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172A -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172A
KR20060112172A KR1020050097389A KR20050097389A KR20060112172A KR 20060112172 A KR20060112172 A KR 20060112172A KR 1020050097389 A KR1020050097389 A KR 1020050097389A KR 20050097389 A KR20050097389 A KR 20050097389A KR 20060112172 A KR20060112172 A KR 20060112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ember
opening
portions
fitting suppor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651B1 (ko
Inventor
슈헤이 이다
Original Assignee
도플로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플로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플로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2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elastic outer part pressing against an inn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7Distinct end coup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방향으로부터의 액세스만으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고, 제거의 작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이음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 수단이 마련되며, 또한 간단히 벗겨지지 않도록 록킹 기구도 마련되고, 또한 콤팩트한 배관 구성을 얻기에 적합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구조로서, 끼움지지부(10, 10)의 상부에 한 쌍의 개폐 조작부(11, 11)를 설치하고, 이 개폐 조작부(11, 11)를 끼움지지부(10, 10)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그 끼움지지부(10, 10)가 개폐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개폐 조작부(11, 11)를 눌러잡는 조작은, 예컨대 한쪽 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작업이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 쉽게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제거할 수 있다. 끼움지지부(10, 10)의 상부측에서의 한쪽 손의 조작에 의해 끼움지지부(10, 10)가 열리므로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양쪽에 확보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Coupling member connecting clip and coupling member connecting structure}
도 1은 수형 이음부재(제1 이음부재)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수형 이음부재의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a) 중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형 이음부재에 대응하는 암형 이음부재(제2 이음부재)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암형 이음부재의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a) 중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형 이음부재와 도 2의 암형 이음부재를 접속한 상태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접속된 수형 이음부재와 암형 이음부재의 외관도, (b)는 (a) 중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그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과 이에 장착된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사용 상태 및 도 5에 도시한 열 림 조작 금지 수단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그 클립의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조인 접속 클립과 이에 장착된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사용 상태 및 도 8에 도시한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그 클립의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사용 상태 및 도 11에 도시한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a)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이음부재 접속 클립
2, 3 금속 플레이트 부품
4 핀축
5 스프링
6, 7 절곡 돌출부
8 산형 절곡부
9 골형 절곡부
10 끼움지지부
11 개폐 조작부
12 제1 결합부
120 바
121, 122 개구부
13 제2 결합부
131 개구부
14 열림 조작 금지 수단
15, 16 걸어맞춤구멍
17 삽입 부품
170 플레이트부
171 고정 돌기
172 슬라이드 돌기
173 슬라이드 가이드판
174 슬라이더
175 장공
176 나사
177 스프링
18, 19 걸림돌기부
20 삽입 부품
200 판스프링재
201 절곡부
202 걸림홈부
21 판스프링재
210 상판부
211, 212 경사판부
213A 제1 굽힘부
213B 제2 굽힘부
213C 제3 굽힘부
214, 215 장착공
216 나사공
217 고정 나사
22 개폐 조작체
220 누름판부
221 손잡이판부
222 S자 형상부
23 개폐 조작체
230 누름판부
231 손잡이판부
232 S자 형상부
24 포켓
50 수형 이음부재
51 몸체
52 플랜지부
53 삽입부
54 O링 장착홈
55 O링
56 오목부 및 볼록부
56-A1, 56-A2, 56-A3, 56-A4, 56-A5 볼록부
56-B1, 56-B2 오목부
57 너트
58 수나사
60 암형 이음부재
61 몸체
62 플랜지부
63 삽입공
64 오목부 및 볼록부
64-A1, 64-A2, 64-A3, 64-A4, 64-A5 볼록부
64-B1, 64-B2 오목부
65 너트
66 수나사
본 발명은 두 개의 이음부재를 접속할 때에 사용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 그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이용한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3-28368호 공보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 특허 문헌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은 적당한 탄성을 가지는 하나의 판재를 C자 형상과 같이 절곡 성형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동 문헌의 단락 0010 참조), 접속관(5)과 피접속관(6)을 접속할 때에는 그 C자의 양단이 되는 하부의 양 스커트부(32, 34)를 좌우 양쪽에 열어 해당 접속부에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괄호 내의 부호는 상기 특허 문헌에서 사용되어 있는 부호이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 구조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 의하면, 하부측의 양 스커트부(34, 34)를 좌우 양쪽으로 열어 접속부에 장착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미 장착된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제거할 때의 클립 제거 액세스 방향이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양쪽이나 후방이며, 그것을 제거하려면 예컨대, 접속 클립(1)의 양쪽에서 양손을 집어넣어 양손으로 양 스커트부(34, 35)를 잡아서 열어야만 하므로, 한쪽 손으로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쉽게 제거하기 어렵다.
