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961A -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961A
KR20060117961A KR1020067010717A KR20067010717A KR20060117961A KR 20060117961 A KR20060117961 A KR 20060117961A KR 1020067010717 A KR1020067010717 A KR 1020067010717A KR 20067010717 A KR20067010717 A KR 20067010717A KR 20060117961 A KR20060117961 A KR 2006011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resin composition
hydroxide
organic polymer
phospho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시 호리에
시니찌로 야마다
유꼬 후지히라
히로유끼 모리
쯔또무 노구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34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628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34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628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34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62872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6Esters of in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 C08L3/06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2Dextra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말산, 미생물 합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다당류는 셀룰로오스, 전분, 키틴, 키토산, 덱스트란,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유도체,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유기 고분자 화합물, 난연계 첨가제, 인 함유 화합물, 가수분해 억제제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RESIN COMPOSITION, MOLDING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전기 제품, 및 이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03년 12월 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3-403475,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3-403576 및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3-403477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들 출원은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에 각종 합성 수지 재료가 개발, 제공되어 각종 산업 분야에서의 사용량이 해마다 증가하였다. 그 결과, 합성 수지의 폐기량도 증대하여 그의 처리가 큰 사회 문제가 되었다. 폐기된 수지를 그대로 소각 처리하는 것은 유해 가스의 발생 또는 큰 연소열에 의한 소각로의 손상을 야기하며, 환경에도 큰 부하를 준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폐기 수지의 처리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열 분해나 화학 분해에 의해 폐기 수지를 저분자화한 것을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소각 처리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수반하기 때문에 지구 온난 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소각 수지 중에 황, 질소 또는 할로겐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경 우에는, 소각 처리가 유해 배출 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의 한 원인이 된다. 한편, 수지를 매립하는 경우, 현재 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수지는 장기간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로 잔존하기 때문에 토양 오염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천연 소재계의 바이오셀룰로오스나 전분 주체의 플라스틱, 저치환도 셀룰로오스계 에스테르, 미생물에 의한 천연 폴리에스테르, 화학 합성에 의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생분해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서, 그의 제조 및 용도에 대해 검토되고 있다. 생분해성 수지는 미생물 등에 의해 생화학적으로 이산화탄소 및 물 등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자연 환경에 폐기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분해되어 저분자량화되며, 환경에 무해한 화합물로 변화된다. 그 때문에,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폐기에 따른 지구 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지금까지의 일용 잡화품, 위생용품 또는 유희용품 등을 주로 한 일회용 제품에 대하여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는 자연 환경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수지를 실제로 사용할 때의 안전성 중 하나로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난연성 면에서 기존의 생분해성 수지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특히 전기 제품의 경우에는 케이스 등을 생분해성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회수 후의 처리를 용이하게하게 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지만, 전기 제품의 케이스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본 공업 규격(JIS)이나 UL(Underwriter Laboratory) 규격에 정해져 있는 난연 규격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는데 기존의 생분해성 수지는 상기 난연 규격에 대응할 수 없었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를, 예를 들면 전기 제품, 전자 기기 등의 케이스 등의 실용품에 응용하는 경우에는, 난연성이 우수하고 고온 고습 조건에서 내구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휴대형 오디오 상품은, 30 ℃, 상대 습도 80 %의 조건에서 3 내지 7년 동안 강도 등의 물성이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분해성 수지가 실용적인 성형품에 적합한 물성을 갖게 하기 위해 다양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술로서 생분해성 중합체의 대표예인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유리 전이점이 낮은 고무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생분해성 수지를 적당량 블렌드하여 생분해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제2 기술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탄산칼슘 및(또는) 탄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제3 기술로서 폴리-3-히드록시부티르산을 용융시킨 후에 급냉 고화시키고, 결정화도가 50 % 미만인 성형체로 제조함으로써 생분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종래 제안되어 있는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은 주로 필름이나 포장 재료 등에 사용되어 왔으나, 난연성이나 보존 특성 등은 충분하지 않았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신규한 수지 조성물,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전기 제품, 및 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제품의 케이스 재료에 요구되는 것과 같은 높은 난연성과 보존 특성이 양립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및 이 성형품을 이용한 전기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분해성 수지의 물성 개선에 대해 다양하게 검토한 결과, 생분해성 수지에 난연계 첨가제를 배합함으로써 난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난연계 첨가제로는 할로겐계 난연계 첨가제가 대표적이지만, 할로겐계 난연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소각 처리하면 할로겐 가스가 발생하고, 이 할로겐 가스를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복잡한 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규한 난연계 첨가제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분자 중에 인 원자를 갖는 인 함유 화합물이 생분해성 수지와 조합되었을 때 우수한 난연계 첨가제로서 작용하고, 환경을 배려한 난연계 첨가제로서 이용 가능하며, 또한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보존 특성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제품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복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고열이 부여되는 경우에 탈수 작용과 탄화물(char) 생성에 의한 열 차폐 효과가 상승(相乘)적으로 기능하도록 하고,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높은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함으로써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지연시키고, 그 결과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장기간에 걸쳐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특정 난연계 첨가제와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난연성 및 보존 특성을 둘다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산화물 및 인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계 첨가제가 생분해성 수지와 조합되었을 때에 우수한 난연계 첨가제로서 작용하고, 환경을 배려한 난연계 첨가제로서 이용 가능하며, 또한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보존 특성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성형품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기 제품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복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난연계 첨가제로서 수산화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고열이 부여되는 경우에 수산화물이 흡열 작용과 분해에 의한 물의 생성에 의해 난연성 효과를 발현하도록 하여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높은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다른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인 함유 화합물을 더 함유시킴으로써,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고열이 부여되는 경우에 탈수 작용과 열 차폐 효과가 상승적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높은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다른 수지 조성물은,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함으로써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지연시키고, 그 결과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장기간에 걸쳐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지 조성물도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특정 난연계 첨가제와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난연성 및 보존 특성을 둘다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이 생분해성 수지와 조합되었을 때에 우수한 난연계 첨가제로서 작용하고, 환경을 배려한 난연계 첨가제로서 이용 가능하며, 또한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보존 특성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성형품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전기 제품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복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또다른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고열이 부여되는 경우에 수산화물의 난연성 효과와 질소 화합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질소 함유 연소 저해성 기체에 의한 난연성 효과가 상승적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높은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또다른 수지 조성물은,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함으로써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지연시키고, 그 결과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장기간에 걸쳐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수지 조성물도,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특정 난연계 첨가제와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난연성 및 보존 특성를 둘다 만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어느 수지 조성물도, UL 규격의 V-0 내지 V-1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매우 높은 난연성과, 예를 들면 전기 제품의 케이스로서 이용 가능한 정도의 우수한 보존 특성이 양립하고, 또한 폐기시의 자연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해질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전기 제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원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난연계 첨가제로서 작용하는 인 함유 화합물, 및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조절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하,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이라고도 지칭함)이란, 사용 후에는 자연계에서 미생물이 관여하여 저분자 화합물, 즉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화합물(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회, ISO/TC-207/SC3)을 말한다.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는 생분해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다당류, 펩티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등 중 어느 것, 또는 상기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는,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각각의 이점을 얻기 위해서 이들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중에서도 혼합성이나 양산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L-락트산(PLLA), L-락트산과 D-락트산의 랜덤 공중합체 등의 폴리락트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그 밖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분류되는, 예를 들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말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숙신산에스테르, 폴리옥살산에스테르, 폴리디글리콜산부틸렌, 폴리디옥사논, 미생물 합성 폴리에스테르,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도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미생물 합성 폴리에스테르로는 3-히드록시부티레이트(3HB), 3-히드록시발레레이트(3HV) 또는 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상술한 화합물 등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해 높은 내열성을 갖는 다당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당류로는 셀룰로오스, 전분, 키틴, 키토산, 덱스트란 또는 이들의 유도체 중 어느 것,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당류로는, 상술한 화합물 등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당류에는 열가소성을 부여하기 위해 각종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셀룰로오스의 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에스테르화 셀룰로오스를 예시할 수 있고, 구체적인 에스테르화 셀룰로오스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유기산 에스테르, 질산 셀룰로오스, 황산 셀룰로오스, 인산 셀룰로오스 등의 무기산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질산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혼성 에스테르, 및 폴리카프로락톤 그래프트(graft)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에스테르화 셀룰로오스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에스테르화 셀룰로오스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를 완전히 아세틸화한 후에 부분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조한 에스테르화 셀룰로오스에 성형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가소제를 첨가한다. 가소제로는, 생분해성이 양호하며 가소 효과가 우수한 가소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저분자량의 에스테르계 가소제가 바람직하고, 인산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인산에스테르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및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디페닐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는 프탈산에스테르, 시트르산에스테르 등을 대표적인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프탈산에스테르의 예에는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및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가 포함된다. 시트르산에스테르의 예에는 O-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OACTE), O-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OACTB),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등이 포함된다.
그 밖에,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예에는 올레산부틸, 리시놀산메틸아세틸, 세박산디부틸 등 각종 트리멜리트에스테르가 포함된다.
또한, 글리콜산에스테르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아세틴, 트리부티린,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메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틴,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가소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화공 전분인 전분 치환 유도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화공 전분인 전분 치환 유도체의 기본적인 제조 방법은 에스테르화이고, 이들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전분 에스테르는 저치환도의 수계 반응 에스테르화 전분(전분 에스테르)로 이전부터 알려져 있었다.[「전분 과학 핸드북」(1997년 7월 20일)(주) 아사쿠라 쇼뗀 p550]. 또한, 고치환도의 전분 에스테르에 대해서는, 산 무수물을 피리딘 중에서 디메틸아미노피리딘이나 알칼리 금속을 촉매로서 반응시키는 방법("스타치 케미스트리 & 테크놀러지"ㆍ위슬러 저서, Academic Press 발행, p332 내지 336), 산 무수물 중에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수용액을 촉매로 하여, 100 ℃ 이상의 고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일본 특허 공표 (평)5-508185호 공보, Die Starke 1972의 3월호 p73 등 참조), 또한 「비닐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비수 유기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8-188601호 공보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원료인 전분에 천연 지방산 등을 첨가하여 에테르화 그래프트 중합 반응시켜 화공 전분인 전분 치환 유도체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전분 치환 유도체(전분 에스테르)에 통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성형 가공성(예를 들면,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연신 성형 등)을 갖게 하기 위해서 가소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거나, 또는 가소제를 소량 사용하여 열가소화가 가능한 전분 치환 유도체(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59802호 공보 참조)를 얻을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은, 동일한 전분 분자 상의 반응성 수산기의 수소가 탄소수 6 내지 24의 장쇄 탄화수소 함유기 및 단쇄 탄화수소 함유기로 치환되어 이루어지고(장쇄ㆍ단쇄 탄화수소 함유기가 모두 아실기인 경우를 제외함), 장쇄 탄화수소 함유기 및 단쇄 탄화수소 함유기의 치환도가 조정되어 생분해성을 유지하면서 자체 열가소성을 갖는 전분 치환 유도체에 대한 것이다.
