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352A -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352A
KR20060119352A KR1020050042290A KR20050042290A KR20060119352A KR 20060119352 A KR20060119352 A KR 20060119352A KR 1020050042290 A KR1020050042290 A KR 1020050042290A KR 20050042290 A KR20050042290 A KR 20050042290A KR 20060119352 A KR20060119352 A KR 20060119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upling hole
product
pin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오
Original Assignee
윤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오 filed Critical 윤종오
Priority to KR102005004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352A/ko
Publication of KR2006011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착, 습식 전기 도금 등 전기를 이용한 표면처리에 있어서 대량 제품 생산을 위하여 사용되는 락크의 전기공급의 방법을 개선한 정밀 락크를 제공하여 그 표면처리 두께의 편차를 개선하고 이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광택 편차 등을 개선하기 위한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에 있어서, 두(頭)부에서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 걸이 핀으로 와이어를 통해 전기 공급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금, 습식도금, 플라스틱 도금, ABS도금, 락크, 휴대폰 부품 도금, 전착.

Description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MINUTENESS RAC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습식도금에서 사용하고 있는 외줄 단면 락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두께 편차(표준편차)를 개선한 정밀 락크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밀 락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밀 락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대량생산을 위하여 런너의 내부에 제품을 나열하여 한번에 4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중심부위 원형에 락크를 걸 수 있도록 만든 이중사출 제품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두(頭)부 22 : 결합공
23 : 체결공 24 : 몸체
26 : 체결부재 28 : 고정물
30 : 제품걸이 핀 32 : 와이어(전선, 배선)
34 : 절연 피복층 40 : 핀 결합공
본 발명은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착, 습식 전기 도금 등 전기를 이용한 표면처리에 있어서 대량 제품 생산을 위하여 사용되는 락크의 전기공급의 방법을 개선한 정밀 락크를 제공하여 그 표면처리 두께의 편차를 개선하고 이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광택 편차 등을 개선하기 위한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전기 도금법이 발명된 것은 약 140여년전으로 아연도금, 은도금, 니켈도금, 크롬도금, 플라스틱 도금 순으로 개발되어 왔다. 전기 도금은 발명 당시에는 도금하는 금속을 표면에 전착시켜 주는 것에 국한 되었으나, 공업화 되고 실용화 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화학도금, 진공도금, 용융도금 등의 도금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이중 가장 대표적인 도금법이 전기도금법이며, 플라스틱상의 도금법은 1962년 ABS 수지상의 전기도금 프로세스가 확립되고 난 후 점차 공업화 및 실용화 되었다.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모바일 제품 및 가전제품 등에서 디자인을 중요하게 생각함으로써 ABS 상의 전기도금은 그 사용처가 더욱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휴대폰의 NAVI KEY, SIDE KEY 등이 그 대표적인 플라스틱 도금물로 디자인 및 내구성이 뛰어나 그 사용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도금 제품은 플라스틱 표면에 전기가 통하기까지의 전처리 공정과 전기가 통하게 된 이후의 전기도금 공정으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전처리 공정은 플라스틱 표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탈지공정, 표면에 미세한 모공을 만들고 이러한 모공 속에 금속성 뿌리가 박힐 수 있도록 하여주는 에칭공정, 금속성분이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활성공정과 해당 활성공정 표면위에 무전해로 화학니켈을 도금하여 전기가 통하게 하는 공정까지를 일컫는다.
전기도금 공정은 플라스틱 표면에 화학니켈이 도금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인가하여 니켈, 크롬, 금등의 금속성분을 그 위에 흡착하게 하는 공정으로서 이곳에서 도금의 두께 및 광택을 담당하게 된다.
현재 전기도금은 도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3과 같이 한 개의 사출품에 여러 개의 단품 제품들이 함께 사출되는 형태를 취하고 이러한 사출품 여러 개를 도 1과 같이 한 개의 락크에 걸어서 한꺼번에 도금하는 방식으로 생산효율을 높이고 원가절감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대량생산을 위한 락크(10)는 도 1과 같이 락크(10)의 두(頭)부(12)에서부터 몸체(14)를 이루는 하단부까지 모두 구리로 되어 있어 전기가 통하는 소재이고, 제품을 걸기 위한 핀(16)이 용접되어 있는 형태로 제품을 도금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위만을 남겨두고 나머지 부분은 산성 성분에 강한 우레탄 등의 절연물질을 피복제로 하여 코팅된다.
