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525B1 -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525B1
KR100562525B1 KR1020020008409A KR20020008409A KR100562525B1 KR 100562525 B1 KR100562525 B1 KR 100562525B1 KR 1020020008409 A KR1020020008409 A KR 1020020008409A KR 20020008409 A KR20020008409 A KR 20020008409A KR 100562525 B1 KR100562525 B1 KR 10056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delete delete
polysaccharide
glucose
diabe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792A (ko
Inventor
이승정
이민원
Original Assignee
이승정
이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정, 이민원 filed Critical 이승정
Priority to KR102002000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5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당강하 치료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제 및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A POLYSACCHARIDE FRACTION ISOLATED FROM CORDYCEPS MILITARI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MELLITUS}
도 1은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다당체 분획 A, B, C, C-1 및 C-2 를 얻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 및 그의 합병증은 암, 신장 순환기 질환과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미국의 당뇨병 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사망률이 지속 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인슐린 치료법에 의해 당뇨병의 급성 증상 또는 치명적 증상이 경감하고 있으나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서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으로 불리며,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심하게 파괴되어 인슐린의 감소 및 고혈당으로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으로 알려진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은 중장년층에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서구 사회에서는 약 2 내지 6% 정도의 성인이 이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실정이다. 인슐린 저항성 및 파괴된 췌장으로 인한 인슐린 분비기능의 부전 결과 고혈당증을 일으키는 대사질환이 유발된다. 이러한 당뇨병은 철저한 요당 관리 및 조절을 통하여 당뇨병성 질환의 개시와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당뇨병조절임상연구회, N. Eng. J. Med., 329, p977-986, 1993). 또한 고혈당증은 과삼투압증(hyperosmolarity), 산화물 생성(oxidant formation), 소르비톨(sorbitol) 및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의 비정상적 대사, 디아실글리세롤(DAG)-프로테인 키나제C(PKC)의 활성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병리학적 소견을 나타낸다고 브라운리(Brownlee) 등의 문헌(Brownlee et al: J. Engl. J. Med. 318, p1315-1321, 1998)에 보고된 바 있다.
약효기전 규명은 먼저 당뇨원인의 타겟(target)들을 하나씩 점검해 보기 위해 췌장, 인슐린의존 조직들(근육, 지방, 간 등), 소장, 신장 등을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후 인슐린 분비, 포도당의 조직내로 유입, 탄수화물 대사 혹은 흡수 등에 미치는 영향들을 조직 혹은 세포수준에서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인 실험기법을 활용하여 규명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종전의 당뇨병 치료제들은 고혈당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작용을 갖고 있으나, 많은 2형 당뇨병 환자들은 혈당조절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위중한 합병증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은 경구용 혈당강하제 및 인슐린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당뇨병에 효과적인 천연 생약 복합 조성물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큰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는 자낭균강(Ascomycetes) 맥각균과(Clavicipitaceae) 코르디셉스속(Cordyceps spp.)에 속하고 북동충하초(北冬蟲夏草), 잠용충초, 용초라고도 불리며 나비목의 번데기에 기생하는 자실체와 번데기의 복합체이다. 겨울에는 균사를 땅속에 있는 번데기의 체내에 뻗쳐 영양분을 취하면서 번데기는 균사로 가득 차서 죽게 된다. 여름철 상대습도가 높아지는 장마철에 접어들면서 기주인 번데기에서 여러개의 자실체가 성장하여 땅속을 뚫고 나와 가늘고 긴 야구막대기 모양의 형태로 자라게 된다. 전체 길이는 3.5∼7㎝이고 번데기 부분이 1.5∼2㎝이다. 직경이 0.2∼0.5㎝인 원형으로써 초기에는 오렌지색을 띠다가 주황색으로 변하며, 동충하초 (Cordyceps sinensis)는 중국에서 인체의 활력을 주는 불로장생의 묘약이라고 인식되어 왔으며(Zhu, J.S et al; J. Altern. Complement M. 4 pp289∼303, 1998 참조), 최근 연구에 의하면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물의 혈당강하효과(Kiho, T. et al; Biol. Pharm. Bull. 22: 966∼970, 1999 및 Biol. Pharm. Bull. 19: 294-296, 1996), 성기능 강화 및 항암효과(Huang, B.M. et al; Life Sci. 19: pp2593-2602, 2001 및 Liu, J. et al; Zhongguo Zhong Yao Za Zhi. 22: pp111-113, 1997), 면역기능강화효과(Yang, L.Y. et al; J. Lab Clin Med. 134: 492-500, 1999 및 Yamaguchi, N. et al; Biotherapy. 2: 199-205, 1990), 항피로 효과(Dai, G. et al; J. Altern Complement Med. 7: 231-240, 2001) 등이 보고되었으며, 동충하초 및 큰번데기 동충하초에서 분리된 코르디세핀(cordycepin) 및 에르고스테롤 퍼옥시드(ergosterol peroxide)의 항암효과(Bok, J. W. et al; Phytochemistry 51: 891-898. 1999, Kuo, Y. C. et al; Cancer Invest. 12: 611-615, 1994 및 Kim, H.W. et al; K. J. Mycol. 