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060A - 차량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060A
KR20060124060A KR1020050045799A KR20050045799A KR20060124060A KR 20060124060 A KR20060124060 A KR 20060124060A KR 1020050045799 A KR1020050045799 A KR 1020050045799A KR 20050045799 A KR20050045799 A KR 20050045799A KR 20060124060 A KR20060124060 A KR 20060124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vertical
horizontal
rear en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515B1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5004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51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부품 및 제작공수가 대폭 감소됨과 동시에 불량품의 발생이 방지되는 등의 장점은 물론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생산비용은 크게 저감되는 등 매우 경제적이고도 미려한 제품을 얻게 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에 삽입구(111)가 구비되어 있는 표피체(11)의 내부에 우레탄 등의 발포물로 되는 쿠션재(12)를 충만시켜 되는 소정 형태의 받침부재(10)와, 상기 받침부재에 대응하는 형태로 되게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상기 쿠션재의 내부에 매몰되는 소정 두께의 골격부재(20)와, 상측부분은 상기 골격부재의 후단부측에 매몰되어 서로 한 몸체와 같이 고정되며 양 수직부는 상기 표피체의 저면을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는 스테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스테이, 헤드레스트, 차량용헤드레스트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A headrest for cars}
도 1a는 종래 헤드레스트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동 종래 헤드레스트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헤드레스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측단면도
도 4a는 도 3의 헤드레스트의 골격부재와 스테이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골격부재와 스테이를 결합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c는 도 4a에서 골격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헤드레스트의 골격부재와 스테이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골격부재와 스테이를 결합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헤드레스트의 골격부재와 스테이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골격부재와 스테이를 결합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부재
11 : 표피체 12 : 쿠션재
111 : 삽입구 112 : 걸림편
20 : 골격부재
21 : 결합구 22 : 공급통로
23 : 걸이돌기 221 : 주입구
213 : 수평공 222 : 토출구
223 : 제2 토출구
30 : 스테이
31 : 수평부 32 : 양 수직부
321 : 고정홈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 그 중에서도 뒷자석에 착설하여 사용하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생산비용도 저감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 또는 뒷 좌석의 각 등판에 착설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는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가 통기성을 갖는 직물지와 스펀지 등을 봉제하여 되는 표피체의 내부에 우레탄 등의 발포액을 발포시켜 되는 쿠션재를 내장시켜 통기성과 쿠션기능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인데, 앞 좌석에 착설하는 헤드레스트와 뒷 좌석에 착설하는 헤드레스트는 각기 받침부재 및 이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스테이의 형태가 다소 상이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들 중에서 뒷 좌석에 착설하는 헤드레스트는 도 1a,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부재(1)가 평면상태의 상면부와 이 상면부의 선단으로부터 만곡되어 거의 수직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전면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1)가 상기와 같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표피체(1a)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테이(2)의 상측부분도 상기 받침부재의 형태를 이루게 가공하여야 되는데, 종래에는 이렇게 가공하기 위해 강봉 또는 파이프를 "ㄷ"형태로 1차 벤딩가공하여 수평부(2a)와 이 수평부의 양단으로 부터 서로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양 수직부(2b)를 형성한 다음 상기 양 수직부의 각 상단측 지점(a)과 중간측 지점(b)을 각각 2,3차로 벤딩가공하여 스테이를 2단 절곡시켜 주었다.