전분 에스테르 등의 전분에 첨가되는 가소제로는 전분 에스테르와 상용성이 높은 가소제가 바람직하고, 하기 각종 가소제(주로 에스테르형)를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프탈산에스테르계로는 디메틸ㆍ디에틸ㆍ디부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및 에틸프탈로일 에틸글리콜레이트, 부틸프탈로일 부틸글리콜레이트 등이, 지방족 에스테르계로는 올레산, 아디프산, 스테아르산의 메틸ㆍ에틸ㆍ부틸이소프로필 등이,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계로는 수크롤아세테이트, 디에틸글리콜 벤조에이트, 트리아세틴(트리아세틸글리세린), 트리프로피오닌(트리프로피오닐글리세린), 아세틸디글리세린 등이, 옥시산 에스테르로는 아세틸리시놀산메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이, 인산에스테르로는 인산트리부틸, 인산트리페닐 등이, 에폭시 가소제로는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피마자유, 알킬에폭시스테아레이트 등이, 고분자계 가소제로는 각종 액상 고무, 테르펜류, 선형 폴리에스테르 등이, 이들 중에서 특히 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 에틸프탈로일 에틸글리콜레이트, 트리아세틴, 트리프로피오닌 등의 에스테르형 가소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펩티드로는 콜라겐, 카제인, 피브린, 젤라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아미드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4, 나일론 2/나일론 6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분자량에서는 생분해성이 있지만 고분자량에서는 생분해성이 낮은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어도, 상기에 예시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과의 그래프트 공중합 등에 의해 생분해성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있어서 이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고분자량에서는 생분해성이 낮은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산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의 분자량이나 말단기는 기계적인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락티드법,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의 중축합, 또는 분자 내에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분자간 중축합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분자 중에 인 원자를 갖는 인 함유 화합물을 난연계 첨가제로서 이용한다. 분자 중에 인 원자를 갖는 인 함유 화합물은,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첨가 대상 재료에 혼입이나 정착 등에 의해 복합(첨가)시킬 수 있다. 인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면, 상기 첨가제는 난연제, 안정제, 증량제로서 기능하고, 첨가 대상 재료인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예를 들면 난연성, 안정성, 증량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첨가 대상 재료에 고열, 예를 들면 500 ℃ 이상의 열이 부여되는 경우에 탈수 작용과 탄화물 생성에 의한 열 차폐 효과가 상승적으로 기능하여 첨가 대상 재료에 높은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UL94 연소성 시험으로 평가하였을 때에, V-0 내지 V-1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높은 난연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 함유 화합물과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인 함유 화합물과 다른 수지를 조합한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난연성을 얻을 수 있다. 이 이유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이 분해되는 온도와 인 함유 화합물이 난연제로서 작용하는 온도가 근접해 있고,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과 인 함유 화합물이 혼합되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인 함유 화합물은 생체의 구성 성분인 인을 포함하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할로겐계 난연계 첨가제 등의 기존의 난연계 첨가제에 비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한으로 종료된다는 이점도 있다.
인 함유 화합물로는 유기 인 화합물, 인 단체(單體), 무기 인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인 화합물에는 단량체형 유기 인 화합물, 중합체형 유기 인 화합물 등이 있고, 단량체형 유기 인 화합물에는 유기 포스폰산염, 유기 포스핀산염, 유기 인산염, 인산에스테르, 아인산에스테르, 포스핀옥시드, 알킬기 및(또는) 아릴기가 치환될 수도 있는 차아인산에스테르(예를 들면,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 등), 포스포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 질소 함유 인산에스테르, 산성 지방족 인산에스테르의 암모늄염, 아민 함유 화합물염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인산에스테르로는 지방족 인산에스테르, 방향족 인산에스테르(인산트리페닐 등), 지방족-방향족 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인산에스테르로는 방향족 아인산에스테르, 지방족 아인산에스테르, 지방족-방향족 아인산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기 인 화합물 중 중합체형 유기 인 화합물로는 단량체형 유기 인 화합물의 축합물, 히드록실기를 갖는 중합체(페놀 수지 등)의 인산에스테르, 폴리포스피니코카르복실산에스테르, 폴리포스폰산아미드, 포스파젠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축합물로는, 예를 들면 레조르시놀 포스페이트류, 히드로퀴논 포스페이트류, 비페놀 포스페이트류, 비스페놀 포스페이트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인 단체로는, 예를 들면 적린을 예시할 수 있고, 무기 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폴리인산염, 인산염, 적린의 표면 처리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인산염의 인산으로는 오르토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폴리아인산(메타아인산, 피로아인산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인산염의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류 금속염(마그네슘염, 칼슘염 등), 알루미늄염, 암모늄염, 아민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인 화합물, 인 단체 및 무기 인 화합물에는, 유기 인산 또는 무기 인산과 금속과의 염 또는 아민 함유 화합물과의 염 등도 포함된다. 상기 유기 인산 또는 무기 인산에는 알킬기 및(또는) 아릴기가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인 함유 화합물로는, 상술한 화합물 중 어느 것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 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은, 상기 인 함유 화합물이나 그 밖의 난연계 첨가제, 가수분해 억제제, 기타 첨가물 등을 수지에 첨가한 최종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인 함유 화합물 중의 인 원자의 비율이 20 중량부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량이 상한을 상회하면 수지의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수분해 억제제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첨가제 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지연시키고, 그 결과 장기간에 걸쳐 높은 기계적 강도나 충격 강도 등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은 보존 특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가수분해 억제제로는, 예를 들면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와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량을 감소시켜, 활성 수소가 촉매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쇄를 가수분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수소란, 산소, 질소 등과 수소와의 결합(N-H 결합이나 O-H 결합) 내의 수소이고, 이러한 수소는 탄소와 수소의 결합(C-H 결합) 내의 수소에 비해 반응성이 높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COOH, 수산기: -OH, 아미노기: -NH2, 또는 아미드 결합: -NHCO- 등에 있어서의 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와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 등이 적용 가능하다. 특히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과 용융 혼련할 수 있고, 소량만 첨가하여도 가수분해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도 포함한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촉매로서, 예를 들면 O,O-디메틸-O-(3-메틸-4-니트로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O,O-디메틸-O-(3-메틸-4-(메틸티오)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O,O-디에틸-O-2-이소프로필-6-메틸피리미딘-4-일포스포로티오에이트 등의 유기 인계 화합물, 또는 예를 들면 로듐 착체, 티탄 착체, 텅스텐 착체, 팔라듐 착체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을 이용하여, 각종 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를 약 70 ℃ 이상의 온도에서, 무용매 또는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헥산, 벤젠, 디옥산, 클로로포름 등 중에서 탈탄산 중축합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에 포함되는 모노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는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디메틸 카르보디이미드, 디이소부틸 카르보디이미드, 디옥틸 카르보디이미드, 디페닐 카르보디이미드, 나프틸 카르보디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특히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나 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와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클로로-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3,3'-디메틸-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시판품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콜로네이트(닛본 폴리우레탄사 제조;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밀리오네이트(닛본 폴리우레탄사 제조)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이 적용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액상보다 고형물,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마스크제(다가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폴리올 등)로 블록킹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와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인 옥사졸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2'-o-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m-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2,2'-m-페닐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m-페닐렌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2-옥사졸린), 2,2'-테트라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헥사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옥타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또는 2,2'-디페닐렌비스(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억제제는 상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가수분해 억제제의 종류나 배합량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수분해 억제제의 종류나 배합량 등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성형품의 생분해 속도, 나아가서는 기계적 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한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용융 혼련에 의한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용융하기 전 또는 용융할 때에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는 동시에 첨가할 수도 있고, 개별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개별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어느 것을 먼저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용융시킨 후에 난연계 첨가제 또는 가수분해 억제제 중 어느 것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어서 얻어진 조성물을 다시 용융시키고, 가수분해 억제제 또는 난연계 첨가제 중 어느 나머지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성능 향상을 위해 다른 첨가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보강재,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 외에, 윤활제, 왁스류, 착색제, 결정화 촉진제, 드립핑(dripping) 방지제, 전분과 같은 분해성을 갖는 유기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도 상관없다.
