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043A -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043A
KR20060107043A KR1020050029014A KR20050029014A KR20060107043A KR 20060107043 A KR20060107043 A KR 20060107043A KR 1020050029014 A KR1020050029014 A KR 1020050029014A KR 20050029014 A KR20050029014 A KR 20050029014A KR 20060107043 A KR20060107043 A KR 20060107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nsulating film
transparent insulating
display device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413B1 (ko
Inventor
정태석
최일선
Original Assignee
삼화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전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2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41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2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oxides of As, Sb, Bi, Mo, W, V, Te as glass for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4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4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 C03C3/145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or beryll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4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 C03C3/15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containing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6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us
    • C03C3/19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us containing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6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us
    • C03C3/21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us containing titanium, zirconium, vanadium, tungsten or molybde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6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dielectric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4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8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phosphor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85Plasma addressed liquid crystal displays [PA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에 관련된 것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생산효율과 품질이 향상되고, 대화면표시장치의 색 온도 저하를 최소화하고, 색 순도를 높일 수 있는 불루-타입(Blue-type) 투명절연막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은 Bi2O3 15-50wt%, B2O3 15-50wt%, BaO 1-20wt%, ZnO 5-40wt%, CaO 0.1-15wt%로 구성되는 메인 조성물에, SiO2, Al2O3, P2O5, MgO, Sr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이 0.1-10wt%, CuO, CeO2, CoO, V2O5, La2O3, Nd2O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이 0.1-10wt%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A composite brightness insulator film for Flat Panel Display and the same composite method}
도 1은 투명절연막을 갖는 일반적인 PDP의 대화면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투명유리기판 2 - 버스전극(ITO전극)
3,13 - 투명절연막 4 - 보호막
12 - 어드레스전극(Ag전극)
14 - 크로스토크 방지 셀재(격벽재)
15 - 형광물질
본 발명은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대화면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투명절연막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인체에 유해한 납(Pb)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품질이 향상되는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화면표시장치를 구성하는 PDP는 한 예로 도1의 구조와 같이 구성된다.
투명유리기판으로 된 상판(1)에는 버스전극과 연결되는 ITO(Indium Tin Oxide)전극(2)이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ITO전극을 덮도록 유전체층으로 된 투명절연막(3) 및 보호막(4)이 구성된다.
한편, 투명유리기판으로 된 하판(11)에는 은(Ag)전극 등으로 된 어드레스전극(12)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유전체층으로 된 투명절연막(13)에 의하여 커버된다. 그리고 상기 유전체층 위에는 화소의 크로스토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셀의 경계 영역에 크로스토크 방지 셀재(14)가 구성된다. 상기 크로스토크 방지 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화소영역에는 형광물질(15)이 도포되도록 형성되고, 각 화소의 밀폐된 공간 영역에는 플라즈마 가스가 주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PDP는 투명유기기판으로 된 상판(1)의 ITO전극과 연결된 버스전극과, 하판의 어드레스전극(12)에 인가되는 전압의 컨트롤에 의하여 플라 즈마 방전가스를 방전시키면 그 플라즈마 가스(Xe,Ne 등)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형광물질(15)을 여기시킴으로써 해당하는 화소영역이 발광하게 된다.
상기 PDP의 대화면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리 조성물의 투명절연막(3)(13)은 플라즈마 방전시에 이온 충격으로 부터 전극을 보호하고, 방전 유지 및 발광 효율의 향상, 확산 방지 등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80% 이상의 광 투과율, 10-15 범위 내의 유전율, 1.1KV의 내전압을 갖고, 피접착제간의 열응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팽창계수가 유리기판과 유사하여야 하고, 550-600℃ 사이에서 소성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특성 조건이 요구되는 종래의 투명절연막의 유전체층은 낮은 소성 온도를 얻기 위하여 Pb(납)이 다량 함유된 PbO-B2O3-SiO2계를 주로 사용하였다.
