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829A -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829A
KR20060111829A KR1020050034212A KR20050034212A KR20060111829A KR 20060111829 A KR20060111829 A KR 20060111829A KR 1020050034212 A KR1020050034212 A KR 1020050034212A KR 20050034212 A KR20050034212 A KR 20050034212A KR 20060111829 A KR20060111829 A KR 2006011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secondary battery
lithium
electrode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805B1 (ko
Inventor
한원철
민재윤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80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두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 이들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수용하여 밀폐하는 케이스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두 전극 가운데 한 전극은 리튬 혹은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활물질 성분으로 티타늄 산화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세퍼레이터는 세라믹 물질을 필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티타늄 산화물을 함유하는 전극은 방전시 음극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티타늄 산화물로는 스피넬 구조의 티타늄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활물질로는 티타늄 산화물 외에 실리콘 산화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질량당 이용가능 리튬 량을 늘려 고용량 전지를 구현할 수 있고, 주기수명특성이 높은 리튬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Lithium rechargeable battery}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 전반적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가 두 전극 활물질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 횡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필러를 이루는 입자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캔 15: 비드
13a,13b: 절연판 20: 전극 조립체
25: 세퍼레이터 21,23: 전극
27,29: 전극 탭 30: 가스켓
40: 벤트 50:CID(current interrupt device)
60: PTC(positive thermal coefficient)
70: 캡업(Cap up) 80: 캡 어셈블리
211, 231: 활물질층 213,233: 집전체
251: 필러 255: 바인더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이차 전지 전극 조립체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이 크다. 근래에 캠코더, 휴대용 컴퓨터, 휴대 전화 등 휴대용 전자기기 수요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이들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에 개발되고 사용되는 것 가운데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이온 전지 및 리튬이온(Li-ion) 폴리머 전지가 있다.
이차 전지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리튬은 원소 자체의 원자량이 작아 단위 질량당 전기 용량이 큰 전지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재료이다. 한편, 리튬은 수분과 격렬하게 반응하므로 리튬계 전지에서는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물의 전기분해 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리튬계 전지에서는 3 내지 4 볼트(V) 정도의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대개 두 전극과 이들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를 적층 혹은 적층, 권취하여 비수성 전해질과 함께 케이스에 넣고, 전극을 탭을 통해 케이스 밖으로 인출하여 전기 단자를 형성하는 방식의 기본 구성을 가진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 사용되는 비수성 전해질은 크게 액체 전해질과 고체 전해질이 있다. 액체 전해질은 리튬염을 유기 용매에 해리시킨 것이다. 유기 용 매로는 대개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알킬기 함유 카보네이트나 유사한 유기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은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고체 자체가 리튬 이온과 같은 이온을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물질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계와 결정질 혹은 비정질의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계로 나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은 자체가 이온 도전성은 있으나 통상 도체가 아니므로 자체가 세퍼레이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세퍼레이터는 전지 내의 두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며, 전해액이 있는 상태에서 혹은 자체만으로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는 두 전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완전 고체 전해질이 세퍼레이터를 겸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두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세퍼레이터가 전해질에 대한 충분한 투과성, 젖음성(wettability)을 갖지 못할 경우, 세퍼레이터에 의한 두 전극 사이에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 제한은 마찬가지로 방전에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전지의 성능과 관련된 세퍼레이터의 특성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이온전도성(폴리머 세퍼레이터 등), 내열성, 열변형 저항성,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 등과 함께 세퍼레이터의 임의의 단면에서 빈 공간 부분의 면적을 의미하는 공극율, 전해액에 의한 젖음성 등이 주요 지표가 된다.
한편,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세퍼레이터는 자체가 전지의 과열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역할도 하게 된다. 세퍼레이터의 통상적 재료가 되 는 폴리올레핀 계통의 미다공성 막은 전지의 이상으로 인하여 일정 이상의 온도가 되면, 연화되고 부분적으로 용융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해액의 연결통로, 리튬 이온의 통로가 되는 미다공성 막의 미세 통공이 폐쇄된다(shut down). 리튬 이온의 이동은 중단되고, 전지의 내외부 전류의 흐름이 멈추어 전류에 의한 전지의 온도 상승도 멈추게 된다.
