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329B1 -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 Google Patents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329B1
KR101290329B1 KR1020110101817A KR20110101817A KR101290329B1 KR 101290329 B1 KR101290329 B1 KR 101290329B1 KR 1020110101817 A KR1020110101817 A KR 1020110101817A KR 20110101817 A KR20110101817 A KR 20110101817A KR 101290329 B1 KR101290329 B1 KR 10129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reep
tunnel
clip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423A (ko
Inventor
홍창수
박인복
이호석
강현욱
Original Assignee
(주)비엔텍아이엔씨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텍아이엔씨,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비엔텍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1010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3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4Air ducts
    • E21F1/06Duc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공사 중에 터널을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덕트를 연장 배관 설치하기 위한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환기통로(12a)를 구비한 덕트본체부(12) 및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형성토록 경질의 소재에 의해 링형(ring type)으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부(1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링형부재(14)를 포함하며, 터널(2) 공사시 터널(2)의 굴착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상호 환기통로(12a)가 연통되도록 연장 배관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덕트(10)(duct); 상기 덕트(10)와 덕트(10)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상호 연결부분(10a)에 탈착 가능토록 장착되는 크립(20)(cl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을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duct apparatus for tunnel's construction and one-touch type tool of clip for the same}
본 발명은 터널공사 중에 터널을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덕트를 연장 배관 설치하기 위한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공사시에는 폭약 등을 이용하여 암석 등을 파괴하는 발파작업, 굴착기 및 해머드릴 등을 이용하여 굴착작업 및 덤프트럭 등의 장비 이동 등으로 인해 공사 중인 터널 내부에는 상당한 양의 분진 및 각종 유해가스가 발생한다.
터널 내부에 발생된 상당한 양의 분진 및 각종 유해가스는 터널 내 가시거리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기 때문에 터널 내부 환기를 위해 터널 내부에 환기통로를 구비한 덕트를 배관한다.
그런데, 터널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터널의 굴착 길이가 연장되기 때문에 터널의 굴착 길이의 연장에 맞춰 덕트에 의한 환기통로가 연장될 수 있도록 덕트와 덕트를 연결해 나가는 것이 현실정이기 때문에, 덕트와 덕트를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방안 및 덕트와 턱트의 연결부분에서의 누풍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덕트와 덕트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덕트와 덕트의 연결부분(10a)에서의 누풍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환기통로(12a)를 구비한 덕트본체부(12) 및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형성토록 경질의 소재에 의해 링형(ring type)으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부(1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링형부재(14)를 포함하며, 터널(2) 공사시 터널(2)의 굴착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상호 환기통로(12a)가 연통되도록 연장 배관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덕트(10)(duct); 상기 덕트(10)와 덕트(10)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상호 연결부분(10a)에 탈착 가능토록 장착되는 크립(20)(cl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덕트(10)는 환기력에 의해 환기방향에 따른 앞쪽 덕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펴지면서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복개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본체부(12)로부터 연장 형성된 스커트(skirt)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16)는 상기 덕트본체부(12)의 환기통로(12a)와 동축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는 환기통로(12a)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분의 단면 크기가 양 가장자리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립(20)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 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집게크립(20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집게크립(20a)은 상기 링형부재(14)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링형부재(14)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둘레방향에 따른 횡단면이 아크(arc)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크의 둘레방향에 따른 탄성변형 전 상태의 개구부의 양단 사이 거리가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두 링형부재(14)의 직경의 합에 따른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집게크립(20a)은 상기 아크의 각도가 180도를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게크립(20a)에는 상기 집게크립(20a)을 지렛대 원리에 의해 벌릴 수 있도록 집게형 원터치 도구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게크립(20a)은 상기 집게크립(20a)을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원터치(one-touch) 도구(10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도구 결합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arc)형으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집게크립(20a)용으로, 상기 집게크립(20a)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집게크립(20a)을 벌릴 수 있도록, 상호 X자형으로 교차되며 상기 교차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하는 한 쌍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크립(20a)용 원터치 도구(100)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arc)형으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집게크립(20a)용으로, 상기 집게크립(20a)이 삽입되며 밀려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갖는 케이스(122) 및, 케이스(122)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22)에 삽입된 집게크립(20a)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밀대(124), 상기 밀대(124)에 의해 배출되는 집게크립(20a)의 내측에 끼워져 집게크립(20a)이 벌어지도록 안내하다가 끝단에서 상기 집게크립(20a)이 이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크립 가이드(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크립(20a)용 원터치 도구(100)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크립 가이드(126)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크립 가이드(126)는 상기 집게크립(20a)의 배출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크립(20a)은 상기 한 쌍의 크립 가이드(126) 사이로 배출되는 본체부(20b) 및, 본체부(20b)의 단부로부터 상기 크립 가이드(126)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크립 가이드(126)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크립 가이드(126)로부터 이탈되는 연장부(2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덕트와 덕트의 연결부분을 크립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누풍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숙련공도 용이하게 신속하게 덕트 연결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유속 없을 경우).
