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392A -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392A
KR20060120392A KR1020057015525A KR20057015525A KR20060120392A KR 20060120392 A KR20060120392 A KR 20060120392A KR 1020057015525 A KR1020057015525 A KR 1020057015525A KR 20057015525 A KR20057015525 A KR 20057015525A KR 20060120392 A KR20060120392 A KR 20060120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ock
panel
battery mounting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까 쯔쯔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배터리 로크 기구의 배치 구성을 고려하여 전자 기기의 한층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촬상 장치(1)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배터리(2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25)와, 이 배터리 장착부(25)의 이면측을 따라서 배치되어 그 결합자(140a)가 배터리 장착부(25)의 배터리 장착면으로 돌출되어 배터리 장착부(25)에 장착된 배터리(24)에 결합하여 이를 로크하는 로크 부재(140)와, 배터리 장착부(25)의 배터리 장착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로크 부재(140)와 결합하여 배터리(24)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부재(150)를 구비하고, 로크 부재(140)와 로크 해제 부재(150)가 L자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한다.
전자 기기, 배터리 로크 기구, 촬상 장치, 디스크 패널, 외장 케이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BATTERY-LOCKING MECHANISM FOR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구동 전원인 배터리를 전자 기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로크하는 동시에 그 로크를 해제하는 배터리 로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7-312214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즉 이 배터리 로크 기구는 전자 기기(비디오 카메라)의 배면측에 배터리가 장착되고, 그 상태에서 배터리는 배터리 장착면으로 돌출되는 로크 부재가 결합하여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터리 로크 기구에서는 로크 부재의 가로에 누름 버튼식 로크 해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로크 해제 부재를 누름으로써 로크 부재가 배터리로부터 떨어지고, 이에 의해 배터리의 로크가 해제되어 전자 기기로부터 배터리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평7-312214호 공보에 기재된 배터리 로크 기구는 로크 부재의 가로에 누름 버튼식 로크 해제 부재를 배치한 구성이므로, 기구의 배치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최근, 전자 기기는 한층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내부 구조의 공간 절약화가 요구되고 있지만, 일본 특허 공개 평7-312214호 공보에 기재된 배터리 로크 기구에서는 이 요구에 따를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배터리 로크 기구의 배치 구성을 고려하여 전자 기기의 한층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터리 로크 기구는 전자 기기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와, 이 배터리 장착부의 이면측을 따라서 배치되어 그 일부가 배터리 장착부의 배터리 장착면으로 돌출되어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 배터리에 결합하여 이를 로크하는 로크 부재와, 배터리 장착부의 배터리 장착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로크 부재와 결합하여 배터리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로크 부재와 로크 해제 부재가 L자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로크 기구에서는 로크 해제 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로크 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 슬라이드 로크 수단은 로크 해제 부재에 탑재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의 외장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널에 배터리 장착부가 설치되고, 또한 이 패널에 로크 부재와 로크 해제 부재가 조립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크 부재와 로크 해제 부재가 L자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배터리 로크 기구를 전자 기기의 외장 케이스와 내부 구조부 사이의 약간의 간극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의 한층 소형화에 크게 공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크 해제 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의 로크가 잘못하여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슬라이드 로크 부재를 로크 해제 부재에 탑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공간 절약화가 가능해지므로,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의 외장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널에 로크 부재와 로크 해제 부재가 조립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전자 기기의 조립 시에는 미리 패널에 로크 부재와 로크 해제 부재를 조립 부착해 두고, 이 패널을 전자 기기의 외장 케이스에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3은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는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5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측방으로 개방하여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6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를 장착하여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7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덮개를 개방하여 전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8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9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10은 촬상 장치의 그립부를 파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1은 촬상 장치의 배터리를 제거한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2는 배터리를 제거한 촬상 장치를 가로로 하여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3은 배터리 로크 기구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4는 배터리 로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5는 배터리 로크 기구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에 있어서 보유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7은 배터리 로크 해제 동작의 설명도로, 배터리 로크 상태이다.
도18은 배터리 로크 해제 동작의 설명도로, 로크 해제 부재의 슬라이드 로크가 해제된 상태이다.
도19는 배터리 로크 해제 동작의 설명도로, 배터리 로크가 해제된 상태이다.
