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374A - 적어도 1종의 아우론을 포함하는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어도 1종의 아우론을 포함하는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374A
KR20060107374A KR1020060031411A KR20060031411A KR20060107374A KR 20060107374 A KR20060107374 A KR 20060107374A KR 1020060031411 A KR1020060031411 A KR 1020060031411A KR 20060031411 A KR20060031411 A KR 20060031411A KR 20060107374 A KR20060107374 A KR 2006010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ron
benzofuran
group
dihydroxy
benzylid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리 페리에
사브리나 오꼼비
델핀 리바
아쎙 부멩드제
앤-마리 마리오떼
Original Assignee
엥겔하드 리옹 에스.에이.
유니베르시떼 조셉 푸리에 그르노블 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503409A external-priority patent/FR2884250B1/fr
Application filed by 엥겔하드 리옹 에스.에이., 유니베르시떼 조셉 푸리에 그르노블 1 filed Critical 엥겔하드 리옹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6010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3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3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32Oxygen atoms
    • C07D209/36Oxygen atoms in position 3, e.g. adrenochrom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07D307/82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07/83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6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64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적어도 1종의 아우론 또는 아우론의 천연 또는 합성 유도체, 또는 개별적인 페닐 고리가 피롤, 이미다졸, 트리아졸, 피리딘, 푸란 또는 티오펜 계열의 헤테로고리로 치환될 수 있는 아우론의 동족체가 화장료로서, 또는 미용 조성물, 또는 제약학적 조성물, 특히 멜라닌 형성-저해 활성 또는 탈색 활성 또는 항-티로시나아제 활성을 갖는 피부과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활성 물질로서 개시된다.

Description

적어도 1종의 아우론을 포함하는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 케어 조성물 {A Cosmetic or Pharmaceutical Depigmentatio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urone}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적어도 1종의 아우론을 미용 또는 제약학적 조성물, 특히 탈색 활성을 갖거나 멜라닌 형성-저해 작용을 갖는 피부과적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와 같이 수득되는 미용 조성물 또는 제약학적 조성물, 특히 탈색 활성 또는 멜라닌 형성-저해 작용을 갖는 피부과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탈색과 관련하여 활성이 있는 제제로서 아우론을 사용하는, 탈색의 미용적 케어 방법 또는 치료적 처치 방법을 포함한다.
태양 광선에 대항하기 위해서, 피부는 상기 기능에 특별하게 적응된 다양한 세포: 멜라닌 세포를 갖는다. 복잡한 과정인 멜라닌 형성 도중, 상기 세포들은 어두운 빛의 안료인 멜라닌을 생성하며, 그 작용은 피부 구조를 보호하고 햇볕에 그을리는 데 필요한 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멜라닌이 보호성인 것은 아니며, 특히 극도로 감광성(phototoxic)인 패오멜라닌(phaeomelanine)이라 불리는 멜라닌 형태가 존재한다. 모든 멜라닌과 마찬가지로 특정 형태의 자유 라디칼과 반응할 수 있는 상기 분자는 훨씬 더 유해한 자유 라디칼의 형성을 유발하며, 이는 각질세포의 유전 물질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더욱이, 멜라닌화 단위의 기능장애와 관련된 특정 이상이 때로는 특히 보기 싫은 과다-색소침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멜라닌 합성 저해제를 사용하는 것은, 심하게 착색된 피부의 미백, 또는 예를 들면 특정의 미관상 좋지 않은 관점에서의 과다색소침착의 저해의 경우와 같이 추후에 실제 탈색이 요구되는 용도 뿐만 아니라, 색조를 밝게 하여 피부를 화사하게 하고 표면 조직에 윤기를 주고자 하는 용도로 화장료 분야에서 특별히 흥미있다. 멜라닌 합성의 이와 같은 저해는 또한 실제적인 병리를 처치하기 위한 치료적 처치의 상황에서도 특히 흥미있을 수 있다.
아우론은 플라보노이드 류에 속하며 플라본의 구조적 이성체인 천연 분자이다 (Boumendjel A., Current Medicinal Chemistry, 2003, 10, 2621-2630).
아우론은 식물 계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특히 열매와 꽃에서 이들은 색상화에 기여한다. 이하의 표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아우론의 비제한적인 목록을 포함한다.
플라본, 칼콘, 플라보놀 및 이소플라본은 그들의 치료적 기능에 대하여 널리연구되어 있지만, 아우론의 생물학적 활성은 연구의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다. 아우론은 사실 플라본보다는 천연에 덜 풍부하며, 이들 천연 분자는 이제까지 관심을 덜 받아왔다. 더욱이, 그들의 식물 착색 기능으로 인하여, 아우론(피토알렉신으로 기술됨)은 각종 감염에 대한 방어제로서 식물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
생물학적 활성의 관점에서, 아우론은 다양한 작용 방식에 대하여 암 분야에서 기재되어 있다.
·아우론은, 항암 의약품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막횡단 전달체인 당단백질-P에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며,
·아우론은 사이클린 키나아제를 저해하고,
·아우론은 아데노신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며,
·아우론은 텔로머라아제(telomerase)를 저해한다.
마지막으로, 아우론은 DNA와 관련있는 라디칼 손상을 극소화함으로써 그들의 항산화 성질(특히 글리코실화된 아우론)을 위해 사용된다.
아우론은 또한 기생충 및 미생물 감염을 처치하기 위해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항-호르몬 활성을 가지며 그들의 메일라드(Maillard) 반응을 저해하는 능력으로 인하여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특정 환자에 사용되어 왔다.
다른 플라보노이드와 마찬가지로 아우론은 칼콘인 추축(pivot) 전구체로부터 유래한다. 이러한 경우, 칼콘으로부터 아우론을 제조하는 것은 상기 분자가 2' 위치에 히드록실을 갖는 조건 하에 산화적 고리화를 수반한다 (Nakayama, J.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2002, 94 (6), 487-491).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미용 조성물 및(또는) 제약학적 조성물, 특히 양호한 탈색 활성 및(또는) 양호한 멜라닌 형성-억제 활성을 갖는 피부과 조성물의 신규 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주요 목적은 미용 조성물 및(또는) 제약학적 조성물, 특히 양호한 항-티로시나아제 활성을 갖는 피부과 조성물의 신규 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 목적은 미용적 탈색 케어 방법 또는 탈색의 치료적 처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공업적 및 미용적, 제약학적, 특히 피부과적 규모로 사용될 수 있는 간단하고 안전하며 믿을 만한 방식으로 상기 목적을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우론 및 유도체의 신규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임으로써 전술한 목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바,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아우론은 양호한 탈색 활성 및(또는) 양호한 멜라닌 형성-저해 활성을 가지며, 특히 이들은 멜라닌 형성의 합성에 수반되는 효소인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강력한 저해제이기 때문이다.
특히 예상치못한 상기 활성은 아우론의 용도와 관련하여 문헌 및 특허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그 첫 번째 국면에 따르면, 피롤, 이미다졸, 트리아졸, 피리딘, 푸란 또는 티오펜 계열의 헤테로고리로 대체될 수 있는 개별적인 페닐 고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아우론, 아우론 유도체 또는 아우론 동족체를 화장료, 또는 미용 조성물, 또는 제약학적 조성물, 특히 멜라닌 형성-저해 활성 또는 탈색 활성 또는 항-티로시나아제 활성을 갖는 피부과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도는 아우론이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으로 특징된다.
