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913A - 광각렌즈시스템과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광각렌즈시스템과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913A
KR20060107913A KR1020060029554A KR20060029554A KR20060107913A KR 20060107913 A KR20060107913 A KR 20060107913A KR 1020060029554 A KR1020060029554 A KR 1020060029554A KR 20060029554 A KR20060029554 A KR 20060029554A KR 20060107913 A KR20060107913 A KR 2006010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ember
wide
lens
lens system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060B1 (ko
Inventor
마사토시 히로세
마사시 이소노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0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각렌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체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광파워를 갖고서 물체쪽으로 볼록한 초승달 모양을 가지는 제1렌즈부재와, 양면이 오목한 모양을 가지는 제2렌즈부재와 양면이 오목한 모양을 가지는 제3렌즈부재 및, 음의 광파워를 갖고서 이미지쪽으로 볼록한 초승달 모양을 가지는 제4렌즈부재를 구비한다. 또는, 음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1렌즈부재와, 음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2렌즈부재, 양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3렌즈부재 및 양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4렌즈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광각렌즈시스템

Description

광각렌즈시스템과 촬상장치{WIDE-ANGLE LENS SYSTEM AND IMAGE-TA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하나인 수치실시예 1의 렌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하나인 수치실시예 2의 렌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서부터 도 3c까지는 수치실시예 1에서 관찰된 모든 수차(收差)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서부터 도 4c까지는 수치실시예 2에서 관찰된 모든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소형의 광각렌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 150도 정도의 화각을 제공하며, 비디오폰, 도어폰, 감시카메라, 자동차에 장착된 카메라등과 같은 디지털입력장치(디지털스틸카메라나 디지털비디오카메라와 같은)의 고체촬상소 자용으로 적합한 광각렌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시카메라, 자동차에 장착된 카메라 등에 이용되는 고체촬상소자용의 촬상광학계의 하나인 광학렌즈는 종래부터 많이 제안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전체 150도 정도의 촬상영역을 가진 광학렌즈는, 예컨대 8개 렌즈부재를 구비한 것도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 2004-102162호 참조)
그런데, 상기 특허 출원에 기재된 광학렌즈시스템은, 8개와 같이 아주 많은 수의 렌즈부재를 요구하며, 부재는 전체 길이가 아주 긴 길이를 가지는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다. 게다가, 모든 렌즈부재는 유리 렌즈부재에서, 비용이나 무게 측면에서 불만족스러웠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4개의 렌즈부재를 구비하고서, 고체촬상소자용 촬상광학계로서 적합하며, 만족스런 광학성능과 넓은 전체 화각을 제공하는 저렴하고 가벼우며 소형인 광각렌즈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광각렌즈시스템은 물체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광파워(POWER)를 갖고서 물체쪽으로 볼록한 초승달 모양의 제1렌즈부재와, 양면이 볼록한 제2렌즈부재, 양면이 볼록한 제3렌즈부재, 음의 광파워를 갖고서 이미지쪽으로 볼록한 초승달 모양의 제4렌즈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광각렌즈시스템은 물체쪽으로부터 음의 광파 워를 가지는 제1렌즈부재와 음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2렌즈부재와, 양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3렌즈부재 및, 양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 4 렌즈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촬상장치는 위에서 언급된 광각렌즈시스템 중 하나를 구비하고, 이 광각렌즈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고체촬상소자에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4개의 렌즈부재를 구비하고서 고체촬상소자용 촬상광학계로서 적합하며 만족스런 광학성능과 넓은 전체 화각을 제공하는 저렴하고 가벼우며 소형인 광각렌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비디오폰, 도어폰, 감시카메라, 자동차에 장착된 카메라 등과 같은 디지털입력장치(디지털스틸카메라나 디지털비디오카메라와 같은)에 사용되는 촬상광학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각렌즈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상기디지털입력장치의 광각화와, 고기능, 고비용, 경량화 및, 소형화를 모두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각렌즈시스템이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수치실시예 1과 수치실시예 2의 광각렌즈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보이는 광학 단면도이다.