도20은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배터리의 제거 동작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 촬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촬상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5는 표시 장치를 개방한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6은 디스크측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7은 디스크 덮개를 개방한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8은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9는 상기 측면도, 도10은 촬상 장치를 파지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 촬상 장치(1)는 정보 기억 미디어인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일구체예로서 직경 8 ㎝의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사용하여 광학적인 화상을 CCD(고체 촬상 소자)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DVD에 기록하거나,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하「디스크식 촬상 장치」라 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로서는 DV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ROM 외의 기록 가능한 광학 디스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예를 들어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이 다른 기록 방식의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디스크식 촬상 장치(1)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DVD(2)를 회전 구동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기입) 및 재생(판독)을 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도7 내지 도9를 참조)와,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의 구동 제어 등을 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와, 피사체의 상을 빛으로서 취입하여 CCD로 유도하는 렌즈 장치(4)와, 이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 등이 수납되는 외장 케이스(5)와, 이 외장 케이스(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디스크 수납부(6)를 개폐 가능하게 덮을 수 있는 디스크 덮개(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5)는 3중으로 포개어지도록 조합되는 디스크측 패널(8), 중앙부 패널(9) 및 표시 장치측 패널(10)과, 렌즈 장치(4)의 광축 방향의 전후에 배치되어 이들 패널(8 내지 10)과 조합되는 전방 패널(11) 및 배면측의 배터리 장착 패널(12)과, 중앙부 패널(9)의 내측에 배치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구획 패널로 이루어지고, 이들 패널(8 내지 12)에 의해 중공의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획 패널의 디스크측 패널(8)측의 면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가 4군데에 설치된 마운트 인슐레이터를 거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들 패널(8 내지 12)은 서로 포개어진 적당한 부분에 있어서, 혹은 다른 부재를 거쳐서 고정 나사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렌즈 장치(4)는 외장 케이스(5)의 상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고, 그 대물 렌즈(15)가 전방 패널(11)의 상부를 전방으로 관통하여 전방면에 노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외장 케이스(5)의 내부에 있어서, 렌즈 장치(4)의 후방에 CCD가 배치되어 있고, 그 CCD의 후방에 뷰 파인더(16)가 배치되어 있다.
뷰 파인더(16)는 외장 케이스(5)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고, 파인더 이동 기구에 의해 렌즈 장치(4)의 광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진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뷰 파인더(16)는 전방측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후방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뷰 파인더(16)는 렌즈 장치(4)의 광축과 평행을 이루는 수평 상태로부터 후방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향 상태까지 소정 각도 범위(본 실시예에서는 약 90도) 내에서 임의 각도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뷰 파인더(16)의 각도 조정은 파인더 이동 기구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의 어떠한 위치에 있어서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5)의 상부에는 비디오 라이트나 외부 부착 마이크로폰 등의 액세서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세서리 슈(17)가 부착되어 있다. 액세서리 슈(17)는 뷰 파인더(16)의 직전에 배치되어 있고, 뷰 파인더(16)를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액세서리 슈(17)로의 삽입구가 개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삽입구를 개구시킨 상태에 있어서 액세서리의 장착이 가능하고, 액세서리의 장착 후, 뷰 파인더(16)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그 삽입구가 개구되어 액세서리의 제거가 불가능해진다. 이 액세서리 슈(17)에는, 통상 비사용 시에 공간 부분을 매립하는 덮개를 이루는 슈 캡(18)이 장착된다.
