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776A -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776A
KR20060115776A KR1020050038056A KR20050038056A KR20060115776A KR 20060115776 A KR20060115776 A KR 20060115776A KR 1020050038056 A KR1020050038056 A KR 1020050038056A KR 20050038056 A KR20050038056 A KR 20050038056A KR 20060115776 A KR20060115776 A KR 2006011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lectrode
active regions
active
memory device
activ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유승
안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5776A/ko
Publication of KR2006011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95Local interconnects; Local pads, as exemplified by patent document EP0896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self aligned silicidation, i.e. salic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필드 영역에 의해 정의된 제 1 도전형의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3 및 제 4 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제 1 활성 영역과 제 3 활성 영역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 1 게이트 전극과 제 2 활성 영역과 제 4 활성 영역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 2 게이트 전극 및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부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 상부로 컨포말하게 형성되어, 제 1 게이트 전극과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한다.
금속막, Si 이온 주입, 실리사이드막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 선과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반도체 기판 102: 필드 영역
104a, 104b, 104c, 104d: 제 1 내지 제 4 활성 영역
106: 불순물 영역 112: 게이트 절연막
113: 워드 라인 114: 제 1 게이트 전극
115: 제 2 게이트 전극 116: 스페이서
122: 금속막 124a, 124b, 124c: 실리사이드막
132: 감광막 패턴 142: 층간 절연막
144: 콘택 152: 배선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적도가 증가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크기 및 디자인룰(design rule)이 점차 축소되어 미세화됨에 따라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집적 반도체 소자들의 도전층간을 서로 연결하는 국부 상호 연결 배선(local interconnection)이 사용된다
종래의 국부 상호 연결 배선은 층간 절연막의 사진 공정, 층간 절연막의 선택적 식각 공정, 콘택 형성 공정 등과 같은 복잡한 공정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따라서, 공정 시간 증가와 공정 비용이 증가된다.
이와 같은 복잡한 공정들을 수행하는 경우, 층간 절연막의 사진 공정시 패턴 사이즈의 미세화됨에 따라 패턴의 오정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의 사진 공정 및 식각 공정시 콘택의 임계치수(critical dimension: CD)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의 선택적인 식각 공정시 활성 영역까지 층간 절연막이 식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과식각되어 활성 영역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고집적화되면 될수록 이와 같은 국부 상호 연결 배선을 사용할 경우 일정한 면적 내에서 형성해야 할 콘택수가 증가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집적도가 증가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필드 영역에 의해 정의된 제 1 도전형의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3 및 제 4 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제 1 활성 영역과 제 3 활성 영역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 1 게이트 전극과 제 2 활성 영역과 제 4 활성 영역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 2 게이트 전극 및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부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 상부로 컨포말하게 형성되어, 제 1 게이트 전극과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내에 필드 영역을 형성하여 제 1 도전형의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3 및 제 4 활성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제 1 활성 영역과 제 3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며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 1 게이트 전극과 제 2 활성 영역과 제 4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며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부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 상부로 컨포말하게 형성되어, 제 1 게이트 전극과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SRAM 소자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완전(full) CMOS SRAM 소자로써 하나의 셀은 제 1 및 제 2 액세스 트랜지스터(Q1, Q2), 제 1 및 제 2 구동 트랜지스터(Q3, Q4) 및 제 1 및 제 2 부하 트랜지스 터(Q5, Q6)로 구성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구동 트랜지스터(Q3, Q4)의 소스는 접지 라인(VSS)에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부하 트랜지스터(Q5, Q6)의 소스는 전원 라인(VDD)에 연결된다.
그리고 N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 1 구동 트랜지스터(Q3)와 P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 1 부하 트랜지스터(Q5)가 제 1 인버터(inverter)를 구성하며, N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 2 구동 트랜지스터(Q4)와 P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 2 부하 트랜지스터(Q6)가 제 2 인버터(inverter)를 구성한다.
제 1 및 제 2 인버터의 출력단은 제 1 액세스 트랜지스터(Q1)과 제 2 액세스 트랜지스터(Q2)의 소스와 연결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인버터는 하나의 래치(latch)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입력단과 출력단이 서로 교차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액세스 트랜지스터(Q1, Q2)의 드레인은 각각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BL, /BL)이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은 필드 영역(102)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활성 영역(104a, 104b, 104c, 104d)이 정의되어 있다. 이 때, 필드 영역(102)에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shallow trench isolation; STI)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104a, 104b)은 n형 불순물 영역이며, 제 3 및 제 4 활성 영역(104c, 104d)은 p형 불순물 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활성 영역(104a, 104b, 104c, 104d)이 정의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 상에는 제 1 게이트 전극(114)이 제 1 및 제 3 활성 영역(104a, 104c)을 가로질러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게이트 전극(114)은 제 1 구동 트랜지스터(도 1의 Q3 참조)와 제 1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Q5 참조)의 게이트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게이트 전극(115)은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104b, 104c)을 가로질러 위치한다. 이러한 제 2 게이트 전극(115)은 제 2 구동 트랜지스터(도 1의 Q4 참조)와 제 2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Q6 참조)를 형성한다.