상기와 같이 우레탄 등 절연물질을 피복제로 하여 락크(10)를 코팅하는 목적은 필요한 부분 즉, 도금하고자 하는 제품에만 도금을 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코팅하지 않을 경우 전기도금 시 락크(10)의 해당 표면도 제품과 같이 도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비철 등의 소모가 많아지고, 도금액에 불순물이 혼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락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4)가 1개이고 해당 몸체(14)의 한쪽 면에 만 도금할 제품을 걸 수 있는 제품걸이 핀(16)이 나열되어 있는 단면 단발 락크, 몸체 1개의 양쪽에 제품걸이 핀이 나열되어 있는 양면 단발 락크, 몸체가 2개인 단면 양발 락크, 양면 양발 락크, 몸체가 3개 인 단면 삼발 락크, 양면 삼발 락크 및 제품의 형상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는 락크 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몸체가 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가로로 지지대를 두어 몸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몸체 모두를 구리로 구성하여 전도성을 부여하고 도금시 필요한 부분만을 남겨두고 우레탄이나 피브이씨(PVC) 또는 이를 혼합한 물질등 산에 강하면서도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피복처리하여 사용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도금방식은 첫째, 락크의 제품이 걸리는 부위 중 두(頭)부에 가까운 부위에 걸리는 제품과 몸체 하단 부위에 걸리는 제품은 전기가 집중되면서 해당 부위에서 도금된 제품의 도금 두께가 락크 중간에서 도금된 제품의 도금두께보다 두께가 과다하게 올라가서 완제품으로 생산시 형합상의 문제를 일으 킬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은 도금두께는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제품의 설계에 있어서, 해당 제품의 두께 편차가 극심하여 표준편차를 더욱 많이 주어야 하는 관계로 미려한 디자인의 설계를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전기도금에 있어서 같은 광택제의 양을 도금조에 투입하여도 도금 두께가 두껍게 도금된 제품의 광택이 락크 중앙 부위에서 도금된 제품에 비하여 더욱 밝게 나타나는 광택편차가 심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금에 사용되는 니켈, 동볼 등 비철이 들어가는 바스켓(BASKET)에 가해지는 양극 전류의 전계가 집중되는 고압부 전단부에 차단막을 설치하여 도금하고자 하는 제품의 도금 두께가 균일해지도록 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습식도금의 경우 해당 도금액은 전기가 통하는 액체상태이다. 즉, 니켈도금에 있어서 도금액의 주성분은 염화니켈, 유산니켈이 주성분이고 안정제로 붕산이 일부 들어가며, 동도금에 있어서 도금액의 주성분은 유산동과 황산이 주성분으로써 전도성을 가지고 있는 액체이다.
따라서 고압부 전단에 차단막을 설치하여도 전기의 양이온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며, 또한 실제 차단막이 설치된 도금욕조에서 전기도금을 수행한 경우에도 상하편차가 눈에 띄게 줄어들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전기도금을 통해 제품을 도금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락크는 두(頭)부에서 부터 몸통에 이르기 까지 그 골격을 구리(Cu)로 제작하여 그 표면에 제품 걸이 핀을 용접하여 그 위에 우레탄 등의 절연물질로 코팅처리를 한 후 제품 걸이 핀의 끝단 부위에 제품이 걸리는 부분만 코팅처리 피막을 제거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락크는 락크 제작시의 간편한 점을 들어 현재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부스바로부터 인가된 전기가 두(頭)부를 거쳐 하단부에 이르도록 자유자제로 통전되는 과정에서 두(頭)부에 가까운 부위와 하단부에 전기가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이러한 현상은 곧 제품의 두께편차를 유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두께편차는 각 도금의뢰처의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보편적으로 기준두께에 상하편차를 주는 방식의 기준을 제시한다. 예를 들면 13 미크론 ㅁ 5 미크론 또는 20 미크론 ㅁ 5 미크론, 13 미크론 ㅁ 4 미크론 등이다.
전기도금 방식에서 도금의 두께는 한 사출품 내에서도 측정위치에 따라 그 값이 천차만별로 벌어진다. 첨부 도면 도 3의 F와 같은 제품에서 제품의 표면에 두께측정을 할 때 게이트와 맞닿는 부위를 가깝게 찍느냐 멀게 찍느냐 하는 등의 위치는 제품 걸이 핀으로부터 인가된 음극 전류가 런너(E)를 통해 어떻게 제품에 영향을 미쳤는가에 따라 각 부위의 도금 두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습식전기도금에 있어서의 도금두께의 편차는 런너의 구조를 통하여 제품에 도달되는 거리가 일정한 가 도달한 전기가 빠져 나가는 게 일정한 가 등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것과 똑 같은 원리로 락크의 어느 부위에 제품이 걸렸는가에 따라 도금 두께는 또 달라지게된다. 락크의 상측과 하측에 걸린 제품은 전기가 집중되면서 도금 두께가 락크의 중앙부위보다 높게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상측과 하측에 있는 제품의 도금두께는 락크의 영향에 의한 편차와 런너의 구조 등에 의한 편차에 의하여 락크 중앙부위에 있는 제품에 비하여 더욱 큰 편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금 두께를 측정할 때에는 두께측정기의 같은 위치에서 제품의 같은 부위를 가급적 여러 번에 걸쳐 측정하여 그 평균치와 표준편차로 두께의 균일성과 일정한 두께가 올라갔는지를 평가하게 된다.
종래의 락크에 의하여 생산된 제품 중 락크의 최 상단에 걸린 제품과 최 하단에 걸린 제품은 고객이 요구하는 두께의 상한치를 넘어서서 종종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는 일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장식용 니켈크롬 도금에 있어서 대부분의 두께를 차지하는 도금은 습식 니켈 전기도금이고 이러한 습식 니켈 전기도금은 경우에 따라서 광택을 가급적 적게 인가한 1차 두께를 올리기 위한 니켈도금과 광택제를 충분히 가미하여 광택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2차 광택니켈도금으로 나뉘어지기도 하고, 1차 2차 구분을 하지 아니하고 두께와 광택을 한꺼번에 맞추기도 한다. 종래의 락크는 이러한 니켈 도금에 있어서 두께 편차로 인한 광택편차를 동시에 가져왔다.