또한, 전방 패널(11)의 전방면에는 상부로부터 차례로 리모콘 수광부(20)와 마이크 단자와 스테레오 방식의 내장 마이크로폰(22)이 배치되어 있다. 리모콘 수광부(20)는 리모콘 조작을 위한 수신부이다. 이 리모콘 수광부(20)는 초점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 등을 위해 이용되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발광부도 겸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 단자는 영상 단자와 음성 단자로 이루어지고, 이들 단자는 단자 커버(2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여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5)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터리 장착 패널(12)에는 촬상 장치의 구동용 전원인 배터리(2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25)는 배터리 장착 패널 (12)의 배면 및 하면에 개구되어 있고, 배터리(24)를 하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장착하고, 같은 방향으로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 패널(12)에는 현수용 스트랩을 위한 2개의 지지 부재(26a, 26b)가 부착되어 있다. 2개의 지지 부재(26a, 26b) 중 한쪽 지지 부재(26a)는 우측 사이드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른쪽 지지 부재(26b)는 좌측 사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5)의 표시 장치측 패널(10)에는 표시 장치(28)가 자세 변경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표시 장치(28)는 평판 형상의 액정 모니터(29)와, 이 액정 모니터(29)가 수납된 패널 케이스(30)와, 이 패널 케이스(30)를 외장 케이스(5)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31)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 지지부(31)는 수직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패널 케이스(30)를 수평 방향으로 약 90도 회전 가능하게 한 수평 회전 기능과, 수평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패널 케이스(30)를 전후 방향으로 약 180도 회전 가능하게 한 전후 회전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28)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하는 수납 상태와, 도5에 도시하는 패널 케이스(30)를 90도 회전시키고 액정 모니터(29)를 후방으로 대향시킨 상태와, 도5의 상태로부터 패널 케이스(30)를 180도 회전시키고 액정 모니터(29)를 전방으로 대향시킨 상태와, 그것들의 중간 위치의 상태를 임의로 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측 패널(10)에는 패널 케이스(3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이는 다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조작부(32)와, 패널 케이스(30)의 상 방에 배치된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조작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수납부(6)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일정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이 8 ㎝인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크기의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수납부(6)의 약 중앙부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의 테이블 회전 장치(35)가 배치되어 그 중앙부에 위치하는 턴 테이블(36)에 대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일구체예를 나타내는 직경 8 ㎝의 DVD(2)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테이블 회전 장치(35)가 배치된 디스크 수납부(6)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측 패널(8)에 측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디스크 덮개(7)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여 있다. 디스크 덮개(7)는 디스크 수납부(6)의 형상에 적당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6)의 개구측을 덮는 평면부(7a)와, 이 평면부(7a)의 외주연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하는 주면부(7b)를 갖고 있다. 디스크 덮개(7)의 주면부(7b)는 디스크측 패널(8)의 디스크 수납부(6)의 외주측 절결부와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디스크 덮개(7)는 외주 모서리 1주의 대략 5/6(약 300도)가 원형(원형 부분은 전체의 대략 3/4 이상이면 됨)이 된 쉘형을 이루고 있고, 남은 부분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방형부(7c)로 되어 있다. 이 방형부(7c)에는 디스크 덮개(7)를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회전 중심이 되는 덮개 회전축부(39)가 부착되어 있다. 덮개 회전축부(39)는 도시하지 않지만, 방형부(7c)를 관통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의 양단부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 부재를 갖는 베어링 부재로 이루어지고, 베어링 부재를 디스크측 패널(8)에 고정함으로써 디스크 덮개(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덮개 회전축부(39)에는 디스크 덮개(7)의 최대 개방 각도(예를 들어 90도)를 설정하는 스토퍼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덮개 회전축부(39)가 그 지지축의 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정하여 디스크측 패널(8)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디스크 덮개(7)가 덮개 회전축부(39)를 거쳐서 디스크측 패널(8)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디스크 덮개(7)는 디스크식 촬상 장치(1)의 정면을 전방측으로 하여 전방 개방에 의해 측방으로 약 90도 개방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 회전축부(39)에는 일정한 개방 각도의 범위 내에 있어서 디스크 덮개(7)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개방 각도를 넘었을 때에는 디스크 덮개(7)를 개방측으로 압박하도록 스프링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 디스크측 패널(8)과 포개어지는 중앙부 패널(9)의 상면부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전방면부의 하부에 걸치는 부분에는 내측이 되는 표시 장치측 패널(10)측으로 경사시킴으로써 오목해지는 오목부(42)가 설정되어 있다. 이 오목부(42)를 갖는 디스크측 패널(8) 및 중앙부 패널(9)의 원호 형상을 이루는 부분에 의해 디스크식 촬상 장치(1)를 파지하여 보유 지지하기 위한 그립부(43)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앙부 패널(9)과 디스크측 패널(8) 사이에는 디스크 덮개(7)의 덮개 개폐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 개폐 기구는 디스크 수납부(6)를 폐쇄한 상태의 디스크 덮개(7)를 그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로크하는 기능과, 그 로크를 해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도3 및 도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측 패널(8)에는 디스크 덮개(7)를 둘러싸도록 핸드 스트랩(60)이 부착되어 있다. 핸드 스트랩(60)은 외장 케이스(5)의 파지부로 된 그립부(43)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 부분을 지지하고, 디스크식 촬상 장치(1)의 떨어뜨림 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핸드 스트랩(60)은 양단부가 디스크측 패널(8)에 고정된 지지 벨트(61)와, 이 지지 벨트(61)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등 부분에 접촉되는 보호 패드(62)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벨트(61)의 일단부는 디스크측 패널(8)의 전방측 하부에 고정된 부착 부재(63)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디스크측 패널(8)의 후방측 중도부에 마련한 관통 구멍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내부에 부착된 부착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도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측 패널(8)의 후방부에는 전원 버튼(64)과 모드 절환 다이얼(65)과 녹화 버튼(66)이 배치되어 있다. 모드 절환 다이얼(65)은 링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구멍 내에 전원 버튼(64)이 수납되어 있다. 전원 버튼(64)은 푸쉬 푸쉬 방식의 스위치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압박 동작에 의해 전원 배터리(24)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온/오프(ON/OFF)된다. 모드 절환 다이얼(65)은 녹화 등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그 회전 조작에 의해「정지 화상 모드」와「동화상 모드」와「보기 및 편집 모드」라는 3형태 중에서 임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녹화 버튼(66)은 푸쉬 푸쉬 방식의 스위치 수단으로 이루어져 그 압박 동작에 의해 동화상 촬영의 스타트와 스톱이 반복된다.
