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360A - 착탈식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착탈식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360A
KR20060126360A KR1020060044922A KR20060044922A KR20060126360A KR 20060126360 A KR20060126360 A KR 20060126360A KR 1020060044922 A KR1020060044922 A KR 1020060044922A KR 20060044922 A KR20060044922 A KR 20060044922A KR 20060126360 A KR20060126360 A KR 20060126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se member
engagement
bas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조우 카사이
하루오 카와노
마코토 후쿠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3722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68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3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35267A/ja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3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back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Abstract

착탈식 차일드 시트는, 베이스 부재(30)와, 이 베이스 부재(30)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석 본체와,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와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하는 상부 로크 기구(60)와, 베이스 부재(30)의 저벽부와 좌석 본체의 좌부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하는 하부 로크 기구(70)와, 상부 로크 기구(60) 및 하부 로크 기구(70)를 연결하고, 양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 및 로크 해제 상태를 동기시키는 동기 기구를 구비한다.
착탈식 차일드 시트

Description

착탈식 차일드 시트{REMOVABLE SEAT FOR CHILDRE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착탈식 차일드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베이스 부재의 정면도.
도 3은 좌석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좌석 본체의 저면도.
도 5는 좌석 본체를 앞을 향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상에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6은 좌석 본체를 뒤를 향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상에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7은 좌석 본체를 옆을 향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상에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8은 차에 배치하고 있는 시트 벨트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베이스 부재의 윤곽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의 배면 상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베이스 부재의 윗면 및 좌석 본체의 저면을 나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베이스 부재의 프레임 구조체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베이스 부재의 프레임 구조체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프레임 구조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좌석 본체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프레임 구조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좌석 본체의 후방 계합 로드를 하방으로 압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프레임 구조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좌석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프레임 구조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좌석 본체에 대한 로크를 해제 조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프레임 구조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후방 계합 로드가 상방으로 압상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베이스 부재의 입벽부의 상방단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20은 스토퍼 부재의 상방단 부분이 후방 받이금구 내로 들어가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해적 단면도.
도 21은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
도 22는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프레임 구조체의 측면도.
도 23은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프레임 구조체의 배면도.
도 24는 제 2 벨트 안내부재를 부착한 금속제 띠재의 평면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좌석 본체와 베이스 부재가 착탈 가능한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본원과 동일한 출원인은, 특개평10-250426호 공보에, 차일드 시트를 개시하였다. 이 공보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한다. 선회 가능한 좌석 본체는, 차(車)의 좌석상에서, 필요에 응하여 앞을 향하여, 뒤를 향하여 및 옆을 향하여 위치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회식의 차일드 시트의 경우, 차의 좌석상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의 위에서 좌석 본체가 선회하는 것이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는 좌석 본체의 선회를 허용할 수 있는 만큼의 크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그 때문에, 차일드 시트를 어쩔수 없이 대형화하게 된다.
차일드 시트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차일드 시트의 한 예가, 특개2000-3019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서도, 좌석 본체는, 필요에 응하여, 베이스 부재상에서 앞을 향하여, 뒤를 향하여 및 옆을 향하여 위치 결정된다.
특개2000-301969호 공보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의 경우, 베이스 부재에는 좌석 본체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계합부가 4개소에 형성되고, 좌석 본체에는 좌부의 하면측에 상기한 부착 계합부에 계합(係合) 가능한 핀 부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특개2000-301969호 공보에 개시된 좌석 본체와 베이스 부재와의 연결 고정 구조는, 매우 복잡하여, 보다 심플한 구조가 요망된다.
