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861A -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861A
KR20060122861A KR1020067009635A KR20067009635A KR20060122861A KR 20060122861 A KR20060122861 A KR 20060122861A KR 1020067009635 A KR1020067009635 A KR 1020067009635A KR 20067009635 A KR20067009635 A KR 20067009635A KR 20060122861 A KR20060122861 A KR 2006012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etal sheet
stripping
cathode
b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463B1 (ko
Inventor
빅터 로빈슨
필립 도날드슨
Original Assignee
팔콘브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팔콘브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팔콘브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8Mirrors;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25C7/08Separating of deposited metals from the cath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5/00Electrolytic stripping of metallic layers or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전착된 금속시이트를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이 블랭크(14)는 양측면(16, 18)과,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를 갖는다. 상기 장치는 전착된 금속시이트를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한 스트리핑 조립체(30)와, 배출조립체(32)와, 금속시이트 외향공급조립체(34)를 포함한다. 배출조립체는 스트리핑 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스트리핑 조립체로부터 나오는 금속시이트와 맞물리도록 된 양측 가이드롤러(155)를 포함한다. 금속시이트 외향공급 조립체는 금속시이트를 받기 위해 배출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금속시이트가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겨졌을 때, 가이드롤러가 금속시이트를 외향공급 조립체에 제어 가능하게 공급한다. 이 방법은 금속시이트를 캐소드로부터 벗기는 단계와, 벗겨진 시이트를 외향공급 조립체측으로 제어 가능하게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착, 금속시이트, 캐소드 블랭크, 스트리핑

Description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ODEPOSITED METAL SHEETS FROM PERMANENT CATHODES}
본 발명은 전해채취(electro-winning) 및 전기정련법(electrorefining techniques)에서 사용되는 영구적인 캐소드상의 전착금속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전해채취는 전해기(electrolytic cell)에 의해 가용성염으로부터 금속을 추출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이는 아연, 코발트, 크롬 및 망간의 회수에 사용되며, 최근에는 규산염광석의 형태인 경우 구리에 적용되어왔다. 어떤 특정의 금속이라도 용액중의 염은 전기분해를 받아서 캐소드 스타터 플레이트(cathode starter plate) 상에 전착된다. 특히, 침출/용매 전해질로부터 순수금속구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해채취법은 불활성 납합금 애노드와 CuSO4-H2SO4-H2O 전해질에 잠겨있는 스텐레스강 또는 구리 캐소드 사이에 전위를 인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구리금속은 캐소드에 전착되고 산 소기체가 애노드에서 방출된다. 정련된 구리의 순도는 다른 인자 중에서도 전해조 (electrolytic bath)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균일한 거리로 위치하는 스텐레스강으로 제조된 직선형 캐소드를 제공함으로써 최대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기정련은 애노드로서 불순금속을 사용하며 애노드로부터 순수금속이 용해된 후 캐소드에 전착되는 전기분해에 의해 금속을 정련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특히 구리를 전기정련할 때, 불순구리 애노드로부터 CuSO4-H2SO4-H2O전해질 속으로 용해된다. 캐소드에는 애노드 불순물이 없는 순수구리가 도금된다. 이렇게 정련된 구리는 순도가 매우 높은데, 일반적으로 20ppm미만의 불순물과 약 0.025%로 제어된 산소를 갖는다.
스타터 플레이트를 제조하는데 스테인레스강 등의 다른 금속을 사용할 때, 스타터 플레이트에 전착된 정련금속을 이후에 제거하여야 한다. 정련금속으로 덮여진 스타터 플레이트를 벗기기 위해, 종래의 기술은 다수의 세정용, 스트리핑용, 정련용 등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한가지 문제점은 전착금속의 중량이 300kg이상이나 되어서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견고하고 튼튼한 구조물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선형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캐소드는 다수의 스트리핑 스테이션을 통해 좁은 팬(pan)형 컨베이어에 의해 바닥엣지(edge) 상에서 운반되고 지지된다. 미국특허 제 5,149,410호에서 교시하는 것 등의 그 외의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원형컨베이어(carousel)에 의해 다수의 스트리핑 스테이션을 통해 캐소드 플레이트를 운반하는 회전형 상부구동 원형컨베이어에 기초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캐소드 플레이트는 원형컨베이어 베이스에 장착된 지지부로부터 행거바에 의해 매달린다. 이들 시스템의 한가지 결점은 일단 스타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면 금속전착 플레이트는 컨베이어에 의해 제거되기 위해 적어도 전장만큼 낙하하여야 된다는 것이다. 또한, 구조물의 관성이 큰 대질량(high mass)은 투자비용이 높은 튼튼한 구동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시이트를 벗기는 개량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적인 캐소드를 벗기는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착된 금속시이트를 캐소드 블랭크(cathode blank)로부터 벗기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블랭크는 양측면과, 상류측 및 하류측 단부와,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면에 마련되어 상류측엣지 및 하류측엣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시이트를 가지며, 상기 장치는: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한 스트리핑 조립체(stripping assembly)와;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에서 나오는 금속시이트와 맞물리도록 된 양측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배출조립체(discharge assembly)와;
상기 금속시이트를 받기 위해 상기 배출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금속시이트 외향공급조립체(metal sheet out-feed assembl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금속시이트가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겨졌을 때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외향공급조립체에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전착된 금속시이트를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한 장치용 배출조립체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배출조립체의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된 금속시이트 스트리핑 조립체와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된 금속시이트 외향공급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조립체는: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에서 나오는 금속시이트와 맞물리도록 된 양측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데, 상기 금속시이트가 상기 캐소드블랭크로부터 벗겨지면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외향공급조립체에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전착된 금속시이트를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한 단일스테이션 장치로서, 상기 블랭크는 양측면과,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와,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면에 마련되어 상류측엣지 및 하류측엣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시이트를 가지며, 상기 장치는:
내향공급 조립체(in-feed assembly)와;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캐소드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해 상기 내향공급 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스트리핑 조립체로서,
상기 금속시이트의 상류측엣지를 헐겁게 하기 위한 해머링 조립체와;
상기 금속시이트의 벗겨진 부분을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트리핑 조립체와;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로부터 나오는 금속시이트와 맞물리도록 된 양측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배출조립체와;
상기 금속시이트를 받기 위해 상기 배출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금속시이트 외향공급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금속시이트의 내향공급, 스트리핑, 해머링, 분리, 배출 및 외향공급은 단일 연속스테이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전착된 금속시이트를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는 양측면과,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와,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면에 마련되어 상류측엣지 및 하류측엣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시이트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는 단계와;
상기 벗겨진 금속시이트를 외향공급 조립체에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금속시이트가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겨진 후 스트리핑 조립체로부터 제어 가능하게 배출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만 제공하는 이후의 본 발명의 비제한적 설명을 보면 보다 확실하게 이해될 것이다.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 첨부도면에서,
도 1, 도 2, 도 3, 도 4,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시이트의 캐소드로부터의 스트리핑 및 장치로부터의 배출의 연속과정을 나타내는 전착된 금속시이트를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벗기기 위한 장치의 정면입면도(front elevation view).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분리조립체와 캐소드 및 금속시이트를 나타내는 도 1의 선 5-5를 따라서 취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나이프부재를 갖는 도 5의 분리조립체의 정면도로서, 이 경우 분리조립체는 캐소드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기울어진 상태의 반대측으로 기울어져 위치한다.
