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268A -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268A
KR20120097268A KR1020110016756A KR20110016756A KR20120097268A KR 20120097268 A KR20120097268 A KR 20120097268A KR 1020110016756 A KR1020110016756 A KR 1020110016756A KR 20110016756 A KR20110016756 A KR 20110016756A KR 20120097268 A KR20120097268 A KR 20120097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obesity
arw
p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835B1 (ko
Inventor
김미려
황수정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8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기 및 차전초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ed extra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and Plantago asiatic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본 발명은 황기 및 차전초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Statistical Office. 2001 Yearbook of death cause statistics. Korea. 2001.
[문헌 2] Symposium of obesity.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Korea. 2006.
[문헌 3] Ordovas, J.M., Mooser, V. Nutrige-nomics and nurigenetics. J Currppin Lipid 15: 101-108, 2004.
[문헌 4] 張介賓, 張氏經. 서울, 성보사. p 586, 1982.
[문헌 5] Dani, C., Smith, A., Dessoiln, S., Leroy, P., Staccini, L., Villageois, P., Darimont, C., Ailhaud, G. Differen-tiation of embryonic stem cells into adipocytes in vitro. J Cell Sci 110: 1297-1285, 1997.
[문헌 6]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영림사, pp 190-191, 399-400, 2007.
[문헌 7] Jeon, T., Hwang, S.G., Hirai, S., Matsui, T., Yano, H., Kawada, T., Lim, B.O., Park, D.K. Red yeast rice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by down-regula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 Life Sci 75(26):3195-3203, 2004.
[문헌 8] Lin, J., Della-Fera, M.A., Baile, C.A.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 gallate inhibits adipogenesis and induces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Obes Res 13(6):982-990, 2005.
[문헌 9] 석장미. Antiobese effects of mixed herbal medicine in 3T3-L1 adipocytes and rats fed high-fat diet.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8.
[문헌 10]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998.
[문헌 11] Chang, C.C., Yang, M.H., Wen, H.M., Chern, J.C. Estimation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propolis by two complementary colorimetric method. J Food Drug Anal 10: 178-182, 2002.
[문헌 12] WHO. Obesity: preventing and manag- 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문헌 13] 김현주. 후박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문헌 14] Green, H., Kehinde, O. Spontaneus heritable changes leading to increased adipose conversion in 3T3-L1 cells. Cells 7: 105-113. 1976.
최근 세계 각국에서 비만은 심각한 보건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세계화의 영향과 산업성장으로 인해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습관의 불균형과 활동량 부족으로 비만 인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당뇨병, 암, 고혈압, 동맥경화와 같은 순환기계 질환 등 비만과 관련된 질환의 발병률도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사망원인들 중의 하나로서, 그 심각성은 점점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만이 생기는 원인은 내분비계 및 인체 내 대사와 같은 유전적인 부분도 있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에너지 축적과 에너지 소비의 불균형, 즉 열량 섭취량 및 열량 소비량의 불균형 때문이다. 한의학에서는 비만의 원인으로 膏梁珍味, 氣虛, 濕滯 등으로 보고 있으며 치료법으로는 利水化濕, 化痰, 淸熱通腑, 活血祛瘀의 약물요법을 쓰고 있다.