상기 식에서,
X는 산소 원자 (O), 질소 원자 (N) 또는 황 원자(S)를 나타낼 수 있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할로겐; 히드록실 (OH); 에스테르;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C1-12 산; 아미드; 술폰아미드; 니트로; 염기성 또는 염화된 I, II 또는 III 아민; 시아노; 티올; 당 (O-헤테로시드 또는 C-헤테로시드);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킬 사슬;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콕시 사슬;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케닐 사슬 (예, 프레닐); C1-12 알케닐옥시; 티오알킬 사슬; 알킬 또는 방향족 계열의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설페이트;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술포네이트;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포스포네이트;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포스포네이트, 화학식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메틸, 에틸, 페닐, p-메틸페닐, p-메톡시페닐 또는 t-부틸을 나타낼 수 있음)의 실라놀기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일반식의 아우로놀, 아자아우론 또는 티오아우론 계열의 아우론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 내지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인용된 기를 나타낼 수 있다. R10은 1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사슬 또는 아실 기일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아우론의 이량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그 일반식을 하기에 나타내는 디설퍼레틴, 비아우레우시딘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페닐 고리 B가 피롤, 이미다졸, 트리아졸, 피리딘, 푸란 또는 티오펜 계열의 헤테로고리로 대체될 수 있는 아우론의 동족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2',4',6'-트리히드록시-2-클로로아세토페논 (R1 = OH), 2',4'-디히드록시-2-클로로아세토페논 (R1 = H); 4,6-디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R1 = OH); 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R1 = H); (Z)-2-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Z)-2-(4'-에틸)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Z)-2-(2'-에틸)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Z)-2-(4'-히드록시)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2-벤질리덴-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에틸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메틸티오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2-(4'-시아노벤질리덴)-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술포네이트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2',4'-디술포네이트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메틸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프로필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이소프로필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2-(4'-부틸벤질리덴)-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2-벤질리덴-(4,6-디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4'-에톡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3-메톡시-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4,6-디-O-MEM벤조푸란-3(2H)-온; 2,6-디아세톡시-α-브로모아세토페논; 4-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또는 (Z)-2-(4'-히드록시벤질리덴)-4-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에서 선택된 아우론, 그의 유도체 또는 그의 동족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구현예의 또 다른 유리한 예에 따르면, 아우론, 그의 유도체 또는 그의 동족체는 (Z)-4,6-디히드록시-2-(4-메톡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4'-에톡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및 (Z)-4,6-디히드록시-2-(3-메톡시-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별한 구현예에 따르면, 아우론, 그들의 유도체 및 동족체를 피부, 모발 또는 외피, 특히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을 위한 경우에 국소적으로 적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별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아우론, 그들의 유도체 및 동족체의, 밝은색, 갈색 및 검정 포토타이프의 공여자로부터의 정상 인체 멜라닌 세포로부터 유래되는 인체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하는 활성이 실현된다.
유리한 구현예 변법에 따르면, 아우론, 그의 유도체 또는 그의 동촉체는 천연 유래의 것이거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수득되거나 상기 아우론, 그의 유도체 또는 동족체를 천연적으로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존재한다.
두 번째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용으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특히 피부과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지지체와 선택적으로 혼합된, 탈색 활성 또는 멜라닌 형성-저해 활성을 갖는 제제의 하나로서 상기 정의된 적어도 1종의 아우론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동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색 활성 또는 멜라민 형성-저해 효과를 갖는 미용 조성물 또는 제약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세 번째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신규 생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론, 또는 아우론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의 아우론 동족체를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R1 내지 R9 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되, R5 내지 R9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킬 사슬;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콕시 사슬; C1-C12 티오알킬기, 술포닐기 및 시아노기에서 선택된다]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Z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R5, R6, R7 기 및 선택적으로 R8 기로 치환된 피롤, 피리딘, 푸란 또는 티오펜 계열의 헤테로고리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R5 내지 R8의 적어도 하나의 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킬 사슬,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콕시 사슬, C1-C12 티오알킬기, 술포닐기 및 시아노기에서 선택된다]
네 번째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탈색과 관련하여 염려되는 피부, 모발 또는 외피의 적어도 한 부위 위에, 선택적으로 화장품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지지체와 혼합된, 상기 정의된 적어도 1종의 아우론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동족체의 1종을 상기 탈색을 수행하기 유효한 양으로 국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되는 미용적 탈색 케어 방법을 포함한다.
다섯 번째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색소침착 병리의 우려가 있는 피부, 모발 또는 외피의 적어도 한 부위 위에, 선택적으로 제약학적으로, 특히 피부과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지지체와 혼합된, 상기 정의된 적어도 1종의 아우론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동족체의 1종을 상기 부위의 탈색을 수행하기 유효한 양으로 국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되는 탈색의 치료적 처치 방법을 포함한다.
<색소침착의 병리>라는 용어는 피부, 모발 또는 외피의 언급된 부위의 색소 침착이 의학적으로 처치되어야 할 병리를 구성하도록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과다-색소침착, 각화증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기 아우론, 그들의 유도체 및 동족체는 버섯으로부터의 티로시나아제 및 인체 멜라닌 세포로부터의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할 수 있고; 따라서 양호한 탈색 활성 및(또는) 양호한 멜라닌 형성-저해 활성 및(또는) 양호한 항-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수행하기 위한 가치있는 미용 또는 제약학적 제제, 특히 가치있는 피부과적 제제를 구성할 수 있음이 전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아우론,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동족체의 합성, 및 생물학적 평가를 실현하는 몇 가지 실시예와 관련한 이하의 예시적 기재, 및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결과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보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의 합성 실시예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며, 압력은 대기압이며, 온도는 섭씨 도이다.
아우론의 합성 및 생물학적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 2',4',6'-트리히드록시-2-클로로아세토페논 (R1 = OH) 및 2',4'-디히드록시-2-클로로아세토페논(R1 = H)의 합성:
플로로글루시놀(5 g, 즉 39.6 mmol) 또는 레소르시놀(5 g, 즉 45.4 mmol)의 에테르(150 mL) 중 용액에 클로로아세토니트릴(1 eq) 및 염화 아연(0.1 eq)을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전체를 0℃로 냉각시키고, 기체상 염산과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형성된 침전을 여과에 의해 회수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침전물을 1N 염산으로 용해시키고 수득된 용액을 1 시간 동안 환류 하에 유지시켰다. 매질을 상온으로 되돌리고, 형성된 주황색 침전을 회수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 4,6-디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R1 = OH) 및 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R1 = H)의 합성: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화합물(R1 = OH 또는 H)을 메탄올(100 mL) 중 현탁액에 넣었다. 다음, 소듐 메톡시드(2.5 eq)를 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차가운 데서 약 1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1 시간 30 분 동안 환류 하에 두었다. 상온으로 되돌린 후, 매질을 HCl 용액으로 산성화하고 증발시켰다. 수득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취하였다. 유기 층을 물과 염화 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건고시켜 예상한 생성물을 주황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 (Z)-2-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의 합성:
실시예 2에서 수득되고 R1 = H (1.0 mmol)인 화합물에, 메탄올 중에서 수산화 칼륨 50% 용액 (1.5 mL) 및 벤즈알데히드(1.5 eq)를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1 시간 동안 환류 하에 유지시켰다. 상온으로 되돌린 후, 메탄올을 증발제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물에 취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산성화시켰다. 침전이 나타나면, 이를 여과에 의해 회수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후에 생성물을 무정형 분말로 수득하였다.
