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078A -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078A
KR20060116078A KR1020050038437A KR20050038437A KR20060116078A KR 20060116078 A KR20060116078 A KR 20060116078A KR 1020050038437 A KR1020050038437 A KR 1020050038437A KR 20050038437 A KR20050038437 A KR 20050038437A KR 20060116078 A KR20060116078 A KR 20060116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e
volcanic rock
tangerine
rock material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8874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5003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87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약은 화산암재를 100∼2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제조된 유약은 800∼90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도포하고, 이를 다시 1100∼12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화산암재와 귤나무재를 이용한 유약은 화산암재를 100∼2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잿물 성분을 제거한 귤나무재 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도자기 유약, 화산암재, 송이, 소성온도, 귤나무재

Description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를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Glaze Prepared with Scoria, and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화산암재를 원료로 한 도자기용 유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화산암재를 원료로 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우리나라 제주도에 다량 산재되어 있는 화산암재(scoria: 일명 '송이' 또는 '제주송이'라 함)는 화산이 폭발할 때 급속히 기포를 발생하여 용암이 잘게 부수어진 다공질의 암재로서 도자기 원료를 비롯하여 도자기용 유약의 원료 등으로 널리 개발되고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425,796호에는 화산암재가 첨가된 배합소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화산암재를 80∼12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 암재 10∼80 %를 청자소지나 내열점토에 첨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특허공고번호 제1996-7379호에는 송이를 이용한 유약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송이를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송이에 화목점토와 산화규소를 혼합하여 기본 뱃지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기본뱃지에 첨가재를 첨가하여 광택과 색상을 조절하는 3 단계로 이루어지는 유약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자기는 도자기 원료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한 다음 800∼900 ℃의 온도에서 초벌구이를 한다. 초벌구이를 한 도자기에 유약을 바르고 다시 1,250∼1,3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킴으로써 도자기가 완성된다. 유약은 도자기 표면에 접착되는 얇은 유리층으로서 자기의 흡수성을 저하시키고 심미감을 표출시키며 도자기에 강도를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그런데 특허공고번호 제1996-7379호에 개시된 유약을 포함한 공지의 유약들은 모두 1200 ℃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시켜야 한다. 통상은 1200∼1300 ℃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최종의 도자기 제품을 완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특정 함량을 갖는 화산약재로 제조되는 유약이 소성온도를 100∼200 ℃ 정도 낮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연구결과 알게 되었고, 또한 화산암재에 귤나무재 성분을 함유시켜 제조한 유약도 소성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산암재로 제조된 유약은 소성 온도에 따라 고유한 색상을 나타내며, 화산암재와 귤나무재로 제조된 유약은 귤나무재의 함량에 따라 원하는 색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약을 바른 후의 소성온도를 1100∼1200 ℃로 할 수 있는 화산암재를 이용한 유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성온도에 따라 화산암재의 고유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화산암재를 이용한 유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귤나무재의 함량에 따라 원하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화산암재와 귤나무재로 제조된 유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산암재를 이용한 유약의 제조방법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유약은 화산암재를 100∼2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제조된 유약은 800∼90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도포하고, 이를 다시 1100∼12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화산암재와 귤나무재를 이용한 유약은 화산암재를 100∼2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잿물 성분을 제거한 귤나무재 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화산암재를 원료로 하여 또는 화산암재와 귤나무재를 원료로 하여 소성온도를 종래의 유약보다 약 100∼200 ℃ 정도 낮출 수 있는 유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약은 화산암재를 100∼2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제조된 유약은 800∼90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도포하고, 이를 다시 1100∼12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산암재는 하기 표1에 도시된 성분 함량을 갖는다.
Figure 112005024179574-PAT00001
상기 표에서 Ig.loss는 1000 ℃에서의 발화 손실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성을 갖는 화산암재는 다른 광물과는 달리 알루미나 함량이 적고 유색산화물이며 유약에서 융재 역할을 하는 산화철, 산화티타늄, 산화망간,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및 알카리 성분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소성분위기 관계없이 종래의 유약보다 소성온도를 약 100∼200 ℃ 정도 낮춰 1100∼12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킬 수 있는 유약 조성물이다.