그런데, 강봉 또는 파이프를 1차 벤딩가공하여 양 수직부(2b)의 간격이나 수직도를 동일하게 "ㄷ"형태로 할 수 있지만, 이 후 2, 3차의 벤딩가공시에는 재료의 비틀림 현상등에 의한 변형으로 인하여 양 수직부의 간격이나 수직도가 스테이들 마다 모두 다르게 됨은 물론 그 정도가 지나쳐 좌석에 착설할 수 없어 폐기해야 되는 불량제품의 발생률이 높게 됨과 동시에 벤딩공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은 저하되고 제조원가는 상승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3차의 벤딩가공을 거쳐 스테이(2)가 제작되면 우레탄 등의 발포액을 금형내에 주입·발포시켜 표피체(1a)의 내부에 장착하는 쿠션재(3)를 성형할 때 상측부분이 쿠션재내부에 매몰되게 함으로써 쿠션재와 상측부분이 한 몸체와 같은 상 태로 결속되게 하였다. 이때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상측부분의 양 수직부(2b)들 사이에는 강봉 또는 파이프로 되는 결속봉(4)을 용접·부착함과 동시에 성형완료 된 쿠션재를 표피체내부에 삽입한 다음 표피체의 삽입구(1b)를 봉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3차 벤딩부분인 중간측(b)의 직하방 사이에는 고정판(5)을 용접·부착하여 삽입구의 내측에 위치토록 하고 삽입구의 외측에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봉합판(6)을 결합하여 삽입구의 주연부가 고정판과 봉합판들 사이에 개재되게 한 상태에서 나사(7)로 결착하여 봉합하였기 때문에 결속봉과 고정판 및 봉합판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됨에 따라 부품수 및 제작공수의 증가와 결속봉과 고정판의 용접에 의한 작업공수가 증가됨과 동시에 작업성이 매우 불량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리고, 고정판(5)은 금속판재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봉합판(6)을 나사(7)로 결착하기 위한 수개의 체결공(5a)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삽입구(1b)의 주연부를 걸어주기 위한 걸이편(5b)이 수개소에 구비되도록 각각 일부분만 제외하고 절삭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을 포함하여 스테이(2)의 상측부분을 금형내에 장착한 상태에서 발포물을 주입·발포시킬 때 발포물이 체결공이나 걸이편의 절삭부분을 통해 고정판의 외면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공과 절삭부분의 내면에 접착테이프(8)를 부착하여 봉해주어야 되는 등 전체적으로 가공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한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헤드레스트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성이 양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생산비용이 저감됨은 물론 불량제품의 발생이 방지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및 전체적인 제작공수가 대폭 감소됨은 물론 매우 간편·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헤드레스트는 받침부재의 형태를 감안하여 합성수지로 성형한 골격부재의 후단부측에 스테이의 상단부를 결합하여 서로 한 몸체가 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부재의 표피체내부에 골격부재를 삽입한 다음 스테이의 양 수직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금형내에 장착하여 우레탄 등의 발포액을 표피체내에 직접 주입·발포시켜 제작함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이렇게 하면 골격부재와 표피체 및 스테이가 한 번의 발포공정에 의해 모두 한 몸체로 성형됨은 물론 성형후에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봉합판으로 표피체의 삽입구를 봉합시켜 줄 필요도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그 실시예에 의해 첨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헤드레스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헤드레스트의 측단면도이며, 도 4a-c는 동 헤드레스트에서 골격부재와 스테이의 제1 실시예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표피체(11)의 내부에 우레탄 등의 발포물로 되는 쿠션재(12)를 충전시켜 되는 받침부재(10)와, 상기 받침부재에 대응하는 형태로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쿠션재의 내부에 매몰되는 골격부재(20)와, 상측부분은 상기 골격부재의 후단부측에 결합하여 한 몸체와 같이 고정되며 양 수직부는 표피체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스테이(30)로 구성된다.
받침부재(10)는 평면상태의 상면부와 전면이 상기 상면부의 선단으로부터 만곡되어 하향 연장되는 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형태로 통기성을 갖는 직물지와 스펀지 등을 봉제하여 되는 표피체(11)의 후단부측 저면에는 골격부재(20)의 삽입구(111)가 횡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있다.
골격부재(20)는 받침부재(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합성수지로 소정의 두께로 성형되며, 후단부측에는 강봉 또는 파이프로 되는 스테이(30)의 상측부분을 결합하여 한 몸체와 같이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21)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구(21)는, "ㄷ"형태로 되는 스테이(30)의 수평부(31)가 결합되게 골격부재(20)의 후단부측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수평홈부(211)와 이 수평홈부의 양단에서 후단부측을 수직으로 하향 관통하게 되는 수직공(21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테이(30)를 골격부재(20)에 결합하여 고정할 때에는 양 수직부(32)를 수직공(21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게 삽입하여 수평부(31)가 수평홈부(211)에 결합되게 한 다음 골격부재와 동일한 합성수지액 또는 접착제(p)를 도포·경화시켜 주면, 수평홈부와 수직공에 결합된 수평부와 양 수직부 상단을 포함한 스테이의 상측부분이 매몰·고정되어 서로 한 몸체가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골격부재(20)의 후단면 양쪽이나 양측면의 후단측에 수직공(212)과 연결되게 수평공(21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공을 관통하는 스테이(30)의 양 수직부(32)의 외면 중 수평공위치에는 고정홈(321)을 형성하여 수직공에 수직부를 결합한 다음, 수평공에 골격부재와 동일한 합성수지액 또는 접착제를 주입·경화시켜 주어도 스테이(30)는 단단히 고정된다.