지방세포는 비만과 관련이 있는 생리적 요소로서 지방 세포내의 중성지방 양이 늘어나거나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비만을 유도하게 된다. 세포내 중성지방이 증가하게 되면 운동이나 식이조절을 통해 축적된 중성지방을 분해 할 수 있지만 지방세포 수의 증가로 비만이 유도된 경우에는 생성된 지방세포를 파괴하거나 제거해야 하므로 비만을 치료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전구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성장과정 중 특정 호르몬의 급작스러운 양적변화와 과잉 영양 공급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지방세포 분화 유도인자에 의해 신체 내 특정부위에서 지방세포 분화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지방세포의 크기는 한계가 있으므로 과잉에너지를 섭취 할 때 에너지를 신속히 저장하기 위해서 지방세포수의 증가가 일어나게 된다. 3T3-L1 세포주는 3T3 쥐 배아의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래 된 전구 지방세포주로서 비만이나 대사성 질환 연구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비만 인구와 그로 인한 대사성 질환 발병률은 심각한 보건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WHO(세계보건기구)의 보고에 의하면 약 10억의 인구가 과체중이며, 그중 한국인의 경우가 서구인에 비해 BMI(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한 비만도가 낮지만 당뇨, 대사질환 발병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비만 및 대사질환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많은 비만 치료제의 대부분은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게 하여 식욕을 억제하거나 지방의 소화를 막아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부작용으로 두통과 불면증 혈압상승, 식욕부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는 약도 있어 위험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식품 소재와 한약재로부터 비만 치료제를 찾는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황기(Astragali Radix; AR)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주로 肺, 脾經에 작용하며 補中益氣의 효능이 있어 脾胃氣虛證, 中焦虛寒證, 氣虛證을 치료하는 補益藥이다. 內傷勞倦, 脾虛로 인한 泄瀉, 脾肺氣虛로 인한 小氣 懶言과 식소변당 등을 치료한다. 황기에는 astragalo- side Ⅰ,Ⅱ, Ⅳ, soya saponin Ⅰ, 플라보노이드인 formononetin을 함유하고 있고, 백혈구 수 증가 작용, 혈관확장, 혈압강하 작용, 당 조절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차전초(Plantago asiatica; PA)는 질경이과(Planta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 草本으로, 藥性이 차가우며 성질이 滑利하고 오로지 降泄하므로, 水道를 通利하여 삼습설열시켜 濕熱이 소변을 따라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小便不利와 소변이 단소삽통하는 淋病을 치료한다. 주요 성분으로 aucubin, plantaginin, homo-plantag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비뇨계 결석, 급만성 신염, 고혈압, 급성 소아설사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약재이다.
항비만 소재를 탐색하기 위한 in vitro 연구에서는 3T3-L1 cell을 이용하여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생성을 저해하는 소재의 효능 및 기전을 연구하는데, 이 세포주는 성장이 시작되면 성장기간 동안 100% 융합이 일어나는데 이때 배양액에 적절한 분화유도물질(insulin, dexamethasone, isobutylmethyl- xanthine)을 첨가하면 성장이 멈추고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천천히 시작되어 지방세포로서의 형태적, 생화학적 특징을 띠게 된다. 즉, 분화가 되기 전에는 섬유아세포와 같은 모양의 지방전구세포(fibroblast-like preadipocyte)에서 분화 후에는 둥근모양의 구조의 지방세포(round fat cell)로 성숙한다.
본 연구에서는 체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는 소재를 찾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황기 및 차전초의 조합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기 및 차전초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기 및 차전초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황기 및 차전초의 조합은 중량배합비가 1?10:1, 바람직하게는 1?5:1,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로 조합된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황기 및 차전초를 적절한 배합비로 배합하고, 각각 세척, 건조 및 세절하고, 상기 시료 총 중량의 약 1배 내지 200배(w/w),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00배(w/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하여 12시간 내지 1주일,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법 또는 열수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건조시키는 제 2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개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황기 및 차전초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조합 추출물은 3T3-L1 adipocyte를 이용한 세포생존율실험, 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억제실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실험을 