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888A -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888A
KR20060101888A KR1020050023459A KR20050023459A KR20060101888A KR 20060101888 A KR20060101888 A KR 20060101888A KR 1020050023459 A KR1020050023459 A KR 1020050023459A KR 20050023459 A KR20050023459 A KR 20050023459A KR 20060101888 A KR20060101888 A KR 20060101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ter
hose
wash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366B1 (ko
Inventor
김나은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3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터브 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급수 방법, 상기 급수 방법을 이용한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방법, 그리고 이들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은, 급수원의 세탁수를 제1 호스를 통해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급수원의 세탁수를 상기 제1 호스와 다른 경로를 가진 제2 호스를 통해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방법 및 헹굼 방법은 각각, 외부의 급수원과 터브를 연결하는 제1 호스, 그리고 상기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상기 제1 호스와는 다른 경로로 연결하는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마친 후 세탁을 수행하거나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급수 밸브와 터브를 연결하며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호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터브를 상기 제1 호스와는 다른 경로로 연결하며,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탁, 헹굼, 급수, 급수 호스, 증기 공급 호스, 증기 발생기

Description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ying water to tub and for washing and rinsing laundr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3a 도 1의 세탁기의 증기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3b는 도 1의 세탁기의 증기 발생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급수 호스와 증기 공급 호스에 연결되는 노즐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세탁 알고리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불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세탁 알고리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헹굼 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차트;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헹굼 알고리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5: 순환 호스 50: 세제 박스
60: 노즐 어셈블리 100: 케이스
200: 터브 300: 드럼
400: 급수 밸브 510: 급수 호스
520: 증기 공급 호스 600: 증기 발생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헹구기 위해서 세탁기의 터브 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급수 방법, 상기 급수 방법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헹구는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방법, 그리고 이들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제와 물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대표적인 가전제품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위치에 따라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탑 로딩 방식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직하게 세워 진 터브,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펄세이터, 그리고 세탁기의 윗면에 제공되어 상기 터브를 개폐하는 리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탑 로딩 방식 세탁기는 상기 펄세이터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생기는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데, 세탁 시간이 짧고 대용량화가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들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펄세이터가 구비된 탑 로딩 방식 세탁기는, 세탁물의 엉킴 현상이 발생하고 세탁물의 손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프런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평하게 배치된 드럼 및 터브, 상기 드럼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세탁물을 들어올린 후 떨어뜨리는 다수의 리프터들, 그리고 상기 세탁기의 전면에 제공되어 상기 드럼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런트 로딩 방식 세탁기는, 상기 드럼 내부에 물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세탁하는데,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물을 적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세탁물이 엉키지 않는 장점들이 있다.
한편, 탑 로딩 또는 프런트 방식의 세탁기에서 세탁 및 헹굼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세탁수가 터브 내로 공급되어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세탁수는 하나의 급수 호스를 통해서 터브 내로 공급되므로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터브 내로 공급되기까지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탑 로딩 또는 프런트 방식의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터 브 내에 세탁수를 공급한 다음에는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적셔주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세탁기의 경우 세탁물을 충분히 적셔주기 위해서 상기 드럼을 장시간 회전시켜 주어야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급수 호스의 중간에는 일반적으로 세제 박스가 구비되므로, 상기 세탁수는 항상 상기 세제 박스를 경유한 후 터브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세제 박스의 모서리에 남아 있는 세제 찌꺼기가 헹굼 시에도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세탁물에 세제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깨끗이 헹구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세탁수를 세탁기의 터브 내에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을 짧은 시간 내에 골고루 적셔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헹굼 후 세제 찌꺼기가 세탁물에 남지 않도록 깨끗이 헹구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급수원의 세탁수를 제1 호스를 통해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급수원의 세탁수를 상기 제1 호스와 다른 경로를 가진 제2 호스를 통해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 루어진 세탁기의 급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호스는 세제 박스를 경유하며, 상기 제2 호스는 상기 세제 박스를 우회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은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 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호스를 경유한 세탁수는 상기 터브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호스는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경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탱크는,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범람시켜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한번에 소정량 씩 배출하여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는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급수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터브 내에 제1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할 때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은, 상기 터브 내에 제1 수위까지 상기 세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호스를 통해서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호스를 통해서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더 공급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 까지 진행되거나, 소정량의 세탁수가 더 급수될 때 까지 진행되거나,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 보다 높은 제2 수위가 될 때 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은,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상기 세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진행되거나,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이를 때까지 진행되거나, 상기 탱크 내의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히터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 수위에 이를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외부의 급수원과 터브를 연결하는 제1 호스, 그리고 상기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상기 제1 호스와는 다른 경로로 연결하는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브 내의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세탁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호스는 세제 박스를 경유하고, 상기 제2 호스는 상기 세제 박스를 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호스는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경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방법은,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급수되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세탁물을 수용하는 상기 터브 내의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세탁물을 적시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세탁물이 적셔지는 동안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호스를 경유한 세탁수는 상기 터브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는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방법은,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급수되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탱크 내에 생성된 증기를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는 세탁물을 적시기 