즉, 두께가 많이 올라간 부위는 두께가 적게 올라간 부위보다 더욱 밝은 광택을 내게 되었고 이는 휴대폰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장식용 부품에 있어서 같은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광택을 가지게 됨으로서 디자인적 통일감을 빼앗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도금의 두께편차 및 두께편차에 의한 광택편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철 등의 도금 재료가 들어있는 바스켓(BASKET)의 양극전류의 상중하 편차에 의해 발생하고, 둘째, 대량 생산을 위한 여러 개의 제품이 달려 있는 사출물에 있어서의 런너에 의하여 음극 전류의 흐름과 전기의 집중현상에 의해 발생하고, 셋째, 여러 개의 사출물을 동시에 도금하기 위한 락크에 있어서 락크의 상측과 하측에 집중되는 음극 전류량에 의해 발생한다.
상기 중 첫 번째 원인인 양극전류의 상중하 편차는 실제 바스켓이 도금욕조의 내부에 도금액과 같이 담겨져 있고, 양극전류에 의하여 들어있는 비철을 녹여 전류의 알갱인 전하를 통하여 음극으로 흡착되게 됨으로써 차폐막 등으로 전기가 집중되는 부분을 차폐한다고 해도 그 실효성을 거두기가 쉽지 않다.
도금욕조는 계속적으로 공기교반등을 통하여 교반되고 있어, 계속 섞이기 때문에 일정하게 직선적으로 양이온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두 번째의 대량생산을 위한 여러 개의 제품이 달려 있는 사출물에 있어서의 런너의 구조 등에 의하여 도금의 편차를 잡는 것은 해당 사출품 내에서의 두께 편차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이나, 전반적인 락크의 상하편차에 영향을 주기는 어렵다.
또한 수십종의 제품이 다 형상이 다르고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형상으로 런너나 게이트의 구조를 만들어도 제품에 미치는 영향은 전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도금의 두께편차를 줄이기 위하여는 락크의 몸체에 있어서 두(頭)부에 가까운 부위와 몸체의 하단에 집중되는 전기를 분산하여 각 제품이 걸리는 락크의 제품 걸이 핀에 일정하게 전기를 인가하여 전반적인 두께편차와 함께 표준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 개선요구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걸이 핀이 고정, 결합되는 몸체를 부도체로 제작하고, 상기 핀이 고정되는 고정물들이 와이어(배선)로 도체인 두(頭)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전기를 이용한 표면처리시 두께 편차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자 하는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께편차와 함께 발생하는 광택편차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금의 두께편차를 축소시킴으로, 도금의 원가 절감 등을 꾀할 수 있어 경제적인 도금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에 있어서, 두(頭)부에서 몸 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 걸이 핀으로 와이어를 통해 전기 공급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에 있어서,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로 이루어진 두(頭)부; 상기 결합공과 매칭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두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두부에 몸체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수직 배열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 상기 고정물에 고정, 결합되는 제품걸이 핀; 및 상기 복수의 고정물과 상기 두부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물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에 있어서,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로 이루어진 두(頭)부; 상기 결합공과 매칭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핀 결합공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체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두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두부에 몸체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수직 배열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 상기 고정물에 고정, 결합되는 제품걸이 핀; 및 상기 복수의 고정물과 상기 두부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물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측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걸이 핀 결합공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는 부도체 락크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c) 도체인 두(頭)부와 상기 제품걸이 핀을 연결할 와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결합공과 상기 체결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두(頭)부의 소정 부위에 몸체의 일부를 겹친 후 체결부재를 상기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공과 체결공을 관통시켜 두(頭)부와 몸체가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몸체의 일측에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을 고정하는 단계; (f) 상기 고정물에 제품걸이 핀을 결합하는 단계; (g) 상기 고정물과 상기 도체인 두(頭)부 사이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단계; (h) 상기 몸체를 우레탄등 절연물질로 코팅시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품 걸이 핀의 제품이 걸릴 부위에 코팅된 절연층 피복을 벗겨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일측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걸이 핀과 결합될 핀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락크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제품걸이 핀과 결합되는 핀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를 우레탄 등 절연물질로 코팅하는 단계; (4) 도체인 두(頭)부와 상기 제품걸이 핀을 연결할 와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5) 상기 결합공과 상기 체결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두(頭)부의 소정 부위에 몸체의 일부를 겹친 후 체결부재를 상기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공과 체결공을 관통시켜 두(頭)부와 몸체가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6) 상기 몸체의 핀 결합공에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을 고정하는 단계; (7) 상기 고정물에 제품걸이 핀을 결합하는 단계; (8) 상기 고정물과 상기 도체인 두(頭)부 사이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단계; (9) 상기 몸체를 우레탄등 절연물질을 코팅시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10) 상기 제품 걸이 핀의 제품이 걸릴 부위에 코팅된 절연층 피복을 벗겨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측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걸이 핀과 결합될 핀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락크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체결공과 상기 핀 결합공에 끼워져 두(頭)부와 몸체가 절연되도록 하는 보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D) 도체인 두(頭)부와 상기 제품걸이 핀을 연결할 