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644A - 합판 및 합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판 및 합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644A
KR20060124644A KR1020067011907A KR20067011907A KR20060124644A KR 20060124644 A KR20060124644 A KR 20060124644A KR 1020067011907 A KR1020067011907 A KR 1020067011907A KR 20067011907 A KR20067011907 A KR 20067011907A KR 20060124644 A KR20060124644 A KR 20060124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adhesive layer
molar ratio
adhesiv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르스 에버스
조제프 마리아 요하네스 마테이즈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2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64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3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bstituted triazines
    • C08G12/32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3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and 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8G12/36Ureas; Thioureas
    • C08G12/38Ureas; Thioureas and 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1/00Adhesive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9J1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9J1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1/00Adhesive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9J161/32Modified amine-aldehyde condens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949Next to cellulosic
    • Y10T428/31957W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10T428/31975Of cellulosic next to another carbohydrate
    • Y10T428/31978Cellulosic next to another cellulosic
    • Y10T428/31982Wood or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10T428/31989Of wo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목재 단판층, 및 트라이아진 화합물(T), 포름알데히드(F)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F/(NH2)2 몰비가 0.70 내지 1.10이고, F/T 몰비가 1.0 내지 3.5인,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합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판 및 합판의 제조방법{PLYWOOD, AND A PROCESS FOR PREPARING PLYWOOD}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목재 단판층(wood veneer layer)과, 트라이아진 화합물(T), 포름알데히드(F),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유리형(free form) 또는 반응형(reacted form)으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합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합판 중 그 트라이아진 화합물이 대개 멜라민(M)으로 필수 구성된 합판은, 테리 셀러스 쥬니어(Terry Sellers jr.)가 쓴 문헌 ['Plywood and Adhesive Technology'(1985,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을 보면 알 수 있고, 이 합판은 상업적 규모로 활용되고 있다.
공지 합판은, 예컨대 전단 강도와 같은 최종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적절한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양호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접착층이 높은 함량의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해야만 하고, 따라서 접착층의 F/(NH2)2 몰비가 1.2 이상이라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표준 규격으로는 2003년 2월 27일 자 공고로 보강된 일본 농림 규격(Japanese Agricultural Standard) JAS 987 2000이 있다. 접착층 내의 포름알데히드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높은 포름알데히드-방출(F-방출)을 초래하여 건강상 문제를 일으킬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단 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은 충분히 유지하면서 공지 합판의 문제점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합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접착층의 F/(NH2)2 몰비가 0.70 내지 1.10이고 접착층의 F/T 몰비가 1.0 내지 3.5인 합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의 장점은 똑같은 목재층을 가진 공지 합판보다 포름알데히드의 함량과 F-방출량이 낮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은 예컨대 2003년 2월 27일자 공고로 보강된 JAS 987 2000에서 규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단 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엄격한 표준을 여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의 장점은 상기 염격한 표준을 만족시키면서도 접착층의 무게(weight)(일반적으로 접착층 당 g/m2로 표시)는 공지의 합판에 비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이다.