그러나, 전지의 온도가 어떤 이유로, 가령 외부 열전이 등의 이유로 갑자기 상승할 경우, 세퍼레이터의 미세 통공 폐쇄에도 불구하고, 전지의 온도 상승이 일정 시간 계속되어 세퍼레이터의 파손이 생길 수 있다. 즉, 세퍼레이터가 부분적으로 녹아 그 부분에서 전지의 두 극이 직접 닿아 내부 단락을 일으키는 경우 및 세퍼레이터가 수축되고, 그 위치에서 전지의 두 극이 맞닿아 단락될 수 있다. 이런 단락은 더욱 심각한 위험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전지의 고용량화 경향에 따라 이차 전지에서 단시간에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런 경우, 이차 전지에서 일단 이상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세퍼레이터의 미세 통공 폐쇄가 이루어져도 전류 차단에 의해 바로 전지의 온도가 낮아지기보다는 이미 발생된 열에 의해 세퍼레이터의 용융이 계속되어 세퍼레이터 파손에 의한 내부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세퍼레이터의 개공 폐쇄에 의한 전류 차단도 중요하지만 전지 과열시 세퍼레이터가 용융되거나 수축되는 문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된다. 즉, 전극 사이의 내부 단락을 가령 200도씨 이상의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요청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에서 고용량화 경향에 따라 전극 활물질 단위 부피 혹은 단위 질량 당 충방전시 이용 가능 리튬량을 높이고, 두 전극 사이의 방전 전위차를 증가시킬 수 있는 활물질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청되고 있으며, 주기 수명 특성을 높일 수 있는 전극 재료의 개발도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리튬 이차 전지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진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00도씨 이상의 고온에서도 변형, 훼손에 강한 세퍼레이터막을 가진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지용량을 높일 수 있고, 기존의 탄소계 음극에 비해 수명 주기 특성이 우수한 음극 활물질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두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 이들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수용하여 밀폐하는 케이스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두 전극 가운데 한 전극은 리튬 혹은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활물질 성분으로 티타늄 산화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세퍼레이터는 세라믹 물질을 필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티타늄 산화물을 함유하는 전극은 방전시 음극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티타늄 산화물로는 스피넬 구조의 티타늄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활물질로는 티타늄 산화물 외에 실리콘 산화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티타늄 산화물은 Ti5O12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 산화물은 SiO2를 사용할 수 있다. 가령, 이들을 포함하는 활물질로는 Li3Ti5O12, Li4Ti5O12, LiSi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런 예시는 성분 원소의 결합 비율이 다른 타 물질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방전시 양극으로 작용하는 전극의 활물질로는 리튬 대비 표준환원전위차 4볼트 이상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코발트산 리튬, 니켈산 리튬, 스피넬 구조의 망간산 리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퍼레이터는 실리콘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알루미나 등의 물질 입자를 전체 대비 질량 5% 정도의 바인더로 결합시킨 세라믹 세퍼레이터일 수 있다. 세라믹 세퍼레이터를 이루는 물질 입자로 이온 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무기계(non organic) 고체 전해질 입자가 단독으로 혹은 다른 비전도성 세라믹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라믹 세퍼레이터에서 세라믹 물질 입자는 분쇄에 의한 1차 입자를 부분 소결하고, 소결된 덩어리를 다시 분쇄하여 복수의 1차 입자들이 표면에서 서로 융접되어 이루어진 2차 입자들일 수 있다. 이 경우, 2차 입자들은 브리지 형태 로 일부분에서 소량의 바인더를 통해 서로 이어져 세퍼레이터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 전반적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가 두 전극 활물질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 횡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필러를 이루는 입자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 도1과 같은 이차 전지를 형성하기 위해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두 전극(21,23)을 먼저 형성한다.