와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보형물을 상기 체결공과 핀 결합공에 결합시킨 후 상기 결합공과 상기 체결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두(頭)부의 소정 부위에 몸체의 일부를 겹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상기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공과 체결공을 관통시켜 두(頭)부와 몸체가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몸체 의 핀 결합공에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을 고정하는 단계; (G) 상기 고정물에 제품걸이 핀을 결합하는 단계; (H) 상기 고정물과 상기 도체인 두(頭)부 사이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단계; (I) 상기 몸체를 우레탄등 절연물질을 코팅시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J) 상기 제품 걸이 핀의 제품이 걸릴 부위에 코팅된 절연층 피복을 벗겨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락크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은 도체의 두(頭)부에 부도체의 몸체가 결합된 정밀 락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밀 락크는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20)와, 상기 결합공(22)과 매칭되는 체결공(23)이 형성되어 있는 부도체인 몸체(24)와, 상기 두부(20)의 결합공(22)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24)의 체결공(24)에 결합되어 상기 두부(20)에 몸체(24)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26)와, 상기 몸체(24)의 일측에 수직 배열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28)과, 상기 고정물(28)에 고정, 결합되는 제품걸이 핀(30)과, 상기 복수의 고정물(30)과 상기 두부(20)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물(30)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와이어(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26)는 볼트와 너트이다.
그리고, 상기 제품걸이 핀(30)은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물(28)에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걸이 핀에서 제품이 걸리는 끝단부를 제외한 정밀 락크의 몸체 표면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층(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밀 락크가 도금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24) 하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보형물이 더 구비되며, 이때 상기 보형물은 어느 정도 무게가 나가는 금속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에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를 준비하고, 상기 결합공(22)과 연결되는 체결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걸이 핀 결합공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는 부도체 락크 몸체(24)를 준비하고, 도체로 이루어진 두(頭)부(20)와 상기 제품걸이 핀(30)을 연결할 와이어(32)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22)과 상기 체결공(23)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두(頭)부(20)의 소정 부위에 몸체(24)의 일부를 겹친 후 체결부재(26)를 상기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공(22)과 체결공(23)을 관통시켜 두(頭)부(20)와 몸체(24)가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4)의 일측에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28)을 고 정하고, 상기 고정물(28)에 제품걸이 핀(30)을 결합한 후 상기 고정물(28)과 상기 도체 두(頭)부 사이를 와이어(32)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32)를 연결하고 상기 몸체(24)를 우레탄 등과 같은 절연물질을 코팅시켜 절연피복층(34)을 형성한 후 상기 제품 걸이 핀(30)에서 도금할 제품이 걸릴 부위에 코팅된 절연층 피복만 벗겨내어 도금할 제품에 전기도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는 도체인 두(頭)부에 도체인 몸체가 결합된 정밀 락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로 이루어진 두(頭)부(20)와, 상기 결합공(22)과 매칭되는 체결공(23)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핀 결합공(40)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체로 이루어진 몸체(24)와, 상기 두(頭)부(20)의 결합공(22)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24)의 체결공(23)에 결합되어 상기 두(頭)부(20)에 몸체(24)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26)와, 상기 몸체(24)의 일측에 수직 배열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28)과, 상기 고정물(28)에 고정, 결합되는 제품걸이 핀(30)과, 상기 복수의 고정물(28)과 상기 두(頭)부(20)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물(28)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와이어(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23)의 지름은 상기 체결부재(26)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체결부재(26)가 결합될 경우 체결공(23)을 우레탄등 절연물질로 코팅시켜도 체결부 재(26)가 쉽게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24)에 천공된 핀 결합공(40)의 지름도 상기 고정물(28)의 지름보다 커야 한다.
이때, 상기 몸체(24)는 도체이므로, 두(頭)부(20)와 절연시키기 위해 우레탄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코팅처리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에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를 준비하고, 상기 결합공(22)과 연결되는 체결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걸이 핀(30)과 결합될 핀 결합공(42)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몸체(20)를 준비한 후, 상기 제품걸이 핀(30)과 결합되는 핀 결합공(42)이 형성된 몸체(24)를 우레탄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코팅하여 절연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도체인 두(頭)부와 상기 제품걸이 핀(30)을 연결할 와이어(32)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22)과 상기 체결공(23)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두(頭)단부(20)의 소정 부위에 몸체(24)의 일부를 겹친 후 체결부재(26)를 상기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공(22)과 체결공(23)을 관통시켜 두(頭)부(20)와 몸체(24)가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24)의 핀 결합공(40)에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28)을 고정하고, 납땜 방식으로 상기 고정물(28)에 제품걸이 핀(30)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물(28)과 두(頭)부 사이를 와이어(32)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4)를 우레탄등 절연물질을 코팅시켜 절연층(34)을 형성하고, 상기 제품 걸이 핀(30)에서 제품이 걸릴 부위에 코팅된 절연층 피복을 벗겨낸다.