벤즈알데히드를 하기 화합물로 대체함으로써 전술한 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p-에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에틸 기를 갖는 실시예 3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3a),
2-에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2'에 에틸 기를 갖는 실시예 3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3b);
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히드록실 기를 갖는 실시예 3의 분자가 수득된다 (실시예 3c).
본 발명의 실시예 4 : 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의 합성
DMF에 용해시킨, R1 = OH인 실시예 2에서 수득된 화합물에 탄산 칼륨(3 eq) 및 메틸 요오다이드(3 eq)를 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1 시간 (150℃) 동안 가열하였다. 상온으로 되돌린 후, 상기 매질을 물과 혼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고시켰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후 생성물이 황색 분말로 단리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5 : (Z)-2-벤질리덴-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의 합성:
메탄올에 용해시킨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수득된 화합물(0.77 mmol)의 용액에 수산화 칼륨 50% 용액 (1.5 mL) 및 벤즈알데히드(1.5 eq)를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1 시간 동안 환류 하에 두었다. 상온으로 되돌린 후, 메탄올을 증발제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물로 취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산성화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3 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후 생성물을 담황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벤즈알데히드를 하기 화합물로 대체함으로써 전술한 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p-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히드록실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a),
p-에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에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b),
p-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티오메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c),
p-시아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시아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d),
p-술포네이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술포네이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e),
2,4-디술포네이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2' 및 4'에 2 개의 술포네이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f),
p-톨루알데히드; 이 경우, 4'에 메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g),
p-프로필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프로필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h),
p-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이소프로필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i),
p-부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부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j);
p-t-부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t-부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k);
2'-에틸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2'에 에틸 기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l);
2-푸르알데히드; 이 경우, 고리 B를 대체하여 푸란 고리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m),
5-에틸-2-푸르알데히드; 이 경우, 고리 B를 대체하여 5-에틸푸란 고리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n),
4,5-디메틸-2-푸르알데히드; 이 경우, 고리 B를 대체하여 4,5-디메틸푸란 고리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o),
2-티오펜카르복스알데히드; 이 경우, 고리 B를 대체하여 티오펜 고리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p),
5-메틸-2-티오펜카르복스알데히드; 이 경우, 고리 B를 대체하여 5-메틸티오펜 고리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q),
5-에틸-2-티오펜카르복스알데히드; 이 경우, 고리 B를 대체하여 5-에틸티오펜 고리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며 (실시예 5r),
피롤-2-카르복스알데히드; 이 경우, 고리 B를 대체하여 피롤 고리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되고 (실시예 5s),
3,5-디메틸피롤-2-카르복스알데히드; 이 경우, 고리 B를 대체하여 3,5-디메틸피롤 고리를 갖는 실시예 5의 분자가 수득된다 (실시예 5t).
본 발명의 실시예 6 : (Z)-2-벤질리덴-4-히드록시-6-메톡시벤조푸란-3(2H)-온의 합성:
디클로로메탄 중의 실시예 5에서 수득된 화합물에 삼브롬화 붕소의 디클로로메탄 중 1 몰 용액(4 eq)을 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상기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그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고시켰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후 생성물을 황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전술한 방법을 실시예 5c (이는 6c가 됨) 및 5d(이는 6d가 됨)에서 수득된 분자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7 : (Z)-2-벤질리덴-(4,6-디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의 합성: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수득된 화합물에, 삼브롬화 붕소(BBr3; 과량)를 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빙수를 상기 매질에 적하하여 붓고, 그렇게 형성된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건고하여 예상한 생성물을 무정형의 침전으로 수득하였다.
전술한 방법을 실시예 5b, 5e, 5g, 5h, 5i, 5j, 5k, 5l, 5m, 5n, 5o, 5p, 5q, 5r, 5s 및 5t에서 수득된 분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실시예 7b, 7e, 7g, 7h, 7i, 7j, 7k, 7l, 7m, 7n, 7o, 7p, 7q, 7r, 7s 및 7t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8 : 4,6-디-O-MEM벤조푸란-3(2H)-온의 합성:
R1 = OH (36 mmol)인 실시예 2의 화합물에 무수 DMF 중 N,N-디이소프로필틸아민(2 eq)을 가하고, 이를 빙욕을 이용하여 냉각시켰다. 2-메톡시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2 eq)를 적가하고 수득된 용액을 상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매질을 100 mL의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고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생성물을 백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9 : (Z)-4,6-디히드록시-2-(4-메톡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의 합성:
실시예 8에서 수득된 화합물(1.02 mmol)의 메탄올 용액에 수산화 칼륨 50% 용액(3.5 mL) 및 p-아니스알데히드(1.5 eq)를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1 시간 동안 환류 하에 두었다. 상온으로 되돌린 후, 메탄올을 증발제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물로 취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고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을 메탄올로 취하였다. 수득된 용액에 염산의 1M 에테르 용액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약 6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을 되돌린 후, 상기 매질을 물과 혼합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 염화 나트륨 포화 용액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증발 건고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후 생성물을 황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p-아니스알데히드를 하기 화합물로 대체함으로써 전술한 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p-에톡시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에 에톡시 기가 수득되고 (실시예 9a),
p-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이 경우, 4'(9b) 또는 2'(9c)에 히드록실 기가 수득되며,
바닐린; 이 경우, 3'에 메톡시 기가, 4'에 히드록실 기가 수득된다 (9d).
본 발명의 실시예 10 : 2,6-디아세톡시-α-브로모아세토페논의 합성:
2,6-디히드록시아세토페논(3.08 mmol)을 아세트산 무수물에 분산시키고, 전체를 4 시간 동안 환류 하에 두었다. 상기 매질을 빙수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고하여 오일을 수득한 다음, 이를 무수 THF로 취하였다. 수득된 용액에 트리메틸페닐암모늄 브로마이드(1.2 eq)를 서서히 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상기 매질에 물을 가하고, 수득된 용액을 수 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고하였다. 조 생성물이 주황색 오일로 수득되었으며,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1 : 4-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의 합성:
메탄올 중 실시예 10(380 mg)의 화합물에 수산화 칼륨 50% 수용액(0.5 mL)을 가하였다. 그 전체를 약 3 시간 동안 환류 하에 두었다. 상온으로 되돌린 후, 메탄올을 진공 하에 증발제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물로 취하여 HCl 용액으로 산성화하였다. 이어서, 수득된 현탁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다음,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고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후, 생성물이 회백색 침전물로 수득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2 : (Z)-2-(4'-히드록시벤질리덴)-4-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의 합성:
메탄올 중 실시예 11(0.66 mmol)에서 수득된 화합물에, 수산화 칼륨 50% 용액과 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1.5 eq)를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 하에 두었다. 상온으로 되돌린 후, 메탄올을 증발제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물로 취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산성화하였다: 황색 침전이 나타나며, 이를 여과에 의해 회수하고, 최소량의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제조용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후 생성물이 주황색 침전물로 수득되었다.
