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183A -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183A
KR20060107183A KR1020050029245A KR20050029245A KR20060107183A KR 20060107183 A KR20060107183 A KR 20060107183A KR 1020050029245 A KR1020050029245 A KR 1020050029245A KR 20050029245 A KR20050029245 A KR 20050029245A KR 20060107183 A KR20060107183 A KR 20060107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abetes
powder
rat eye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영국
이대훈
곽동훈
김성민
최한길
정규용
주은진
박흠대
한진철
남궁배
황진봉
Original Assignee
영농조합법인 영산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농조합법인 영산식품 filed Critical 영농조합법인 영산식품
Priority to KR102005002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7183A/ko
Publication of KR2006010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065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using tiltable floors or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을 식이투여시, 당뇨가 유발된 실험쥐에서 높은 인슐린감수성을 가짐으로써 식이이용효율증가, 혈당강화효과 및 장기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다.
쥐눈이콩, 당뇨병, 혈당강하, 인슐린.

Description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wder or the extract of Rhynchosia Nulubilis or Rhynchosia Nulubilis by soaked in vinegar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도 1은 STZ방법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쥐의 식이별 혈장 내 인슐린양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당뇨를 유발시킨 쥐의 식이별 체중의 변화량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높은 인슐린 감수성을 갖는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국민의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1990년에 인구 십만 명 당 11.8명에서 2000년에 22.6명으로, 최근 10년 사이에 91.5%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도 급증하여 현재 당뇨병은 한국인 사망요인 중 제 4위를 차지하 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19, 199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1, 2002).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대사질환군으로, 만성적인 고혈당은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대혈관합병증, 미세혈관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및 신장 질환과 같은 합병증을 야기하게 된다(Defronzo R.A., Diabetologia 21, pp165-171, 1981; Steiner G.,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46, pp187-192, 1984). 당뇨병의 치료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약물요법과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병행하는데, 치료목표는 지속적으로 혈당을 정상치에 가깝게 유지하여 당뇨병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지연하는 것이다(Heo G.B., Diabetes Mellitus, 9, pp5-10, 1985; Koivisto, V.A., Diabetes Care, 16, pp29-39, 1993).
당뇨와 관련된 아미노산에 관한 연구는 다수가 보고되고 있는데 이중 중요한 것으로는 1)아스파르트산 생합성 물질인 말레이트-아스파르테이트는 유의적인 인슐린 분비증가를 나타내며(Paola F., Rosanna V., Clinica. Chimi. Acta., 170, pp121-134, 1984) 2)글리신과 히스티딘은 사구체의 비정상적 비대화의 방지와 당뇨 합병증을 억제 또는 지연 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Noe A.V., Pedro Z., et al., Comparative Bio & Physio Part C., 134, pp521-527, 2003), 3)아르기닌과 알라닌은 혈당저하 및 지방축적에 영향을 미치고(Mendez JD., Balderas F., Biochimie, 83, pp453-458, 2003) 당뇨쥐의 근대사에서 인슐린 활성증가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utkiewicz J., Gorska M., Gorski J., Acta. Physiol. Pol., 4-6, pp165-169, 1990). 또한 쥐눈이콩의 식이섬유 함량은 식품성분 분석표에 의하면 (채규수, 강갑성, et al., 표준식품 분석학, 수정판, pp708-709, 2002) 기호도가 높은 다양한 두류와 비교시 식이섬유 함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식이섬유는 체내에서 위장막 소화효소의 저해효과에 의한 혈당상승의 저해효과 및 STZ투여 당뇨유발 동물모델에서 식이섭취량과 당뇨병의 주요증상의 하나인 다식증상의 호전에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Cameron-Smith D., Habito R., et al., J. Nutr., 127, 2, pp359-364, 1997).