또한, 디스크측 패널(8)의 후방측 상부에는 셔터 버튼(67)과 줌 레버(68)가 배치되어 있다. 셔터 버튼(67)은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그 압박 조작에 의해 1회의 압박 조작마다 1개의 정지 화상이 촬영된다. 또한, 줌 레버(68)는 촬영 시나 재생 시 등에 있어서 화상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조작량에 따라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배율을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5)의 내부는 구획 패널에 의해 좌우 방향[렌즈 장치(4)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획되고 있고, 이에 의해 디스크 덮개(7)측의 제1 실과 표시 장치측의 제2 실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 패널은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고정 나사에 의해 외장 케이스(5)의 내부에 체결 부착 고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외장 케이스(5)의 제1 실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가 수납되고, 제2 실에는 렌즈 장치(4)와 제어 회로부 등이 수납되어 있다. 그로 인해 구획 패널의 일면측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 돌기가 설치되고, 다른 면측에는 렌즈 장치(4)나 프린트 기판 등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나 기억 장치(RAM, ROM), 콘덴서나 저항, 그 밖의 전자 부품과, 이들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회로 기판 등에 의해 구성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는 구획 패널에 부착되는 메카니즘 새시(37)와, 이 메카니즘 섀시(37)에 고정되는 테이블 회전 장치(35)와, 픽업 장치의 일구체예를 나타내는 광학 픽업 장치(71)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 다. 메카니즘 섀시(37)는 도전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마운트 인슐레이터를 거쳐서 구획 패널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획 패널에 부착된 메카니즘 섀시(37)는 충분히 큰 강도를 갖는 프레임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메카니즘 섀시(37)와 구획 패널의 도체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접지 부재에 의해 서로 도통되어 있고, 정전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메카니즘 섀시(37)에 탑재된 테이블 회전 장치(35)는 메카니즘 섀시(37)에 고정된 스핀들 모터와, 이 스핀들 모터의 회전부에 고정된 턴테이블(36)로 구성되어 있다.
턴테이블(36)은 DVD(2)의 센터 구멍이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36a)와, 센터 구멍의 주연부가 적재되는 적재부(36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턴테이블(36)의 끼워 맞춤부(36a)에는 DVD(2)의 센터 구멍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DVD(2)를 보유 지지하는 복수개의 결합 갈고리(36c)가 주위 방향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각 결합 갈고리(36c)는 스프링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되어 있고, 이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DVD(2)가 끼워 맞춤부(36a)에 위치 결정 고정된다.
또한, 광학 픽업 장치(71)는 DVD(2)의 정보 기록면에 대향되는 픽업 렌즈(74a)를 갖는 2축 작동기(74)와, 이 2축 작동기(74)가 탑재된 슬라이드 부재(7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75)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2개의 가이드축으로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2개의 가이드축은 스핀들 모터를 협지하여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고, 한쪽 가이드축의 근방에 픽업 이동 장치 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픽업 이동 장치는 슬라이드 부재(75)에 부착된 이송 너트에 결합되는 이송 나사축과, 이 이송 나사축을 회전축으로 한 이송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송 나사축은 광학 픽업 장치(71)의 가이드축과 평행하게 설정되어 메카니즘 섀시(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송 모터를 구동하여 이송 나사축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이송 나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광학 픽업 장치(71)가 턴테이블(36)에 근접하는 방향과 턴테이블(3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이들 메카니즘 섀시(37)와 테이블 회전 장치(35)와 광학 픽업 장치(71)와 픽업 이동 장치와 그 밖의 관련 기구에 의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가 부착된 구획 패널을 외장 케이스(5)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회전 장치(35)의 턴테이블(36)과 그 주변 부분이 디스크측 패널(8)의 디스크 수납부(6)에 배치된다. 이 디스크 수납부(6)가 디스크 덮개(7)에 의해 개폐되고, 그 디스크 덮개(7)의 로크 및 그 로크 해제가 덮개 개폐 기구에 의해 행해진다.