(실시예3)
실시예 3은 실시예2에서 몸체(24)를 우레탄등 절연물질 코팅을 하여 결합공(23) 및 핀 결합공(40)에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대신에, 상기 결합공(23) 및 핀 결합공(40)에 부도체의 보형물(42)을 끼워 절연성을 이루고자 하는 것으로서, 실시예2와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밀 락크는 락크 설계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의 와이어(전선)의 굵기 및 길이를 조절하여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정밀 락크의 작용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원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밀 락크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 할 수 있다.
우선 첫째로 부스바에 연결될 'ㄷ'자 형태의 구리로 되어져 있는 락크 상부 를 종래의 락크와 똑같이 만들고 폴리카보네이트 혹은 피브이씨(PVC)등 전기가 통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로 몸체를 만든다.
그리고 락크 상부의 하단과 락크 몸체의 상단을 볼트와 너트로 고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스바에서 전달된 전기의 - 극이 락크 몸체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락크 몸체에 제품 걸이 핀을 장착하기 위하여 적정 간격으로 볼트와 너트 등 제품 걸이 핀과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전도성 금속으로 되어 있는 고정물을 설치한다.
설치된 제품 걸이 핀용 고정물에 제품 걸이 핀을 용접 혹은 납땜 방식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종래의 락크에 있던 제품 걸이 핀과 같은 형태를 취하도록 한 다음 제품 걸이 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물과 락크 상단의 구리와의 사이를 전선으로 연결한다. 이때 전선은 일반 전선을 쓸 경우 그 피복이 두껍긴 하나 사용하는 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
그러나 전선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락크의 몸체 등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에나멜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이 경우 직경 0.40 ㎜이상의 에나멜선을 사용하는 것이 몸체의 부피도 가볍게 하면서 충분한 에너지 전달을 할 수 있기에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전선이 전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 후에는 전선을 몸체에 돌려 감는 방법으로 전선 가닥가닥이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전선 설치 후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코팅함으로써 락크의 본 형태를 갖추고 설치된 제품 걸이 핀의 끝에 피복된 절연층 코팅을 벗겨 냄으로써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출품을 락크에 걸었을 때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적정하게 락크의 끝을 구부려 줌으로써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락크는 몸체가 플라스틱 등의 전기절연체이므로 해서 그 무게가 종전보다 많이 가벼워 질 수 있다. 따라서 락크의 하단부에 금속성 보형물을 설치하여 적정하게 무게를 유지해 줄 필요성이 있다. 락크의 무게가 너무 가벼울 경우 도금시 락크 자체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고 또 다른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밀락크를 제조하는 두번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첫번째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스바에 연결될 'ㄷ'자 형태의 구리로 되어져 있는 락크 상부를 종래의 락크와 똑같이 만들고, 종래의 락크는 일체형이었지만 분리형으로 몸체를 별도로 구리로 제작한다. 이때에는 굳이 구리일 필요성은 없으며 같은 정도의 무게가 나가는 재질이면 그 무엇도 상관이 없다. 또 전도성을 띄어도 상관이 없다.
만들어진 몸체와 락크 상부의 하단에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홀을 만들고, 몸체에 설치될 제품 걸이 핀의 위치에도 사용될 고정물이 들어갈 홀을 만든다. 이때 홀은 고정물보다 약간 큰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를 고정물로 사용할 경우 1차 코팅을 우레탄등 절연물질로 코팅하게 됨으로써 홀이 작아지기 때문에 그만큼의 여분을 생각해서 홀을 뚫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홀을 만든 몸체를 우레탄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코팅처리하여 절연상태를 만든다. 이렇게 되면 홀의 안쪽에도 절연 코팅이 되어 있어 몸체의 내부는 비록 전도체일지 모르나 락크의 상부로 부터 전기를 받아들일 수 없게 되며, 제품걸이 핀이 몸체로 부터 직접적으로 전기를 전달 받거나 연결될 수 없게 된다.
그 다음으로 몸체와 락크 상부의 홀 구멍을 맞추고 볼트와 너트 등으로 충분히 고정하여 준다. 또한 제품걸이 핀이 장착될 홀에도 볼트와 너트등 전도성 금속으로 되어 있는 고정물을 설치하여 준다.
상기의 고정물에 제품걸이 핀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고 제품걸이 핀의 고정물에 또 구비된 에나멜선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한 다음 해당 에나멜선의 끝을 락크 상부의 구리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락크 상부에서 부터 직접적으로 제품 걸이 핀이 전기를 각각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부스바와 연결될 락크 상부를 제외하고 우레탄 등과 같은 절연물질을 사용하여 절연 코팅처리를 하고, 제품 걸이 핀에 제품이 걸릴 부위의 코팅된 절연 피복을 벗겨낸 다음 도금하기 위한 사출물이 락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적정하게 구부려 줌으로써 정밀락크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정밀락크의 제작 방법에서 두번째 방법의 잇점은 기존 사용하던 락크와 비슷한 무게를 유지하면서 정밀락크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구리(CU) 또는 다른 전도성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락크 생산비를 감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정밀락크를 제작하는 또 다른 세번째 방법으로는 상기 두번째 방법에서 1차 절연 코팅을 하지 않고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락크 상부의 하단부와 몸체의 상부 사이에 플라스틱 조각 같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체를 끼워 넣고 천공하는 홀에도 볼트와 너트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고무 혹은 플라스틱으로 홀의 안쪽을 감싼 후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물로 몸체와 락크 상부를 고정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제품걸이 핀의 위치에 박히는 고정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천공하는 홀도 그 홀의 안쪽에 플라스틱 혹은 고무로 볼트와 몸체가 직접적으로 부딧치지 않도록 감싼 다음에 해당 고정물을 설치하면 몸체에서 직접적으로 전기를 받을 수 없게 할 수 있다.
