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665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665A
KR20060121665A KR1020060005603A KR20060005603A KR20060121665A KR 20060121665 A KR20060121665 A KR 20060121665A KR 1020060005603 A KR1020060005603 A KR 1020060005603A KR 20060005603 A KR20060005603 A KR 20060005603A KR 20060121665 A KR20060121665 A KR 20060121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amera module
screw
substr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마노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1 상에 고정된 대좌5에 배럴2를 나사결합 하고, 나사 결합량으로 렌즈25, 25의 초점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배럴2와 대좌5의 고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짧게 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배럴2와 대좌5의 적어도 일방에 양측 모두에 걸쳐지고 아울러 외부광의 수광이 가능한 오목부31을 형성하고, 이 오목부31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30으로 배럴2와 대좌5를 고정한다. 광경화형 접착제30은 단시간에서 경화하고, 배럴2와 대좌5의 나사 결합부에 침입하지 않을 정도의 높은 점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2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A-A선 확대 단면도, (b)는 B-B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정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사시도(접착제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이다.
도5는, 도1~도4에서의 배럴2(환상 탄성체4를 결합 지지하고, 볼트용 나사부26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했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도면, (b)는 (a)의 상하를 반전시킨 도면이다.
도6은, 도1~도4에서의 대좌5(너트용 나사부53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했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도면, (b)는 (a)의 상하를 반전시킨 도면이다.
도7은, 기판1과 대좌5의 고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대좌5(너트용 나사부53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했다)의 고정면55를 나타내고, (b)는 기판1(촬영소자11이나 회로소자12~14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했다)의 고정면15를 나타낸다.
도8은, 기판1에 고정된 대좌5에 배럴2를 나사결합 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판 15…기판1의 고정면
16, 17…고정면15 중의 이형부분
2…배럴(제1지지부재의 일례) 26…볼트용 나사부
30…광경화형 접착제 31…오목부
5…대좌(제2지지부재의 일례) 53…너트용 나사부
55…대좌5의 고정면 56…스토퍼부
60…접착제 61…접착층
62, 63…접착 필렛 7…지지부재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휴대 단말기 등에 이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영소자101이 설치된 회로기판(이하, 간단하게 기판이라고 한다)103과, 렌즈105, 105가 지지되는 배럴107과, 배럴107과 나사결합 하여 배럴107을 지지함과 아울러 접착제109, 111에 의하여 기판103 상에 고정된 대좌113을 구비하고, 배럴107과 대좌113의 나사 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렌즈105, 105와 촬영소자101의 사이의 거리(즉 렌즈105, 105의 초점거리)를 조정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조정 후의 배럴107과 대좌113의 고정은, 예를 들면 배럴107과 대좌113의 나사 결합부115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97282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72859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예에서는, 배럴107과 대좌113을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 결합부115에 주입하는 접착제로서 열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었으므로, 경화시간이 길어져(예를 들면 30분~60분) 작업 시간이 길어져서 비용상승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럴(제1지지부재의 일례)과 대좌(제2지지부재의 일례)의 고정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촬영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렌즈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와, 제1지지부재와 나사결합 하여 제1지지부재를 지지함과 아울러 기판 상에 고정된 제2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량으로 렌즈의 초점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로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방에,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걸쳐지고 아울러 외부광의 수광이 가능한 오목부을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부까지 연장되고, 오목부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부에 침입하지 않을 정도의 고점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2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는, 원통체의 외주면에 볼트용 나사가 형성된 볼트용 나사부와, 이 볼트용 나사부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판을 구비하고, 제2지지부재는, 볼트용 나사부의 볼트용 나사와 나사결합 가능한 너트용 나사가 형성된 너트용 나사부를 원통형 내주면에 구비하고, 오목부는, 상판의 주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이 오목부는 제2지지부재의 너트용 나사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촬영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렌즈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와, 제1지지부재와 나사결합 하여 제1지지부재를 지지함과 아울러 기판 상에 고정된 제2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량으로 렌즈의 초점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로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방을 광투과형 재료로 성형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부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도1~도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도면에 있어서, 1은 회로기판(이하 간단하게 기판이라고 한다), 2는 제1지지부재의 일례로서의 배럴, 4는 탄성부재의 일례로서의 환상 탄성체(環狀彈性體), 5는 제2지지부재의 일례로서의 대좌이다.
배럴2와 대좌5는, 렌즈25, 25를 지지함과 아울러 기판1 상에 고정되는 지지부재7을 형성하고 있다.
기판1은,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대략 정사각형 판자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네 구석을 잘라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1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선 패턴(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촬영소자11이나 그 이외의 회로소자12~14 등이 설치되고, 기판1의 측면 및 하면에 는, 외부 접속용 단자(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1의 상면의 주변부에는,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고정면15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면15는, 대략 정사각형의 환상(環狀)으로서, 그 네 구석을 경사각 45도로 경사지게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면15의 네 구석과 한 변의 중앙에는 대좌5의 고정면55(후술한다)의 대응 부분보다 면적이 넓은 이형부분(異形部分)16~16, 17이 형성되어 있다.