덮개 개폐 기구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덮개(7)에 고정되는 로크 부재(46)와, 디스크측 패널(8)측의 부재인 베이스 플레이트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조작 부재(4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46)는 한 쌍의 로크 갈고리(46a, 46b)에 의해 이루어지고, 디스크 덮개(7)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이 로크 갈고리(46a, 46b)가 디스크측 패널(8)의 전방면부에 형성된 삽입 구멍(57a, 57b)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크가 행해지고, 이 디스크 덮개(7)의 로크는 조작 부재(47)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 덮개(7)가 개폐되는 디스크식 촬상 장치(1)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크식 촬상 장치(1)를 한 손으로 확실하게 파지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장 케이스(5)의 디스크측 패널(8) 및 디스크 덮개(7)의 부분이 그대로 디스크식 촬상 장치(1)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로 되어 있고, 게다가 그 파지부의 대략 전체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큰 그립부(43)에서 안정된 촬영이 가능해졌다.
또한, 그립부(43)의 내측에는 오목부(42)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 오목부(42)에 집게 손가락으로부터 새끼 손가락까지의 각 선단부를 걸어 파지함으로써 충분히 큰 파지력이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43)의 내측에 설정된 공간 영역에 덮개 개폐 기구(45)가 수납되어 있으므로, 외장 케이스(5) 내의 공간 영역을 낭비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로 인해, 외장 케이스(5) 내의 빈 영역을 없앰으로써 상기 외장 케이스(5)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그 결과,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졌다.
계속해서, 도11 이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배터리 로크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촬상 장치의 배터리를 제거한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12는 배터리를 제거한 촬상 장치를 가로로 하여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13은 배터리 로크 기구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14는 배터리 로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15는 배터리 로크 기구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16은 도15에 있어서 압박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17 내지 도19는 배터리 로크 해제 동작의 설명도, 도20은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4)는 촬상 장치(1)의 배면측에 설치된 배터리 장착부(2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배터리 장착부(25)는 촬상 장치(1)의 배면측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5)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터리 장착 패널(12)에 설치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4)에는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 상하 2군데에 긴 홈(120a, 1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배터리 장착 패널(12)에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벽부(12a 및 12b)의 내면측에 결합부(130a, 130b)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24)는 이 결합부(130a, 130b)에 긴 홈(120a, 120b)이 결합함으로써 배터리 장착부(25)에 고정 보유 지지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4)의 긴 홈(120a, 120b)은 상반부가 전방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배터리(24)를 장착할 때에는 이 개방부로부터 긴 홈(120a, 120b)을 배터리 장착 패널(12)의 결합부(130a, 130b)에 결합시키고, 그 상태로부터 배터리(24)를 배터리 장착부(25)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긴 홈(120a, 120b)을 완전히 결합부(130a, 130b)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배터리 장착부(25)에 장착된 배터리(24)는, 그 상단부면에 형성된 단자부(121a, 121b, 121c)(도20 참조)가 배터리 장착부(25)의 상방에 설치된 촬상 장치측의 단자부(131a, 131b, 131c)(도12 참조)와 접촉하여 촬상 장치(1)에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25)에 배터리(24)가 장착된 상태에서 배터리(24)를 로크하는 동시에 그 로크를 해제하는 배터리 로크 기구가 배터리 장착 패널(12)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배터리 로크 기구는 배터리 장착부(25)에 장착된 배터리(24)에 결합하여 이를 로크하는 로크 부재(140)와, 이 로크 부재(140)에 의한 배터리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부재(150)를 갖고 구성되고, 특히 본 예의 배터리 로크 기구에서는 이 로크 부재(140)와 로크 해제 부재(150)가 L자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14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40)는 배터리 장착 패널(12)의 이면측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 부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로크 부재(140)의 상단부에는 결합자(140a)가 설치되어 있고, 이 결합자(140a)가 관통 구멍(141)으로부터 배터리 장착 패널(12)의 표면측, 즉 배터리 장착면측으로 돌출된다.