또한, 착탈식 차일드 시트의 경우, 좌석 본체와 베이스 부재를 확실하며 또한 강고하게 연결 고정할 것이 필요하다. 또한, 예측하지 않은 사태가 일어나도, 좌석 본체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석 본체와 베이스 부재를 확실하며 또한 강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력 흡수 성능에 우수한 착탈식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차일드 시트는, 베이스 부재와, 좌석 본체와, 상부 로크 기구와, 하부 로크 기구와, 동기(同期) 기구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는, 저벽부 및 이 저벽부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세워 늘어나는 입벽부를 갖는다. 좌석 본체는, 좌부 및 등받이부를 가지며, 베이스 부재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부 로크 기구는, 베이스 부재의 입벽부와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를 계탈(係脫) 가능하게 로크한다. 하부 로크 기구는, 베이스 부재의 저벽부와 좌석 본체의 좌부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한다. 동기 기구는, 상부 로크 기구 및 하부 로크 기구를 연결하고, 양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 및 로크 해제 상태를 동기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좌석 본체와 베이스 부재를 상하의 로크 기구에 의해 강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하의 로크 기구의 동작은, 동기 기구에 의 해 동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고정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로크 기구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베이스 부재의 입벽부에 지지된 승강 부재와, 상방 위치에 가져온 승강 부재에 계합할 수 있도록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 배면에 마련된 피계합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동기 기구는, 승강 부재와 하부 로크 기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로크 기구는, 승강 부재를 상방 위치에 가져오도록 가세하는 가세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로크 기구는, 베이스 부재의 저벽부에 마련된 받이금구(受金具)와, 받이금구에 받아들여저서 계합하도록 좌석 본체의 좌부의 저면에 마련된 계합 로드와, 받이금구와 계합 로드의 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로크하도록 베이스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 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동기 기구는, 로크 부재와 상부 로크 기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로크 기구는, 로크 부재를 계합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동기 기구는, 로크 부재에 맞닿아서 로크 부재의 계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상방 위치와, 받이금구 내로 받아들여진 계합 로드에 의해 하방으로 압하되어 로크 부재의 계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하방 위치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에 지지된 스토퍼 부재와, 이 스토퍼 부재를 상방을 향하여 가세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동기 기구는, 로크 부재를 로크 해제 위치에 가져오도록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로크 기구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베이스 부재의 입벽부에 지지된 승강 부재와, 상방 위치에 가져온 승강 부재에 계합할 수 있도록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 배면에 마련된 피계합부재를 포함한다. 하부 로크 기구는, 베이스 부재의 저벽부에 마련된 받이금구와, 받이금구에 받아들여저서 계합하도록 좌석 본체의 좌부의 저면에 마련된 계합 로드와, 받이금구와 계합 로드와의 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로크하도록 베이스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 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동기 기구는, 승강 부재와 로크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에는, 전방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연재(延在)되는 베이스측 전방 계합 부재와, 후방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연재되는 베이스측 후방 계합 부재가 마련된다. 좌석 본체의 저면에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변에 따라 늘어나고, 베이스측 전방 계합 부재 및 베이스측 후방 계합 부재에 계합하는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변에 따라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 본체를 앞을 향한, 뒤를 향한, 옆을 향한 어느 상태로서도,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와 베이스측 계합 부재를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로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연결 고정 구조를 다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측 전방 계합 부재는, 폭방향으로 떨어저서 위치하는 2개의 전방 받이금구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측 후방 계합 부재는, 폭방향으로 떨어저서 위치하는 2개의 후방 받이금구를 포함한다.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는, 전방에 위치하여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전방 계합 로드와, 후방에 위치하여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후방 계합 로드와, 양 측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방 계합 로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상에 앞을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전방 계합 로드 및 후방 계합 로드가, 각각, 전방 받이금구 및 후방 받이금구에 계합한다.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상에서 뒤를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후방 계합 로드 및 전방 계합 로드가, 각각, 전방 받이금구 및 후방 받이금구에 계합한다.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상에서 옆을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한 쌍의 측방 계합 로드가, 각각, 전방 받이금구 및 후방 받이금구에 계합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로크 기구는, 베이스측 전방 계합 부재 및 베이스측 후방 계합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는, 강성이 있는 프레임 구조체와, 차에 배치하고 있는 허리 벨트를 통과시키도록 프레임 구조체의 양 측부상에 마련된 한 쌍의 제 1 벨트 안내부재와, 양단이 프레임 구조체에 연결된 금속제의 띠재(帶材)와, 한 쌍의 안내부재의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허리 벨트를 통과시키도록 금속제 띠재에 고정된 한 쌍의 제 2 벨트 안내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2 벨트 안내부재에 충격 하중이 가하여지면, 금속제 띠재가 구부러저서 소성(塑性) 변형한다. 이와 같이 금속제 띠재가 소성 변형함에 의해, 베이스 부재에 가하여지는 충격 하중을 어느 정도 흡수하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에 착좌한 아이에게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제 2 벨트 안내부재는, U자형상의 금속제 후크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구조체는, 양 측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L자형상의 금속제 봉형상 부재와, 각 봉형상 부재에 고정된 한 쌍의 금속제 측판을 포함한다. 제 1 벨트 안내부재는, 각 금속제 측판상에 고정된다. 금속제 띠재는, 그 양단이 한 쌍의 금속제 측판에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는, 그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저면 내로 후퇴하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경사 조정 부재를 구비한다. 경사 조정 부재는,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착탈식 차일드 시트를 도시하고 있다. 차일드 시트(1)는, 좌석 본체(10)와, 베이스 부재(30)를 구비한다. 좌석 본체(10)는, 베이스 부재(30)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및 도 5는, 좌석 본체(10)를 베이스 부재(30)상에 앞을 향하여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좌석 본체(10)를 베이스 부재(30)상에 뒤를 향하여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은, 좌석 본체(10)를 누인 상태로 하여, 베이스 부재(30)상에 옆을 향하여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좌석 본체(10)는, 좌부(11)와, 이 좌부(11)에 대해 후경(後傾)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등받이부(12)를 갖는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앞을 향한 부착 상태에서는, 등받이부(12)를 최소 후경 각도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열을 향한 부착 상태에서는, 등받이부(12)를 최대 후경 각도에 하여, 베드형상의 형태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뒤를 향한 부착 상태에서는, 등받이부(12)를 중간 후경 각도로 한다.
도 2는, 베이스 부재(3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는, 좌석 본체(10)의 좌부(11)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저벽부(31)와, 저벽부(3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세워 늘어나는 입벽부(32)를 갖는다.