아우론의 생물학적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13 : 아우론에 의한 단리된 티로시나아제 저해의 생체 외 시험:
티로시나아제는 L- 도파퀴논의 형성에 이어서, L-도파로부터 도파크롬의 형성을 촉매한다. 도파크롬은 490 nm에서 가시광선 분광광도 측정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는 색을 가진 화합물이다. 효소 활성을 개질시킬 수 있는 활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은 490 nm에서 광학 밀도의 변화에 의해 나타난다.
도파크롬의 형성 속도의 비율은 정밀하게 측정하고자 시험하는 각종 분자를 가지고 활성화 또는 저해가 수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시험할 시료를 버섯(Sigma)으로부터 티로시나아제의 존재 하에 5 분 동안 교반하면서 항온에 두었다. 티로시나아제의 기질인 L-DOPA(Sigma)를 시험할 분자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어두운 데서 10 분 동안 항온에 두었다. 시험의 OD를 분자를 갖지 않는 음성 대조의 OD와 비교함으로써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사용된 양성 대조는 0.01% = 45% ± 5% 저해에서의 코지산(Sigma)이었다.
생체 외 시험의 맥락에서, 아우론 유도체를 10-4M 및 10-5M의 최종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저해 백분율로 환산된, 490 nm에서 각종 아우론에 의한 버섯으로부터의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아우론 10-4M 10-5M
고리 A 상에 히드록실화
실시예 9b 23.85 ± 2.42 0 ± 1.73
실시예 7b 54.57 ± 3.01 14.63 ± 6.73
고리 A 상에 메틸화
실시예 5a 0 ± 1.33 0 ± 3.90
실시예 5b 0 ± 4.21 0 ± 2.5
실시예 5c 0 ± 1.64 1.07 ± 4.37
실시예 5 0 ± 1.58 0 ± 0.28
실시예 5d 0 ± 2.42 0 ± 5.47
고리 A 상에 히드록실화 및 메틸화
실시예 6c 23.65 ± 9.36 0 ± 5.84
실시예 6 31.22 ± 3.94 0 ± 2.27
실시예 6d 0 ± 3.51 0 ± 3.94
상기 표 1로부터 그 결과가 명백하게 나타나듯이, 아우론은 낮은 농도에서도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한다. 고리 A가 바람직하게 히드록실화된 경우 활성이 더 큰 것으로 보아 측정된 활성은 아우론의 구조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4 : 아우론에 의한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에 대한 생체 외 시험
건강한 공여자로부터 유래된 멜라닌 세포 추출물로부터 수득된 인체 티로시나아제는 L-도파로부터 L-도파퀴논의 형성을 촉매한다. L-도파퀴논은 색원체인 3-메틸-2-벤조티아졸린온 히드라존(MBTH)에 의해 490 nm의 가시광선 분광광도 측정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다.
상기 시약은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합성된 o-퀴논을 포획하여 안정하고 용해성이며 높은 광학 몰 밀도를 갖는 MBTH-o-퀴놀린 화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효소 활성을 개질시킬 수 있는 활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음성 대조(100% 활성)에서 수득된 것과 비교한 490 nm에서 OD의 변동에 의해 나타난다.
멜라닌 세포 추출물은 열 충격에 의해 수행되는 정상 인체 멜라닌 세포의 세포 막 용해 후에 수득된다. 상청액을 회수한 다음 MBTH (Sigma) 및 L-도파(Sigma)와 함께 항온에 두었다. 30 분 후 측정된 490 nm에서의 OD를, 대조의 경우 수득된 것에 대하여 시험된 각 활성 성분에 대하여 비교하고, 시험의 OD(시험된 분자)를 음성 대조(분자를 함유하지 않는)의 OD와 비교함으로써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사용된 양성 대조는 0.1%에서의 고지산(60%±5% 저해)이었다.
수득된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490 nm에서 아우론에 의한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율 (결과는 저해 백분율로 환산됨)
고리 A 상에 히드록실화된 아우론 10-4M 10-5M
실시예 9b 17.99 ± 1.6 5.62 ± 2.73
상기 표 2로부터, 단리된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상기 특정 모델 상에서, 아우론의 저해 활성은 존재하지만 별로 크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 15 :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 상에서 시험되는 활성 성분의 적용 후 단일층에서 연구된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시험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복부 성형술로부터 유래된)를 웰 당 80,000 세포의 비율로 24-웰 플레이트에 심었다. 이들을 융합되도록 배양하고, 활성 성분을 상기 배양 배지에 24 시간 동안 적용하였다. 24 시간 후, 상기 배지를 제거하고, 멜라닌 세포를 기계적 작용에 의해 취하였다. 추출은 열 충격에 의해 수행되었고, 그 후 상청액을 회수한 다음 MBTH (Sigma) 및 L-도파(Sigma)와 함께 항온에 두었다. 30 분 후 490 nm에서의 OD를 측정하고, 490 nm에서의 OD를, OD 490 nm/음성 대조의 단백질 농도(비-처리 대조)의 비에 관하여 시험의 단백질 수준(각 배양 웰에서 측정된)에 비교함으로써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따라서 항-티로시나아제 활성의 백분율은 비-처리된 대조에 대하여 계산되었다.
실험의 음성 대조는 멜라닌 세포 상에서 0.1%로 적용된 코지산(20% ± 5%의 측정된 저해율의 경우)이었고, 아우론의 유도체는 10-4M 및 10-5M의 농도에서 연구되었다. 수득된 결과를 이하에 기재한다.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 상에 히드록실화된 아우론을 적용한 후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율 (결과는 저해 백분율로 환산됨) (nd: 측정되지 않음)
고리 A 상에 히드록실화된 아우론 10-5M 10-4M 10-5M에서의 SD 10-4M에서의 SD
실시예 2 9.69 nd 1.47 nd
실시예 9b 35.23 75.31 2.34 8.51
실시예 7b 4.52 nd 6.97 nd
실시예 7i 31.86 0 10.43 11.43
실시예 3a 23.9 0 4.02 29.28
실시예 3b 0 0 10.25 22.85
실시예 7 34.85 3.37 3.04 4.8
실시예 7k 25.1 0 3.98 14.08
실시예 7h 26.88 5.43 2.93 3.43
실시예 7l 6.1 0 2.79 33.92
실시예 9 14.05 10.68 6.06 3.89
실시예 9a 19.94 5.25 8.58 8.21
실시예 9c 4.32 12.85 8.92 7.52
실시예 9d 20.22 3.92 3.79 13.72
실시예 7e 4.83 0 6.61 8.38
표 3 및 도 1의 결과로부터, 수득된 결과는 평가된 모델 상에서 인체 멜라닌 형성의 저해에 대한 히드록실화된 아우론의 실제 효능을 나타냄이 명백하다. 관찰된 저해 백분율은 생물로부터 더 먼 모델 상에서 수득된 것들보다, 즉 버섯으로부터 유래된 티로시나아제 및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로부터 추출된 티로시나아제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수득된 것보다 매우 명백하게 크다.
