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332A - 도로 경계석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332A
KR20060113332A KR1020050089087A KR20050089087A KR20060113332A KR 20060113332 A KR20060113332 A KR 20060113332A KR 1020050089087 A KR1020050089087 A KR 1020050089087A KR 20050089087 A KR20050089087 A KR 20050089087A KR 20060113332 A KR20060113332 A KR 2006011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incision
road
road boundary
incis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5705B1 (ko
Inventor
최명철
정상학
Original Assignee
최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철 filed Critical 최명철
Priority to KR102005008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70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도로 경계석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양 끝단 모서리 부분에 절개면을 형성하여 파손을 예방하고 상기 절개면에 반사수단을 배열하여 야간에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 및 보도 통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도로 경계석은, 사각기둥형상을 갖고, 도로 경계에 인접하는 전면의 양 끝단 모서리에 절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에 반사수단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면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직접 조사되고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경계석의 노출면 상부에 치우쳐 형성되고, 맞대응하는 각 절개면이 측면과 이루는 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계석 전면의 양 끝단 모서리에 절개면을 형성하여 충격 등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절개면에 반사수단을 배열하여 자연스럽게 불빛의 반사효과를 높이게 된다.
보도, 차도, 경계석, 절개면, 반사수단, 차량

Description

도로 경계석 {BOUNDARY STONE USED IN ROAD}
도 1 은 종래 경계석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이 배열된 경계석이 도로 경계에 설치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 따른 모서리에 절개면이 형성된 경계석의 사시도 및 절개면의 다양한 형태도.
도 4 는 절개면이 각 면과 이루는 각이 빛의 입사와 반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이 설치된 도로로서 경계석의 절개면에 배열된 반사수단에 불빛이 입사되어 반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개면
20 : 반사수단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도로 경계석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양 끝단 모서리 부분에 절개면을 형성하여 파손을 예방하고 상기 절개면에 반사수단을 배열하여 야간에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 및 보도 통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도로 경계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별시킴과 동시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차량이 인도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벽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1은 종래 경계석의 사시도로 이를 참조하며, 종래의 도로 경계석은 통상 석재 또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제조되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에 노출되는 전면과 상면이 만나는 부분은 면처리 되어 있으나 전면, 상면 및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각 면이 직각으로 만나고 있어 그 부분이 몹시 취약하여 경계석의 운반이나 하차시 쉽게 깨지거나 설치시에 서로 부딪치거나 주ㆍ정차하는 차량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깨어지기 쉽다. 또한 이와 같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미관상 조잡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두 경계석은 몰탈 등으로 시공이음을 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모서리가 깨진 경우 이곳에서 몰탈 등이 탈락되고 차량 등의 2차 충격이 가해지면 경계석 전체가 흔들리어 훼손상태가 심각해지는 등 구조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 생하게 된다.
그리고 가로등이 없거나 불빛이 약한 도로에서 야간운전을 하는 경우 도로의 경계석을 미처 감지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도로 경계석에 충돌하고 보도로 진입하는 등의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계석에 야광도료, 반사테이프 같은 반사체를 부착시켰다. 또한 차량 헤드라이트의 불빛이 반사체에서 반사되어 차량운전자에게 잘 전달되도록 반사체의 각을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반사체를 부착하고 반사체의 각을 조정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35031호(2001.06.08등록, 종래기술1)'야광 도로 경계석', 등록실용신안 제20-0230682호(2001.05.04등록, 종래기술2)'반사체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1에서 반사체를 경계석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것은 차량이나 오토바이의 근접시 쉽게 파손되는 결합이 있는 동시에 이를 보수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오토바이나 자전거의 접촉시 사고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에서 반사체를 경계석의 전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요부(또는 요홈)를 만들고 이곳에 반사체를 설치하는 것은 요부(또는 요홈)를 만들기 위해 경계석의 몸체를 심하게 훼손하여 경계석 자체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구조상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상기 요부를 만들기 위해 추가공정 및 작은 성형틀이 필요하여 자재비 및 인건비가 투입되어 제작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뾰족하게 또는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계석의 전면 양 끝단 모서리에 절개면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 1차적 목적이고,
상기 절개면에 반사수단을 배열하여 차량에서 발산한 불빛이 반사수단에서 반사되어 운전자의 정면으로 향하도록 하여 도로 경계구간을 확실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2차적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도로 경계석은,
사각기둥형상을 갖고, 도로 경계에 인접하는 전면의 양 끝단 모서리에 절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에 반사수단을 배열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개면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직접 조사되고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경계석의 노출면 상부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절개면에 많은 양의 빛이 조사되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절개면이 측면과 이루는 각이 작고 타단에 형성되는 절개면이 측면과 이루는 각은 큰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20)이 배열된 경계석이 도로 경계에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3은 본 발명 따른 모서리에 절개면(10)이 형성된 경계석의 사시도 및 절개면의 다양한 형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노출면(즉, 전면)의 모서리에 절개면(1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경계석의 도로변에 설치는 경계석의 측면을 서로 맞대어 배열하고 맞댄 부위를 몰탈 등으로 충진 하여 시공이음(1) 설치하거나 현장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현장 콘크리트 타설로 제작, 설치하게 된다.