위해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터브 내로 분사되거나,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본 세탁 행정 시 상기 터브 내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방법은, 상기 제2 호스를 통한 증기 공급을 종료하고 상기 제1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새로운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까지 내려가면 세탁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외부의 급수원과 터브를 연결하는 제1 호스, 그리고 상기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상기 제1 호스와는 다른 경로로 연결하는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브 내의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헹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헹굼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헹굼 방법은, 상기 세탁물을 헹구는 동안 상기 터브 내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터브 내로 다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핑된 세탁수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서 상기 터브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헹굼 방법은, 상기 세탁물을 헹구는 동안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새로운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새로운 세탁수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서 상기 터브 내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서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제공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며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호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터브를 상기 제1 호스와는 다른 경로로 연결하며,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호스는 세제 박스를 경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호스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경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는 내부에 공급된 후 범람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도록 상기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는 내부에 저장된 소정량의 물을 한번에 상기 터브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의 하부에 형성된 온오프 가능한 제2 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탱크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상기 제1 호스는 상기 제2 호스보다 많은 양의 물을 단위 시간 당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는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소정 수위에 이를 때 까지 상기 제1 호스와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물을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에서, 상기 급수 밸브는,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소정 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고 상기 제2 호스를 통해서 상기 터브 내로 물을 더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호스를 경유한 물은 상기 터브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에서,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소정 수위에 이르러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가 중단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제2 호스를 통해서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하거나 증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에서, 상기 제2 호스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적실 때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헹굴 때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에서, 상기 탱크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적실 때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증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할 때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증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와 연통된 순환 펌프; 그리고 상기 순환 펌프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며,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해 펌핑된 상기 터브 내의 물을 상기 터 브 내로 다시 공급하는 순환 호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 펌프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적시거나, 세탁하거나, 헹굴 때, 상기 터브 내의 물을 펌핑하고 상기 순환 호스를 통해 펌핑된 물을 상기 터브 내로 다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순환 펌프는,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가 정지되고, 상기 제2 호스를 통해서만 상기 터브내로 급수될 때, 상기 터브 내의 물을 펌핑하고 상기 순환 호스를 통해 펌핑된 물을 상기 터브 내로 다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프런트 로딩 방식의 드럼 세탁기가 예시적으로 도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런트 로딩 방식의 드럼 세탁기에만 국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탑 로딩 방식의 펄세이터 세탁기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의 케이스(100)는 베이스(110), 벽(120), 그리고 탑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110)는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을 이루며, 그 상면에는 후술할 터브(200)를 지지하는 댐퍼(20)가 장착된다. 상기 벽(120)은 상기 터브(2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세워진다. 이와 같이 세워진 상기 벽(12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과 후면, 그리고 양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130)는 상기 벽(120)의 개방된 상측에 올려져 상기 벽(120)과 베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상기 벽(120)의 전면 상부 또는 상기 탑 플레이트(13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8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벽(120) 또는 상기 탑 플레이트(130)의 내면에는 상기 터브(200)가 매달려 지지되는 스프링(10) 들이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벽(120)의 어느 일면, 예를 들면 전면에는 세탁물(m)을 투입하고 인출할 수 있는 투입홀(125)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125)은 상기 벽(12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된 도어(15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150)는 도어 프레임(151)과 도어 글래스(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도어 글래스(15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프레임(151)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 글래스(155)를 통해서 세탁기의 내부, 좀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드럼(300)의 내부를 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터브(200)가 제공된다. 이러한 터브(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10) 들과 댐퍼(20)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 중간에 부양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상기 터브(200)는 개방된 전면이 상기 벽(120)의 투입홀(125)과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터브(200) 내에는 세탁수가 공급되어 저장된다.
상기 터브(200)의 내부 공간에는 드럼(3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모터(250)가 상기 드럼(30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된다. 도 2에는 상기 모터(250)의 축이 드럼(300)에 직결된 실시예가 도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축은 상기 터브(200)를 관통한 후 드럼(300)의 후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모터(250)는 상기 드럼(300)을 간접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300)과 모터(250)는 예를 들면 벨트 증의 동력 전달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0)의 둘레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통공(310)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터브(200) 내에 저장된 세탁수는 상기 통공(310)을 통해서 상기 드럼(300) 내부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300)의 내주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리프터(320)가 돌출된다. 상기 리프터(320)들은 상기 드럼(300)의 회전 시 세탁물(m)을 상측으로 들어올렸다가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터브(200)와 상기 벽(120)의 전면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25)이 설치된다. 상기 개스킷(25)은 상기 터브(200) 내에 있는 물과 세탁물(m)이 터브(200)의 외부로 누출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개스킷(25)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노즐 어셈블리(60)가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 예를 들어 상기 벽(120)의 후면에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밸브(400)가 장착된다. 상기 급수 밸브(400)는 외부의 급수원, 예를 들어 수도 꼭지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단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상기 급수 밸브(400)는 적어도 두개의 밸브, 즉 제1 밸브(410) 및 제2 밸브(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밸브(410)는 제1 호스, 예를 들어 급수 호스(510)를 통해 상기 터브(20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밸브(420)는 제2 호스, 예를 들어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상기 터브(200)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호스, 즉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호스, 즉 상기 급수 호스(510)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급수 밸브(400)와 상기 터브(200)를 연통시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호스를 급수 호스(510)라 칭하고, 상기 제2 호스를 증기 공급 호스(520)라 칭한다.