국제 공개 특허 제 WO 01/38416 A1 호에는 복합 판넬용 접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접착 조성물은 복합 판넬 내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이 바람직한 수준이 되도록 선택된 몰비를 갖는 포름알데히드와 우레아 및/또는 멜라민과의 반응 산물을 포함한다. 국제 공개 특허 제 WO 01/38416 A1 호에 따르면, 복합 판넬에 접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생겨나는 물리적, 기계적 특성상의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서 는 접착 조성물에 이소시아네이트가 첨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은, 합판에 있어서는 공지이고 일반적인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목재 단판층과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어 합판이라 함은 접착층(들)이 전혀 경화되지 않거나 또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경화된 상태 뿐 아니라, 접착층(들)이 거의 완전히 경화되거나 또는 완전히 경화된 상태를 모두 지칭한다. 따라서 접착층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합물, 예컨대 트라이아진(예컨대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및 우레아는 유리형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반응형 또는 부분 반응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5겹 이상 또는 7겹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합판이 아주 일반적인 것으로, 전형적으로 목재 단판층과 접착층이 번갈아 있으며, 그 표면층(face layer)은 보통 목재 단판층이다. 합판 내의 목재 단판층은 일반적으로 연속상으로, 예컨대 나무 줄기를 벗기는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목재층, 특히 내부층이나 또는 그 최종 용도에서 눈에 보이지 않게 될 층은 서로 인접하여 옆에 배열된 2 이상, 3 이상 또는 4 이상의 조각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합판의 정의는, 목재 입자와 접착제가 서로 혼합되어 그 혼합물 자체가 층을 형성하고 전적으로 이러한 층으로 제조된 보드인 OSB(배향성 스트랜드 보드(oriented strand board))와 같은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이 F-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 덕분에, F-방출 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표면층을 허용가능한 F-방출 성능은 계속 유지하면서 공지의 합판보다 얇게 제조할 수 있다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단판층의 두께는 합판에서의 일반 관행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합판 내 목재 단판층의 전형적인 두께의 범위는 약 0.4 mm 내지 약 5 mm 또는 10 mm 이상까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에 사용할 목재의 형태는 합판에서의 일반 관행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침엽수재(soft wood)와 활엽수재(hard wood) 모두가 관행상 이용되고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판에도 이용될 수 있다. 합판 제조용으로 선택될 수 있는 목재 형태는 예로 들어 전나무 또는 소나무 등의 침엽수재, 예를 들어 레드 메란티(red meranti) 또는 옐로우 메란티(yellow meranti) 등의 활엽수재 등이 있다. 그러나 합판의 F-방출량은 선택된 목재의 성질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은 F-방출량이 높은 합판과 일반적으로 관련이 있는 어떤 형태의 목재―예를 들어 더욱 밝은색의 메란티, 예컨대 옐로우 메란티―가 더욱 엄격한 F-방출 기준을 요구하는 용도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합판 내 하나 이상의 목재층은 옐로우 메란티 또는 레드 메란티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은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한다. 접착층은 하기에서 추가로 기재될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일반적으로 다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화합물의 예로는 산과 같은 촉매, 물, 밀가루와 같은 충전제 및 포름알데히드 포착제(scavenger) 등이 있다. 상기 다른 화합물의 총량은 접착층의 중량 백분율에 따라 약 1 또는 2 중량% 내지 약 40 또는 50 중량%의 넓은 제한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으며, 더욱 일반적인 범위는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트라이아진 화합물(T) 바람직하게는 멜라민(M), 포름알데히드(F),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유리형 또는 반응형으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것으로, 포름알데히드, 트라이아진 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물에 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다음, 이 혼합물을 공지의 적합한 온도 및 pH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수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알려진 바대로, 예컨대 내습성과 같은 어떤 특성을 최종 제품에 부여하기 위해 수지에 다른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에 사용하기 적합한 트라이아진은 하나 이상의 -NH2기를 가져야만 한다; 상기 트라이아진은 그 자체로 공지 화합물이며, 예컨대 멜라민, 아멜린, 아멜리드, 멜람, 또는 멜렘 등이 있다. 트라이아진(예컨대 멜라민)과 우레아는 양자 모두 -NH2기를 함유하므로, 이들이 반응하지 않는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 그 수지 조성물―및 따라서 그 접착층 또한―은 F/(NH2)2 몰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도 그러하지만, 일반적으로도 F/(NH2)2 몰비는 반응했을지도 모르는 -NH2기까지 포함한 모든 -NH2기를 세어서 계산한다. 또한, 우레아와 멜라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멜람 또는 멜렘과 등의 다른 트라이아진 화합물에서 비롯된 -NH2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과 접착층의 F/(NH2)2 몰비는 반응했을지도 모르는 트라이아진 또는 멜라민을 포함하여 존재하는 모든 트라이아진 또는 멜라민을 세어서 계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의 F/(NH2)2 몰비는 최소 0.70이고 최대 1.10이다. 