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집전체 무지부 영역에 전극 탭(27,29)이 결합된다. 두 전극(21,23) 사이에 단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세퍼레이터(25)를 개제시키면서 전극과 세퍼레이터의 층상구조를 권취기로 권취하면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20)가 이루어진다. 전극 조립체(20)는 용기형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캔(10)에 삽입되고, 개구부는 가스켓(30)을 개재시킨 상태로 캡 어셈블리(80)와 결합되어 밀폐된다. 전극조립체가 캔에 삽입되기 전에 하절연판(13b)과 먼저 결합되어 하절연판(13b)이 캔 저면에 설치되고, 전극조립체(20)가 삽입된 후에는 한 전극탭(29)을 캔(10)에 접속시키는 공정, 전해액을 주입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상절연판(13a)은 전극조립체(20) 위쪽에 설치되고, 개구부 마감 전에 전극탭 가운데 다른 하나(부호 27을 의미한다)는 캡 어셈블리(80)에 용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20) 형성 방법은, 집전체에 바인더용 수지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도포하여 두 전극(21,23)을 형성하는 단계, 전지 내에서 서로 대향하게 될 상기 두 전극의 전극면들 가운데 적어도 한 쪽에 세퍼레이터막(25)이 존재하도록 전극면에 세퍼레이터막을 형성하는 단계, 세퍼레이터막(25)이 형성된 상태에서 두 전극(21,23)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서로 대향하게 될 두 전극의 전극면들 가운데 적어도 한 쪽에 세퍼레이터막이 존재하도록 하려면, 가령, 두 전극을 적층하고,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젤리롤 형 전극 조립체에서는, 두 전극 각각의 바깥쪽 면에 세퍼레이터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혹은, 두 전극 각각의 내측면에 세퍼레이터막을 형성하거나, 두 전극 중 한 전극의 집전체(233) 양면에 형성된 내외측 활물질층(231)의 표면 모두에 세퍼레이터(25)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 전극의 양 전극면에 세퍼레이터막을 일체로 형성시키기 위해 이 전극을 이온전도성인 고체 전해질 입자가 포함된 세퍼레이터막액에 딥핑(deeping)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과 별도의 세퍼레이터(25)를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전극을 적층하여 권취함으로써 젤리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두 전극 사이에 단락이 이루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두 개의 세퍼레이터(25) 두 전극 사이에 개재되도록 적층된 상태에서 권취 공정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어느 경우에나 두 전극의 활물질층(211,231) 사이에 세라믹 세페레이터(25)가 개재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차 전지를 위한 전극의 형성은 재료 측면을 제외한 대부분의 과정이 통상의 전극 형성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집전체(213,233)로서 구리나 알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 포일이나 금속 메쉬의 적어도 한 면에 바인더와 활물질 분말을 포함하는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한다.
통상 방전시 음극을 이루는 전극에서 구리 집전체는 10 내지 15마이크로 미터 두께의 포일로 이루어진다. 그 양면에는 활물질 슬러리가 코팅된다. 이때, 활물질 슬러리는 흑연, 활성탄 등의 탄소계 물질과 달리, 티타튬 산화물과 실리콘 산화물 입자가 섞이고, 탄소와 같은 도전조제가 첨가된 상태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등의 바인더 및 용매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스피넬 구조의 티타늄 산화물도 리튬 이차 전지 내에서 음극 활물질로 사용될 때 저전위 방전 특성을 이용하여 적절한 활물질을 가진 양극과 작동 전압의 폭이 넓은 전지를 실현하여 전지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리튬에 대한 티타늄 산화물의 표준환원전위차는 0 내지 1 볼트, 실리콘 산화물의 표준환원전위차도 0 내지 1 볼트 수준이며, 티타늄 산화물과 실리콘 산화물의 구체적인 산소 비율, 두 물질의 혼합비율 등에 따라 방전시 전위값의 크기, 변화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티타늄 산화물과 실리콘 산화물의 형성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성 조건에 따라 단위 원자와 결합된 산소의 수가 달라지고, 표준환원전위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실리콘 산화물의 경우 리튬함유 실리콘 산화물의 화학조성, 특히 실리 콘 원자수에 대한 산소원자수의 비가 비수용성 전해질내에서의 리튬이온의 전기 화학적 흡수, 방출 성능, 즉 충전 및 방전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알려져 있다. 실리콘 산화물로서는 SiO2가 가장 통상적이며, 이는 수정결정, 비결정 실리카(유리) 등의 형태로 잘 알려져 있다. SiO2와 비교할 때 실리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산소수의 비가 작은 리튬 LixSiOy(x≥0, 2>y>0)의 경우에 비 수용성 전해질에서의 리튬이온의 전기화학적 흡수, 방출양, 즉 충전 및 방전특성이 현저히 커진다.