상기 급수 밸브(400)는 위와 같이 서로 다른 경로를 가진 두 개의 유로, 즉 상기 급수 호스(5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물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 밸브(400)는 상기 제1 밸브(410)와 상기 제2 밸브(420)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한 터브(200)로의 급수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한 터브(200)로의 급수는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밸브(410)와 상기 터브(200)를 연통시키는 상기 급수 호스(5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 박스(50)를 경유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 호스(510)는 상기 세제 박스(50)를 직접 관통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세제 박스(50)로부터 세제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세제 박스(50)의 일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밸브(410)를 통해 상기 급수 호스(510)로 유입된 세탁수는 항상 상기 세제 박스(600)를 경유한 후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된다.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해 터브(200) 내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터브(200)의 내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내린 후 상기 터브(200)의 바닥에 고이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제 박스(50)와 연통되는 상기 제1 밸브(410) 및 급수 호스(5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세탁을 위해 투입되는 세제와 헹굼 시에 투입되는 세제를 각각 시간 차를 두고 터브(200) 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밸브(420)와 상기 터브(200)를 연통시키는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 박스(50)를 우회한다. 대신,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는 예를 들어 탱크(610)를 경유한다. 상기 탱크(610)는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물을 범람시키면서 상기 터브(200)로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탱크(610)는 그 내부에 저장된 소정량의 물을 한번에 상기 터브(2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탱크(610)를 경유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스킷(2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노즐 어셈블리(6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밸브(420)를 통해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로 유입된 세탁수는 항상 상기 탱크(610)를 경유한 후 상기 터브(200) 내에 공급된다.
한편, 세탁물을 찬물로 세탁할 때보다 가열된 물로 세탁할 때 높을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는 상기 터브(200) 내로 뜨거 운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발생기(600)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증기 발생기(600)가 증기를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아 저장할 수 있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그리고 상기 급수원, 저수조, 그리고 터브(200)를 연결하는 유로가 필요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는 상기 급수 밸브(400)와 터브(200)를 연결하는 제2 호스, 즉 증기 공급 호스(520), 그리고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 중간에 형성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6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세탁기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6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는 상기 증기 발생기(600)의 부품들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6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부품으로 사용하는 상기 증기 발생기(600)는 제2 밸브(420)로부터 받은 세탁수를 액체 상태 또는 증기 상태로 상기 노즐 어셈블리(60)를 통해 상기 터브(2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a에는 상기 증기 발생기(60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도 3a를 참조하여 상기 증기 발생기(60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증기 발생기(6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620)와 출구(630)를 가진 탱크(610), 상기 탱크(610)의 내부 바닥에 구비된 히터(640), 그리고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어셈블리(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610)는 내부에 소정 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상 기 탱크(610)의 외면에는 상기 탱크(610)를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에 장착하기 위한 돌기(611) 및 연장부(6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620)와 상기 출구(630)는 예를 들어 상기 탱크(610)의 대략 상부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탱크(610) 내의 물이 상기 입구(620)를 통해서 상기 제2 밸브(42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탱크(610) 내에서 발생한 증기가 효과적으로 상기 출구(6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탱크(610)의 상부 중에서 상기 입구(620)와 출구(630)가 형성된 부분은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입구(620)는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 상기 제2 밸브(420)와 연통되며, 상기 출구(630)는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60)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입구(620)와 출구(630)에는 별도의 온/오프 밸브가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입구(620)와 출구(630)는 서로 반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구(620)가 출구로 사용되고, 상기 출구(630)가 상기 입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탱크(610)가 장착되는 위치가 변경되어야 할 때, 상기 입구(620)와 출구(630)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모델들을 생산할 때 서로 다른 모델에 상기 탱크(610)를 호환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상기 출구(630) 및 입구(620)에 온/오프 밸브를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히터(640)는 발열부(641)와 단자(6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640)의 발열부(64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610)의 내부 바닥면 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히터(640)의 단자(645)는 상기 탱크(610)의 측면을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발열부(641)의 일단은 상기 탱크(610)의 바닥면에 제공된 클램프(615)에 의해서 상기 탱크(6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650)는 상기 탱크(610) 내의 최소 수위와 만수위를 감지하는 다수의 전극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최소 수위는 히터(640)의 발열부(64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위로서 상기 발열부(641)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부(641)의 상단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만수위는 상기 탱크(610) 내로 유입된 물이 상기 출구(630)를 통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위로서 상기 출구(630) 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서 결정된다.
