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499A - 터널용 제트 팬 - Google Patents

터널용 제트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499A
KR20060117499A KR1020050039308A KR20050039308A KR20060117499A KR 20060117499 A KR20060117499 A KR 20060117499A KR 1020050039308 A KR1020050039308 A KR 1020050039308A KR 20050039308 A KR20050039308 A KR 20050039308A KR 20060117499 A KR20060117499 A KR 20060117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jet fan
pair
roller guide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052B1 (ko
Inventor
설용완
Original Assignee
에스텍이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이앤지(주) filed Critical 에스텍이앤지(주)
Priority to KR102005003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05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용 제트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천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 터널 천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앵커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되는 중앙분리대와 중앙분리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는 원호 형상의 한 쌍의 롤러 가이드; 한 쌍의 롤러 가이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일측말단 및 타측말단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한 쌍의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 및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에 장착되며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 흡토출구를 갖는 제트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제트팬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트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일정 각도를 가지고 토출되도록 하여 운용중인 터널 내의 먼지나 오염공기 등을 배기시키는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에 의해 천장면이 열화하게 되어 그 강도가 규정 강도보다 약해지더라도 앵커가 천장면에서 빠지지 않음으로써 제트팬이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터널, 제트팬, 환기, 앵커, 롤러, 가이드 베인

Description

터널용 제트팬{JET FAN FOR TUNNEL}
도 1은 종래 터널용 제트팬이 터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이 터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이 터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의 가이드 롤러에 롤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의 정회전 운전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의 역회전 운전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터널용 제트팬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c는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 베인이 설치된 터널용 제트팬을 나타낸 사시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터널용 제트팬 20; 앵커
30; 롤러 가이드 31; 중앙분리대
32; 레일 33; 스토퍼
34; 중앙 지지대 40;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
41; 롤러 브라켓트 41a; 롤러
42; 장착공 50; 제트팬
51a, 51b; 공기 흡토출부 52; 흔들림 방지용 아이볼트
53; 가이드 베인 53a; 가이드바아
54; 모터 55; 임페라
56; 소음기 57; 안전와이어
T; 터널
본 발명은 터널용 제트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기시켜 환기 효율을 높이고,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에 의해 천장면이 열화하게 되어 그 강도가 규정 강도보다 약해지더 라도 앵커가 천장면에서 빠지지 않음으로써 제트팬이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고안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터널은 입출구만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터널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터널 내부의 공기가 외부 공기로 환기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각종의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자연적으로는 터널 외부로 배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터널 내부에서 자동차들 간의 추돌 또는 충돌 등과 같은 교통사고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터널 내부에 있는 사람들의 호흡 및 가시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의 신선한 공기 유입은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아치형 또는 장방형의 구조를 갖는 터널 내부의 천장면에 제트팬들을 고정형으로 설치하여 터널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강제로 순환시키는 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터널의 길이가 길 경우 제트팬이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터널 내부의 오염공기 및 먼지 등을 단계적으로 송풍시켜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터널용 제트팬이 터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터널용 제트팬(100)은 터널(T) 천장면에 앵커용 구멍(미도시)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앵커(110)를 삽입 장착한 후 브라켓트(120)를 장착하여 이를 와셔와 너트로 조이고 턴버클(130)을 이용하여 제트팬(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터널(T)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트팬(100)은 터널(T)의 천장면에 차도면과 수평으로 고정시켜 설치되므로 제트팬(100)의 기류 방향이 일직선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에 제트팬은 터널 내부 전체 공기를 외부로 배기 시키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환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터널용 제트팬은 브라켓트와 턴버클을 이용하여 흔들림이 없게 고정하게 되나, 제트팬의 정 또는 역회전에 의해 제트팬의 하중이 변화하게 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제트팬을 고정하고 있는 앵커가 빠질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터널 천장면에 앵커용 구멍을 천공한 후 앵커에 의해 브라켓트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에 의해 천장면이 열화하게 되면 제트팬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강도보다 약해지게 되어 제트팬이 추락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제트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도로면으로 일정 각도를 갖게 토출되도록 하여 운용중인 터널 내의 먼지나 오염공기 등을 배기시키므로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터널용 제트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널 내의 환기 효율을 