최소 0.70 이상의 F/(NH2)2 몰비로 그 접착층은 충분한 접착력(gluing power)을 가지며, 따라서 전단 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F/(NH2)2 몰비는 0.74 또는 0.78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F/(NH2)2 몰비는 0.80 또는 0.82 이상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F/(NH2)2 몰비는 0.85 이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의 F-방출량은 되도록이면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접착층의 F/(NH2)2 몰비가 최대 1.10 또는 1.08, 바람직하게는 최대 1.05 또는 1.0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멜라민을 트라이아진 화합물로서 함유하고, 그 F/(NH2)2 몰비가 최소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서 멜라민이 실제로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여 유리 멜라민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유리 멜라민이 포착제로 작용할 수는 있겠지만, 제조된 합판의 기계적 특성에는 기여하는 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F/(NH2)2 몰비는 1.25 또는 1.5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F/(NH2)2 몰비는 1.7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접착층이 F/(NH2)2 몰비가 낮은 경우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의 F/(NH2)2 몰비는 최대 3.5, 바람직하게는 최대 3.25 또는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2.75 또는 2.5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F/(NH2)2 몰비와 F/T 몰비 및 F/M 몰비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도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층 내에 존재하는 포름알데히드, 우레아 및 멜라민의 유의적인 부분 이상은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되어 생긴 것으로, 이로 인해 성능이 좋은 접착층이 되게 하는 바람직한 화학 반응이 확실히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층 내 60 중량% 이상의 멜라민은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되어 생긴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양은 7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그 양은 80 중량%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층 내 40 중량% 이상의 우레아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되어 생긴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양은 50 중량% 또는 60 중량% 이상이고, 특히 그 양은 7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그 양은 80 중량%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층 내 적어도 80 중량% 이상의 포름알데히드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되어 생긴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양은 9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그 양은 95 중량%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경화 단계 이전에는 수지 조성물에서 생긴 것 이상의 양으로 물을 함유한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함께 첨가된 층 내의 모든 화합물―물 제외―의 중량 백분율로 정의되는 고형물 함량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의 F-방출량은 경화 단계 이전의 접착층 내 고형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형물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또는 65 중량% 이상이고, 특히 70 중량%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이상 또는 80 중량% 이상까지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함유한다. 그러나, 우레아의 양이 비교적 낮아서 그 결과 접착층 내 -NH2기의 많은 부분이 트라이아진 기재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의 특성―특히 제조된 합판의 전단 강도―이 개선됨이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 내의 우레아의 양은 접착층 당 0 내지 25 g/m2 또는 2 내지 23 g/m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우레아의 양은 접착층 당 4 내지 21 g/m2 또는 6 내지 20 g/m2이고, 특히 접착층 당 8 내지 19 g/m2 또는 10 내지 18 g/m2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7 g/m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트라이아진 화합물, 포름 알데히드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다른 형태의 수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른 형태의 수지의 예로는 페놀성 수지 및 pMDI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있다. 그러나, 접착층 내에 함유된 상기 다른 형태 수지의 총량은 50 중량% 또는 40 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또는 20 중량% 미만, 특히 10 중량%, 5 중량% 또는 2 중량% 또는 1 중량% 미만까지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pMDI 형태의 수지를 본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상기 언급한 다른 형태의 수지 중 어떤 것도 전혀 함유하지조차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양의 다른 형태의 수지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판 내 모든 접착층에 적용된다.