배럴2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도5(a)(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배럴 본체21과, 이 배럴 본체21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고 외주 테두리를 돌출시킨 상판22를 구비하고, 이 상판22에는 조리개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배럴 본체21의 내측에는 2개의 렌즈25, 25가 지지되고, 배럴 본체21의 외측에는 외주면에 볼트용 나사를 구비하는 볼트용 나사부26이 형성되어 있다.
배럴 본체21의 하단 개구 측에는, 환상 탄성체4를 결합 지지하기 위한 결합 단차부28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22의 주변부에는, 도5(a)(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4개의 오목부31이 형성되고, 이 오목부31은 배럴 본체21의 볼트용 나사부26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오목부31은,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3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30은 배럴2와 대좌5의 나사 결합부에 침입하지 않을 정도의 고점도를 구비함과 아울러 자외선이나 가시광에 의하여 단시간(예를 들면 10초 전후)에 경화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다.
환상 탄성체4는 합성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에 의하여 외주 테두리가 원형으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41과 접촉부42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41은 단면이 대략 오각형 모양으로서 배럴 본체21의 결합 단차부28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촉부42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좌5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도6(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상측 대좌51과, 이 상측 대좌51의 하측에 연속하도록 설치된 대략 4각 통모양의 하측 대좌52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대좌51에는 그 원통형 내주면에 너트용 나사를 구비하는 너트용 나사부53이 형성되고, 이 너트용 나사부53의 너트용 나사는 배럴 본체21의 볼트용 나사부26의 볼트용 나사와 나사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대좌51과 하측 대좌52의 연결부의 내측에는, 배럴2의 볼트용 나사부26의 나사 진행방향의 이동 한계위치를 제한하는 대략 원환상의 스토퍼부56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측 대좌52의 한 측벽의 중앙부에는 절단 홈57이 형성되고, 이 절단 홈57은 상측, 하측 및 외측이 개구하고 있다.
하측 대좌52의 하단면(下端面)은 기판1과의 고정면55가 되고, 이 고정면55는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정사각형의 환상으로서, 그 네 구석이 경사각 45도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한 변의 중앙을 파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좌5의 고정면55와 기판1의 고정면15는, 접착제60에 의하여 형성된 접착층61 및 접착 필렛62, 6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1)촬영소자11이나 회로소자12~14가 실장된 기판1의 고정면15와, 대좌5의 고정면55의 적어도 일방에 접착제60을 도포하고, 촬영소자11의 수광면의 중심축과 상측 대좌51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접착제60을 사이에 두고 고정면15와 고정면55를 밀착시켜 기판1 상에 대좌5를 재치한다. 이 접착제60은, 열경화형, 상온 경화형, 광경화형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접착제60을 경화시킴으로써, 기판1의 고정면15 중에 대좌5의 고정면55와 대면(對面)하는 부분에 있어서 양측을 고정시키는 접착층61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접착층61에 연속하는 소정의 부분에 있어서 양측을 고정시키는 접착 필렛62~62, 63을 형성한다.
접착 필렛62는,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1의 고정면15의 이형부분16과, 하측 대좌52의 외측벽에 있어서 이형부분16에 인접하는 부분을 고정시킨다.
접착 필렛63은, 도1(a)의 확대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 판1의 고정면15의 이형부분17과, 하측 대좌52의 외측벽에 있어서 이형부분17에 인접하는 부분을 고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층61과 접착 필렛62~62, 63에 의하여 기판1과 대좌5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기판1의 세로와 가로가 약6mm이고, 하측 대좌52의 측벽의 판의 두께(즉 고정면55의 폭)가 대략 0.3mm와 같은 소형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원하는 고정 강도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대좌5의 성형 시에 고정면55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접착제가 붙기 어려운 경우에도, 접착 필렛62~62, 63에 의하여 원하는 고정 강도가 얻어진다.
(2)계속하여, 도5(a)(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럴2의 결합 단차부28에 환상 탄성체4의 결합부41을 결합하여 환상 탄성체4를 지지한 후에, 도8 및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럴2의 볼트용 나사부26을 대좌5의 너트용 나사부53에 나사결합 한다.
