된다.
여기서 서팩틴은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의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4
일반식(1)에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X는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R은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노말 알킬기,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이소알킬기 또는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안테이소알킬기를 나타낸다. 노말 알킬기는 선형 알킬기이고, 이소알킬기는 통상적으로 (CH3)2CH-(CH2)n-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또한 안테이소알킬기는 CH3-CH2-CH(CH3)-(CH2)n-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서팩틴의 동족체는 상기 일반식(1)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된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 두번째 아미노산으로서 L-류신, 네번째 아미노산으로서 L-발린 및/또는 여섯번째 아미노산으로서 D-류신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된 화합물이 예로서 언급된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서팩틴 또는 그것의 동족체"는 간략하게 "서팩틴"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서팩틴은 통상적으로 원핵생물로부터 제조된다. 원핵생물으로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IAM 1213주, IAM 1069주, IAM 1259주, IAM 1260주, IFO 3035주 및 ATCC 21332주와 같은 바실루스속에 속하는 미생물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서팩틴은 미생물의 배양 및 정제를 행하여 쉽게 얻을 수 있다. 정제는, 예컨대, 염산 등의 첨가를 통해 배양용액을 산성화하고, 침전된 서팩틴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메탄올과 같은 유기용제에 그 서팩틴을 용해한 다음, 한외여과, 활성탄 처리, 결정화 등을 필요에 따라 행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 진다.
산첨가에 의한 침전은 칼슘염(Biochem. Bioph. Res. Commun., 31: 488-494 (1968))의 첨가에 의한 침전으로 바꾸어도 좋다.
서팩틴으로서, 바실루스속의 미생물과 같은 원핵생물로부터 제조되는 서팩틴 이외에, 다른 방법, 예컨대, 화학합성법으로 얻은 서팩틴도 사용할 수 있다.
서팩틴은, 일반식(1)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무기염 또는 유기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반대이온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의 종류는 금속이 서팩틴과 염을 형성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그 예로는 나트륨, 칼륨 및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 칼슘 및 마그네슘과 같은 알칼리토금속 등이 열거된다.
유기염의 예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리신, 아르기닌, 콜린 등이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 나트륨, 칼륨,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리신 및 아르기닌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서팩틴의 나트륨염에 대해서는, 나트륨 서팩틴으로서 Showa Denko K.K. 에 의해 Aminofect(등록상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서팩틴, 그것의 동족체 및/또는 그 염과 같이 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는 피부에 매우 저자극이다. 이러한 서팩틴의 저자극성은, 그것의 동족체 및/또는 그 염이 복잡하고 벌크한 환상 화합물 구조에 기인하여 피부에 대한 침투성의 감소에 의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더욱이, 서팩틴, 그것의 동족체 및/또는 그 염은 피부자극성 물질을 차단하여 피부자극을 감소시키는 마스크 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자극이 매우 적은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에 특별한 제한을 부여하지 않는다. 0.01~5질량%가 바람직하고, 0.1~2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01질량% 미만이면, 겔화가 만족스럽게 진행되지 않는다. 5질량%를 초과한 양으로 사용하면, 오히려 안정성이 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에 특별한 제한을 부여하지 않고,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면 어느 다가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가알콜의 예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글루코스, 사카로스, 프룩토스, 락토스, 말토스, 자일로스, 트레할로스 등이 열거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글리세린 및 소르비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 내의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의 함유량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70질량%가 바람직하고, 0.05~39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36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01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안정성을 얻을 수 없다. 70질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되면, 유성 성분의 함유량이 불충분해져서, 조성물이 겔 형태를 가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이 물을 함유하는 경우에, 낮은 점도를 갖는 겔을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이 화장료의 겔 재료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화장료의 사용감이 개선될 수 있다.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유성상과 수성상의 조합은 투명한 외관을 갖는 겔을 제공할 수 있어 의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성 성분(d)은 특히 제한하지 않고, 통상 화장료에 사용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1atm, 25℃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재료가 바람직하고, 액상유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상유로서 탄화수소, 고급 알콜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실리콘유, 동식물유,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 에테르 등이 열거된다. 