특히,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양쪽에 손을 집어넣을 만한 충분한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양손으로 양 스커트부(34, 34)를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양손을 이용해도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제거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구조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 있어서는 그 제거를 가능케 하기 위해 반드시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양쪽에 손을 집어넣을 만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장 내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관이 조밀하게 병렬로 나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부위에서, 상기 구조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사용하고자 하면, 이음부재 접속 클립(1) 양쪽에 손을 집어넣을 만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해야만 한다.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배치 구성이 번잡해진다. 또한, 그런 배치로 한다 해도 상기 종래 구조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서는 그 양쪽에 상기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수의 배관을 병렬로 조밀하게 배치할 수 없어서 콤팩트한 배관 구성을 채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구조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 의하면, 록킹 구조가 없어서 외부 사람 등에 의해 쉽게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이 제거되거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으로 접속한 이음부재가 회전해 버린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한 방향으로부터의 액세스만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제거 작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이음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록킹 구조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콤팩트한 배관 구성을 얻기에 적합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1 이음부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2 이음부재를 각각의 플랜지부끼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할 때에, 그 양 플랜지부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으로서,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상기 양 플랜지부를 그 외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가 닫혔을 때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끼움지지부를 닫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또한 그 끼움지지부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그 끼움지지부를 여는 한 쌍의 개폐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바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한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들어간 볼록부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그 양 개구공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상기 바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1 이음부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2 이음부재를 각각의 플랜지부끼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할 때, 그 양 플랜지부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으로서,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판스프링재를 절곡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양 플랜지부를 그 외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가 닫혔을 때에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장착공과, 및 상기 한 쌍의 장착공의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한 쌍의 개폐 조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1)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상기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은 상기 각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과, 상기 양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부품을 가지 며, 상기 삽입 부품은 플레이트부와, 그 플레이트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돌기와 그 슬라이드 돌기를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에 각각 삽입하여,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출몰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1)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상기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은 상기 각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세트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양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부품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품은 판 스프링재의 양단을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며, 이 양 절곡부의 각각에 상기 걸림돌기부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걸림홈부를 설치한 구조로서,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상기 절곡부의 휨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홈부가 상기 걸림돌기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2)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바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한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들어간 볼록부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그 양 개구부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상기 바가 들어가 끼워맞추어 짐으로써 상기 제1 또는 제2 이음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2)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측에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고정 록킹하기 위한 고정 나사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구조는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1 이음부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2 이음부재가 각각의 플랜지부끼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가지며,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상기 양 플랜지부를 그 외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가 닫혔을 때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끼움지지부를 닫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또한 그 끼움지지부의 위쪽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그 끼움지지부를 여는 한 쌍의 개폐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바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한쪽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들어간 볼록부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그 양 개구공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상기 바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구조는,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1 이음부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2 이음부재가 각각의 플랜지부끼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가지며,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판스프링재를 절곡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양 플랜지부를 그 외주면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가 닫혔을 때에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마련한 한 쌍의 장착공과, 상기 한 쌍의 장착공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개폐 조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3)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개폐 조작 금지 수단은 상기 각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과, 상기 양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부품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품은 플레이트부와, 그 플레이트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돌기와, 