29: 61-66, 2001 참조)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물의 혈당강하제로서의 용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발명자는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얻어진 다당체 분획물이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에 치료효과가 탁월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큰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를 온수로 추출한 온수추출물을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용액으로 침지시킨 후, 침전물을 분리하여 얻어진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동충하초의 다당체 총추출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당체 총추출물에 분자체(molecular sieving) 또는 세파덱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여 수득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2만 달톤 이하의 저분자 다당체 분획물, 2만 달톤 내지 10만 달톤사이의 중간크기의 다당체 및 10만 달톤 이상의 고분자 다당체 분획물과 같은 다양한 크기의 분자량을 갖는 다당체 분획물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당체 분획물을 다시 세파덱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2만 달톤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 구성당 성분의 다당체 분획물 및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 아르기닌, 발린, 시스테인, 이소류신, 트립토판, 티로신, 글리신, 리신, 페닐알라닌, 프롤린, 메티오닌, 히스티딘, 류신, 알라닌, 세린, 아스파테이트, 아데노신, 코르디세핀으로 구성당 성분을 갖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당단백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당체 분획물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건조 상태의 큰번데기 동충하초를 수욕 상에서 온침한 후, 얻어진 온수 추출 농축액에 저급 알콜을 가하여 생성되는 침지물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체 총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 이 다당체 분획물을 분자체를 통한 분획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다당체 분획물 및 추가적으로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좀더 정제된 다당체 분획물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얻어진 다당체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다당체 분획물을 0.02 ~ 9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당체 분획물은 건조상태의 큰번데기 동충하초를 증류수로 30분 내지 2일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24시간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내지 60℃에서 가열한 후에 얻어진 열수 추출물을 저급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용매하에 0℃ 내지 25℃하에 방치하여 얻어지는 저급알콜에 불용성인 동충하초의 다당체 총추출물을 다당체의 분자량에 따라 분리가능한 분자체(molecular sieving)를 사용하여 2만 달톤 이하의 저분자 다당체 분획물, 2만 달톤 내지 10만 달톤 사이의 중간크기의 다당체 및 10만 달톤 이상의 고분자 다당체 분획물과 같은 다양한 분자량 크기를 갖는 다당체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체 분획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체 분획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 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체 분획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체 분획물들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분획물들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당체 분획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제형으로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다당체 분획물들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당체 분획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다당체 분획물들은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다당체 분획물들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으로 가할 수 있으며, 식품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1를 기준으로 0.02∼0.1g, 바람직하게는 0.3∼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다당체를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1당 일반적으로 약 1 ∼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아직 연구되지 않은 큰번데기 동충하초 (Cordyceps militaris)의 혈당강하약효를 밝히기 위해서 스트렙토조토신(STZ) 및 과량의 포도당 투여로 유발된 고혈당에 대해 각각 혈당강하 효과를 실험한 결과로서 탁월한 혈당강하 작용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다당체 분획물들의 분리
강릉시 옥천동에 위치한 초당농원에서 현미와 번데기를 혼합한 배지에서 재배된 큰번데기 동충하초 (Cordyceps militaris)의 배지 부분을 제거한 자실체를 60℃에서 3일간 건조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건조 상태의 큰번데기 동충하초 2kg을 물로 3회 6시간동안 수욕 상에서 60℃에서 온침한 후 얻어진 열수 추출 농축액에 1L의 에탄올을 가하여 생성되는 침지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얻은 다당체 총분획물을 분자체(SartoconR Ⅱ crossflow system, Sartorius사, 독일)를 이용하여 분자량 10만 달톤 이상의 고분자 다당체인 분획 A(0.35g), 2만 내지 10만 달톤의 중간크기의 다당체인 분획 B(1.4g), 2만 달톤 이하의 저분자 다당체인 분획 C (300g)로 분획하여 이들을 약효실험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분리공정으로 분리된 분획 A, 분획 B 및 분획 C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1) 분획 A.
분자량: 10만 달톤 이상
구성당 분석: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
(2) 분획 B.
분자량: 2만 ∼ 10만 달톤
구성당 분석: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
(3) 분획 C.