그러나 쥐눈이콩의 당뇨병 치료 및 예방 효과와 관련된 용도에 관해서는 상기 문헌 어디에도 교시되거나 기재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쥐눈이콩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인슐린감수성을 가지는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를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및 주정, 바람직하게는 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쥐눈이콩은 시중 구입하여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분쇄화법인 마쇄기로 분쇄하여 조말, 분말, 세말의 형태로 가공처리함으로써 쥐눈이콩 분말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시료를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인 주정 또는 정제수로 온침 또는 냉침 추출하는 방법을 통하여 엑기스 형태로 얻은 후 이를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방법을 수행하여 쥐눈이콩 건조추출물 형태를 얻음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쥐눈이식초콩은 상기의 시료에 산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료중량의 약 1내지 10배, 바람직하게 약 2내지 7배에 달하는 부피의 현미식초, 사과식초, 감식초, 레몬식초 등의 시중구입 가능한 식초, 바람직하게 발효과정에 의해 숙성된 현미식초를 사용하여 시료를 담그고, 약 20내지 40℃, 바람직하게 약 30℃의 항온수조에서 5내지 15일, 바람직하게 10일 간 절임공정을 수행하여 쥐눈이식초콩을 얻고; 상기에 기재된 쥐눈이콩 분말 및 추출물을 제조한 공정과 유사한 방법으로 쥐눈이식초콩 분말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 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된 분말 또는 추출물의 당뇨병 예방제 및 치료제로써 효능을 알아본 결과, 당뇨유발 쥐에게 경구투여시, 뚜렷한 식이이용효율 증가 및 혈당강화효과를 보이며 장기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등의 높은 인슐린감수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쥐눈이콩과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0.1 ~ 100 %중량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분말 또는 추출물이외에 인체의 당흡수를 억제하여 당뇨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공지 물질 또는 새로운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승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쥐눈이콩과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분말 또는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분획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1000 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분말 또 는 추출물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합병증 등을 포함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 외에 환자의 생활스타일과 같은 환자의 요소와 약리학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인슐린감수성을 가짐으로써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보이는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 및 식품첨가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분말 및 추출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상기 제조 공정 과정을 통하여 수득한 분말 및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빵, 과자, 떡 등의 각종 식품류, 건강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분말 및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5 % 중량백분율로 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분말 및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 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분말 및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분말 및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분말 및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제조
1-1. 쥐눈이콩 제조
전북임실의 농가에서 직접 생산한 쥐눈이콩 1 ㎏을 마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을 얻고, 또한 이 쥐눈이콩 1 ㎏에 100% 물 10℃를 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냉침추출한 후, 이를 합하여 여과지(Whatman사, 미국)로 여과한 다음 이를 감압농 축기(EYELA사, N-1000, 일본)로 감압농축한후, 동결건조하여 쥐눈이콩의 추출물(수득량; 100 g)을 수득하였다(이하 DS라 명명함).
1-2. 쥐눈이식초콩 제조
쥐눈이식초콩은 쥐눈이식초콩 5 g 당 발효과정에 의해 숙성된 현미식초(제조회사: 유동식품) 25 ml에 담궈 30 ℃ 항온수조에서 10일 간 절임한후,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분말 1 ㎏ 및 추출물 100 g을 완성하였다(이하 DSS라 명명함).
1-3. 검정콩 제조
전북 임실의 농가에서 구매한 검정콩 1 ㎏을 실시예 1-1의 공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검정콩 분말 1 ㎏및 추출물 100 g을 수득하였다(이하 DB라 명명함).
1-4. 메주콩 제조
전북 임실의 생산농가에서 구매한 메주콩 1 ㎏을 실시예 1-1의 공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메주콩 분말 1 ㎏ 및 추출물 100 g을 수득하였다(이하 DY라 명명함).
참고예1. 실험준비
1-1. 실험동물
본 실험에 사용된 흰쥐는 체중 195.5 ± 0.98 g 내외의 스프라그-도올리(Sprague-Dawley)계 수컷으로 (주)샘타코에서 분양받아 일반고형사료(삼양유지사료 주식회사)로 7일 동안 예비사육에 의해 적응시킨후 사용하였다.
사육기간 중 물과 사료는 무제한 공급하였고 사육실 온도는 22-25 ℃, 습도 는 50-60%, 소음은 70 db이하, 명암은 14시간(6시 점등, 20시 소등)을 주기로 자동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였다.