합판은 흔히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조성물과 몰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접착층이 상기한 조성물 및 몰비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분의 2 또는 75 %의 접착층이 상기 조성물을 가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합판 내 모든 접착층이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조성물 및 몰비를 가진다. 때때로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이 부분적으로 경화되거나 또는 거의 완전히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할 수도 있겠지만, 바람직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합판 내 접착층이 완전히 경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의 독특한 특성의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은 F-방출에 대한 엄격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JAS 987 2000에 따른 본 발명의 합판의 평균 F-방출량은 최대 0.5 mg/l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F-방출량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의 특정 몰비 이외의 별다른 수치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F-방출량은 최대 0.5 mg/l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이 타입 I 합판용 F**** 표준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이 거의 동등한 공지 합판보다 낮은 F-방출량을 가지면서도, 그럼에도 그 기계적 특성은 응용시에 요구되는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JAS 987 2000에 규정된 바와 같은 전단 강도가 이의 좋은 예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의 전단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 kg/cm2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또는 7 kg/cm2 이상이며, 특히 8 또는 9 kg/cm2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또는 11 kg/cm2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판에 필요한 전단 강도는 40 kg/cm2 이하, 특히 30 kg/cm2 이하까지이다. 숙련가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전단 강도 수치를 갖기 위해서는, 접착층 당 접착 조성물의 양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멜라민(M), 포름알데히드(F)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b) 상기 수지 조성물과 선택적으로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여, 접착층의 F/(NH2)2 몰비가 0.70 내지 1.10이고 접착층의 F/M 몰비가 1.0 내지 3.5에 있도록 하고;
(c) 접착 조성물을 목재층의 한 면 이상에 도포하여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d)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두번째 목재층과 접촉시켜 합판을 형성하고;
(e) 상기 합판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a)에서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그래서 수지 조성물의 F/(NH2)2 몰비 및 F/M 몰비는 수지 조성물과 다른 선택적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단계 (b)에 특정된 바와 같은 몰비를 가지는 접착층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그러한 것이다. 단계 (c), (d) 및 (e)는 합판 제조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널리 공지된 일반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알려진 대로, 바람직한 것은 완전 경화이겠지만, 단지 부분적으로만 경화 단계 (e)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할 수 있다. 단계 (a)에서 제조된 수지가 아닌 다른 형태의 수지를 후속 단계인 (b) 내지 (e)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형태의 수지의 예로는 페놀성 수지 및 pMDI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접착 조성물, 접착층 및 제조된 합판 내에 함유된 다른 형태 수지의 양은 50 중량% 또는 40 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또는 20 중량% 미만, 특히 10 중량%, 5 중량% 또는 2 중량% 또는 1 중량% 미만까지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착 조성물, 접착층 및 나아가 합판 전체는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pMDI 형태의 수지를 본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상기 언급한 다른 형태의 수지 중 어떤 것도 전혀 함유하지조차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의 전단 강도는 접착층 당 접착 조성물의 양이 증가하면 이에 따라 증가할 것이다. 접착층 내 접착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접착층 당 g/m2으로 표시된다. 전형적인 공지의 접착층은 약 275 내지 450 g/m2 이상의 접착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의 특징은, 그 접착층 내 접착 조성물의 양은 감소한 채 전단 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은 충분히 보유하는 합판을 생산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다른 방편으로, 일반적으로 비슷한 양의 접착층이 다른 점에서 보면 거의 동등한 공지의 합판에 비해 훨씬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합판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 또는 접착층들은 그 접착층 당 75 내지 350 g/m2의 접착 조성물을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75 g/m2, 특히 110 내지 250 g/m2, 더욱 특히 120 내지 225 g/m2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00 g/m2의 접착 조성물을 접착층 당 함유한다. 접착층 당 최대 175 g/m2의 접착 조성물 또는 최대 150 g/m2의 접착 조성물까지도 요구 조건들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할 것 같다.