수치실시예 1 및 2의 광각렌즈시스템은 모두 고체촬상소자(예컨대, CCD(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에 대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촬상용(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용)의 단집점(單潗点) 광각렌즈로서, 그 이미지 면 쪽에 있는, 광학 저 대역통과 필터 등에 상응하는 평행한 평판의 모양으로 된 유리필터(GF)가 배치된다.
게다가, 광각렌즈시스템은 광파워(광파워란 초점길이의 역수로 정의된 양)가 물체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광파워를 갖는 제1렌즈부재(L1)와, 음의 광파워를 갖는 제2렌즈부재(L2), 양의 광파워를 갖는 제3렌즈부재(L3), 구멍 조리개(ST), 양의 광파워를 갖는 제4렌즈부재(L4) 및, 유리 필터(GF)가 배열된 4개의 렌즈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1렌즈부재(L1)는 양쪽에 구모양의 표면을 가지는 유리렌즈부재이다. 제2와, 제3및 제4렌즈부재(L2,L3,L4)는 각각 적어도 한쪽 면에 구모양의 표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부재이다.
수치실시예 1 및 2의 광각렌즈시스템은 모두 물체쪽으로부터, 물체쪽으로 볼록한 음의 초승달 모양의 렌즈부재(L1)와, 양면이 볼록한 렌즈부재(L2), 양면이 볼록한 렌즈부재(L3), 이미지 표면 쪽으로 볼록한 양의 초승달 모양의 렌즈부재(L4) 및, 유리 필터(GF)를 구비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된 대로 구성됨으로써, 이들 실시예에 따른 광각렌즈시스템은 넓은 화각을 제공하면서 왜곡수차가 적절히 보정되며, 고체촬상소자에 대하여 적합한 광학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앞에서 설명된 대로, 제 1 및 제2렌즈부재(L1,L2)는 L1과 L2는 모두 이미지 면쪽에 볼록한 표면이 있는 음의 렌즈부재이며, 이를 렌즈부재(L1,L2)를 통해 날카로운 각도로 입사하는 축을 벗어난 광을 효과적으로, 뒤에 위치하는 정의 렌즈부재 인 제4렌즈부재(L4)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음의 렌즈부재(L1,L2)는 공동으로 효과적으로 여러 수차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음의 렌즈부재(L1,L2)가 보정하지 않고 남긴 수차는 양의 렌즈부재인 제3렌즈부재(L3)로 보정될 수 있는데, 이로써 고성능화를 달성할 수 있다.
가장 이미지쪽에 있고서 양의 렌즈부재인 제4렌즈부재(L4)는 사출동(射出瞳)위치를 보다 멀리 위치하게 한다. 이것은 고체촬상소자의 촬상면의 주변에 결상(結傷)하는 광속의 주광선 입사각(즉, 주광선과 광축 사이의 각도)이 작게 되도록 하고, 소위 텔레센트릭(telecentric)특성을 확보하면서 여러 수차를 보정함으로써 고성능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 텔레센트릭 특성을 확보한 결과, 촬상면 주변에서 실질적인 개구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셰이딩(shading))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및 제4렌즈부재 사이에 개구조리개(ST)를 배치함으로써, 개구조리개(ST)의 소형화와, 사출동위치를 보다 멀리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개구조리개(ST)가 위에서 언급한 것보다 물체쪽으로 더 위치한다면, 사출동위치가 더 멀리 위치한다. 이것은 고체촬상소자용 렌즈시스템에서는 유리하나, 개구조리개(ST)는 과도하게 크게 된다. 게다가, 개구조리개 (ST)가 과도하게 크게 됨으로써, 왜곡수차가 상당히 악화된다. 반면에, 개구조리개 ST가 위에서 언급한 것보다 이미지 쪽으로 더 위치되면, 사출동위치는 고체 촬상소자용 렌즈시스템에 불리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물체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렌즈 부재(L1), 음의 렌즈부재(L2), 양의 렌즈부재(L3), 개구조리개 ST, 양의 렌즈부재(L4)를 구비하는 광각렌즈시스템 은, 4개의 렌즈부재로 구성됨에도 불구하고, 고체촬상소자용의 촬상광학계에 적합한 광학적 성능과 약 150도 정도의 화각을 가지면서 저렴하고 가벼우며 소형인 광학렌즈가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의 광각렌즈시스템에 의해 더 이행되어야 하는 조건식, 즉 실시예와 같은 유형의 광각렌즈시스템에 의해 이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조건식이 설명된다. 그러나, 아래에 설명된 모든 조건식을 동시에 만족할 필요는 없다. 즉, 개별적인 조건식을 광학구성에 따라 각각 단독으로 만족시키면 상응하는 장점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물론, 광학성능과, 소형화, 압축, 조립 및 다른 관점에서, 가능한 많은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렌즈부재는 아래의 조건식(1)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2 < (r3 + r4)/(r3 - r4) < 0.9
여기서, r3은 제2렌즈부재의 물체쪽 근축곡률반경이고, r4는 제2렌즈부재의 이미지 면쪽 근축곡률반경을 나타낸다.