1-2. 당뇨병 유발
당뇨 유발은 췌장의 β-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다른 기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인슐린을 결핍시켜 고혈당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진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TZ)을 몸무게 1 kg 당 70 mg로 하여 0.1M 구연산나트륨 완충액(pH 4.5)에 녹여 0.2 cc로 복강주사 하였다. (Gold G., Manning M., et al., Diabetes. 30, pp634-638, 1981).
복강주사 후 24시간후 및 3일후에 꼬리정맥에서 공복시 포도당 농도가 350 mg/dL 이상인 것을 당뇨병이 유발된 흰쥐로 인정하였다. 실험군은 평균체중이 유사하도록 난괴법에 의해 그룹 당 10마리씩 7개 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1-3. 식이물질별 그룹 지정
본 연구의 효과적인 실험을 위해서 콩을 먹이지 않은 대조군과 콩을 먹인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인 무첨가군은 정상군(NC- 인슐린 무처치, STZ무투여, 무첨가식이)1개 군과 당뇨대조군 2개군(DI- 인슐린투여, STZ투여, 무첨가식이; DC- 인슐린 무처지, STZ투여, 무첨가식이)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 4개군(DB- 검정콩식이군; DY- 메주콩식이군; DS- 쥐눈이콩식이군; DSS- 쥐눈이식초콩식이군)으로 전부 STZ를 투여하였다. DI군에 대해서는 STZ투여 3일 후부터 2일 간격으로 인슐린을 4-6 IU로 근육주사 하였다.
1-4.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 분석한 후 유의차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던칸의 다중범위시험법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 < 0.05, p < 0.001 수준에서 시료간의 유의차를 검정하였다.
실험예 1 : 식이섭취량과 식이이용효율측정
식이섭취량과 식이이용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식이섭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식이물질 분말을 먹인 흰쥐의 식이섭취량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여 1일 식이섭취량을 얻었고 1주일 단위로 합하여 주당 1일 평균 식이섭취량을 구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뇨대조군(DI)의 식이섭취량이 41.28 ± 3.58 g/일으로 정상대조군(NC)과 비교해 볼 때 2배 정도 높게 나타난 반면 검정콩(DB), 메주콩(DY), 쥐눈이콩(DS), 쥐눈이식초콩(DSS) 식이군은 당뇨대조군(DI)과 비교시 각각9.15%, 8.13%, 10.31%, 10.00%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주었다.
1주 2주 3주 4주 평균 FER
NC 18.4±0.9a 20.5±0.9a 21.5±0.9a 24.0±0.9a 21.1±2.3a 20.3a
DI 26.5±1.1b 36.9±1.2ab 28.4±1.2ab 30.4±1.2ab 30.6±4.4ab 4.4b
DC 36.5±1.0c 44.8±1.2c 43.0±1.0c 40.6±1.0c 41.2±3.5c -1.7c
DB 35.9±1.1c 40.9±1.7bc 36.5±1.3b 37.5±1.3b 37.5±2.2b 2.7bc
DY 36.7±1.3c 39.7±1.6bc 37.2±1.1c 39.7±1.0c 37.9±1.6b 2.5bc
DS 36.4±1.1c 38.5±1.2b 36.4±1.0bc 38.5±1.2bc 37.0±1.2b 2.9bc
DSS 36.1±0.9c 39.2±0.9b 36.5±1.0b 36.6±0.9b 37.1±1.4b 3.1bc
* 수치는 9마리 평균 ± SE 로 표기하였다. * 동일칸 내의 서로 다른 위첨자(abc)를 갖는 수치는 p < 0.05으로 유의성있게 상이하다.
1-2. 식이이용효율 계산
측정된 식이섭취량에 대한 체중 증가량을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으로 식이이용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을 계산하였다.