따라서 히드록실화된 아우론은 당업자에 의해 특별히 예상치 못하였던 활성을 가지며, 이는 매우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고리 A 상에 히드록실화되고 4' 위치에 히드록실을 갖는 아우론(실시예 9b)이 특히 활성이 크다.
정상 인체 멜라닌 세포에 대한 메틸화된 아우론의 적용 후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율 (결과는 저해 백분율로 환산됨)
고리 A 상에 메틸화된 아우론 10-5M 10-4M 10-5M에서의 SD 10-4M에서의 SD
실시예 4 0 0 5.66 8.76
실시예 5 0 0 2.85 19.18
실시예 5a 27.38 14.44 0.28 6.64
실시예 5b 19.38 nd 2.66 nd
실시예 5c 4.27 0 5.33 12.41
실시예 5d 0 0 6.53 12.77
실시예 5e 1.44 0 4.03 0.58
실시예 5f 2.88 9.36 6.11 10.04
표 4 및 도 2의 결과로부터, 메틸화된 아우론은 그들이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에 적용될 경우 히드록실화된 아우론에 비하여 적은 정도로 인체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함이 나타났다.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 상에 히드록실화된 및 메틸화된 아우론을 적용 후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율 (결과는 저해 백분율로 환산됨)
고리 A 상에 히드록실화 및 메틸화된 아우론 10-5M 10-4M 10-5M에서의 SD 10-4M에서의 SD
실시예 6 0 nd 18.39 nd
실시예 6c 14.19 nd 1.59 nd
실시예 6d 0 2.31 11.93 5.02
표 5 및 도 3의 결과로부터, 메틸화된 아우론과 같은 방식으로, 히드록실화 및 메틸화된 아우론은 덜 현저하게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함이 명백하다.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에 대한 아우론 동족체의 적용 후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율 (결과는 저해 백분율로 환산됨)
실시예 물질명 10-4M 10-5M SD, 10-4M SD, 10-5M
5m (Z)-4,6-디메톡시-2-[(푸란)메틸렌]벤조푸란-3(2H)-온 19.5 6.4 2.3 5.1
5n (Z)-4,6-디메톡시-2-[(5-에틸푸란)메틸렌]벤조푸란-3(2H)-온 7.8 0 5.2 3.3
5o (Z)-4,6-디메톡시-2-[(4,5-디메틸푸란)메틸렌]벤조푸란-3(2H)-온 23.2 12.1 0.4 3.4
5p (Z)-4,6-디메톡시-2-[(티오펜)메틸렌]벤조푸란-3(2H)-온 31.3 6.4 0.3 3.2
5q (Z)-4,6-디메톡시-2-[(5-메틸티오펜)메틸렌]벤조푸란-3(2H)-온 4.8 0 5.3 3.3
5r (Z)-4,6-디메톡시-2-[(5-에틸티오펜)메틸렌]벤조푸란-3(2H)-온 11.9 2.1 3.5 2.3
5s (Z)-4,6-디메톡시-2-[(피롤)메틸렌]벤조푸란-3(2H)-온 13.7 0 3.2 3.2
5t (Z)-4,6-디메톡시-2-[(3,5-디메틸피롤)메틸렌]벤조푸란-3(2H)-온 5.1 0 2.1 3.1
7m (Z)-4,6-디히드록시-2-[(푸란)메틸렌]벤조푸란-3(2H)-온 23.6 6.4 0.5 4.1
7n (Z)-4,6-디히드록시-2-[(5-에틸푸란)메틸렌]벤조푸란-3(2H)-온 28.5 13.4 1.2 3.4
7o (Z)-4,6-디히드록시-2-[(4,5-디메틸푸란)메틸렌]벤조푸란-3(2H)-온 13.6 4.5 3.4 8
7p (Z)-4,6-디히드록시-2-[(티오펜)메틸렌]벤조푸란-3(2H)-온 35.2 15.3 0.13 2.1
7q (Z)-4,6-디히드록시-2-[(5-메틸티오펜)메틸렌]벤조푸란-3(2H)-온 16.4 7 1.3 4
7r (Z)-4,6-디히드록시-2-[(5-에틸티오펜)메틸렌]벤조푸란-3(2H)-온 13.8 0 3 2.2
7s (Z)-4,6-디히드록시-2-[(피롤)메틸렌]벤조푸란-3(2H)-온 22.8 9.1 2.4 3
7t (Z)-4,6-디히드록시-2-[(3,5-디메틸피롤)메틸렌]벤조푸란-3(2H)-온 26.4 0 2.4 3.1
표 6의 결과로부터도 대부분의 아우론 동족체는 인체 티로시나아제를 실질적으로 저해하며, 결과적으로 멜라닌의 형성 및 그 직접적인 결과인 피부 색소침착을 방지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6 :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적용 후, 여러 공여자로부터 유래하는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에 대한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시험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여러 공여자로부터 유래하지만 밝은 포토타이프의 것인 멜라닌 세포에 대하여 실시예 1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된 공여자는 하기와 같았다:
- 공여자 S (실시예 15에서 시험된 공여자): 46 세
- 공여자 1: 40 세
- 공여자 2: 47 세
- 공여자 3: 33 세
수득된 결과를 이하의 표 7 및 도 4에 기재한다.
4 명의 서로 다른 공여자에 대한 화합물 9b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아우론 10-4 M 10-5 M 10-4 M에서의 SD 10-5 M에서의 SD
공여자 S 75.31 35.23 8.51 1.47
공여자 1 37.76 -9.77 10.78 15.34
공여자 2 43.03 -7.56 2.71 13.07
공여자 3 63.39 24.68 2.1 13.36
수득된 결과는 4 명의 서로 다른 공여자에 대한 화합물 9b의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7 : 갈색 및 검정 포토타이프를 갖는 여러 공여자로부터 유래하는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에 대한,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적용 후 인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시험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갈색 포토타이프를 가진 2 명의 공여자 및 흑인종의 포토타이프를 갖는 1 명의 공여자로부터 유래하는 멜라닌 세포의 배양액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적용된 방법은 실시예 15에 기재된 것과 같다.
갈색 포토타이프를 갖는 2 명의 공여자로부터 수득된 결과를 표 8 및 도 5에 기재한다.
갈색 포토타이프를 갖는 2 명의 공여자에 대하여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가지고 수득된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율
공여자 A 공여자 B SD 공여자 A SD 공여자 B
10-3 M 97.51 91.8 0.74 1.89
10-4 M 44.96 66.96 3.76 1.51
10-5 M 25.41 31.8 3.76 1.16
갈색 포토타이프에 대하여 수득된 결과는 항-티로시나아제 활성이 투여량-의존적이며 높음을 보여준다. 검정 포토타이프(31 세)를 가지고 수득된 결과를 표 9에 기재한다.