도 5는 도 2의 단면도(유속 있을 경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크립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도구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도구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의 평면 상태 도면.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적용된 크립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환기통로(12a)를 구비한 덕트본체부(12) 및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형성토록 경질의 소재에 의해 링형(ring type)으로 형성되어 덕트본체부(1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링형부재(14)를 포함하며, 터널(2) 공사시 터널(2)의 굴착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상호 환기통로(12a)가 연통되도록 연장 배관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덕트(10)(duct); 및, 덕트(10)와 덕트(10)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도록 덕트(10)와 덕트(10)의 상호 연결부분(10a)에 탈착 가능토록 장착되는 크립(clip)(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널(2)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터널(2)의 굴착 길이가 연장될 때마다 터널(2) 내부에 기 설치된 덕트(10)에 터널 공사 진행방향(화살표 A)을 따라 터널(2)의 내부를 향해 또 다른 덕트(10)를 추가하여 연결함으로써, 터널(2) 내부를 향해 복수의 덕트(10)에 의한 환기통로(12a)를 연장할 수 있다.
이때, 덕트본체부(12)를 이루는 연질의 소재는 토목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토목섬유를 비롯하여 비닐소재 등으로 덕트(10)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는 철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경질의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가볍고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덕트(10)를 접힌 상태로 운반,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배관 시공시 가벼워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은 링형부재(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덕트(10)와 덕트(10)가 상호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어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서의 누풍 방지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크립(20)에 의해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링형부재(14)는 덕트본체부(12)의 종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선 등과 같은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부(12)에 시접처리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다만, 링형부재(14)는 크립(20)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크기(예컨대 원형의 경우, 직경)가 덕트본체부(12)의 종단면 크기보다 큰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덕트(10)와 덕트(10)가 크립(20)에 의해 상호 일체로 접합될 수 있기 때문에,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이 보다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어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서의 누풍 방지가 매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크립(20)은 덕트본체부(12)를 뚫고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덕트본체부(12)의 외측에서 단지 링형부재(14)에 의한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 끼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덕트본체부(12)가 크립(20)에 의해 구멍 뚫려 누풍이 생기는 문제가 없다. 또한, 크립(20)이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복개하기 때문에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서의 누풍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크립(20)을 끼우는데 특별한 기술이나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으며, 특히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터치 도구(100)를 사용하여 누구나 손쉽고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비숙련공이더라도 우수한 수준의 작업성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크립(20)으로 인해 덕트본체부(12)가 손상될 염려가 없어 덕트(10) 사용후 유지보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덕트본체부(12)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누풍이 방지됨에 따라 환기팬 등의 환기설비 용량, 덕트(10) 크기 등이 줄어들 수 있고, 덕트(10) 및 크립(20)이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덕트(10) 연결작업이 간소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어 초기 공사비 및 운영비 감소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누풍방지효과가 우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덕트장치(4)는 고용량의 환기량이 요구되는 장대터널공사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교예로 철사를 이용하여 덕트(10)와 덕트(10)를 접합하는 경우, 철사가 실처럼 덕트본체부(12)를 뚫고 지나가면서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봉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철사로 인해 덕트본체부(12)에 구멍이 뚤려 이로 인해 누풍이 발생되며, 덕트(10)의 사용 후 유지보수가 반드시 필요하여 덕트(10)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또한, 한번 사용한 철사는 소성 변형되거나 끊어지기 쉬워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철사가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복개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누풍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철사에 의한 접합력은 크립(20)에 비해 약해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의 접합력이 약해 누풍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철사로 덕트(10)와 덕트(10)를 