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467A -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 Google Patents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467A
KR20060120467A KR1020060044881A KR20060044881A KR20060120467A KR 20060120467 A KR20060120467 A KR 20060120467A KR 1020060044881 A KR1020060044881 A KR 1020060044881A KR 20060044881 A KR20060044881 A KR 20060044881A KR 20060120467 A KR20060120467 A KR 20060120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lift
module
redirec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151B1 (ko
Inventor
다니엘 피스체르
핸리히 퀴텔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12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 (9) 에 있어서는, 그 방향전환 요소 (10) 들이 서로 상대 변위가 가능하다.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들은 상호 지지되는데, 양쪽에 있는 최외측 방향전환 요소 (10) 는 지지 플레이트 (11) 에 의해 지지된다. 종래의 방향전환 모듈의 직사각형 구성에 대하여,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들의 상호 변위 가능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최대각을 α 로 표시한다. 방향전환 요소 (10) 는, 축 (12) 을 수용하는 한편, 상호 변위될 수 있도록, 한 측에는 홈 (14) 을 가지며, 다른 한 측에는 코그 (15) 를 가지는 하우징 (13) 을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예컨대, 평 벨트 (2) 등의 지지 수단을 안내하여 방향을 전환하는데 적합한, 즉, 그 평 벨트의 방향을 예컨대 90°변경하는데 적합한 방향전환 롤러 (16) 가 축 (12) 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DEFLECTING MODULE FOR A LIFT}
도 1 은, 지지 수단으로 평 벨트를 가지는 구동 유닛 및 종래의 방향전환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지지 수단으로 평 벨트를 가지는 구동 유닛 및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는, 일체화된 지지 수단 고정 지점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4:1 지지 수단 안내를 위한 방향전환 모듈의 방향전환 요소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2:1 지지 수단 안내를 위한 방향전환 모듈의 방향전환 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은, 방향전환 요소 하우징의 상세도이다.
도 9 는, 지지 수단 말단 접속부의 상세도이다.
* 도면의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구동 유닛 1.1 : 모터
1.2 : 구동 풀리 1.3 : 브레이크
2: 평 벨트 3: 리프트 케이지
4: 종래의 방향전환 모듈 5: 평형추
6: 통로 벽 7: 리프트 통로
8: 로드(rod) 9: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
10: 방향전환 요소 11: 지지 플레이트
11.1: 진동 댐퍼 12: 축(axle)
13: 하우징 14: 홈
15: 코그(cog) 16: 롤러
16.1: 제 1 방향전환 롤러 16.2: 제 2 방향전환 롤러
17: 지지 수단 고정 지점 18: 지지 수단 말단 접속부
19: 요크 20: 나사 핀(threaded pin)
22: 와셔 23: 너트
21: 보상 스프링(compensating spring)
28: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의 기술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프트 케이지 및 평형추(counterweight)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의 방향전환을 위한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에 관한 것으로, 그 지지 수단은 그 지지 수단의 방향 전환을 일으키는 방향전환 롤러에 의해 안내된다.
독일특허출원공개 DE 23 33 120 에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를 갖는 방향전환 모듈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롤러는 리프트 케이지와 평형추를 지지하는 플랫(flat) 지지 수단의 방향을 전환시키고 있다. 한 롤러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된 회전가능한 축에 고정연결되어있고 다른 롤러는 그 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공지의 장치의 단점은, 다수의 롤러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방향전환 모듈이 대형화되어, 리프트 통로 조건이 협소한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그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공지의 장치의 단점을 회피하려는 목적과 그 리프트 통로 조건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를 형성하려는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은, 특히 지지 수단으로서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수개의 방향전환 요소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을 가지고 공간 절약적인 리프트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 모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따라서 여러 가지 상이한 리프트 통로 단면에 대해 활용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이다. 새로운 지지 수단(예컨대, 평 벨트) 및 새로운 방식으로 안내되는 신규의 구동 장치(drive)를 기존의 리프트 시설에 용이하게 병합할 수 있다(현대화).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의 구성과 같이 하는 경우, 평형추 투영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그 지지 수단의 대각선 방향의 응력 및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그 지지 수단의 사용 수명에 바람직스러운 효과를 가지는 것에 있다.