경화 단계의 예로는 열간 압축(hot pressing)이 있으며, 선택적으로 냉간 압축(cold pressing) 단계가 선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 및 그 제조방법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수지의 제조
176.4 g의 포르말린을 반응기에 채웠다. 포르말린은 37.0 중량%의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으로, 0.8 중량% 메탄올과 120 mg/kg 포름산을 함유하였다. 반응기 내용물을 30℃로 가열하였다. 2 M NaOH를 이용하여 pH를 9로 맞추었다. 133.6 g의 멜라민(공급체: DSM)을 첨가하였다. 반응기 내용물을 30℃에서 95℃로 약 10분 간 가열하였다. 95℃로 가열하는 동안, 반응기 내부 온도가 약 85℃에 도달하였을 때 투명 수지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멜라민이 전부 용해되었음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50 g의 우레아를 가하고, 그 수지를 85℃로 냉각시킨 다음, 그 온도를 유지시키며 수지를 추가 반응시켰다. 그러는 동안 pH는 7로 떨어뜨렸다. 운점(Cloud Point)―우레아 첨가 후 15 분 경과 시점이었다―에 도달한 후에는 2M NaOH를 써서 pH를 8.8로 올렸다. 운점은 20℃에서 다량의 물에 가해진 1 방울의 수지가 더 이상 직접 용해되지 않고 탁도(turbidity)를 나타내는 시점의 시간으로 정의된다. 그런 다음, 수지 조성물을 재빨리 20℃로 냉각시켜서 저장(store)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생성된 수지 조성물의 특성은, F/(NH2)2 몰비 0.90, F/M 몰비 2.1, 고체 함량 65 중량%, 20℃에서의 점도 50 mPas, (20℃에서) 수지 g 당 수분 허용도(water tolerance) 3 g과 20℃에서의 저장 안정성 7 일 이상 등으로 나타났다. 수분허용도는 수지가 탁하게 변하기 전에 20℃에서 1 g의 수지에 첨가될 수 있는 물의 양(g)으로 정의된다.
실시예 2 내지 5
합판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75 g의 수지 조성물에, 4.6 g의 물, 2.25 g의 촉매(물 중 20 중량%의 포름산)와 10.5 g의 밀가루를 첨가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접착제의 겔화 시간(gel time)은 100℃에서 67 초로 측정되었다. 접착제의 겔화 시간은 5 g의 접착제를 끓는 물에 들어 있는 시험 튜브에 넣었을 때 겔이 형성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레드 메란티 또는 옐로우 메란티를 원료로 하여 접착층 당 122 g/m2 또는 155 g/m2의 접착층을 가진 5 겹(ply) 합판을 제조하였다. 숙련가들에게 알려진 바대로, '5 겹 합판(5-ply plywood)'은 5개의 목재 단판층과 그 목재 단판층 사이에 위치한 4개의 접착층으로 필수 구성된 합판을 의미한다. 메란티의 수분 함량은 11 중량%로 조절하였고, 그 두께는 0.6 mm(표면층) 또는 1.4 mm(중간층)이었다. 합판은 먼저 10 bar에서 30 분 동안 냉간 압축한 다음, 125℃ 및 10 bar에서 10분 동안 열간 압축하여 제조하였다. 전단 강도 및 F-방출량은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06042163781-PCT00001
비교예
6953 g의 포르말린(37 중량% F), 400 g의 멜라민 및 2300 g의 우레아로 반응기를 채웠다. 2 N NaOH 용액으로 pH를 9로 맞추었다. 반응기 내용물을 95℃로 가열하고 5 분간 그 온도에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운점(30℃에서)에 도달할 때까지 수지 축합(condensation) 반응을 지속한 후, 2 N 포름산 용액으로 pH를 5.0으로 조절하였다. 2 N NaOH로 pH를 8.0으로 조절하고 반응 내용물을 88℃로 냉각시켜서 그 반응을 멈추었다.
다음으로, 4025 g의 멜라민, 100 g의 우레아 및 4635 g의 포르말린을 가하였고, 그 동안 pH 8.0±0.3, 온도 88±2℃를 유지하였다. 88℃의 온도와 8.0 내지 8.5의 pH를 유지하면서, 수지 축합 단계를 70 분 동안 지속하였다. 그런 다음 수지를 78℃로 냉각시켰다. 1600 g의 우레아를 가하여 새로운 축합 단계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동안의 pH는 7.2로 떨어뜨렸다. 수지의 점도가 100 mPa.s(30℃에서 측정)에 도달할 때까지 그 축합 단계를 약 35 분 정도 지속하였다. 2 N NaOH로 pH를 9.5로 맞추고 30℃로 냉각시켜서 그 축합 단계를 멈추었다.
제조된 1000 g의 수지 조성물에 2 g의 촉매(NH4Cl, 0.3 중량% 건조/건조) 및 140 g의 밀가루를 가하여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접착제의 겔화 시간은 100℃에서 240 초로 측정되었다.