높임으로써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도 화염, 연기 및 가스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기시키고 운전자의 가시거리를 확보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용 제트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동일 조건의 터널에서 환기효율을 높이므로 에너지를 절감하거나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터널용 제트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에 의해 천장면의 강도가 규정 강도보다 약해지더라도 앵커가 천장면에서 빠지지 않음으로써 제트팬이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터널용 제트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천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터널 천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앵커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되는 중앙분리대와 상기 중앙분리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는 원호 형상의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일측말단 및 타측말단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 및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에 장착되며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 흡토출구를 갖는 제트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제트팬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앵커는 그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터널 천장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천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터널 천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앵커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되는 중앙분리대와 상기 중앙분리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는 원호 형상의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상기 한 쌍의 롤 러 가이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일측말단 및 타측말단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 및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에 장착되며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 흡토출구를 갖는 제트팬;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흡토출구에는 다수의 공기 가이드베인이 일정 각도로 뉘어져서 배치된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제트팬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앵커는 그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터널 천장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이 터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이 터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의 가이드 롤러에 롤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10)은 다수의 앵커(20)와 한 쌍의 롤러 가이드(30),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40) 및 제트팬(50)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앵커(20)는 터널(T) 천장면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앵커(20)의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로 터널(T) 천장면에 매립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상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터널(T)의 천장면에 종래 턴버클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터널용 제트팬(도 1의 100)보다 강하게 고정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앵커(20)를 매립하여 설치한다고 하였으나, 시공 여건 등에 따라 종래 터널용 제트팬과 마찬가지로 터널(T) 천장면에 앵커(20)가 위치하게 될 부분에 마킹을 한 후 드릴이나 코어를 이용하여 앵커(20)가 위치할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앵커(20)를 삽입하여 롤러 가이드(30)를 전술한 앵커(20)에 장착한 후 와셔와 너트로 조여 롤러 가이드(3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 가이드(30)는 다수의 앵커(20)에 의해 터널(T) 천장면에 상호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롤러 가이드(30)는 일측말단과 타측말단이 다수의 앵커(20)에 결합하게 되고, 이를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터널(T) 천장면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롤러 가이드(30)의 중앙부근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되는 중앙분리대(31)와 중앙분리대(31)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레일(32)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롤러 가이드(30)는 일측말단과 타측말단이 다수의 앵커(20)에 의해 고정 설치되나, 롤러 가이드(30)를 더욱 단단하게 터널(T) 천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롤러 가이드(30)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터널(T) 천장면에 배치되어 있는 앵커(2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중앙 지지대(34)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롤러 가이드(30)의 일측과 그와 마주보는 타측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40)에 배치된 롤러(41a)가 일정 구역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스토퍼(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40)은 한 쌍의 롤러 가이드(30)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게 되는데,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40)의 일측말단 및 그에 반대되는 타측말단에는 각각 롤러 브라켓트(41)가 마련되게 된다. 이러한 롤러 브라켓트(41)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롤러(41a)가 배치되며, 이러한 롤러(41a)는 한 쌍의 롤러 가이드(30)에 장착되어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 가이드(30)의 일측 및 그와 마주보는 타측에 형성되는 스토퍼(33)에 의해 롤러(41a)가 일정 구역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트팬(50)은 터널(T)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술한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40)에 장착되게 된다. 