리프트 케이지 및 평형추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의 방향전환을 위한 것인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의 경우, 그 지지 수단들은 방향전환 롤러들에 의해 안내되어 그 지지 수단의 방향이 전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축이 배치된 각 방향전환 요소가 각각의 지지 수단에 대해 제공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 은, 모터 (1.1), 구동 풀리 (1.2), 그리고 브레이크 (1.3) 를 가진 구동 유닛 (1) 을 보여주는데. 구동 풀리 (1.2) 는 지지 수단인 평 벨트 (2) 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 풀리 (1.2) 의 중앙은, 리프트 케이지 (3) 의 투영면 상의 대략 중심에 있다. 상기 평 벨트 (2) 는 종래의 방향전환 모듈 (4) 에 의해 안내된다. 이 방향전환 모듈의 중앙은 평형추 (5) 의 투영면 상의 대략 중심에 있다. 리프트 케이지 (3) 와 평형추 (5) 는 평 벨트 (2) 에 의해 지지되어, 그 평 벨트 (2) 에 의해 통로 벽 (6) 으로 둘러싸인 리프트 통로 (7)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방향전환 모듈 (4) 과 구동 유닛은 로드 (8) 들에 의해 서로 지지된다.
도 1 에서 둘러싸인 부분은, 경사진 배치를 하는 경우에 또는 평형추 (5) 를 리프트 통로의 코너에 배치하는 경우에, 방향전환 모듈 (4) 과 통로 벽 (6) 의 충돌을 보여준다. 종래의 방향전환 모듈 (4) 의 코너는 리프트 통로의 벽 (6) 과 충돌하게 된다. 이에 대한 유일한 해결방안은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는 홈을 리프트 통로의 벽 (6) 에 형성하는 것이다.
도 2 는, 여러 가지 공간 조건에 대해 적용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 (9) 을 보여준다. 지지 수단인 평 벨트 (2) 는 대략 평형추 투영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방향전환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 (9) 의 개략도이며, 방향전환 요소 (10) 들은 서로 상대 변위가 가능하다.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들은 상호 지지되는데, 양쪽에 있는 최외측 방향전환 요소 (10) 는 지지 플레이트 (11) 에 의해 지지된다. 종래의 방향전환 모듈 (4) 의 직사각형 구성에 대하여,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의 상호 변위 가능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최대각을 α 로 표시한다. 방향전환 요소 (10) 는, 축 (12) 을 수용하는 한편, 상호 변위 될 수 있도록, 그 한 측에는 홈 (14) 을 가지며 그 다른 한 측에는 코그 (15) 를 갖는 하우징 (13) 을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예컨대, 평 벨트 (2) 등의 지지 수단을 안내하여 방향을 전환하는데 적합한, 즉, 그 평 벨트 (2) 의 방향을 예컨대 90°변경하는데 적합한 방향전환 롤러 (16) 가 축 (12) 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웨지- 리브형 벨트(wedge-ribbed belt) 또는 코그가 나있는 벨트 또는 케이블을 지지수단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 ~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28) 는, 평행사변형 원리에 따라서 각각의 방향전환 요소 (10) 또는 하우징 (13) 이, 각각 그에 이웃하는 방향전환 요소 (10) 또는 하우징 (13) 과 동일한 거리만큼 상대 변위가 가능하게 보장하여준다.