상기 최소 수위와 만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어셈블리(650)는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전극(651), 제1 전극(653), 그리고 제2 전극(6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통 전극(651), 제1 전극(653), 그리고 제2 전극(655)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단은 상기 탱크(61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6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각 전극들의 상단에는 단자들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전극(651)과 제1 전극(653)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며, 하단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상기 공통 전극(651)과 제1 전극(653)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물에 잠기거나 물로부터 노출된다. 상기 공통 전극 (651)과 상기 제1 전극(653)이 동시에 물에 잠기게 되면 상기 공통 전극(651)과 제1 전극(65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최소 수위 이상이라 판단한다.
반면,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줄어서 상기 공통 전극(651)과 제1 전극(653)이 모두 노출되면, 상기 공통 전극(651)과 제1 전극(653)은 전기적으로 끊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최소 수위 이하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최소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히터(640)가 과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64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전극(655)은 상기 공통 전극(651) 및 상기 제1 전극(653)에 비해 길이가 짧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655)의 하단부는 상기 공통 전극(651) 및 상기 제1 전극(653)의 하단에 비해 높은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낮아서 상기 상기 제2 전극(655)이 물에 잠기지 않으면, 상기 공통 전극(651)과 상기 제2 전극(655)은 전기적으로 끊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만수위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한다.
반면,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제2 전극(655)이 물에 잠기면, 상기 공통 전극(651), 제1 전극(653), 그리고 제2 전극(655)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만수위라고 판단한다.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상기 증기 발생기(600)가 증기를 발생시킬 때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밸브(420)를 닫아서 물이 탱크 (610)내로 더 이상 공급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상기 증기 발생기(600)를 경유시켜서 상기 터브(200) 내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센서 어셈블리(650)가 만수위를 감지하더라도 상기 제어부는 제2 밸브(420)를 닫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610) 내로 계속 물이 공급되며, 결국 상기 탱크(610) 내로 공급된 물은 상기 탱크(610)로부터 범람하여 상기 출구(630)를 통해 터브(2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 발생기(600)가 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650)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를 측정한다.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만수위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밸브(420)를 열어 상기 탱크(610) 내에 세탁수를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 센서 어셈블리(650)에 의해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밸브(420)를 닫아 상기 탱크(610) 내로의 세탁수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 탱크(610) 내에 세탁수가 채워지면, 상기 히터(640)가 작동하여 상기 탱크(610) 내의 세탁수를 가열한다. 상기 세탁수가 가열되면, 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증기는 상기 출구(630)를 통해 빠져 나오고,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증기가 계속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됨에 따라서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점점 낮아진다. 상기 탱크(610) 내의 세탁수가 증발하여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최소 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는 히터(640)를 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다시 상기 탱크(610) 내로 세탁수를 공급한 후 히터(640)를 작동시켜 증기를 터브(200) 내로 다시 공급한다.
위에서는 상기 탱크(610) 내의 물이 범람하면서 상기 출구(630)를 통해 상기 터브(200)로 공급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만은 않는다. 다른 예로, 상기 탱크(610) 내에 만수위까지 물이 채워지면 상기 탱크(610) 내에 저장된 물을 한꺼번에 상기 터브(2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610)의 하부에 온/오프 가능한 제2 출구(66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출구(660)는 상기 터브(200)에 연결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공된 제2 출구(660)는 평소에는 닫혀 있으며, 상기 세탁수의 양을 계량하면서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하고자 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열리면서 상기 탱크(610)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한번에 터브(200) 내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터브(200)의 하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210)이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210)에는 배수 밸로우즈관(33)(bellows tube)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 벨로우즈관(33)에는 상기 터브(200)에서 상기 드레인(210)과 배수 벨로우즈관(33)을 통해 유입된 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드럼(300) 내부로 다시 순환시키는 펌프 유닛이 연결된다.