조건식(1)은 제2렌즈부재의 형상을 정의하는 것으로, 주로 사출동위치와 왜곡수차 사이의 적당한 균형을 맞추는 데에 관련되어 있다. 조건식(1)의 하한치를 넘으면, 사출동위치가 이미지쪽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게 되어 고체촬상소자용 렌즈시스템에는 바람직하나, 음의 왜곡수치가 증대되어 극도로 큰 술통 모양의 왜곡수치가 생기게 된다.
물체로, 조건식(1)의 상한치를 넘어가면, 왜곡수차의 발생이 줄어드는데, 사 출동위치가 이미지쪽에 너무 가깝게 되어서 고체촬상소자용 렌즈시스템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것들을 고려해볼 때 아래의 조건식(1a)을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3 < (r3 + r4)/(r3 - r4) < 0.8
광각렌즈시스템의 전체 화각은 아래의 조건식(2)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W > 140 °
여기서, 2W는 광각렌즈시스템의 전체 화각을 나타낸다.
위의 조건식(2)은 전체 화각과 관련된 것으로, 조건식(2)이 나타낸 범위를 벗어나면, 촬상범위가 너무 좁게 되어 광각렌즈시스템으로서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아래에 보여지는 조건식(2a)을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W > 150 °
제1렌즈부재는 아래의 조건식(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 < f/r1 < 0.12
여기서 f는 전체 광각렌즈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나타내고, r1은 제1렌즈부재 의 물체쪽 곡률반경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건식(3)은 제1렌즈부재의 물체쪽 형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주로 사출동위치와 왜곡수차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맞추는 데에 관련되어 있다. 조건식(3)의 하한치를 넘으면, 사출동위치가 이미지쪽으로부터 멀리 되어, 고체촬상소자용 렌즈시스템에서는 바람직하나, 음의 왜곡수차가 증가되어 극도로 큰 술통 모양의 왜곡수차가 생기게 된다.
반대로, 조건식(3)의 상한치를 넘어가면, 왜곡수차의 발생이 줄어드는데, 사출동위치가 이미지 쪽에 너무 가깝게 되어서 고체촬상소자용 렌즈시스템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것들을 고려해 볼 때, 아래의 조건식(3a)을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02 < f/ r1 < 0.1
제2렌즈부재는 아래의 조건식(4)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8 < f/ f2 < -0.2
여기서, f는 전체 광각렌즈시스템의 초점길이를 나타내고, f2는 제2렌즈부재의 초점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건식(4)은 제2렌즈부재의 광학파워를 한정하는 것으로, 주로 사출동위치와 왜곡수차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맞추는 데에 관련되어 있다. 조건식(4)의 하한치를 넘으면, 사출동위치가 이미지 쪽으로부터 멀리 있게 되어, 고체촬상 소자용 렌즈시스템에서는 바람직하나, 음의 왜곡수차가 증대되어 극도로 큰 술통모양의 왜곡수차가 생기게 된다.