제주지방에서 채취한 화산암재를 100∼2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약 150 메쉬 정도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혼합되는 물의 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800∼90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상기에서 제조된 유약을 도포하고, 이를 1100∼12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약은 녹색을 띠는 화산암재의 고유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체예의 유약은 상기 화산암재에 귤나무재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귤나무재는 귤나무를 태워 재를 만든 다음, 재에서 잿물 성분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사용한다. 귤나무재에서 잿물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은 귤나무재를 물에 담가서 반복적으로 헹굼으로써 할 수 있다. 약 1 주일 정도 헹굼을 반복하여 손으로 감촉하였을 때 물이 미끄럽지 않으면 잿물 성분이 충분히 제거된 것이다. 이러한 잿물 제거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귤나무재는 산화칼슘 함량이 많고 실리카와 알루미나 함량이 적으며 산화인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유약에서 매용재료로 작용하면서 만들어진 유약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여준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귤나무재의 조성은 하기 표2에 도시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5024179574-PAT00002
상기 표에서 Ig.loss는 1000 ℃ 에서의 발화 손실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제조된 분쇄된 화산암재 10∼90 중량%와 잿물 성분이 제거된 귤나무재 90∼10 중량%를 혼합하고 물을 부가하여 유약을 제조한다.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와 귤나무재의 혼합물에 부가되는 물의 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800∼90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상기에서 제조된 유약을 도포하고, 이를 1100∼12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킨다.
상기 귤나무재의 함량에 따라서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귤나무재의 함량이 많을수록 짙은 회색을 얻을 수 있고, 귤나무재의 함량이 적을수록 엷은 회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주 지방에서 채취한 화산암재를 150 메쉬로 분쇄하여 물을 혼합하여 유약을 제조하였다. 분쇄된 화산암재의 조성은 위 표1에 나타난 바와 같다. 85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실시예1의 유약을 도포하고, 1150 ℃의 소성온도에서 소성시켰다. 산화분위기에서 1150 ℃에서 소성한 유약을 색도계에서 L, a*, b* 값을 측정하였다. L 값은 29.98, a* 값은 3.33, 그리고 b* 값은 0.07 이었다. 실시예1의 유약은 파스텔톤의 검은색을 띠었다.
실시예 2
소성온도를 1200 ℃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산화분위기에서 1200 ℃에서 소성한 유약을 색도계에서 L, a*, b* 값을 측정하였다. L 값은 37.68, a* 값은 1.70, 그리고 b* 값은 -0.79 이었다. 실시예2의 유약은 녹색끼를 띠었다.
실시예 3
제주 지방에서 채취한 화산암재를 150 메쉬로 분쇄하였다. 귤나무를 태워서 만들어진 귤나무재를 물에 담가서 반복적으로 1주일간 헹굼으로써 잿물 성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잿물이 제거된 귤나무재를 건조시켜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와 건조된 귤나무재를 각각 50 중량%씩 혼합하고, 물을 가하여 유약을 제조하였다. 건조된 귤나무재의 조성은 위 표2에 나타난 바와 같다. 85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실시예3의 유약을 도포하고, 1150 ℃의 소성온도에서 소성시켰다. 산화분위기에서 1150 ℃에서 소성한 유약을 색도계에서 L, a*, b* 값을 측정하였다. L 값은 30.81, a* 값은 3.15 그리고 b* 값은 0.05 이었다.
실시예 4
분쇄된 화산암재 80 중량%와 건조된 귤나무재 20 중량%를 사용하고, 소성온도를 1200 ℃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산화분위기에서 1200 ℃에서 소성한 유약을 색도계에서 L, a*, b* 값을 측정하였다. L 값은 35.56, a* 값은 2.45, 그리고 b* 값은 -0.63 이었다. 실시예3보다 더 엷은 회색을 띠는 색상을 얻었다.
실시예 5
분쇄된 화산암재 20 중량%와 건조된 귤나무재 80 중량%를 사용하고, 소성온도를 1200 ℃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산화분위기에서 1200 ℃에서 소성한 유약을 색도계에서 L, a*, b* 값을 측정하였다. L 값은 31.27, a* 값은 1.98, 그리고 b* 값은 0.15 이었다. 실시예3보다 더 진한 회색을 띠는 색상을 얻었다.