이 때에 렌즈25, 25의 중심축이 상측 대좌51의 중심축에 일치하고, 환상 탄성체4가 배럴2의 선단부와 대좌5의 스토퍼부56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렌즈25, 25의 초점거리가 맞도록 미리 배럴2와 대좌5의 형상이 형성됨과 아울러 볼트용 나사부20과 너트용 나사부53의 나사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트용 나사부26과 너트용 나사부53의 나사 결합량을 조정하여 렌즈25, 25의 초점을 촬영소자11에 맞추었을 때에는, 환상 탄성체4가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배럴2의 선단부와 대좌5의 스토퍼부56의 사이에 삽입 되어 그 탄성력으로 볼트용 나사부26과 너트용 나사부53의 마찰력이 보강됨으로써 배럴2와 대좌5의 나사결합에 의한 체결력을 크게 하여 나사 결합부의 간격(유격(遊隔))에 의한 렌즈25, 25의 초점거리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럴2의 선단부와 대좌5의 스토퍼부56의 사이에 환상 탄성체4를 삽입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므로 압접부재와 판 스프링을 삽입시키는 종래의 예와 같이 대형화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3)계속하여, 배럴2의 오목부31~31에 광경화형 접착제30을 주입하여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럴2와 대좌5를 고정한다.
이 때에 광경화형 접착제30은 배럴2와 대좌5의 나사 결합부에 침입하지 않을 정도의 높은 점도(粘度)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광경화형 접착제30이 오목부31로부터 볼트용 나사부26과 너트용 나사부53의 나사의 틈에 침입하여 경화가 되지 않는 일이 없으므로 자외선 또는 가시광에 의하여 단시간(예를 들면 10초 후)에 광경화형 접착제30을 경화시켜 배럴2와 대좌5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조립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를 통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휴대 전화기나 휴대 단말기 등의 배선회로기판에 실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경화형 접착제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제1지지부재의 상부 주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4개 형성하였을 경 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인 경우 또는 4개 이외의 복수 개를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했을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경화형 접착제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제1지지부재에 형성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2지지부재에 형성했을 경우 또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에 형성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광경화형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제1,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부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지지부재가 빛을 투과하지 않는 재료(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성형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제2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방이 광투과형 재료로 성형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오목부 없이 제1,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부에 외부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부의 형성을 생략하고 나사 결합부에 광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여 단시간에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렌즈의 초점거리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결합부와 접촉부를 구비한 환상 탄성체로 형성되고, 그 결합부가 제1지지부재의 결합 단차부에 결합 지지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고, 그 탄성력으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한 체결력을 크게 하여 렌즈의 초점거리의 어긋남을 방지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가 단면이 원형인 환상 탄성체(예를 들면 O링)이고, 그 제1지지부재 측의 일부가 나사결합 시에 제1지지부재의 선단면에 형성된 환상 오목홈에 결합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제1지지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나사부와 환상 탄성체부를 구비하고, 나사부를 강성이 높은 재료로 성형하고, 환상 탄성체부를 탄성재료로 성형하여 탄성부재로 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나사결합 하는 것 만으로도 자동으로 탄성부재(환상 탄성체부)가 조립되어 조립공정을 간략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삽입시킨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삽입시키지 않는 카메라 모듈(예를 들면 도9의 종래의 예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과 제2지지부재의 고정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기판과 제2지지부재의 고정면의 이형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모두 정사각형 환상의 네 구석을 경사각도 45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판의 고정면의 네 구석을 원호형상이나 직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제2지지부재의 네 구석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기판의 고정면의 네 구석에 제2지지부재의 고정면이 대응하는 부분보다 넓은 이형부분을 형성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과 제2지지부재의 고정면을 대략 정사각형의 고리모양으로 형성하고, 기판의 고정면의 네 구석과 일변의 중앙에 제2지지부재의 고정면이 대응하는 부분보다 면적이 넓은 이형부분을 형성하고, 이들 이형부분에 접착 필렛을 형성한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판 상의 고정면의 일부에 제2지지부재의 고정면의 대응부분보다 면적이 넓은 이형부분을 형성하고, 이 이형부분에 접착 필렛을 형성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 같이, 하측 대좌52의 각 측벽에 절단 홈57을 형성함으로써 기판1의 고정면15의 네 구석과 각 변의 중앙에 하측 대좌52의 고정면이 대응하는 부분보다 면적이 넓은 이형부분을 형성하고, 이들의 이형부분에 접착 필렛을 형성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실시예로부터 하측 대좌52의 한 측벽에 형성하는 절단 홈57을 생략하고, 기판1의 고정면15의 네 구석에만 이형부분16~16을 형성하여 접착 필렛62~62를 형성했을 경우 또는 대좌의 고정면의 네 구석을 기판의 고정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여 기판의 고정면의 각 변의 중앙에만 이형부분을 형성하여 접착 필렛을 형성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기판,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방에, 양측 모두에 걸쳐지고 아울러 외부광의 수광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고정했으므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량 조정 후의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고정 강도를 크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열을 하지 않고 단시간에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부까지 연장되어, 오목부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가 나사 결합부에 침입하지 않을 정도의 고점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오목부에 의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고정 면적을 넓혀서 고정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가 볼트용 나사부와 상판을 구비하고, 제2지지부재가 너트용 나사부를 구비하여 오목부가 상기 상판의 주변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므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고정 강도를 안정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기판,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방을 광투과형 재료로 성형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나사 결합부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고정했으므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모으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Claims (4)