반대로, 조건식(4)의 상한치를 넘어가면, 왜곡수차의 발생이 줄어드는데, 사출동위치가 이미지쪽에 너무 가깝게 되어서 고체촬상소자용 렌즈시스템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것들을 고려해 볼 때, 아래의 가정식(4a)을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0.7 < f/f2 < -0.3
가장 물체쪽 렌즈부재로 유리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온도변화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해 광학성능의 악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구형 렌즈 유리 렌즈를 사용하면, 비구형 유리렌즈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광학 시스템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제2와 제3 및 제4렌즈부재로 적어도 한쪽 면이 비구면인 플라스틱 렌즈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구면의 유리렌즈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렌즈부재의 수를 대폭 줄이게 된다. 게다가, 줄어든 전체 길이와 가벼운 무게를 가진 저렴한 광학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광각렌즈시스템은 입사광선을 굴절에 의해 편향시키는 굴절렌즈(즉, 다른 굴절율을 갖는 두 매질 사이의 계면에서 빛을 굴절시키는 유형의 렌즈 부재).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절에 의한 입사광선을 편향시키는 회절렌즈부재나, 회절과 굴절이 함께 조합되어 입사광선을 편향시키는 회절/굴절 복합 렌즈, 또는 매질내의 굴절율 분포에 의해 입사광선을 편향시키는 굴절율 분포형 렌즈부재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렌즈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하지만, 이런 렌즈부재는 복잡한 제조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각렌즈시스템에서는, 균질의 재질로 형성된 렌즈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광파워를 갖지 않는 표면(예컨대 반사면, 굴절면, 회절면 등)이 광경로에 배치됨으로써, 광각렌즈의 앞이나 뒤 또는 광경로가 구부러질 수 있다. 광경로가 구부러지는 곳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면 좋다. 광경로를 적절하게 구부림으로써, 광학렌즈시스템이 탑재된 디지털입력장치(디지털 카메라와 같은)를 분명히 박형 및 소형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각렌즈시스템의 마지막 표면과 고체촬상소자 사이에 위치된 유리필터(GF)는 광저대역통과 필터(LP), IR컷필터(IRC), 고체촬상소자(SR)의 쉴드유리 등에 상응하는 평행한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실제 사용되는 디지털 입력 장치에 맞는 다른 것들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결정축방향이 조정된 석영 등으로 만들어진 복굴절형의 저대역 필터나, 요구되는 광학적 차단 주파수 특성을 회절효과에 의해 실현하는 위상형 저대역 필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의 광각렌즈시스템은 만족스러운 광학성능을 제공하며, 저렴하고 가벼우며 소형이고, 넓은 화각을 제공하여서, 디지털입력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소형촬상장치에 사용되는 데에 적합하다.
예컨대, 도 5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촬상장치는 물체쪽으로부터 순서대로물체의 광학이미지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렌즈시스템(TL)과 광저대역통과필터(LP), IR컷필터(IRC), 촬상렌즈(TL)에 형성된 광학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고체촬상소자(SR)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화소가 있는 CCD나 CMOS(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형 이미지센서가 고체촬상소자로 사용된다.
광학렌즈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이미지는, 고체 촬상소자의 화소피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차단주파수특성을 갖춘 광저대역통과 필터를 통과하고, 광학이미지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될 때에 발생되는 소위 에일리어징 노이즈(aliasing noise)가 최소로 되도록 공간 주파수특성이 조정된다.
그러므로 피사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데에 사용되는 카메라(예를 들어, 디지털카메라, 비디오카메라, 감시카메라, 자동차에 장착된 카메라, 다음의 장치 중 하나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끼워진 카메라(디지털비디오유니트, 개인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비디오폰, 도어폰, 휴대용 데이터 단말기(PDA)) 또는 주변 장치들(마우스, 스캐너, 프린터, 다른 디지털 입출력 장치))와 같은)에 위에서 언급한 촬상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카메라 또는 기타 장치의 고성능화, 고기능화, 낮은 비용,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제, 위에서 설명된 제 1 및 제2실시예에 상응하는 수치실시예가 구성 데이터, 수차도 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아래에 보여진 수치실시예 1과 2의 렌즈 구성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및 제 2 실시예에 각각 대응한다.
표1과 표2는 구성데이터와 수치실시예 1과2의 다른 데이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수치실시예에서 ri(i=1,2.3...)는 물체쪽으로부터 계수된 i번째 표면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di(i=1,2.3...)는 물체쪽으로부터 계수된 i번째 축상간격을 나타내며, Ni(i=1,2,3...)와 vi(i=1,2,3...)는 물체쪽으로부터 계수된 i번째렌즈부재의 d선에 대한 굴절율 및 아베(Abbe)수를 각각 나타낸다. 게다가, f는 전체 광각렌즈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나타내며, ω는 렌즈의 반화각을 나타내고, FNO는 f수를 나타낸다.