및 그 슬라이드 돌기를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방향 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에 각각 삽입하여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출몰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3)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은 상기 각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세트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양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부품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품은 판스프링재의 양단을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고 이 양 절곡부의 각각에 상기 걸림돌기부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걸림홈부를 설치한 구조로서,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상기 절곡부의 휨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홈부가 상기 걸림돌기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4)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바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한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이 들어간 볼록부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그 양 개구공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상기 바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4) 본 발명의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측에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고정 록킹하기 위해 고정 나사를 구비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수형 이음부재(제1 이음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의 수형(雄型) 이음부재(50)는 통 형상의 몸체(51)의 외주면에 플랜지부(52)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52)는 몸체(51)의 선단(일단)에서 약간 들어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52)보다 앞에 있는 몸체(51) 선단부는 도 2의 암형(雌型) 이음부재(60) 쪽에 삽입하는 삽입부(53)로서 형성되고 이 삽입부(53)의 외주면에는 O링 장착홈(54)과 이에 장착된 O링(5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52)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오목부 및 볼록부(56)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수형 이음부재에 대응하는 암형 이음부재(제2 이음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의 암형 이음부재(60)는 통 형상 몸체(61)의 외주면에 플랜지부(62)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도 2의 암형 이음부재(60)에 있어서, 플랜지부(62)는 수형 이음부재(50)의 플랜지부(52)와 동일한 직경으로 몸체(61)의 최선단(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61) 선단부 쪽의 안쪽 공간은 수형 이음부재(50)의 삽입부(53)가 삽입되는 삽입공(63)으로 되어 있다. 이 암형 이음부재(60)의 플랜지부(62) 외주면에도 수형 이음부재(50)의 오목부 및 볼록부(56)과 동일한 간격으로 마찬가지의 오목부 및 볼록부(64)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수형 이음부재(50)의 삽입부(53)를 암형 이음부재(60)의 삽입공(63)에 삽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는 각각의 플랜지부(52, 62)끼리 맞닿게 한 상태로 접속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형 이음부재(50)나 암형 이음부재(60)를 유량 제어 밸브 등 유체를 다루는 기기나 호스(배관)에 직접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기기에의 수형 이음부재(50)의 부착은 몸체(51)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58) 또는 플랜지 등 접속부를 기기 쪽 또는 호스(배관)의 접속부에 접속한다. 이 작업은 몸체(51)의 복부 외주면에 일체로 마련한 너트(57)를 잡아서 행해진다. 또한, 기기에의 암형 이음부재(60)의 부착은 몸체(61)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부(66)를 기기 쪽의 이음부재 접속부에 체결시킨다. 이 작업은 몸체(61)의 복부 외주면에 일체로 마련한 너트(65)를 잡아서 행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설명도, 도 5는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그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설명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사용 상태 및 도 5에 도시한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은, 도 3에서와 같이 접속된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에 있어서 그 양 플랜지부(52, 62)끼리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의 빠짐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도 6참조).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은 두 개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과, 핀축(4)과, 스프링(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은 핀축(4)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또한 그 핀축(4)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은 핀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 치되어 있다.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의 양쪽 가장자리에 핀축(4) 방향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돌출된 절곡 돌출부(6, 7)를 마련함과 아울러, 한 쪽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2)의 절곡 돌출부(6)과 다른 금속 플레이트 부품(3)의 절곡 돌출부(7)를 중첩시키고, 이 중첩부에 상기 핀축(4)을 통과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각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에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중심선(S)에서 보아 골형(谷形) 절곡부(8)와 산형(山形) 절곡부(9)가 형성되어 있다. 골형 절곡부(8)는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의 절곡 돌출부(6, 7)의 하부에 마련되고, 산형 절곡부(9)는 골형 절곡부(8)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양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 전체 중, 그 각 산형 절곡부(9)의 양측 주변 부분이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 10)로서,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의 양 플랜지부(52, 62)를 그 외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부위가 된다. 또한, 상기 양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 전체 중 그 각 골형 절곡부(8)보다 위쪽 부분, 즉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중심선(S)을 기준으로 V자 형상으로 열려 있는 부분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한 쌍의 개폐 조작부(11, 11)로서, 끼움지지부(10)의 위쪽 양쪽에서 눌러잡도록 조작되는 부위가 된다.
상기와 같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 10)는 스프링(5)의 힘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즉, 스프링(5)은 핀축(4)에 장착되어 있고 이 스프링(5)의 일단(우측단)(5a)은 도면 중 우측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2)의 상부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압압하도록 구성되며 그 스프링(5)의 타단(좌측단)(5b)은 도면 중 좌측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3)의 상부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의 힘의 작용에 의해 우측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2)의 상부측, 즉 한쪽의 개폐 조작부(11)에는 핀축(4)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좌측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3)의 상부측, 즉 다른 쪽 개폐 조작부(11)에는 핀축(4)을 지점으로 한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있다. 이에 의해, 두 개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은 그 하부측이 대향 충돌하여 닫힌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 10)의 닫힘 상태다. 한편, 도 4, 도 5, 도 7,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끼움지지부(10, 10)가 조금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했다.