이때, 경계석의 모서리는 취약하여 깨지기 쉬운데, 바닥과 접촉하는 경계석의 하면 및 보도블록(2) 등에 접촉하는 후면의 모서리는 시야에 잘 보이지 않는 부분이므로 깨지는 등의 파손이 있더라도 미관에 별 영향을 주지 않으며 설사 깨졌다 하더라도 몰탈이나 모래 등에 의해 파손된 부분이 채워지게 되어 구조상 별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도로에 인접하는 경계석의 전면의 양 끝단 모서리의 경우에는 노출되어 있으므로 깨지는 등의 파손이 생긴 경우 미관상 조잡하며 인접하는 경계석을 결속시키는 몰탈 등이 파손된 부분에서 점진적으로 이탈되어 인접하는 경계석간의 결속력을 약화시켜 차량 등의 충격에 의해 경계석 전체가 흔들리어 경계석의 훼손이 심각해지는 등의 구조상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 에 절개면(10)을 형성시키면 충격 등에 강해져 상기와 같은 파손이나 이로 인한 구조적인 결함이 예방된다.
절개면(10)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3을 참조하면, 3개면이 만나는 상부 모서리를 경사지게 절개하여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절개면(10a), 상면에서 하면까지 또는 상면에서 중간까지 수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절개면(10b,c), 모서리의 상부는 경사지게 절개하고 하부는 수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역사다리꼴형 모양의 절개면(10d) 등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또한, 경계석의 전면과 상면이 만나는 모서리 역시 편평한 면으로 절개하고나 부드러운 곡선으로 면처리를 하는 것이 파손을 방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면(10)에는 반사수단(20)이 배열되어 야간에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경계석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반사수단(20)으로는 반사성 도료가 절개면(10)에 칠해질 수도 있고,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필름이 절개면(10)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빛을 난반사 시키는 난반사체가 부착될 수도 있다.
경계석의 양 끝단 모서리에 절개면(10)을 형성할 때 주의할 점은 상기 절개면(10)에 배열된 상기 반사수단(20)에 많은 양의 빛이 입사되고, 입사된 빛의 많은 양이 운전자의 시야로 반사되게 하여 운전자의 경계석 식별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 이다.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절개면(10)의 면적, 절개면(10)이 전면/상면/측면과 이루는 각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절개면(10)의 면적은 넓을수록 입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 유리하나 경계석의 강도, 안전성을 약화시키므로 일정한 제한이 있다.
도4는 절개면(10)이 각 면과 이루는 각이 빛의 입사와 반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절개면(10)이 삼각형인 것을 이용하였다. 절개면(10)이 각 면과 이루는 각은 절개면(10)에 많은 양의 빛이 입사되고, 입사되어 반사되는 빛은 입사방향을 역으로, 즉 운전자의 시야로 행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되는 사면체에 있어서 상면과 전면이 이루는 모서리의 길이를 L1,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모서리의 길이를 L2, 전면과 측면이 이루는 모서리 길이를 L3로 정의하며, 빛이 입사되고 반사되는 절개면을 A절개면(10A), 이에 인접한 절개면을 B절개면(10B)이라 정의한다.
도4b는 B절개면(10B)의 적정한 절개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B절개면(10B)은 A절개면(10A)에 입사되고 반사되는 빛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는데, 점선으로 표시된 B절개면(10B)은 입사되는 빛의 진로를 막고 실선으로 표시된 B절개면(10)은 빛의 진로를 막지 않는다.