또한, 각각 활성 영역들(104a, 104b, 104c, 104d)을 가로 질러 형성된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114, 115)들은 필드 영역(102) 상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 상에는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114, 115)과 수직으로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104a, 104b)을 가로지르는 워드 라인(113)이 위치한다. 이 때, 워드 라인(113)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 1 및 제 2 액세스 트랜지스터(도 1의 Q1, Q2 참조)의 게이트를 형성한다.
또한, 제 1 구동 트랜지스터(도 1의 Q3 참조)와 제 1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Q5 참조)의 공통 게이트와 제 2 구동 트랜지스터(도 1의 Q4 참조)와 제 2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Q6 참조) 각각의 드레인을 연결하는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막 패턴(132)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Ⅰ-Ⅰ' 선과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단 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은 STI 막이 형성된 필드 영역(102)과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104a, 104b)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필드 영역(102)과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104a, 104b) 각각의 소정 영역에 게이트 전극(114a, 114b)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14a, 114b)의 하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12a, 112b) 위치하며, 양 측벽에는 스페이서(116a, 11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활성 영역(104a) 및 제 1 활성 영역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14a)의 상부에는 실리사이드막(124a, 124b)이 위치한다. 실리사이드막(124a, 124b)은 게이트 전극(114a) 또는 제 1 활성 영역(104a)을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콘택 형성시 콘택 저항을 감소시킨다.
또한, 필드 영역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14b)의 상부부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104b, 104d)으로 컨포말하게 형성된 실리사이드막(124c)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필드 영역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14b)과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104b, 104d)에 걸쳐 형성된 실리사이드막(124c)은 게이트 전극(114b)과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104b, 104d)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의 도전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에 STI 막 형성 공정을 수행하여 필드 영역(102)을 한정한다. STI 막은 반도체 기판을 선택적으로 식각 하여 트 렌치를 형성하고, 트렌치를 채우는 절연 물질을 매립시켜 형성된다.
필드 영역(102)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 상에 선택적으로 n형 및 p형 불순물 물질을 이온 주입하여 제 1 내지 제 4 활성 영역(104a, 104b, 104c, 104d)을 형성한다. 이 때,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104a, 104b)은 n형 불순물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 3 및 제 4 활성 영역(104c, 104d 참조)은 p형 불순물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반도체 기판에 필드 영역(102) 및 제 1 내지 제 4 활성 영역(104a, 104b, 104c, 104d)을 정의하고 나서, 반도체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용 도전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와 같은 결과물 상에 사진 공정을 수행하고,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용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함으로써 게이트 전극(114a, 114b)을 형성한다. 즉, 도 2의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114, 115)과 워드 라인(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게이트 전극(114a, 114b)은 제 1 및 제 3 활성 영역(104a, 104c) 또는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104b, 104c)을 가로지르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활성 영역(104a)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14a)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저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다. 그리고 나서 전면에 스페이서용 절연막을 적층한 다음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114a, 114b) 측벽에 스페이서(116a, 116b)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활성 영역(104a) 상에 위치하는 스페이서(116a, 116b)를 이온 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고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활성 영역(104a)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14a) 양측에 불순물 영역(106)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물 전면에 약 3 ~ 100 nm의 두께로 금속막(122)을 적층한다. 금속막(122)은 고융점 금속 물질으로써 Co, Ti, Ni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필드 영역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14b)의 일부로부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104b, 104d)의 일부에 이르는 금속막 상부를 노출시키는 감광막 패턴(132)을 형성한다. 그리고 감광막 패턴(132)을 이용하여 금속막(122)으로 반도체 물질을 이온 주입한다. 이 때, 반도체 물질은 약 1.0E15 ~ 1.0E17atoms/cm2의 농도로 금속막(122) 상에 이온 주입되며, 반도체 물질로는 Si 또는 Ge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금속막(122)의 소정 영역에 반도체 물질을 이온 주입하고 나서 감광막 패턴(132)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 전면에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실리사이드막(124a, 124b, 124c)을 형성한다. 따라서, 금속막(122)이 불순물 영역(106) 상부, 게이트 전극(114a, 114b) 상부 및 제 2 불순물 영역(104b) 상부와 실리사이드화하여 TiSi2, CoSi2, NiSi2 중에서 하나인 실리사이드막(124a, 124b, 124c)이 형성된다. 이 때, 필드 영역 상에 위치한 게이트 전극(114b) 일측벽의 스페이서(116b) 상부와 필드 영역(102) 상부에 위치한 금속막(122)도 이온 주입된 반도체 물질과 실리사이드화된다. 따라서 필드 영역 상에 위치한 게이트 전극(114b) 일측벽의 스페이서(116b)와 필드 영역(102) 상부에도 실리사이드막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필드 영역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14b)의 상부부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104b, 104c) 상으로 컨포말하게 실리사이드막(124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실리사이드막(124c)은 SRAM 소자에서 래치 회로의 입력단과 출력 단을 교차로 형성하기 위해 게이트 전극과 활성 영역을 연결하는 국부 상호 연결 배선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실리사이드막(124a, 124b, 124c)을 형성하고 난 다음 세정 공정을 수행하여 실리사이드화되지 않은 금속막(122)을 제거한다. 