상기 스프링(5)의 바이어스력보다 큰 힘으로 한 쌍의 개폐 조작부(11, 11)를 눌러잡도록 조작하면, 우측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2)이 핀축(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좌측의 금속 플레이트 부품(3)이 핀축(4)을 지점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동안 스프링(5)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닫혔던 끼움지지부(10)가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에는 그 끼움지지부(10)가 닫혔을 때에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의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부위로서 제1 결합부(12)와 제2 결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및 제2 결합부(12, 13)는 양 이음부재(50, 60)의 플랜지부(52, 62) 외주를 따라 상하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결합부(12, 13) 중 아래쪽의 제1 결합부(12)는 바(12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121, 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양 이음부재(50, 60)의 플랜지부(52, 62) 외주면의 오목부 및 볼록부(56, 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56-A1)가 한쪽(아래쪽) 개구공(121)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들어간 볼록부(56-A1)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56-A2)가 다른 쪽(위쪽) 개구공(122)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또한 그 양 개구공(121, 122)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56-A1, 56-A2) 사이의 오목부(56-B1, 64-B1)에 상기 바(120)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양 이음부재(50, 60)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도 6의 (d-2) 참조). 한편, 위쪽의 제2 결합부(13)에 대해서는 하나의 개구공(131)으로 이루어지고, 이 개구공(131)에 다른 수 개의 볼록부(56-A3, 56-A4, 56-A5)가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6의 (d-1) 참조).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은 그 끼움지지부(10)를 여는 조작을 금지·잠그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14)을 구비하고 있다. 열림 조작 금지 수단(14)은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15, 16)과 삽입 부품(슬라이드 록킹 부품)(17)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15, 16)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각 개폐 조작부(11, 11)의 상단부, 즉 각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 각각의 상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하나씩 형성한 것이다. 삽입 부품(17)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양 개폐 조작부(11, 11)의 상단부간, 즉 양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 삽입 부품(17)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부품(17)은 금속제의 플레이트부(170)를 가지며, 플레이트부(170)의 일단부에는 고정 돌기(171)가 돌출 형성되고, 플레이트부(170)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드 돌기(172)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 돌기(171)는 플레이트부(170)의 일단부를 절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플레이트부(17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 돌기(172)는 플레이트부(170)의 타단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172)를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부(170)의 양쪽 가장자리에 슬라이드 가이드판(173, 173)을 설치하고, 이 양 슬라이드 가이드판(173, 173) 사이에 슬라이더(174)를 배치하고, 그 슬라이더(174)의 슬라이드 방향 선단부에 상기 슬라이드 돌기(172)를 일체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더(174)는 플레이트부(170)에 마련되어 있는 장공(175)에 삽입한 나사(176)에 의해 플레이트부(170)측에 지지되며, 나사(176)를 체결하면 슬라이더(174)가 플레이트부(170)측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더(174)는 슬라이딩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176)를 풀면, 슬라이더(174)와 플레이트부(170)의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슬라이더(174)는 장공(175)의 길이에 상당하는 스트로크로 슬라이드 가이드판(173, 17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슬라이더(174)는 스프링(177)에 의해 슬라이드 돌기(172)를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삽입 부품(슬라이드 록킹 부품)(17)을 사용하여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나사(176)를 풀어서 슬라이더(17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슬라이드 돌기(172)를 안에 들어가게 해 둔다(도 6의 (c) 참조). 이 상태에서 삽입 부품(17) 전체를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양 개폐 조작부(11)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고정 돌기(171)는 한쪽 걸어맞춤구멍(16) 내에 삽입하고, 또한 슬라이드 돌기(172)는 다른 쪽 걸어맞춤구멍(15)과 대향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스프링(177)의 힘으로 슬라이드 돌기(172)의 돌출시킨다. 이 돌출된 슬라이드 돌기(172)는 다른 쪽 걸어맞춤구멍(15) 안으로 들어가고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176)를 체결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더(174)가 슬라이드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드 돌기(172)의 출몰이 금지된다. 이렇게 하여 삽입 부품(17)의 세트 작업이 완료되면, 그 삽입 부품(17) 전체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개폐 조작부(11)를 잡는 조작의 장애물이 되어 그 조작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를 여는 조작이 금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사용례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사용하여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를 고정할 때의 작업 순서는, 우선 도 6의 (a)와 같이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를 접속해 둔다. 그리고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 지부(10, 10) 위쪽에서 한 쌍의 개폐 조작부(11, 11)를 서로 근접하도록 한쪽 손으로 눌러잡음으로써 끼움지지부(10, 10) 위쪽에서의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도 6의 (a)와 같이 끼움지지부(10, 10)가 열린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b)와 같이 열려 있는 끼움지지부(10, 10)를 양 이음부재(50, 60)의 플랜지부(52, 62)의 외주부에 씌우도록 세트하여 그 잡고 있는 손을 떼어 놓으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스프링(5)의 힘에 의해 끼움지지부(10, 10)가 닫히고, 플랜지부(52, 62)의 외주부가 끼움지지부(10, 10)의 결합부(12, 13)에 끼워맞추어진다. 이 끼워맞춤 형태는 도 6의 (c), (d-1), (d-2)와 같이 플랜지부(52, 62) 외주면의 볼록부(56-A1, 64-A1)가 개구공(121)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들어간 볼록부(56-A1, 64-A1)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56-A2, 64-A2)가 개구공(122)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또한 그 양 개구공(121, 122)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56-A1, 56-A2, 64-A1, 64-A2) 사이의 오목부(56-B1, 64-B1)에 바(120)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는 형태 및 개구공(131)에 수 개의 볼록부(56-A3, 56-A4, 56-A5, 64-A3, 64-A4, 64-A5)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는 형태이다. 또한, 그 끼워맞춤은 볼록부(56-A1, 64-A1, 56-A2, 64-A2)의 상하 방향으로 틈이 생기는 완만한 끼워맞춤 형태가 되어 있다. 이는 기기에의 수형 이음부재(50)나 암형 이음부재(60)의 부착 상태에 의해, 예컨대 수형 이음부재(50)의 볼록부(56-A1) 와 암형 이음부재(60)의 오목부(64-A1)가 일직선으로 나열된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이렇게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도, 양 볼록부(56-A1, 64-A1)가 하나의 개구공(121)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 의한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의 고정이 완료된다. 그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를 고정하고 있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제거할 때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 10)의 위쪽 양쪽으로부터 한 쌍의 개폐 조작체(11, 11)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한쪽 손으로 눌러잡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끼움지지부(10, 10) 위쪽에서의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끼움지지부(11, 11)가 열리고, 이에 따라 플랜지부(52, 62)로부터 결합부(12, 13)가 제거되어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를 고정하고 있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 10)를 여는 조작을 금지하고 싶은 경우는, 삽입 부품(17)을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개폐 조작부(11) 측에 세트하는 작업을 행한다. 이 세트 작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해진다.