이 이후 상기의 고정물에 제품걸이 핀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고 제품걸이 핀의 고정물에 또 구비된 에나멜선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한 다음 해당 에나멜선의 끝을 락크 상부의 구리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락크 상부에서 부터 직접적으로 제품 걸이 핀이 전기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부스바와 연결될 락크 상부를 제외하고 우레탄 등으로 절연 코팅처리를 하고, 제품 걸이 핀에 제품이 걸릴 부위의 코팅된 절연 피복을 벗겨낸 다음 사출물을 락크에 도금을 위하여 부착시에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적정하게 구부림으로써 정밀락크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세가지 정밀 락크의 제작 방법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밀 락크에 있어서 고객의 요구에 따라 락크 설계시 연결되는 전선의 굵기와 길이를 조절하여 조금 더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제작된 정밀락크로 플라스틱 도금을 직접 실시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험예]
비교예 1
종래의 락크중 사출물 9개를 동시에 도금할 수 있는 단면 단발 락크 1개를 가지고 1개의 사출물에 4개의 제품이 달렸있는 사출물을 락크 상단에서 부터 락크 하단까지 총 9개를 부착하고 전처리 공정을 거쳐 니켈도금을 하였다.
도금시 정류기는 3,000A의 SCR 정류기를 사용하였으며, 도금은 금번 발명의 도금 두께 편차 및 광택편차를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급격히 많은 양의 두께를 올리도록 음극 쪽 VOLT를 9V 인가한 상태에서 약 15분간 도금하였다.
도금된 제품의 SHOT 번호는 최 상단을 1번으로 하여 총 9번까지 하였으며, 락크의 중앙부위에 도금되는 사출물의 번호는 5번이다.
이중 락크 상단에 걸린 제품 1번, 2번 3번의 12개의 제품의 도금 두께와 락크 중앙 부위에 걸린 5번의 4개의 제품 및 락크 하단에 걸린 8번의 4개의 제품을 X-RAY 도금두께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도금두께 측정기는 독일제 X-Ray Compact 이며,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SHOT SHOT Ni Ni 측정날짜 측정시간
NO 평균두께 측정결과 측정오차
1 32.13 29.67 0.10 05-13-2005 오후 10:13:39
47.71 0.16 05-13-2005 오후 10:14:20
26.08 0.09 05-13-2005 오후 10:15:02
25.07 0.09 05-13-2005 오후 10:15:40
2 24.94 28.71 0.09 05-13-2005 오후 10:16:21
16.78 0.06 05-13-2005 오후 10:17:09
31.31 0.10 05-13-2005 오후 10:18:32
22.96 0.08 05-13-2005 오후 10:19:43
3 28.17 22.50 0.08 05-13-2005 오후 10:20:22
35.20 0.12 05-13-2005 오후 10:21:02
29.41 0.10 05-13-2005 오후 10:21:44
25.57 0.09 05-13-2005 오후 10:22:25
5 28.23 22.28 0.08 05-13-2005 오후 10:23:12
38.59 0.13 05-13-2005 오후 10:23:59
26.74 0.09 05-13-2005 오후 10:24:40
25.31 0.09 05-13-2005 오후 10:25:19
8 27.32 27.59 0.09 05-13-2005 오후 10:26:00
25.89 0.09 05-13-2005 오후 10:26:44
32.57 0.11 05-13-2005 오후 10:27:22
23.22 0.08 05-13-2005 오후 10:28:00
< 표 1 >
실시예 1
정밀 락크를 제작하여 상기 비교 1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같은 길이로 만들기 위하여 락크 상부를 먼저 준비하고 해당 길이에 맡게 몸통으로 사용할 PVC 재질의 플라스틱을 구비하였다.
락크 상부와 PVC는 구멍을 뚫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였다.
제품 걸이 핀을 설치할 곳은 구멍을 뚫어 볼트와 너트를 박아 고정물로 사용하고, 락크 상부와는 직경 0.75 짜리 에나멜선을 이용하여 연결하였으며 해당 전선은 몸체에 감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였다.
이때 전선의 길이는 110cm로 모두 균일하게 잘라서 각 제품 걸이 핀까지 전기가 같은 시간대에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설계하였다. 제품의 특성상 락크의 설계 시에 전선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으나, 금번 정밀 락크의 제작시에는 동일한 제품을 동일한 조건하에 도금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와 같이 하였다.