도 4 는, 일체화된 지지 수단 고정 지점 (7) 을 가지는, 4:1 지지 수단 안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 (9) 의 사시도이다.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 (11) 는 각각의 로드 (8) 에 연결되어 있고, 이 지지 플레이트 (11) 는 진동 댐퍼 (11.1) 위에 놓여져 있고 또한 이 진동 댐퍼 (11.1) 는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위에 놓여져 있다. 실질적으로, 지지 수단 고정 지점 (17) 은 지지 수단 말단 접속부 (18), 요크 (19), 나사 핀 (20), 그리고 보상 스프링 (21;compensating spring) 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 수단 말단 접속부 (18) 는 지지 수단 (2) 의 단부를 고정한다. 방향전환 요소 (10) 의 박스 형태의 하우징 (13) 을 관통하는 브라켓 (19) 은, 그 일단에서 상기 지지 수단 말단 접속부 (18) 에 연결되며 그 타단에서는 나사 핀 (20) 과 연결된다. 상기 보상 스프링 (21) 은 일단부에서 하우징 (13) 에 지지되고 상기 나사 핀 (20) 은 와셔 (22) 와 너트 (23) 에 의해 상기 보상 스프링 (21) 의 타단부에서 지지된다. 축 (12.1) 을 가지는 제 1 방향전환 롤러 (16.1) 와, 축 (12.2) 을 가지는 제 2 방향전환 롤러 (16.2) 는, 4:1 지지 수단 안내를 위한 방향전환 모듈 (9) 에서 필요한 것으로, 지지 수단 (2) 은,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 수단 말단 접속부 (18) 로부터 평형추 (5) 의 제 1 방향전환 롤러 (26) 상의 코스 (2.1; run) 로 간 후, 방향전환 모듈 (9) 의 제 1 방향전환 롤러 (16.1) 상의 코스 (2.2) 로 가고, 평형추 (5) 의 제 2 방향전환 롤러 (27) 상의 코스 (2.3) 로 더욱 가고나서, 방향전환 모듈 (9) 의 제 2 방향전환 롤러 (16.2) 상의 코스 (2.4) 로 더욱 가서, 구동 풀리 (1.2) 의 코스 (2.5) 로 안내된다. 상기 지지 수단 (2) 과 상기 제 1 방향전환 롤러 (16.1) 는 상기 지지 수단 고정 지점 (17) 의 요크 (19) 를 가로지른다.
도 5 는, 전술의 4:1 지지 수단 안내를 위한 방향전환 모듈의 방향전환 요소 (10) 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2:1 또는 1:1 지지 수단 안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 (9) 의 사시도이다. 상기 방향 전환 모듈 (9) 의 상기 제 2 방향전환 롤러 (16.2), 그리고 평형추 (5) 또는 리프트 케이지 (3) 의 상기 제 2 방향전환 롤러 (27) 는, 2:1 지지 수단 안내의 경우에는 중복적이다. 제 2 방향전환 롤러 (16.2) 가 없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방향 전환 모듈 (9) 의 구성은 4:1 지지 수단 안내의 경우와 동일하다. 지지 수단 (2) 은, 지지 수단 말단 접속부 (18) 로부터 평형추 (5) 의 제 1 방향전환 롤러 (26) 상의 코스 (2.1) 로 가고난 후, 상기 방향전환 모듈 (9) 의 제 1 방향전환 롤러 (16.1) 상의 코스 (2.2) 로 가고나서, 구동 풀리 (1.2) 로 안내된다. 1:1 지지 수단 안내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 수단 고정 지점 (17) 및 평형추 (5) 와 리프트 케이지 (3) 의 방향전환 롤러는 중복적이다.
홈 (14) 과 코그 (15) 이외에,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는 한 측에는 슬롯 (24) 을 가지고, 다른 한 측에는 보어 (25) 를 가진다. 스크류(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보어 (25) 와 슬롯 (24) 을 관통하여 각각의 두 방향전환 요소 (10) 를 함께 견고히 고정한다. 상기 슬롯 (24) 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의 상대 변위가 보장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 (9) 을 아래로부터 바라본 것으로, 각각의 방향전환 요소 (10) 또는 각각의 하우징 (13) 은 각 단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28) 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8) 는 두 개의 중앙 슬롯 (28.1) 과 두 개의 외측 슬롯 (28.2) 을 갖는다. 상기 중앙 슬롯 (28.1) 의 길이는 상기 외측 슬롯 (28.2) 의 길이의 절반이다. 상기 하우징 (13) 에 배치된 상기 슬롯 (28.1, 28.2), 그리고 보어 (29) 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8) 를 상기 하우징 (13) 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예를 들어, 스크류와 같은 연결 수단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8) 는, 평행사변형 원리에 따라 각각의 방향전환 요소 (10) 또는 하우징 (13) 이, 각각 그에 이웃하는 방향전환 요소 (10) 또는 하우징 (13) 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로 변위 가능하도록 보장하여준다. 도 7 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8) 는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와 함께 평행사변형을 이룬다.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들의 변위가 없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8) 는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와 함께 직사각형을 이룬다.