또한, 저산소수 실리콘 산화물은 금속리튬에 대한 상대 전위차가 작고, 상대 전위 1V 이하의 베이스영역에서의 충전 및 방전 용량이 크기 때문에 상기 금속 산화물, 금속 칼코겐화물과 같은 상대 전위 2V 이상으로 금속 리튬에 대한 전극 전위를 갖는 활성물질, 특히 V2O3, MnO2, LixCoO2, LixNiO2, LixMn2O4와 같이 3V-4V 이상의 전극 전위를 갖는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전지의 양극과 더불어 사용하는 경우, 고전압, 고에너지 밀도를 갖고 충전 및 방전특성이 양호한 2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실리콘 산화물이나 리튬함유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음극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음극과, LiaMbLcO2의 조성식(여기서 M은 전이 금속이고, L은 보론과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준 금속재료이며, a,b,c는 0<a<1.15, 0.85<b+c<1.3 및 0<c를 만족하는 범위에 있다)을 갖고 리튬함유의 층상구조를 갖는 복합 산화물로 된 양극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양극을 서로 조합해서 사용하면 고에너지 밀 도와 높은 충전 및 방전특성을 갖고 과잉 충전이나 과잉 방전에 의한 성능저하가 작으며, 라이프사이클이 긴 양호한 성능의 2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산소수 실리콘 산화물 SiOy로는 구체적으로 SiO1.5(Si2O3), SiO1.2(Si3O4), SiO 그리고 SiO0.5(Si2O)와 같은 산화물, y가 0보다 크고 2보다 작은 임의의 조성을 갖는 산화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iOy는 소정의 몰비로 SiO2와 Si를 혼합한 후 비산화 분위기 또는 진공상태에서 가열하는 방법, SiO2를 H2와 같은 환원가스중에서 가열하고 소정량으로 환원시키는 방법, SiO2를 소정량의 탄소 또는 금속등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소정량을 환원시키는 방법, Si를 산소가스 또는 산화물과 혼합하여 소정량까지 산화시키는 방법, SiH4와 같은 실리콘 화합물 가스와 O2 가스의 혼합가스를 가열반응 또는 플라스마 분해 반응시키는 CVD법, 또는 플라즈마 CVD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티타늄 산화물이나 실리콘 산화물 속에 리튬이온을 결합시키는 것은 전지 조립 후, 전지내에서 실시하거나 전지 제조공정중에 전지의 내,외부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이들 산화물 각각이나 그 혼합물, 전도제, 결합제중 하나가 소정 형태로 주조되어 하나의 전극(작동전극)으로 사용되고 금속리튬 또는 리튬함유금속이 또다른 전극(대향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2개의 전극은 리튬이온 도전 비수용성 전해질과 접촉하면서 전기화학적 셀을 형성하게 되며, 전류는 작동 전극이 양극으로 작용하도록 흐르게 된다. 전지 내에 서 반응을 일으켜서 리튬이온이 이들 산화물 속으로 들어가 전기화학적으로 결합된다. 만들어진 작동전극은 그 상태 그대로 다른 전지 속에서 음극으로 사용하든가 혹은 가공을 통해 비수용성 전해질의 2차 전지를 구성하기 위한 음극 활물질로 사용된다.
한편, 방전시 양극을 이루는 전극에서 알미늄 집전체는 통상 20 마이크로 미터 두께의 메쉬로 이루어진다. 그 표면에는 코발트산 리튬, 과망간산 리튬, 니켈산 리튬 등의 리튬을 함유하는 활물질 분말, 도전성 조제, 바인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활물질 슬러리 코팅이 이루어진다.
활물질 슬러리 형성을 위해 바인더를 녹이는 아세톤 같은 용매가 적당량 사용되고, 코팅이 이루어진 후에는 용매는 베이크 공정 등을 통해 제거된다.