FER = [체중증가(g/4주) / 식이섭취량(g/4주)] × 100
본 실험 수행 결과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이이용효율(FER)은 정상군(NC)이 당뇨대조군(DI, DC) 및 당뇨실험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유의적 수준을 보였으며(p < 0.05), 주목할 만한 결과는 식이이용효율(FER)을 기준으로 당뇨실험군(DB, DY, DS, DSS)과 당뇨대조군(DI)의 비교시 20~30%의 높은 식이이용효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당뇨대조군에서 식이이용효율(FER)의 감소는 당뇨로 인한 체내 대사의 퇴행적인 변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Niall MG., Rosaleen AM., et al., Diabetes, 39, pp626-636, 1990).
1-3. 체중변화측정
체중은 3일 간격으로 매일 일정한 시간(오후 12시)에 동일한 순서로 동물용 체중계로 측정하였다.
첨가식이 급여시일부터 종료시일까지의 체중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 정상군의 체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당뇨대조군 중 인슐린 투여군(DI)에서 체중이 증가한 반면 인슐린 무투여군(DC)에서는 점차적 체중 감소를 보였다. STZ투여 3일 후인 시료를 먹인 시점부터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 유발군의 체중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p < 0.05), 이는 오하라 등과 프레톤 등의 연구(Ohara I., Tabuchi R., Nutr. Res. 20, pp59-66, 2000)에서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모델 흰쥐의 성장이 급격히 감소하여 체중 감소가 일어났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첨가식이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각각의 첨가식이군에서 식이 4주째에는 검정콩식이군(DB)과 메주콩식이군(DY)은 각각 11.97 ± 4.48 g과 8.76 ± 4.79 g의 증가를, 쥐눈이콩(DS)과 쥐눈이식초콩(DSS) 식이군에서 각각 14.37 ± 3.65 g과 16.71 ± 5.54 g의 체중 증가를 보여 동일한 사육기간 동안 쥐눈이식초콩 식이군(DSS)이 메주콩식이군(DY)에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2.34 g의 높은 체중 증가를 보였다.
3일후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NC 207.4±2.8a 236.4±2.7a 275.6±3.0a 305.9±2.0a 338.8±3.7a
DI 189.1±19ab 204.5±2.8ab 207.1±2.9ab 218.8±2.1ab 235.1±1.6ab
DC 184.1±5.3b 183.2±2.2c 179.3±2.3c 176.7±2.0c 174.8±2.2c
DB 182.9±3.7b 184.9±2.5bc 193.4±3.6b 199.4±2.9bc 208.9±2.2b
DY 184.1±3.6b 187.2±2.1b 191.6±3.2b 192.9±2.5bc 205.8±2.9bc
DS 182.2±3.3b 184.5±2.3bc 196.0±2.5b 207.1±3.2b 210.5±1.7b
DSS 182.4±2.8b 185.6±3.0bc 199.4±1.7bc 202.6±3.5b 213.6±3.8b
* 수치는 9마리 평균 ± SE로 표기하였다. * 동일칸 내의 서로 다른 위첨자(abc)를 갖는 수치는 p < 0.05으로 유의성있게 상이하다.
한편 당뇨가 유발되면 세포 내에서는 포도당 이용률이 감소하므로 간, 근육 및 지방조직의 지방 및 체내 단백질로부터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며, 이로써 체중이 감소된다(Kim MH, Kim HY, et al., J. Korean Nutr., 34, pp3-13, 2001). 또한 STZ 유발 당뇨병 쥐에서 체중 감소 현상은 물과 용질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모세혈관 표면적의 감소에 의한 골격근의 위축 때문이며 알록산 유도 당뇨 흰쥐 모델의 체중변화와는 달리 회복이 쉽지 않다고 알려지고 있다(Sexton WL., Diabetes, 43, pp225-231, 1994).