접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어 터널(2)의 공사기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숙련공과 비숙련공의 차이에 따라 철사를 접합하는데 따른 긴장력, 접합간격, 숙련정도 등에 따라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의 접합성 편차가 매우 크며, 이에 따라 누풍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덕트(10)는 환기력에 의해 환기방향에 따른 앞쪽 덕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펴지면서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복개할 수 있도록, 덕트본체부(12)로부터 연장 형성된 스커트(skirt)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통로(12a)를 통하는 환기력, 즉 유속(화살표 B)이 없는 경우는 아래로 쳐진 상태로 있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통로(12a)에 유속(화살표 B)이 있으면 유속(화살표 B)흐름을 따라 덕트본체부(12)의 내벽을 향해 펼쳐져서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복개할 수 있다. 따라서, 스커트부(16)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서의 누풍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커트부(16)는 덕트본체부(1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덕트본체부(12)와 별도로 제작된 후 덕트본체부(12)에 봉제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스커트부(16)는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의 전둘레를 복개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덕트본체부(12)의 환기통로(12a)와 동축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는 환기통로(12a)를 갖도록 덕트본체부(12)와 대응되는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커트부(16)는 환기통로(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분의 단면 크기가 양 가장자리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커트부(16)의 자유단(즉, 덕트본체부(12) 반대쪽 끝단)이 보다 용이하게 환깅통로에 형성된 유속(화살표 B)흐름에 의해 펼쳐져 덕트본체부(12)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크립(20)은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다만 탄성력에 의해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 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집게크립(20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집게크립(20a)을 벌려서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 끼움으로써 간단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집게크립(20a)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다만 다음과 같은 형상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집게크립(20a)은 링형부재(14)의 둘레방향을 따라 링형부재(14)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링형부재(14)가 원형인 경우, 집게크립(20a)은 링형부재(14)의 둘레방향을 따라 링형부재(14)의 곡률에 대응하는 아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집게크립(20a)은 도 7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링형부재(14)의 둘레방향에 따른 횡단면이 아크(arc)형으로 이루어지되, 도 7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아크의 둘레방향에 따른 탄성변형 전 상태의 개구부의 양단 사이 거리(L1)가 덕트(10)와 덕트(10)의 두 링형부재(14)의 직경의 합에 따른 길이(L2)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게크립(20a)이 용이하게 벌려져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 끼워질 수 있으며,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 끼워져서 압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집게크립(20a)은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 끼워져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아크를 일주하는 전둘레에 대한 아크의 각도가 180도를 초과하도록, 즉 1/2원을 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집게크립(20a)은 터널공사 중 터널(2) 내 습도 등을 고려하여 아연도금강판(SGC) 또는 스테인레스(ST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
집게크립(20a)은 집게크립(20a)이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집게크립(20a)을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원터치(one-touch) 도구(10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도구 결합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구 결합부(22)는 원터치 도구(100)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예컨대 원터치 도구(100)가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집게크립(20a)에는 원터치 도구(100)와 분리되지 않도록 원터치 도구(100)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원터치 도구(100)는 집게크립(20a)을 벌릴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도구(100)는 집게크립(20a)의 외측에 끼워져 집게크립(20a)을 벌릴 수 있도록, 상호 X자형으로 교차되며 교차부분이 힌지(112) 결합되어 힌지(112)를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하는 한 쌍의 레버(114)를 포함하는 집게형(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원터치 도구(100)는 가위처럼 지렛대 운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집게크립(20a)과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터치 도구(100)는 내구성을 고려하여 기계구조강(SM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도구(100)는 집게크립(20a)이 삽입되며 밀려 배출될 수 있는 통로(122a)를 갖는 케이스(122) 및, 케이스(122)에 설치되어 지렛대(123)에 의해 구동되어 케이스(122)에 삽입된 집게크립(20a)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밀대(124), 밀대(124)에 의해 배출되는 집게크립(20a)의 내측에 끼워져 집게크립(20a)이 벌어지도록 안내하다가 끝단에서 집게크립(20a)이 이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크립 가이드(126)를 포함하는 건(gun)형(120)으로 할 수 있다.