통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생성 억제 효능과 세포사멸 유도능이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오징어젓 및 오징어를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조합 추출물은 3T3-L1 adipocyte를 이용한 세포생존율실험, 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억제실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실험을 통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생성 억제 효능과 세포사멸 유도능이 탁월함을 확인한 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성숙된 지방분화세포에 대한 시료의 효과를 MTT 어세이법으로 새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데이타는 평균(means)±SD (n=3); (A) ARW-처치군, (B) ARE-처치군, (C) PAW-처치군, (D) PAE-처치군을 나타내고 *p<0.01: 비처치군 (0 ㎎/㎖) 과 유의적으로 상이함),
도 2는 성숙된 지방분화세포에 대한 시료의 효과를 MTT 어세이법으로 새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데이타는 평균(means)±SD (n=3); (A) ARW+PAW-처치군, (B) ARE+PAE-처치군 (C) ARW+PAE-처치군 을 각각 나타내고 *p<0.01: 비처치군 (0 ㎎/㎖) 과 유의적으로 상이함),
도 3은 성숙된 지방분화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에 대한 시료의 효과를 오일 O 레드 염색법으로 8일 시료 처치후에 얻은 영상을 나타낸 도이고 ((A) 대조군 (DMSO) (B) ARW (200 ㎍/㎖), (C) ARE(200 ㎍/㎖), (D) PAW (200 ㎍/㎖), (E) PAE (200 ㎍/㎖)-처치군 (x100)을 각각 나타냄),
도 4는 성숙된 지방분화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에 대한 시료의 효과를 오일 O 레드 염색법으로 8일 시료 처치후에 얻은 영상을 나타낸 도이고,((A) 대조군 (DMSO) (B) ARW+PAW (200 ㎍/㎖), (C) ARE+PAE (200 ㎍/㎖), (D) ARW+PAE-처치군 (x100)을 각각 나타낸 도),
도 5는 3T3-L1 지방분화세포에서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시료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세포 사멸된 세포는 화살표로 표시하고 (A) 대조군 (DMSO)-(B) ARW-처치군 (200 ㎍/㎖) (C) PAE-처치군 (200 ㎍/㎖), (D) ARW+PAE-처치군 (200 ㎍/㎖) (x400)을 각각 나타낸 도),
도 6은 시료 추출물들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을 나타낸 도이며 (모든 수치는 삼중치의 평균(means)±SD으로 표시함),
도 7은 시료 추출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을 나타낸 도이다 (모든 수치는 삼중치의 평균(means)±SD으로 표시함).
이하, 본 발명을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합 추출물의 제조
1-1. 물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된 황기(Astragali Radix; AR)는 충북 제천에서 차전초(Plantago asitica; PA)는 경북 영천산을 엄선하여 증류수로 수세한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에 사용하였다. AR, PA 또는 AR과 PA의 동량 혼합물 각각 600 g에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한약추출기((주)대웅, 한국)로 2시간 30분 동안 가열하고 추출물을 여과 및 건조시켜 황기 물추출물 (수득율: 7.1%, 이하, ARW라 함), 차전초 물추출물 (수득율: 7.3%, 이하, “PAW"라 함), 및 이들의 1:1 조합 추출물 (수득율: 12.5%,이하, ”ARW+PAW“ 라 함)을 각각 수득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물 및 알콜 혼합 용매 추출물의 제조
각각의 알코올 추출물(ARE, PAE, ARE+PAE)은 AR, PA 또는 AR과 PA의 동량 혼합물 각각 600 g에 10배의 95% 알코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72시간 추출하여 여과하고 수집한 각각의 여액을 rotary evaporator (EYELA, Japan)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황기 알콜 추출물 (수득율: 3.1%, 이하, ARW라 함), 차전초 알콜 추출물 (수득율: 8.6%, 이하, “PAW"라 함), 및 이들의 1:1 조합 알콜 추출물 (수득율: 3.7%, 이하, ”ARW+PAW“ 라 함)을 각각 수득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ARW: 7.1, ARE: 3.1, PAW: 7.3, PAE: 8.6, ARW+PAW: 12.5, ARE+PAE: 3.7%)
참조예 1. 실험 준비
1-1. 세포배양
3T3-L1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는 10%의 bovine calf serum (BSC), 1% penicillin streptomycin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에서 37℃, 5% CO2에서 8일간 배양하였다.
1-2. 지방세포 분화 및 약물처리
3T3-L1 세포주를 10% fetal bovine serum (FBS)가 첨가된 DMEM 배지에서 배양시켜 confluent한 상태가 되면 분화를 유도하면서 시료를 처리하였다. 분화가 시작한 시점(D-0)에서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cin, 2 g/㎖ insulin, 2 uM dexamethasone, 111 ㎍/㎖ isobutyl methylxanthine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하여 2일 동안 배양하였다. 2일 후(D-2)에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2 g/㎖ insulin이 포함된 DMEM 배지로 바꿔 주고, D-5일째부터 insulin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로 D-8이 되는 시점까지 배양하였다. 시료는 분화 배지 교환 시 매번 동일 농도로 처리하였다.