그러나 상기 실험결과 체중증가율은 당뇨대조군(DC)과 비교하여 각각의 콩가루 식이군(DB, DY, DS, DS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쥐눈이콩군(DS)과 쥐눈이식초콩군(DSS)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체중증가의 주된 원인은 경구투여를 통한 첨가식이에 따른 각각의 콩 식이물질에 함유된 아미노산 및 식이섬유의 추가적 공급에 따라서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되었고, 그에 따라 혈중에 존재하는 당 성분 감소현상과 식이이용효율(FER)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상기의 실험 결과에 의하여 체중증가율은 당뇨대조군(DC)과 비교하여 각각의 콩가루 식이군(DB, DY, DS, DS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쥐눈이콩군(DS)과 쥐눈이식초콩군(DSS)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수행 결과는 콩류의 첨가가 쥐의 체중감소를 억제시켰다는 바베이(Babai FD., Walker AF., et al., Br. J. Nutr., 75, pp557-571, 1996)의 실험결과와도 일치함을 보여준다.
상기 결과로 검정콩(DB), 메주콩(DY), 쥐눈이콩(DS), 쥐눈이식초콩(DSS)식이군은 당뇨의 주요증상인 다식현상을 개선해주며 이들 중 쥐눈이콩과 쥐눈이식초콩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음용수 섭취량 및 뇨량 측정
본 실험의 다뇨(polyuria), 다갈(polydipsia)의 측정방법은 모든 군들에서 STZ 투입전인 적응기간을 포함한 6주 동안 1주 1회 일정한 시간에 이루어 졌으며 특수한 형태의 사육장치로 각 군의 물의 공급량과 뇨량을 확인할 수 있는 사육장치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측량하였다. 물의 공급량은 동물이 물의 요구 도중 낙하되는 물의 양을 더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수행결과, 표 3에 보는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NC)은 실험 전 기간에 걸쳐 음용수 섭취량 및 뇨량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당뇨대조군(DI, DC)과 당뇨실험군(DB, DY, DS, DSS)은 고혈당이 유도되면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당뇨실험군은 당뇨대조군 (DC)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음용수 섭취량과 뇨량이 감소했으며(p < 0.05) 당뇨실험군 간의 비교에서는 쥐눈이식초콩(DSS), 쥐눈이콩(DS), 검은콩(DB), 메주콩 (DY) 순으로 음용수 섭취량 및 뇨량의 수치감소가 나타났지만, 각각의 식이투여 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험군 음용수 섭취량 뇨량
NC 23.6 ± 3.2a 11.30 ± 1.7a
DI 97.4 ± 2.7b 78.00 ± 4.8b
DC 224.4 ± 14.6c 202.20 ± 9.1c
DB 200.6 ± 2.0bc 178.70 ± 1.9bc
DY 201.0 ± 2.0bc 179.00 ± 2.5bc
DS 198.8 ± 3.4bc 177.00 ± 3.5bc
DSS 197.6 ± 2.0bc 176.20 ± 1.7bc
* 수치는 9마리 평균 ± SE 로 표기하였다. * 동일칸 내의 서로 다른 위첨자(abc)를 갖는 수치는 p < 0.05으로 유의성있게 상이하다.
실험예 3. 당뇨를 유발한 쥐에서 식이물질 별 혈당포도당 측정
본 실험에 사용된 혈액은 1주 간격으로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측정기구(An ACCU-CHEK CO., Ltd.)을 이용하여 모든 실험 사육 동물에서 실시하였다. 혈장분리를 위한 혈액은 5주간 실험식의 급여 후 사육 동물을 에틸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헤파린(SIGMA CO., Ltd.)을 혈액 1 ml 당 100 IU로 처리한 주사기로 복대동맥(abdominal aorta)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채취 후 4℃에서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MF80, Hannil centrifuge CO., Ltd.)후 혈장을 분리하여 냉장고(2-8 ℃)에 보관중 수일 내에 성분분석 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사육되는 모든 흰쥐는 공복시 채혈을 실시하여 혈중포도당 농도를 분석하였다.