활물질 슬러리 코팅 후에 전극판에는 롤러를 통해 압력이 가해지고, 고르게 도포된 활물질코팅의 두께는 대략 100 마이크로미터 정도가 된다. 롤러를 이용한 공정은 전극의 활물질층을 포함한 전체 표면에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막을 일체로 형성시킨 뒤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막은 전극과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지 않고, 적어도 한 전극의 활물질층이 덮인 표면에 세퍼레이터막액 혹은 세퍼레이터막의 전구체 액을 도포한 뒤 세퍼레이터막액에서 용제 성분을 제거하거나, 전구체를 큐어링하는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때, 세퍼레이터막 형성을 위해 먼저 바인더 물질, 용매, 필러 분말이 교반되고, 슬러리 혹은 액체 상태의 혼합물을 이룬다. 필러는 고체 전해질 입자와, 비 전해질 세라믹 물질의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한다. 고체 전해질로는 LiCl-Li2O-P2O5, LiTi2(PO4)3-AlPO4, Li3N단결정, LiI-Li2S-P2S5, LiI-Li2S-B2S3, LiI-Li2S-SiS4, P2O5-SiO2-Li2O, P2O5-TiO2-Li2O, P2O5-Al2O3-Li2O, Li2S-GeS2-P2S5, La0.55Li0.35TiO3 등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비전해질 즉, 이온비전도성 물질로는 알루미나(산화 알미늄), 실리카(산화 실리콘), 지르코니아(산화 지르코늄), 티타니아(산화 티타늄) 등의 세라믹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온비전도성 물질은 상대적 개념이며, 고체 전해질에 비해 낮지만 일정한 이온 도전성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필러는 입도가 작은 분말을 소결성형한 것만으로는 전극조립체 권취시 부스러짐이 심할 수 있으므로 고체 전해질 입자와 비전해질의 세라믹 물질 분말의 혼합 분말을 바인더와 질량비 95: 5 정도로 섞고, 적당량의 용매를 첨가하여 세퍼레이터막액을 형성한다.
혼합 분말은 고체 전해질 입자와 비전해질 세라믹 물질같은 일차 입자를 일단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입자 표면이 부분 용융되도록 소결한 뒤 이 것을 다시 거칠게 부수어 1차 입자들 적어도 3개가 포도상으로 뭉쳐진 2차 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1차 입자의 형태가 비늘 모양의 구조를 가질 경우, 2차 입자는 적층 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1차 입자 혹은 개별 입자는 0.01 내지 0.3um 이고, 층상의 입자군을 형성하는 비늘 모양의 개별 박편은 너비가 100nm 내지 1u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가 제거되고, 세퍼레이터가 형성된 상태에서 필러에 비해 바인더의 양이 작으므로 입자는 전체가 바인더로 코팅되기 보다는 2차 입자들이, 혹은 2차 입자와 1차 입자가 혼재된 속에서 바인더가 입자 사이에 브리지(bridge)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런 구성은 바인더 물질이 이온전도성이 낮고, 바인더 물질이 필러 입자를 전체적으로 덮는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 비해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즉, 바인더가 개개의 2차 입자 표면 전체를 감싸면서 2차 입자들을 결합시킬 경우에 있어, 바인더의 이온 전도도가 작을 경우, 2차 입자 내부를 통한 이온 전도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도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255)의 이온전도도에 관계없이 세퍼레이터(25)의 이온전도도를 높이기 위해서, 바인더(255)는 입자(251)의 표면 일부에만 존재하여 2차 입자들을 연결하는 다리(bridge)의 형태로 이차 입자들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바인더(255)는 세퍼레이터(25) 형성용 슬러리 내에 소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막에서 필러 물질 입자(251)와 바인더(255)의 비율은 질량 기준으로 98:2 내지 85:15라면 필러가 바인더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바인더가 필러 물질을 덮어 필러 물질, 특히, 고체 전해질을 통한 이온 전도가 제한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막을 전극면에 형성하는 방법으로, 전극면에 대해 전면 인쇄의 방법이나 스프레이 방법, 딥핑(deep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산화 지르코늄 분말과 이온전도성이 높은 황화물계 비정질인 LiI-Li2S-B2S3 을 절반씩 섞어 96w%,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재료를 주체로 한 아크릴 고무 4w%를 혼합하고, 점도가 3000cp가 되도록 용매로 희석하여 슬러리를 만든다. 