보강재로는, 예를 들면 무기 충전재, 유기 충전재 등의 충전재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충전재로는, 예를 들면 탄소, 이산화규소 외에, 알루미나, 실리카, 마그네시아 또는 페라이트 등의 금속 산화 미립자, 예를 들면 탈크, 운모, 카올린, 제올라이트, 규회석 등의 규산염류, 황산바륨, 탄산칼슘 또는 풀러렌(fullerene) 등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충전재로는 유리 마이크로비드, 탄소 섬유, 쵸크, 예를 들면 노보큘라이트(novoculite)와 같은 석영, 석면, 장석, 운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충전재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테프론(등록 상표)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 이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다만, 보강재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무기 충전재, 유기 충전재 등의 충전재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는 상기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페놀계, 아민계, 인계, 황계, 히드로퀴논계, 또는 퀴놀린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는, 힌더드 페놀류, 예를 들면 2,6-디-t-부틸-p-크레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C2 - 10알킬렌디올-비스[3-(3,5-디-분지 C3 - 6알킬-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디 또는 트리옥시 C2 - 4알킬렌디올-비스[3-(3,5-디-분지 C3 - 6알킬-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C3 - 8알칸트리올-비스[3-(3,5-디-분지 C3 - 6알킬-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C4 - 8알칸테트라올 테트라키스[3-(3,5-디-분지 C3 - 6알킬-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예를 들면 n-옥타데실-3-(4',5'-디-t-부틸페놀)프로피오네이트, n-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놀)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릴-2-(3,5-디-t-부틸-4-히드록시페놀)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2-t-부틸-6-(3-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또는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페닐-1-나프틸아민, 페닐-2-나프틸아민, N,N'-디페닐-1,4-페닐렌디아민 또는 N-페닐-N'-시클로헥실-1,4-페닐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인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4,4'-부틸리덴 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t-부틸-4-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아밀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t-부틸페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1,1-디메틸프로필)-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1,1-디메틸프로필)-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시클로헥실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t-부틸-4-페닐페닐)포스파이트 등의 포스파이트 화합물; 트리에틸포스핀, 트리프로필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디페닐비닐포스핀, 알릴디페닐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메틸페닐-p-아니실포스핀, p-아니실디페닐포스핀, p-톨릴디페닐포스핀, 디-p-아니실페닐포스핀, 디-p-톨릴페닐포스핀, 트리-m-아미노페닐포스핀, 트리-2,4-디메틸페닐포스핀, 트리-2,4,6-트리메틸페닐포스핀, 트리-o-톨릴포스핀, 트리-m-톨릴포스핀, 트리-p-톨릴포스핀, 트리-o-아니실포스핀, 트리-p-아니실포스핀 또는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등의 포스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로퀴논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2,5-디-t-부틸히드로퀴논 등을 들 수 있으며, 퀴놀린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6-에톡시-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 등을 들 수 있고, 황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산화 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특히, 힌더드 페놀류), 예를 들면 폴리올-폴리[(분지 C3 - 6알킬기 및 히드록시기 치환 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열 안정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β-알라닌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우레탄, 멜라민, 시아노구아니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체 등의 염기성 질소 함유 화합물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 유기 카르복실산 금속염(스테아르산칼슘,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칼슘 등), 금속 산화물(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등), 금속 수산화물(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알루미늄 등), 금속 탄산염 등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함유 화합물; 제올라이트; 또는 히드로탈시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함유 화합물(특히 마그네슘 화합물이나 칼슘 화합물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함유 화합물), 제올라이트 또는 히드로탈시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 안정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종래 공지된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살리실레이트계 또는 옥살산 아닐리드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2-히드록시-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벤조페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2-히드록시-4-(메타크릴로일옥시메톡시)벤조페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2-히드록시-4-(메타크릴로일옥시옥톡시)벤조페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2-히드록시-4-(메타크릴로일옥시도데실옥시)벤조페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2-히드록시-4-(메타크릴로일옥시벤질옥시)벤조페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2,2'-디히드록시-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벤조페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2,2'-디히드록시-4-(메타크릴로일옥시메톡시)벤조페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또는 [2,2'-디히드록시-4-(메타크릴로일옥시옥톡시벤조페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윤활제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등의 석유계 윤활유;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불소 실리콘 등의 합성 윤활유; 각종 변성 실리콘유(에폭시 변성, 아미노 변성, 알킬 변성, 폴리에테르 변성 등);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등의 유기 화합물과 실리콘의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계 윤활성 물질; 실리콘 공중합체; 플루오로알킬 화합물 등의 각종 불소계 계면 활성제; 트리플루오로염화메틸렌 저중합물 등의 불소계 윤활 물질;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왁스류;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고급 지방족 아미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염 또는 이황화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실리콘 공중합체, 구체적으로는 수지에 실리콘을 블록이나 그래프트에 의해 중합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공중합체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니트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부티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또는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등에, 실리콘을 블록 또는 그래프트 중합시킨 것이면 되고, 실리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윤활 물질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왁스류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올레핀계 왁스나 파라핀 왁스, 피셔 트롭슈(Fisher-Tropsch)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몬탄(montan) 왁스, 지방산 아미드계 왁스, 고급 지방족 알코올계 왁스, 고급 지방산계 왁스, 지방산 에스테르계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왁스류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병용할 수도 있다.
착색제로는, 무기 안료, 유기 안료 또는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안료로는, 예를 들면 크롬계 안료, 카드뮴계 안료, 철계 안료, 코발트계 안료, 군청 또는 감청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안료나 염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구리와 같은 프탈로시아닌 안료; 예를 들면 퀴나크리돈 마젠타, 퀴나크리돈 레드와 같은 퀴나크리돈 안료; 예를 들면 한사 옐로우, 디스아조 옐로우, 퍼머넌트 옐로우, 퍼머넌트 레드, 나프톨 레드와 같은 아조 안료; 예를 들면 스피리트 블랙 SB, 니그로신 베이스, 오일 블랙 BW와 같은 니그로신 염료, 오일 블루, 피그먼트 옐로우, 피그먼트 블루, 피그먼트 레드 등 또는 알칼리 블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결정화 촉진제로는, 예를 들면 p-t-부틸벤조산나트륨, 몬탄산나트륨, 몬탄산칼슘, 팔미트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유기산 염류; 예를 들면 탄산칼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탈크 등의 무기 염류; 예를 들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결정화 촉진제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드립핑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불소 수지나 페놀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등의 불소 함유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상기 불소 함유 단량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이들 드립핑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공지된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의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시킬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원으로는, 예를 들면 전자파, 전자선 또는 입자선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전자파로는, 자외선(UV), X선 등을 들 수 있으며, 입자선으로는, 양자, 중성자 등의 소립자의 선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자 가속기의 사용에 의한 전자선 조사가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은 공지된 장치를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V 조사 장치, 전자 가속기 등을 들 수 있다. 조사선량 및 조사 강도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지연시키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선의 경우, 가속 전압은 약 100 내지 5000 kV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사선량은 약 1 kGy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은 각종 용도에 응용 가능하다. 성형품의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압공 성형, 필름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사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출 성형은 통상법에 따라서,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다축 압출기, 탠덤 압출기 등의 공지된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은 통상법에 따라서, 예를 들면 인라인 스크류식 사출 성형기, 다층 사출 성형기, 이두식(二頭式) 사출 성형기 등의 공지된 사출 성형기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성형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이것과 조합하였을 때 높은 난연 효과를 발현하는 인 함유 화합물,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면 UL 연소성 시험으로써 평가하였을 때에 V0 내지 V1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매우 높은 난연성과, 예를 들면 전기 제품의 케이스로서 이용 가능한 우수한 보존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은 생체에 대하여 안전한 성분인 생분해성 수지를 주체로 하며 자연 환경 중에서 용이하게 분해되기 때문에, 폐기시나 폐기 후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연계 첨가제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폐기 후에는 인, 물, 이산화탄소 등의 생체나 지구 환경에 대하여 안전한 성분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나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다. 이러한 성형품을 전기 제품의 케이스나 곤포(梱包) 재료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합성 수지나 생분해성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충분한 환경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은, 지금까지 생분해성 수지의 적용이 곤란하였던,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전기 제품의 일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전기 제품으로는, 예를 들면 DVD(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CD(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MD(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증폭기 등의 거치형(倨置型) AV 기기, 스피커, 차량 탑재용 AV/IT 기기, 전자 서적을 포함시킨 PDA, 비디오덱, 프로젝터, 텔레비젼 수신 기기, 모니터,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 디지탈 스틸 카메라, 프린터, 라디오 수신기, 라디오 부착 테이프 레코더, 시스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헤드폰, 키보드, 헤드폰 스테레오, 휴대형 CD 플레이어, 휴대형 MD 플레이어, 소위 실리콘 오디오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음악기, 냉장고, 세탁기, 에어콘, 퍼스널 컴퓨터 및 퍼스널 컴퓨터용 주변 기기, 거치형 텔레비젼 게임 기기, 휴대형텔레비젼 게임 기기, 휴대 전화, 전화기, 팩시밀리, 복사기, 엔터테인먼트 로봇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성형품은 이들 전기 제품의 케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품은 전기 제품의 케이스 등 뿐만 아니라 전기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 구조재 등의 다른 구성 요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전기 제품의 구성 요소로 사용하면 이 전기 제품은 충분한 난연성 및 보존 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생분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합성 수지에 비해 폐기시 및 폐기 후에 자연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용도는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생분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용 잡화품, 위생용품 또는 유희용품 등을 주로 한 일회용 제품은 물론, 곤포재, 자동차 용도, 공업 제품 용도 등의 모든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상술한 본원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험 1>
우선,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검토한다.
(시료의 제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A1) 폴리락트산에 속하는 레이시아(H100J, 미쯔이 가가꾸사 제조) 및 (A2)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에 속하는 비오노레(#1020, 쇼와 고분자사 제조), (B) 가수분해 억제제(카르보디라이트 HMV-8CA, 닛신 보세끼사 제조), 각종 난연계 첨가제(C1; 인산트리페닐,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사 제조, C2; 축합 인산에스테르, 다이하찌 가가꾸 고교사 제조, C3; 포스핀산염, 클라리언트 재팬사 제조, C4; 폴리인산암모늄, 클라리언트 재팬사 제조)를 이용하였다. A, B, C의 혼합에는 용융 혼련법을 이용하였다.
혼련 조건으로는, 혼련기로서 미니맥스-믹스 루더(minimax-mix ruder; 도요 세이끼사 제조)를 사용하고, 노즐 온도를 170 내지 175 ℃, 토크를 4 내지 6 kg, 체류 시간을 3 초 이내로 하여, 혼련에 의해 수지에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수지 복합체는 분쇄한 후에 170 ℃에서 300 Kg/cm2로 압착하여 두께 1.0 mm의 판재로 성형하고, 12.7 mm×127 mm의 크기로 잘라내어 측정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시험편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시험편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을 행하여 난연성 및 보존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소 시험)
수직 연소 시험은, 상기 시험편을 이용하여 UL94 연소성 시험 V-0 내지 V-2 에 준하여 행하였다. 그 방법을 이하에 서술한다.
각 시료를 상단으로부터 6.4 mm 떨어진 부분에서 종축을 수직으로 하여 링ㆍ스탠드의 클램프에 고정시키고, 시료의 하단으로부터 9.5 mm 아래의 버너의 선단과 305 mm 아래의 건조시킨 외과용 탈지면이 수평으로 펴지도록 하였다. 수평층을 만들기 위해서,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솜 뭉치에서 약 12.7 mm×25.4 mm 정도의 소편을 떼어내고 손가락으로 얇게 펴서 50.8 mm 평방으로 자연 두께가 6.4 mm가 되도록 하였다.
버너를 시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두고, 점화하여 높이 19 mm의 청색 화염이 나오도록 조절하였다. 화염은 가스의 공급량과 버너의 공기구를 조절하여 우선 높이 19 mm의 선단이 황색인 청색 화염이 나오도록 하고, 그 후 공기량을 조정하여 선단의 황색 화염이 없어지도록 하였다. 화염의 높이를 다시 한번 측정하여, 필요에 따라서 조절하였다.
시험 화염을 시험 시료의 하단 중심에 접촉시키고 10 초간 그대로 유지하였다. 또한, 화염을 적어도 152 m까지 떨어뜨리고, 시료가 화염을 내며 연소하는 시간을 기록하였다. 시료의 화염이 꺼지면, 즉시 시험 화염을 다시 시료의 하단에 접촉시켰다. 또한 10 초 후에 다시 화염을 분리하여, 유(有) 화염 및 무(無) 화염의 연소 시간을 기록하였다. 육안으로 유 화염와 무 화염을 식별하는 것이 어려울 때에는 외과용 면을 그 의문 부분에 접촉시킨다. 솜이 착화되면 유 화염이다. 각 접촉 화염(接炎) 중에 시료로부터 융해 또는 유 화염 물질을 적하할 때에는 그 접촉 화염에 대해 버너를 45도의 각도까지 기울이고, 또한 시료의 12.7 mm의 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극히 조금 떨어뜨려 버너관 중에 재료가 적하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만일 시료로부터 융해 또는 유 화염 물질을 적하하거나 시험 중에 계속 연소시킬 때에는 버너를 손으로 잡아 접촉 화염 중에서 시료의 하단과 버너관의 선단이 9.5 mm의 사이 간격을 유지해야만 한다. 모든 융해 재료의 적하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시료의 중앙에 화염을 접촉시켜야 한다.
