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140A - 가축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140A
KR20060119140A KR1020050041744A KR20050041744A KR20060119140A KR 20060119140 A KR20060119140 A KR 20060119140A KR 1020050041744 A KR1020050041744 A KR 1020050041744A KR 20050041744 A KR20050041744 A KR 20050041744A KR 20060119140 A KR20060119140 A KR 20060119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vestock
herbal medicine
weight
sulf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997B1 (ko
Inventor
조성철
Original Assignee
콤스영농조합법인
조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스영농조합법인, 조성철 filed Critical 콤스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5004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99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배합사료에 한약재 분말 및 수치유황 분말을 혼합하여 사육되는 가축의 육질을 향상시키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소정 크기로 분말화한 수치유황과 한약재를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되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한다.
가축, 사료, 유황, 한약재, 분말화

Description

가축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 방법{FEED FOR DOMESTIC CATTLE AND METHOD FOR BRING UP DOMESTIC CATTLE FEEDING THEREOF}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배합사료에 한약재 분말 및 수치유황 분말을 혼합하여 사육되는 가축의 육질을 향상시키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소, 돼지, 닭을 육류로 많이 섭취하고 있다. 특히, 돼지고기는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우리에게 가장 대중적인 호응을 받고 있는 축산식품이다. 특히, 최근에는 국민 소득수준 향상으로 양보다 질을 중요시하고 있는 추세와, 축산물의 수입 자유화에 따라 육류의 품질 향상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가축의 사육과정에서 무분별한 각종 인공첨가제와 항생제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변종 바이러스를 양산하여 약이 듣지 않는 질병이 만연하고 있으며, 인수 공통 전염병으로 발전할 소지가 있어서 더욱 문제이다.
따라서 많은 축산업자들이 육질의 향상을 위하여 인공 첨가제나 항생제 대신 한약재를 가축에게 투여하는 방안을 시도하고 있다. 종래에는 한약재 또는 한약방 등에서 버려지는 찌꺼기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얻어지는 한약재 추출물을 가축에게 투여하는 방식을 사용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한약재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은 그 사료 제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 분말 및 유황 분말을 혼합하여 축산 생산성이 높고, 육질이 좋은 가축을 사육할 수 있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크기로 분말화한 한약재를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되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크기로 분말화한 수치유황과 한약재를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되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가축용 사료를 투여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소정 크기로 분말화한 한약재를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한약재는 직경이 100 ㎛ 에서 10nm 사이가 되도록 분말화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분말화하면 한약재를 추출한 액체를 가축에게 투여하는 것과 동일한 정도의 흡수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약재를 별도의 가공 과정없이 건조하여 분쇄한 상태에서 그대로 가축에게 투여하는 것이므로, 사료의 제조 단가가 낮아지고, 제조 시간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한약재로, 감초, 창출, 인진, 인동초, 향부자, 맥아, 백출, 황기, 뇌두, 활석, 두충, 천궁, 황정, 결근, 인삼 등을 사용한다. 이때 한약재는 상기의 재료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다수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재료의 혼합은 사람들에게 한약재를 처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 가축 종류에 가장 적합한 한약재 종류와 양을 한의사가 처방하여 혼합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한약재 분말은, 일반적인 배합사료에 혼합되어 가축에게 투여되는데, 그 혼합 비율은, 배합사료의 1 내지 3 중량 %의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정 크기로 분말화한 수치유황과 한약재를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되는 가축용 사료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수치유황과 한약재는, 각각 50±5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전체가 100 중량%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치유황과 한약재 분말은, 그 직경이 100 ㎛ 에서 10nm 사이인 것이 가축 체내에서의 흡수율을 최대화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가축용 사료를 가축에게 투여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돼지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생시부터 생후 100일까지는 돼지에게 일반적인 배합사료를 투여하고,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가축용 사료를 생후 약 100일째부터 약 60일간 투여하여 가축을 사육한다. 이때 가축에게 인공 첨가제나 항생제를 전혀 투여하지 않는다. 그리고 체중이 100Kg에 이르면 출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시 동물로 평균체중 78.7Kg의 육성비육돈 암퇘지 60두를 사용한다.
우선 육성비육돈 암퇘지 60두를,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를 투여하지 않는 대조구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 1%, 2%, 3% 첨가구로 4종류 시험구에 각각 15두씩 완전임의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가축용 사료는 수치유황 52%와 한약재 분말 48%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며, 각 시험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40일간 사육한 후 시료를 분석한다.