세정 공정시 사용되는 세정 용액으로는 황산(H2SO4)과 과산화수소(H2O2)의 혼합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물 전면에 층간 절연막(132)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사진 공정을 수행하고 층간 절연막(132)을 선택적으로 식각함으로써 단락되어 형성된 각각의 실리사이드막(124a, 124b)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층간 절연막(142)에 콘택홀을 형성한 다음에는 전면에 배리어 금속막 및 텅스텐막을 적층하고 전면에 CMP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콘택홀 내부에 콘택(144)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콘택(144)이 형성된 층간 절연막(132) 전면에 금속 물질을 적층하고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각각의 콘택(144)과 연결되는 배선(15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SRAM 소자는 래치 회로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교차로 형성하기 위해 게이트 전극 상부부터 활성 영역 상으로 컨포말하게 형성된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전극과 활성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콘택 형성 공정과 배선 형성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게이트 전극과 활성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실리사이드막을 게이트 전극 상부부터 활성 영역 상부로 컨포말하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국부 상호 연결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콘택 형성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되는 실리사이드막과 게이트 전극과 활성 영역을 연결하는 실리사이드막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필드 영역에 의해 정의된 제 1 도전형의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3 및 제 4 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제 1 활성 영역과 상기 제 3 활성 영역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2 활성 영역과 상기 제 4 활성 영역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 2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 상부로 컨포말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사이드막은 상기 필드 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부터 형성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사이드막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활성 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 상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활성 영역 상부에도 형성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반도체 기판 내에 필드 영역을 형성하여 제 1 도전형의 제 1 및 제 2 활성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3 및 제 4 활성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제 1 활성 영역과 상기 제 3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며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2 활성 영역과 상기 제 4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며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 상부로 컨포말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금속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일측벽의 스페이서와 상기 제 2 및 제 4 활성 영역에 인접한 필드 영역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실리사이드막으로 형성될 상기 금속막에 반도체 물질을 이온 주입하는 단계; 및
    결과물 전면에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Co, Ti, Ni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물질로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으로 반도체 물질을 이온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도체 물질은 Si 또는 Ge를 이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으로 반도체 물질을 이온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물질을 약 1.0E15 ~ 1.0E17atoms/cm2의 농도로 이온 주입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1020050038056A 2005-05-06 2005-05-06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15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56A KR20060115776A (ko) 2005-05-06 2005-05-06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56A KR20060115776A (ko) 2005-05-06 2005-05-06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776A true KR20060115776A (ko) 2006-11-10

Family

ID=3765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056A KR20060115776A (ko) 2005-05-06 2005-05-06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57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289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fabrication process thereof
US672755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well tap provided in memory cell
JP2007536740A (ja) 半導体構成のための電気的接続を形成する方法
US8803202B2 (en) Layout methods of integrated circuits having unit MOS devices
JP2010505275A (ja) 実質的に均一なパターン密度で形成された回路を有する半導体デバイス
KR10033302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20119B1 (ko) 엘디디형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제조방법
KR20100003629A (ko) 적층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장치의 제조 방법
US6690071B2 (en) Semiconductor device using junction leak current
JP3712313B2 (ja) Sramセル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6864506B2 (en) SRAM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658844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573276B1 (ko) 에스램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188550B2 (e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with electrical strap and its method of forming
JP5155617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81798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15776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6914338B1 (en) Memory cell having conductive sill
US2005026382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03943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024495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70015809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4024813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694477B1 (ko) 에스램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09868A (ko) 사전 도핑된 활성영역과 비도핑 게이트라인을 이용한 배선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