도 7은 동작상태에서 도시한 나이프부재를 갖는 도 5와 유사한 분리조립체의 측면도.
도 8은 동작상태에서 도시한 나이프부재를 갖는 도 5의 분리조립체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게이트 조립체의 정면입면도.
도 10은 도 9의 게이트 조립체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출조립체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전착금속 시이트(12)를 벗기기 위한 장치(10)를 나타낸다.
도 1,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캐소드 블랭크(14)는 양측면(16, 18)과 상류측 및 하류측 단부(20, 22)를 갖는다.
도 1,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금속시이트(12)는 여기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캐소드 블랭크면(16, 18)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마련되어 각각의 상류측 엣지(24, 26) 및 각각의 하류측 엣지(28)를 규정한다. 본 예에서, 엣지(28)들은 인접해있으며 단일 공통엣지를 형성한다. 이처럼 금속시이트(12)는 캐소드 블랭크를 감싸서 공통엣지(28)에서 만나서 V형 또는 U형 구조물을 형성하는 두 개의 금속시이트 또는 금속시이트부(12a, 12b)(도 6, 도 8 및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로 돌아가서, 장치(10)는 스트리핑 조립체(30), 배출 조립체(30)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출 조립체(32), 및 배출 조립체(32)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금속외향공급조립체(34)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는 스트리핑 조립체(30)의 상류측에 캐소드 내향공급조립체(35)를 포함한다(도 3, 도 5 및 도 7 참조).
장치(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조립체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의 중공구조부의 구조적 용접조립체인 지지프레임 조립체(36)를 더 포함한다. 이 지지프레임 조립체(36)는 각각의 상단부재(42, 44)를 갖는 두 개의 테이블부재(38, 40)를 포함한다. 상단부재(42, 44)는 각 쌍의 다리부재(46, 48 및 50, 52) 상에 직립하고 있다. 다리부재(46, 48)는 상호연결부재(54)에 의해 안정화되고, 다리부재(50, 52)는 상호연결부재(56)에 의해 안정화된다. 지지프레임 조립체(36)는 또한 다리부재(48, 50) 사이에 각각 장착된 상측 및 하측 중앙부재(58, 60)를 포함한다.
스트리핑 조립체(30)는 한 쌍의 양측으로 이격된 스트리핑부재(62, 64)를 포함하는데, 이 스트리핑부재는 그 사이에 캐소드블랭크수용영역을 형성한다(도 3도 참조).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스트리핑부재(62, 64)는 각각 상호 이동 가능한 왕복대(carriage)(63, 65)를 포함한다.
상호 이동 가능한 왕복대(63, 65)는 화살표 A 및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캐소드블랭크수용영역(66)에 대하여 상호 이동할 수 있도록 각 액츄에이터(72, 74)에 장착된 후방단부(68, 70)를 갖는다. 액츄에이터(72, 74)는 각각 지지구조물(76, 78)을 통하여 상단지지부재(42, 44)에 장착된다. 상호 이동 가능한 왕복대(63, 65)는 슬라이드면(80, 82)을 포함한다. 슬라이드면(80, 82)은 각각 가이드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단지지부재(42, 4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트리핑부재는 각각 왕복대(63, 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88, 90)를 포함한다.
스트리핑부재(62, 64)는 각각 가동핑거부재(84, 86)를 포함한다.
각 핑거부재(84, 86)는 각각의 블레이드부재(92, 94)(도 4 참조)를 포함하며, 각각 피봇(pivot)(89, 91)을 통하여 왕복대(63, 65)에 피봇상태로 장착된다. 핑거(84, 86)는 각각 핑거작동조립체(96, 98)에 장착된다. 작동조립체(96, 98)는 각각의 액츄에이터(93, 95)(도 4 참조)를 포함한다. 화살표 B 및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렇게 액츄에이터(93, 95)는 핑거(84, 86)를 작동시켜서 이들 핑거들이 피봇(89, 91)을 중심으로 수용영역(66)에 대하여 상호 피봇동작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한다.
스트리핑부재(62, 64)는 각각 왕복대(63, 64)에 장착된 상단클램프부재(128, 130)(도 1 참조)와 연장부(88, 90)에 장착된 바닥클램프부재(132, 134)(도 1 참조)를 포함한다. 상단클램프부재(128, 130)는 폴리우레탄으로 피복된 클램프이다. 바닥클램프(132, 134)는 스프링이 장착된 금속 클램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단클램프(128, 130)는 금속시이트(12)의 상단엣지(24, 28)를 조이도록 구성되는 반면, 바닥클램프(132, 134)는 금속시이트(12)의 바닥엣지(28)를 조이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리핑 조립체(30)는 이격된 스트리핑부재(62, 64)의 하류측에 분리조립체(100)를 포함한다.