상기 PbO는 유리 조성물 즉, 투명절연막의 용융점을 낮추는데 효과적이고, 알루미나와 같은 산화물과의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저온 소성용 유리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첨가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PbO가 함유된 유리조성물이 폐기되는 경우, 자연 상태에서도 산 또는 알카리 용액과 화학반응을 쉽게 일으키므로 토양 및 수질 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또, PbO를 함유하지 않은 투명절연막의 유리 조성물로 SiO2-P2O5-ZnO-BaO계, SiO2-B2O3-ZnO-BaO계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유리 조성물의 용융점을 낮추기 위하여 Li, Na, K등의 알카리 금속 산화물이 첨가된다. 그러나, 첨가되는 알카리 금속 이 온은 유리 조성물 내에서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그 조성물을 소성할 경우 인접하여 구성되는 PDP의 Ag전극(어드레스전극) 등의 금속막과 이온 교환이 일어나 Ag전극 등의 금속막에 대한 변색을 일으켜 PDP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PDP의 대화면표시장치를 방전시 방전가스 중 Ne은 오랜지 색의 가시광선을 방출함으로써 대화면표시장치의 색순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형광체 재료의 고유한 광학 특성에 의해 색순도가 나빠지며, 외부광의 반사 등에 의해서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인체나 환경에 유해한 납 성분이 포함되지 않고, 소성 과정에서 인접하는 금속막으로 확산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저융점의 유전체의 투명절연막 즉, 색온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색순도를 높일 수 있는 블루-타입(Blue-type) 유리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PDP등의 대화면표시장치의 패널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패널의 제조에 친환경적인 소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은 Bi2O3 15-50wt%, B2O3 15-50wt%, BaO 1-20wt%, ZnO 5-40wt%, CaO 0.1-15wt%로 구성되는 메인 조성물에, SiO2, Al2O3, P2O5, MgO, Sr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의 산화물이 0.1-10wt%, CuO, CeO2, CoO, V2O5, La2O3, Nd2O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이 0.1-10wt%로 구성된 보조 조성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
Bi2O3(wt%) 38.8 36.2 29.6 45 45.2 11.8 36.6 35.2
PbO (wt%) 45
B2O3 (wt%) 16 19.7 21.4 14 15.1 25.4 20.1 19.2 25
BaO (wt%) 15.5 12.4 17.1 13.3 17.4 19 12.7 12.1 15
ZnO (wt%) 18.5 27.8 20.3 16 16.4 36 24.3 27
CaO (wt%) 3 2.4 5.1 3 1 3 4 2.3
Al2O3(wt%) 2 2 5
P2O5 (wt%) 4 4.9
MgO (wt%) 1 2.7
SiO2 (wt) 1.2 1.3 1.5 4.9 2.5 3 1.3 1.5 10
SrO (wt%) 1.5
CuO (wt%) 0.2 0.5 0.4 0.5
CeO2 (wt%) 0.1
CoO (wt%) 0.6 0.3
La2O3 (wt%) 0.5
Nd2O3 (wt%) 2.7
전이점Tg(℃) 476 480 485 475 480 493 478 483 475
연화점Ts(℃) 50 505 515 497 498 530 513 523 496
선팽창계수 TEC( x10-7 79 71.6 78.6 77.9 72.3 69 74.3 71.6 75.3
유전율 12-12.5 11-12 11.5-12 11-12 11-11.5 10.5-11.5 11.5-12 11.5-12 10-11
내수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Ag전극 변색
투과율(%) 80 80 81 48 80 82 81 80 77
결정화 유무
내전압(Kv) 2.2 2.3 3.3 2.5 2.7 2.9 2.6 2.7 1.8
표1에 나타낸 조성물의 배합 비율로 시료 샘플 8개를 각각 배합한 후 전기로에 넣고 섭씨 약 1200-1350℃까지 한시간 동안 용융한 후, 트윈 롤을 이용하여 건식으로 급랭하였다, 급랭된 유리물은 밀디스크로 조 분쇄하고, 다시 건식 분쇄기로 미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2.5㎛인 PDP용 투명절연막용 유리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리분말 70wt%와 에틸셀룰로오스계 비히클인 알파-테르피네오올(α-Terpinol)30wt%를 혼합하여 3롤 밀링한 후 탈포하여 유리조성물 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그 페이스트를 Ag금속막의 패턴이 형성된 투명유리 기판위에 100-150㎛ 두께로 스크린 인쇄법으로 코팅한 후 120-180℃의 열을 가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조성물과 에틸셀룰로오스계 비이클의 배합비율은 대략 7:3의 중량%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에틸셀룰로오스계 비이클은 휘발되기 때문에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라 6:4~9:1의 배합비율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정하여 배합하여도 된다.