  1. 촬영소자(11)이 설치된 기판(1)과,
    렌즈(25, 25)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2)와,
    제1지지부재(2)와 나사결합 하여 제1지지부재(2)를 지지함과 아울러 기판(1) 상에 고정된 제2지지부재(5)를
    구비하고,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의 나사 결합량으로 렌즈(25, 25)의 초점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로서,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의 적어도 일방에,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에 걸쳐지고 아울러 외부광(外部光)의 수광이 가능한 오목부(31)을 형성하고,
    이 오목부(31)에 주입(注入)되는 광경화형 접착제(光硬化型接着劑)(30)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오목부(31)은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의 나사 결합부까지 연장되고,
    오목부(31)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30)은,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의 나사 결합부에 침입하지 않을 정도의 고점도(高粘度)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2)는, 원통체의 외주면에 볼트용 나사가 형성된 볼트용 나사부(26)과, 이 볼트용 나사부(26)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판(上板)(22)를 구비하고,
    제2지지부재(5)는, 볼트용 나사부(26)의 볼트용 나사와 나사결합 가능한 너트용 나사가 형성된 너트용 나사부(53)을 원통형 내주면에 구비하고,
    오목부(31)은, 상판(22)의 주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31)로 이루어지고,
    이 오목부(31)은 제2지지부재(5)의 너트용 나사부(53)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촬영소자(11)이 설치된 기판(1)과,
    렌즈(25, 25)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2)와,
    제1지지부재(2)와 나사결합 하여 제1지지부재(2)를 지지함과 아울러 기판(1) 상에 고정된 제2지지부재(5)를
    구비하고,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의 나사 결합량으로 렌즈(25, 25)의 초점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로서,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의 적어도 일방을 광투과형 재료로 성형하고,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의 나사 결합부에 주입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로 제1지지부재(2)와 제2지지부재(5)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60005603A 2005-05-24 2006-01-19 카메라 모듈 KR20060121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0312A JP2006330121A (ja) 2005-05-24 2005-05-24 カメラモジュール
JPJP-P-2005-00150312 2005-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665A true KR20060121665A (ko) 2006-11-29

Family

ID=3744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603A KR20060121665A (ko) 2005-05-24 2006-01-1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330121A (ko)
KR (1) KR20060121665A (ko)
CN (1) CN1870724A (ko)
TW (1) TW2006424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278B1 (ko) * 2007-01-24 2013-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289178B1 (ko) * 2011-12-16 2013-07-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5476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448998B1 (ko) * 2007-08-16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1694A (ja) * 2007-07-30 2009-02-12 Kyocera Corp レンズ保持装置
CN101952745B (zh) * 2008-02-13 2012-11-28 Opto电子有限公司 用于安装光学镜头的方法和结构
JP5845569B2 (ja) * 2010-11-26 2016-01-20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ユニット
CN115755328A (zh) * 2015-07-09 2023-03-07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102400657B1 (ko) * 2015-07-09 2022-05-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17158097A (ja) 2016-03-03 2017-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
JP6390763B1 (ja) * 2017-06-28 2018-09-19 Smk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983550B2 (ja) * 2017-06-29 2021-12-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および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
WO2020258332A1 (zh) * 2019-06-28 2020-12-3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组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278B1 (ko) * 2007-01-24 2013-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448998B1 (ko) * 2007-08-16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289178B1 (ko) * 2011-12-16 2013-07-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5476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0724A (zh) 2006-11-29
TW200642448A (en) 2006-12-01
JP2006330121A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1665A (ko) 카메라 모듈
JP5601000B2 (ja) 撮像装置
KR102217098B1 (ko) 카메라 모듈
KR102467061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EP1351316B1 (en) Image pickup devi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20060121666A (ko) 카메라 모듈
US7830624B2 (en) Laser bonding camera modules to lock focus
JP463208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70363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34257A (ko) 일체형 카메라 모듈
KR20140076761A (ko) 렌즈 모듈
KR20020014708A (ko) 광학 부품 연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학 모듈
KR101504005B1 (ko) 렌즈 모듈
JP200610148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5526193A (en) Lens mounting structure comprising columns and adhesive
US10562467B2 (en) Bonding structure, imaging apparatus, and on-vehicle camera
EP0959617A2 (en) Method of connecting precision aligned components by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TW202001318A (zh) 相機模組
US20090052063A1 (en) Lens with collar and lens module using same
KR102489665B1 (ko)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JP425950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633012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WO2015002257A1 (ja) アンカ機構を用いた構造を持つ撮像装置
JP200612680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20175508A1 (en) Senso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