상기 펌프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하우징(45), 순환 펌프(30), 그리고 배수 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 하우징(45)에는 상기 드레인(210)과 배수 벨로우즈관(33)을 경유한 물이 유입된다. 상기 배수 펌프(40)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 호스(37)가 연결된다. 상기 배수 펌프(40)는 세탁기의 배수 행정 시에 상기 펌프 하우징(45)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 호스 (3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순환 펌프(30)에는 순환 호스(35)가 연결되며, 상기 순환 호스(35)는 그 일단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스킷(2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노즐 어셈블리(60)에 연결된다. 상기 순환 펌프(30)는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행정 시에 상기 펌프 하우징(45)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순환 호스(35) 측으로 펌핑하며, 펌핑된 세탁수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60)를 통해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분사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개스킷(2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노즐 어셈블리(60)에는 각각 상기 순환 호스(35)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가 연결된다. 이러한 노즐 어셈블리(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 호스(35)가 연결되어 상기 순환 펌프(30)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200) 내로 분사하는 제1 노즐(61)과,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가 연결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600)에서 발생된 증기 또는 상기 증기 발생기(600)를 경유한 세탁수를 상기 터브(200) 내로 분사하는 제2 노즐(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노즐(61)과 제2 노즐(62)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작 및 설치가 쉽도록 하나의 몸체로 성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제 박스(600)를 경유하는 상기 급수 호스(510) 뿐만 아니라 상기 세제 박스(600)를 우회하는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도 상기 터브(200) 내에 세탁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급수 호스(510) 만을 통해 급수했던 종래의 세탁기들에 비해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세탁수를 터브(2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세탁 및 헹굼 시간이 단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헹굴 때 상기 터브(200) 내에는 우선 소정량의 세탁수가 공급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410)와 제2 밸브(420)를 열어서 상기 제1 호스, 즉 상기 급수 호스(510), 그리고 상기 제2 호스, 즉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상기 급수원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한다. (S 110)
상기 급수 호스(510)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 박스(600)를 경유한다. 따라서, 상기 세제 박스(600) 내에 세제가 공급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세제는 상기 급수 호스(510)로 유입된 세탁수와 함께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된다.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상기 터브(200)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린 후 상기 터브(200)의 바닥에 고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는 점점 올라간다.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는 상기 세제 박스(600)를 우회하는 대신 상기 증기 발생기(600)를 경유한다. 따라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탱크(610) 내로 유입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세탁수는 상기 탱크(610)를 채우게 된다. 상기 터브(200) 내에 세탁수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650)가 만수위를 감지하더라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밸브(420)를 닫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증기 발생기(600)의 탱크(610)의 내부를 완전히 채운 세탁수는 상기 탱크(610)의 상부에 형성된 출구(630)를 통해 상기 증기 발생기(600)로부터 범람한 다. 상기 증기 발생기(600)의 탱크(610)로부터 범람한 세탁수는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와 상기 노즐 어셈블리(60)을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경유한 세탁수는 상기 터브(200)의 내부 상부에 위치한 제2 노즐(62)에 의해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고르게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200) 내부로 분사된 세탁수는 상기 드럼(300)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고르게 적셔주고 씻어준다. 따라서, 세탁을 위한 급수 시에는 본 세탁 과정 전에 세탁물을 적셔주는 시간이 단축되며, 헹굼을 위한 급수 시에는 세탁물의 표면에 있는 세제 찌꺼기를 깨끗이 씻어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헹구기 위해서, 상기 급수 호스(5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 상기 터브(200)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터브(200) 내에 소정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되기까지 실질적으로 동시에 진행된다. 그러나, 이들 과정은 약간의 시간 차를 두고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는 상기 터브(200)의 내면에 구비된 수위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터브(200) 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데, 이러한 수위 센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호스(5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터브(200) 내의 수위에 관한 정보와 미리 저장된 소정 수위(이하 제1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에 이르렀는가를 판단한다. (S 120)
판단 결과,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에 이르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410)와 제2 밸브(420)를 계속 개방시킨 상태로 상기 급수 호스(5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터브(200) 내로 계속 세탁수를 공급한다.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에 이르렀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410)를 닫아서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한 급수를 중단시키고, 상기 제2 밸브(420)는 계속 열어 두어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터브(200) 내로 세탁수를 좀더 공급한다. (S 130) 이와 같이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고 증기 공급 호스(520) 만을 통해 급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의를 가진다.
먼저, 세탁을 위해 상기 터브(200) 내로 세탁수를 공급할 때의 예를 살펴 보자. 아직 젖지 않은 세탁물이 터브(200)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터브(200) 내에 제1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된다. 상기 제1 수위까지 세탁수가 터브(200) 내에 공급된 상태에서 세탁을 진행하게 되면, 상기 세탁물은 많은 양의 세탁수를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을 위해 필요한 세탁수의 양이 부족해진다. 따라서, 세탁물을 충분히 적셔준 다음에 본 세탁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수위까지는 상기 급수 호스(5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다량의 세탁수를 빠른 시간 내에 상기 터브(200)내로 공급하여 급수 시간을 줄이고, 상기 제1 수위까지 급수한 다음에는 상기 세탁물이 충분히 적셔질 때까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만을 통해 터브(200)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터브(200)내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상기 제2 노즐(62)에 의해 상기 터브(20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로 고르게 분사되므로 세탁물이 적셔지는 시간 또한 단축된다.