제품 걸이 핀을 용접하여 락크 상부에 인가된 음극 전기가 몸체를 통하지 않고 에나멜선을 통해서 제품 걸이 핀으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제품 걸이 핀의 끝을 일정부분 휘게 만들어 사출물이 쉽게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금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SHOT SHOT Ni Ni 측정날짜 측정시간
NO 평균두께 측정결과 측정오차
1 22.59 21.66 0.07 05-13-2005 오후 9:39:52
22.84 0.08 05-13-2005 오후 9:40:49
25.52 0.09 05-13-2005 오후 9:41:38
20.33 0.07 05-13-2005 오후 9:42:22
2 22.95 19.44 0.07 05-13-2005 오후 9:43:06
26.71 0.09 05-13-2005 오후 9:47:53
21.77 0.08 05-13-2005 오후 9:48:38
23.89 0.08 05-13-2005 오후 9:49:25
3 23.16 23.13 0.08 05-13-2005 오후 9:50:06
18.76 0.07 05-13-2005 오후 9:51:23
26.75 0.09 05-13-2005 오후 9:56:24
24.01 0.08 05-13-2005 오후 9:57:11
5 26.45 25.34 0.09 05-13-2005 오후 9:57:58
28.94 0.10 05-13-2005 오후 10:00:10
24.01 0.08 05-13-2005 오후 10:01:03
27.51 0.09 05-13-2005 오후 10:01:44
8 28.33 25.97 0.09 05-13-2005 오후 10:02:33
29.68 0.10 05-13-2005 오후 10:05:08
28.62 0.10 05-13-2005 오후 10:07:11
29.04 0.10 05-13-2005 오후 10:11:43
<표 2>
상기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정밀락크는 현재 사용하 고 있는 락크에 비하여 그 최소 측정치가 평균치에 더 가??고, 최대 측정치도 평균치에 더욱 가깝게 도금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금번 발명의 실험을 극명하게 하기 위하여 고속으로 도금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락크에 비하여 최대측정치와 최소 측정치가 10.92 : 30.93 으로 비교되는등 <표 3>과 같은 통계수치에 의해서도 발명의 효과를 극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구 분 비교예1 A 실시예1 B 차이 A-B
평 균 값 28.16 24.7 3.46
표준편차 6.72 3.27 3.45
최 소 값 16.78 18.76 -1.98
최 대 값 47.71 29.68 18.03
최대최소차 30.93 10.92 20.01
<표 3>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정밀락크를 사용할 경우 두께 편차 및 이로 인한 광택 편차를 현저하게 개선하고, 또한 적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도금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정밀 락크를 사용할 경우 전기를 이용한 표면처리에 있어서 그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용이하며, 그에 따른 두께 편차를 최소한으로 축소하고, 두께편차로 인한 광택편차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적정한 도금 및 도막 두께를 유지함으로 인하여, 완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0)

  1.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에 있어서,
    두(頭)부에서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 걸이 핀으로 와이어를 통해 전기 공급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굵기 및 길이는,
    락크의 설계 시 표면처리할 제품의 특성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3.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에 있어서,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로 이루어진 두(頭)부;
    상기 결합공과 매칭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두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두부에 몸체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수직 배열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
    상기 고정물에 고정, 결합되는 제품걸이 핀; 및
    상기 복수의 고정물과 상기 두부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물에 전기가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와이어;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걸이 핀은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물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걸이 핀에서 제품이 걸리는 끝단부를 제외한 정밀 락크의 표면에,
    절연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보형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7. 소정 제품을 도금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에 있어서,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로 이루어진 두(頭)부;
    상기 결합공과 매칭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핀 결합공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체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두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두부에 몸체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수직 배열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
    상기 고정물에 고정, 결합되는 제품걸이 핀; 및
    상기 복수의 고정물과 상기 두부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물에 전기가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와이어;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지름은,
    상기 체결부재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천공된 핀 결합공의 지름은,
    상기 고정물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절연물질로 코팅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과 상기 핀 결합공에 보형물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부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걸이 핀에서 제품이 걸리는 끝단부를 제외한 정밀 락크의 몸체 표면에,
    절연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
  14.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측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걸이 핀 결합공이 구비되어 있는 부도체 락크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c) 도체인 두(頭)부와 상기 제품걸이 핀을 연결할 전선을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결합공과 상기 체결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두(頭)부의 소정 부위에 몸체의 일부를 겹친 후 체결부재를 상기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공과 체결공을 관통시켜 두(頭)부와 몸체가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몸체의 일측에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을 고정하는 단계;
    (f) 상기 고정물에 제품걸이 핀을 결합하는 단계;
    (g) 상기 고정물과 상기 도체인 두(頭)부 사이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단계;
    (h) 상기 몸체를 절연물질을 코팅시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품 걸이 핀의 제품이 걸릴 부위에 코팅된 절연층 피복을 벗겨내 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걸이 핀은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물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단에 보형물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