1-3. 통계분석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고 결과 수치는 mean±SD로 표기하였다. 각 군간 차이는 SPSS 11.5 (SPSS Inc.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OVA 분석 후, 사후 검정인 Tukey test를 실시하여 검정하였다 (p<0.01).
실험예 1. 지방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들의 지방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MTT 어세이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Lin J. et al.,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 Gallate Inhibits Adipogenesis and Induces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Obesity Research 13(6), pp.982-990, 2005).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96 well plate에서 3-(4,5-methylthiazol-2-yl)-2,5-diphe- nyltetrazolium bromide (MTT)분석을 시행하였다. 세포에 각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 MTT 용액 60 ㎕를 넣어 암실에서 2시간 반응시킨 뒤 dimethyl sulfoxide (DMSO)를 200 ㎕를 가하여 ELISA reader (Techan, Germany)로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7종의 시료 (ARW, ARE, PAW, PAE, ARW+PAW, ARE+PAE, ARW+PAE)를 농도별(0.1, 0.3, 1 ㎎/㎖)로 24시간 처리하여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는 DMSO를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시료 농도에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1 ㎎/㎖ 농도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ARE군(80%), PAE군(80%), ARW+PAW군(77%), ARE+PAE(75%), ARW+PAE 추출물군(74%)에서 낮은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0.3, 1 ㎎/㎖ 농도의 ARE군, PAE군 및 ARW+PAE군과 1 ㎎/㎖ 농도의 ARW+PAW군, ARE+PAE군에서는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p<0.01)하게 세포생존율이 저해되었다 (도 1, 2).
실험예 2.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들의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Oil Red O 염색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Jeon, T., Hwang, S.G., Hirai, S., Matsui, T., Yano, H., Kawada, T., Lim, B.O., Park, D.K. Red yeast rice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by down-regula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 Life Sci 75(26):3195-3203, 2004) (Lin, J., Della-Fera, M.A., Baile, C.A.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 gallate inhibits adipogenesis and induces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Obes Res 13(6):982-990, 2005).
3T3-L1 adipocyte의 세포분화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분화가 종료된 후 D-PBS로 배양접시를 3회 세척하고 cacodylate buffer로 4℃에서 2시간 고정시킨 후 oil red o solution (O5625\, SIGMA)을 3 ㎖ 넣어 2시간 염색을 하였다. 염색이 끝나면 염색액을 제거하고 40% isopropyl alcohol로 3회 세척하고 건조한 시킨 다음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시료를 200 ㎍/㎖로 처리하고 현미경 및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단일추출물 처리군에서는 ARW와 PAE의 지방생성 저해효과가 뛰어났다. 또한 단일 추출물 보다는 복합추출물의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을 저해효과가 우세하였다. 한편 복합추출물 ARW+PAE가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세포 내 지방생성을 억제시키는 효능이 가장 뛰어났다. 또한 단일추출물 보다 이들의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에서 좀 더 높은 억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3, 4).
실험예 3. TUNEL 염색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들의 세포사멸 양성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labeling (TUNEL) 염색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석장미. Antiobese effects of mixed herbal medicine in 3T3-L1 adipocytes and rats fed high-fat diet.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8).
Apoptosis 양성세포를 관찰하기 위해 TUNEL assay kit (Roche, Manheim, Germany)을 이용하여 TUNEL 염색을 실시하였다. 세포를 4 chamber slide에 배양하여 분화시키고 분화 마지막에 시료를 24시간 처리하였다. 분화가 끝난 세포를 D-PBS로 세척한 후 4% paraformaldehyde로 실온에서 1시간 고정하였다. 고정이 끝난 후 재차 D-PBS로 세척한 다음 3% H2O2로 blocking을 실시한 후 permeabilization 용액을 첨가하여 permeabiliza- tion 시키고 Tunnel 반응혼합액을 50 ㎕ 첨가하여 37℃ 암실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DAB solution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1, 2에서 관찰된 세포독성 및 도 3, 4에서 관찰된 지방세포 분화 억제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의 효능을 재확인하기 위하여 효능이 뛰어났던 혼합추출물인 ARW+PAE와 단일추출물인 ARW 및 PAE를 처리하고 TUNEL에 양성으로 염색된 apoptotic cell을 관찰하였다. DMSO만으로 처리된 대조군에서는 apoptotic cell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TUNEL에 양성으로 염색된 apoptotic cell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ARW, PAE, ARW+PAE의 순으로 분화 성숙된 지방세포를 세포사멸로 유도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5).