상기의 실험결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중 포도당 농도는 정상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I, DC)과 당뇨실험군(DB, DY, DS, DSS)은 혈당이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p < 0.05) 당뇨실험군은 실험기간 내내 당뇨대조군(DC)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p < 0.005). 특히 쥐눈이콩(DS)과 쥐눈이식초콩(DSS) 식이군이 메주콩(DY) 식이군보다 혈당강하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쥐눈이콩이 항산화 효과가 높은 풍부한 양의 안토시안계 색소와 이소플라본,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는 위장막에서 분비되는 트립신 작용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혈당상승을 느리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외에도 혈당강하 효과는 쥐눈이콩에 함유된 아스파르트산, 세린, 아르기닌, 알라닌(Seyer-Hansen K., Clim. Sci. Mol. Med. Suppl. 51, pp551-555, 1976)과 같은 아미노산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3일후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NC 98.9±1.8a 95.50±2.2a 91.72±1.5a 97.79±1.9a 96.08±2.6a
DI 448.3±14.1bc 329.27±20.7ab 280.09±19.1ab 278.51±17.6ab 270.49±18.5ab
DC 449.9±11.2bc 476.85±17.5c 473.60±11.4c 527.87±11.4c 536.37±16.3c
DB 446.9±15.5b 449.05±20.8b 441.05±10.4bc 431.75±11.0b 440.25±13.5b
DY 451.7±10.8c 456.38±15.4bc 452.37±15.5bc 449.53±15.9bc 445.43±16.9bc
DS 445.4±12.2b 448.69±14.2b 442.29±14.2bc 433.50±12.6b 432.53±14.8b
DSS 446.3±10.5b 449.83±10.3b 439.59±11.2b 433.18±8.75b 431.56±11.4b
* 수치는 9마리 평균 ± SE 로 표기하였다. * 동일칸 내의 서로 다른 위첨자(abc)를 갖는 수치는 p < 0.05으로 유의성있게 상이하다.
실험예 4. 식이물질 별 장기무게 변화 측정
당뇨유발 5주후 간, 신장을 적출하여 0.9% 일반식염수으로 혈액을 제거한 다음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고 체중 100 g당 장기무게로 환산하였다.
본 실험의 수행 결과는 표 5에 보는 바와 같이, 간장과 신장은 정상군(NC)과 비교해서 모든 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당뇨발병 시 간장의 크기가 정상에 비해 비대해 지는 원인으로서는 현재 STZ로 당뇨유발 시 면역기능에 악영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한 인슐린 분비가 저하되어 당 대사가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음으로 간장 내에 지질성분이 축적되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Harvey JN., Jaffa AA., et al., Diabetes, 39, pp299-304, 1990). 간장을 몸무게 100 g으로 환산한 수치에서 첨가 식이군들은 서로 간 유의적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당뇨대조군(DC)과의 비교에서는 간장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당뇨병의 발병초기에 신사구체 여과율의 증가와 함께 신장의 크기와 동적 역시 증가하며, 이들 신장의 비대는 당뇨유발 후 수일 내에 시작되며 비대의 정도는 혈당조절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teer KA., Sochor M. and Mclean P., Diabetes, 34, pp485-490, 1988). 결과적으로 STZ유발 당뇨모델 흰쥐에서 각각의 콩가루 첨가는 신장에 부담을 감소시켜주며 당 대사의 개선에도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험군 신장
무게 체중100 g당 장기무게 무게 체중 100 g당 장기무게
NC 15.1 ± 0.87 3.9 ± 0.22a 2.1 ± 0.04 0.5 ± 0.01a
DI 9.5 ± 0.67 4.2 ± 0.29b 1.7 ± 0.03 0.7 ± 0.01ab
DC 8.4 ± 0.94 4.8 ± 0.54c 2.2 ± 0.09 1.2 ± 0.07c
DB 9.0 ± 0.23 4.2 ± 0.11b 2.0 ± 0.04 0.9 ± 0.01b
DY 9.1 ± 0.27 4.3 ± 0.12bc 2.0 ± 0.03 0.9 ± 0.01b
DS 8.9 ± 0.32 4.2 ± 0.32b 1.9 ± 0.05 0.9 ± 0.02b
DSS 9.1 ± 0.27 4.2 ± 0.12b 1.9 ± 0.04 0.9 ± 0.02b
* 수치는 9마리 평균 ± SE 로 표기하였다. * 동일칸 내의 서로 다른 위첨자(abc)를 갖는 수치는 p < 0.05으로 유의성있게 상이하다.