저벽부(31)상에는, 좌석 본체(10)를 마련하기 위한 2개의 전방 받이금구(38) 및 2개의 후방 받이금구(39)가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전방 받이금구(38)는, 저벽부(31)의 전방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연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후방 받이금구(39)는, 저벽부(31)의 후방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연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방 받이금구(38)는, 그 후단(後端)부터 전방을 향하여 패여진 계합 오목부를 갖고 있다. 후방 받이금구(39)는, 하방을 향하여 패여진 계합 오목부을 갖고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전방 받이금구(38) 및 2개의 후방 받이금구(39)는, 각각, 폭방향으로 떨어저서 위치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전방 및 후방의 받이금구를 각각 1개로 하고 그것들을 폭방향으로 길게 늘리도록 하여도 좋다.
베이스 부재(30)의 저벽부(31)의 전방단에는, 좌석 본체(10)와 베이스 부 재(30)와의 연결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40)의 일부가 노출하여 있다. 이 조작 부재(40)를 손으로 앞으로 당기도록 조작하면, 좌석 본체(10)와 베이스 부재(30)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조작 부재(40)에 관련된 구조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32)의 상방부에는, 2개의 벨트 클립(33)이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0)는, 저벽부(31)의 양 측부에서 상방으로 늘어난 측벽부(36)를 갖고 있고, 이 양 측벽부(36)상에 각각 제 1 벨트 안내부재(34)가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저벽부(31)의 후방 영역의 양 측부에, U자형상의 금속제 후크의 형태로 되어 있는 제 2 벨트 안내부재(5)가 노출하고 있다.
도 8은, 베이스 부재(30)를 여하히 하여 차에 배치하고 있는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차의 좌석상에 고정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에 배치하고 있는 시트 벨트는, 통상, 어깨 벨트부(2)와 허리 벨트부(3)를 구비한다. 어깨 벨트부(2)는, 상방의 벨트 클립(33)에 끼여저서 안내된다. 허리 벨트부(3)는, 한 쌍의 제 1 벨트 안내부재(34) 및 한 쌍의 제 2 벨트 안내부재(5)를 통과한다. 이 허리 벨트부(3)의 안내 경로는, 양호한 충격 흡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32)의 상방 영역에 2개의 개구(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개구(37)로부터, 좌석 본체(10)의 등받이부(12)에 계합하는 걸기 로드가 튀어나오는데, 이에 관해서도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좌석 본체(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저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본체(10)의 좌부(11)의 저면은 거의 정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그 4개의 코너부 부근 영역에 L자형상의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베이스측 계합 부재인 전방 받이금구(38) 및 후방 받이금구(39)에 계합하는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가, 4개의 L자형상 홈(13)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는, 전방에 위치하여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전방 계합 로드(14)와, 후방에 위치하여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후방 계합 로드(16)와, 양 측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방 계합 로드(15)를 포함한다.
각 계합 로드(14, 15, 16)는, 각각, 2개의 코너부의 홈(13)에 연속하여 나타나도록 1개의 길다란 직선형상의 로드로 구성하여도 좋고, 또는 2개의 홈(13)의 각각에 별개로 짧은 길이의 직선형상 로드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방 계합 로드(14), 측방 계합 로드(15) 및 후방 계합 로드(16)를 서로 연결한 길다란 L자형상, U자형상, 4각형 형상의 로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홈(13)상에 나타나는 로드 부분이, 전술한 베이스측 계합 부재에 계합하는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를 구성한다.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를 구성하는 전방 계합 로드(14), 한 쌍의 측방 계합 로드(15) 및 후방 계합 로드(16)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변에 따라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좌석 본체(10)와 베이스 부재(30)와의 연결 고정의 3형태를 설명한다. 도 11은, 베이스 부재(30)(도 11(a)) 및 좌석 본체(10)의 저면(도 11(b))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에는, 2개의 전방 받이금구(38) 및 2개의 후방 받이금구(39)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좌석 본체(10)의 저면에는, 전방 계합 로드(14), 한 쌍의 측방 계합 로드(15) 및 후방 계합 로드(16)가 마련되어 있다.
좌석 본체(10)를 베이스 부재(30)상에서 앞을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전방 계합 로드(14)가 전방 받이금구(38)에 계합하고, 후방 계합 로드(16)가 후방 받이금구(39)에 계합한다. 좌석 본체(10)를 베이스 부재(30)상에서 뒤를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후방 계합 로드(16)가 전방 받이금구(38)에 계합하고, 전방 계합 로드(14)가 후방 받이금구(39)에 계합한다. 좌석 본체(10)를 베이스 부재(30)상에서 옆을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한 쌍의 측방 계합 로드(15)가 각각 전방 받이금구(38) 및 후방 받이금구(39)에 계합한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좌석 본체(10)와 베이스 부재(30)와의 연결 고정 상태를 로크하는 기구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거의 전체가 수지 재료로 덮힌 베이스 부재(30)의 프레임 구조체(50)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 구조체(50)는 강성을 갖고 있고,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양 측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L자형상의 금속제 봉형상 부재(51)와, 각 봉형상 부재(51)에 고정된 한 쌍의 금속제 측판(52)과, 한 쌍의 봉형상 부재(51)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 부재(53, 54, 55)를 구비한다. 전술한 전방 받이금구(38)는,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폭방향 연결 부재(55)상에 고정되고, 후방 받이금구(39)는, 중간에 위치하는 폭방향 연결 부재(54)상에 고정되어 있다.