특히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분리조립체(100)는 가동나이프부재(102)를 포함한다. 나이프부재(102)는 블레이드(104)와 핸들부(106)를 포함한 다. 핸들부(106)는 나이프작동조립체(108)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이프작동조립체(108)는 핸들부(106)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3)에 피봇(112)을 통하여 피봇상태로 장착된 상단부(111)를 갖는 액츄에이터(110)를 포함한다. 핸들부(106)는 작동조립체(108)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5)에 피봇(114)을 통해 피봇상태로 장착된다. 작동중에 액츄에이터(110)는 나이프부재(102)를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스위핑동작(sweeping motion)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도 7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나이프부재(102)는 또한 측방작동조립체(116)에 장착된다. 작동조립체(116)는 나이프부재(102)를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커넥터(120)를 통해 나이프핸들(106)에 장착된 수평액츄에이터(118)를 포함한다. 커넥터(120)는 나이프부재(102)의 각도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해 조정식 이중 너트로크(nut lock)(122)를 포함한다.
도 2로 돌아가서, 스트리핑 조립체(30)는 또한 해머링 조립체(124)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해머링 조립체(124)는 왕복대(62, 64)에 각각 장착된 양측의 이격된 해머부재(126, 128)를 포함한다. 해머부재(126, 12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4, 28의 상측엣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에어 해머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리핑 조립체(30)는 스트리핑부재(62, 64)의 하류측에 폴딩조립체(136)를 더 포함한다.
도 2로 돌아가서, 폴딩조립체(136)는 연장부(88, 90)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이격된 폴딩부재(138, 140)를 포함한다. 폴딩부재(138, 140)는 각 유압액츄에이터(146, 148)에 장착된 아이들 롤러(idle roller)(142, 144)를 포함한다. 이런 방식으로 아이들 롤러(142, 144)는 화살표 E 및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이동할 수 있다.
도 1 -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배출조립체(32)는 게이트 조립체(152), 게이트 조립체(152)의 하류측의 롤러 조립체(155) 및 롤러 조립체의 하류측의 가이드부재(157)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으로 돌아가서, 게이트 조립체(152)는 한 쌍의 양측 게이트부재(154, 156)를 포함한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게이트 부재(154, 156)는 지지부(159, 161)를 통하여 각 샤프트(162, 164)에 피봇상태로 장착된 단부(158, 160)를 각각 갖는다. 샤프트(162, 164)는 각 쌍의 샤프트 지지부(163, 165)에 장착된다. 샤프트 지지부(163, 165)는 프레임지지 조립체(36)의 상측 중앙부(58)(여기서는 하나의 상측 중앙부만을 도시하였다)에 장착된다.
게이트부재(154, 156)는 각 단부(158, 16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쇄되었을 때 다른 양측 단부(166, 168)에서 만나게 된다. 게이트부재(154, 156)를 샤프트(162, 164)를 따라서 상하방으로 피봇동작시켜서 화살표 F 및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부재(154, 156)를 상호 개폐시키기 위해 게이트부재(154, 156)에는 링키지(171, 173)를 통하여 액츄에이터(170, 172)가 작용한다.
또한, 게이트 조립체(152)는 벗겨져 떨어지는 금속시이트(12)를 안내하기 위해 두 개의 수동(passive) 측방가이드 조립체(175)를 포함한다. 각 측방가이드 조 립체는 링크부재(177)와 편향기(deflector)(179)를 포함한다. 게이트부재(156, 158)가 폐쇄되어있을 때는 V형 또는 U형 구조를 형성하여 공통엣지(28) 근처의 금속시이트(12)의 하부를 모방하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V형 또는 U형 구조는 공통엣지(28)의 지지부로서 작용한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롤러조립체(155)는 베이스부재(178)를 통해 하측 중앙부재(60)에 장착된 한 쌍의 양측에 이격된 핀치롤러(174, 176)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174, 176)는 그 전장을 따라서 이격된 리브(179)를 갖는 종방향 로드부재로서, 그 종방향 단부가 브라켓(1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브라켓(180)은 베이스부재(178)에 장착된다. 롤러(174, 176)는 롤러(174, 176)를 각각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롤러작동 조립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액츄에이터(182, 184)에 연결된다.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각 핀치 또는 구동롤러(174, 176)는 여기에 직접 연결된 저속-고토크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분류기(flow divider)(도시하지 않음)가 롤러의 회전속도를 유사하게 유지한다.
롤러조립체(155)는 하측 중앙부재(60) 및 다리부재(50)에 장착된 작동조립체(186)(도 3 참조)에 의해 구동되는 측방 액츄에이터(183)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183)는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178)와 롤러(176)에 장착된다. 특히, 액츄에이터(183)는 커넥터(187)를 통하여 패널(185)에 장착되고, 차례로 패널(185)은 롤러(17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180)에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180) 및 패널(187)은 베이스부재(178)의 양 측 측방가이드(189, 19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널(187), 브라켓(180) 및 롤러(178)는 여기에 작용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189, 191)를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분류기 밸브는 롤러(176)의 측방향 철수중에도 롤러(174, 176)의 속도를 비슷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하다.
배출조립체(15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된 금속시이트(1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199)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센서는 외향공급 조립체(34) 근처에 있을 때 금속시이트(12)의 공통엣지 또는 하측엣지(28)를 검출하는 레이저형 광센서이다.
가이드부재(157)는 롤러조립체(155)의 하류측에 있으며 종방향으로 약간 굽은 수직부재이다. 가이드부재는 다리부재(48)에 장착된 가이드지지구조물(188)에 의해 지지된다. 비제한적 예에서, 가이드부재(157)는 앞으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향공급조립체(34)상에서 수직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전환될 때 벗겨진 금속시이트(12)를 측방으로 안내하는 측방 편향기(194)와 마모막대(wear bar)(192)를 갖는 가이드면(190)을 포함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향공급조립체(34)는 운반 카펫(200)이 장착된 양측의 컨베이어 롤러(196, 198)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조립체이다. 컨베이어 롤러(196, 198)는 카펫을 화살표 H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며, 아이들 가이드 롤러(202)를 통하여 안내된다.