검정 포토타이프를 갖는 공여자에 대한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경우 수득된 저해율
검정 공여자 SD
10-4 M 65.83 3.22
10-5 M 39.51 4.97
검정 포토타이프로부터 유래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은 투여량 의존적이며 첫 번째 밝은 포토타이프를 가진 공여자로부터 및 두 번째 검정 포토타이프를 가진 공여자로부터 수득된 결과를 확인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8 : 아우론의 세포독성 연구:
생존가능한 세포의 세포내 산 포스파타아제에 의해 p-니트로페놀로 변화되는 물질인 PNPP(p-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를 이용한 측정에 의해 24-웰 평판에서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에 대하여 활성 성분의 세포독성을 연구하였다.
405 nm에서 p-니트로페놀의 흡광도는 생존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한다.
상기 활성 성분을 2 가지 상이한 농도(10-4 M 및 10-5 M)에서 시험하며, 배양 배지에 가하고 37℃에서 24 시간 동안 항온에 두었다. PNPP를 이용한 측정을 세포 매트에 대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음성 대조(처리되지 않은 웰)에 대한 생존 백분율로 나타낸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10에 요약한다.
정상의 인체 멜라닌 세포에 대한 각종 아우론 유도체의 경우 수득된 생존 백분율 (분자는 10-4 및 10-5 M의 2 가지 농도에서 시험됨)
실시예 10-4 M 10-5 M
5 83.1 98.55
5d 98.93 96.51
6 56.41 121.56
6d 85.65 119.36
2 103.84 126.09
4 106.77 85.33
5a 104.53 90.87
5b 13.63 99.62
5c 80.08 136.13
6c 20.87 116.24
9b 90.31 128.39
7b 63.52 143.15
수득된 생존 백분율이 75% 생존가능성(허용된 경계)보다 컸으므로, 시험된 분자는 10-4 및 10-5 M의 몰 농도에서 시험할 경우 세포 비독성이었다. 단지 3종의 분자, 즉 실시예 6, 5b 및 6c에서 수득된 분자가 10-4 M에서 시험할 경우 75% 미만의 경계를 가졌다. 평가되기 위해서, 상기 시험될 분자들은 10-4 M 미만의 농도에서 (예를 들면 10-5 M) 단일층으로 시험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9 : 아우론의 특이성 연구:
문헌에 알려진 분자들로 그들의 탈색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들 분자를 실시예 15에 기재된 모델에 적용하여 그들의 효능을 전술한 아우론에 비교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모델에서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기로 안정화된 비타민 C 또는 VitC PMg, 뿐만 아니라 코지산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수득된 결과를 표 11에 기재한다.
문헌 대조를 위해 수득된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율
시험된 분자 및 농도 저해율 (%) SD 세포 독성
VitC 3% 97.77 1.15 세포 죽음
VitC 0.3% 49.28 4.86 세포 죽음
VitC 0.03% -5.68 7.3 없음
VitC PMG 3% -3.49 1.65 없음
VitC PMG 0.3% 1.55 3.28 없음
VitC PMG 0.03% 2.93 2.79 없음
코지산 0.5% 25.09 3.2 세포 죽음
코지산 0.05% 14.26 4.37 없음
코지산 0.005% 6.84 4.32 없음
시험된 분자는 실시예 15의 모델에서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떠한 분자도 사실상 인체 티로시나아제를 아우론, 더욱 특별하게는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분자의 것과 필적할만한 경계에서 저해할 수 없었다.
3% 및 0.3%에서 시험된 비타민 C는 상기 분자가 멜라닌 세포에 대하여 세포 독성이고 비-특이적 작용을 갖는 한, 상당한 수준의 저해를 가졌다.
결과적으로, 상기 분자는 본 발명의 모델에서 활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아우론은 정상의 인체 티로시나아제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인 분자임이 입증되었다.
아우론은 구조상으로 플라본과 가깝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9b 및 7a로부터 수득된 아우론에 비하여 플라본을 시험하는 것으로 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아피게닌(Apigenin)(실시예 9b에서 수득된 유도체와 구조상으로 가까운)을 10-4 M 및 10-5 M에서 시험하였다. 크리신(Chrysin)(실시예 7에서 수득된 유도체와 구조상으로 가까운)을 10-5 M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12에 요약한다.
플라본과의 비교
10-4 M 10-5 M
실시예 9b 75.31 ± 8.51 35.23 ± 2.34
아피게닌 -59.06 ± 23.02 -40.83 ± 7.68
실시예 7 3.37 ± 4.8 34.85 ± 3.04
크리신 nd -6.10 ± 22.87
표 12의 결과로부터, 아우론 유도체는 인체 티로시나아제를 특이적으로 저해하고; 사실상, 동일한 몰 농도에서 시험된 아피게닌 및 크리신은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하지 않았으며, 처리되지 않은 대조의 OD/단백질 비보다 큰 OD/단백질 비가 수득되었다.
헥산 고리(플라본의 경우) 대신 C에 펜탄 고리가 존재하는 것이 인체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하기 위해 불가결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나타나기를 원하는 탈색 활성에 대한 아우론의 특이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0 : 아우론 또는 아우론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예
본 발명의 생성물을 수중유 형태의 미용 또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사용:
조성물 20a:
A qsp 100
부틸렌 글리콜 2
글리세린 3
소듐 디히드록시세틸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 히드록시세틸 에테르 2
B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SE 14
트리이소노아오인 5
옥틸 코코에이트 6
C 부틸렌 글리콜,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pH 5.5로 조절 2
D 본 발명의 생성물 0.01 - 10%
조성물 20b:
A qsp 100
부틸렌 글리콜 2
글리세린 3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파라핀,라우레트(Laureth)-7 2.8
B 부틸렌 글리콜 2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2
C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에틸파라벤 0.5
부틸렌 글리콜
D 본 발명의 생성물 0.01 - 10%
조성물 20c:
A 카보머 0.50
프로필렌 글리콜 3
글리세롤 5
qsp 100
B 옥틸 코코에이트 5
비스아볼롤 0.30
디메티콘 0.30
C 수산화 나트륨 1.60
D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에틸파라벤 0.50
E 향료 0.30
F 본 발명의 생성물 0.01 - 10 %
본 발명의 실시예 21 : 본 발명의 생성물을 유중수 형태의 조성물에 사용:
A PEG 30 -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3
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3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4
디부틸 아디페이트 3
포도씨 오일 1.5
호호바 오일 1.5
페녹시에탄올,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에틸파라벤 0.5
B 글리세린 3
부틸렌 글리콜 3
황산 마그네슘 0.5
EDTA 0.05
qsp 100
C 시클로메티콘 1
디메티콘 1
D 향료 0.3
E 본 발명의 생성물 0.01 - 10%
본 발명의 실시예 22 : 본 발명의 생성물을 샴푸 또는 샤워 겔 형태의 조성물에 사용:
A 크산탄 검 0.8
qsp 100
B 부틸렌 글리콜 0.5
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에틸파라벤 0.5
C 시트르산 0.8
D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 40.0
E 본 발명의 생성물 0.01 - 10%
본 발명의 실시예 23 : 본 발명의 생성물을 수성 겔 조성물(아이라이너, 슬리머(slimmer) 등)에 사용
A qsp 100
카보머 0.5
부틸렌 글리콜 15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에틸파라벤 0.5
B 본 발명의 생성물 0.01 - 10%
본 발명의 실시예 24 : 본 발명 생성물의 독물학적 연구
본 발명의 대상물을 함유하는 제제의 화장품용으로의 허용가능성 평가
0.5% 크산탄 검 중 10%로 포함된 실시예 9에 따라 수득된 화합물에 대하여, 토끼에서의 접안 평가, 쥐에서 1회 경구 투여에 의한 비정상적 독성의 부재 연구 및 기니 피그에서 민감화 능력 연구에 의해 독물학적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끼에서 피부의 1차적 자극에 대한 평가:
"피부에 대한 급성의 자극/부식 효과"의 연구에 관한 OECD 지침에 의해 권장된 방법에 따라서 3 마리 토끼의 피부 상에 0.5 ml의 투여량으로, 전술한 제제를 희석하지 않고 적용하였다.