실험예 5. 혈장 내 인슐린검출
본 실험은 인슐린-인슐린 수용체 결합실험으로, 냉장고에 보관중인 혈장샘플을 래트 인슐린 RIA 키트 250 튜브(Linco CO., Lt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분석법은, 인슐린 항체 면역분석법(Morgan CR., Lazarow A., Proc. Soc. Exp. Biol. Med., 110, pp29-32, 1962)과 단백질 결합 경쟁적 원리를 이용한 분석법(Feldman H., Rodbard D., J.B. Leppincott Company, pp158-207, 1971)을 개량한 방법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완충용액(0.05 M phosphosaline pH 7.4, EDTA, sodium azide 및 1% RIA 농도 BSA)과 준비한 혈청내의 무표식된 돼지 인슐린 항체를 각각 시험관의 인슐린 농도가 0.1, 0.2, 0.5, 1.0, 2.0, 5.0, 10(비특이적결합: NSB) ng/ml가 되도록 넣고 125I-인슐린으로 표식된 367 μCi/ng를 표지 수화 완충액(label hydrating buffer)와 혼합하여 수화시킨 후 100 μl되게 첨가한 후 래트 인슐린 항체(Guinea pig anti-rat insulin serum in assay buffer)를 동일하게 100 μl되게 첨가하고 완충용액으로 총 부피가 400 μl가 되게 하여 4 ℃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종료시 4 ℃의 침전시약(goat anti-Guinea Pig lgG serum) 1.0 ml를 각각 첨가하여 4 ℃에서 20분간 배양후 즉시 3000 ~ 4000 rpm에서 20 ~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버리고 같은 침전시약으로 2번 세척한 후 γ선 측정기(ANSR gamma counter, Abott)로 비표지 돼지 인슐린과 표지 125I-인슐린의 경쟁원리에 따른 125I에 대한 방사성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방법의 혈액 내 혈장의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결합률의 산출은 표지125I-인슐린과 비표지인슐린간의 경쟁적 원리에 의해서 방사성 활성도 측정에 따라서 산출되었으며, 측정결과에 따른 각각의 군들에 대한 혈장인슐린(μU/ml)수치를 도 1에 나타내었다. STZ 투여 후 당뇨유발 3일후부터 5주에 걸쳐 식이물질을 투여한 후 인슐린 수치를 측정한 결과 당뇨실험군 중 인슐린투여군(DI)과 모든 당뇨대조군(DB, DY, DS, DSS)의 비교시 첨가식이로 사육한 당뇨실험군중 쥐눈이콩식이군(DS)과 쥐눈이식초콩식이군(DSS)에서 크게는 2배가량 인슐린 감수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라비에등(Lavigne C, Marette A., Jacques H.,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78, 3E, pp491-500, 2000)의 실험에서 각종 음식물의 투여후 인슐린감수성과 당내성을 비교한 결과 콩 단백질과 콩류에서 가장 높은 대사 활성반응을 보였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실험예 6. 식이물질 성분검사
본 실험은 아미노산은 왕 등(Wang H.J., Murphy PA., J. Agric. Food Chem. 42, pp1666-1673, 1994)과 바네스 등(Barnes S., Kirk M., et al., J., Agric. Food chem., 42, pp2466-2474, 1994)의 방법을 개선한 HPLC(AccQ-Tag)방법(Waters, AccQ-Tag amino acid analysis system, Operator's manual, 1963)으로 수행하였다.
시료약 1.0 g를 정확히 취하여 앰플에 넣고 6 N 염산 15 ml를 가한 다음 N2를 치환하여 신속하게 밀봉하였다. 이를 110 ℃ 오븐에서 24시간 가수분해 시킨 뒤 방냉하여 탈이온수로 50 ml 정용플라스크에 정용 후 0.2 μm 막 여과기로 여과한 후 희석하여 AccQ-Tag 방법으로 유도체화 시킨 후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한 표준물질은 아미노산표준용액(type H; Wako, Japan), 컬럼은 3.9×150 mm (Nova-pak C18), 검출기는 형광분석기(JASCO FP-920, Japan)로 여기파장 250 nm, 흡수파장 395 nm, 이동상은 0.14 M 소듐아세테이트(sodium acetate)와 60%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로서 경사법(gradient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간격은 50분, 주입량 10 μl, 컬럼온도 37 ℃이었다. 조지방, 조단백 및 식이섬유의 분석은 식품공전법에 준하였다.