도 5 및 도 7로 돌아가서, 캐소드 블랭크 내향공급 조립체(35)는 캐소드 블 랭크(14)의 상류측 단부(20)와 맞물리는 캐소드운반부재 또는 행거(204)를 포함한다. 이 내향공급조립체(35)는 캐소드를 선형 베어링레일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형컨베이어 또는 왕복대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양한 적합한 내향공급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장치(10)는 데이터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등의 컨트롤러(300)에 연결되거나 캐소드 내향공급조립체(35), 스트리핑부재(62, 64) 및 가동핑거(84, 86)를 포함하는 스트리핑 조립체(30), 해머링 조립체(124), 게이트 조립체(152) 및 롤러조립체(155)와 센서(199)를 포함하는 배출 조립체(32), 캐소드 외향공급조립체(34)에 독자적으로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조립체를 제어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컨트롤러(300)는 직접배선(direct wiring)을 통해 또는 원격무선연결에 의해 상기 다양한 작동조립체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캐소드 내향공급 조립체(35)는 상면에 금속시이트(12)가 전착된 캐소드 블랭크(14)를 캐소드 수용영역(66)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금속시이트(12)를 갖는 캐소드(14)는 수용영역(66) 내의 행거(204)에 매달린다.
스트리핑 부재(62, 64)는 각각의 액츄에이터(72, 74)에 의해 캐소드 블랭크수용영역(64)측으로 연장되어 상단지지부재(42, 44)를 따라서 각각 슬라이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단클램프부재(128, 130)는 금속시이트(12)의 상류측엣지(24, 26)를 조이는 한편 바닥클램프부재(132, 134)는 하류측 공통엣지(28) 근처의 각 캐 소드면(16, 18)에서 금속시이트(12)를 조인다.
이때 상류측엣지(24, 26) 근처에 있는 에어해머가 상류측엣지에 작용하여 엣지(24, 26)를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헐렁하게 하여 떨어져 나가게 할 수 있다.
그 후 핑거(84, 86)가 수용영역(66)측으로 피봇동작하여 상류측 금속시이트엣지(24, 26)와 캐소드 블랭크면(16, 18) 사이에서 각각 블레이드(92, 94)가 절단하게 한다. 블레이드(92, 94)가 금속시이트부(12a, 12b)와 캐소드 블랭크면(16, 18) 사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스트리핑부재(62, 64)는 캐소드블랭크 수용영역(66)으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핑거(84, 86)는 금속시이트부(12a, 12b)의 (상류측엣지(24, 26) 근처의) 상류측부를 파지하기 때문에, 도 1의 화살표 I 및 II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부분이 캐소드면(16, 18)으로부터 벗겨지게 된다. 스트리핑부재(62, 64)가 이런 방식으로 완전히 철수하였을 때, 핑거(84, 86)는 금속시이트(12)로부터 멀리 상방으로 피봇동작한다.
대부분의 경우, 캐소드 블랭크(16, 18)의 양측면의 공통엣지(28) 근처의 금속시이트(12)의 하류측부분은 캐소드 블랭크(14)에 붙은 상태로 남을 것이다. 이 경우, 나이프부재(102)가 주어진 캐소드면(16, 18)과 벗겨진 금속시이트부(12a, 12b)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나이프부재(102)의 각도 또는 경사는 조정 가능한 이중 너트로크(122)에 의해 조정됨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나이프부재(102)는 캐소드블랭크(14)의 어느 면(16, 18)을 사용할 것인가에 따라서 벗겨진 금속시이트(12a, 12b)의 경사와 유사하게 기울어진다. 도 6 및 도 8의 예에서, 나이프부재(102)는 캐소드블랭크면(18)과 벗겨져서 기울어진 금속시이트부(12a) 사이 에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이프부재(102)는 금속시이트부(12b)와 캐소드블랭크면(18) 사이를 지나서 금속시이트부(12b)를 캐소드블랭크면(18)으로부터 절단한다. 이것은 필요에 따라서 캐소드블랭크면(16)과 벗겨진 금속시이트(12a) 사이에서 반복될 것이다.
금속시이트(12)가 캐소드블랭크(14)로부터 완전히 벗겨졌을 때, 도 2 및 도 8에 화살표 III 및 IV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떨어져서, 지지부로서 작용하는 폐쇄된 게이트부재(154, 156) 상의 엣지(28)와 부딪힌다.
금속시이트(12)가 캐소드블랭크로부터 벗겨짐에 따라서 전개된 금속시이트부(12a, 12b)는 아이들 롤러(142, 144)와 맞물리게 된다. 폴딩부재(138, 140)는, 공통엣지가 폐쇄게이트부재(154, 156)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와 접할 때까지 슬라이드부(12a, 12b)가 롤러(142, 144)를 따라서 슬라이드할 때 금속시이트부(12a, 12b)를 접기 위해 금속시이트부(12a, 12b)에 작용한다.
게이트부재(154, 156)는 서서히 개방되어 벗겨진 금속시이트(12)가 그를 통해 슬라이드할 수 있게 한다. 개방된 게이트부재(154, 156)는 금속시이트부(12a, 12b)가 이들을 통해 슬라이드할 때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개구를 제공한다.
벗겨진 금속시이트(12)가 개방된 게이트 조립체(152)를 통해 떨어짐에 따라서, 벗겨진 금속시이트(12)의 공통엣지(28)는 핀치롤러(174, 176)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들어갈 것이다.
상기 롤러(174, 176) 사이의 작은 공간은 금속시이트(12)가 그 공간을 통하여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드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핀치롤러(174, 176)는 전동화되며, 따라서 핀치롤러는 금속시이트(12)를 도 3 및 도 4에 화살표 V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된 게이트조립체(152)를 통하여 제어 가능하게 하강시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시이트(12)를 가이드부재(157)를 통해 외향공급조립체(34)측으로 제어 가능하게 공급한다.
롤러(174, 176)는 하강함에 따라서 금속시이트(12)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금속시이트부(12a, 12b)를 동시에 결합시키고 따라서 V형상의 금속시이트(12)를 편평하게 한다.
이렇게 롤러(174, 176)는 금속시이트의 하강속도를 제어하고, 가이드부재(157)는 외향공급조립체(34)측으로 하강하는 동안에 그 위치를 제어한다.