또한, 94V-1 인정 재료, 즉 94V-1이라 인정되는 재료는 하기의 조건에 적합해야만 한다.
(a) 모든 시료가 매회 화염을 접촉시킨 후, 30 초 이상 화염을 내며 연소되지 않는 것.
(b) 각 조 5매의 시료에 합계 10회로 화염을 접촉시켜, 화염을 내며 연소하는 시간의 합계가 250 초를 초과하지 않는 것.
(c) 모든 시료가 유 화염 또는 무 화염의 연소가 지지 클램프까지 도달하지 않는 것.
(d) 시료로부터 물질이 적하되어 305 mm 아래의 있는 건조시킨 외과용 탈지면이 착화되지 않는 것.
(e) 모든 시료가 제2회째에 화염을 멀리한 후, 60 초 이상 무 화염의 연소를 계속하지 않는 것.
(보존 시험)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높은 난연성을 갖는 성형품이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성형품으로서 전기 기기의 케이스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보존성이 요구된다. 그의 평가로서, 고온 고습하에서의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각 시료를 온도 80 ℃, 상대 습도 80 %의 상태로 100 시간 동안 보존하고, 그 후의 형상, 고분자의 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시험편은 상기 연소 시험과 동일한 시험편을 사용하였으며, 형상에 문제가 없고, 평가 전부터의 분자량 유지율을 80 % 확보한 것을 ○, 확보할 수 없었던 것을 ×로 표시하였다. 분자량의 평가는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법으로써 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하 표 중, 「UL94-V1; ○」는 94V-1 인정 재료인 것을 나타내고, 「UL94-V1; ×」는 94V-1 인정 재료가 아닌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38815410-PCT00001
표 1에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A1 및 A2), 가수분해 억제제(B), 및 인 함유 화합물인 난연계 첨가제(C1 내지 C4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은, UL94V-1 규격을 만족시키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보존 특성도 양호하였다. 이에 반하여, 인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UL94V-1 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였으며, (B)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는 실시예에 비해 보존 특성이 손상되어 있었다. 이상의 실험 1의 결과로부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인 함유 화합물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배합함으로써, 난연성과 보존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실험 2>
다음에,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서, 다당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검토한다.
(시료의 제조)
실험 2에서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신에, 다당류인 (A3) 아세틸셀룰로오스(360E-16, 다이셀 파인켐사 제조) 및 (A4) 에스테르화 전분(CPR-3M, 닛본 콘 스타치사 제조)를 이용하였다. (B) 가수분해 억제제, 각종 난연계 첨가제(C)는 실험 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하였다.
이들 원료를 실험 1과 동일하게 하여 혼련하고,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21 및 비교예 6 내지 비교예 13의 측정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21 및 비교예 6 내지 비교예 13의 시험편의 조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들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21 및 비교예 6 내지 비교예 13의 시험편에 대하여, 실험 1과 동일하게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을 실시하였다.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38815410-PCT00002
표 2에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다당류인 아세틸셀룰로오스(A3), 가수분해 억제제(B), 및 인 함유 화합물인 난연계 첨가제(C1 내지 C4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4는, UL94V-1 규격을 만족시키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보존 특성도 양호하였다. 이에 반하여, 인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9는 UL94V-1 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였으며, (B)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6 내지 비교예 8은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4에 비해 보존 특성이 손상되어 있었다.
또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다당류로서 에스테르화 전분(A4)를 이용한 경우도, 아세틸셀룰로오스(A3)과 마찬가지로, 에스테르화 전분(A4), 가수분해 억제제(B) 및 인 함유 화합물인 난연계 첨가제(C1 내지 C4 중 1종 이상) 모두를 포함할 때(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21)에, UL94V-1 규격을 만족시키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보존 특성도 양호하였다. 이에 반하여, 인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3은 UL94V-1 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였으며, (B)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0 내지 비교예 12는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21에 비해 보존 특성이 손상되어 있었다.
이상의 실험 2의 결과로부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다당류에 인 함유 화합물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배합함으로써 난연성과 보존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난연계 첨가제로서 작용하는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 및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조절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설명한다.
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은 상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난연계 첨가제로서의 수산화물 및 인 함유 화합물을 수지 조성물 중에 배합한다. 난연계 첨가제는,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첨가 대상 재료에 혼입이나 정착 등에 의해 복합(첨가)할 수 있다. 이 때, 난연계 첨가제를 첨가하면 상기 난연계 첨가제가 난연제ㆍ안정제ㆍ증량제로서 기능하여 본 실시예의 첨가 대상 재료인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예를 들면 난연성, 안정성, 증량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난연계 첨가제로서 수산화물을 생분해성 수지 중에 포함시키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고열(예를 들면 500 ℃ 이상)이 부여되는 경우에 수산화물이 수지가 연소될 때에 발생하는 열을 흡열, 분해함과 동시에 물을 생성하여 흡열 작용과 물의 생성에 의해 난연성을 발현한다.
난연계 첨가제의 성분인 수산화물로는, 분자 중에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가열에 의해 물을 생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수산화물로는, 조성 중에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금속 수산화물, 구체적으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아연, 수산화세륨, 수산화철, 수산화구리, 수산화티탄, 수산화바륨, 수산화베릴륨, 수산화망간, 수산화스트론튬, 수산화지르코늄, 수산화갈륨, 칼슘ㆍ알루미네이트 수화물(3CaOㆍAl2O3ㆍ6H2O), 히드로탈시트(Mg6Al2(OH)16CO3ㆍ4H2O)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물은, 그의 순도가 약 99.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수산화물의 순도가 높을수록 가수분해 억제제를 조합하였을 때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수산화물의 순도는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의 함유량을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하여, 전체량으로부터 상기 불순물의 함유량을 빼면 수산화물의 순도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의 경우, 불순물로는 Fe2O3, SiO2, T-Na2O, S-Na2O 등을 들 수 있다. Fe2O3의 함유량은 탄산나트륨-붕산액에 융해시킨 후, O-페난트롤린 흡광 광도법(JIS H 1901)에 의해 구해진다. SiO2의 함유량은 탄산나트륨-붕산액에 융해시킨 후, 몰리브텐 청흡광 광도법(JIS H 1901)에 의해 구해진다. T-Na2O의 함유량은 황산에 융해 후 플레임 광도 측정법으로, S-Na2O는 온수 추출 후에 플레임 광도 측정법으로 구해진다. 상기에 의해 구해진 함유량을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으로부터 제함으로써 수산화물의 순도를 얻을 수 있다. 물론 99.5 % 이상의 순도라면, 다른 복수종의 난연계 수산화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수산화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의 입경은 난연계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물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구해지는 평균 입경이 약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입도 분포는 상관없다.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성이나 혼련시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평균 입경은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고, 상술한 범위 중에서도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물론 조성물에 대한 충전율을 높이기 위해서 평균 입경이 다른 복수종의 난연계 첨가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산화물은, 질소 가스 흡착법에 의해 구해지는 BET 비표면적이 약 20 m2/g 이하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조성물에 대한 충전율을 높이기 위해서 BET 비표면적이 다른 복수종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형성의 관점에서, BET 비표면적은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 중에서도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난연계 첨가제로서, 상기 수산화물 이외에도, 분자 중에 인 원자를 갖는 인 함유 화합물을 이용한다. 인 함유 화합물은,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첨가 대상 재료에 혼입이나 정착 등에 의해 복합(첨가)할 수 있다. 이 때, 인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면, 상기 첨가제가 난연제, 안정제, 증량제로서 기능하여 본 실시예의 첨가 대상 재료인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예를 들면 난연성ㆍ안정성ㆍ증량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첨가 대상 재료에 고열(예를 들면 500 ℃ 이상)이 부여되는 경우에 탈수 작용과 탄화물 생성에 의한 열 차폐 효과가 상승적으로 기능하여 첨가 대상 재료에 높은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인 함유 화합물과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인 함유 화합물과 다른 수지를 조합한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난연성을 얻을 수 있다. 이 이유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이 분해되는 온도와 인 함유 화합물이 난연제로서 작용하는 온도가 근접해 있고,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과 인 함유 화합물이 혼합되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인 함유 화합물은 생체의 구성 성분인 인을 포함하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할로겐계 난연계 첨가제 등의 기존의 난연계 첨가제에 비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한으로 되는 이점도 있다.