전극 표면상에 인쇄 방법으로 슬러리를 코팅한다. 120도씨 분위기의 건조기에 전극을 통과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전극 면에 세퍼레이터막을 얻을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입자가 존재할 경우, 한 가지 입자의 소결 온도가 낮으면 2치 입자 내에서 소결 온도가 낮은 물질의 입자들이 마치 바인더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전체 소결 성형의 공정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세퍼레이터막에서 이차 입자들 사이의 공극, 2차 입자 내에서의 1차 입자들 사이의 공극에는 전해액이 채워지고, 전해액을 통해 리튬 이온은 두 전극 사이를 오갈 수 있다. 또한, 고체 전해질 자체를 통해서도 리튬 이온은 두 전극 사이를 오갈 수 있다. 이온들은 공극을 채우는 전해액과 필러 내의 고체 전해질을 통해 전지 전체의 이온전도도는 상승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액체 전해질이 전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세퍼레이터막 내에서 고체 전해질 입자가 맞닿는 부분으로 이온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런 이온전도 패스(path)는 매우 다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온 패스 중간에 바인더 물질이나, 비이온전도성 입자가 개재될 경우에도, 다른 패스를 통해 전지 내에서 이온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겔형과 같이 전해액이 세퍼레이터막 속이 다공에 조금이라도 함침된 상태를 이룰 경우, 이온전도의 패스가 보다 다양해질 수 있고, 전해액 내에서의 이온전도가 고체전해질을 통한 이온전도보다 높기 때문에 이온전도성이 훨씬 높아질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 세퍼레이터막은 공극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공극율 50% 이상을 얻기 위해서는, 바인더의 비율이 20%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인더 자체가 팽창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전해액에 의한 팽창 혹은 팽윤성이 낮은 것이 중요하다. 이들 조건을 만족시키는 바인더로서 다른 물질에 대한 결착력이 우수하고, 팽창율이 낮은 아크릴 고무계 바인더가 있다.
한편, 바인더의 양을 줄이기 위해 바인더를 고르게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이런 작업은 난이도가 높은 것이므로 종래에는 공공율이 높은 안정된 막을 얻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일부 소결한 고체 전해질 포함 세라믹 재료를 필러로 이용하고, 아크릴 고무계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바인더의 분산이 용이하여 소량의 바인더로 큰 공공율을 가진 막을 얻을 수 있다.
세퍼레이터막이 두 전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된 상태로 두 전극은 적층되어 권취된다. 전극 표면의 세퍼레이터막 자체가 전극과 일체로 형성되어 세퍼레이터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세퍼레이터막을 전극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단, 종래 세퍼레이터의 셧 다운 기능을 위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막 외에 별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막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막과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 절연막이 함께 이차 전지 내에서 세퍼레이터로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 절연막이 이온전도성을 종래의 세퍼레이터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올레핀 계 수지 절연막은 종래의 것에 비해 절반 두께로 얇게 형성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극 표면에 세퍼레이터막을 전극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세퍼레이터를 형성하는 방법은 전극과 별도의 세퍼레이터를 형성하는 통상의 방법에 비해 몇 가지 유리한 점을 가진다.
즉, 종래와 같이 세퍼레이터가 별도로 형성될 경우, 두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적층하거나 적층 후 와형으로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할 때 세퍼레이터의 정렬이 어긋나서 두 전극 사이에 단락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세퍼레이터가 전극 표면을 커버하도록 전극과 함께 형성되면 세퍼레이터를 전극 사이에 끼워 정렬할 필요가 없어지고, 정렬 불량에 따른 문제도 없어진다.