  17. 소정 제품을 도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일측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걸이 핀과 결합될 핀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락크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제품걸이 핀과 결합되는 핀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를 절연물질로 코팅하는 단계;
    (4) 도체인 두(頭)부와 상기 제품걸이 핀을 연결할 전선을 준비하는 단계;
    (5) 상기 결합공과 상기 체결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두(頭)부의 소정 부위 에 몸체의 일부를 겹친 후 체결부재를 상기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공과 체결공을 관통시켜 두(頭)부와 몸체가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6) 상기 몸체의 핀 결합공에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을 고정하는 단계;
    (7) 상기 고정물에 제품걸이 핀을 결합하는 단계;
    (8) 상기 고정물과 상기 도체인 두(頭)부 사이를 전선으로 연결하는 단계;
    (9) 상기 몸체를 절연물질을 코팅시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10) 상기 제품 걸이 핀의 제품이 걸릴 부위에 코팅된 절연층 피복을 벗겨내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지름은,
    상기 체결부재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천공된 핀 결합공의 지름은,
    상기 고정물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
  20. 소정 제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락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측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두(頭)부를 준비하는 단 계;
    (B)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걸이 핀과 결합될 핀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체인 락크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체결공과 상기 핀 결합공에 끼워져 두(頭)부와 몸체가 절연되도록 하는 부도체인 보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D) 도체인 두(頭)부와 상기 제품걸이 핀을 연결할 와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보형물을 상기 체결공과 결합공에 결합시킨 후 상기 결합공과 상기 체결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두(頭)부의 소정 부위에 몸체의 일부를 겹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상기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공과 체결공을 관통시켜 두(頭)부와 몸체가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몸체의 핀 결합공에 부도체인 보형물을 설치하고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물을 고정하는 단계;
    (G) 상기 고정물에 제품걸이 핀을 결합하는 단계;
    (H) 상기 고정물과 상기 도체인 두(頭)부 사이를 전선으로 연결하는 단계;
    (I) 상기 몸체를 절연물질을 코팅시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J) 상기 제품 걸이 핀의 제품이 걸릴 부위에 코팅된 절연층 피복을 벗겨내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락크의 제조방법.
KR1020050042290A 2005-05-20 2005-05-20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 KR20060119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90A KR20060119352A (ko) 2005-05-20 2005-05-20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90A KR20060119352A (ko) 2005-05-20 2005-05-20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52A true KR20060119352A (ko) 2006-11-24

Family

ID=3770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290A KR20060119352A (ko) 2005-05-20 2005-05-20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3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58Y1 (ko) * 2007-12-10 2009-11-25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슘합금 제품의 아노다이징용 지그
KR101516530B1 (ko) * 2014-10-23 2015-05-04 설필수 도금용 래크
KR101842005B1 (ko) * 2017-12-02 2018-03-26 박동석 균일한 두께의 도금을 형성하는 전기 도금용 지그
CN108221033A (zh) * 2016-12-12 2018-06-29 中国航空工业标准件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遮挡尖端效应的电镀夹具
KR102591466B1 (ko) 2023-03-24 2023-10-19 박철원 폐도금랙의 재활용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58Y1 (ko) * 2007-12-10 2009-11-25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슘합금 제품의 아노다이징용 지그
KR101516530B1 (ko) * 2014-10-23 2015-05-04 설필수 도금용 래크
CN108221033A (zh) * 2016-12-12 2018-06-29 中国航空工业标准件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遮挡尖端效应的电镀夹具
CN108221033B (zh) * 2016-12-12 2020-05-05 中国航空工业标准件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遮挡尖端效应的电镀夹具
KR101842005B1 (ko) * 2017-12-02 2018-03-26 박동석 균일한 두께의 도금을 형성하는 전기 도금용 지그
KR102591466B1 (ko) 2023-03-24 2023-10-19 박철원 폐도금랙의 재활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9352A (ko) 정밀 락크 및 정밀 락크 제조방법
KR101290670B1 (ko) 도금 신뢰성 향상 기능을 갖는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KR101091937B1 (ko) 균일한 도금층을 형성하는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CA2857196A1 (en) Electroplating process,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8900689B2 (en) Method for producing resin plated product and resin molded product to be plated used therefor
KR20210001623A (ko) 칩온보드 타입 pcb의 도금용 지그
JP5888732B2 (ja) 電気めっき方法およびめっき装置
CN106757243A (zh) 一种锆合金管的镀镍方法及镀镍装置
CN102828213A (zh) 链带电镀支架及使用该支架的电镀设备
CN214529293U (zh) 一种用于圆片挂镀的电镀挂架
US3888755A (en) Cylinder plating rack
JPH01132794A (ja) 複合材料の表面処理方法
CN101570876B (zh) 用于钻头电镀的电镀设备、电镀方法
KR20100131279A (ko) 저전류부 도금두께 균일화를 위한 랙
JPH04341598A (ja) 電気めっき用陽極構体
KR200438860Y1 (ko) 지퍼부재
CN214736167U (zh) 生产线材用电镀装置
JP6004461B2 (ja) 電気めっき方法およびめっき装置
CN218539874U (zh) 一种新型钛蓝及镀膜装置
CN216647935U (zh) 一种轻软超导线
CN217231001U (zh) 用于卫浴产品电镀的独立不溶性阳极装置
CN210856398U (zh) 一种阳极导电圆孔板
KR100629363B1 (ko) 절연 처리된 도금장치
KR20030062501A (ko) 다수의 전원장치를 구비하는 도금장치 및 그를 이용한도금방법
CN202193873U (zh) 用于控制电镀层厚度均匀性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