밀대(124)는 슬라이드식 스위치처럼 조작 가능토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토록 이루어질 수 있다.
크립 가이드(126)는 집게크립(20a)의 이탈이 가능토록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크립(20a)에 의해 오므려질 수 있는 'V'자형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크립 가이드(126)는 집게크립(20a)의 이탈이 가능토록 케이스(122)에 밀착되지 않고 소정 간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크립 가이드(126)는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집게크립(20a)을 균일하게 벌릴 수 있도록 집게크립(20a)의 배출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10을 더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집게크립(20a)은 한 쌍의 크립 가이드(126) 사이로 배출되는 본체부(20b) 및, 본체부(20b)의 단부로부터 크립 가이드(126)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크립 가이드(126)를 따라 이동하다가 크립 가이드(126)로부터 이탈되는 연장부(2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2; 터널 4;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10; 덕트 12; 덕트본체부
14; 링형부재 16; 스커트부
20; 크립 20a; 집게크립
22; 도구 결합부 100; 원터치 도구

Claims (12)

  1. 삭제
  2. 환기통로(12a)를 구비한 덕트본체부(12) 및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형성토록 링형(ring type)으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부(1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링형부재(14)를 포함하며, 터널(2) 공사시 터널(2)의 굴착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상호 환기통로(12a)가 연통되도록 연장 배관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덕트(10)(duct);
    상기 덕트(10)와 덕트(10)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상호 연결부분(10a)에 탈착 가능토록 장착되는 크립(20)(clip);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10)는 환기력에 의해 환기방향에 따른 앞쪽 덕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펴지면서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복개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본체부(12)로부터 연장 형성된 스커트(skirt)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16)는 상기 덕트본체부(12)의 환기통로(12a)와 동축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는 환기통로(12a)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분의 단면 크기가 양 가장자리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
  4. 환기통로(12a)를 구비한 덕트본체부(12) 및 덕트(10)의 연결부분(10a)을 형성토록 링형(ring type)으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부(1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링형부재(14)를 포함하며, 터널(2) 공사시 터널(2)의 굴착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상호 환기통로(12a)가 연통되도록 연장 배관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덕트(10)(duct);
    상기 덕트(10)와 덕트(10)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상호 연결부분(10a)에 탈착 가능토록 장착되는 크립(20)(clip);을 포함하고,
    상기 크립(20)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연결부분(10a)에 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집게크립(20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집게크립(20a)은 상기 링형부재(14)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링형부재(14)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둘레방향에 따른 횡단면이 아크(arc)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크의 둘레방향에 따른 탄성변형 전 상태의 개구부의 양단 사이 거리가 상기 덕트(10)와 덕트(10)의 두 링형부재(14)의 직경의 합에 따른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크립(20a)은 상기 아크의 각도가 180도를 초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집게크립(20a)에는 상기 집게크립(20a)을 지렛대 원리에 의해 벌릴 수 있도록 집게형 원터치 도구(100)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장치(4).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집게크립(20a)은 상기 집게크립(20a)을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원터치(one-touch) 도구(10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도구 결합부(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4).
