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322B1 -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322B1
KR101903322B1 KR1020180023955A KR20180023955A KR101903322B1 KR 101903322 B1 KR101903322 B1 KR 101903322B1 KR 1020180023955 A KR1020180023955 A KR 1020180023955A KR 20180023955 A KR20180023955 A KR 20180023955A KR 101903322 B1 KR101903322 B1 KR 10190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directional
boundary block
heat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근
Original Assignee
현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창근 filed Critical 현창근
Priority to KR102018002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는, 도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경계선을 형성하는 경계블록 및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구비되며, 차량 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상기 경계블록의 측면에 노출되고, 고반사율을 가지는 시인성 재료가 혼합된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Boundary Block Assembly Having Directional Awareness Part}
본 발명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여 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의 인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경계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야간 등 저조도 상황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운전자가 차선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차량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높은 반사율로 반사시키는 반사램프가 중앙선 등에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단순히 중앙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동일 진행 방향의 차선 구분 및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인지시키기 위한 시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 또는 연석이라 칭하는 경계블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에 일정 단차를 형성하여 경계선을 인지시키고,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야간과 같은 저조도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아 단순히 경계블록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야간과 같은 저조도 상황에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의 인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는, 도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경계선을 형성하는 경계블록 및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구비되며, 차량 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상기 경계블록의 측면에 노출되고, 고반사율을 가지는 시인성 재료가 혼합된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방향성 시인부가 충진되도록 함몰된 충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홈은, 상기 경계블록의 대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균폭부 및 상기 균폭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함몰되고,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감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조도 상황에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의 인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시공 난이도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가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경계블록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방향성 시인부를 충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가열블록을 이용하여 방향성 시인부 측에 가열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10)가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10)는 복수의 경계블록(100)이 도로의 연장 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차도(1)와 인도(2)의 경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100) 사이에는, 고반사율을 가지는 시인성 재료가 혼합된 방향성 시인부(20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블록(100)은 도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경계선을 형성하며,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일측에 형성된 충진홈(1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충진홈(120)은 상기 경계블록(100)이 인접한 다른 경계블록(100)과 대향하고 있는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바디(110)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는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형성된 충진홈(120)에 충진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진홈(120)은 상기 바디(110)의 측면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충진홈(120)에 충진된 방향성 시인부(200)는 차량 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상기 경계블록(100)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는 상기 충진홈(120) 내에 충진되는 삽입부(210)와, 상기 충진홈(120)에 충진되지 않은 상태로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100)의 소정 거리 이격된 경계 부분을 채우는 비삽입부(220)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경계블록(100) 설치 시에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경계블록(100)에 다소의 갭을 형성하도록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는 다소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빛에 대해 고반사율을 가지는 시인성 재료가 혼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는 실리콘 등의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를 베이스로 하여, 글라스비즈 등과 같은 고반사입자가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계블록 어셈블리(10)를 설치하는 과정은, 복수의 경계블록(100)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 후,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경계블록(100) 사이의 갭을 통해 용융된 방향성 시인부(200)의 원재료를 흘려 넣어 상기 충진홈(120)과 갭을 충진시킨 뒤, 이를 경화시켜 고형화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성 시인부(200)가 구비된 즉 본 발명은 저조도 상황에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의 인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가지는 방향성 시인부(200)를 통해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100) 사이에 완충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진홈(120)은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100)의 대향면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형태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충진홈(120)은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100)의 대향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충진홈(120)은 상기 경계블록의 대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균폭부(122, 도 2 참조)와, 상기 균폭부(122)의 내측에 연결되어 함몰되고,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감폭부(124, 도 2 참조)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충진홈(120)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화살표와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의 정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경계블록(100)의 충진홈(120) 상측에 상부로 노출되는 삽입홈(130)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의 내측에 발광유닛(250)이 더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유닛(250)은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라인(282)을 통해 발광하는 발광소자(280)와, 상기 전원라인(282)이 관통하는 중공(273)이 형성된 관 형태의 열차단부(270)와, 상기 열차단부(27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는 가열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260)는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여 시공 과정에서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를 신속하게 경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열차단부(270)는 상기 가열부(260)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280) 및 상기 전원라인(28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광소자(280) 및 상기 전원라인(282)과 상기 가열부(260) 사이에 위치하여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열차단부(270)는 상기 가열부(260)로부터 전원라인(282)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원라인(28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보호부(272)와, 상기 가열부(260)로부터 발광소자(280)를 보호하는 형태로 상기 제1보호부(272)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제2보호부(27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260)는, 상기 제1보호부(27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 전체에 열을 가하는 경화유도부(262)와, 상기 경화유도부(26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130)에 삽입된 형태로 상기 경계블록(100)의 상부로 노출되는 열전달부(264)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달부(26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130)의 모든 내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시공 시 별도의 가열블록(300)을 통해 상기 경화유도부(262) 측에 열을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블록(300)의 내측에는 상기 열전달부(264)가 삽입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가열홈(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블록(300)은 상기 가열홈(310)의 내면을 발열시켜 상기 열전달부(264)를 가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본 실시예는 시공 시 방향성 시인부(200)의 경화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발광소자(280)를 통해 외부의 빛이 없는 상태에서도 빛을 자체적으로 발생시켜 용이하게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발광유닛(250)이 구비된다는 점이 동일하며,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역시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열차단부(270)의 제2보호부(274) 측으로부터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의 측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된 동작감지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부(290)는 코어와, 상기 코어 둘레에 코팅된 열변화성 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열변화성 안료는 열에 의해 색깔이 변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재료로서, 상기 열차단부(270)의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열차단부(27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열변화성 안료는 시온안료 등 다양한 안료일 수 있으며, 상기 동작감지부(290)의 색 변화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열차단부(270)의 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열차단부(270)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상기 열차단부(27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열부(260)에 의한 가열 공정을 중단함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280) 및 전원라인(282)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발광유닛(250)이 구비된다는 점이 동일하며,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역시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열차단부(270)의 제2보호부(274) 측으로부터 상기 방향성 시인부(200)의 측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286)와, 상기 지지바(286)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발광소자(280)의 빛 조사 방향에 위치된 반사판(284)을 더 포함한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반사판(284)은 상기 발광소자(280)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28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진입 방향을 고려하여 운전자 측으로 빛을 반사하여 시인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반사판(284)은 상기 지지바(286)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반사판(284)의 주변 영역은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공 시 이와 같은 빈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반사판(284)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반사판(284)의 상측 부분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향성 지시부(200)의 원재료가 상기 반사판(284)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차도
2: 인도
10: 경계블록 어셈블리
100: 경계블록
110: 바디
120: 충진홈
130: 삽입홈
200: 방향성 시인부
250: 발광유닛
260: 가열부
270: 열차단부
280: 발광소자
282: 전원라인
284: 반사판
290: 동작감지부