<순서 1>
우선, 도 6의 (c)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172)를 안쪽으로 들어가게 하고, 이 상태에서 삽입 부품(17) 전체를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양 개폐 조작부(11, 11)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한다. 슬라이드 돌기(172)를 안쪽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나사(176)를 풀어서 슬라이더(174)를 슬라이딩시키면 된다. 삽입 부품(17)의 삽입시에 그 삽입 부품(17)의 고정 돌기(171)는 한쪽의 걸어맞춤구멍(16) 안에 삽입하며, 슬라이드 돌기(172)는 다른 쪽 걸어맞춤구멍(15)과 대향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도 6의 (d-1), (d-2)와 같이 스프링(177)의 힘으로 돌출된 슬라이드 돌기 (172)가 다른 쪽 걸어맞춤구멍(15) 내에 들어가도록 한다.
<순서 2>
다음에, 나사(176)를 체결하여 슬라이더(174)의 슬라이딩을 불가능하게 하고, 슬라이드 돌기(172)의 출몰을 금지한다. 이에 의해 고정 돌기(171)와 슬라이드 돌기(172)가 각각의 걸어맞춤구멍(15, 16)에 걸림으로써 삽입 부품(17)은 양 개폐 조작부(11)의 상단부 사이에서 빠지지 않게 되며 또한 이 삽입 부품(17)에 의해 양 개폐 조작부(11)를 눌러잡는 조작을 못하게 되고, 그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 10)를 여는 것이 금지된다. 이상으로 삽입 부품(17)의 세팅 작업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설명도, 도 8은 도 7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그 클립의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설명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사용 상태 및 도 8에 도시한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달아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7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과 다른 별도 구조의 열림 조작 금지 수단(14)을 가진다.
즉, 도 7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이 구비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14)은 한 세트의 걸림돌기부(18, 19)와, 도 5의 것과는 별도 구조의 삽입 부품(원터치 록킹 부품)(20)에 의해 구성된다. 한 세트의 걸림돌기부(18, 19)는 도 5의 한 세트의 걸 림돌기부(15, 16)와 마찬가지로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각 개폐 조작부(11)의 상단부, 즉 금속 플레이트 부품(2, 3) 각각의 상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하나씩 형성된 것이다. 삽입 부품(20)은 판스프링재(200)의 양단을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여 이 양 절곡부(201, 201) 각각에 걸림돌기부(18, 19)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걸림홈부(202, 202)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 부품(20)도 도 5에 나타낸 삽입 부품(17)과 마찬가지로 양 개폐 조작부(11)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구조의 삽입 부품(원터치 록킹 부품)(20)을 이용하여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는 도 9의 (b)와 같이 절곡부(201, 201)를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 부품(20)을 양 개폐 조작부(11, 11)의 상단부에 올리고, 이 상태에서 삽입 부품(20)의 상면을 위쪽에서 손가락으로 압압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9의 (c-1), (c-2)와 같이 절곡부(201, 201)의 휨 변형에 의해 걸림홈부(202, 202)가 걸림돌기부(18, 19)에 끼워맞추어진다. 이렇게 하여 삽입 부품(20)을 압압하기만 하면 되는 원터치의 세팅 작업이 완료되면, 삽입 부품(20) 전체가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개폐 조작부(11)를 눌러잡는 조작의 장애물이 되어 그 조작을 못하게 되기 때문에,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를 여는 조작이 금지되게 된다.