세탁물을 적시기 위한 급수는 세탁물이 실제로 충분히 적셔지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내내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것이다. 즉,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 단위 시간당 너무 많은 세탁수가 터브(200) 내로 공급되게 되면, 상기 세탁물이 충분히 적셔지기 전에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가 너무 높이 상승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는 단위 시간 당 적정량의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높은 압력의 증기가 터브(200) 내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의 내경은 이 점도 함께 고려되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상기 세제 박스(600)를 경유하는 급수 호스(510)는 단위 시간 당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공급되는 양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헹굼을 위해 상기 터브(200) 내로 세탁수를 공급할 때의 예를 살펴 보자. 상기 제1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행굼 행정을 수행하면, 상기 세탁물은 상기 터브(200) 내에 수용된 세탁수들에 의해 헹궈지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헹굼을 위한 세탁수는 오염되므로 헹굼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행굼 행정 동안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 새로운 세탁수를 상기 터브(200) 내로 계속 공급해준다. 그러면, 상기 제2 노즐(62)을 통 해 새로운 세탁수가 계속 상기 세탁물에 고르게 분사되고, 이에 의해 헹굼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 또는 헹굼 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만을 통한 급수는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만을 통한 급수 시간이 소정 시간에 미치지 못하면 급수를 계속하고,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급수를 완료하게 된다. (S 140)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만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만을 통해 급수되는 동안 상기 수위 센서가 터브(200)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은 제2 수위에 이르면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증기 발생기(600)를 이용하여 추가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양을 계량하면서 필요한 정확한 양 만을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 발생기(600)의 탱크(610) 하부에 구비된 온오프 가능한 제2 출구(660)를 이용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만수위에 이르렀을 때 제2 밸브(42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출구(660)를 개방하면, 한번에 일정량 씩, 즉 탱크(610) 내의 세탁수가 만수위일 때의 상기 탱크(610)내의 세탁수의 양 씩을 터브(200) 내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 발생기(600)의 제2 출구(660)를 이용하여 여러번 세탁수를 터브(200) 내로 공급하는 방법을 통해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터브(200) 내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정확하게 계량하면서 추가로 필요한 급수 량 만을 상기 터브(20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만수위일 때의 세탁수의 양을 1리터라고 가정하고, 추가로 필요한 급수량이 3리터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증기 발생기(600)는 상기 탱크(610) 내부에 만수위까지 물을 채운 다음 상기 제2 출구(660)을 통해 터브(200)로 공급하는 과정을 3번 수행함으로써 추가로 필요한 급수량을 정확하게 맞추어 터브(200) 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상기 터브(200) 내로 제1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된 다음,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세탁수를 추가로 공급하는 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만은 않는다. 예를 들어, 필요한 경우 상기 터브(200) 내로 제1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된 다음,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세탁수가 아닌 증기가 터브(200)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본 세탁 행정을 수행하기 전에 증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적시고 불릴 때, 그리고 증기를 이용하여 본 세탁 행정을 수행할 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술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방법은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이 세탁 행정에 적용된 예들을 보여주고 있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이 헹굼 행정에 적용된 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급수 방법이 구체적으로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이 세탁 행정에 적용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을 위해 상기 드럼(300)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고, 외부 급수원의 세탁수가 상기 급수 호스(5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급수된다. (S 210) 상기 급수 호스(510)와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한 초기 급수는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가 될 때 까지 이루어진다. (S 220)
상기 초기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터브(200) 내의 드럼(30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드럼(300) 내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그러나, 세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본 세탁 행정을 진행하기 앞서 상기 세탁물을 충분히 적셔준다. 이를 위해, 초기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300)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을 충분히 적신다. (S 230) 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410)를 닫아 급수 호스(510)를 통한 상기 터브(200) 내로의 급수를 중단하고,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만 세탁수를 터브(200) 내로 분사한다. (S 240) 그러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200) 내로 분사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탁물을 고르게 적셔주므로 세탁물이 짧은 시간 내에 충분히 적셔지고, 이에 따라 세탁 행정 시간이 단축된다.
위와 같이 세탁물을 적시는 동안, 상기 순환 펌프(30)가 작동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터브(200)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순환 펌프(30)에 의해 펌핑된 후 순환 호스(35)와 제1 노즐(61)을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분사된다. 그러면, 상기 노즐 어셈블리(60)의 제1 노즐(61) 및 제2 노즐(62)을 통해서 세탁수가 동시에 분 사되므로, 세탁물을 더욱 빠르게 충분히 적셔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세탁물을 적시는 과정은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된다. (S 250)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세탁물이 충분히 적셔진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다양한 종류의 세탁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S 260) 상기 세탁 알고리즘의 간단한 한 예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한다.