착탈식 차일드 시트는, 상부 로크 기구(60)와, 하부 로크 기구(70)와, 동기 기구(80)를 구비한다. 상부 로크 기구(60)는,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32)와 좌석 본체(10)의 등받이부(12)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하는 것이다. 하부 로크 기구(70)는, 베이스 부재(30)의 저벽부(31)와 좌석 본체(10)의 좌부(11)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하는 것이다. 동기 기구(80)는, 상부 로크 기구(60)와 하부 로크 기구(70)를 연결하고, 양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 및 로크 해제 상태를 동기시키는 것이고, 한 구성요소로서 와이어(81)를 포함한다.
상부 로크 기구(60)는, 베이스 부재(30)측에 부착되는 요소로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32)에 지지된 로드 홀더(61)와, 로드 홀더(61)에 고정 지지된 한 쌍의 걸기 로드(62)와, 로드 홀더(61)에 고정 지지된 한 쌍의 표시편(63)과, 로드 홀더(61)를 상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가세하는 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64)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걸기 로드(62)는, 후술하는 좌석 본체의 피계합부재에 계합하는 승강 부재로서 기능한다.
한 쌍의 걸기 로드(62)는, 폭방향 연결 부재(53)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걸기 로드(62)는 하방의 위치에 있고, 폭방향 연결 부재(53)보다 위로는 돌출하고 있지 않다.
한 쌍의 표시편(63)은 눈에 띄는 색의 플레이트로서, 걸기 로드(62)와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이 표시편(63)은, 확실하게 로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로크 기구(60)는, 좌석 본체(10)측에 부착되는 요소로서, 도 10에 도시한 한 쌍의 걸기 고리(65)를 구비한다. 이 걸기 고리(65)는, 좌석 본체(10)의 등받이부(12)의 배면에 마련된다. 걸기 고리(65)는, 베이스 부재의 승강 부재(걸기 로드(62))를 받아들여서 계합하는 피계합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의 등받이부(32)의 상방단 부분에는, 한 쌍의 개구(37)가 형성되어 있다. 좌석 본체(10)를 앞을 향한 상태로 하여 베이스 부재(30)상에 부착하면, 좌석 본체(10)의 걸기 고리(65)가 베이스 부재(30)의 개구(37) 내로 파고들어간다. 그 상태에서, 걸기 로드(62)가 상방의 위치에 가져와지면, 걸기 로드(62)가 걸기 고리(65) 내에 끼워지고,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32)와 좌석 본체(10)의 등받이부(12)가 로크된 상태로 된다.
좌석 본체(10)를 뒤를 향한 또는 옆을 향한 상태로 하여 베이스 부재(30)상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걸기 로드(62) 및 걸기 고리(65)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 걸기 로드(62)와 함께 상하이동하는 표시편(63)이, 상방 위치에 가져와지면, 개구(37)로부터 표시편(63)을 눈으로 볼 수 있다. 표시편(63)이 개구(37)로부터 눈에 보여진다는 것은, 하부 로크 기구(70)에 의한 로크 이 확실하게 이루어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하부 로크 기구(70)의 로크가 불완전한 경우에는, 표시편(63)이 개구(37)로부터 명료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다음에, 주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하부 로크 기구(7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하부 로크 기구(70)는, 베이스 부재(30)측에 부착되는 요소로서, 폭방향 연결 부재(54)상에 고정된 후방 받이금구(39)와, 후방 받이금구(39)의 계합구멍을 가로지르도록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로크 부재(71)를 구비한다. 또한, 하부 로크 기구(70)는, 좌석 본체(10)측에 부착되는 요소로서, 계합 로드(14, 15, 16)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방 계합 로드(16)를 대표예로서 채택하여 로크 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로크 부재(71)는, 후방을 향하여 비저나오는 한 쌍의 계합 플레이트(73)를 갖고 있고, 이들의 계합 플레이트(73)가, 후방 위치에 가져온 때에, 후방 받이금구(39)의 계합구멍 내로 받아들여진 후방 계합 로드(16)의 위에 위치하고, 그것에 의해 후방 받이금구(39)와 후방 계합 로드(16)의 계합 상태를 로크한다.