구성 데이터에서, 문자 "D"는 해당수치의 지수부분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1.0D-02"는 "1.0 X 10-2"를 나타낸다.
각 수치실시예에서, 별표(*)로 표시된 곡률반경(ri)의 표면은 비구형 형상의 굴절광학면이나 비구형 표면과 등가인 굴절작용을 갖는 표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구형 표면의 표면 형상은 아래의 식(5)로 정의된다.
X(H)= C X H2/[1+(1-εX C2 X H2)0.5 +∑Ai X Hi
여기서, H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며, X(H)는 높이(H)에서 광학 축을 따르는 변위량(면의 정점 기준)을 나타내며, C는 근축곡률을,ε는 2차 곡면 변수를, Ai는 i차의 비구면 계수를, Hi는 H의 i승을 표시한다.
도 3a 내지 도 4c는 수치실시예 1과 2의 수차도이다. 이들 수차도에서, 도 3a와 도 4a는 구형 수차를 나타내고, 도 3a와 도 4b는 비점수차를 나타내며, 도 3C와 도 4C는 왜곡수차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구면 수차도에서, 실선(d)과, 일점쇄선(g) 및 이점쇄선(c)은 각각의 d-.g-.c-선에서 관찰되는 구면수차량(mm)을 각각 나타내며, 점선(sc)은 접현조건의 불만족량(mm)을 나타낸다.
각각의 비점수차도에서, 실선(ds)과 점선(dm)은 각각 화살모양의 면과 자오선면에서의 d-선에 대한 비점수차량(mm)을 나타낸다.
각각의 왜곡수차도에서, 실선은 d-선에서 관찰되는 왜곡(%)을 나타낸다.
또, 구면수차도에서 수직축은 광선의 FNO의 f수를 나타낸다. 비점수차도 및 왜곡수차도에서, 수직축은 최대 이미지 높이(Y;mm)를 나타낸다.
표3은 각각의 수치실시예에서 실제로 관찰되는 조건식(1),(2),(3),(4)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22883250-PAT00001
Figure 112006022883250-PAT00002
Figure 112006022883250-PAT00003
본 발명에 따르면 4개의 렌즈부재를 구비하고서 고체촬상소자용 촬상광학계로서 적합하며 만족스런 광학성능과 넓은 전체 화각을 제공하는 저렴하고 가벼우며 소형인 광각렌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비디오폰, 도어폰, 감시 카메라, 자동차에 장착된 카메라 등과 같은 디지털 입력장치(디지털스틸카메라나 디지털비디오카메라와 같은)에 사용되는 촬상광학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각렌즈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디지털입력장치의 광각화와, 고기능, 고비용, 경량화 및, 소형화를 모두 실현할 수 있다.

Claims (9)

  1. 물체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광파워를 갖고서 물체쪽으로 볼록한 초승달 모양을 가지는 제1렌즈부재와, 양면이 오목한 모양을 가지는 제2렌즈부재와, 양면이 오목한 모양을 가지는 제3렌즈부재 및, 음의 광파워를 갖고서 이미지쪽으로 볼록한 초승달 모양을 가지는 제4렌즈부재를 구비하는 광각렌즈시스템.
  2. 물체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1렌즈부재와 음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2렌즈부재, 양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3렌즈부재 및 양의 광파워를 가지는 제4렌즈부재를 구비하는 광각렌즈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부재는
    0.2 < (r3 + r4)/(r3 - r4)< 0.9 인 조건식을 만족하되, 여기서, r3은 제2렌즈부재의 물체쪽 근축 반경을 나타내고, r4는 제2렌즈부재의 이미지쪽 근축반경을 나타내는 광각렌즈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2W > 140 °인 조건식을 만족시키되, 여기서 2W는 광각렌즈시스템의 전체 화각을 나타내는 광각렌즈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재는
    0.01 < f/rl < 0.2 인 조건식을 만족하되, 여기서 f는 전체 광각렌즈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나타내고, rl은 제1렌즈부재의 물체쪽 곡률 지름반경을 나타내는 광각렌즈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부재는
    -0.8 < f/f2 < -0.2 인 조건식을 만족하되, 여기서 f는 전체 광각렌즈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나타내고, f2는 제2렌즈부재의 초점 길이를 나타내는 광각렌즈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 제4 렌즈부재사이에 위치된 개구조리개를 추가로 구비하는 광각렌즈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재가 유리 렌즈이며, 제 2렌즈부재 내지 제4렌즈부재는 각각 적어도 한쪽에 비구형 표면을 가지는 광각렌즈시스템.