분자량: 2만 달톤 이하
구성당 분석: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다당체 분획물중, 가장 큰 활성을 보인 저분자 다당체 분획물인 분획 C를 다시 세파덱스(Sephadex LH 20, Pharmacia Biotech, Sweden) 컬럼크로마토그래피 (8 ×50 cm, H2O→MeOH 전개용매)를 이용하여 2ml/분씩 용출되는 용출액들을 분획하여 다시 당 분획물인 (TLC로 확인, 10% H2SO4에 검게 반응) 분획 C-1 (180g)과 당단백 분획물인 (TLC로 확인, 닌히드린에 적색으로 반응) 분획 C-2 (25g)로 나누어 각각 시료에 사용하였다.(도 1. 참조)
상기 분리공정으로 분리된 분획 C-1 및 분획 C-2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1) 분획 C-1.
분자량: 2만 달톤 이하
구성당 분석: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
(2) 분획 C-2.
분자량: 2만 달톤 이하
구성 당 및 단백 분석: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 아르기닌, 발린, 시스테인, 이소류신, 트립토판, 티로신, 글리신, 리신, 페닐알라닌, 프롤린, 메티오닌, 히스티딘, 류신, 알라닌, 세린, 아스파테이트, 아데노신, 코르디세핀(항암 활성 성분).
참고예 1. 실험재료의 준비 및 전처리
실험 동물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실험동물은 한림동물에서 계대 사육한 8주령된 수컷 스프라그-도올리(Sprague-Dawley)계 흰쥐 (220∼250g) 및 순계 ICR계 수컷 생쥐 (20∼25g)를 사용하였으며, 12시간/주야간 사이클(22±2℃)로 공기 조절조건(air condition)을 유지한 동물실험실에서 적응시켰으며 고형사료(삼양배합사료, 성분등록번호 : 322-6) 및 식수를 공급하였다.
혈중 지표 분석방법
혈중 포도당 농도는 글루코스 옥시다제 방법(glucose oxidase method)를 이용한 트린더(Trinder) 용액(시그마 다이아그노스틱사, 미국)을 사용하여 매주 측정하였다. 다른 시약과 용매는 일급시약으로 구입하였다.
통계처리방법
모든 실험 결과들은 평균 ±SE로 나타내었고 통계처리는 스튜던트(Student) t-테스트를 실시하여 P <0.05를 기준으로 유의성 여부를 판정하였다.
실험예 1: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고혈당에 혈당 강하효과
당뇨를 유발시키기 위해 pH 4.5의 0.01M 시트레이트 완충액에 용해한 스트렙토조토신(STZ, 시그마사, S-0130) 60mg/kg씩을 스프라그-도올리 흰쥐 6마리 및 순계 ICR계 수컷 생쥐 6마리에 각각 복강주사 투여하여 혈당치가 300mg/dl 이상되는 동물만 당뇨쥐로 간주하여 사용하였다. 혈당치가 안정화된 쥐 6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18시간 절식시킨 후, 분획 A, B, 및 C 각각 300mg/kg씩 경구 투여하여 2시간과 6시간 후의 혈액을 꼬리정맥에서 채취하여 혈중 포도당 감지장치(MedisenseR, Abbott Laboratories Office, 97566 : R3, 미국)를 이용하여 혈중 포도당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상기 꼬리 정맥으로 채혈한 혈액을 3000g에서 30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혈중 포도당 분석 키트(영동제약, 영동 포도당 측정용 시약 (효소법), BC 103-E)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또 그 중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분획 C를 세파덱스 컬럼을 이용하여 다시 C-1 분획 및 C-2 분획으로 분획하여 같은 방법으로 3시간과 5시간 후의 혈당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분획 A, B 및 C 투여군 모두가 대조군에 비해 13.72%, 8.10%, 21.39%의 유의성있는 혈당감소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분획 C를 더욱 정제한 분획 C-1 투여군이 17.52%의 우수한 혈당감소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표 1 및 표 2에서 항당뇨 효과는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흰 쥐 6마리의 혈당치를 평균과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은 **p:<0.10, *p<0.05로 표시하였으며, 톨부타마이드(Sigma Chemical Co, USA)는 1OO ㎎/㎖의 농도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표 1, 2 참조)
0시간 2시간 6시간
스트렙토조토신 100 99.50±5.17 95.93±5.32
스트렙토조토신+분획 A 100 87.83±8.00* 86.28±6.87*
스트렙토조토신+분획 B 100 93.14±3.87* 91.90±1.87*
스트렙토조토신+분획 C 100 85.26±6.19** 78.61±6.72**
0시간 3시간 5시간
스트렙토조토신 100 96.83±13.52 96.83±9.49
스트렙토조토신+분획 C-1 100 82.48±11.92* 84.13±16.80
스트렙토조토신+분획 C-2 100 104.96±14.33 104.62±14.33
스트렙토조토신+톨부타마이드 100 73.65±6.83** 68.91±9.72**
실험예 2: 포도당 과부하에 따른 혈당 강하효과
18시간 절식시킨 순계 ICR계 수컷 생쥐 7마리에 포도당(3g/kg)을 경구 투여하여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군은 포도당(3g/kg)과 시료(C, C-1 및 C-2) 3OOmg/kg을 함께 경구투여하여 1시간 후에 혈액을 꼬리정맥에서 채취하여 혈중 포도당 감지장치(MedisenseR, Abbott Laboratories Office, 제97566 : R3, 미국)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분획 C, C-1 및 C-2 투여군 모두가 24.5%, 29.3%, 22.0%의 유의성있는 혈당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표 3에서 항당뇨 효과는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흰 쥐 7마리의 혈당치를 평균과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유 의성은 **p:<0.10, *p<0.05로 표시하였다(표 3 참조).