이외에도, 골격부재(20)를 성형할 때 스테이(30)의 상측부분을 골격부재를 성형하는 금형내에 장착시켜 매몰되게 성형하여도 되지만, 이렇게 성형하게 되면 스테이가 도금처리 된 것인 경우에는 성형과정에서 고열 등으로 인해 도금이 변색되거나 또는 흠집이 생기게 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물론 도금처리가 되지 않은 스테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성형 후 골격부재가 한 몸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양 수직부(32)를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도금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양 수직부(32)만으로 되는 스테이(30)와, 골격부재(20)와, 이 골격부재(20)에 스테이(30)를 결합하여 한 몸체와 같이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21)로 구성된다.
이 결합구는 골격부재의 후단부측 양쪽에 각각 상하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수직공(212)과 후단면의 양쪽 또는 양측면의 후단측에 수직공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수평공(213)으로 되며, 수직공을 관통하는 수직부의 상측부분의 외면에서 수평공의 위치에는 고정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골격부재(20)와 스테이(30)를 결합하여 고정할 때에는, 각 수직공(212)에 양 수직부(32)의 상측부분을 각각 결합 한 다음 수평공(213)을 통해 골격부재와 동일한 합성수지액 또는 접착제(p)를 주입·경화시켜 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주입된 합성수지액 또는 접착제가 스테이(30)의 외주면과 수직공(212)의 내주부면 사이의 틈새와 고정홈(321)에 충전되어 경화되므로 스테이는 골격부재(20)와 한 몸체로 되게 단단히 결합·고정된다.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양 수직부(32)와 이 수직부의 상단에 소정의 길이로만 절곡 연장된 수평부(31)로 되는 스테이(30)와, 골격부재(20)와, 골격부재(20)와 스테이(30)를 한 몸체와 같이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21)로 구성되며, 이 결합구는 골격부재의 상면 양쪽에 수평부의 길이와 대응하는 수평홈부(211)를 수직공(212)의 상단과 연결되게 요입 형성된다.
따라서, 스테이(30)를 골격부재(20)에 결합하여 고정할 때에는 수평부(31)가 수평홈부(211)에 삽입되게 수직부(32)의 상측부분을 수직공(212)에 결합시켜 준 다음,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평홈부와 수직공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부와 수직부의 상측부분을 골격부재와 동일한 합성수지액 또는 접착제로 도포·경화시켜 주거나 또는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직공과 연결되게 골격부재의 후단면의 양쪽에 수평공(214)을 형성하고, 수직공을 관통하는 수직부의 상단부측 외면에서 수평공의 위치에는 고정홈(321)을 형성하여 수직공에 수직부의 상단부측을 각각 결합한 다음에 수평공을 통해 골격부재와 동일한 합성수지액 또는 접착제(p)를 주입·경화시켜 주어도 된다.
그리고, 골격부재(20)는 도 1a, 1b에서의 종래 헤드레스트와 같이 금형에 장착한 상태에서 우레탄 등의 발포물을 주입·발포시켜 쿠션재(12)와 한 몸체로 되게 성형하여 상기 쿠션재와 함께 삽입구(111)를 통해 표피체(11)의 내부에 삽입하여도 되는데,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삽입구를 외측에서 봉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봉합판을 결합하여 삽입구의 주연부가 골격부재와 봉합판들 사이에 개재되게 한 상태에서 이들을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해야 되므로, 골격부재의 저면에는 봉합판에 형성된 나사공과 동일한 위치에 나사의 체결공들을 형성하여야 된다.