상기 실험의 수행 결과, 하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콩구성 성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쥐눈이콩과 쥐눈이식초콩이 시스테인, 리신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 함량이 검정콩과 메주콩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성분의 함량은 쥐눈이콩과 쥐눈이식초콩이 이들에 비해 낮았다.
따라서 아미노산과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각각의 콩 시료를 규정식 외의 추가식이가 STZ투여 당뇨유발 동물모델에서 당뇨병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아미노산 쥐눈이식초콩 쥐눈이콩 검정콩 메주콩
아스파르트산 4.2 4.3 3.8 4.1
세린 1.3 1.4 1.2 1.3
글루타믹산 6.5 6.7 5.9 6.2
글리신 1.6 1.6 1.4 1.5
히스티딘 1.2 1.2 1.0 1.1
트리오닌 1.6 1.2 1.0 1.1
아르기닌 2.6 2.7 2.4 2.5
알라닌 1.6 1.5 1.4 1.5
프롤린 1.8 1.8 1.6 1.7
시스테인 0.3 0.3 0.3 0.3
티로신 1.1 1.2 1.0 1.1
발린 1.8 1.8 1.6 1.7
메티오닌 0.4 0.3 0.3 0.4
라이신 1.9 2.2 2.0 2.1
이소루신 1.7 1.7 1.6 1.7
리신 2.5 2.5 2.2 2.4
페닐알라닌 1.8 1.8 1.6 1.7
지방 16.0±0.04 15.2±0.03 16.6±0.01 17.8±0.03
단백질 35.3±0.13 34.9±0.00 31.9±0.02 34.7±0.14
구아검 (Guar gum) 19.2±0.16 18.5±0.02 16.2±0.11 18.5±0.09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 및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추출물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3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추출물 3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추출물 3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은 높은 인슐린감수성을 가짐으로써 식이이용효율증가, 혈당강화효과 및 장기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또는 주정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3. 당뇨병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또는 추출물이 빵, 과자, 떡 등의 각종 식품류, 건강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식품류 및 건강 음료 조성물 등에 포함된 식품조성물.
KR1020050029245A 2005-04-08 2005-04-08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60107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245A KR20060107183A (ko) 2005-04-08 2005-04-08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245A KR20060107183A (ko) 2005-04-08 2005-04-08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183A true KR20060107183A (ko) 2006-10-13

Family

ID=3762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245A KR20060107183A (ko) 2005-04-08 2005-04-08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71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784B1 (ko) * 2007-09-07 2009-02-12 이효재 관절염 치료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WO2013089346A1 (ko) * 2011-12-16 2013-06-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γ-폴리글루탐산 및 아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2961A (ko) * 2011-02-01 2014-03-17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70029828A (ko)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돌콩과 바나바잎 복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70106103A (ko)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돌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784B1 (ko) * 2007-09-07 2009-02-12 이효재 관절염 치료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40032961A (ko) * 2011-02-01 2014-03-17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3089346A1 (ko) * 2011-12-16 2013-06-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γ-폴리글루탐산 및 아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9828A (ko)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돌콩과 바나바잎 복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70106103A (ko)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돌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7183A (ko)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269208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6824B1 (ko)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71044B1 (ko)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06921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0020A (ko)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71511B1 (ko) 마늘 당절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90991B1 (ko) 복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3801A (ko)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0981014B1 (ko) 아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535322B1 (ko) 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51464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60306A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2251889B1 (ko) 동부, 잠두 또는 제비콩을 함유하는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50095183A (ko) 목초액을 포함하는 당뇨증세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46783B1 (ko) Aralia excelsa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7268A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32926A (ko)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20050072413A (ko)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100562525B1 (ko)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847355B1 (ko) 장군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