0시간 1시간 항 당뇨효과(%)
글루코스 100 183.6±7.5* -
글루코스+분획 C 100 138.7±22.7* 24.5
글루코스+분획 C-1 100 129.9±5.5* 29.3
스트렙토조토신+분획 C-2 100 143.1±24.2* 22.0
스트렙토조토신+톨부타마이드 100 94.7±12.4** 48.4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물들이 스트렙토조토신 및 포도당 과부하에 의해 유발된 당뇨에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기에 상기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포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분획 C 건조분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0 mg
유당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00 mg
탈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 mg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정 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 한다.
분획 C 건조분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0 mg
옥수수전분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0 mg
유당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 mg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캅셀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분획 C 건조분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0 mg
옥수수전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0 mg
유당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 mg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분획 C 건조분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적량
pH 조절제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적량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액제 100㎖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 로 제조한다.
분획 C 건조분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0 mg
이성화당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 g
만니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 g
정제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적량
또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한다.
분획 C 분말 0.1∼20%, 설탕 5~10%, 구연산 0.05~0.3%, 캬라멜 0.005~0.02%, 비타민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서 되는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물들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액상과당 (0.5%), 올리고당 (2%), 설탕 (2%), 식염 (0.5%), 물 (75%)와 같은 부재료와 분획 C 건조분말 20%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 뇨병에 의한 혈당상승을 억제시키는 활성을 갖고 있어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건조 상태의 큰번데기 동충하초 (Cordyceps militaris)를 수욕 상에서 온침한 후 얻어진 온수 추출 농축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생성되는 침지물을 분리하여 얻어진 다당체 총분획물로 분자체를 통한 분획 및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여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2만 달톤 이하의 분자량을 갖고,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로 구성된 다당체 분획물 또는 2만 달톤 이하의 분자량을 갖고, 글루코스, 갈락토스, 람노스, 아르기닌, 프롤린, 메티오닌, 히스티딘, 류신, 알라닌, 세린, 아스파테이트, 아데노신, 코르디세핀으로 구성된 당단백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10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당체 분획물 또는 당단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혼합하여 이루어진 당뇨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20008409A 2002-02-18 2002-02-18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562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409A KR100562525B1 (ko) 2002-02-18 2002-02-18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409A KR100562525B1 (ko) 2002-02-18 2002-02-18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585A Division KR20050040901A (ko) 2005-04-13 2005-04-13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792A KR20030068792A (ko) 2003-08-25
KR100562525B1 true KR100562525B1 (ko) 2006-03-23

Family

ID=3222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409A KR100562525B1 (ko) 2002-02-18 2002-02-18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7160B (zh) * 2014-12-31 2017-03-29 华南师范大学 一种蛹虫草多糖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906164B (zh) * 2015-06-09 2019-10-11 中国科学院西北高原生物研究所 黄刺果实多糖降血糖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792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3873B2 (ja) サポニンの生体利用率増進組成物
KR101406138B1 (ko)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덴드로파녹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96995B1 (ko) 발효 쌀겨 및 미배아를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9837B1 (ko) 진세노사이드 Rg1 또는 Rg3를 고농도 함유하는 인삼또는 홍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40901A (ko)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06581115B (zh) 含芫根和人参的组合物及其应用
KR100562525B1 (ko) 큰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60107183A (ko)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408101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KR100691831B1 (ko) 차가버섯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신규의 항당뇨 활성 추출물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당뇨 활성 조성물
KR100747640B1 (ko) 연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583194B1 (ko)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30080296A (ko)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분획 및 유도체를 함유하는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071511B1 (ko) 마늘 당절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49670B1 (ko) 흰진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0535322B1 (ko) 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473531B1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30059951A (ko)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50072413A (ko)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20050095183A (ko) 목초액을 포함하는 당뇨증세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32926A (ko)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