물론, 이때 성형하는 나사의 체결공들은 비록 골격부재(20)의 두께를 감안하더라도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해 관통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하면 골격부재(20)를 금형에 장착하여 쿠션재(12)를 성형할 때 주입되는 발포액이 체결공들을 통해 골격부재의 저면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공의 내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봉해 주어야 하고 종래와 같이 봉합판을 별도로 제작 구비해야 되는 등 전체적으로 가공 및 조립공수가 증가됨은 물론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면 골격부재(20)를 표피체(11)의 내부에 삽입하여 함께 금형에 장착한 상태에서 삽입구(111)를 통해 상기 표피체내로 발포액을 직접 주입·발포시켜 상기 골격부재와 표피체 및 쿠션재(12)가 모두 한 몸체로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발포액을 표피체(11)내부에 직접 주입하면 초기에 주입되는 발포액 이 표피체의 내면에 직접 접촉되어 표피체의 조직에 함침된 상태로 경화되므로 국부적으로 경직된 부위가 발생하는 소위 하드스포트(hard spot) 현상이 발생되고 그 일부는 굳기 전에 조직을 투과하여 표면으로 누출되는 등 불량제품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의 발포가 시작되기 까지의 짧은 시간동안은 표피체(11)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표피체의 내부로 분산되게 함으로써 주입 초기에 발포액이 표피체의 내면에 액체상태로 접촉되지 않게 하여야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구(221)는 저면의 후단측에서 하부로 개방되고 토출구(222)는 상면의 선단 만곡부측에서 전면으로 개방되는 공급통로(22)를 주입구에서 토출구까지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상단에서 전면으로 이어지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ㄱ" 형태로 되게 골격부재(20)의 후측부에 형성하고, 토출구측의 하부에는 제2토출구(223)를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하였다.
물론, 이렇게 형성되는 공급통로(22)와 주입구(221) 및 토출구(222)(223)들은 골격부재(20)의 좌우 폭을 감안하여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함과 동시에 주입구는 골격부재의 후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스테이(30)의 양 수직부(32)들 사이에 위치토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급통로(22)가 형성된 골격부재(20)를 도 3과 같이 삽입구(111)를 통해 표피체(11)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금형(M)에 장착함과 동시에 골격부재의 후단부측에 착설된 스테이(30)의 양 수직부(32)는 금형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 다음에 발포액의 주입장치와 연결되는 공급튜브(40)를 금형의 주입구를 통해 주입구(221)에 결합하고 발포액을 주입하면 주입되는 발포액이 공급통로(22)를 통과한 후 토출구(222)(223)를 거쳐 표피체(11)의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발포액은 공급통로의 수직부에서 수평부로 진입될 때 수평부의 내면에 부딪친 후 그 방향이 바뀌게 되는 과정에서 저항을 받게 되어 공급통로를 통과하는 시간이 지연된다.
이때, 지연되는 시간이 극히 짧아도 이미 발포액의 발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결국 공급통로(22)를 통과하여 토출구(222)(223)로 토출되는 발포액은 액체상태가 아닌 크림상태이므로 표피체(11)의 조직에 함침되거나 투과하지 않게 됨과 동시에 내부에 충만된다.
이렇게 주입된 발포액의 발포가 완료되면 골격부재(20)는 발포된 쿠션재(12)에 매몰되어 한 몸체로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주입되는 발포액은 토출구(222)(223)가 전면과 저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표피체(11)의 내부에 충만됨은 물론 쿠션재가 토출구들을 통해 상하로 연결됨에 따라 골격부재와 견고하게 결속된다.
그리고, 골격부재(20)의 하향 연장된 전면부에도 관통공(213)을 형성하면, 쿠션재(12)와의 결속력이 더욱 증강되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결속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헤드레스트 자체의 무게도 감소된다.
한편, 주입구(221)의 내면 하단부측 양쪽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걸이돌기(23)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삽입구(111)의 전후단부 내면에는 비닐 등으로 되는 걸림편(112)들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골격부재(20)를 표피체(11)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삽입구(111)의 전후단부를 각각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게 구부려서 주입구(221)내로 삽입시켜 주면 걸림편(112)들이 걸이돌기(23)들에 걸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면, 주입구(221)의 저면은 삽입구(111)의 전후단부에 의해 감싸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삽입구는 서로 합쳐지는 전후단부에 의해 봉합되며, 이때 스테이(30)의 양 수직부(32)는 삽입구의 양쪽단부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로 금형에 장착한 다음,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제의 공급튜브(40)를 납짝하게 겹쳐서 그 선단부를 금형의 주입구를 통해 삽입구(111)로 삽입하여 공급통로(22)와 연결시킨 후 튜브의 후단부에 발포액 주입장치를 연결하고 발포액을 주입·발포한다.