세탁 알고리즘이 시작되면, 상기 드럼(300)은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한다. (S 261) 이와 함께, 상기 순환 펌프(30)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터브(200) 내의 세탁수는 상기 순환 호스(35)와 제1 노즐(61)을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분사된다. (S 263) 분사된 세탁수는 상기 세탁물의 표면을 때림으로써 상기 세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탁물로부터 분리시키고, 이에 의해 세탁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한 세탁 알고리즘은 소정 시간 동안 진행되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세탁이 완료된다. (S 265)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이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적시고 세탁하는 세탁 행정에 적용된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방법은 증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불리거나 세탁하는 세탁 행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증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불리는 경우를 살펴보자.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급수가 완료되면(S 220), 드럼(300)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을 적신다. (S 230)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그리고, 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한 급수를 중지하고, 상기 히터(640)를 작동시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증기를 공급한다. (S 245) 상기 증기 발생기(600)에서 발생된 증기는 상기 터브(200) 내의 세탁수의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에 이를 때 까지 상기 터브(200) 내부로 공급된다. (S 255) 물론, 상기 증기 발생기(600)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되거나,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최저 수위에 이를 때 까지 증기를 발생시켜 상기 터브(200) 내로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본 세탁 행정 전에 증기를 상기 세탁물에 분사해주면 상기 세탁물이 뜨거운 증기와 물에 불려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더욱 향상된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터브(200) 내의 세탁수의 온도가 제1 온도에 이르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최저 수위에 이르게되면, 상기 증기 발생기(600)의 히터(640)는 꺼지고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한 터브(200)로의 증기의 공급은 중단된다. (S 257) 증기의 공급이 중단되고 세탁물의 적심 및 불림이 완료되면, 여러 종류의 세탁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 후 세탁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 6d에는 증기를 이용한 세탁 알고리즘이 도시 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를 이용한 세탁 알고리즘은 초기 급수가 완료된 직후(S 220)에 수행되거나, 세탁물을 충분히 적신 다음(S 250)에 수행될 수 있다.
증기를 이용한 세탁 알고리즘이 시작되면, 드럼(300)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고(S 261), 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증기 발생기(600)가 작동하여 증기 를 상기 터브(200) 내로 분사한다. (S 262) 이러한 증기를 이용한 세탁은 터브(200) 내의 세탁수의 온도가 제2 온도에 이를 때까지 계속되거나(S 264),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되거나, 상기 탱크(610) 내의 수위가 최저 수위에 이를 때 까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와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세탁이 이루어지는 동안 증기를 공급하게 되면, 뜨거운 증기가 상기 세탁물 자체에 작용함과 동시에 상기 증기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 또한 상기 세탁물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세탁물을 삶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탁 성능히 상당히 향상된다.
증기를 이용한 세탁이 완료되면 상기 증기 발생기(600)에 의한 증기 공급이 중단된다. (S 266),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410)를 열고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새로운 세탁수를 공급한다. (S 267) 이때, 급수 호스(510)를 통한 터브(200) 내로의 급수는 상기 터브(200) 내의 세탁수의 온도가 상기 제2 온도 보다 낮은 제3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된다. (S 268) 여기서,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해 터브(200) 내로 새로운 세탁수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드럼(300)이 회전하면서 마무리 세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세탁수의 온도가 상기 제3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고 세탁을 완료한다.
위와 같이 증기를 이용한 세탁이 완료된 후에 새로운 세탁수를 공급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낮추는 이유는 추후 헹굼을 위한 급수 시 고온의 세탁물에 차가운 물이 갑자기 공급됨으로 인해서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리고, 증기를 이용하여 세탁을 한 후 낮은 온도의 세탁수로 추가로 세탁을 해주면 불려진 후 미처 분리되지 못한 이물질을 세탁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세탁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 펌프(40)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200) 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 호스(3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가 완료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헹굼 방법에 따라 세탁물을 헹군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헹굼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410)와 제2 밸브(420)를 열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급수 호스(510)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S 310) 상기 급수 호스(510)와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한 급수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가 헹굼 행정을 위해 필요한 소정 수위에 이르지 못하면, 상기 급수 호스(510)와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세탁수가 상기 터브(200) 내로 계속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터브(200) 내의 수위가 상기 소정 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410)를 닫아서 상기 급수 호스(510)를 통한 급수를 종료시키고, 이에 의해 헹굼을 위한 초기 급수는 완료된다. (S 320)
헹굼을 위한 초기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여러 종류의 헹굼 알고리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S 330) 이때,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새로운 세탁수가 상기 터브(200) 내로 분사되므로 헹굼 효과가 향상된다. 도 7b에 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헹굼 알고리즘의 간단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헹굼 알고리즘이 시작되면, 상기 드럼(300)이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헹군다. (S 331) 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서 새로운 세탁수가 상기 터브(200) 내로 계속 공급된다. (S 333) 여기서,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경유한 새로운 세탁수는 상기 제2 노즐(62)에 의해 상기 세탁물로 분사되며, 이에 의해 상기 세탁물에 남아 있는 세제 찌꺼기가 깨끗하게 씻겨진다. 이때, 상기 새로운 세탁수는 상기 세제 박스(600)를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세제 박스(600)에 남아 있는 세제 찌꺼기에 의한 세탁물의 재 오염은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물이 헹궈지는 동안,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 펌프(30)가 작동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순환 펌프(30)에 의해 펌핑된 상기 터브(200) 내의 세탁수는 상기 순환 호스(35)와 상기 제1 노즐(61)을 통해 상기 터브(200) 내로 다시 분사된다. (S 335)