레드 메란티를 원료로 하여 접착층 당 200 g/m2의 접착 조성물을 함유한 접착층을 가진 5 겹 합판을 제조하였다. 숙련가들에게 알려진 바대로, 용어 '5 겹 합판'은 5개의 목재 단판층과 그 목재 단판층 사이에 4개의 접착층으로 필수 구성된 합판을 의미한다. 메란티의 수분 함량은 11 중량%로 조절하였고, 그 두께는 0.6 mm(표면층) 또는 1.4 mm(중간층)이었다. 합판은 먼저 10 bar에서 30 분 동안 냉간 압축한 다음, 125℃ 및 10 bar에서 10분 동안 열간 압축하여 제조하였다. 전단 강도는 8 kg/cm2, 평균 F-방출량은 0.40 mg/l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이 공지의 합판보다 낮은 F-방출량을 가지며, 그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합판은 본 발명에 따른 합판 내의 접착층의 접착층 당 접착 조성물의 함량이 공지의 합판보다 낮은 경우조차도 공지 합판보다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짐을 분명히 보여준다.

Claims (17)

  1. 둘 이상의 목재 단판층, 및 트라이아진 화합물(T), 포름알데히드(F)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합판으로, 그 접착층의 F/(NH2)2 몰비가 0.70 내지 1.10이고, F/M 몰비가 1.0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라이아진 화합물이 멜라민(M)이고, 상기 접착층의 F/M 몰비가 1.0 내지 3.5인 합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F/(NH2)2 몰비가 0.70 내지 1.10이고, F/M 몰비가 1.0 내지 3.5인 합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접착층의 F/(NH2)2 몰비가 0.80 내지 1.05이고, F/M 몰비가 1.0 내지 3.5인 합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F/(NH2)2 몰비가 0.80 내지 1.05이고, F/M 몰비가 1.0 내지 3.5인 합판.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층 내 60 중량% 이상의 멜라민과 접착층 내 40 중량% 이상의 우레아가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되어 생긴 것인 합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화 단계 이전의 접착층 내 고형물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합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층 내 우레아의 함량이 접착층 당 0 내지 25 g/m2인 합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접착층이 페놀성 수지 및 pMDI 수지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합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AS 987 2000에 따른 평균 F-방출량이 최대 0.5 mg/l인 합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JAS 987 2000에 따른 평균 F-방출량이 최대 0.3 mg/l인 합판.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JAS 987 2000에 따른 그 합판의 전단 강도가 4 kg/cm2 이상인 합판.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목재층이 옐로우 또는 레드 메란티를 함유하는 합판.
  14. (a) 멜라민(M), 포름알데히드(F)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b) 상기 수지 조성물과 선택적으로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여, 접착층의 F/(NH2)2 몰비가 0.70 내지 1.10, F/M 몰비가 1.0 내지 3.5에 있도록 하고;
    (c) 접착 조성물을 목재층의 한 면 이상에 도포하여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d)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두번째 목재층과 접촉시켜 합판을 형성하고; 및
    (e) 상기 합판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합판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접착 조성물을 접착층 당 75 내지 250 g/m2의 양으로 도포하는 방법.
  16. 둘 이상의 목재 단판층, 및 트라이아진 화합물(T), 포름알데히드(F) 및 선택적으로 우레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합판으로, 그 접착층 내 우레아의 함량이 접착층 당 0 내지 25 g/m2이고, JAS 987 2000에 따른 합판의 전단 강도가 4 kg/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17. 제 14 항에 있어서,
    트라이아진 화합물이 멜라민으로 필수 구성된 합판.