발포가 완료되면 공급튜브(40)를 뽑아내고 금형으로부터 탈형하거나 또는 탈형한 다음 삽입구(111)에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공급튜브를 뽑아내어 가공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가공하면, 주입구(221)가 그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합쳐져 밀착된 삽입구(111)의 전후단부에 의해 봉합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주입구가 보이지 않고 표피체(11)를 봉재하여 만들때 나타나는 다른 부분의 재봉선과 같은 형태로 보이게 되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별도의 봉합판을 나사로 부착하여 가려주어야 되는 등의 후 작업이 필요 없음은 물론 외관이 매우 미려하게 되어 상품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및 제작공수가 감소됨과 동시에 불량품의 발생이 방지되는 등의 장점은 물론 생산 성이 향상되고 생산비용이 저감되는 등 경제적인 효과도 얻게 된다.
특히, 골격부재를 표피체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발포액을 직접 주입하여 발포시켜도 발포액이 액체상태로 표피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됨으로써, 표피체의 조직에 국부적으로 발포액이 함침되어 경화되는 소위 하드스포트 현상의 발생이 방지됨은 물론 조직을 투과하여 표면으로 누출되는 현상도 방지됨과 동시에 후 작업이 필요 없는 미려한 제품을 얻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선단으로 향하여 하향 만곡되는 중공형 표피체(11)의 내부에 우레탄 등의 발포물로 되는 쿠션재(12)가 발포, 충만되는 받침부재(10)와;
    상기 받침부재(10)를 좌석에 지지하는 스테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상기 쿠션재(12)의 발포전에 상기 받침부재(10)에 삽입되고 한 쌍의 결합구(21)가 후단부측에 구비되고, 발포액의 주입구(221)가 저면의 후단부측에서 하부로 개방되고 토출구(222)가 상면의 선단 만곡부측에서 전방으로 개방되는 발포액의 공급통로가 구비된 골격부재(20)와;
    상측부분이 상기 골격부재(20)의 결합구(21)에 결합고정되고 양 수직부가 상기 표피체(11)의 저면을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는 스테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로(22)가, 상기 주입구(221)에서 토출구(222)까지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상단에서 전면으로 이어지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로(22)의 토출구(223)측 하부에는, 상기 골격부재(20)의 후단부측 저면에서 하부로 개방되는 제2 토출구(22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로(22)의 주입구(221)는, 상기 골격부재(20)의 후단부측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스테이(30)의 양 수직부들 사이에 위치하게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로(22)의 주입구(221)는, 상기 골격부재(20)의 후단부측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스테이(30)의 양 수직부들 사이에 길게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221)의 전후측 내면 하단부측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걸이돌기(23)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221)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구부려서 삽입하게 되는 삽입구(111)의 전후단부 내면에는 상기 걸이돌기(23)들에 걸어지는 걸림편(112)들이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30)는, 수평부(31)와 이 수평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절곡 연장된 양 수직부(32)로 구성되며;
    상기 골격부재(20)의 결합구(21)는, 상기 수평부(31)가 결합 고정되게 골격부재(20)의 후단부측 상면에 횡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수평홈부(211)와 상기 수평홈부(211)의 양 단에서 후단부측을 수직으로 하향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양 수직부(32)가 각각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게 결합되는 수직공(2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부재(20)의 후단면 양쪽이나 양측면의 후단측에는, 상기 수직공(212)과 연결되는 수평공(213)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30)의 수직공(212)을 관통하는 양 수직부(32)의 외면 중 상기 수평공(212)의 위치에는, 고정홈(321)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공(212)을 통해 고정홈(321)과 수직공(212)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에 충전되게 합성수지액이나 접착제를 주입·경화시켜 상기 골격부재(20)와 스테이(30)가 한 몸체와 같이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30)는, 양 수직부(32)로 만 구성되고;
    상기 골격부재(20)의 결합구(21)는, 상기 골격부재(20)의 후단부측 양쪽에 각각 상하로 수직 관통하게 형성되는 수직공(212)으로 만 구성되며;