로크 부재(140)는 그 하단부에 지지축(142)을 통해 이 지지축(142)의 양단부를 배터리 장착 패널(12)의 이면측에 설치된 베어링 오목부(143a, 143b)에 삽입하고, 배터리 장착 패널(12)에 대해 접촉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지축(142)은 베어링 오목부(143a, 143b)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터리 장착 패널(12)에 나사 고정되는 보유 지지판(144)의 압박부(144a, 144b)에 의해 베어링 오목부(143a, 143b)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보유 지지된다.
또한, 로크 부재(140)의 하단부에 있어서 지지축(142)에는 로크 부재(140)와 보유 지지판(144) 사이에 복귀 스프링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145)이 장착되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45)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로크 부재(140)는 배터리 장착 패널(12)의 이면측에 압착하여 결합자(140a)가 관통 구멍(14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압박되어 있다. 또한,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40)는 메카니즘 섀시 등의 내부 구조부의 판금(149)이 스토퍼로 되어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45)에 의한 압박 방향과 역방향으로 무리하게 압입하고자 해도 판금(149)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은 압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배터리 장착부(25)에 배터리(24)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배터리(24)에 마련된 로크 오목부(122)(도20 참조)에 로크 부재(140)의 결합자(140a)가 결합하고, 이에 의해 배터리(24)는 긴 홈(120a, 120b)이 배터리 장착 패널(12)의 결합부(130a, 130b)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이동 불가능하게 로크된다.
한편, 로크 해제 부재(150)는 촬상 장치(1)의 바닥면측에 배터리 장착부(25)의 배터리 장착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 부품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착 패널(12)의 하단부에는 배터리 장착부(25)에 대해 직각으로 이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판부(1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판부(12c)에 형성된 조립 부착 구멍(151)에 로크 해제 부재(150)가 장착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부착 구멍(151)은 배터리 장착면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부(151a)로부터 로크 해제 부재(150)를 삽입하여 조립 부착한다. 여기서 로크 해제 부재(150)는 양측 모서리면에 측 홈(150a)을 갖고, 이 측 홈(150a)이 조립 부착 구멍(151)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모서리(도 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조립 부착된 로크 해제 부재(150)는 조립 부착 구멍(151)의 개방부(151a)에 끼움 부착 고정되는 스토퍼 부재(153)에 의해 조립 부착 구멍(151)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보유 지지된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해제 부재(150)는 조립 부착 구멍(151)으로부터 표출되는 하면측을 조작면으로 하고, 이 조작면에는 슬라이드 조작시에 손가락을 걸기 쉽게 하기 위한 오목부(15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해제 부재(150)는 그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를 탑재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는 로크 해제 부재(150) 상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일단부측에는 버튼부(155a)를 일체로 갖고, 이 버튼부(155a)가 로크 해제 부재(150)의 통과 구멍(150c)으로부터 조작면의 오목부(150b)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는 버튼부(155a)의 상방에 있어서 로크 해제 부재(150)와의 사이에 부착된 복귀 스프링인 짐벌 스프링(156)에 의해 항상 하방, 즉 로크 해제 부재(150)에 압착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단부면(155b)과, 이것과 대응하는 스토퍼 부재(153)의 판 받침부(153a)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로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를 탑재한 로크 해제 부재(150)에 대응하여 로크 부재(140)에는 로크 해제 부재(150)의 슬라이드 조작력을 로크 부재(14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판(147)이 고정되어 있다. 이 전달판(147)은 소요 형상으로 굴곡된 판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147a)가 로크 부재(140)의 하방으 로 연장되어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단부면(155b)에 접촉 결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예의 배터리 로크 기구에 있어서의 배터리 로크 해제 동작을 도17 내지 도19에서 설명한다.
도17은 배터리 로크 상태이고, 즉 이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140)의 결합자(140a)가 배터리(24)의 로크 오목부(122)에 결합하고, 이에 의해 배터리(24)는 배터리 장착부(25)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로크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로크 해제 부재(150)를 배터리 로크 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고자 해도 로크 해제 부재(150)에 탑재되어 있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단부면(155b)이 스토퍼 부재(153)의 판 받침부(153a)에 충돌하는 상태가 되므로, 로크 해제 부재(150)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의 로크가 잘못하여 해제되는 일은 없다.
이 상태로부터 배터리(24)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로크 해제 부재(150)의 조작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버튼부(155a)를 누르면서 로크 해제 부재(150)를 배터리 장착부를 향해 슬라이드 조작한다.