동기 기구(80)의 한 구성 요소인 와이어(81)는, 로드 홀더(61)와 로크 부재(71)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로크 부재(71)는, 스프링(64)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계합 방향으로 가세되게 된다.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기구(80)는, 상방 위치와 하방 위치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30)에 지지된 스토퍼 부재(82)와, 이 스토퍼 부재(82)를 상방을 향하여 가세하는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83)을 구비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스프링(8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스토퍼 부재(82)의 상방 부분은, 폭방향 연결 부재(54)를 통과하여 후방 받이금구(39) 내로 파고들어가 있다. 또한, 스프링(83)은, 스토퍼 부재(82)의 양 측부와 폭방향 연결 부재(54)를 연결하고 있다. 스토퍼 부재(82)가 스프링(83)의 가세력에 의해 상방 위치에 가져와 있는 때에는, 스토퍼 부재(82)의 상방단이 후방 받이금구(39)의 상벽 이면에 맞닿아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로크 부재(71)는, 하방으로 돌출하여 있는 단면(斷面) 직사각형의 하방 돌출부(74)를 갖는다. 스토퍼 부재(82)가 상방 위치에 가져와 있는 때에는, 로크 부재(71)의 하방 돌출부(74)의 후벽면이 스토퍼 부재(82)에 맞닿음에 의해 로크 부재(71)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금지되고, 동시에 와이어(8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로드 홀더(61)의 상방으로의 이동도 금지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0)의 전방단 부분에 일부가 노출하여 있는 조작 부재(40)도, 동기 기구(81)의 한 구성요소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는 인장 스프링(42)에 의해 후방을 향하여 가세되어 있고, 그 후방단 부분에 계합축(41)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부재(71)는, 그 전방단 부분에 계합 폴(72)을 갖는다. 로크 부재(71)가 후방으로 이동한 때, 계합 폴(72)과 계합축(41)이 계합하도록 된다. 조작 부재(40)는, 로크 부재(71)를 로크 해제 위치에 가져오도록 조작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상부 로크 기구(60), 하부 로크 기구(70) 및 동기 기구(8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좌석 본체(10)가 베이스 부재(30)상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 부재(82)의 상방 단부가 후방 받이금구(39)의 상벽 이면에 맞닿고, 로크 부재(71)는, 스토퍼 부재(82)에 맞닿음에 의해 후방으로 의 이동이 금지되어 있다. 또한, 로드 홀더(61), 걸기 로드(62) 및 표시편(63)이 하방 위치에 있다.
도 15는, 좌석 본체(10)의 전방 계합 로드(14)를 전방 받이금구(38)의 계합 오목부내에 위치시키고, 또한 후방 계합 로드(16)를 후방 받이금구(39)의 계합 오목부에 위치시켜서 하방으로 압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스토퍼 부재(82)는, 후방 계합 로드(16)에 의해 하방으로 압하되어, 로크 부재(71)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하방 위치에 가져와 있다.
그러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64)(도 12 참조)의 인장력에 의해, 로드 홀더(61)가 상방 위치에 가져와짐과 함께, 와이어(81)를 통하여 로드 홀더(61)에 연결된 로크 부재(71)가 후방의 위치에 가져와저서 계합 플레이트(73)를 후방 계합 로드(16)의 위에 위치시키게 된다. 로크 부재(71)의 계합 플레이트(73)와 후방 계합 로드(16)의 계합 상태를 로크함에 의해, 베이스 부재(30)의 저벽부(31)와, 좌석 본체(10)의 좌부(11)와의 연결 상태가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 부재(82)는 로크 부재(71)의 하방 돌출부(74)의 저면에 맞닿아서 하방의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 로크 기구(70)의 로크 동작에 연동하여, 걸기 로드(62)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좌석 본체(10)의 걸기 고리(65) 내로 끼워지고, 그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32)와 좌석 본체(10)의 등받이부(12)와의 연결 상태도 로크된다. 상부 로크 기구(60) 및 하부 로크 기구(70)의 로크 상태는, 스프링(64)의 가세력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된다.