금속시이트(12)의 공통엣지(28)가 운반카펫(202)과 맞물림에 따라서, 센서(199)는 카펫(202) 근처의 엣지(28)를 검출하고, 신호작동조립체(186)는 도 4A에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174)로부터 롤러(176)를 점차 철수시켜서 그 사이에 큰 공간을 형성한다. 이렇게 공간이 증가됨으로써, 공통엣지가 화살표 H로 나타낸 방향으로 끌려감에 따라서 편평한 금속시이트(12)가 화살표 VI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진다.
공통엣지(28)가 계속하여 카펫(202)에 의해 끌려감에 따라서, 결합된 상측엣지(24, 26)가 핀치롤러(174, 176)와 분리되고 카펫(202)과 맞물릴 때까지 화살표 VII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157)를 따라서 하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렇게 편평해진 금속시이트는 화살표 H로 나타낸 방향으로 화살표 VIII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운반카펫에 편평하게 놓여져 장치(10)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 롤러(176)의 수평방향이동으로 단단하고 두꺼운 금속시이트(12)가 회전하게 되고 롤러(174, 176)의 제어하에서 그 높이 내에서 제거된다.
핀치롤러(174, 176)가 결합된 엣지(24, 26)와 맞물리고 롤러(176)가 완전히 전방위치에 있으므로 핀치롤러(174, 176)와 운반카펫(202) 사이의 거리는 공통엣지(28)가 카펫(202)과 맞물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함에 유의해야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을 더 예시하면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하지 않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그 특징을 설명한다.
일실시예에서, 캐소드(12)의 중앙부를 제 1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휘어서 전착시이트부(12a)의 상측엣지(24)와 캐소드 블랭크면(16) 사이에 틈새를 만들고 이 틈새에 핑거(92)를 삽입하고, 캐소드(14)를 반대방향 측방향으로 휘어서 다른 전착시이트부(12b)의 상측엣지(26)와 캐소드 블랭크면(16) 사이에 틈새를 만들고 이 틈새에 핑거(94)를 삽입한 후, 핑거(92, 94)를 캐소드(14)로부터 철수시켜 전착시이트부(12a, 12b)를 캐소드로부터 벗김으로써 전착시이트(12)의 상측엣지(24, 26)와 캐소드(14)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처럼 휘는 조립체(flexing assembly)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착금속시이트(12)의 종류로는 구리뿐만 아니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그 외의 금속이 포함됨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캐소드블랭크(14)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 시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틀 내에서 캐소드블랭크의 다양한 구성들을 생각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예에서는 금속시이트가 공통엣지(28)를 갖는 두 개의 부분(12a, 12b)를 갖는 V형 또는 U형 구조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캐소드(14)는 실제로는 금속시이트(12)가 두 개의 다른 시이트이고 공통엣지(28) 없이 각 캐소드 블랭크면(16, 18)에 각각 마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캐소드(14)는 주어진 캐소드 블랭크면(16 또는 18)에 하나의 금속시이트(12)만이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도시한 지지프레임 조립체(36)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조립체(36)를 구성할 때 고려하여야 할 것은 전착금속시이트(12)를 갖는 캐소드 블랭크(14)의 내향공급과,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금속시이트(12)의 스트리핑과, 본 발명에 따른 배출조립체(32)에 의해 그 제어 공급을 외향공급조립체(34)측으로 연속적인 흐름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시한 예에서, 지지프레임 조립체(36)도 금속시이트(12)가 벗겨진 후 수직하게 하강하고 그 하강이 제어롤러(174, 176)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여기서 설명한 조립체들은 스트리핑 후에 금속시이트(12)가 하강하기보다는 연속적으로 온라인 수평방식으로 위치하는 것을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생각할 수 있다. 조립체들의 수평적 위치에 있어서, 제어롤러(174, 176)는 금속시이트(12)가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벗겨질 때 금속시이트(12)의 하류측엣지(28)와 접하여 금속시이트를 바로 외향공급조립체(36) 측으로 공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스트리핑 조립체(30)를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캐소드 블랭크(14)가 그 위에 금속시이트(12)가 전착된 하나의 면(16 또는 18)만을 포함할 때 하나의 스트리핑부재(62, 또는 64) 또는 하나의 핑거(84, 86)를 포함하는 스트리핑 조립체도 생각할 수 있다. 이 스트리핑 조립체는 여기서 개시한 것 같은 어떤 폴딩조립체(136) 또는 해머링 조립체(124) 또는 분리 조립체(100)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내용은 금속시이트(12)를 그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벗기는 것을 도와주는 선택적인 특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라면 다양한 폴딩 조립체를 생각할 수 있으며 스트립과정 중에 캐소드블랭크(14) 위의 금속시이트(12)를 해머링 또는 타격하여 금속시이트를 헐겁게 하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캐소드 블랭크(16, 18)의 각 면상에서 동시에 절단하기 위해 두 개의 경사진 나이프를 포함하는 그 외의 다양한 종류의 분리조립체를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스트리핑부재(62, 64)는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핑거형 또는 갈고리형 부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조립체들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적합한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배출 조립체(32)는 벗겨져서 떨어지는 금속시이트(12)를 핀치롤러(174, 176) 사이의 영역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게이트 조립체(152)를 포함할 필요가 없지만 수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다양한 게이트 조립체(32)를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배출조립체(32)는 금속시이트(12)가 외향공급장치측으로 벗겨진 후에 금속시이트(12)를 제어 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스트리핑 조립체 또는 스트리핑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독립적인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핀치롤러(174, 176)는 그들의 선택된 작용에 적합한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롤러(174, 176)는 둘 다 전동화되지만, 서로 인접하여 그 사이에서의 금속시이트(12)의 하강을 감속시키는 두 개의 스프링장착 롤러를 사용하는 것을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하나의 롤러만이 전동화되고 다른 롤러는 아이들 상태이다. 또 다른 예에서는 하나의 롤러가 전동화되고 다른 롤러는 스프링이 장착된다.