상기 제품은 1982년 2월 21일자 프랑스 공화국의 약전 저널("JORF")에서 발간된 1982년 2월 1일자 결정에 정의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토끼에서 접안 자극의 평가:
전술한 제제를 순수하게 및 1 회분 0.1 ml의 비율로, "눈에 대한 급성의 자극/부식 효과"의 연구에 관한 1987년 2월 24일자 OECD NO. 405의 지침에 의해 권장된 방법에 따라서 3 마리 토끼의 눈에 점적하였다.
상기 시험의 결과는 상기 제제가 순수하게 또는 희석 없이 사용된 91/326 EEC의 지침에서 볼 때, 눈에 비자극성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결론을 가능하게 한다.
쥐에서 1회 경구 투여에 의한 비정상적 독성의 부재에 관한 시험:
기재된 제제를 1987년 2월 24일자 OECD No. 401의 지침으로부터 시사되고 화량료 제품에 적응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5 마리의 수컷 쥐 및 5 마리의 암컷 쥐에 체중 1 kg 당 5 g의 투여량으로 1회분 경구 투여하였다.
LD0 및 LD50은 5,000 mg/kg을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시험된 제제는 섭취 시 위험한 제제들 중에 분류되지 않는다.
기니 피그에서 피부 민감화 가능성의 평가:
기재된 제제에 OECD의 지침 라인 No. 406에 부합하는 프로토콜인, 마뉴송 및 클리그만(Magnusson and Kligmann)에 의해 기재된 극대화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제제는 피부에 접촉 시 민감화를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아우론, 그들의 유도체 및 동족체는 버섯에서 티로시나아제 및 인체 멜라닌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할 수 있고; 따라서 양호한 탈색 활성 및(또는) 양호한 멜라닌 형성-저해 활성 및(또는) 양호한 항-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수행하기 위한 가치있는 미용 또는 제약학적 제제, 특히 가치있는 피부과적 제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표 3에 나타낸, 고리 A 상에서 히드록실화된 아우론으로 수행된 실시예 15의 시험 대상인, 각각 10-5 M 및 10-4 M의 상이한 두 농도에서 시험된 실시예(가로좌표)에 대한 인체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저해 백분율(세로 좌표)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도 2는 표 4에 나타낸, 고리 A 상에서 메틸화된 아우론으로 수행된 실시예 15의 시험 대상인, 각각 10-5 M 및 10-4 M의 상이한 두 농도에서 시험된 실시예(가로좌표)에 대한 인체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저해 백분율(세로 좌표)의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3은 표 5에 나타낸, 고리 A 상에서 히드록실화 및 메틸화된 아우론으로 수행된 실시예 15의 시험 대상인, 각각 10-5 M 및 10-4 M의 상이한 두 농도에서 시험된 실시예(가로좌표)에 대한 인체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저해 백분율(세로 좌표)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도 4는 실시예 16의 시험 대상인, 각각 10-5 M 및 10-4 M의 상이한 두 농도에서 시험된,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화합물에 대한 4 명의 상이한 공여자에 대하여 수득된 결과(가로좌표)에 대한 인체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저해 백분율(세로 좌표)의 그래프를 나타내며, 이들 결과 또한 표 7에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7의 시험 대상인, 각각 10-5 M, 10-4 M 및 10-3 M의 상이한 세 농도에서 시험된, 실시예 9b에서 수득된 화합물에 대한 갈색 및 검정 포토타이프를 가진 2 명의 공여자에 대하여 수득된 결과(가로좌표)에 대한 인체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저해 백분율(세로 좌표)의 그래프를 나타내며, 이들 결과는 또한 표 8 및 9에 나타낸다.

Claims (6)

  1. 탈색 유효량의 하기 (a) 내지 (d)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아우론 성분을 화장품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지지체와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포함하는, 피부, 모발 또는 외피 부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를 탈색하기 위한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 케어 조성물.
    a) 하기 화학식의 아우론:
    [상기 식에서,
    X는 산소 원자 (O), 질소 원자 (N) 또는 황 원자(S)를 나타낼 수 있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할로겐; 히드록실 (OH); 에스테르;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C1-12 산; 아미드; 술폰아미드; 니트로; 염기성 또는 염화된 I, II 또는 III 아민; 시아노; 티올; 당 (O-헤테로시드 또는 C-헤테로시드);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킬 사슬;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콕시 사슬;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케닐 사슬 (예, 프레닐); C1-12 알케닐옥시; 티오알킬 사슬; 알킬 또는 방향족 계열의 고리 또는 헤테로고리;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설페이트;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술포네이트;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포스포네이트; 염화되거나 염화되지 않은 포스포네이트, 화학식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메틸, 에틸, 페닐, p-메틸페닐, p-메톡시페닐 또는 t-부틸 기를 나타낼 수 있음)의 실라놀기를 나타낼 수 있다];
    b) 하기 화학식의 아우로놀, 아자아우론 또는 티오아우론:
    [상기 식에서, R1 내지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a)에서 아우론에 대하여 정의된 것과 같은 기를 나타내고, R10은 1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아실기 또는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c) 디설퍼레틴 및 비아우레우시딘에서 선택된 아우론의 이량체;
    d) 상기 a)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아우론의 <B> 고리라 불리는 독립적인 페닐 고리를 피롤, 이미다졸, 트리아졸, 피리딘, 푸란 및 티오펜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헤테로고리로 치환함으로써 수득된, 하기 화학식의 아우론 동족체:
    [상기 식에서, R1 내지 R8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론 성분이 2',4',6'-트리히드록시-2-클로로아세토페논 (R1 = OH), 2',4'-디히드록시-2-클로로아세토페논 (R1 = H); 4,6-디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R1 = OH); 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R1 = H); (Z)-2-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Z)-2-(4'-에틸)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Z)-2-(2'-에틸)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Z)-2-(4'-히드록시)벤질리덴-6-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2-벤질리덴-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2-(4'-히드록시)벤질리덴-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에틸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메틸티오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2-(4'-시아노벤질리덴)-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술포네이트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2,4-디술포네이트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프로필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메톡시-2-(4'-이소프로필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2-(4'-부틸벤질리덴)-4,6-디메톡시벤조푸란-3(2H)-온; (Z)-2-벤질리덴-(4,6-디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4'-에톡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3-메톡시-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4,6-디-OMEM벤조푸란-3(2H)-온; 2,6-디아세톡시-α-브로모아세토페논; 4-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 및 (Z)-2-(4'-히드록시벤질리덴)-4-히드록시벤조푸란-3(2H)-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 케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론 성분이 (Z)-4,6-디히드록시-2-(4-메톡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4'-에톡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Z)-4,6-디히드록시-2-(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 및 (Z)-4,6-디히드록시-2-(3-메톡시-4-히드록시벤질리덴)벤조푸란-3(2H)-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 케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론 성분이 식물로부터의 추출물 형태인 아우론 성분, 및 화학적 합성에 의해 수득된 아우론 성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 케어 조성물.