좌석 본체(10)를 베이스 부재(30)로부터 떼어낼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를 전방으로 당겨뺀다. 그러면, 조작 부재(40)의 계합축(41)이 로크 부재(71)의 계합 폴(72)에 계합하여 로크 부재(7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1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71)의 계합 플레이트(73)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후방 계합 로드(16)의 상부를 해방하고 있다. 또한, 로크 부재(71)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로크 부재(71)의 하방 돌출부(74)의 저면과 스토퍼 부재(82)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고, 스토퍼 부재(82)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3)(도 20 참조)의 인장력에 의해 스토퍼 부재(82)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후방 계합 로드(16)를 후방 받이금구(39)의 밖으로 밀어올린다. 이로 인해, 베이스 부재(30)의 저벽부(31)와 좌석 본체(10)의 좌부(11)와의 연결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조작 부재(40)는, 인장 스프링(42)의 인장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조작 부재(40)를 조작하여 로크 부재(71)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수반하여, 와이어(81)를 통하여 로크 부재(71)에 연결된 걸기 로드(62)가 하방으로 끌려내려가, 폭방향 연결 부재(53) 내로 후퇴한다. 그 결과, 걸기 로드(62)와 걸기 고리(65)와의 계합이 풀리고,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32)와 좌석 본체(10)의 등받이부(12)와의 연결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도 14 내지 도 18은, 좌석 본체(10)를 앞을 향한 상태로 베이스 부재(30)상에 마련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좌석 본체(10)를 옆을 향한 또는 뒤를 향한 상태 로 베이스 부재(30)상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걸기 로드(62)가 걸기 고리(65) 내로 끼워들어가는 일은 없다. 이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로크 기구(70)가 확실하게 로크 상태로 되어 있으면, 베이스 부재(30)의 입벽부(32)의 상방단 부분에 마련된 개구(37)로부터 표시편(63)을 눈으로 볼 수 있다. 표시편(63)을 명료하게 관찰할 수가 없다면, 하부 로크 기구(70)의 로크 상태가 불완전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상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충격 흡수 구조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는, 강성이 있는 프레임 구조체(50)를 구비한다. 차에 배치하고 있는 허리 벨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 1 벨트 안내부재(34)는, 프레임 구조체(50)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금속제 측판(52)상에 고정된다. 금속제 띠재(90)는, 그 양단이 금속제 측판(52)에 고정되어 있다. U자형상의 금속제 후크의 형태로 되어 있는 제 2 벨트 안내부재(5)는, 고정축(91)을 통하여 금속제 띠재(90)의 양 측부 영역에 고정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 2 벨트 안내부재(5)는, 한 쌍의 제 1 벨트 안내부재(34)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차에 배치하고 있는 시트 벨트의 허리 벨트부분(3)은, 한 쌍의 제 1 벨트 안내부재(34) 및 한 쌍의 제 2 벨트 안내부재(5)의 양자를 통과하도록 하여, 베이스 부재(30)를 차의 좌석상에 고정한다. 예를 들면, 차의 충돌 사고가 있은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30)는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그 충격 하중이 허리 벨트부분(3)으로부터 제 2 벨트 안내부재(5)에 가해진다. 제 2 벨트 안내부재(5)는 금속제 띠재(90)상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벨트 안내부재(5)에 충격 하중이 가하여지면, 금속제 띠재(90)가 구부러져서 소성 변형한다. 이와 같이 금속제 띠재(90)가 소성 변형함에 의해, 베이스 부재(30)에 가하여지는 충격 하중을 어느 정도 흡수하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에 착좌한 아이에게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도 9는, 베이스 부재(30)의 윤곽을 가리키는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부재(30)는, 그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저면 내로 후퇴하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경사 조정 부재(92)를 구비한다. 도시한 경사 조정 부재(92)는, 베이스 부재(3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의 좌석의 뒷부분의 하방으로 내려앉음이 큰 때에는, 경사 조정 부재(92)를 돌출한 상태로 하여, 베이스 부재(30)를 차의 좌석상에 고정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좌석 본체와 베이스 부재가 착탈 가능한 착탈식 차일드 시트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 본체와 베이스 부재를 상하의 로크 기구에 의해 강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하의 로크 기구의 동작은, 동기 기구에 의해 동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고정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변에 따라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 본체를 앞을 향한, 뒤를 향한, 옆을 향한 어느 상태로서도,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와 베이스측 계합 부재를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로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연결 고정 구조를 다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벨트 안내부재에 충격 하중이 가하여지면, 금속제 띠재가 구부러저서 소성(塑性) 변형한다. 이와 같이 금속제 띠재가 소성 변형함에 의해, 베이스 부재에 가하여지는 충격 하중을 어느 정도 흡수하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에 착좌한 아이에게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Claims (17)

  1. 저벽부 및 이 저벽부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세워 늘어나는 입벽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와,
    좌부 및 등받이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석 본체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입벽부와 상기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하는 상부 로크 기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저벽부와 상기 좌석 본체의 좌부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하는 하부 로크 기구와,
    상기 상부 로크 기구 및 하부 로크 기구를 연결하고, 양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 및 로크 해제 상태를 동기시키는 동기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크 기구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입벽부에 지지된 승강 부재와, 상방 위치에 가져온 상기 승강 부재에 계합할 수 있도록 상기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 배면에 마련된 피계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기구는, 상기 승강 부재와 상기 하부 로크 기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크 기구는, 상기 승강 부재를 상방 위치에 가져오도록 가세하는 가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크 기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저벽부에 마련된 받이금구와, 상기 받이금구에 받아들여저서 계합하도록 상기 좌석 본체의 좌부의 저면에 마련된 계합 로드와, 상기 받이금구와 상기 계합 로드의 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로크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상부 로크 기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를 계합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에 맞닿아서 상기 로크 부재의 계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상방 위치와, 상기 받이금구 내로 받아들여진 상기 계합 로드에 의해 하방으로 압하되어 상기 로크 부재의 계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하방 위치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된 스토퍼 부재와, 이 스토퍼 부재를 상방을 향하여 가세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를 로크 해제 위치에 가져오도록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크 기구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입벽부에 지지된 승강 부재와, 상방 위치에 가져온 상기 승강 부재에 계합할 수 있도록 상기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 배면에 