인 함유 화합물로는, 유기 인 화합물, 인 단체, 무기 인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인 화합물에는, 단량체형 유기 인 화합물, 중합체형 유기 인 화합물 등이 있고, 단량체형 유기 인 화합물에는, 유기 포스폰산염, 유기 포스핀산염, 유기 인산염, 인산에스테르, 아인산에스테르, 포스핀옥시드, 알킬기 및(또는) 아릴기가 치환될 수도 있는 차아인산에스테르(예를 들면,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 등), 포스포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 질소 함유 인산에스테르, 산성 지방족 인산에스테르의 암모늄염, 아민 함유 화합물염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인산에스테르로는, 지방족 인산에스테르, 방향족 인산에스테르(인산트리페닐 등), 지방족-방향족 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인산에스테르로는 방향족 아인산에스테르, 지방족 아인산에스테르, 지방족-방향족 아인산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기 인 화합물 중 중합체형 유기 인 화합물로는, 단량체형 유기 인 화합물의 축합물, 히드록실기를 갖는 중합체(페놀 수지 등)의 인산에스테르, 폴리포스피니코카르복실산에스테르, 폴리포스폰산아미드, 포스파젠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축합물로는, 예를 들면 레조르시놀 포스페이트류, 히드로퀴논포스페이트류, 비페놀 포스페이트류, 비스페놀 포스페이트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인 단체로는, 예를 들면 적린을 예시할 수 있고, 무기 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폴리인산염, 인산염, 적린의 표면 처리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인산염의 인산으로는, 오르토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폴리아인산(메타아인산, 피로아인산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인산염의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류 금속염(마그네슘염, 칼슘염 등), 알루미늄염, 암모늄염, 아민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인 화합물, 인 단체 및 무기 인 화합물에는 유기 인산 또는 무기 인산과, 금속과의 염 또는 아민 함유 화합물과의 염 등도 포함된다. 상기 유기 인산 또는 무기 인산에는 알킬기 및(또는) 아릴기가 치환될 수도 있다. 또한, 인 함유 화합물로는, 상술한 화합물 중 어느 것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 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은, 상기 인 함유 화합물이나, 그 밖의 난연계 첨가제, 가수분해 억제제, 기타 첨가물 등을 수지에 첨가한 최종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인 함유 화합물 중의 인 원자의 비율이 20 중량부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 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이 상기 비율을 상회하면, 얻어지는 수지의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는, 상술한 수산화물 및 인 함유 화합물과 함께 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계 첨가제의 성분인 질소 화합물로는 가열에 의해 연소 저해성 기체를 생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난연계 첨가제의 첨가 대상 재료에 고열이 부여되었을 때, 질소 화합물은 분해됨으로써 연소 저해성 기체를 발생시켜 첨가 대상 재료의 난연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난연성의 향상은, 연소 저해성 기체가 생성됨으로써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대상 재료 근방에서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연소 저해성 기체는, 구체적으로는 질소 화합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질소 가스나, 이산화질소 가스, 일산화질소 가스, N2O 가스 등의 산화질소계 가스 등의 질소 함유 가스 등이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가 수산화물 및 질소 화합물을 둘다 포함하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고열(예를 들면 500 ℃ 이상)이 부여되는 경우에 수산화물의 난연성 효과와 질소 화합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질소 함유 연소 저해성 기체에 의한 난연성 효과가 상승적으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난연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이 가열되면, 질소 화합물의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질소계 가스(NxOy계 가스)와 수산화물의 가열에 의해 생성하는 물이 반응하여, 상기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질산의 열 산화 작용에 의해 생분해성 수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CO2나 H2O 등의 불연성 재료로 변성되어 높은 난연성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난연계 첨가제로서 수산화물과 질소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수산화물을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에 비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보다 높은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난연계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질소 화합물은, 예를 들면 그의 조성 중에 NxOy(x, y는 자연수)로 표시되는 것과 같은 질소 산화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화합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금속성 질산 화합물 및(또는) 비금속성 아질산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산아세틸(C2H3NO4), 질산아닐린(C6H8N2O3), 질산메틸(CH3ONO3)이나 질산에틸(C2H5ONO2)나 질산부틸(C4H9ONO2)나 질산이소아밀((CH3)2CHCH2CH2ONO2)나 질산이소부틸((CH3)2CHCH2ONO2)나 질산이소프로필((CH3)2CHONO2) 등의 질산에스테르(RONO2), 질산암모늄(NH4NO3), 질산구아니딘(CH6N4O3), 질산아세트산셀룰로오스(니트로아세틸셀룰로오스), 질산셀룰로오스(니트로셀룰로오스), 질산요소, 질산히드로지늄(N2H5NO3), 질산히드록실암모늄((NH3O)NO3), 질산벤젠디아조늄(C6H5N3O3), 아질산암모늄, 아질산에틸, 아질산메틸, 아질산프로필, 아질산부틸, 아질산이소부틸, 아질산이소아밀 등의 아질산에스테르(RONO)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질소 화합물로는, 상술한 화합물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질소 화합물은, 그의 평균 입경을 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를 상회하면, 충전율이나 분산성의 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난연계 첨가제에는, 실란계, 티타네이트계, 알루미늄계, 지르코알루미늄계, 지방산계, 왁스계, 계면 활성제류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란 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알루미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을 이용한 것, 지방산계로서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등을 이용한 것, 또한 지방산염으로서 상기 각 지방산의 칼슘염, 아연염 등을 이용한 것,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이용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산화물 및 질소 화합물의 첨가량은, 대상이 되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소 화합물을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수산화물을 2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화합물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였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첨가 대상물인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기계적인 강도 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 질소 화합물의 첨가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정도이다. 한편, 수산화물의 첨가량이 20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였으며, 1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첨가 대상물인 고분자 화합물의 강도 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수산화물의 최적 첨가량은 3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가수분해 억제제도,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첨가제 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지연시키고, 그 결과 장기간에 걸쳐 높은 기계적 강도나 충격 강도 등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은 보존 특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가수분해 억제제로는, 상술한 수지 조성물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와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량을 감소시켜 활성 수소가 촉매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쇄를 가수분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수소란, 산소, 질소 등과 수소와의 결합(N-H 결합이나 O-H 결합) 내의 수소이고, 이러한 수소는 탄소와 수소의 결합(C-H 결합) 내의 수소에 비해 반응성이 높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COOH, 수산기: -OH, 아미노기: -NH2, 또는 아미드 결합: -NHCO- 등에 있어서의 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와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 등이 적용 가능하다. 특히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과 용융 혼련할 수 있고, 소량 첨가하여 가수분해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가수분해 억제제의 종류나 배합량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수분해 억제제의 종류나 배합량 등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성형품의 생분해 속도, 나아가서는 기계적 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고분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 억제제는 20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과 상술한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용융 혼련에 의한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용융하기 전 또는 용융할 때에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는 동시에 첨가할 수도 있고, 개별로 첨가할 수도 있다. 개별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어느 것을 먼저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용융시킨 후에 난연계 첨가제 또는 가수분해 억제제 중 어느 것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어서 얻어진 조성물을 다시 용융시키고, 가수분해 억제제 또는 난연계 첨가제 중 어느 나머지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로서의 수산화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은 동시에 첨가할 수도, 개별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로는 구성 성분이 복합된 상태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성능 향상을 위한 다른 첨가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보강재,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 외에, 윤활제, 왁스류, 착색제, 결정화 촉진제, 드립핑 방지제, 전분과 같은 분해성을 갖는 유기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보강재로는, 예를 들면 무기 충전재, 유기 충전재 등의 충전재를 들 수 있다. 이들 충전재로는, 상술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산화 방지제에 대해서도, 상술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페놀계, 아민계, 인계, 황계, 히드로퀴논계 또는 퀴놀린계 산화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는,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로는, 상술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윤활제, 왁스류, 착색제, 결정화 촉진제, 드립핑 방지제, 전분과 같은 분해성을 갖는 유기물에 대해서도, 상술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 공지된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 중의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시킬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원으로는, 예를 들면 전자파, 전자선 또는 입자선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전자파로는 자외선(UV), X선 등을 들 수 있으며, 입자선으로는 양자, 중성자 등의 소립자의 선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자 가속기의 사용에 의한 전자선 조사가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은 공지된 장치를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V 조사 장치, 전자 가속기 등을 들 수 있다. 조사선량 및 조사 강도로는,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효과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지연시키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선의 경우, 가속 전압은 약 100 내지 5000 kV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사선량은 약 1 kGy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도 각종 용도에 응용 가능하다. 성형품의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압공 성형, 필름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사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출 성형은 통상법에 따라서,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다축 압출기, 탠덤 압출기 등의 공지된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은 통상법에 따라서, 예를 들면 인라인 스크류식 사출 성형기, 다층 사출 성형기, 이두식 사출 성형기 등의 공지된 사출 성형기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성형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난연계 첨가제로서의 수산화물 및 인 함유 화합물,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UL 연소성 시험에서 평가하였을 때에 V0 내지 V1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매우 높은 난연성과, 예를 들면 전기 제품의 케이스로서 이용 가능한 우수한 보존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로서 수산화물 및 인 함유 화합물을 병용하면, 소량의 첨가제로도 큰 난연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한 난연계 첨가제의 첨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도, 생체에 대하여 안전한 성분인 생분해성 수지를 주체로 하며 자연 환경 중에서 용이하게 분해되기 때문에, 폐기시나 폐기 후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난연계 첨가제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폐기 후에는 알루미나, 인, 물, 이산화탄소 등의 생체나 지구 환경에 대하여 안전한 성분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나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다. 이 때문에, 이러한 성형품을 전기 제품의 케이스나 곤포 재료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합성 수지나 생분해성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충분한 환경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도, 상술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과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생분해성 수지의 적용이 곤란하였던 전기 제품의 일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전기 제품으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용도도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생분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용 잡화품, 위생용품 또는 유희용품 등을 주로 한 일회용 제품은 물론, 곤포재, 자동차 용도, 공업 제품 용도 등의 모든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험 3>
실험 3에서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시료의 제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서, (A1) 폴리락트산에 속하는 레이시아(H100J, 미쯔이 가가꾸사 제조) 및 (A2)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에 속하는 비오노레(#1020, 쇼와 고분자사 제조), (B) 가수분해 억제제(카르보디라이트 HMV-8 CA, 닛신 보세끼사 제조), 각종 난연계 첨가제(C1; 수산화알루미늄, 와꼬 쥰야꾸사 제조, C2; 질산암모늄, 와꼬 쥰야꾸사 제조, C3; 인산트리페닐,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사 제조, C4; 포스핀산염, 클라리언트 재팬사 제조)를 이용하였다. A, B, C의 혼합에는 용융 혼련법을 이용하였다.
혼련 조건으로는, 혼련기로서 미니맥스-믹스 루더(도요 세이끼사 제조)를 사용하고, 노즐 온도를 170 내지 175 ℃, 토크를 4 내지 6 kg, 체류 시간을 3 초 이내로 하여, 혼련에 의해 수지에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수지 복합체는 분쇄한 후에, 170 ℃에서 300 Kg/cm2로 압착하여 두께 1.0 mm의 판재로 성형하고, 12.7 mm×127 mm의 크기로 잘라내어 측정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42 및 비교예 14 내지 비교예 16의 시험편의 조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시험편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을 행하여 난연성 및 보존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소 시험)
수직 연소 시험은, 상기 시험편을 이용하여 UL94 연소성 시험 V-0 내지 V-2에 준하여 행하였다. 그 방법을 이하에 서술한다.
각 시료를 상단으로부터 6.4 mm 떨어진 부분에서 종축을 수직으로 하여 링ㆍ스탠드의 클램프에 고정시키고, 시료의 하단으로부터 9.5 mm 아래의 버너의 선단과 305 mm 아래의 건조시킨 외과용 탈지면이 수평으로 펴지도록 하였다. 수평층을 만들기 위해서는,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솜 뭉치에서 약 12.7 mm×25.4 mm 정도의 소편을 떼어내고 손가락으로 얇게 펴서 50.8 mm 평방으로 자연 두께가 6.4 mm가 되도록 하였다.
버너를 시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두고, 점화하여 높이 19 mm의 청색 화염이 나오도록 조절하였다. 화염은 가스의 공급량과 버너의 공기구를 조절하여 우선 높이 19 mm의 선단이 황색인 청색 화염이 나오도록 하고, 그 후 공기량을 조정하여 선단의 황색 화염이 없어지도록 하였다. 화염의 높이를 다시 한번 측정하여, 필요에 따라서 조절하였다.