도 7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사용하여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를 고정할 때의 작업 순서는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과 마찬가지이므로(도 6의 (a), (b), (c) 참조), 그 상세한 설 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에 있어서 그 클립의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설명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사용 상태 및 도 11에 도시한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도 3과 같이 접속된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에 있어서 그 양 플랜지부(52, 62)끼리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의 빠짐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도 12 참조).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은 한 개의 판스프링재(21)를 절곡 형성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런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한 개의 판스프링재(21)의 중앙 부근 두 군데를 같은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상판부(210)와 하부측에서 좁아지도록 경사진 좌우의 경사판부(211, 212)를 형성하고, 이 경사판부(211, 212)보다 아래쪽의 세 군데를 더 절곡한 것으로 했다. 그리고 이들 세 군데의 굽힘부(213a, 213b, 213c) 중 클립(1) 상부에 가까운 제1 굽힘부(213a)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중심선(S)에서 보아 골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1 굽힘부(213a)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굽힘부(213b)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중심선(S)에서 보아 산형으로 절곡되며, 또한 제2 굽힘부(213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3 굽힘부(213c)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중심선(S)에서 보아 골형으로 절곡되고, 제3 굽힘부(213c)보다 앞 부분은 클립(1) 상부의 상판부(210) 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판부(210)에는 나사공(216)이 마련되고, 이 나사공(216)에는 고정 나사(217)가 하향으로 체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절곡된 한 개의 판스프링재(21) 중 제1 굽힘부(213a)로부터 제2 굽힘부(213b)를 거쳐 제3 굽힘부(213c)에 이르는 범위가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이고, 이 끼움지지부(10)는 판스프링재(2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판부(210)의 양쪽을 지점으로 좌우로 개폐될 수 있어,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의 양 플랜지부(52, 62)를 그 외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것이다.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에도 결합부(12, 1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런 결합부(12, 13)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달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 있어서, 그 끼움지지부(10)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상판부(210)에는 한 쌍의 장착공(214, 215)이 마련되어 있다. 한 쪽의 장착공(214)은 한 쪽의 경사판부(211)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다른 쪽 장착공(215)은 다른 쪽 경사판부(212)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은 한 쌍의 개폐 조작체(22, 23)를 구비한다(도 11 참조). 한쪽 개폐 조작체(22)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장착공(214)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누름판부(220)와 이 누름판부(220)의 상단으로부터 S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경사진 손잡이판부(221)를 구비한다. 다른 쪽 개폐 조작체도 마찬가지로 누름판부(230)와 손잡이판부(231)를 구비한 다.
상기 구조의 한 쌍의 개폐 조작체(22, 23)는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끼움지지부(10)를 열 때에 사용된다. 이런 끼움지지부(10)를 열 때에는 상판부(210)의 위쪽으로부터 각 개폐 조작체(22, 23)의 누름판부(220, 230)를 각각에 대응하는 장착공(214, 215)에 대략 직각으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개폐 조작체(22, 23)의 누름판부(220, 230)의 선단이 각각 대응하는 경사판부(211, 212)에 접촉하고, 또한 각 개폐 조작체(22, 23)의 손잡이판부(221, 231)가 바깥쪽을 향해 V자 형상으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끼움지지부(10)의 상부 양쪽으로부터 개폐 조작체(22)의 손잡이판부(221, 231)를 서로 접근시키도록 눌러잡으면, 개폐 조작체(22, 23)의 S자 형상부(222, 232)를 지점으로 하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각 개폐 조작체(22, 23)의 누름판부(220, 230)가 경사판부(211, 212)를 바깥쪽으로 눌러 벌려서 끼움지지부(10)가 열린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사용례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사용하여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를 고정할 때의 작업 순서는 도 12의 (a)와 같이 한 쌍의 개폐 조작체(22, 23)를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장착공(214, 215)에 삽입 세팅한다. 그리고 끼움지지부(10, 10)의 상부 양쪽으로부터 개폐 조작체(22, 23)를 서로 근접하도록 한쪽 손으로 눌러잡는다. 이에 의해 끼움지지부(10, 10) 위쪽으로부터의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도 12의 (a)와 같이 끼움지지부(10, 10)가 열린다. 이 상태에서 도 12의 (b)와 같이 열려 있는 끼움지지부(10, 10)를 양 이음부재(50, 60)의 플랜지부(52, 62) 외주부에 덮어씌우도록 세팅하고 그 잡고 있는 손을 떼어 놓으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판스프링재(21)의 스프링력에 의해 끼움지지부(10, 10)가 닫히고, 플랜지부(52, 62)의 외주부가 끼움지지부(10, 10)의 결합부(12, 13)에 끼워맞추어진다. 이 끼워맞추기 형태는 도 4에 이음부재 접속 클립(1)과 마찬가지다. 그와 같이 끼워맞춘 상태에서 상판부(210)의 고정 나사(217)를 체결하면, 그 고정 나사(217)의 선단이 플랜지부(52, 62)의 오목부(56-B2, 64-B2)의 바닥을 압압하고, 그 반작용으로 이음부재 접속 클립(1) 전체가 위쪽으로 끌어올려진다. 이에 의해, 제1 결합부(12)의 바(120)가 그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부(52, 62)의 볼록부(56-A2, 56-A2)에 강하게 접촉하며,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 의한 양 이음부재(50, 60)의 접속 고정력이 증대되어 양 이음부재(50, 60) 측에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이 고정 록킹됨과 아울러,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통해 양 이음부재(50, 6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 의한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의 고정이 완료된다. 고정이 완료된 후, 한 쌍의 개폐 조작체(22, 23)는 제거되어 소정의 장소에 보관된다.