  5. a) 하기 화학식 (1)의 아우론 및
    b) 하기 화학식 (2)의 아우론 동족체에서 선택된 아우론 성분.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9 기는 제 1 항에 정의된 바와 같되, R5 내지 R9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킬 사슬;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콕시 사슬; C1-C12 티오알킬기, 술포닐기 및 시아노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Z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R5, R6, R7 기 및 선택적으로 R8 기로 치환된, 피롤, 피리딘, 푸란 및 티오펜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헤테로고리를 나타낸다]
  6. 제 5 항에 있어서, R5 내지 R8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킬 사슬, 직쇄 또는 분지쇄 C1-12 알콕시 사슬, C1-C12 티오알킬기, 술포닐 기 및 시아노기에서 선택되는 아우론 성분.
KR1020060031411A 2005-04-06 2006-04-06 적어도 1종의 아우론을 포함하는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케어 조성물 KR20060107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3409A FR2884250B1 (fr) 2005-04-06 2005-04-06 Utilisation des aurones pour leur activite depigmentante ou inhibitrice de la melanogenese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FR0503409 2005-04-06
US11/127,594 2005-05-12
US11/127,594 US20060228313A1 (en) 2005-04-06 2005-05-12 Method of cosmetic depigmentation care by applying at least one au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374A true KR20060107374A (ko) 2006-10-13

Family

ID=3642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411A KR20060107374A (ko) 2005-04-06 2006-04-06 적어도 1종의 아우론을 포함하는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709964A3 (ko)
JP (1) JP2006290886A (ko)
KR (1) KR20060107374A (ko)
DE (1) DE102006016367B4 (ko)
ES (1) ES2301348B2 (ko)
GB (1) GB242506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50A (ko) 2017-02-15 2018-08-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오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3796A (ko) * 2019-06-17 2020-12-28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싸이오아우론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36608A (en) * 2009-03-27 2010-10-16 Biotropics Malaysia Berhad Aurones as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and their use in sex hormone dependent diseases
TW201036624A (en) * 2009-03-27 2010-10-16 Biotropics Malaysia Berhad Aurones as selective PDE inhibitors and their use in neurological conditions and disorders
JP2013256448A (ja) * 2012-06-11 2013-12-26 Kao Corp 美白剤
CN102993142B (zh) * 2012-12-12 2015-05-13 济南大学 4-羟基橙酮化合物的制备方法
US10899727B2 (en) 2016-04-11 2021-01-26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 Therapeutic aurones
MX2022015522A (es) 2020-06-15 2023-01-16 Dsm Ip Assets Bv Proceso para la elaboracion de alquilamidotiazoles.
EP4178952A2 (en) * 2020-07-08 2023-05-17 Université d'Aix Marseille Auro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for controlling bacteria and/or fungi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5380A (en) * 1974-06-03 1976-08-17 Smithkline Corporation Substituted aurones
FR2396756A1 (fr) * 1977-07-06 1979-02-02 Inst Nat Sante Rech Med Nouvelles benzylidene-2-benzofurannones-3, leur obtention et leur application a titre de medicaments
JPS59110688A (ja) * 1982-12-04 1984-06-26 リリ−・インダストリ−ズ・リミテツド 新規な薬剤化合物およびその製法
US6307070B1 (en) * 1996-01-26 2001-10-23 Phytera, Inc. Substituted aurone derivatives
JPH05509078A (ja) * 1990-05-17 1993-12-16 ベイラー カレッジ オブ メディシン 成長抑制因とガンおよび細胞増殖性疾患措置法
IL99291A (en) * 1991-08-23 1997-04-15 Fischer Pharma Ltd Cosmetic preparations
FR2723316B1 (fr) * 1994-08-04 1996-10-04 Thorel Jean Noel Compositions et preparations depigmentantes de la peau, a usages pharmaceutiques ou cosmetiques
AU1709897A (en) * 1996-01-26 1997-08-20 Phytera, Inc. Antimicrobial aurone derivatives
JPH11130672A (ja) * 1997-10-28 1999-05-1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脂質過酸化抑制剤
JP2000038382A (ja) * 1998-07-24 2000-02-0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新規ベンゾフラノ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60425A1 (en) * 1998-11-24 2003-03-27 Ahlem Clarence N. Immune modulation method using steroid compounds
AU2001230202A1 (en) * 2000-01-28 2001-08-07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for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containing benzofuranone derivatives
FR2855755B1 (fr) * 2003-06-05 2007-09-07 Oreal Utilisation d'au moins un filtre de la lumiere bleue pour preserve le capital de carotenoides endogenes de la peau; nouveaux filtres de la lumiere bleue; compositions cosmetiques
US20070184098A1 (en) * 2003-06-20 2007-08-09 Philippe Moussou Esters of flavonoids with w-substituted c6-c22 fatty aci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50A (ko) 2017-02-15 2018-08-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오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3796A (ko) * 2019-06-17 2020-12-28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싸이오아우론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16367A1 (de) 2007-06-28
JP2006290886A (ja) 2006-10-26
GB2425061B (en) 2008-06-25
DE102006016367B4 (de) 2008-10-23
ES2301348B2 (es) 2009-12-22
EP1709964A3 (en) 2006-10-18
GB0606735D0 (en) 2006-05-10
ES2301348A1 (es) 2008-06-16
EP1709964A2 (en) 2006-10-11
GB2425061A (en)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061B1 (ko) 파라-쿠마르산 또는 파라-히드록시신남산 유도체, 및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에서의 그의 용도
KR20060107374A (ko) 적어도 1종의 아우론을 포함하는 미용 또는 제약학적 탈색케어 조성물
US6471973B2 (en) Flavonoide esters and their use notably in cosmetics
ES2653148T3 (es) Derivados de monoterpeno de calcona o dihidrocalcona y su utilización como agentes despigmentantes
US6071525A (en) Whitening cosmetics containing mulberrin
US20060228313A1 (en) Method of cosmetic depigmentation care by applying at least one aurone
KR102146509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88583B1 (ko)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101475590B1 (ko)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ES2197439T3 (es) Composicion despigmentante.
KR100456974B1 (ko) 신규한 크로만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49831B1 (ko)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20190004992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407640B1 (ko) 신규한 디페닐 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 및 화장료 조성물
WO2021020957A1 (ko) 철쭉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515066B1 (ko) 박새로부터 분리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가지는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제
KR101895202B1 (ko) 관중으로부터 분리한 노르플라바스피딕산 pb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27100B1 (ko)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101938711B1 (ko) 퀴놀론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5283B1 (ko)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20030091049A (ko)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제
JP2010202586A (ja) プロトンポンプ阻害剤
KR20030083851A (ko) 궁궁이로부터 분리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을 가지는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