즉, B절개면(10B)이 측면과 이루는 각이 클수록(즉, L1이 길수록) 입사되는 빛의 양이 많게 되어 유리하다. 그러나 절개각을 크게 하면 그만큼 절개되는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경계석의 강도, 안전성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B절개면(10B)이 측면과 이르는 각은 45∼80도 사이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일단에 형성된 B절개면(10)이 측면과 이루는 각이 크면 자동차가 경계석을 따라 이동할 때 타단에 형성된 A절개면(10)에 입사되는 빛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가 운행중에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도로상에서 회전하는 경우와 같이 자동차가 경계석의 전면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B절개면(10)에 많은 양의 빛이 입사되어 반사되므로 운전자의 경계석 식별력을 한층 높이게 된다.
도4c는 A절개면(10)이 상면과 이루는 적정한 절개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빛이 조사되는 A절개면(10A)과 상면이 이루는 각은 차량의 높이(즉, 입사되는 빛의 높이)와 관련된다.
차량이 높으면 실선으로 표시된 A절개면(10A)과 같이 A절개면(10A)이 상면과 이루는 각은 작아야(즉, L3이 짧아야) 유리하고, 차량이 낮으면 점선으로 표시된 A절개면(10A)과 같이 각이 커야(즉, L3이 길어야) 유리하게 된다.
그런데 식별이 필요한 경계석은 차량의 전방 20∼30m, 많게는 50m이상 떨어진 경계석이고, 이와 같이 차량과 식별이 필요한 경계석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입사되는 빛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게 되므로(즉, 차량과 절개면을 잇는 가상의 직선이 지면과 이루는 각이 작아지므로) 점선으로 표시된 A절개면(10A)과 같이 상면 과 이루는 각은 큰 것(즉, L3이 긴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식별이 필요한 경계석의 거리를 고려할 때, A절개면(10A)이 상면과 이루는 바람직한 각은 55∼85도이다.
도4d,e는 A절개면(10A)이 전면 또는 측면과 이루는 적정한 절개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빛이 조사되는 A절개면(10A)이 전면 및 측면과 이루는 각은 차량과 경계석의 수평방향으로의 이격거리(즉, 절개면과 차량을 잇는 가상의 직선이 경계석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수평각)와 관련된다.
차량이 경계석과의 이격거리가 크면 도4d의 실선으로 표시된 A절개면(10A)과 같이 전면과 이루는 각은 작고(즉, L2가 짧고) 도4e의 점선으로 표시된 A절개면(10A)과 같이 측면과 이루는 각은 큰 것(즉, L1이 긴 것)이 유리하며,
이격거리가 작으면 도4d의 점선으로 표시된 A절개면(10A)과 같이 전면과 이루는 각은 크고(즉, L2가 길고) 도4e의 실선으로 표시된 A절개면(10A)과 같이 측면과 이루는 각은 작은 것(즉, L1이 짧은 것)이 유리하다.
이 또한 식별이 필요한 경계석은 먼 거리에 있으므로 A절개면(10A)이 전면과 이루는 각은 작고 측면과 이루는 각은 큰 것이 유리하다. 그 바람직한 각은 전면과는 55∼85도이고, 측면과는 5∼35도이다.
결론적으로, 식별이 많이 요구되는 경계석은 차량 전방으로 20m이상에 설치된 것이므로 도4f에서 보듯이 A절개면(10A)이 각 면과 이루는 각은 전면 및 상면에 대해서는 크고(즉, L2 및 L3이 길고) 측면에 대해서는 작은 것(즉, L1이 짧은 것) 이고, B절개면(10)은 측면과 이루는 각이 큰 것(즉, L1이 긴 것)이 바람직한 절개각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절개면(10)에 의해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모서리는 서로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계석을 도로변에 설치할 때 서로 인접하는 측면이 서로 일치하여야 몰탈 등에 의한 시공이음 작업이 편리해지고, 후에 시공이음된 몰탈 등이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이 설치된 도로로서 경계석의 절개면에 배열된 반사수단에 불빛이 입사되어 반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사수단(20)이 배열되는 절개면(10)이 경계석의 양 끝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야에 정면으로 들어오므로 차량의 헤드라이트에서 발산된 빛이 절개면(10)의 반사수단(20)에서 반사되어 운전자의 정면 시야를 향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A절개면과 B절개면의 절개각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B절개면이 A절개면에 입사되는 빛의 진행을 막지 않으므로 경계석의 식별력이 높고 근거리뿐만 아니라 원거리의 경계석까지 식별이 가능하다. 그리고 차량의 진행방향과 반대쪽 차선에 설치된 경계석은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는 거리까지 식별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경계석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도로에 인 접하는 전면부의 모서리에 절개면을 형성하여 충격 등의 외력에 강한 저항을 갖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절개면이 형성된 공간만큼 인접하는 경계석을 시공이음 하는 몰탈량이 줄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절개면에 반사수단을 배열하여 운전자가 경계석을 확실히 식별할 수 있으며, 반사수단이 배열되는 양 끝단의 절개면은 각 측면과 이루는 각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입사되는 빛이 막히지 않고 최대한 많은 양의 빛이 입사되며 반사되는 빛은 자연스럽게 운전자의 정면을 향하므로 운전자의 경계석 식별력이 한층 강화되었다.