  9. 삭제
  10. 아크(arc)형으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집게크립(20a)용으로,
    상기 집게크립(20a)이 삽입되며 밀려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갖는 케이스(122) 및, 케이스(122)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22)에 삽입된 집게크립(20a)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밀대(124), 상기 밀대(124)에 의해 배출되는 집게크립(20a)의 내측에 끼워져 집게크립(20a)이 벌어지도록 안내하다가 끝단에서 상기 집게크립(20a)이 이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크립 가이드(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크립(20a)용 원터치 도구(100).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크립 가이드(126)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크립(20a)용 원터치 도구(100).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크립 가이드(126)는 상기 집게크립(20a)의 배출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크립(20a)은 상기 한 쌍의 크립 가이드(126) 사이로 배출되는 본체부(20b) 및, 본체부(20b)의 단부로부터 상기 크립 가이드(126)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크립 가이드(126)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크립 가이드(126)로부터 이탈되는 연장부(2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크립(20a)용 원터치 도구(100).

KR1020110101817A 2011-10-06 2011-10-06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KR10129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17A KR101290329B1 (ko) 2011-10-06 2011-10-06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17A KR101290329B1 (ko) 2011-10-06 2011-10-06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23A KR20130037423A (ko) 2013-04-16
KR101290329B1 true KR101290329B1 (ko) 2013-07-26

Family

ID=4843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817A KR101290329B1 (ko) 2011-10-06 2011-10-06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833B1 (ko) * 2017-02-14 2019-05-03 (주)범창종합기술 공사중 풍관 접속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172A (ko) * 2005-04-26 2006-10-31 도플로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
KR20080101354A (ko) * 2007-05-17 2008-11-21 주식회사 에어화인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의 덕트
JP2009264034A (ja) * 2008-04-28 2009-11-12 Ryuki Engineering:Kk 送風ダク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172A (ko) * 2005-04-26 2006-10-31 도플로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이음부재 접속 클립, 이음부재 접속 구조
KR20080101354A (ko) * 2007-05-17 2008-11-21 주식회사 에어화인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의 덕트
JP2009264034A (ja) * 2008-04-28 2009-11-12 Ryuki Engineering:Kk 送風ダ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23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1394T3 (es) Mejoras en o relativas a acoplamientos de tubo para conectar un par de conductos para pasar un cable
CN104879599A (zh) 一种管道气动通球装置及通球试验方法
KR101290329B1 (ko) 터널공사용 연장형 환기덕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집게크립의 원터치 도구
EP3569914B1 (en) A flow stopping tool for pipelines
JP5662783B2 (ja) 管の接続構造
JP2010528239A (ja) 流体の流れを制御するために自動的に作動する小型の安全装置
JP6005862B2 (ja) 圧力管連結用継手管のワンタッチ3段締結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圧力管の施工方法
KR101552217B1 (ko) 배관 용접용 가스 퍼징 장치 및 방법
KR101792477B1 (ko) 다양한 직경 및 길이의 관로보수가 가능한 보수기
EP3569915B1 (en) A flow stopping tool for pipelines
JP5512381B2 (ja) 補修用被覆体及びこれを用いた既設管の補修方法
EP2812077B1 (en) Coupling device for a breathing apparatus
JP3611825B2 (ja) 管路遮断工法
KR20100134425A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CN215172675U (zh) 一种燃气法兰球阀受限空间省力开阀器
CN114135151B (zh) 一种建筑安全工程用防护装置
KR200280302Y1 (ko) 케이블 보호용 체인
JP2006328754A (ja) 坑口止水構造
KR20200137094A (ko)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JP3572294B2 (ja) バッグ導入ガイド管および管路遮断工法
KR20060115431A (ko) 관로 비굴착 복합 보강 공법
JPH0756400Y2 (ja) 可撓風管の接続装置
US20160265719A1 (en) Mesh for Screening a User from Direct Impact of a High Pressure Fluid by Diffusing the Fluid Stream
JP3184897U (ja) カプセル型防砂塵装置
AU2009101217A4 (en) Fluid Scre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