  9. 상기 제 1항에 따른, 광각렌즈시스템을 구비하고, 이 광각렌즈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체촬상소자에 이미지를 형성하는 촬상장치.
KR1020060029554A 2005-04-11 2006-03-31 광각렌즈시스템과 촬상장치 KR100845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3196A JP4747645B2 (ja) 2005-04-11 2005-04-11 広角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JP-P-2005-00113196 2005-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13A true KR20060107913A (ko) 2006-10-16
KR100845060B1 KR100845060B1 (ko) 2008-07-09

Family

ID=3658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554A KR100845060B1 (ko) 2005-04-11 2006-03-31 광각렌즈시스템과 촬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75906B2 (ko)
EP (1) EP1712943A1 (ko)
JP (1) JP4747645B2 (ko)
KR (1) KR100845060B1 (ko)
CN (1) CN10049510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1121B2 (ja) * 2005-01-31 2011-11-2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広角レンズ系
JP4915077B2 (ja) * 2005-10-05 2012-04-11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光学系
JP4841929B2 (ja) * 2005-10-21 2011-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広角撮像レンズ
JP2007206516A (ja) * 2006-02-03 2007-08-16 Enplas Corp 撮像レンズ
CN101421659A (zh) * 2006-04-14 2009-04-29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摄像镜头以及摄像装置
JP4885776B2 (ja) 2007-03-27 2012-02-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用広角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006118B2 (ja) 2007-06-25 2012-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超広角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7852572B2 (en) * 2007-06-25 2010-12-14 Ricoh Co., Ltd. Compact super wide-angle imaging system
EP2214044A4 (en) * 2007-11-22 2011-02-23 Konica Minolta Opto Inc WIDE ANGLE OPTICAL SYSTEM, IMAGING LENS DEVICE, MONITOR CAMERA, AND DIGITAL APPARATUS
JP2009230041A (ja) * 2008-03-25 2009-10-08 Brother Ind Ltd 広角撮像レンズ
JP5102096B2 (ja) * 2008-04-25 2012-1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この撮像レンズを用いた撮像装置
JP5313566B2 (ja) * 2008-07-04 2013-10-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5247307B2 (ja) * 2008-08-27 2013-07-24 京セラ株式会社 広角レンズ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
WO2010024323A1 (ja) * 2008-08-29 2010-03-0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超広角レンズ及び撮像装置
CN101666902B (zh) * 2008-09-05 2012-12-05 中山联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小畸变、小体积、高照度、高分辨率的光学系统
KR100998003B1 (ko) 2008-09-23 2010-12-03 노명재 감시카메라용 초소형 초광각의 광학왜곡 개선 광학계
JP5270425B2 (ja) 2009-03-31 2013-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486408B2 (ja) 2009-07-29 2014-05-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20110049405A (ko) * 2009-11-05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영상촬영 방법
KR101108802B1 (ko) 2009-12-08 2012-0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계
JP4797115B2 (ja) * 2009-12-14 2011-10-19 智 堂 広角レンズ及び広角レンズを搭載するシステム
JP5405324B2 (ja) 2010-01-04 2014-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335710B2 (ja) 2010-01-29 2013-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1158868A (ja) 2010-02-04 2011-08-18 Fujifilm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438583B2 (ja) 2010-04-01 2014-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20120087554A (ko) * 2011-01-28 2012-08-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계
JP5699636B2 (ja) * 2011-01-31 2015-04-1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TWI456287B (zh) * 2012-02-15 2014-10-1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鏡頭系統