즉, 우선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버튼부(155a)를 누르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가 짐벌 스프링(156)을 휘면서 상승시키고, 그 상승 위치에서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단부면(155b)이 스토퍼 부재(153)의 판 받침부(153a)와 비대응이 되므로, 로크 해제 부재(150)의 슬라이드 로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버튼부(155a)를 누르면서 로크 해제 부 재(150)를 배터리 장착부를 향해 슬라이드 조작하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단부면(155b)이 전달판(147)의 하단부(147a)를 압박하고, 이에 의해 로크 해제 부재(150)의 슬라이드 조작력이 전달판(147)을 거쳐서 로크 부재(140)로 전달되고, 로크 부재(14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45)의 힘에 저항하고 지지축(142)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고, 결합자(140a)가 배터리(24)의 로크 오목부(122)로부터 빠짐 분리된다.
이와 같이 로크 부재(140)의 결합자(140a)가 배터리(24)의 로크 오목부(122)로부터 빠짐 분리됨으로써 배터리(24)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 배터리 로크 해제 동작에 있어서 로크 부재(140)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구조부의 판금(149)이 스토퍼가 되고, 그 이상의 로크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대해 로크 해제 부재(150)는 이동 조작 스트로크가 커, 로크 부재(140)의 이동 스트로크와 일치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예의 기구에서는 로크 해제 부재(150)의 조작력을 로크 부재(140)로 전달하는 전달판(147)에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배터리 로크 해제 동작 시에는 이 판스프링이 휨으로써 로크 해제 부재(150)의 오버 스트로크분을 흡수하여 원활하고 확실한 로크 해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하여 배터리(24)의 로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배터리(24)를 배터리 장착부(25)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긴 홈(120a, 120b)을 결합부(130a, 130b)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배터리(24)를 배터리 장착부(25)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배터리 로크 기구는, 도13 내지 도19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40)와 로크 해제 부재(150)가 L자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 로크 기구는 최소한의 공간에서 구성되고, 이를 촬상 장치(1)의 외장 케이스(5)와 내부 구조부[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의 메카니즘 섀시(37)나 회로 기판, 그 밖의 기구 부품 등] 사이의 약간의 간극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므로, 전자 기기의 한층 소형화에 크게 공헌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예의 배터리 로크 기구는 로크 해제 부재(150)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를 구비한 것에 의해, 배터리(24)의 로크가 잘못하여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여기서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를 로크 해제 부재(150)에 탑재한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155)의 복귀 스프링에 짐벌 스프링(156)을 이용함으로써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여 촬상 장치의 소형화에 한층 유리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본 예의 배터리 로크 기구는 촬상 장치(1)의 외장 케이스(5)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터리 장착 패널(12)에 로크 부재(140)와 로크 해제 부재(150)가 조립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촬상 장치(1)의 조립 시에는 미리 배터리 장착 패널(12)에 로크 부재(140)와 로크 해제 부재(150)를 조립 부착해 두고, 이 배터리 장착 패널(12)을 촬상 장치(1)의 외장 케이스(5)에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예의 배터리 로크 기구에 따르면, 배터리를 제거할 때의 동작을 한 손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즉, 배터리를 제거할 때에는, 도21에 도시한 바 와 같이 한 손으로 배터리(24)를 파지하도록 보유 지지하면서 엄지 손가락으로 슬라이드 로크 부재의 버튼부(155a)를 누르고(a), 그 상태에서 로크 해제 부재(150)를 배터리(24)측으로 슬라이드 조작(b)하여 배터리의 로크를 해제하고, 그 후에 엄지 손가락과 대향하는 측의 손가락으로 배터리(24)의 상면을 밀어 내림으로써(c), 자연스럽게 손 안에 떨어진 배터리(24)를 파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인간 공학적으로 무리가 없는 동작으로 배터리(24)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배터리 로크 기구는 배터리를 의식적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제거되지 않는 로크 기구이면서 배터리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한 손으로 배터리를 보유 지지하면서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기구이고, 이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배터리를 확실하게 장착하고, 또한 제거가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하고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DVD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한 디스크 기록식 촬상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 기록식 촬상 장치 등 각종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전자 기기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이면측을 따라서 배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배터리 장착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배터리에 결합하여 이를 로크하는 로크 부재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배터리 장착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크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배터리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해제 부재가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해제 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로크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로크 부재는 상기 로크 해제 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외장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널에 상기 배터리 장착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패널에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해제 부재가 조립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KR1020057015525A 2003-12-24 2004-11-26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KR20060120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7863 2003-12-24