여기서 예시한 예에서, 롤러(176)는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데, 당업자라면 양측 롤러(174, 176)가 모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롤러(174, 176)의 어느 것도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롤러(176)는 액츄에이터(183)에 작용하는 모터에 장착될 필요는 없으며, 롤러(176)를 롤러(174)로부터 밀어서 경사금속시이트가 수직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피봇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운반카펫(202)에 의해 끌려가는 공통엣지(28)를 갖는 경사금속시이트(12)가 대항하여 작용할 수 있는 스프링이 장착되거나 부싱 또는 바이어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두 개의 롤러(174, 176)만을 예시하였지만, 주어진 롤러열에서 하나 이상의 롤러가 전동화되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인접한 2열의 나란 한 롤러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롤러열에는 트랙밴드(track band)가 장착될 수 있다.
롤러(174, 176)는 리브를 갖는 로드부재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른 예시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롤러(176, 176)가 여기서 설명한 것처럼 금속시이트(12)를 제어 가능하게 하강시킬 수 있는 어떤 종류의 휘일부재도 될 수 있다.
배출조립체(32)는 센서(199)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롤러(176)는 엣지(28)가 외향공급조립체에 접근할 때 점차 철수하기 시작하기 위하여 시간이 맞추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176)는 콘트롤러(300) 방식으로 시간이 맞추어질 수 있다.
센서(199)는 다양한 적합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작동조립체(186)에 직접 연결되거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서 작동조립체(186)에 신호를 알릴 수 있는 컨트롤러(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롤러(176)는 타이머에 의해 또는 컨트롤러(300)의 신호에 의해 뻗은 위치(extended position)로 복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금속시이트(12)의 위치를 철저히 검출하여 이 데이터를 컨트롤러(300)에 보내어 장치(10)의 다양한 구성부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가 장치(10) 주위의 여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조립체(32)는 가이드부재(157)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롤러(174, 176)는 가이드부재(157)를 사용하지 않고 스트립 금속시이트(12)를 직접 외향공급조립체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서 다양한 여러 종류의 가이드부재(157)를 생각할 수 있다. 이들 가이드부재의 길이, 크기 및 구성은 그 용도에 따르기 때문에 외향공급조립체(34)측으로 안내되는 스트립 금속시이트(12)의 크기 및 재료와 일반적인 구성에 따른다.
본 예의 외향공급조립체(34)는 컨베이어 조립체이다. 공급되는 금속시이트가 카펫(194) 상에서 너무 빨리 슬라이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능선부(ridge)를 갖는 카펫(194)을 갖는 컨베이어 조립체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컨베이어 조립체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카펫(194)이 이동함에 따라서, 벗겨진 금속시이트의 하류측엣지가 상기 능선부와 접하여 그 슬라이딩 하강이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0)는 여기서 설명한 것처럼 캐소드 블랭크(14) 및 금속시이트(12)의 이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따라서 장치(10)의 다양한 구성부품의 동작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금속시이트(12)가 전착된 캐소드의 내향공급,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금속시이트(12)의 스트리핑, 및 외향공급조립체측으로의 제어된 공급이 동일한 스테이션에서 이루어지는 단일 스테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금속시이트(12)의 해머링, 폴딩 및 분리도 동일한 스테이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된 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단일 스테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영구적인 캐소드(14)로부터 전착된 금속시이트(12)를 벗기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전착된 시이트를 포함하는 캐 소드 블랭크(14)를 그 상류측엣지로부터 금속시이트를 벗기는 스트리핑 수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금속시이트는 금속시이트를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상단엣지를 헐겁게 하기 위해 클램프에 의해 안정화되어 해머링된다. 금속시이트의 하류측부분이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절단되며, 그 부분의 하강은 외향공급수단으로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는 롤러수단측으로 이르도록 게이트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예시하고 앞에서 설명한 구성 및 부품의 상세에 그 응용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한 어구나 전문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해지는 본 발명의 정신, 범위 및 본질로부터 벗어남 없이 변형될 수 있다.

Claims (74)

  1. 전착된 금속시이트(12)를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벗기기 위한 장치(10)로서, 상기 블랭크는 양측면(16, 18)과, 상류측 및 하류측 단부(20, 22)와,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면(16, 18)에 마련되어 상류측엣지(24, 26) 및 하류측엣지(28)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시이트(12a, 12b)를 갖는데, 상기 장치(10)는: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한 스트리핑 조립체와;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에서 나오는 금속시이트와 맞물리도록 된 양측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배출조립체와;
    상기 금속시이트를 받기 위해 상기 배출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금속시이트 외향공급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금속시이트가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겨졌을 때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금속시이트가 그 높이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외향공급조립체에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는 상기 금속시이트의 상류측엣지와 맞물리는 핑거를 갖는 스트리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는 사이에 캐소드 블랭크 수용영역 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격된 양측 스트리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스트리핑부재는 캐소드 블랭크가 상기 수용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금속시이트의 상류측엣지와 맞물리는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상기 금속시이트의 상류측엣지와 맞물리기 위한 각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는 스트리핑부재 작동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부재는 상호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블랭크의 상류측 및 하류측 단부는 각각 상단단부 및 바닥단부이며, 상기 금속시이트의 상류측엣지 및 하류측엣지는 각각 상단엣지 및 바닥엣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는 상기 금속시이트의 벗겨지지 않은 부분을 상기 캐소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립체는 상기 금속시이트의 벗겨진 부분으로부터 상기 금속시이트의 하류측엣지측으로 상기 금속시이트와 상기 캐소드 블랭크 사이를 절단하기 위한 가동 나이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는 상기 금속시이트의 상류측엣지를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헐겁게 하기 위한 해머링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링 조립체는 에어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링 조립체는 양측으로 이격된 에어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는 상기 벗겨진 금속시이트의 양측 부분을 함께 접기 위한 폴딩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조립체는 두 개의 양측으로 이격된 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재는 상호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재는 상기 금속시이트와 맞물리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전동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속도컨트롤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가 전동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중의 다른 가이드롤러는 아이들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중의 다른 가이드롤러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화된 가이드롤러는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중의 적어도 하나는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는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패널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는 그 종방향 