돈육의 이화학적 성분의 분석 방법은, 도축 24시간 후에 등심 부위를 시료로 채취하여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 후 AOAC(1996)방법에 준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지방산 조성의 분석 방법은, 폴치(Folch)법에 따라 chloroform-methanol용액을 시료의 약 10배 가량을 가하여 총지질을 추출한다. 추출된 지질은 모리슨과 스미스 방법에 준하여 메틸화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또한 아미노산 분석 방법은, 시료 10g에 6N HCl 100ml를 가하여 질소가스를 주입한 후 밀봉하여 110℃에서 24시간 가수분해시킨 후, 증발 농축기로 50℃에서 염산을 증발시키고, 여과시켜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한편 비특이 면역시험은 외부 항원에 대한 마크로파지의 활성 정도에 의해 평가한다. 마크로 파지의 활성도(activation) 측정은 돼지의 말초혈액내 탐식세포인 호중구의 탐식작용시 나타나는 "respiratory burst"에 의한 화학 발광을 microplate lumin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성비육돈의 생산성 비교
< 표 1 >
구분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개시 체중(Kg) 77.7±0.58 79.0±1.65 79.7±0.33 78.7±0.33
종료 체중(Kg) 104.3±2.66 110.7±2.50 112.3±3.11 107.7±3.67
증체량(kg) 26.7±1.09 31.7±1.11 32.6±1.03 29.0±1.43
일당증체량(g) 666.7±18.15 792.5±15.08 815.0±15.24 725.0±21.30
사료섭취량(g) 1,863±23.24 2,180±23.54 2,173±24.13 2,085±24.05
사료 요구율 2.79±0.03 2.75±0.02 2.67±0.03 2.87±0.04
(상기 표 1에서 실험군 1은 일반 배합사료에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를 1%혼합한 사료를 투여한 실험군이고, 실험군 2는 2%, 실험군 3%를 각각 투여한 실험군이다.)
종래의 고급육 생산 첨가제는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생산성에 상당한 역작용으로 기능해왔기 때문에 실제 농장에 접촉되어 지속적으로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육질개선 뿐만아니라 생산성까지 향상시키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즉, 시험균 1, 2가 대조군에 비해 종료 체중과 증체량, 일당증체량이 높게 나타난다. 그리고 사료요구율은 실험군 2가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의 증가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유발하며, 그 효과를 위해서는 혼합 비율이 1 ~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2.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함유량 비교
< 그래프 1 >
Figure 112005026051643-PAT00001
상기 그래프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한 것이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군에서는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고,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으며, 조지방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격히 낮으며, 조단백질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포화지방산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서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므로 그 조성이 낮을 수록 좋으며, 불포화지방산은 혈중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높을 수록 좋다. 따라서 실험군의 지방산 조성이 매우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3. 필수아미노산 성분 함량 비교
< 그래프 2 >
Figure 112005026051643-PAT00002
< 그래프 3 >
Figure 112005026051643-PAT00003
상기 그래프 2, 3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아미노산 조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래프 2,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아미노산이 대조군 보다 높으며, 특히, 알기닌은 대조군보다 50%나 높은 수치를 보인다.
4. 비특이 면역시험
< 그래프 4 >
Figure 112005026051643-PAT00004
상기 그래프 4는 마크로 파지의 respiratory burst에 의한 과산화수소 활성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마크로파지는 병원성 원인체의 면역반응의 일차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특이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항원의 숙주에 대한 포식역할에 중요한 임무를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 그래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군 1, 2, 3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과산화수소 생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실험군에서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마크로파지의 활성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 그래프 5 >
Figure 112005026051643-PAT00005
그래프 5는 마크로파지의 respiratory burst에 의한 superoxide 음이온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superoxide활성이 높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군의 돼지에서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마크로파지의 활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5. 미생물 감염률 비교
< 표 2 >
항목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장간막 임파절 3/5(60%) 0/5(0%) 0/5(0%) 0/5(0%)
장관내용물 1/5(20%) 0/5(0%) 0/5(0%) 0/5(0%)
상기 표 2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소화기 조직검사 및 병원성 미생물 검사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육성 비육돈의 대표적인 소화기 감염증인 살로넬라증은 그 원인체인 살모넬라가 편성 세포성 기생체인 까닭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균 백신으로서는 효과적인 질병의 조정이 어렵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군에서는 장관내 살모넬라 감염이 확인되지 않음에 비해, 대조군에서 살모넬라 균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군에서 세균성 감염증의 예방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가축의 육질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가축의 생산성도 향상시키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수치유황과 한약재를 혼합함으로써, 기존의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가축을 사육할 수 있어서 항생제 남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사육된 가축의 지방산 조 성이나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한약제를 별도의 가공 없이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므로 제조 단가가 낮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소정 크기로 분말화한 한약재를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되는 가축용 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직경이 100 ㎛ 에서 10n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감초, 창출, 인진, 인동초, 향부자, 맥아, 백출, 황기, 뇌두, 활석, 두충, 천궁, 황정, 결근, 인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상기 배합사료의 1 내지 3 중량 %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5. 소정 크기로 분말화한 수치유황과 한약재를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되는 가축용 사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유황과 한약재는 각각 50±5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전체가 100 중량%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직경이 100 ㎛ 에서 10n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감초, 창출, 인진, 인동초, 향부자, 맥아, 백출, 황기, 뇌두, 활석, 두충, 천궁, 황정, 결근, 인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유황 및 한약재는,