KR1020067011907A 2003-12-18 2004-12-09 합판 및 합판의 제조방법 KR20060124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30078931 EP1544222A1 (en) 2003-12-18 2003-12-18 Plywood, and a process for preparing plywood
EP03078931.7 2003-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644A true KR20060124644A (ko) 2006-12-05

Family

ID=3448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907A KR20060124644A (ko) 2003-12-18 2004-12-09 합판 및 합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531244B2 (ko)
EP (2) EP1544222A1 (ko)
JP (1) JP2007523764A (ko)
KR (1) KR20060124644A (ko)
CN (1) CN100519611C (ko)
AU (1) AU2004299239A1 (ko)
BR (1) BRPI0417682A (ko)
CA (1) CA2547766A1 (ko)
EA (1) EA011027B1 (ko)
MY (1) MY142312A (ko)
NO (1) NO20063321L (ko)
TW (1) TW200530283A (ko)
WO (1) WO20050589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236A (ko) * 2015-07-23 2018-04-02 바스프 에스이 합판 물품
KR20180050822A (ko) * 2016-11-07 2018-05-16 (주)파스텔 친환경 섬유판의 제조방법
KR20190124623A (ko) 2018-10-12 2019-11-05 정병재 친환경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59988B2 (en) * 2003-07-28 2009-10-22 Oci Nitrogen B.V.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formaldehyde-containing aminoplast resin and a catalysing compound
FI121623B (fi) 2008-12-08 2011-02-15 Metsaeliitto Osuuskunta Menetelmä puuviilulevyn valmistamiseksi
CN102220100B (zh) * 2011-05-25 2013-04-03 三明学院 一种低毒脲醛树脂胶及其制备方法
FI129218B (fi) 2016-11-22 2021-09-30 Metsaeliitto Osuuskunta Pinnoitettu monikerroksinen puulevy ja menetelmä runkolevyn valmistamiseksi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906751A (nl) * 1979-09-11 1981-03-13 Methanol Chemie Nederland Fabricage van spaanplaat.
US5684118A (en) * 1996-03-26 1997-11-04 Georgia-Pacific Resins, Inc. Method of scavenging formaldehyde using a low mole ratio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
WO2001038416A1 (en) * 1999-11-29 2001-05-31 Dynochem Nz Limited Binders for composite pane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236A (ko) * 2015-07-23 2018-04-02 바스프 에스이 합판 물품
KR20180050822A (ko) * 2016-11-07 2018-05-16 (주)파스텔 친환경 섬유판의 제조방법
KR101880443B1 (ko) * 2016-11-07 2018-07-20 (주)파스텔 친환경 섬유판의 제조방법
KR20190124623A (ko) 2018-10-12 2019-11-05 정병재 친환경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601175A1 (ru) 2006-10-27
CN1894296A (zh) 2007-01-10
BRPI0417682A (pt) 2007-03-20
NO20063321L (no) 2006-09-18
EP1716191A1 (en) 2006-11-02
JP2007523764A (ja) 2007-08-23
WO2005058991A1 (en) 2005-06-30
TW200530283A (en) 2005-09-16
US7531244B2 (en) 2009-05-12
EP1544222A1 (en) 2005-06-22
US20070218306A1 (en) 2007-09-20
CA2547766A1 (en) 2005-06-30
MY142312A (en) 2010-11-15
AU2004299239A1 (en) 2005-06-30
CN100519611C (zh) 2009-07-29
EA011027B1 (ru) 200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6394A (en) Manufacture of chipboard
EP1639052B1 (en) Oriented strand boards
AU2009262835B8 (en) Storage stable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s and applications thereof
US5637658A (en) Modified phenol-aldehyde resin and binder system
CN104893633B (zh) 一种集成材用三聚氰胺-尿素-甲醛共缩聚树脂胶粘剂及其制备方法
KR20060124644A (ko) 합판 및 합판의 제조방법
US20090326166A1 (en) Storage stable amino-formaldehyde resins and applications thereof
CA2594398A1 (en) Oriented strand board
EP0915141B1 (en) Phenol-melamine-urea-formaldehyde copolymer resin compositions, method of making and curing catalysts thereof
AU2004259988B2 (e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formaldehyde-containing aminoplast resin and a catalysing compound
US5378544A (en) Wood composites with light colored glue lines
CS209521B2 (en) Reactive catalyzer for the polycondensation of the amino-resins
AU763697B2 (en) Phenol formaldehyde resins
JPS58179281A (ja) 木材用粉末樹脂接着剤の製造方法
JP2000001523A (ja) 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