시험 화염을 시험 시료의 하단 중심에 접촉시키고 10 초간 그대로 유지하였다. 또한, 화염을 적어도 152 m까지 떨어뜨리고, 시료가 화염을 내며 연소하는 시간을 기록하였다. 시료의 화염이 꺼지면, 즉시 시험 화염을 다시 시료의 하단에 접촉시켰다. 또한 10 초 후에 다시 화염을 분리하여, 유 화염 및 무 화염의 연소 시간을 기록하였다. 육안으로 유 화염와 무 화염을 식별하는 것이 어려울 때에는 외과용 면을 그 의문 부분에 접촉시킨다. 솜이 착화되면 유 화염이다. 각 접촉 화염 중에 시료로부터 융해 또는 유 화염 물질을 적하할 때에는 그 접촉 화염에 대해 버너를 45도의 각도까지 기울이고, 또한 시료의 12.7 mm의 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극히 조금 떨어뜨려 버너관 중에 재료가 적하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만일 시료로부터 융해 또는 유 화염 물질을 적하하거나 시험 중에 계속 연소시킬 때에는 버너를 손으로 잡아 접촉 화염 중에서 시료의 하단과 버너관의 선단이 9.5 mm의 사이 간격을 유지해야만 한다. 모든 융해 재료의 적하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시료의 중앙에 화염을 접촉시켜야 한다.
또한, 94V-1 인정 재료, 즉 94V-1이라 인정되는 재료는 하기의 조건에 적합해야만 한다.
(a) 모든 시료가 매회 화염을 접촉시킨 후, 30 초 이상 화염을 내며 연소되지 않는 것.
(b) 각 조 5매의 시료에 합계 10회로 화염을 접촉시켜, 화염을 내며 연소하는 시간의 합계가 250 초를 초과하지 않는 것.
(c) 모든 시료가 유 화염 또는 무 화염의 연소가 지지 클램프까지 도달하지 않는 것.
(d) 시료로부터 물질이 적하되어 305 mm 아래의 있는 건조시킨 외과용 탈지면이 착화되지 않는 것.
(e) 모든 시료가 제2회째에 화염을 멀리한 후, 60 초 이상 무 화염의 연소를 계속하지 않는 것.
(보존 시험)
본 발명에 의한 높은 난연성을 갖는 성형품이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성형품으로서 전기 기기의 케이스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보존성이 요구된다. 그의 평가로서, 고온 고습하에서의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각 시료를 온도 80 ℃, 상대 습도 80 %의 상태로 100 시간 동안 보존하고, 그 후의 형상, 고분자의 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시험편은 상기 연소 시험과 동일한 시험편을 사용하였으며, 형상에 문제가 없고, 평가 전부터의 분자량 유지율을 80 % 확보한 것을 ○, 확보할 수 없었던 것을 ×로 표시하였다. 분자량의 평가는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써 행하였다.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42 및 비교예 14 내지 비교예 16의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하 표 중, 「UL94-V1; ○」는 94V-1 인정 재료인 것을 나타내고, 「UL94-V1; ×」는 94V-1 인정 재료가 아닌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38815410-PCT00003
표 3에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A1 및 A2), 가수분해 억제제(B), 및 난연계 첨가제 중 적어도 수산화알루미늄(C1) 및 인 함유 화합물(C3 및(또는) C4)를 포함하는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42는, UL94V-1 규격을 만족시키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보존 특성도 양호하였다. 이에 반하여, 난연계 첨가제 성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6은 UL94V-1 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로서의 수산화물 및 인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4 및 비교예 15는, 난연성은 양호하지만, 보존 특성이 손상되어 있었다.
이상의 실험 3의 결과로부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난연계 첨가제로서의 수산화물 및 인 함유 화합물,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배합함으로써, 난연성과 보존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실험 4>
다음에,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서 다당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시료의 제조)
실험 4에서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다당류로서, (A3) 아세틸셀룰로오스(360E-16, 다이셀 파인켐사 제조) 및 (A4) 에스테르화 전분(CPR-3M, 닛본 콘 스타치사 제조)를 이용하였다. 그 밖의 성분은 실험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하였다.
이들 원료를 실험 3과 동일하게 하여 혼련하고, 실시예 43 내지 실시예 84 및 비교예 17 내지 비교예 20의 측정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내지 실시예 84 및 비교예 17 내지 비교예 20의 시험편의 조성을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들 실시예 43 내지 실시예 84 및 비교예 17 내지 비교예 20의 시험편에 대하여, 실험 3과 동일하게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을 실시하였다.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38815410-PCT00004
Figure 112006038815410-PCT00005
표 4 및 표 5에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다당류(A3 또는 A4), 가수분해 억제제(B), 및 난연계 첨가제 중 적어도 수산화알루미늄(C1) 및 인 함유 화합물(C3 및(또는) C4)를 포함하는 실시예 43 내지 실시예 84는, UL94V-1 규격을 만족시키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보존 특성도 양호하였다. 이에 반하여, 난연계 첨가제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9 및 비교예 20은 UL94V-1 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를 포함하지만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7 및 비교예 18은, 난연성은 양호하지만, 보존 특성이 손상되어 있었다.
이상의 실험 4의 결과로부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다당류에 난연계 첨가제로서의 수산화물 및 인 함유 화합물,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배합함으로써, 난연성과 보존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난연계 첨가제로서 작용하는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 및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조절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설명한다.
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생분해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다당류, 펩티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등 중 어느 것, 또는 상기 화합물의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는,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각각의 이점을 얻기 위해서 이들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경우에도,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중에서 혼합성이나 양산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L-락트산(PLLA), L-락트산과 D-락트산과의 랜덤 공중합체 등의 폴리락트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그 밖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분류되는, 예를 들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말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숙신산에스테르, 폴리옥살산에스테르, 폴리디글리콜산부틸렌, 폴리디옥사논, 미생물 합성 폴리에스테르,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도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미생물 합성 폴리에스테르로는, 3-히드록시부티레이트(3HB), 3-히드록시발레레이트(3HV) 또는 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상술한 화합물 등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펩티드로는 콜라겐, 카제인, 피브린, 젤라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아미드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4, 나일론 2/나일론 6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분자량에서는 생분해성이 있지만 고분자량에서는 생분해성이 낮은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라도, 상기에 예시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과의 그래프트 공중합 등에 의해 생분해성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라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고분자량에서는 생분해성이 낮은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산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의 분자량이나 말단기는 기계적인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도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락티드법,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의 중축합, 또는 분자 내에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분자간 중축합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이하, 단순히 난연계 첨가제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음)를 수지 조성물 중에 배합한다.
난연계 첨가제의 성분인 수산화물로는, 가열에 의해 물을 생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난연계 첨가제의 첨가 대상 재료에 고열이 부여되었을 때, 수산화물은 열을 흡열하여 분해됨과 동시에 물을 생성하여 흡열 작용과 물의 생성에 의해 난연성을 발현한다.
난연계 첨가제의 성분인 질소 화합물로는, 가열에 의해 연소 저해성 기체를 생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난연계 첨가제의 첨가 대상 재료에 고열이 부여되었을 때, 질소 화합물은 분해됨으로써 연소 저해성 기체를 발생시켜 첨가 대상 재료의 난연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 난연성의 향상은, 연소 저해성 기체가 생성됨으로써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대상 재료 근방에서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연소 저해성 기체는, 구체적으로는 질소 화합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질소 가스나, 이산화질소 가스, 일산화질소 가스, N2O 가스 등의 산화질소계 가스 등의 질소 함유 가스 등이다.
난연계 첨가제는,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첨가 대상 재료에 혼입이나 정착 등에 의해 복합(첨가)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중에 난연계 첨가제를 첨가하면 상기 난연계 첨가제가 난연제, 안정제, 증량제로서 기능하여 본 발명의 첨가 대상 재료인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예를 들면 난연성, 안정성, 증량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첨가 대상 재료에 고열, 예를 들면 500 ℃ 이상의 열이 부여되는 경우에 질소 화합물의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질소계 가스(NxOy계 가스)와 수산화물의 가열에 의해 생성하는 물이 반응하고, 상기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질산의 열 산화 작용에 의해 첨가 대상 물질인 생분해성 수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CO2나 H2O 등의 불연성 재료로 변성되어 높은 난연성이 부여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난연계 첨가제로서 수산화물과 질소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수산화물을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에 비해 높은 난연성을 실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UL94 연소성 시험으로써 평가하였을 때에, V-0 내지 V-1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높은 난연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난연계 첨가제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폐기 후에는 알루미나, 물, 이산화탄소 등의 생체나 지구 환경에 대하여 안전한 성분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나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다.