    그 중량합이 상기 배합사료의 1 내지 3 중량 %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10. 제1항에 기재된 가축용 사료를 투여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
  11. 제5항에 기재된 가축용 사료를 투여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
KR1020050041744A 2005-05-18 2005-05-18 가축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 방법 KR10070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744A KR100707997B1 (ko) 2005-05-18 2005-05-18 가축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744A KR100707997B1 (ko) 2005-05-18 2005-05-18 가축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140A true KR20060119140A (ko) 2006-11-24
KR100707997B1 KR100707997B1 (ko) 2007-04-16

Family

ID=3770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744A KR100707997B1 (ko) 2005-05-18 2005-05-18 가축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9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90B1 (ko) * 2007-03-06 2008-06-30 유도현 한방 오리 사육용 사료 및 그 사료를 이용한 한방 오리사육방법
KR100850263B1 (ko) * 2007-12-20 2008-08-04 박인수 항생제 대체용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60209B1 (ko) * 2007-07-31 2008-09-24 남궁성조 유황이 함유된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이를첨가한 사료로 사육, 생산한 돈육
CN102599387A (zh) * 2012-03-23 2012-07-25 蒋勇 一种育肥牛的中药添加剂及其应用
KR20170003288A (ko) 2015-06-30 2017-01-09 바이오텐주식회사 면역 증강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CN107455591A (zh) * 2017-09-28 2017-12-12 安顺市平坝区下坝绿色食品种植专业合作社 一种生态猪用促长饲料配方及其制备方法
KR20190136461A (ko) * 2018-05-30 2019-12-10 경노겸 축산물 생애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5171B (zh) * 2013-05-21 2016-02-10 程庆宝 一种长毛兔饲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427A (ko) * 1995-12-14 1997-07-22 심재홍 한약제에 의한 기능성 돈육의 양돈방법
KR19980082030A (ko) * 1998-08-17 1998-11-25 김상춘 유황을 포함한 한약제, 광물질을 함유한 사료의 제조방법
KR100330751B1 (ko) * 1999-06-10 2002-04-03 박준호 한약재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및 사료사용 방법
KR100346394B1 (ko) * 2000-10-27 2002-08-01 최윤화 마늘 및/또는 한약재를 섭취시켜 사육된 오리고기 및 그사육방법
KR20030036549A (ko) * 2003-04-17 2003-05-09 손병선 건강 영양 약닭.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90B1 (ko) * 2007-03-06 2008-06-30 유도현 한방 오리 사육용 사료 및 그 사료를 이용한 한방 오리사육방법
KR100860209B1 (ko) * 2007-07-31 2008-09-24 남궁성조 유황이 함유된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이를첨가한 사료로 사육, 생산한 돈육
KR100850263B1 (ko) * 2007-12-20 2008-08-04 박인수 항생제 대체용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2599387A (zh) * 2012-03-23 2012-07-25 蒋勇 一种育肥牛的中药添加剂及其应用
KR20170003288A (ko) 2015-06-30 2017-01-09 바이오텐주식회사 면역 증강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CN107455591A (zh) * 2017-09-28 2017-12-12 安顺市平坝区下坝绿色食品种植专业合作社 一种生态猪用促长饲料配方及其制备方法
KR20190136461A (ko) * 2018-05-30 2019-12-10 경노겸 축산물 생애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997B1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997B1 (ko) 가축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 방법
WO2017219498A1 (zh) 发酵豆粕及其制备方法
EP0481396B1 (en) Tannin extract of sweet chestnut woo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its use
KR100777833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N107484879A (zh) 饲料添加剂、无抗生素饲料及其应用
Özdoğan et al. Fattening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slaughter traits of Karya lambs consuming blend of essential oil compounds
CN104171433B (zh) 一种可溶性替米考星预混剂及其制备方法
KR102012751B1 (ko) 도라지추출물 동물사료 첨가제 및 사료
KR100923226B1 (ko) 항균효과가 강화된 사료첨가용 유산균제제 와 그 제조방법
CN102813056B (zh) 一种含有中草药的饲料
Odeh Effect of using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on the some production traits and carcass characters of the local rabbits
CN111000033A (zh) 一种含百里香油与中药的枯草芽孢杆菌活菌发酵中药制剂、制备工艺与用途
CN113730552B (zh) 一种提高畜禽生理机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813471B2 (ja) 生薬含有飼料
Miroshina et al. Use of preparations based on Echinacea purple in feeding agricultural animals
Nguse et al. Optimizing amla (Phyllanthus emblica) fruit powder supplementation in liquid feed fed to Holstein dairy calves: Insights from growth performance and health events
KR101273276B1 (ko) 커큐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CN111700168A (zh) 一种青贮构树与复方菌糠配合饲料饲养务川黑牛的方法
CN110179758B (zh) 一种可饮水给药的晶体态盐酸沃尼妙林可溶性粉及其应用
JP2583382B2 (ja) スベリヒユを含有する家畜、家禽用の飼料
KR101352380B1 (ko) 목단피 추출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KR102588133B1 (ko) 가축의 성장 촉진 및 악취 감소용 조성물.
CN108208414B (zh) 一种猪用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JP2008508869A (ja) 成長促進活性を有する薬用植物及びその抽出物の動物薬及び畜産における使用
KR101231938B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