도 8 은, 상기 하우징 (13) 끼리의 상대 변위를 위한 가이드로서의 홈 (14) 과 코그 (15) 가 있는 하우징 (13) 의 상세도이다. 도면 부호 '30' 는 방향전환 롤러 (16.1) 의 축을 수용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보어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31' 는 방향전환 롤러 (16.2) 의 축을 수용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보어를 나타낸다. 상기 나사 핀 (2) 이 삽입되는 보어는 도면 부호 '32' 로 나타나 있다. 상기 나사 핀 (20)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수단 고정 지점 (17) 이 배치되어 있는 요크 (19) 와 연결된다.
특히, 지지 수단으로서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수개의 방향전환 요소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을 가지고 공간 절약적인 리프트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그 방향전환 모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따라서 여러 가지 상이한 리프트 통로 단면에 대해 활용할 수 있다. 새로운 지지 수단 및 새로운 방식으로 안내되는 신규의 구동 장치(drive)를 기존의 리프트 시설에 용이하게 병합할 수 있고, 평형추 투영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그 지지 수단의 대각선 방향의 응력 및 꼬임을 방지할 수 있어서 그 지지 수단의 사용 수명에 바람직스러운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리프트 케이지와 평형추(counterweight)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 (2) 의 방향전환을 위한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로서, 방향전환 롤러 (16) 에 의해 상기 지지 수단 (2) 을 안내하여 그 지지 수단 (2) 의 방향을 전환하는 상기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롤러 (16) 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축 (12) 이 배치된 각 방향전환 요소 (10) 가 각각의 지지 수단 (2) 에 대해 제공되어 있는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의 하우징 (13) 들은 서로 상대 변위가 가능하며 또한 지지 플레이트 (11) 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홈(groove), 코그(15; cog), 슬롯 (24), 및 보어 (25) 가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의 상대적 변위를 가능케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13) 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들이 베이스 플레이트 (28) 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이 베이스 플레이트 (28) 는, 평행사변형 원리에 따 라 각각의 방향전환 요소 (10) 또는 하우징 (13) 이 각각 그에 이웃하는 방향전환 요소 (10) 또는 하우징 (13) 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로 변위 가능하도록 보장하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말단을 고정하기 위한 각 지지 수단 고정 지점 (17) 들이 하우징 (13) 마다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고정 지점 (17) 은 상기 하우징 (13) 안으로 신장하여 들어가는 요크 (19) 를 가지며, 상기 요크의 일단부에는 지지 수단 말단 접속부 (18) 가 배치되어 있고, 이 요크의 타단부는 보상(compensating) 스프링 (21) 에 의해 상기 하우징 (13) 에 지지된 나사 핀 (20) 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가 2:1 또는 1:1 지지 수단 안내용 방향전환 롤러 (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요소 (10) 가 4:1 지지 수단 안내용의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향전환 모듈을 가지는 리프트.
KR1020060044881A 2005-05-19 2006-05-19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KR101321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4228 2005-05-19
EP05104228.1 2005-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467A true KR20060120467A (ko) 2006-11-27
KR101321151B1 KR101321151B1 (ko) 2013-11-25

Family

ID=3589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881A KR101321151B1 (ko) 2005-05-19 2006-05-19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61187B2 (ko)
EP (1) EP1724227B1 (ko)
JP (1) JP2006321656A (ko)
KR (1) KR101321151B1 (ko)
CN (1) CN1865113B (ko)
AT (1) ATE402114T1 (ko)
CA (1) CA2547247C (ko)
DE (1) DE502006001165D1 (ko)
ES (1) ES2310888T3 (ko)
PL (1) PL172422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98937T3 (es) * 2001-11-23 2008-05-16 Inventio Ag Ascensor con un medio de transmision en forma de correa, especialmente con una correa trapecial con dentado interior, como medio portante y/o agente motor.