그 바람직한 예로는 스쿠알렌, 합성 스쿠알렌, 식물성 스쿠알렌, 액상 이소파라핀, 액상 파라핀, 미네랄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참깨유, 미강유, 쌀유, 쌀 배아유, 콘유, 홍화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살구씨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고올레산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면실유, 야자유, 수소화 야자유, 우지, 경화유, 마유, 밍크유, 난황유, 난황지방유, 장미유, 쿠쿠이넛유, 달맞이꽃유, 밀배아유, 땅콩유, 동백유, 애기동백유, 마카다미아유, 메도폼시드유,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에틸 올레이트, 에틸 리놀레이트, 이소프로필 리놀레이트, 세틸 카프릴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옥틸 미리스테이트, 데실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레이트, 올레일 올레이트, 세틸 리시놀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라우레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데실 올레이트, 옥틸도데실 올레이트, 옥틸도데실 리시놀레이트, 에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올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카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테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세틸 옥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펠라르고네이트, 헥실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옥틸도데실 락테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옥틸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트리옥틸도데실 시트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에틸헥실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헵틸운데실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옥틸 세바케이트, 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폴리옥시프로필렌 (1) 세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폴리옥시프로필렌 (1) 이소세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옥틸 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소르비톨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소르비톨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소르비톨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소르비톨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소르비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소르비톨 헥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헥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소르비톨 펜타올레이트, 클로브유, 오렌지유, 오렌지껍질유, 디카프릴 카보네이트,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디엔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중합성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아옥시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알콜-변성 실록산, 알킬-변성 실리콘, 아미노-변성 실리콘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안정화 방법은 특히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즉, 폴리옥시에틸렌 (3)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세에틸렌 소르비톨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소르비톨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소르비톨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소르비톨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소르비톨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소르비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소르비톨 헥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헥사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40) 소르비톨 펜타올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 내의 (d)유성 성분의 함유량은 30~99질량%이고, 50~9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겔이 제공되지 않고, 99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흡수제는 통상적으로 선스크린 제품 등에 사용되고, 피부에 자외선의 유해 활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외선 A파, 자외선 B파 또는 이들 모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재료를 의미한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는 글리세릴 p-아미노벤조에이트, 아밀 p-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및 2-에틸헥실 p-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와 같은 p-아미노벤조산 및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메틸 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 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칼륨 p-메톡시신나메이트, 나트륨 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 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 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에틸 p-에톡시신나메이트와 같은 신남산 유도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나트륨,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나트륨과 같은 벤조페논 유도체; 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및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와 같은 살리실산 유도체; 2-(2'-하이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이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 실온에서 고체인 화합물은 액상유에 용해되거나 분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화합물은 그 자체를 액상유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액상유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액상유로서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 중에서,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의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용액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및 향료를 함유하여도 좋다. 실온에서 고체인 재료는 액상유에 용해되거나 분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재료는 그 자체를 액상유로서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다른 액상유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사용될 수 있는 산화방지제의 예로는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비타민 A(예컨대, 레틴산, 레틴산 에스테르, 레티놀 및 레티노이드)가 열거된다.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예컨대,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b)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및/또는 물에 용해하고, 소량의 (d)유성 성분을 교반하며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가알콜 및 물을 병용하는 경우에, 물은 유성 성분의 첨가 후에 첨가하여도 좋다.
유성 성분(d)은 소정량으로 첨가(분할첨가)하여도 또는 연속적으로 첨가(연속첨가)하여도 좋다.
분할첨가의 경우에, 첨가되는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의 양을 기준으로 6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를 한번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한다. 첨가 및 교반을 포함하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그 필요한 양을 첨가한다.