Claims (3)

  1. 도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경계선을 형성하는 경계블록 및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구비되며 차량 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상기 경계블록의 측면에 노출되고 고반사율을 가지는 시인성 재료가 혼합된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로 인접한 경계블록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방향성 시인부가 충진되도록 함몰된 충진홈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블록의 충진홈 상측에 상기 충진홈과 연통된 형태로 상기 경계블록의 상부로 노출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향성 시인부의 내측에 내설되는 발광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방향성 시인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을 통해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전원라인이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관 형태의 열차단부와, 상기 열차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차단부는 상기 가열부로부터 상기 전원라인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원라인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보호부와, 상기 가열부로부터 상기 발광소자를 보호하는 형태로 상기 제1보호부에 단차를 형성하며 구비되는 제2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보호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향성 시인부 전체에 열을 가하는 경화유도부와, 상기 경화유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형태를 이루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에 충진되며 상기 열전달부 둘레를 덮어 감싸는 가열블록을 더 포함하는,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홈은,
    상기 경계블록의 대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균폭부; 및
    상기 균폭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함몰되고,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감폭부;
    를 포함하는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KR1020180023955A 2018-02-27 2018-02-27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KR10190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55A KR101903322B1 (ko) 2018-02-27 2018-02-27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55A KR101903322B1 (ko) 2018-02-27 2018-02-27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322B1 true KR101903322B1 (ko) 2018-10-02

Family

ID=6386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55A KR101903322B1 (ko) 2018-02-27 2018-02-27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3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05B1 (ko) * 2005-09-26 2007-04-09 최명철 도로 경계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05B1 (ko) * 2005-09-26 2007-04-09 최명철 도로 경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147B1 (ko)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9990028422A (ko) 넓은 범위의 수직 역반사 표시기
KR101903322B1 (ko) 방향성 시인부를 포함하는 경계블록 어셈블리
KR102315565B1 (ko)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KR102207944B1 (ko) 차량용 차선 지시등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8384B1 (ko) 도로 표지병
JP2005517836A (ja) 道路標示システム
KR101553557B1 (ko) 주행 차량 운전자 인식을 위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표시램프
KR101921750B1 (ko) 전면적 반사기능을 갖는 원형 도로표지병의 곡면 반사체
KR100890279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선 표시장치
RU2642746C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ая дорожная разметка (варианты)
KR102085729B1 (ko) 도로 표지병 및 도로 표지병 시공방법
KR102209138B1 (ko)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
KR20210095602A (ko) 야간 및 시야가 좋지 않은 날씨에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행유도선 진출로 표시장치
KR200488416Y1 (ko) 차선표지병
KR200313312Y1 (ko) 도로표지병
KR100656966B1 (ko) Led 패키지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니트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EP1706541B1 (en) A road marking device
KR102629724B1 (ko) 바닥형 보행신호등 장치
KR20230025075A (ko) 반사판 보호수단을 가지는 볼라드
KR101042010B1 (ko)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도로경계석
KR200331608Y1 (ko) 도로용 점자식 반사기구
KR101008948B1 (ko) 건널목 발광 표시장치
KR100747953B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