제트팬(50)의 일측말단 및 그에 반대되는 타측말단에는 공기 흡토출구(51a, 51b)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기 흡토출구(51a, 51b)는 제트팬(50)의 정 또는 역회전에 따라 공기흡입구가 되거나 공기토출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팬(50)의 외면에는 다수의 흔들림방지용 아이볼트(52)를 배치하여 터널(T) 천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20)로부터 다수의 흔들림방지용 아이볼트(52)에 연결되는 다수의 안전 와이어(57)를 통해 더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의 정회전 운전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의 역회전 운전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안전 와이어(57)는 편의상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팬(50)은 운전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차도 또는 터널(T) 천장면과 수평을 유지하게 되지만, 제트팬(50)이 정회전 운전하게 될 경우 임페라(도 3의 55)의 추력에 의해 자동으로 롤러(41a)가 롤러 가이드(30)를 따라 이동하여 제트팬(50) 일측말단의 토출구(51b), 즉 공기토출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며, 따라서 제트팬(50) 타측말단의 흡입구(51a), 즉 공기흡입구가 상측을 향해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터널용 제트팬(도 1의 100)의 경우 항상 일직선상으로만 공기를 토출시켜 터널(T) 내의 공기를 환기시킨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10)은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가 변화하게 되어 터널(T) 내의 환기 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7b에서와 같이 제트팬(50)이 역회전 운전하게 될 경우 도 7a와는 반대로 제트팬(50)의 타측말단(51b)이 공기흡입구가 되며, 일측말단(51a)이 공기토출구가 되어 공기토출구가 위치하는 부분(51a)이 하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터널용 제트팬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c는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 베인이 설치된 터널용 제트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터널용 제트팬(10)에 풍향, 즉 제트팬(5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베인(53)이 설치되게 되는데, 가이드 베인(53)은 제트팬(50)의 일측말단과 타측말단의 공기 흡토출구(51a, 51b), 즉 공기토출구 및 공기흡입구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타측에 걸쳐서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바아(53a)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바아(53a)는 공기가 토출될 때 이에 의해 막히거나 일직선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각도로 뉘여져서 배치된다.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트팬(50)만으로도 임페라(도 3의 55)의 추력에 의해 롤러(41a)가 이동하여 제트팬(50)이 일정한 각도로 하측방향을 향하게 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가 일직선상이 아니라 하측방향으로 향한 각도만큼 토출되도록 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트팬(50)에 의해 하측으로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보다 더한 각도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가이드 베인(53)을 구성하는 다수의 가이드바아(53a)가 뉘여진 각도만큼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가 더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베인(53)에 의해 제트팬(5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가 더욱 변하게 되므로 터널(T) 내의 환기 효율이 더욱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도 8c에서는 가이드 베인(53)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인 제트팬(50)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베인(53)은 제트팬(50)의 공기 흡토출구(51a, 51b)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끼움 결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 가이드 베인(53)은, 제트팬(50)의 공기 흡토출부(51a, 51b)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제트팬(50)의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가이드 베인(53)에 의해 제트팬(5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가 더욱 변하도록 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도 8c에 도시된 가이드 베인(53)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 및 방향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제트팬에 의하면, 제트팬에 의해 토출되는 오염공기가 일정 각도를 가지고 토출되도록 하여 운용중인 터널 내의 먼지나 공기 등을 배기시키는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터널 내의 환기 효율을 높임으로써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도 화염, 연기 및 가스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기시키고 운전자의 가시거리를 확보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조건의 터널에서 환기효율을 높이므로 에너지를 절감하거나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에 의해 천장면의 강도가 규정 강도보다 약해지더라도 앵커가 천장면에서 빠지지 않음으로써 제트팬이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터널 천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터널 천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앵커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되는 중앙분리대와 상기 중앙분리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는 원호 형상의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일측말단 및 타측말단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 및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에 장착되며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 흡토출구를 갖는 제트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제트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그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터널 천장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제트팬.
  3. 터널 천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터널 천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앵커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되는 중앙분리대와 상기 중앙분리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는 원호 형상의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일측말단 및 타측말단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 및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트팬 설치용 프레임에 장착되며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 흡토출구를 갖는 제트팬;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흡토출구에는 다수의 공기 가이드베인이 일정 각도로 뉘어져서 배치된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제트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그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터널 천장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제트팬.