연속첨가의 경우에, 첨가속도는 첨가되는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의 양을 기준으로 60질량%/분 이하이고, 30질량%/분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분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을 첨가하는 경우에, 다른 성분을 (d)유성 성분의 첨가 전에 첨가하는 방법, 다른 성분을 (d)유성 성분에 용해 또는 분산 상태로 첨가하는 방법, 다른 성분을 (d)유성 성분 전량의 첨가 후에 첨가하는 방법 및 다른 성분을 (d)유성 성분을 첨가하는 동안 첨가하는 방법 중에서 어느 방법으로 첨가하여도 좋다.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은 그 전량을 초기에 첨가해도, 또는 그 첨가량의 일부를 초기에 첨가하고 잔량을 나중에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크림 및 로션과 같은 화장료에 적합한 에멀젼 조성물은 물을 유성 증점겔 조성물에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사용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그 얻어진 에멀젼 조성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투명한 외관을 갖는 조성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은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채운 직경 30mm의 투명 바이알의 반대쪽에 놓인 신문의 문자를 유리병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투명한 외관을 갖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그 안에 함유된 유성상 및 수성상의 굴절률 nD 20을 JIS K 0062법으로 측정하는 경우에, 이들 상의 nD 20 차가 0.01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5 미만이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화장료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크림, 로션, 클렌징젤 및 클렌징크림과 같은 기초 화장품; 파운데이션, 아이섀도우, 립컬러 및 립글로스와 같은 메이크업 화장품; 헤어크림, 스타일링젤 및 헤어왁스와 같은 헤어 화장품; 샴푸, 린스, 핸드소프, 바디소프 및 페이스 워시폼과 같은 세정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장료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유성 증점겔 조성물이 화장료에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하는 임의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예로는 바셀린 및 미세결정 왁스와 같은 탄화수소;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및 올리브유와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실리콘유; 세탄올 및 베헤닐 알콜과 같은 고급 알콜,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린, 1,3-부탄디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알콜;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콜과 같은 저급 알콜;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연화제, 유화제, 가용화제, 항염증제, 휴멕턴트, 방부제, 살균제, pH 조정제, 색소, 향료, 파우더, 물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기존의 화장료의 원료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농도로 더 함유해도 좋다. 예컨대, Keshohin Genryo Kijun Dainihan Chukai, Nihon Koteisho Kyokai 편집, 1984(Yakuji Nipposha), Keshohin Genryo Kijungai Seibun Kikaku, Inspection Section 감수,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3(Yakusi Nipposha), Keshohin Genryo Kijungai Seibun Kikaku Tsuiho, Inspection Section 감수,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3(Yakusi Nipposha), Keshohin Shubetsu Kyoka Kijun, Inspection Section 감수,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3(Yakusi Nipposha), Keshohin Genryo Jiten, 1991(Nikko Chemicals) 등에 기재된 화장료의 모든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알콜은 임의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 스테아르산 및 베헤닐 알콜이 바람직하다. 그 함유량은 화장료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10질량%가 바람직하고, 0.1~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자극이 없고, 클렌징 화장품, 휴멕턴트, 크림, 로션 등으로서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기재된 글리세린으로서는, 98질량% 이상의 농도를 갖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나트륨 서팩틴으로서, Showa Denko K.K. 제품인 Aminofect(등록상표)를 사용하였다. "%"는 질량%이다.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14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14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하기 공정에 따라 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나트륨 서팩틴), 다가알콜(글리세린), 유성 성분(폴리옥시에틸렌 (2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이트, 스쿠알렌,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글리세린 트리(카프릴·카프레이트)), 토코페롤 화합물(α-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물을 표1에 나타낸 혼합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공정:
나트륨 서팩틴을 글리세린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물을 제외한 성분들을 소량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균일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또한, 물을 첨가하고, 그 얻어진 혼합물을 균일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보존 안정성 시험을 얻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보존 안정성 시험에 있어서, 시료를 유리병에 넣고, 50℃에서 1주 및 2달 동안 방치하였다. 그 다음, 상태를 관찰하였다. 분리 등의 변화가 관찰된 상태를 "×"로 표시하고,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상태를 "○"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5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6
표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성 증점겔 조성물(실시예 1~14)는 보존 안정성에서 비교예 1~14에 비하여 뛰어났다.