마련된 피계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크 기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저벽부에 마련된 받이금구와, 상기 받이금구에 받아들여저서 계합하도록 상기 좌석 본체의 좌부의 저면에 마련된 계합 로드와, 상기 받이금구와 상기 계합 로드의 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로크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기구는, 상기 승강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전방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연재되는 베이스측 전방 계합 부재와, 후방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연재되는 베이스측 후방 계합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좌석 본체의 저면에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변에 따라 늘어나고, 상기 베이스측 전방 계합 부재 및 상기 베이스측 후방 계합 부재에 계합하는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전방 계합 부재는, 폭방향으로 떨어저서 위치하는 2개의 전방 받이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측 후방 계합 부재는, 폭방향으로 떨어저서 위치하는 2개의 후방 받이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는, 전방에 위치하여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전방 계합 로드와, 후방에 위치하여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후방 계합 로드와, 양 측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방 계합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본체를 상기 베이스 부재상에 앞을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 계합 로드 및 상기 후방 계합 로드가, 각각, 상기 전방 받이금구 및 상기 후방 받이금구에 계합하고,
    상기 좌석 본체를 상기 베이스 부재상에서 뒤를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상기 후방 계합 로드 및 상기 전방 계합 로드가, 각각, 상기 전방 받이금구 및 상기 후방 받이금구에 계합하고,
    상기 좌석 본체를 상기 베이스 부재상에서 옆을 향하여 두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측방 계합 로드가, 각각, 상기 전방 받이금구 및 상기 후방 받이금구에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크 기구는, 상기 베이스측 전방 계합 부재 및 상기 베이스측 후방 계합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상기 좌석 본체측 계합 부재를 계탈 가능하게 로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강성이 있는 프레임 구조체와,
    차에 배치하고 있는 허리 벨트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양 측부상에 마련된 한 쌍의 제 1 벨트 안내부재와,
    양단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연결된 금속제의 띠재와,
    상기 한 쌍의 제 1 벨트 안내부재의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허리 벨트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금속제 띠재에 고정된 한 쌍의 제 2 벨트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 벨트 안내부재는, U자형상의 금속제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는, 양 측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L자형상의 금속제 봉형상 부재와, 상기 각 봉형상 부재에 고정된 한 쌍의 금속제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벨트 안내부재는, 상기 각 금속제 측판상에 고정되고,
    상기 금속제 띠재는, 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금속제 측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그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저면 내로 후퇴하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경사 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일드 시트.
KR1020060044922A 2005-06-03 2006-05-19 착탈식 차일드 시트 KR20060126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3722A JP4566824B2 (ja) 2005-06-03 2005-06-03 着脱式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5163723A JP2006335267A (ja) 2005-06-03 2005-06-03 着脱式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05-00163723 2005-06-03
JPJP-P-2005-00163722 2005-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360A true KR20060126360A (ko) 2006-12-07

Family

ID=3664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922A KR20060126360A (ko) 2005-06-03 2006-05-19 착탈식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84801B2 (ko)
EP (1) EP1728675A1 (ko)
KR (1) KR20060126360A (ko)
TW (1) TW2007064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9472B2 (en) * 2006-12-12 2010-10-26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Latch mechanism for a child car seat
GB2444834B (en) * 2006-12-12 2011-12-14 Wonderland Nursery Goods Head rest and harness adjustment for child car seat
EP1970247A1 (en) * 2007-03-15 2008-09-17 Team-Tex Device for mounting a child seat in a car and a child seat
DE202007018096U1 (de) * 2007-12-21 2008-03-13 Kintec-Solution Gmbh Möbel
US20100052384A1 (en) * 2008-08-26 2010-03-04 Link Treasure Limited Child safety seat with a transverse engaging base
IT1392052B1 (it) 2008-09-17 2012-02-09 Artsana Spa Metodo per realizzare una base di supporto di un seggiolino per auto per bambini, base e seggiolino cosi' ottenuti
US8186757B2 (en) * 2009-03-04 2012-05-29 Cosco Management, Inc. Child restraint system including a stationary seat support and a removable juvenile vehicle seat on the seat support
US8393678B2 (en) * 2009-12-21 2013-03-12 Goodbaby Child Product Co., Ltd. Infant child restraint system
US8393674B2 (en) 2010-01-11 2013-03-12 Goodbaby Child Product Co., Ltd. Infant child restraint system
AU2011200416C1 (en) * 2010-02-01 2019-09-05 Hbg Ip Holding Pty Ltd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US8556344B2 (en) * 2010-07-15 2013-10-15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afety seat assembly
US8579369B2 (en) * 2010-10-26 2013-11-12 Cosco Management, Inc. Truss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US8585138B2 (en) * 2010-10-26 2013-11-19 Cosco Management, Inc. Rigidifying system for single shell juvenile vehicle seat
CN102910093B (zh) * 2011-08-04 2015-09-02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幼儿汽车安全座椅及其连接装置
EP2758272B1 (en) * 2011-09-22 2019-08-21 Clek Inc. Child safety seat
US8840184B2 (en) * 2011-10-06 2014-09-23 Thorley Industries Llc Child restraint system with automated installation
US9211820B2 (en) 2012-11-01 2015-12-1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afety seat with side impact energy redirection
US9487110B2 (en) 2014-03-05 2016-11-08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US8911015B2 (en) 2013-03-05 2014-12-16 Yochanan Cohen Car seat
US10150389B2 (en) 2013-03-05 2018-12-11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and connection system
US10220734B2 (en) 2013-03-05 2019-03-05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FR3023224B1 (fr) * 2014-07-03 2016-08-19 Dorel France Sa Equipement pour le transport d'un enfant dans un vehicule, comprenant une embase et une nacelle assemblables par translation, embase et nacelle correspondantes.