JP5893997B2 (ja) * 2012-04-24 2016-03-23 京セラ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03513398B (zh) * 2012-06-26 2016-01-20 深圳市比亚迪电子部品件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镜头
US9753253B2 (en) 2014-12-04 2017-09-05 Young Optics Inc. Optical lens system
CN104614844B (zh) * 2015-03-09 2017-12-01 河南小眼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广角摄影镜头
KR101754600B1 (ko) 2015-09-22 2017-07-06 (주)디지탈옵틱 소형 광각 렌즈
TWI644120B (zh) * 2017-01-19 2018-12-11 鏡元科技股份有限公司 太赫茲-吉赫茲魚眼鏡系統
CN107300748B (zh) * 2017-04-13 2020-01-10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CN108646389A (zh) * 2018-05-18 2018-10-12 宁波恒烨泰科光电技术有限公司 红外感应镜头
CN112731632A (zh) * 2021-01-20 2021-04-30 湖北华鑫光电有限公司 一种4p大视角大相对照度镜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9851B2 (ja) * 1990-08-04 1998-03-18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レトロフォーカス型広角レンズ
JPH04298709A (ja) 1991-03-05 1992-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線光学装置
US5317451A (en) * 1991-09-19 1994-05-3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Albada finder
US5973847A (en) * 1994-05-19 1999-10-26 Canon Kabushiki Kaisha Eyepiece lens
JP3444454B2 (ja) 1995-06-29 2003-09-08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広角レンズ
JP3610160B2 (ja) 1996-03-22 2005-01-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写真レンズ
JPH11214293A (ja) * 1998-01-22 1999-08-06 Nikon Corp 投影光学系及び該光学系を備えた露光装置並びにデバイス製造方法
US6757109B2 (en) * 1999-07-27 2004-06-29 Donnelly Corporation Plastic lens system for vehicle imaging system
JP3433734B2 (ja) * 2000-03-29 2003-08-04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装置
JP4016576B2 (ja) * 2000-07-14 2007-1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射用レンズ装置および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2002040325A (ja) * 2000-07-26 2002-02-06 Asahi Optical Co Ltd 広角レンズ系
JP4700821B2 (ja) * 2001-02-21 2011-06-15 マクセル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広角レンズ
JP3756114B2 (ja) 2001-12-25 2006-03-15 株式会社コダックデジタルプロダクトセンター レトロフォーカス型レンズ
US6762890B2 (en) 2002-02-13 2004-07-13 Fuji Photo Optical Co., Ltd. Single focus lens
US6844991B2 (en) * 2002-08-01 2005-01-18 Nikon Corporation Fisheye lens
JP4186560B2 (ja) 2002-09-12 2008-11-26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超広角レンズ
JP2005077706A (ja) 2003-08-29 2005-03-24 Sankyo Seiki Mfg Co Ltd レンズ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75906B2 (en) 2008-05-20
KR100845060B1 (ko) 2008-07-09
CN100495105C (zh) 2009-06-03
JP2006292988A (ja) 2006-10-26
US20060227434A1 (en) 2006-10-12
EP1712943A1 (en) 2006-10-18
JP4747645B2 (ja) 2011-08-17
CN1866068A (zh) 200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060B1 (ko) 광각렌즈시스템과 촬상장치
KR100509370B1 (ko) 촬영 렌즈
KR100933061B1 (ko) 촬상 광학 시스템
JP4561634B2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US6744570B1 (en) Taking lens system
US7099092B2 (en) Single focus wide-angle lens
US7304807B2 (en) Taking lens system
US7458737B2 (en) Taking lens system
JP4186560B2 (ja) 超広角レンズ
US7031079B2 (en) Taking lens system
JP2002055278A (ja) 撮像レンズ装置
JP2002082284A (ja) 撮像レンズ装置
JP2005024969A (ja) 撮像レンズ
EP1426805A1 (en) Imaging lens system
US7474479B2 (en) Image pickup lens system
JP4207020B2 (ja) 撮像レンズ
US7088528B2 (en) Single focus lens including a front stop
US7440195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JP4244958B2 (ja) 撮像レンズ
JP2006098429A (ja) 撮像レンズ
JP2005338234A (ja) 撮像レンズ
US7161132B2 (en) Lens system and image-ta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442184B2 (ja) 撮像レンズ
JP2005352317A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3611558B2 (ja) 撮像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