실시예 15: 클렌징 화장품
클렌징 화장품을 표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하기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공정:
나트륨 서팩틴을 글리세린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물을 제외한 성분들을 소량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균일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또한, 물을 첨가하고, 그 얻어진 혼합물을 균일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7
보존 안정성 시험을 얻어진 클렌징 화장료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얻어진 클렌징 화장품은 자극이 없고, 사용감이 부드럽고, 클렌징성 및 헹굼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16: 수분 화장품
수분 화장품을 표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하기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공정:
나트륨 서팩틴을 글리세린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물을 제외한 성분들을 소량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균일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또한, 물을 첨가하고, 그 얻어진 혼합물을 균일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8
보존 안정성 시험을 얻어진 수분 화장료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얻어진 수분 화장품은 자극이 없고, 사용감이 부드럽고, 보습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월등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그 조성물을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피부자극이 매우 적고, 또한 사용감이 우수하다. 수분 화장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습성이 우수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고, 클렌징 화장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클렌징성 및 헹굼성이 양호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c)토코페롤 화합물 및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토코페롤 화합물의 첨가량은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은 0.01~5질량%이고,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의 양은 0.01~70질량%이고, 또한 (d)유성 성분의 양은 30~99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Figure 112006053292506-PCT00009
    (여기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또한 R은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노말 알킬기,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이소알킬기 또는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안테이소알킬기, 그것의 동족체, 및/또는 그 염을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X는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유성 성분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토코페롤 화합물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물티톨,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글루코스, 사카로스, 프룩토스, 락토스, 말토스, 자일로스 및 트레할로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및/또는 소르비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
  11.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및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에 (c)토코페롤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토코페롤 화합물의 첨가량은 0.01~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증점겔 조성물은 0.01~5질량%의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0.01~70질량%의 (b)물 및/또는 3가 이상의 원자가를 갖는 다가알콜, 및 30~99질량%의 (d)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Figure 112006053292506-PCT00010
    (여기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또한 R은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노말 알킬기,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이소알킬기 또는 8~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안테이소알킬기, 그것의 동족체, 및/또는 그 염을 나타낸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X는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리포펩티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성분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토코페롤 화합물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개선방법.
  19.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유성 증점겔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20067015023A 2004-02-06 2005-01-28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KR20060127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1145 2004-02-06
JP2004031145 2004-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916A true KR20060127916A (ko) 2006-12-13

Family

ID=3773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023A KR20060127916A (ko) 2004-02-06 2005-01-28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127916A (ko)
TW (1) TW2005365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921A (ko) * 2016-04-11 2018-12-05 사보 에스.피.에이.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WO2019045515A1 (ko) * 2017-09-01 2019-03-0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고함량 오일 내상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14518443A (zh) * 2020-11-20 2022-05-2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稠油胶体稳定性评价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3904A (zh) * 2017-12-11 2018-06-05 上海乐宝日化股份有限公司 透明精油凝胶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921A (ko) * 2016-04-11 2018-12-05 사보 에스.피.에이.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WO2019045515A1 (ko) * 2017-09-01 2019-03-0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고함량 오일 내상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14518443A (zh) * 2020-11-20 2022-05-2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稠油胶体稳定性评价方法
CN114518443B (zh) * 2020-11-20 2024-05-1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稠油胶体稳定性评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6561A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7635B1 (en) Oil-in-water type emulsion composition
US7569231B2 (en) Method for stabilizing oil-based thickening gel composition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JP2009242340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3894064B2 (ja)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法
JP2006282632A (ja) 固形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5002434B2 (ja) 乳化型浴用剤組成物
US20040219125A1 (en) Oily thickened gel-like composition, emulsified composition using th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5939466B2 (ja) 化粧料組成物
KR20060127916A (ko) 유성 증점겔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JP2007223938A (ja) 乳化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組成物
JP2007238488A (ja) 乳化型皮膚外用剤
JP2023055499A (ja) 化粧料用組成物
JP2005247838A (ja)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の安定化方法
WO2013021775A1 (ja) 液状皮膚外用剤組成物
JP6715396B1 (ja) 化粧料用組成物
KR20220118489A (ko) 5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비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상을 포함하는 2-상 조성물
JP2003055128A (ja) 透明化粧料組成物
JP2005314258A (ja) 固形状油中水型化粧料
JP5995453B2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137500A1 (ja) メラニン色素排出用組成物
JP2009155225A (ja) 油分含有化粧料組成物
WO201506687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urfactants and hydrophilic active ingredients
JP2015193622A (ja) 透明油性化粧料
JP7470237B1 (ja) クレンジングウォ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