본 발명은 유약을 바른 후의 소성온도를 1100∼1200 ℃로 할 수 있고, 소성온도에 따라 화산암재의 고유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화산암재를 이용한 유약을 제공하고, 귤나무재의 함량에 따라 원하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화산암재와 귤나무재로 제조된 유약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화산암재를 100∼2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암재를 원료로 한 유약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암재를 원료로 한 유약.
  3.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유약을 800∼90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도포하고, 이를 다시 1100∼12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암재를 원료로 한 유약의 용도.
  4. 화산암재를 100∼2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화산암재에 잿물 성분을 제거한 귤나무재 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암재와 귤나무재를 원료로 한 유약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암재는 10∼90 중량%로 사용되고 잿물 성분이 제거된 귤나무재는 90∼1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암재와 귤나무재를 원료로 한 유약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암재를 원료로 한 유약.
  7. 제4항 또는 제5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유약을 800∼900 ℃에서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도포하고, 이를 다시 1100∼120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암재를 원료로 한 유약의 용도.
KR1020050038437A 2005-05-09 2005-05-09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KR10068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37A KR100688874B1 (ko) 2005-05-09 2005-05-09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37A KR100688874B1 (ko) 2005-05-09 2005-05-09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078A true KR20060116078A (ko) 2006-11-14
KR100688874B1 KR100688874B1 (ko) 2007-03-02

Family

ID=3765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437A KR100688874B1 (ko) 2005-05-09 2005-05-09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787B1 (ko) * 2009-03-13 2010-03-05 서동규 갯벌흙을 이용한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흑색, 황색 반점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CN114956562A (zh) * 2022-06-17 2022-08-30 瑞尔(浙江)品牌管理有限责任公司 一种秘色瓷艾色釉料及其制备方法、秘色瓷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7213A (ja) 1996-02-20 1997-09-02 Eguchi Koichiro 火山灰を利用した建築資材の製造方法
KR100354703B1 (ko) * 2001-04-28 2002-10-11 김성협 용암석분을 이용한 건축구조물 성형용 조성물
KR100425796B1 (ko) * 2001-04-30 2004-04-03 정인수 제주 화산암재가 첨가된 배합소지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787B1 (ko) * 2009-03-13 2010-03-05 서동규 갯벌흙을 이용한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흑색, 황색 반점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CN114956562A (zh) * 2022-06-17 2022-08-30 瑞尔(浙江)品牌管理有限责任公司 一种秘色瓷艾色釉料及其制备方法、秘色瓷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874B1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787B1 (ko) 갯벌흙을 이용한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흑색, 황색 반점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CN106673437B (zh) 一种高硬度开片釉瓷器的制备方法
KR101998651B1 (ko)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3542B1 (ko) 도자기용 다채색 고강도 안료조성물과 도자기용 다채색 고강도 안료조성물을 이용한 내열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열 도자기
CN104016661A (zh) 一种骨质艺术瓷的制备方法
CN108264231A (zh) 仿古无光反应釉及其制备方法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08350B1 (ko) 지렁이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6349B1 (ko) 낙엽재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14149246B (zh) 一种带有化妆土装饰的陶瓷的生产方法
KR100885391B1 (ko)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CN107098584A (zh) 一种釉料隔离印彩陶瓷器的制备方法
CN112374762A (zh) 一种钧瓷用月白釉及其制备方法
KR100830395B1 (ko) 백색 내열 소지 조성물
KR100775790B1 (ko) 수철을 이용한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95106A (ko) 비산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8266B1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88874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KR100753893B1 (ko) 백색 내열 유약조성물
KR100387919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KR101374850B1 (ko) 다공성 소지를 이용한 연리문 도자기 제조방법
KR100673791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 소지 조성물
KR102380992B1 (ko) 정수 슬러지를 활용한 꺾임강도가 높은 흑색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228B1 (ko) 곱돌 분말을 포함하는 백자 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7920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