그리고, 세퍼레이터가 전극과 별도로 형성된 경우는 전지가 과열될 때 전지 내의 세퍼레이터가 수축 작용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전극 사이의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세퍼레이터가 일단 전극과 결착되어 형성되면 전지가 과열되어도 그 결착력에 의해 세퍼레이터가 열을 받아 수축되거나, 단락을 일으키는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별개의 세퍼레이터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전극에 결착된 세퍼레이터는 전지 생산 공정 중 세퍼레이터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입을 확율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퍼레이터막의 필러는 고체전해질이 비정질이건 결정질이건 일종의 세라믹 재료로 열에 강한 특성을 가진다고 할 때, 알루미나, 이산화 지르코늄, 실리카 등과 사용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되면서 국부적으로 300도씨 정도의 고온에도 수축 변형이나 용융 같은 전극간 단락을 유발하는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들 재료는 전체적으로 세퍼레이터막의 보존 유지성을 향상시키고, 일부 소결된 방상 구조는 공공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후 전극 조립체는 캔 형 용기 등에 삽입되고, 캡 어셈블리로 밀봉된다. 통상 전해액은 캡 어셈블리의 전해액 주입구로 주입되고, 주입 후 주입구는 밀봉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의 세퍼레이터막은 공공율이 높아 통상의 폴리올레핀계 재질의 세퍼레이터에 비해 전해액 주입 속도를 2배 이상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포도송이 모양(방상)의 2차 소결체 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소결체를 만드는 방법은,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녹이고 재결정화 시키는 등의 다양한 화학적인 방법, 외부 압력을 인가하는 등의 물리적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가운데 용이한 방법의 하나로는 입자 재질의 용융 온도 부근까지 가열을 통해 재질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넥킹(necking)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일부 용융 상태의 용융률은 이후 바인더, 용매 등과 함께 페이스트(paste)를 만들 때의 재료 교반 과정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 형상이 부수어지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며, 밀도가 낮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로 지르코늄 산화물을 이용할 때 본 발명의 방상의 입자군 혹은 2차 입자를 이루는 개별 입자는 0.01 내지 0.3um 이고, 층상의 입자군을 형성하는 비늘 모양의 개별 박편은 너비가 100nm 내지 1u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자 크기는 양호한 특성을 내는 재료를 형성한 뒤 주사전자 현미경(SEM) 사진을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퍼레이터층을 구성하는 세라믹 재료는 200도씨 온도에서 열팽 창율이 0.2% 이내, 400도씨 온도에서 열팽창율이 0.1 내지 0.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팽창율보다 높은 열팽창율을 가진 세라믹 재료는 전지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해 전지 자체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문제가 있다.
입자들이 일부 소결된 상태의 재료를 사용하면 덩어리진 입자들 서로가 불규칙하게 존재하여 결정에서와 같이 규칙적으로 공간을 채우기 어렵게 한다. 즉, 세퍼레이터를 이루는 공간상에 이들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진 충진재(Filler)가 밀도있게 채워지기 어렵게 한다. 또한, 수지의 비율을 낮추는 것에 의해 입자들 사이의 공간에 수지가 채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세퍼레이터의 공공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물질의 열전도도는 500도씨 이상 1000도씨 이하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10W/(m×K)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바인더는 주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며, 고분자 수지로는 200도씨 이상의 열에도 견딜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나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라믹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전지 이상으로 인한 고온 발생시에도 두 전극 사이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는 양극 활성물질로서 실리콘 및/또는 보론 층상구조 의 복합체 산화물 LiaMb LcO2와 음극 활물질로 티타늄 산화물, 티탄산 리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실리콘 산화물, 규산 리튬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경우, 약 4V의 고전압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에너지밀도가 더욱 높고, 음극 활물질이 기존의 탄소 재료에 비해 리튬 출입시 구조 변형, 부반응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충전 및 방전특성이 우수하고 과도한 충전 및 방전으로 인한 악화가 적으며 사이클 수명이 길다.