US9676594B2 (en) * 2013-08-28 2017-06-13 Lml Lifts, Llc Anti-rotation system and anti-rotation device
ES2817407T3 (es) * 2013-11-25 2021-04-07 Otis Elevator Co Bancada para sistema de ascensor
JP6118720B2 (ja) * 2013-12-19 2017-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6033302A1 (en) 2014-08-28 2016-03-03 Otis Elevator Company Counterweight for elevator system
KR101935634B1 (ko) * 2016-10-27 2019-01-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탄소섬유벨트의 파단 검출장치
US10941020B2 (en) * 2018-01-30 2021-03-09 Otis Elevator Company Deflector sheave bracket for offset bedplat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5486A (en) * 1932-01-27 1933-06-27 Evans Elevator Equalizer Compa Device for equalizing strain on hoisting ropes
DE1208463B (de) * 1959-11-09 1966-01-05 Anglo Amer Corp South Africa Selbsttaetige Spannungsausgleichseinrichtung fuer die Foerderseile einer Mehrseilaufzugs-einrichtung fuer Bergwerke
DE2333120A1 (de) 1973-06-29 1975-01-23 Rudolf Dr Ing Vogel Treib- und/oder umlenkrollen fuer stahlbaender als traeger von transportmitteln
JPH02158587A (ja) * 1988-12-09 1990-06-19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シーブ配列構造
JPH0761745A (ja) * 1993-08-18 1995-03-07 Otis Elevator Co 巻き上げ式エレベーター
JP2729271B2 (ja) * 1996-02-02 1998-03-18 株式会社石川精器 コンベア装置
DE19839864A1 (de) * 1998-09-02 1999-08-05 Johannes Rinio Vorrichtung zur Vertikalverlagerung von Lastaufnahmemitteln für Güter und/oder Personen
KR100524105B1 (ko) * 2002-03-01 2005-10-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US20040154876A1 (en) * 2003-01-11 2004-08-12 Jeong-Du Choi Apparatus for equalizing tension of main ropes of elevator
CN100384710C (zh) * 2003-01-31 2008-04-30 奥蒂斯电梯公司 用于电梯的机器、滑轮和终端的整体式支撑件
JP5214098B2 (ja) 2004-07-17 2013-06-19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設備におけるケージまたは釣り合いおもりの懸架のための装置、および懸架手段の取り付けおよび保守のための方法
SG119287A1 (en) * 2004-07-17 2006-02-28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with flat-belt-type suspe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EP1621508A3 (de) * 2004-07-17 2006-08-23 Inventio Ag Einrichtung zum Aufhängen einer Kabine in einer Aufzugs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47247A1 (en) 2006-11-19
JP2006321656A (ja) 2006-11-30
EP1724227A1 (de) 2006-11-22
DE502006001165D1 (de) 2008-09-04
US7261187B2 (en) 2007-08-28
KR101321151B1 (ko) 2013-11-25
PL1724227T3 (pl) 2009-01-30
EP1724227B1 (de) 2008-07-23
CN1865113B (zh) 2010-05-12
ATE402114T1 (de) 2008-08-15
CA2547247C (en) 2016-03-15
CN1865113A (zh) 2006-11-22
US20060260879A1 (en) 2006-11-23
ES2310888T3 (es)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151B1 (ko) 리프트용 방향전환 모듈
US7757818B2 (en) Drive motor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motor
KR100865653B1 (ko) 승강기 및 승강기용 풀리 조립체
EP1353869B1 (en) Elevator
EP1037847B1 (en) Elevator system with compact machineroom
KR101070206B1 (ko)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KR100971519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EP1056676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JP2012246145A (ja) 大荷重用エレベータ
US6848543B2 (en) Single wall interface traction elevator
JP2008156116A (ja) 昇降路内で相互に上下に配置された2台のエレベータケージを有するエレベータ
US20090301818A1 (en) Elevator apparatus
EP2111367B1 (en) Lift with dual traction pulley
EP2019072A1 (en) Elevator device
WO201101883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005395B1 (ko) 통합된 접근 가능한 데드 엔드 히치를 갖춘 밀집된 베드판
US9725282B2 (en) Elevator load bearing assembly including different sized load bearing members
EP1754681A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060188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