상기와 같이 수형 이음부재(50)와 암형 이음부재(60)를 고정하고 있는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제거할 때는 그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개폐 조작체(22, 23)를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의 장착공(214, 215)에 삽입 세팅한다. 그리고 끼움지지부(10, 10)의 위쪽 양쪽으로부터 한 쌍의 개폐 조작체(22, 23)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한쪽 손으로 눌러잡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끼움지지부(10, 10)가 열리고 그에 따라 플랜지부(52, 62)로부터 결합부(12, 13)가 제거되어 도 10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1)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한 이음부재 접속 클립(1)에서는 상판부(210)에 한 쌍의 장착공(214, 215)을 형성하고, 이 장착공(214, 215)에 한 쌍의 개폐 조작체(22, 23)가 삽입 장착되는 구성을 채용했지만, 이 대신에 도 13에 도시된 이음부재 접속 클립(1)과 같이 그 경사판부(211, 212)에 상하로 개구되어 있는 포켓(24, 24)을 일체로 마련하고(도 14 참조), 이 포켓(24, 24)에 개폐 조작체(22, 23)를 삽입 장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포켓(24, 24)의 안쪽 부분이 각 개폐 조작체(22, 23)의 장착공으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포켓(24, 24)에 삽입 장착되는 개폐 조작체(22, 23)는 도 13과 같이 절곡이 없는 평평한 판 구조로 한다. 이런 구조의 채용에 의해 절곡 가공 비용의 삭감을 통해 클립 전체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구조로서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한 쌍의 개폐 조작부를 설치하고, 이 개폐 조작부를 끼움지지부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그 끼움지지부를 여는 구성 또는,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한 쌍의 장착공을 설치하여 이 장착공에 착탈 가능하게 한 쌍의 개폐 조작체가 삽입 장착되어 그 삽입 장착된 한 쌍의 개폐 조작체를 끼움지지부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그 끼움지지부를 여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끼움지지부 위쪽에서 한 쌍의 개폐 조작체를 눌러잡는 한 방향의 액세스만으로 쉽게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한쪽 손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제거할 때, 끼움지지부의 상부측에서의 한쪽 손의 조작에 의해 끼움지지부가 열리므로, 종래 구조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과 같이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양쪽에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이런 공간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횡방향으로 일렬로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이음부재 접속 클립의 배치 구성이 간소화되어 콤팩트한 배관 구성을 얻기에 적합하다.

Claims (14)

  1.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1 이음부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2 이음부재를 각각의 플랜지부끼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할 때, 그 양 플랜지부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으로서,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상기 양 플랜지부를 그 외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가 닫혔을 때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끼움지지부를 닫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또한 그 끼움지지부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그 끼움지지부를 여는 한 쌍의 개폐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바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한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들어간 볼록부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그 양 개구공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상기 바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 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
  2.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1 이음부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2 이음부재를 각각의 플랜지부끼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할 때, 그 양 플랜지부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으로서,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판스프링재를 절곡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양 플랜지부를 그 외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가 닫혔을 때에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장착공과,
    상기 한 쌍의 장착공의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한 쌍의 개폐 조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은,
    상기 각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과,
    상기 양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부품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품은,
    플레이트부와, 그 플레이트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돌기와, 그 슬라이드 돌기를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에 각각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출몰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은,
    상기 각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세트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양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 부품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품은,
    판 스프링재의 양단을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여, 이 양 절곡부의 각각에 상기 걸림돌기부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걸림홈부를 마련한 구조로서,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상기 절곡부의 휨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홈부가 상기 걸림돌기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바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한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들어간 볼록부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그 양 개구부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상기 바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 1 또는 제2 이음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측에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고정 록킹하기 위한 고정 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
  8.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1 이음부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2 이음부재가 각각의 플랜지부끼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가지며,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상기 양 플랜지부를 그 외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가 닫혔을 때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끼움지지부를 닫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또한 그 끼움지지부의 위쪽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그 끼움지지부를 여는 한 쌍의 개폐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바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한쪽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들어간 볼록부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그 양 개구공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상기 바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 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
  9.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1 이음부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제2 이음부재가 각각의 플랜지부끼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를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가지며,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판스프링재를 절곡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양 플랜지부를 그 외주면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닫히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가 닫혔을 때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에 설치한 한 쌍의 장착공과,
    상기 한 쌍의 장착공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지지부의 상부 양쪽에서 눌러잡는 조작에 의해 한 방향만의 액세스로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개폐 조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은,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하는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작 금지 수단은,
    상기 각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과,
    상기 양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부품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품은,
    플레이트부와, 그 플레이트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돌기와, 그 슬라이드 돌기를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한 세트의 걸어맞춤구멍에 각각 삽입하여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출몰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 조작 금지 수단은,
    상기 각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세트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양 개폐 조작부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부품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품은,
    판스프링재의 양단을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고 이 양 절곡부의 각각에 상기 걸림돌기부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걸림홈부를 설치한 구조로서, 상기 끼움지지부를 여는 작업을 금지할 때에는, 상기 절곡부의 휨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홈부가 상기 걸림돌기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바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두 개의 개구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한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이 들어간 볼록부의 위쪽의 인접하는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개구공에 들어가 끼워맞추어지며, 그 양 개구공에 들어간 상하 양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상기 바가 들어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측에 상기 이음부재 접속 클립을 고정 록킹하기 위한 고정 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재 접속 구조.