    상기 골격부재(20)의 후단면 양쪽이나 양측면의 후단측에는 상기 수직공(212)과 연결되는 수평공(213)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30)의 수직공(212)을 관통하는 양 수직부(32)의 외면 중 상기 수평공(212)의 위치에는 고정홈(321)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공(212)을 통해 고정홈(321)과 수직공(212)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에 충전되게 합성수지액이나 접착제를 주입·경화시켜 상기 골격부재(20)와 스테이(30)가 한 몸체와 같이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30)는, 양 수직부(32)와 상기 수직부(32)의 상단에 소정의 길이로만 절곡 연장된 수평부(31)로 구성되고;
    상기 골격부재(20)의 결합구(21)는, 상기 골격부재(20)의 상면 양쪽에 상기 수평부(31)가 결합 고정되게 요입 형성되는 수평홈부(211)와, 상기 수평홈부(211)가 상단에 연결되게 골격부재(20)의 후단부측 양쪽에 각각 상하로 수직 관통하게 형성되는 수직공(2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30)의 수직공(212)을 관통하는 양 수직부(32)의 외면 중 상기 수평공(212)의 위치에는, 고정홈(321)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공(212)을 통해 고정홈(321)과 수직공(212)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에 충전되게 합성수지액이나 접착제를 주입·경화시켜 상기 골격부재(20)와 스테이(30)가 한 몸체와 같이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050045799A 2005-05-30 2005-05-30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69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799A KR100699515B1 (ko) 2005-05-30 2005-05-30 차량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799A KR100699515B1 (ko) 2005-05-30 2005-05-30 차량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060A true KR20060124060A (ko) 2006-12-05
KR100699515B1 KR100699515B1 (ko) 2007-03-23

Family

ID=3772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799A KR100699515B1 (ko) 2005-05-30 2005-05-30 차량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9703A (zh) * 2018-01-15 2019-07-23 株式会社塔捷斯 车辆用座椅及头枕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480B1 (ko) 2015-10-29 2016-12-23 주식회사 아난 커버의 재봉 라인이 실링 처리된 헤드레스트 성형방법
KR102179192B1 (ko) 2020-02-20 2020-11-16 이동훈 차량용 헤드레스트 커버의 실링 재봉방법
KR102179198B1 (ko) 2020-02-20 2020-11-16 이동훈 차량의 헤드레스트 커버용 실링 재봉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589A (ja) * 1995-11-15 1997-05-27 Inoac Corp 車両用ヘッドレス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9703A (zh) * 2018-01-15 2019-07-23 株式会社塔捷斯 车辆用座椅及头枕的制造方法
CN110039703B (zh) * 2018-01-15 2021-04-20 株式会社塔捷斯 车辆用座椅及头枕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515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13734B (zh) 车辆座椅
JP5875361B2 (ja) 車両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9951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4710586B2 (ja) 表皮材積層発泡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US7367603B2 (en) Headrest, seat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drest
WO2018211744A1 (ja) 発泡成形体
JP6517036B2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356565B (zh) 发泡成型品、发泡成型品的制造方法及发泡成型品的成型模具构造
JP2009072916A (ja) シート用バック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7292045B2 (ja) シートパッドおよび成形型
JP6404010B2 (ja)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286528A1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30577A (ja) 表皮一体型ヘッドレストの表皮構造
JP5377891B2 (ja) シート用クッションパッド
JP3681722B2 (ja) 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WO2020054175A1 (ja) 発泡成形品の成形型、該成形型を用いて成形したシートパッド及び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4515393B2 (ja) 表皮一体発泡品の製造装置
JP7166041B2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98808A (ja) 乗物シート用ビーズ発泡成形部材
JP7121292B2 (ja) 発泡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CN108099720A (zh) 带凹面的座椅靠背及其生产方法
JP4454406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ヘッドレ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0826B1 (ko) 차량용 시트패드 발포 성형금형
JP3145648B2 (ja) 椅子成形方法
KR100712624B1 (ko) 벨크로 테이프의 시트 패드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부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