또, 상기 에틸셀룰로오스계 비히클은 알파-테르피네오올(α-Terpinol)외에 BCA(Butyl Carbinol Acetate), DBP(De-butyl Phthalat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물질을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유리조성물 페이스트를 약 570℃의 온도로 소성하여 표1과 같이 샘플 시료를 8개 제조하고, 그 시료의 샘플과 대비하기 위하여 종래 PbO 성분이 포함되는 유리조성물의 투명절연막을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1개 제조하여 비교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페이스트는 570℃의 온도로 소성하였으나 500-600℃의 온도 범위 이면 된다.
상기 투명절연막의 제조방법은 스크린 인쇄법 외에 후막 코팅법, 라미네이팅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각 샘플을 이용하여 블루-타입의 투명절연막의 전이점(Tg), 연화점(Ts), 결정화, 선팽창계수, 유전율, 내수성, 황변현상, 투과율, 결정화 유무, 내전압 등을 각각 측정 대비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상기 전이점은 블루-타입 투명절연막을 분말로 만들어 10℃/min의 승온 속도로 800℃까지 승온 시키면서 전이(물질이동이 시작되는 시점)가 일어나는 온도를 측정하여 기록 하였고, 상기 연화점은 용융되어진 유리를 괴상으로 제조하여 3mm x 3mm x 19mm의 사이즈로 연마한 후, 10℃/min의 승온속도로 500℃까지 승온 시키면서 연화(고상에서 액상으로 넘어가는 시점)가 일어나는 온도를 측정하여 기록 하였다.
그리고, 결정화는 전이점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700℃를 기준으로 결정화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목시 검사하여 기록하고, 내수성은 시료 샘플을 4mm x 4mm 의 사이즈로 연마한 후, 30℃의 증류수에 24시간 침적한 후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었는가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고,
선팽창계수(TEC)는 용융되어진 유리를 괴상으로 제조하여 3mm x 3mm x 15mm의 사이즈로 연마한 후, 10℃/min의 승온속도로 500℃까지 승온시키면서 50℃-350℃ 사이에 시편이 팽창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 황변 현상은 각 시료를 100mm x 50mm의 사이즈로 절단한 후, 컬러리미터로 Ag(은)의 금속전극의 확산정도를 평가하여 색지수와 비교하여 기록 하였다.
또, 내전압은 각 투명절연막을 100mm x 50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그 시편의 상/하부에 전극을 부착한 후, DC전압을 인가하여 절연 파괴되는 전압을 측정하였다.
또, 유전율은 시편을 100mm x 50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그 시편의 상/하부에 전극을 부착한 후, LCR메터로 1KHz에서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시편의 유전율(정전용량(C)x (두께/면적)(1/8.842x10-12)을 계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표1에 기록된 실험 결과에 의하여 알 수 있는 것처럼 B2O3는 블루-타입 투명절연막의 유리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필수 성분으로 일반적인 붕규산 유리에서는 B2O3의 함량이 늘어날 수록 유리의 전이점 및 연화점은 낮아지나, 저온 소성 재료에서는 그 반대로 B2O3의 함량이 늘어날 수록 전이점 및 연화점이 증가함을 알수 있다.