JP2003427863A JP3903983B2 (ja) 2003-12-24 2003-12-24 電子機器のバッテリーロック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92A true KR20060120392A (ko) 2006-11-27

Family

ID=3470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525A KR20060120392A (ko) 2003-12-24 2004-11-26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71866B2 (ko)
EP (1) EP1713138A4 (ko)
JP (1) JP3903983B2 (ko)
KR (1) KR20060120392A (ko)
CN (1) CN100588002C (ko)
TW (1) TWI250681B (ko)
WO (1) WO2005062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5317B2 (ja) 2005-12-26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TWI290973B (en) * 2006-02-23 2007-12-11 Compal Electronics Inc Fixture structure of rotating shaft
KR100794793B1 (ko) * 2006-10-10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착탈 장치 및 전자기기
US8162191B2 (en) * 2008-04-21 2012-04-24 Shimano Inc. Bicycle battery holder
TWI402601B (zh) * 2010-01-21 2013-07-21 Ability Entpr Co Ltd 人體工學攝影裝置
JP2016024383A (ja) * 2014-07-22 2016-02-0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FR3056020B1 (fr) * 2016-09-13 2021-01-01 Pellenc Sa Dispositif a batterie electrique, pour support de batterie
TWI677275B (zh) * 2018-08-20 2019-11-11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總成及其理線裝置
CN112688009A (zh) * 2018-08-22 2021-04-20 王嘉静 一种新能源电池箱及使用方法
CN114824629B (zh) * 2022-05-18 2024-02-13 武汉长江光电有限公司 一种电池夹的快速锁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86509T2 (de) * 1985-05-27 1993-03-18 Sony Corp Videobandaufnahmegeraet mit einbaukamera.
JPH01227350A (ja) 1988-03-08 1989-09-11 Fuji Photo Film Co Ltd バッテリーのロック機構
US5212021A (en) * 1992-02-21 1993-05-18 Duracell Inc. Energy pack and individual battery cell cartridge
JPH06168742A (ja) * 1992-11-30 1994-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テリー充放電機能付きacアダプター
JP3508188B2 (ja) * 1993-11-15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付属品
JP3404122B2 (ja) 1994-05-18 2003-05-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ロック機構
DE19521423B4 (de) 1995-06-14 2006-08-31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mit batteriegespeistem Antriebsmotor und Batterie-Baueinheit für eine derartige Handwerkzeugmaschine
JPH09230961A (ja) * 1996-02-27 1997-09-05 Toshiba Corp 携帯形電子機器
US6261715B1 (en) * 1998-03-12 2001-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attery attaching mechanism for portable computers
US6729413B2 (en) 2001-08-24 2004-05-04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e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3138A1 (en) 2006-10-18
US20060141343A1 (en) 2006-06-29
CN1751403A (zh) 2006-03-22
JP3903983B2 (ja) 2007-04-11
TW200527739A (en) 2005-08-16
JP2005190731A (ja) 2005-07-14
TWI250681B (en) 2006-03-01
US7771866B2 (en) 2010-08-10
WO2005062402A1 (ja) 2005-07-07
CN100588002C (zh) 2010-02-03
EP1713138A4 (en)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4089B2 (ja) カメラボディおよび撮像装置
KR101318538B1 (ko)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
KR20080019556A (ko)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
US20050057685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60120392A (ko) 전자 기기의 배터리 로크 기구
JPH11331667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4007214A (ja) 撮像装置
JP4512959B2 (ja) 撮像装置
JP4337544B2 (ja) 撮像装置のビューファインダ
EP1544862A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7174584A (ja) 電子機器
JP4285233B2 (ja) 撮像装置
JP2006228471A (ja) 電子機器のバッテリーロック機構
JP2006253084A (ja) 電子機器
JP2007206445A (ja) 電子機器
JP2756286B2 (ja) カメラ
CN112602317B (zh) 拍摄装置的辅助拍摄结构及拍摄设备
JP2003317682A (ja) 電子機器及び電池収納装置のロック機構
JPH0698216A (ja) 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開閉機構
JPH09166816A (ja) 取付装置
JP2022070374A (ja) 映像表示装置
JP3205973B2 (ja) カメラ用アダプタ
JP2518975Y2 (ja) 電子的撮像装置
JP5153355B2 (ja) ロック機構
JP4586458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