그리고 경계석에 반사수단을 설치하기 위해 경계석에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작업이 필요치 않아 경계석의 제작단가 상승요인을 감소시키며, 경계석의 양 끝단 모서리에 절개면을 형성하므로 경계석의 전체적인 강도, 안전성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도로 경계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사각기둥형상을 갖고, 도로 경계에 인접하여 노출되는 전면의 양 끝단 모서리에 절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에 반사수단을 배열한 도로 경계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직접 조사되고,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후 있도록 경계석의 전면 상부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은 역사다리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절개면 중 일단에 형성되는 절개면이 측면과 이루는 각을 기준으로 하여,
    일단에 형성된 절개면이 전면 및 상면과 이루는 각 및 타단에 형성된 절개면이 측면과 이루는 각은 상기 기준 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7. 제 6 항에 있어서,
    일단에 형성되는 절개면이 측면과 이루는 각은 5∼35도 중 하나이고 타단에 형성되는 절개면이 측면과 이루는 각은 45∼80도 중 하나이되, 상기 절개면에 의해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모서리는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절개면에 도포된 반사성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절개면에 부착된 반사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절개면에 부착되어 빛을 난반사시키는 난반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절개면에 도포된 반사성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절개면에 부착된 반사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절개면에 부착되어 빛을 난반사시키는 난반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KR1020050089087A 2005-09-26 2005-09-26 도로 경계석 KR10070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087A KR100705705B1 (ko) 2005-09-26 2005-09-26 도로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087A KR100705705B1 (ko) 2005-09-26 2005-09-26 도로 경계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357U Division KR200393596Y1 (ko) 2005-04-27 2005-05-20 도로 경계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32A true KR20060113332A (ko) 2006-11-02
KR100705705B1 KR100705705B1 (ko) 2007-04-09

Family

ID=3765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087A KR100705705B1 (ko) 2005-09-26 2005-09-26 도로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0543A (zh) * 2018-06-14 2019-12-24 高德软件有限公司 一种建立三维路面和路口的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322B1 (ko) * 2018-02-27 2018-10-02 현창근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261U (ko) * 1994-09-06 1996-04-15 방사면이 구비된 도로경계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0543A (zh) * 2018-06-14 2019-12-24 高德软件有限公司 一种建立三维路面和路口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705B1 (ko) 200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2547C2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с жестким покрытием плитами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AU2011240122B2 (en) Kerbstone and stop for bus traffic
KR100705705B1 (ko) 도로 경계석
KR200393596Y1 (ko) 도로 경계석
KR100703957B1 (ko) 착시현상을 이용한 가상 과속방지턱
KR101787609B1 (ko) 차도경계블럭
KR20110116478A (ko) 신호등 없는 입체교차로의 구조
KR200410537Y1 (ko) 도로 경계블럭
KR101183030B1 (ko) 경계석 장착용 안전유도기구
CN212077507U (zh) 行人二次过街岛
KR100705390B1 (ko) 직육면체형 노면요철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1435157B1 (ko) 가상 과속방지턱 시공용 시트
KR100660127B1 (ko) 도로의 차선 식별력 향상공법 및 도로의 구조
KR20110085711A (ko) 도로주행 주의환기를 위한 요철
KR102633984B1 (ko) 반사시이트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경계석
KR20200101739A (ko) 도로 경계석
CN215441636U (zh) 一种公路桥梁护栏的伸缩装置
KR200406878Y1 (ko) 흡음 도로 경계석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102226382B1 (ko) 부지 절약형 다기능 논스톱 교차로
KR200227608Y1 (ko) 도로경계석
KR101213077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0497137B1 (ko)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RU2517665C2 (ru) Безопасная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