KR1020050039308A 2005-05-11 2005-05-11 터널용 제트 팬 KR10068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308A KR100682052B1 (ko) 2005-05-11 2005-05-11 터널용 제트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308A KR100682052B1 (ko) 2005-05-11 2005-05-11 터널용 제트 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256U Division KR200390768Y1 (ko) 2005-05-11 2005-05-11 터널용 제트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499A true KR20060117499A (ko) 2006-11-17
KR100682052B1 KR100682052B1 (ko) 2007-02-15

Family

ID=3770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308A KR100682052B1 (ko) 2005-05-11 2005-05-11 터널용 제트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0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428A (zh) * 2014-12-09 2015-03-11 广东省长大公路工程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隧道路面施工用通风装置
CN106440169A (zh) * 2016-10-17 2017-02-22 兰州大学 一种室内空气自动通风系统
CN109026117A (zh) * 2018-08-29 2018-12-18 上海诺地乐通用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射流风机
KR102091561B1 (ko) * 2019-11-19 2020-03-20 서번산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하주차시설 환기, 제연 및 냉각기능이 구비된 제트공기이송팬 시스템
CN111503447A (zh) * 2020-04-10 2020-08-07 北京天恒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机电设备安装固定装置
CN109026117B (zh) * 2018-08-29 2024-06-07 英飞同仁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射流风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269B1 (ko) * 2011-10-21 2012-12-04 한국도로공사 터널용 방연장치
KR101626761B1 (ko) * 2015-10-29 2016-06-03 정종승 에너지 회수 기능을 갖는 터널 고속팬 시스템
KR102161047B1 (ko) 2020-08-13 2020-09-29 프라임방재(주) 외부케이싱 탈락을 방지하는 블록형 제트팬 케이싱
KR102243704B1 (ko) 2020-08-13 2021-04-26 프라임방재(주) 터널 사이드에 복수설치가 가능한 임펠러 없는 환기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78B2 (ja) * 1987-11-12 1994-01-19 富士電機株式会社 トンネル換気装置
JP2004278349A (ja) * 2003-03-13 2004-10-07 Toshiba Corp 双方向軸流ファンおよびトンネル換気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428A (zh) * 2014-12-09 2015-03-11 广东省长大公路工程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隧道路面施工用通风装置
CN106440169A (zh) * 2016-10-17 2017-02-22 兰州大学 一种室内空气自动通风系统
CN109026117A (zh) * 2018-08-29 2018-12-18 上海诺地乐通用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射流风机
CN109026117B (zh) * 2018-08-29 2024-06-07 英飞同仁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射流风机
KR102091561B1 (ko) * 2019-11-19 2020-03-20 서번산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하주차시설 환기, 제연 및 냉각기능이 구비된 제트공기이송팬 시스템
CN111503447A (zh) * 2020-04-10 2020-08-07 北京天恒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机电设备安装固定装置
CN111503447B (zh) * 2020-04-10 2021-10-26 北京天恒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机电设备安装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052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052B1 (ko) 터널용 제트 팬
KR200390768Y1 (ko) 터널용 제트팬
KR101710459B1 (ko) 도심지 횡류 또는 반횡류 터널의 배연성능 향상을 위한 급기 및 배기장치
KR200384036Y1 (ko) 대피통로 및 배연풍도를 구비한 터널
KR20140074601A (ko) 터널 라이닝에 고정된 풍도슬래브
US6752563B2 (en) Covered highway structure with means for easy and quick access to tunnel interior
JP3695036B2 (ja) トンネルの換気による排煙方法
KR200468921Y1 (ko) 터널 환기 장치
KR20150024119A (ko) 풍도용 격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2201900A (ja) トンネル換気装置
KR101133737B1 (ko) 터널의 환기 시스템
KR101653381B1 (ko) 날개없는 터널용 환기장치
KR200438466Y1 (ko) 건물 지붕용 환기장치
KR102513827B1 (ko) 방음터널 제연/배연 환기장치
KR100912944B1 (ko) 방재용 터널 환기 구조물 및 그 제어방법
KR101648952B1 (ko) 환기 성능 및 제연 성능 향상이 가능한 신형 환기 시스템
KR100960883B1 (ko) 개량된 제트팬
KR200436421Y1 (ko) 건물 지붕용 환기장치
KR102161047B1 (ko) 외부케이싱 탈락을 방지하는 블록형 제트팬 케이싱
KR102243704B1 (ko) 터널 사이드에 복수설치가 가능한 임펠러 없는 환기팬
JP3411974B2 (ja) トンネル換気装置
KR101630384B1 (ko)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터널 환기 시스템
KR100791591B1 (ko) 터널용 환기장치
JP2000120399A (ja) 長大トンネルの換気システム
KR200173246Y1 (ko) 지하주차장 자동 환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