단부가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바이어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부재는 부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립체는 상기 외향공급조립체 근처의 금속시이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그 컨트롤러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금속시이트가 상기 블랭크면의 각각에 각각 마련되고, 양 금속시이트의 하류측엣지는 공통엣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금속시이트가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에서 나올 때 상기 공통엣지와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외향공급조립체에 공급할 때 상기 두 개의 금속시이트르 서로 편평하게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금속시이트의 각 상류측엣지는 상단엣지이고, 상기 공통엣지는 바닥엣지이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립체는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립체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류측에 가이드부 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시이트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하여 상기 외향공급조립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롤러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외향공급조립체는 상기 가이드부재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외향공급조립체 위로 제어 가능하게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이트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상기 외향공급조립체측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공급조립체는 상기 배출조립체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시이트부재를 상기 외향공급조립체 위로 제어 가능하게 하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공급조립체는 컨베이어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조립체는 양측의 롤러와 여기에 장착된 운반카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캐소드 블랭크를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의 상류측에 캐소드 블랭크 내향공급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블랭크 내향공급 조립체는 상기 캐소드 블랭크의 상류측 단부와 맞물리는 캐소드운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블랭크의 상류측 및 하류측 단부는 각각 상단단부 및 바닥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블랭크 내향공급 조립체는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의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블랭크 내향공급 조립체는 컨베이어 조립체이며, 상기 캐소드는 상기 캐소드운반부재로부터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전착된 금속시이트(12)를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벗기기 위한 장치(10)용 배출조립체(32)로서, 상기 장치(10)는 상기 배출조립체(32)의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된 금속시이트 스트리핑 조립체(30)와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30)의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된 금속시이트 외향공급조립체(34)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조립체(32)는: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에서 나오는 금속시이트와 맞물리도록 된 양측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데, 상기 금속시이트가 상기 캐소드블랭크로부터 벗겨지면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금속시이트가 그 높이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외향공급조립체에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조립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전동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 5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가 전동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중의 다른 가이드롤러는 아이들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중의 다른 가이드롤러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7.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화된 가이드롤러는 콘트롤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8.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중의 적어도 하나는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는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패널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는 그 종방향 단부가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2.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바이어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부재는 부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5.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립체는 상기 외향공급조립체 근처의 금속시이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6.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그 컨트롤러에 데이터 를 송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9. 전착된 금속시이트(12)를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벗기기 위한 단일스테이션 장치(10)로서, 상기 블랭크는 양측면(16, 18)과, 상류측 단부(20) 및 하류측 단부(22)와,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면(16, 18)에 마련되어 상류측엣지(24, 26) 및 하류측엣지(28)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시이트(12a, 12b)를 가지며, 상기 장치(10)는:
    내향공급 조립체와;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캐소드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해 상기 내향공급 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스트리핑 조립체로서,
    상기 금속시이트의 상류측엣지를 헐겁게 하기 위한 해머링 조립체와;
    상기 금속시이트의 벗겨진 부분을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트리핑 조립체와;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리핑 조립체로부터 나오는 금속시이트와 맞물리도록 된 양측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배출조립체와;
    상기 금속시이트를 받기 위해 상기 배출조립체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금속시 이트 외향공급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금속시이트의 내향공급, 스트리핑, 해머링, 분리, 배출 및 외향공급은 단일 연속스테이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중의 적어도 하나는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는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2. 제 69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금속시이트가 상기 각 블랭크면에 각각 마련되고, 양측 금속시이트의 하류측엣지는 공통엣지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조립체는 상기 두 개의 벗겨진 금속시이트를 함께 접도록 된 폴딩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3. 전착된 금속시이트(12)를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벗기기 위한 장치(10)로서, 상기 장치(10)는: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기 위한 스트리핑 수단과;
    상기 금속시이트를 제어 가능하게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지는데,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금속시이트의 배출중에 금속시이트의 높이내에서 금속시이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4. 전착된 금속시이트(12)를 캐소드 블랭크(14)로부터 벗기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캐소드 블랭크(14)는 양측면(16, 18)과, 상류측 단부(20) 및 하류측 단부(22)와,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면(16, 18)에 마련되어 상류측엣지(24, 26) 및 하류측엣지(28)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시이트(12a, 12b)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캐소드 블랭크로부터 벗기는 단계와;
    상기 벗겨진 금속시이트가 그 높이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금속시이트를 외향공급 조립체에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09635A 2004-01-21 2004-01-21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1323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A2004/000074 WO2005071142A1 (en) 2004-01-21 2004-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odeposited metal sheets from permanent catho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861A true KR20060122861A (ko) 2006-11-30