US9616782B2 (en) 2014-08-29 2017-04-11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vehicle conn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0086722B2 (en) * 2015-10-30 2018-10-02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 restraint
FR3043374B1 (fr) * 2015-11-05 2018-12-07 Dorel France Equipement pour le transport d'un enfant dans un vehicule, comprenant une embase et une nacelle assemblables par translation, embase et nacelle correspondantes
WO2017077127A1 (fr) * 2015-11-05 2017-05-11 Dorel France Nacelle et embase pour transport d'un enfant dans un véhicule
US10406947B2 (en) 2016-08-25 2019-09-10 Dorel Juvenille Group, Inc. Child restraint for vehicle
CN206383858U (zh) * 2017-01-03 2017-08-0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限制汽车椅背靠角度的底座及儿童汽车椅
CN114801923B (zh) * 2017-12-21 2023-12-15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座椅
EP3511202B1 (en) * 2018-01-10 2021-09-22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Child safety seat with anti-rotation device
US11034266B2 (en) * 2019-02-27 2021-06-15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 restraint
AU2021396550A1 (en) * 2020-12-11 2023-07-27 Bambino Prezioso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and seat base
CN114789683B (zh) * 2021-01-26 2024-04-09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安全座椅及其底座
CN115503574A (zh) * 2021-06-23 2022-12-2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座椅调节结构和儿童安全座椅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493A (en) 1974-11-21 1975-10-28 Gen Motors Corp Seat cushion retainer device
FR2444431A1 (fr) * 1978-12-22 1980-07-18 Baby Relax Ensemble de support pour enfant
US4733909A (en) 1984-12-24 1988-03-29 Ford Motor Company Multi-mode child restraint system
GB9306977D0 (en) 1993-04-03 1993-05-26 Britax Excelsior Child saftey seat
US5385387A (en) * 1993-10-01 1995-01-31 Lisco, Inc. Child carrier with detachable base
US5772279A (en) * 1995-08-31 1998-06-30 Kolcraft Enterprises, Inc. Coupling system for infant carrier to second support device
JP3288002B2 (ja) 1997-01-08 2002-06-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US5865447A (en) * 1997-03-17 1999-02-02 Huang; Li-Chu Chen Controlling structure of a stroller
JPH11291799A (ja) * 1998-04-09 1999-10-26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GB2338181B (en) 1998-06-13 2002-04-24 Magna Seating Systems Ltd Child and baby seat for a vehicle
JP4118443B2 (ja) 1999-04-19 2008-07-16 リーマン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US6367875B1 (en) * 1999-10-21 2002-04-09 Mattel, Inc. Stay in view car seat
US6540293B1 (en) * 2000-09-08 2003-04-01 Raymond E. Quackenbush Child restraining seat
SG104306A1 (en) 2001-04-05 2004-06-21 Combi Co Child car seat
US6595583B2 (en) * 2001-07-20 2003-07-22 Link Treasure Ltd. Latch mechanism for stroller seat
US6715828B1 (en) * 2002-10-07 2004-04-06 Kenny Cheng Infant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6413A (en) 2007-02-16
EP1728675A1 (en) 2006-12-06
US20060273640A1 (en) 2006-12-07
US7484801B2 (en) 2009-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6360A (ko) 착탈식 차일드 시트
JP4566824B2 (ja) 着脱式チャイルドシート
JP414184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40327288A1 (en) Latchable headrest
CN110395152B (zh) 儿童座椅
KR101552659B1 (ko) 시트 벨트 버클 장치
JP3299234B2 (ja) 車両シートの固定装置及びこの固定装置を備えた車両シート並びに車両シート用スライドバー
ES2946588T3 (es) Asiento de seguridad para coche
US10821866B2 (en) Headrest
JP2001163101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JPH10329594A (ja) シートトラックのロック機構
JP2018192193A (ja) バックル装置
JP2002059767A (ja) 乗物用シート装置
JP2006335267A (ja) 着脱式チャイルドシート
CN212827989U (zh) 儿童座椅和儿童座椅用固定单元
CN116424415A (zh) 婴儿车
JP5446739B2 (ja) 乗物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593048B1 (ko)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JP4250028B2 (ja) 着脱式チャイルドシート
JP2505602Y2 (ja) 子供用シ―ト及び子供用シ―ト取付構造
JP5077667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のロック機構
JP5098072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のロック機構
JP2024516855A (ja) チャイルド安全シートおよびその支持アセンブリ
JP2021011149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CN106994923B (zh) Isofix儿童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