한편,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노즐(61)과 제2 노즐(62)은 상기 터브(200)의 내부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각각 상기 순환 호스(35)를 통해 상기 제1 노즐(61)로 유입된 펌핑된 세탁수와 상기 증기 공급 호스(520)를 통해 상기 제2 노즐(62)로 유입된 새로운 세탁수는 상기 터브(200)의 상부에서 상기 드럼(300) 내의 세탁물을 향해 고르게 분사된다. 이와 같이 분사된 세탁수는 상기 세탁물의 표면을 때림으로써 상기 세탁물에 부착된 세제 찌꺼기를 세탁물로부터 분리시키고, 이에 의해 헹굼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한 세탁 알고리즘은 소정 시간 동 안 진행되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헹굼 행정이 완료된다. (S 337)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해 터브 내에 세탁수를 공급할 때 외부 급수원의 세탁수를 2개의 유로를 이용하여 동시에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한다. 따라서,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급수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며, 이는 전체 행정 시간(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등을 포함)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을 위해 세탁물을 적실 때 세제 박스를 우회하는 유로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새로운 세탁수를 계속 분사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짧은 시간 내에 골고루 그리고 충분히 젖을 수 있게 되며, 이는 전체 행정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을 위해 세탁물을 적실 때, 또는 세탁할 때 증기 발생기를 경유하는 유로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증기를 계속 분사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을 뜨거운 증기와 상기 증기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불린 후 세탁을 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세탁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을 헹굴 때 세제 박스를 우회하는 유로를 통해 새로운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로 분사한다. 따라서, 새로운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남아 있는 세제 찌꺼기를 깨끗이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제 박스에 남아 있는 세제가 터브 내로 공급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세탁물의 재 오염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급수원의 세탁수를 제1 호스를 통해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급수원의 세탁수를 상기 제1 호스와 다른 경로를 가진 제2 호스를 통해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급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는 세제 박스를 경유하며, 상기 제2 호스는 상기 세제 박스를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스를 경유한 세탁수는 상기 터브 내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스는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에 제1 수위까지 상기 세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호스를 통해서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급수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상기 세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급수 방법.
  8. 외부의 급수원과 터브를 연결하는 제1 호스, 그리고 상기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상기 제1 호스와는 다른 경로로 연결하는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브 내의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세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는 세제 박스를 경유하고, 상기 제2 호스는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급수되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세탁물을 수용하는 상기 터브 내의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세탁물을 적시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세탁물이 적셔지는 동안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세탁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급수되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탱크 내에 생성된 증기를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세탁 방법.
  13. 외부의 급수원과 터브를 연결하는 제1 호스, 그리고 상기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상기 제1 호스와는 다른 경로로 연결하는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 내에 소정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브 내의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헹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헹굼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을 헹구는 동안 상기 터브 내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터브 내로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헹굼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을 헹구는 동안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새로운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로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헹굼 방법.
  16.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제공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며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호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터브를 상기 제1 호스와는 다른 경로로 연결하며,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는 세제 박스를 경유하고, 상기 제2 호스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는,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소정 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를 중단하고 상기 제2 호스를 통해서 상기 터브 내로 물을 더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소정 수위에 이르러 상기 제1 호스를 통한 급수가 중단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제2 호스를 통해서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하거나 증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50023459A 2005-03-22 2005-03-22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 KR10073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459A KR100734366B1 (ko) 2005-03-22 2005-03-22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459A KR100734366B1 (ko) 2005-03-22 2005-03-22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88A true KR20060101888A (ko) 2006-09-27
KR100734366B1 KR100734366B1 (ko) 2007-07-03

Family

ID=3763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459A KR100734366B1 (ko) 2005-03-22 2005-03-22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3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119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504501B1 (ko) * 2003-04-14 2005-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366B1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7205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стирки (варианты)
KR100833857B1 (ko) 세탁 장치
US7743632B2 (en) Washing machine
US7614106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88068A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WO2007026989A1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550543B1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KR20070088212A (ko) 세탁기 및 세제공급기구의 세척방법
KR100657478B1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EP325459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of dishwasher
KR100672590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100739609B1 (ko) 세탁 방법
KR20070003359A (ko)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66200B1 (ko) 세탁기의 헹굼 행정 제어 방법
KR100734366B1 (ko)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
KR101146270B1 (ko) 드럼세탁기의 증기분사장치
KR10126559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1033595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100803126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505255B1 (ko)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KR20070071095A (ko) 드럼세탁기
KR10126560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0904427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845845B1 (ko) 세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