KR101323463B1 KR101323463B1 (ko) 2013-10-30

Family

ID=3474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635A KR101323463B1 (ko) 2004-01-21 2004-01-21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306706B2 (ko)
EP (1) EP1704269B1 (ko)
JP (1) JP4625028B2 (ko)
KR (1) KR101323463B1 (ko)
CN (1) CN1894441A (ko)
AT (1) ATE498714T1 (ko)
AU (1) AU2004314225B2 (ko)
BR (1) BRPI0416453B1 (ko)
CA (1) CA2553004C (ko)
DE (1) DE602004031460D1 (ko)
WO (1) WO2005071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6572B (fi) * 2004-08-27 2005-12-30 Outokumpu Oy Laite ja menetelmä metallilevyjen käsittelemiseksi
JP4267014B2 (ja) * 2006-09-29 2009-05-27 日鉱金属株式会社 電着金属の剥取装置
US20110108203A1 (en) * 2007-08-07 2011-05-12 Xstrata Technology Pty Ltd. Apparatus for Stripping Metal From a Cathode Plate
US8337679B2 (en) 2007-08-24 2012-12-25 Epcm Services Ltd. Electrolytic cathod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EP2141265A1 (en) * 2008-07-04 2010-01-06 Technic One S.A.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electrodeposited metal layer from a cathode plate
SE536102C2 (sv) * 2009-02-06 2013-05-07 Xstrata Technology Pty Ltd Anordning för strippning av metall från en katodplatta
FI121602B (fi) * 2009-04-08 2011-01-31 Outotec Oyj Erotusmenetelmä ja -laite
CN101717973A (zh) 2009-12-23 2010-06-02 江西瑞林装备技术有限公司 不锈钢阴极剥片装置
EP2630275A4 (en) 2010-10-18 2014-05-28 Epcm Services Ltd ELECTROLYTIC CATHODE ASSEMBLY WITH A HOLLOW HANGING RAIL
CN202054911U (zh) * 2011-01-29 2011-11-30 湖南江冶机电科技有限公司 海绵铅成型生产线
CN102719860B (zh) * 2011-03-31 2015-04-15 昆山思拓机器有限公司 金属掩膜板剥离装置
WO2012168497A1 (es) * 2011-06-08 2012-12-13 Zincobre Ingeniería, S.L.U. Estación de comprobación de la susceptibilidad de arrancar material no ferroso depositado sobre las caras de placas de cátodos en procesos de electrodeposición
JP2013040366A (ja) * 2011-08-12 2013-02-28 Mesco Inc 電着金属の剥ぎ取り装置および電着金属の剥ぎ取り方法
CN102534692B (zh) * 2011-12-06 2014-05-14 盐城市电子设备厂 高频振动剥离机
CN103290435B (zh) * 2012-02-07 2016-01-20 湘潭大众整流器制造有限公司 电解锰自动化剥离生产线的自动出板装置
CN102888627B (zh) * 2012-10-26 2015-05-20 盐城市电子设备厂 电解锰阴极板锰剥离高频振打装置
CN103981542B (zh) * 2014-05-12 2016-09-07 江西众合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电铜聚集抽棒装置
CN104562095A (zh) * 2014-12-24 2015-04-29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种板剥片机组
WO2017144740A1 (es) * 2016-02-25 2017-08-31 Yves Lefevre Máquina de arrancado de cátodos
CN105926009B (zh) * 2016-05-30 2018-01-30 北矿机电科技有限责任公司 阴极板间距调整装置及调整方法
CN107761129A (zh) * 2016-08-15 2018-03-06 广西大学 电解二氧化锰自动化剥离控制方法
US20180169804A1 (en) * 2016-12-16 2018-06-21 Caterpillar Inc. Control panel dis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CN109487304B (zh) * 2018-11-30 2023-09-08 江西创恩机械设备有限公司 阴极板剥片设备
CN113755908A (zh) * 2021-07-23 2021-12-07 江苏新硕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阴极板电解金属锰卧式碾压剥离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3312A (en) * 1972-04-19 1976-04-2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Apparatus for peeling electrodeposited metal off cathode base plate
CA982983A (en) * 1972-10-10 1976-02-03 Robert R. Matthews Apparatus and method for cathode stripping
US3807020A (en) * 1973-01-22 1974-04-30 Metallo Chimique Sa Apparatus for stripping cathode starting plates
JPS51114303A (en) * 1975-03-31 1976-10-08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ic plating metal
US4049527A (en) * 1976-01-08 1977-09-2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Electrodeposited metal plate peeling-off machine
JPS5285027A (en) * 1976-01-08 1977-07-15 Mitsui Mining & Smelting Co Hammering device in peeling machine for electrodeposited metallic plate
US4131531A (en) * 1977-06-29 1978-12-26 Mitsubishi Kinzoku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odeposited metal from cathode sheets
JPS5944394B2 (ja) * 1977-12-27 1984-10-29 三井金属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着板の積重ね装置
US4209379A (en) * 1979-06-18 1980-06-24 Texasgulf Canada Ltd. Cathode stripping system
LU82691A1 (fr) * 1980-08-06 1982-05-10 Metallurgie Hoboken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separer un depot electrolytique des deux faces d'une cathode
CA1214432A (en) * 1983-02-14 1986-11-25 George H. Reeves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cathodes
DE3307890C2 (de) * 1983-03-05 1988-12-22 C.J. Wennberg AB, Karlsta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bei der elektrolytischen Raffination von Metallen gewonnenen Kathodenplatten, insbesondere Cu-Kathodenplatten
GB8922930D0 (en) 1989-10-11 1989-11-29 Ici Plc Fire retardant compositions
US5149410A (en) * 1990-10-25 1992-09-22 Falconbridge Limited Cathode stripping apparatus
US6797133B2 (en) 2001-05-30 2004-09-28 Outokumpu Technology Ltd.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18880A (ja) 2007-07-12
US7306706B2 (en) 2007-12-11
AU2004314225B2 (en) 2010-04-01
BRPI0416453A (pt) 2007-03-06
EP1704269B1 (en) 2011-02-16
WO2005071142A1 (en) 2005-08-04
ATE498714T1 (de) 2011-03-15
KR101323463B1 (ko) 2013-10-30
DE602004031460D1 (de) 2011-03-31
AU2004314225A1 (en) 2005-08-04
CA2553004A1 (en) 2005-08-04
CN1894441A (zh) 2007-01-10
EP1704269A1 (en) 2006-09-27
CA2553004C (en) 2011-05-03
BRPI0416453B1 (pt) 2013-09-03
US20050155867A1 (en) 2005-07-21
JP4625028B2 (ja) 201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463B1 (ko) 영구적인 캐소드로부터 전착금속시이트를 벗기기 위한 방법및 장치
CN102084036B (zh) 从阴极板上去除电沉积的金属层的剥离设备及方法
EP2518186B1 (en) Apparatus for stripping metal sheets from cathode blank
CA12144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cathodes
CA217877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tripping of zinc sheets from aluminum cathode base plates
US4131531A (en)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odeposited metal from cathode sheets
US6797133B2 (en)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JP4202909B2 (ja) 移動式亜鉛陰極ストリッピングシステム
CN101010451B (zh) 用于处理金属板的装置和方法
EP3841232B1 (en) Stripping of metal from cathodes
AU2002302267A1 (en)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AU712612B2 (en) An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olytically deposited metal from a cathode
AU2008286233A1 (en) Apparatus for stripping metal from a cathode plate
US20050000797A1 (en)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CN117568869A (zh) 一种新型铅电解大极板机组生产线
JPS62188792A (ja) 電解溶着金属を分離する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