실험예 4. 총 페놀 화합물 및 총플라보이드 함량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들의 총 페놀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998 ; Chang, C.C., Yang, M.H., Wen, H.M., Chern, J.C. Estimation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propolis by two complementary colorimetric method. J Food Drug Anal 10: 178-182, 2002).
총 페놀 화합물의 정량은 Foiln-Denis법)따라 시료 추출물 0.5 ㎖에 10% Foline-Ciocalteau 0.5 ㎖를 넣고 3분 후에 10% sodium carbonate (Na2CO3) 0.5 ㎖를 혼합하고 1시간 후 spectrophotometer (UVD 3200, Labomed, Culver, USA)를 이용하여 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tannic acid를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표준 검량선 (0~500 ㎍/㎖의 농도)으로 부터 건조 한약재 그램당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iethylene glycol을 이용한 방법으로 시료 추출물 1 ㎖에 diethylene glycol 2 ㎖를 첨가, 충분히 시료가 용해되도록 하고, 0.2 ㎖ 0.1N NaOH를 첨가하여 1시간동안 37℃ 수조에서 반응시키고,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rutin을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표준 검량선(0~200 ㎍/㎖의 농도)으로 부터 건조 한약재 그램당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본 실험 결과, 3T3-L1 adipocyte의 지방축적 및 세포분화 억제에 효과가 있었던 한약재 단일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건조 한약재 g 당 총 페놀 화합물 함량으로 환산한 결과, 각각 14.50, 29.21, 27.22 ㎎/g DW로 PAE에서 ARW보다 많은 함량의 총 페놀성 화합물이 측정되었으며, 이들의 동량 혼합물인 ARW+PAE는 각각 단일 추출물의 합과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도 6).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한약재 단일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에서 총 플라보노이드화합물 함량을 측정하고, 건조 한약재 g 당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양을 환산한 결과 ARW는 2.18 ㎎/g DW, PAE는 2.80 ㎎/g DW, 그리고 이들의 동량 혼합물인 ARW+PAE는 2.61 ㎎/g DW로 각각 단일 추출물의 합과 유사하였으며, PAE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도 7).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ARW+PAW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ARW+PAW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ARW+PAW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ARE+PAE 10 mL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ARE+PAE 20 mL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ARE+PAE 1000 mL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ARW+PAW 1000 mL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5)

  1. 황기 및 차전초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 및 차전초의 조합은 중량배합비가 1?10:1로 조합된 조합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4. 황기 및 차전초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10016756A 2011-02-24 2011-02-24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56A KR101293835B1 (ko) 2011-02-24 2011-02-24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56A KR101293835B1 (ko) 2011-02-24 2011-02-24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68A true KR20120097268A (ko) 2012-09-03
KR101293835B1 KR101293835B1 (ko) 2013-08-07

Family

ID=4710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756A KR101293835B1 (ko) 2011-02-24 2011-02-24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5728A (zh) * 2013-12-18 2014-03-26 江苏恒丰强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芪贞增免长效颗粒药丸
KR20190138455A (ko) * 2018-06-05 2019-12-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황기 추출물 및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45B1 (ko) * 2003-07-28 2011-06-20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5728A (zh) * 2013-12-18 2014-03-26 江苏恒丰强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芪贞增免长效颗粒药丸
KR20190138455A (ko) * 2018-06-05 2019-12-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황기 추출물 및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835B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22B1 (ko) 항비만 효능의 약용식물 추출물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0863524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1044B1 (ko)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3414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8933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72164B1 (ko) 지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30046054A (ko)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75247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30853A (ko) 감초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7463A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61212A (ko) 측백엽, 백자인, 노간주나무 및/또는 참취의 추출 혼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관련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93573B1 (ko)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5666A (ko) 갈조소, 유근피 및 저분자 알긴산의 천연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98536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67937A (ko) 사이코사포닌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16646B1 (ko) 겹삼잎국화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82907B1 (ko) 등골나물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또는 골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030575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