Claims (13)

  1. 두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해질을 수용하여 밀폐하는 케이스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두 전극 가운데 일 전극은 리튬 혹은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활물질 성분으로 티타늄 산화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퍼레이터는 세라믹 물질을 필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산화물을 함유하는 전극은 방전시 음극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산화물은 스피넬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산화물로 Ti5O12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 성분으로 실리콘 산화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물은 SiO2나 SiO2에 비해 실리콘 대비 산소수가 더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전극 가운데 타 전극의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산화물이 사용되며, 상기 금속으로는 코발트, 니켈, 망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전극 가운데 타 전극의 활물질로는 LiaMbLcO2의 조성식(여기서 M은 전이 금속이고, L은 보론과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준 금속재료이며, a,b,c는 0<a<1.15, 0.85<b+c<1.3 및 0<c의 조건을 만족한다)을 만족하는 물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실리콘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알미늄 산화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 입자를 필러(filler)로 전체 대비 질량 5% 정도의 바인더로 결합시킨 세라믹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무기계(non organic) 고체 전해질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1.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를 이루는 물질 입자는 1차 입자를 부분 소결하여 이루어진 2차 입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바인더는 상기 2차 입자들의 일부에 위치하면서 브리지 형태로 상기 2차 입자들 사이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2.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바인더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이들의 중합체, 공중합체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3.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두 전극 가운데 적어도 한 전극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050034212A 2005-04-25 2005-04-25 리튬 이차 전지 KR100686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12A KR100686805B1 (ko) 2005-04-25 2005-04-25 리튬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12A KR100686805B1 (ko) 2005-04-25 2005-04-25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829A true KR20060111829A (ko) 2006-10-30
KR100686805B1 KR100686805B1 (ko) 2007-02-26

Family

ID=3762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212A KR100686805B1 (ko) 2005-04-25 2005-04-25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16B1 (ko) * 2007-01-04 2010-07-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비수전해질 전지, 전지팩 및 자동차
KR101324729B1 (ko) * 2013-03-19 2013-11-05 주식회사 정관 리튬 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36637A1 (ko) * 2022-01-14 2023-07-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겔 폴리머 전해질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526A (ja) 1996-09-26 1998-04-24 G S Kasei Kogyo Kk 鉛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8725A (ja) 1999-06-08 2000-12-15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
JP2001093570A (ja) 1999-08-25 2001-04-06 Bi Patent Holding Sa 電気化学電池セパレータ
JP2001156229A (ja) 1999-11-25 2001-06-08 Twinbird Corp ヒートシ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4296580B2 (ja) * 2000-01-11 2009-07-15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非水電解質リチウム二次電池
CA2327370A1 (fr) 2000-12-05 2002-06-05 Hydro-Quebec Nouvelle methode de fabrication de li4ti5o12 pur a partir du compose ternaire tix-liy-carbone: effet du carbone sur la synthese et la conductivite de l'electrode
DE10238945B4 (de) * 2002-08-24 2013-01-03 Evonik Degussa Gmbh Elektrischer Separator mit Abschaltmechanismus,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Verwendung des Separators in Lithium-Batterien und Batterie mit dem Separator
US6604966B1 (en) * 2002-12-18 2003-08-1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Flexible cable electrical connector
KR20050016478A (ko) * 2004-11-30 2005-02-21 죠셉 비. 케자 이온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세라믹 세퍼레이터가 접착되어있는 리튬계 전기화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16B1 (ko) * 2007-01-04 2010-07-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비수전해질 전지, 전지팩 및 자동차
US9728809B2 (en) 2007-01-04 2017-08-08 Kabushiki Kaisha Toshiba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battery pack and vehicle
KR101324729B1 (ko) * 2013-03-19 2013-11-05 주식회사 정관 리튬 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36637A1 (ko) * 2022-01-14 2023-07-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겔 폴리머 전해질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805B1 (ko) 200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851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659820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
JP6332483B2 (ja) セパレータおよび電池
CN109792035B (zh) 电极及利用其的二次电池和电极的制备方法
KR101246827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그의 제조방법
CN101796668B (zh) 电池用隔膜及非水电解液电池
KR20160037870A (ko)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19151A1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20110083515A (ko)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질 전지
US10424772B2 (en) Separator,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KR20080103847A (ko) 전극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2273100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차 전지 안정화 방법
KR100824851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351700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7985498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050035074A (ko) 피.티.씨. 분말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686805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450337B1 (ko)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0833765B1 (ko) 리튬 이온 전지
KR20090088637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080095464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