또, BaO/CaO는 유리의 수식제로 작용하며 유리의 전이점및 연화점을 저하시키고, 유전률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CuO/CeO2/CoO/La2O3/Nd2O3는 첨가제로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하여 Ag전극에서 이동되는 Ag 이온과의 황변현상을 억제하도록 작용하고, 이 첨가제가 1중량%를 초과 하는 경우에는 모상유리가 착색되어 투과율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본 발명의 유리 조성물은 종래 PbO 성분이 함유된 유리 조성물과 비교하였을 때, 종래 유리 조성물은 75%의 투과율, 1.8KV의 내전압과 Ag전극의 황변 현상이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8은 80%의 투과율, 2.3KV 이상의 내전압과 Ag전극의 황변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대화면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블루-타입 투명절연막의 유리 조성물은 종래의 PbO가 포함된 투명절연막의 유리조성물과 비교하여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납성분을 포함하지 않음으로 대화면표시장치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환경 친화적이어서 환경 처리비용에 대한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종래 투명절연막의 유리 조성물과 비교하여 황변 현상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와 외부광과 색순도를 떨어뜨리는 불필요한 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Bi2O3 15-50wt%, B2O3 15-50wt%, BaO 1-20wt%, ZnO 5-40wt%, CaO 0.1-15wt%로 구성되는 메인 조성물에, SiO2, Al2O3, P2O5, MgO, Sr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이 0.1-10wt%, CuO, CeO2, CoO, V2O5, La2O3, Nd2O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이 0.1-10wt%로 구성된 보조 조성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200-1350℃로 용융된 후 냉각 과정을 거쳐 분말 형태로 분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된 분말과 에틸셀룰로오스계 비히클이 6:4~9:1의 배합비율로 배합되어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되고, 상기 페이스트는 약 500-600℃의 온도로 소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셀룰로오스계 비히클은 알파-테르피네오올, BCA, DBP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KR20050029014A 2005-04-07 2005-04-07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KR10066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9014A KR100663413B1 (ko) 2005-04-07 2005-04-07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9014A KR100663413B1 (ko) 2005-04-07 2005-04-07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043A true KR20060107043A (ko) 2006-10-13
KR100663413B1 KR100663413B1 (ko) 2007-01-02

Family

ID=3762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9014A KR100663413B1 (ko) 2005-04-07 2005-04-07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60B1 (ko) * 2006-07-14 2007-12-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디피 격벽용 유리프릿 조성물
KR20140122661A (ko) * 2013-04-10 2014-10-20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절연막 형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4700B2 (ja) * 1994-04-27 2003-07-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絶縁用ガラス組成物
US6787239B2 (en) * 2001-11-30 2004-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de material, dielectric material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m
JP2005041734A (ja) * 2003-05-26 2005-02-1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誘電体形成用ガラス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用誘電体形成材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60B1 (ko) * 2006-07-14 2007-12-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디피 격벽용 유리프릿 조성물
KR20140122661A (ko) * 2013-04-10 2014-10-20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절연막 형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413B1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2725A1 (en) Glass composition and paste composition suitable for a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EP1878710A1 (en) Glass composition for electrode coating and glass paste containing same
US20070298956A1 (en) Composition of glass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EP1884500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00121685A (ko) 내산성을 갖는 무연 저융점 유리조성물
JP2006193385A (ja) 電極被覆用ガラス、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前面基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背面基板
US6497962B1 (en) Low melting point glass for covering electrodes, and plasma display device
US6617789B2 (en) Glass for covering electrodes and plasma display panel
US7847483B2 (en) Glass composition and display panel using same
JP4799043B2 (ja) 低融点ガラス組成物
KR100732720B1 (ko) 전극 피복용 유리, 전극 피복용 착색 분말,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3413B1 (ko) 대화면표시장치의 투명절연막의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JP4725045B2 (ja) 無鉛ガラス、電極被覆用ガラス粉末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6376400B1 (en) Low melting point glass for covering electrodes, and glass ceramic composition for covering electrodes
US8004193B2 (en) Glass composition and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080044771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전체 분말
KR100694388B1 (ko) Pdp의 무연 후면판용 유전체재 조성물 및 조성방법
KR100718989B1 (ko) Pdp의 크로스토크 방지 셀재의 조성물 및 그 셀재의조성방법
KR10078128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22605B1 (ko) 플라즈마표시장치용유전체조성물
KR1008081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74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89123A (ko) 대화면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방지 셀재의 조성물 및 그셀재의 조성방법
KR100663482B1 (ko) Pdp의 크로스토크 방지 셀재의 조성물 및 그 셀재의조성방법
KR1008608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용 저융점 유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