여기서, 수산화물로는, 분자 중에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가열에 의해 물을 생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수산화물로는, 조성 중에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금속 수산화물, 구체적으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아연, 수산화세륨, 수산화철, 수산화구리, 수산화티탄, 수산화바륨, 수산화베릴륨, 수산화망간, 수산화스트론튬, 수산화지르코늄, 수산화갈륨, 칼슘ㆍ알루미네이트 수화물(3CaOㆍAl2O3ㆍ6H2O), 히드로탈시트(Mg6Al2(OH)16CO3ㆍ4H2O)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물은, 그의 순도가 약 99.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수산화물의 순도가 높을수록 가수분해 억제제를 조합하였을 때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수산화물의 순도는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의 함유량을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하여, 전체량으로부터 상기 불순물의 함유량을 빼면 수산화물의 순도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의 경우, 불순물로는 Fe2O3, SiO2, T-Na2O, S-Na2O 등을 들 수 있다. Fe2O3의 함유량은 탄산나트륨-붕산액에 융해시킨 후, O-페난트롤린 흡광 광도법(JIS H 1901)에 의해 구해진다. SiO2의 함유량은 탄산나트륨-붕산액에 융해시킨 후, 몰리브덴 청흡광 광도법(JIS H 1901)에 의해 구해진다. T-Na2O의 함유량은 황산에 융해 후 플레임 광도 측정법으로, S-Na2O는 온수 추출 후에 플레임 광도 측정법으로 구해진다. 상기에 의해 구해진 함유량을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으로부터 제함으로써 수산화물의 순도를 얻을 수 있다. 물론 99.5 % 이상의 순도라면, 다른 복수종의 난연계 수산화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수산화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의 입경은 난연계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물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구해지는 평균 입경이 약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입도 분포는 상관없다.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성이나 혼련시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평균 입경은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고, 상술한 범위 중에서도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물론 조성물에 대한 충전율을 높이기 위해서 평균 입경이 다른 복수종의 난연계 첨가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의 수산화물은, 질소 가스 흡착법에 의해 구해지는 BET 비표면적이 약 20 m2/g 이하인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조성물에 대한 충전율을 높이기 위해서 BET 비표면적이 다른 복수종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형성의 관점에서, BET 비표면적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 중에서도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난연계 첨가제의 성분인 질소 화합물은, 예를 들면 그의 조성 중에 NxOy(x, y는 자연수)로 표시되는 것과 같은 질소 산화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화합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금속성 질산 화합물 및(또는) 비금속성 아질산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산아세틸(C2H3NO4), 질산아닐린(C6H8N2O3), 질산메틸(CH3ONO3)이나 질산에틸(C2H5ONO2)나 질산부틸(C4H9ONO2)나 질산이소아밀((CH3)2CHCH2CH2ONO2)나 질산이소부틸((CH3)2CHCH2ONO2)나 질산이소프로필((CH3)2CHONO2) 등의 질산에스테르(RONO2), 질산암모늄(NH4NO3), 질산구아니딘(CH6N4O3), 질산아세트산셀룰로오스(니트로아세틸셀룰로오스), 질산셀룰로오스(니트로셀룰로오스), 질산요소, 질산히드로디늄(N2H5NO3), 질산히드록실암모늄((NH3O)NO3), 질산벤젠디아조늄(C6H5N3O3), 아질산암모늄, 아질산에틸, 아질산메틸, 아질산프로필, 아질산부틸, 아질산이소부틸, 아질산이소아밀 등의 아질산에스테르(RONO)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질소 화합물로는, 상술한 화합물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난연계 첨가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의 입경은 난연계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물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구해지는 평균 입경이 약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입도 분포는 상관없다.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성이나 혼련시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평균 입경은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고, 상술한 범위 중에서도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 화합물은, 평균 입경을 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를 상회하면 충전율이나 분산성의 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물론 조성물에 대한 충전율을 높이기 위해서 평균 입경이 다른 복수종의 난연계 첨가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난연계 첨가제에는, 실란계, 티타네이트계, 알루미늄계, 지르코알루미늄계, 지방산계, 왁스계, 계면 활성제류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란 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알루미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을 이용한 것, 지방산계로서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등을 이용한 것, 또한 지방산염으로서 상기 각 지방산의 칼슘염, 아연염 등을 이용한 것,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이용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난연계 첨가제의 첨가량은, 대상이 되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소 화합물을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수산화물을 2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화합물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였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첨가 대상물인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기계적인 강도 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 질소 화합물의 첨가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정도이다. 한편, 수산화물의 첨가량이 20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였으며, 1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첨가 대상물인 고분자 화합물의 강도 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수산화물의 최적의 첨가량은 3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가수분해 억제제도,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첨가제 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지연시키고, 그 결과 장기간에 걸쳐 높은 기계적 강도나 충격 강도 등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은 보존 특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가수분해 억제제로는, 상술한 각 예의 수지 조성물에 이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와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량을 감소시켜 활성 수소가 촉매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쇄를 가수분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수소란, 산소, 질소 등과 수소와의 결합(N-H 결합이나 O-H 결합) 내의 수소이고, 이러한 수소는 탄소와 수소의 결합(C-H 결합) 내의 수소에 비해 반응성이 높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COOH, 수산기: -OH, 아미노기: -NH2, 또는 아미드 결합: -NHCO- 등에 있어서의 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의 활성 수소와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 등이 적용 가능하다. 특히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과 용융 혼련할 수 있고, 소량 첨가하여 가수분해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가수분해 억제제의 종류나 배합량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수분해 억제제의 종류나 배합량 등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성형품의 생분해 속도, 나아가서는 기계적 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고분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 억제제는 20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과 상술한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용융 혼련에 의한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용융하기 전 또는 용융할 때에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는 동시에 첨가할 수도 있고, 개별로 첨가할 수도 있다. 개별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어느 것을 먼저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용융시킨 후에 난연계 첨가제 또는 가수분해 억제제 중 어느 것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어서 얻어진 조성물을 다시 용융시키고, 가수분해 억제제 또는 난연계 첨가제 중 어느 나머지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로서의 수산화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은 동시에 첨가할 수도, 개별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난연계 첨가제로는, 구성 성분이 복합한 상태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성능 향상을 위한 다른 첨가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가소제, 보강재,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 이외에, 윤활제, 왁스류, 착색제, 결정화 촉진제, 드립핑 방지제, 전분과 같은 분해성을 갖는 유기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첨가제로서 이용되는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인산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인산에스테르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및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디페닐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는 프탈산에스테르, 시트르산에스테르 등을 대표적인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프탈산에스테르의 예에는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및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가 포함된다. 시트르산에스테르의 예에는 O-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OACTE), O-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OACTB),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등이 포함된다.
그 밖에,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예에는 올레산부틸, 리시놀산메틸아세틸, 세박산디부틸 등 각종 트리멜리트에스테르가 포함된다.
또한, 글리콜산에스테르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아세틴, 트리부티린, 부틸프탈릴 부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 에틸글리콜레이트, 메틸프탈릴 에틸글리콜레이트, 부틸프탈릴 부틸글리콜레이트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틴, 에틸프탈릴 에틸글리콜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가소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보강재로는, 예를 들면 무기 충전재, 유기 충전재 등의 충전재를 들 수 있다. 이들 충전재로는, 상술한 각 예의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산화 방지제에 대해서도, 상술한 각 예의 수지 조성물에 첨가한 것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페놀계, 아민계, 인계, 황계, 히드로퀴논계 또는 퀴놀린계 산화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는,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로서도, 상술한 각 수지 조성물에 이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윤활제, 왁스류, 착색제, 결정화 촉진제, 드립핑 방지제, 전분과 같은 분해성을 갖는 유기물에 대해서도, 상술한 각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도, 상술한 각 수지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수지 조성물 중의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활성 에너지선원으로는, 예를 들면 전자파, 전자선 또는 입자선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전자파로는 자외선(UV), X선 등을 들 수 있으며, 입자선으로는 양자, 중성자 등의 소립자의 선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자 가속기의 사용에 의한 전자선 조사가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은 공지된 장치를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V 조사 장치, 전자 가속기 등을 들 수 있다. 조사선량 및 조사 강도는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효과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지연시키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선의 경우, 가속 전압은 약 100 내지 5000 kV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사선량은 약 1 kGy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도 각종 용도에 응용 가능하다. 성형품의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압공 성형, 필름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사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출 성형은 통상법에 따라서,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다축 압출기, 탠덤 압출기 등의 공지된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은 통상법에 따라서, 예를 들면 인라인 스크류식 사출 성형기, 다층 사출 성형기, 이두식 사출 성형기 등의 공지된 사출 성형기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성형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면 UL 연소성 시험으로써 평가하였을 때에 V0 내지 V1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매우 높은 난연성과, 예를 들면 전기 제품의 케이스로서 이용 가능한 우수한 보존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도, 생체에 대하여 안전한 성분인 생분해성 수지를 주체로 하며 자연 환경 중에서 용이하게 분해되기 때문에, 폐기시나 폐기 후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 이용되는 난연계 첨가제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폐기 후에는 알루미나, 물, 이산화탄소 등의 생체나 지구 환경에 대하여 안전한 성분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나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다. 이 때문에, 이러한 성형품을 전기 제품의 케이스나 곤포 재료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합성 수지나 생분해성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충분한 환경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도, 상술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과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생분해성 수지의 적용이 곤란하였던 전기 제품의 일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전기 제품으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험 5>
(시료의 제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서, (A1) 폴리락트산에 속하는 레이시아(H100J, 미쯔이 가가꾸사 제조) 및 (A2)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에 속하는 비오노레(#1020, 쇼와 고분자사 제조), (B) 가수분해 억제제(카르보디라이트 HMV-8 CA, 닛신 보세끼사 제조), 난연계 첨가제(C1; 수산화알루미늄, 와꼬 쥰야꾸사 제조, C2; 질산암모늄, 와꼬 쥰야꾸사 제조)를 이용하였다. A, B, C의 혼합에는 용융 혼련법을 이용하였다.
혼련 조건으로는, 혼련기로서 미니맥스-믹스 루더(도요 세이끼사 제조)를 사용하고, 노즐 온도를 170 내지 175 ℃, 토크를 4 내지 6 kg, 체류 시간을 3 초 이내로 하여, 혼련에 의해 수지에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수지 복합체는 분쇄한 후에, 170 ℃에서 300 Kg/cm2로 압착하여 두께 1.0 mm의 판재로 성형하고, 12.7 mm×127 mm의 크기로 잘라내어 측정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84 내지 실시예 94 및 비교예 21 내지 비교예 24의 시험편의 조성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실시예 85 내지 실시예 94 및 비교예 21 내지 비교예 24의 시험편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을 행하여 난연성 및 보존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소 시험)
수직 연소 시험은, 상기 시험편을 이용하여 UL94 연소성 시험 V-0 내지 V-2에 준하여 행하였다. 그 방법을 이하에 서술한다.
각 시료를 상단으로부터 6.4 mm 떨어진 부분에서 종축을 수직으로 하여 링ㆍ스탠드의 클램프에 고정시키고, 시료의 하단으로부터 9.5 mm 아래의 버너의 선단과 305 mm 아래의 건조시킨 외과용 탈지면이 수평으로 펴지도록 하였다. 수평층을 만들기 위해서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솜 뭉치에서 약 12.7 mm×25.4 mm 정도의 소편을 떼어내고 손가락으로 얇게 펴서 50.8 mm 평방으로 자연 두께가 6.4 mm가 되도록 하였다.
버너를 시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두고, 점화하여 높이 19 mm의 청색 화염이 나오도록 조절하였다. 화염은 가스의 공급량과 버너의 공기구를 조절하여 우선 높이 19 mm의 선단이 황색인 청색 화염이 나오도록 하고, 그 후 공기량을 조정하여 선단의 황색 화염이 없어지도록 하였다. 화염의 높이를 다시 한번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서 조절하였다.
시험 화염을 시험 시료의 하단 중심에 접촉시키고 10 초간 그대로 유지하였다. 또한, 화염을 적어도 152 m까지 떨어뜨리고, 시료가 화염을 내며 연소하는 시간을 기록하였다. 시료의 화염이 꺼지면, 즉시 시험 화염을 다시 시료의 하단에 접촉시켰다. 또한 10 초 후에 다시 화염을 분리하여, 유 화염 및 무 화염의 연소 시간을 기록하였다. 육안으로 유 화염와 무 화염을 식별하는 것이 어려울 때에는 외과용 면을 그 의문 부분에 접촉시킨다. 솜이 착화되면 유 화염이다. 각 접촉 화염 중에 시료로부터 융해 또는 유 화염 물질을 적하할 때에는 그 접촉 화염에 대해 버너를 45도의 각도까지 기울이고, 또한 시료의 12.7 mm의 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극히 조금 떨어뜨려 버너관 중에 재료가 적하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만일 시료로부터 융해 또는 유 화염 물질을 적하하거나 시험 중에 계속 연소시킬 때에는 버너를 손으로 잡아 접촉 화염 중에서 시료의 하단과 버너관의 선단이 9.5 mm의 사이 간격을 유지해야만 한다. 모든 융해 재료의 적하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시료의 중앙에 화염을 접촉시켜야 한다.