KR1020050097389A 2005-04-26 2005-10-17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 KR100702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8697A JP3721380B1 (ja) 2005-04-26 2005-04-26 継手接続クリップ、継手接続構造
JPJP-P-2005-00128697 2005-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172A true KR20060112172A (ko) 2006-10-31
KR100702651B1 KR100702651B1 (ko) 2007-04-02

Family

ID=3544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389A KR100702651B1 (ko) 2005-04-26 2005-10-17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257203A1 (ko)
EP (1) EP1717454B1 (ko)
JP (1) JP3721380B1 (ko)
KR (1) KR100702651B1 (ko)
CN (1) CN1854590A (ko)
AT (1) ATE418013T1 (ko)
DE (1) DE602005011764D1 (ko)
TW (1) TWI2777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329B1 (ko) * 2011-10-06 2013-07-26 (주)비엔텍아이엔씨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1445B2 (ja) * 2011-12-16 2015-02-18 株式会社タカギ 継手
JP5671489B2 (ja) * 2012-03-29 2015-02-18 株式会社タカギ 継手
DE202012102342U1 (de) 2012-06-26 2013-10-02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Rohrleitungen
CN105526425B (zh) * 2014-09-30 2017-12-15 丹阳市腾辉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简易导管卡箍
WO2017192269A1 (en) 2016-05-05 2017-11-09 Emd Millipore Corporation Filtration clamp with optional alignment collar and filtration system
CN111051752A (zh) * 2017-09-07 2020-04-21 东京流量仪器仪表株式会社 流量控制单元
JP7093265B2 (ja) * 2018-08-10 2022-06-29 Ykk株式会社 クリップ
DE102018008709A1 (de) * 2018-11-06 2020-05-07 Ferdinand Müller-Niksic Schnellsteckverschluss
CN110747724A (zh) * 2019-09-20 2020-02-04 广东工业大学 一种简易式沥青路面接缝处理器
CN111878650B (zh) * 2020-07-31 2021-12-14 山西富兴通重型环锻件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管道法兰对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721A (en) * 1985-09-13 1988-10-11 Interlock Structures International, Inc. Connecting apparatus
FR2628172B1 (fr) * 1988-03-04 1991-01-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orte-joint utilisable pour placer des joints a des raccordements de tuyaux a collier de serrage
US5048876A (en) * 1989-11-02 1991-09-17 Fluor Corporation Closure apparatus for pipes and vessels
JP2001355777A (ja) * 2000-06-12 2001-12-26 Togo Seisakusho Corp 配管用クランプ及びチェッカー
JP2003028368A (ja) 2001-07-16 2003-01-29 Ochiai:Kk 係止体
JP4165737B2 (ja) * 2002-08-09 2008-10-15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カバー付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329B1 (ko) * 2011-10-06 2013-07-26 (주)비엔텍아이엔씨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1380B1 (ja) 2005-11-30
EP1717454B1 (en) 2008-12-17
JP2006307904A (ja) 2006-11-09
US20060257203A1 (en) 2006-11-16
EP1717454A1 (en) 2006-11-02
KR100702651B1 (ko) 2007-04-02
TW200637991A (en) 2006-11-01
CN1854590A (zh) 2006-11-01
TWI277706B (en) 2007-04-01
ATE418013T1 (de) 2009-01-15
DE602005011764D1 (de)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651B1 (ko)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
US7448236B2 (en) Coupler latch lock and method of use
EP1481185B1 (en) Coupling device constitute two halves
CA2054278A1 (en) Suction air filter for combustion engines
RU92004511A (ru) Блокируемый стык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RU2004122589A (ru) Сгибаемая удл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а с шарниром,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ылесоса
US11746562B2 (en) Quick install method and apparatus for door locks
JP2003521638A (ja) 空間的に可動のチェーン部材を有するラインを案内する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CN102203486A (zh) 用于限制接近阀门的系统和方法
CN106170329B (zh) 能锁定/解锁过滤器主体的流体过滤组件
US20140034153A1 (en) Valve lockout device
US20110025042A1 (en) Removal Tool
RU2001131890A (ru) Корпус затвора
US9267613B2 (en) Valve lockout device
CN111937252A (zh) 具有锁定装置的电插塞连接器部件和电插塞连接系统
JP2013142278A (ja) マンホール蓋における開蓋操作具差込み孔の閉塞具
JPH07231533A (ja) 管接続具
US6003351A (en) Structure for a mortise lock
KR950006879A (ko) 신속히 해제가능한 탑 노즐 조립체
EP1065421A1 (en) Lockable operating unit for a valve
JP2002195486A (ja) 管接続用クリップの保護カバー
US5388309A (en) Hinge with rotary cup
ES2958096T3 (es) Acoplamiento de tubería con sistema tensor mejorado
WO2002075183A2 (en) Self-aligning faucet retainers
JP3828797B2 (ja) 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