또한, 94V-1 인정 재료, 즉 94V-1이라 인정되는 재료는 하기의 조건에 적합해야만 한다.
(a) 모든 시료가 매회 화염을 접촉시킨 후, 30 초 이상 화염을 내며 연소되지 않는 것.
(b) 각 조 5매의 시료에 합계 10회로 화염을 접촉시켜, 화염을 내며 연소하는 시간의 합계가 250 초를 초과하지 않는 것.
(c) 모든 시료가 유 화염 또는 무 화염의 연소가 지지 클램프까지 도달하지 않는 것.
(d) 시료로부터 물질이 적하되어 305 mm 아래의 있는 건조시킨 외과용 탈지면이 착화되지 않는 것.
(e) 모든 시료가 제2회째에 화염을 멀리한 후, 60 초 이상 무 화염의 연소를 계속하지 않는 것.
(보존 시험)
본 발명에 의한 높은 난연성을 갖는 성형품이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성형품으로서 전기 기기의 케이스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보존성이 요구된다. 그의 평가로서, 고온 고습하에서의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각 시료를 온도 80 ℃, 상대 습도 80 %의 상태로 100 시간 동안 보존하고, 그 후의 형상, 고분자의 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시험편은 상기 연소 시험과 동일한 시험편을 사용하였으며, 형상에 문제가 없고, 평가 전부터의 분자량 유지율을 80 % 확보한 것을 ○, 확보할 수 없었던 것을 ×로 표시하였다. 분자량의 평가는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써 행하였다. 실시예 85 내지 실시예 94 및 비교예 21 내지 비교예 24의 연소 시험 및 보존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하 표 중, 「UL94-V1; ○」는 94V-1 인정 재료인 것을 나타내고, 「UL94-V1; ×」는 94V-1 인정 재료가 아닌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38815410-PCT00006
표 6에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A1 및 A2), 가수분해 억제제(B), 및 난연계 첨가제(C)를 포함하는 실시예 85 내지 실시예 94는, UL94V-1 규격을 만족시키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보존 특성도 양호하였다. 이에 반하여, 난연계 첨가제 성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1이나, 난연계 첨가제 성분 중 질소 화합물이 빠진 비교예 22, 수산화물이 빠진 비교예 23은 UL94V-1 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가수분해 억제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4는 실시예에 비해 보존 특성이 손상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계 첨가제로서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 및 가수분해 억제제를 배합함으로써, 난연성과 보존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첨부하는 청구 범위 및 그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경, 치환 또는 그의 동등한 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Claims (43)

  1.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다당류, 펩티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말산, 미생물 합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가 셀룰로오스, 전분, 키틴, 키토산, 덱스트란,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유도체,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의 유도체가 에스테르화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의 유도체가 에스테르화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 함유 화합물이 유기 인 화합물, 인 단체(單體), 무기 인 화합물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억제제가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옥사졸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9.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0.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가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품.
  12.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다당류, 펩티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말산, 미생물 합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가 셀룰로오스, 전분, 키틴, 키토산, 덱스트란,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유도체,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물이 적어도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수산화물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계 첨가제가 질소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화합물이 질소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산화물이 비금속성 질산 화합물 및(또는) 비금속성 아질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물의 평균 입경이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화합물의 평균 입경이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 함유 화합물이 유기 인 화합물, 인 단체, 무기 인 화합물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억제제가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옥사졸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6.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27.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 형품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가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품.
  29.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인 함유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30.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펩티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 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말산, 미생물 합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화합물이 질소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산화물이 비금속성 질산 화합물 및(또는) 비금속성 아질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화합물의 평균 입경이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물이 적어도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수산화물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물의 평균 입경이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억제제가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옥사졸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0.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41.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품.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가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품.
  43.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질소 화합물 및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계 첨가제, 및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 억제제를 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 조 방법.
KR1020067010717A 2003-12-02 2004-11-29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060117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3475A JP2005162871A (ja) 2003-12-02 2003-12-02 樹脂組成物、成形品、電気製品、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3403477A JP2005162873A (ja) 2003-12-02 2003-12-02 樹脂組成物、成形品、電気製品、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3403476A JP2005162872A (ja) 2003-12-02 2003-12-02 樹脂組成物、成形品、電気製品、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JP-P-2003-00403476 2003-12-02
JPJP-P-2003-00403477 2003-12-02
JPJP-P-2003-00403475 2003-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61A true KR20060117961A (ko) 2006-11-17

Family

ID=3465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717A KR20060117961A (ko) 2003-12-02 2004-11-29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45823B2 (ko)
EP (1) EP1690899A4 (ko)
KR (1) KR20060117961A (ko)
CN (1) CN101864155A (ko)
WO (1) WO20050543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41B1 (ko) * 2011-10-26 2013-11-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안경테용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복합소재
KR102380168B1 (ko) * 2021-03-25 2022-03-29 가부시키가이샤 티비엠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4270C (zh) * 2005-12-15 2008-03-12 闫万琪 一种共混生物降解材料的生产方法
NZ572522A (en) * 2006-05-01 2011-11-25 Bnt Force Biodegradable Polymers Pvt Ltd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which comprises a polyolefin, cellulose, ammonium nitrate, organic derived nutrients and water
KR101495367B1 (ko) 2007-02-23 2015-02-2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락트산 조성물
JP5583912B2 (ja) * 2008-04-28 2014-09-03 花王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の製造法
US20110144246A1 (en) * 2008-07-02 2011-06-16 Basf Se Blends of stabilizers for aliphatic polyesters
KR101220728B1 (ko) * 2008-07-03 2013-01-0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난연성 수지 조성물
WO2010105076A1 (en) * 2009-03-11 2010-09-16 Nuvision Bioplastics, Llc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utilized in the manufacture of biodegradable containers, biodegradable contain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0108076A2 (en) 2009-03-19 2010-09-23 Jeffrey Jacob Cernohous Biobased polymer compositions
US20120220697A2 (en) * 2010-03-16 2012-08-30 Andersen Corporation Sustainable compositions, related methods, and members formed therefrom
US8937124B2 (en) * 2010-08-16 2015-01-20 Fuji Xerox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ticle
CN102031004A (zh) * 2010-10-29 2011-04-27 华南理工大学 一种阻燃纤维模塑环保墙体装饰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030892B (zh) * 2010-11-25 2012-09-05 沈阳工业大学 一种糯米粉接枝聚己内酯热塑性材料的制备方法
CN102070880B (zh) * 2010-12-24 2012-12-26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降解树脂组合物及其制品
FI20115218A0 (fi) 2011-03-03 2011-03-03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Menetelmä lämpömuokattavan plastisoidun sellulloosakuitu-PLA-kompaundin valmistamiseksi ja PLA-selluloosakompaundin iskulujuuden parantamiseksi
TWI641396B (zh) 2011-09-23 2018-11-21 Bvw控股公司 醫療共聚物
US8829097B2 (en) 2012-02-17 2014-09-09 Andersen Corporation PLA-containing material
EP2952540A4 (en) * 2013-01-30 2016-07-06 Nec Corp CELLULOSIC RESIN COMPOSITION, FORMAL MATERIAL AND FORM BODY
EP3214150B1 (en) * 2014-10-31 2019-05-29 Kitagawa Industries Co., Ltd. Thermally-conductive material
CN107793591B (zh) * 2016-09-06 2020-10-1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生物降解聚酯增韧热塑性聚多糖共混物及其制备方法和薄膜
JP6624740B2 (ja) * 2017-03-27 2019-12-25 学校法人同志社 樹脂組成物及び樹脂組成物の難燃性判定方法
CN110878168A (zh) * 2019-11-15 2020-03-13 湖南骏泰新材料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木质素基可生物降解聚乳酸薄膜及其制备方法
JP2022003113A (ja) * 2020-06-23 2022-01-11 株式会社リコー 樹脂組成物、成形体、電子部品及び電子機器
CN112724524B (zh) * 2020-12-28 2022-04-01 会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716823B (zh) * 2022-04-26 2023-01-06 金旸(厦门)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增强生物基长碳链尼龙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568A (ja) 2001-01-31 2002-10-18 Ishizuka Glass Co Ltd 添加剤、及び高分子複合材料
US20020151631A1 (en) * 2001-01-31 2002-10-17 Ishizuka Garasu Kabushiki Kaisha Flame-retardant material and flame-retardant polymer material
JP2002338816A (ja) 2001-05-15 2002-11-27 Ishizuka Glass Co Ltd 難燃性付与用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120776B2 (ja) * 2001-07-09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素材及び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成形物、並びにこの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成形物の製造方法
JP2003192925A (ja) 2001-10-15 2003-07-09 Sony Corp 生分解性を有する難燃性複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45181B2 (ja) * 2001-10-15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生分解性を有する難燃性複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88752B2 (ja) 2001-12-03 2008-05-21 ソニー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WO2003091344A1 (fr) * 2002-04-24 2003-11-06 Sony Corporation Composition ignifugeante biodegradabl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2003327842A (ja) 2002-05-09 2003-11-19 Ishizuka Glass Co Ltd 難燃剤および難燃性樹脂組成物
KR20070001889A (ko) * 2003-12-02 2007-01-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41B1 (ko) * 2011-10-26 2013-11-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안경테용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복합소재
KR102380168B1 (ko) * 2021-03-25 2022-03-29 가부시키가이샤 티비엠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4373A1 (ja) 2005-06-16
EP1690899A1 (en) 2006-08-16
CN101864155A (zh) 2010-10-20
US20070270527A1 (en) 2007-11-22
EP1690899A4 (en) 2011-07-06
US7645823B2 (en)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7961A (ko)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
EP1630195B1 (en) Composite composition and molding using the same
JP2005162871A (ja) 樹脂組成物、成形品、電気製品、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2294140B1 (en) Fir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EP1498460B9 (en) Biodegradable flame retardant composi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489989B2 (ja) 難燃性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JP4445181B2 (ja) 生分解性を有する難燃性複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07528A (ja) 射出成形体
JP2010144084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JP2005162872A (ja) 樹脂組成物、成形品、電気製品、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5796577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2003192925A (ja) 生分解性を有する難燃性複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65389B2 (ja) 樹脂組成物、成形品、電気製品、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70001889A (ko)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및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
JP4958386B2 (ja) 樹脂組成物、成形品、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4263180A (ja) 射出成形体
JP2007099861A (ja) 複合組成物及び複合組成物を用いた成形品
JP2005162873A (ja) 樹脂組成物、成形品、電気製品、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9263451A (ja) 難燃性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JP2006137799A (ja) 複合組成物及び複合組成物を用いた成形品
JP2010189655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品並びに電気製品
WO2012049896A1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乳酸樹脂成形体
JP202301109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難燃性樹脂筐体及び電子機器
JP2006111747A (ja) 複合組成物及び複合組成物を用いた成形品
JP2013129726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